KR0115978Y1 -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 Google Patents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978Y1
KR0115978Y1 KR2019950011526U KR19950011526U KR0115978Y1 KR 0115978 Y1 KR0115978 Y1 KR 0115978Y1 KR 2019950011526 U KR2019950011526 U KR 2019950011526U KR 19950011526 U KR19950011526 U KR 19950011526U KR 0115978 Y1 KR0115978 Y1 KR 0115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glass
door
guide rai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756U (ko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1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978Y1/ko
Publication of KR960036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97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means to prevent rattling of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도어의 글래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레귤레이터(12)의 가이드레일(14)에 도어유리(16)를 설치해주는 차량도어의 글래스 홀더가, 상기 도어유리(16)를 지지하여 주기위한 채널(22)이 구비되고, 이 채널(22)의 하부에 가이드레일(12)의 지지보울트(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결부(26)가 구비된 브라켓(28)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도어유리를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용이 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제1도는 차량도어의 유리승강기구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글래스홀더와 도어유리 및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유동방지용 댐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동기 12 : 윈도우 레귤레이터
14 : 가이드레일 16 : 도어유리
18 : 글래스홀더 20 : 브라켓
22 : 플랜지 24 : 제1지지부재
26 : 제2지지부재 28 : 완충재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유리 유동방지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유리가 승하강시 차폭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도어유리 유동방지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프레스로 가공한 얇은 판의 도어패널이 안쪽과 바깥부분으로 되어 있어 이것을 상자모양으로 점용접한 것으로, 이 도어가 차체에 대해 회전식을 개폐되어질 수 있도록 도어힌지에 의해 차체의 필라부분에 연결설치되고, 도어의 상단부에는 운전자가 외부상황을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로 된 창문이 구비되어 있어 차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등 필요에 따라서 창문유리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창문유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기구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어를 통하여 힘을 전달하는 전동기(10)와, 이전동기(10)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달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12) 및 이 레귤레터(12)의 가이드레일(14)에 도어 유리(16)를 고정설치해주는 글래스 홀더(1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도어유리(16)가 상하로 승하강시 차폭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을 충분히 지지하여 줄 수 없어, 도어유리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도어유리의 기울어짐에 의해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런채널 또는 기타 도어유리와 접촉되는 부재들과 작용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유리의 작동시 도어유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 도어유리의 유동방지 댐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상부로 뻗어나온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부착되어 도어유리를 접촉지지하여 주게 된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상기 브라켓을 가이드레일에 리벳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착하고, 가이드레일과 도어유리의 단부를 채널내에 포함한 글래스홀더가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면서 상기 플랜지로부터 연장된 제1지지부재가 상기 글래스홀더에 접촉되어 지지하여 줌과 더불어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2지지부재가 도어 유리의 소정위치에 접촉되어 도어유리가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유리가 이동시에 차폭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유동함이 없이 균일한 궤적을 이루며 승하강하게 되어 도어유리의 기울어짐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여 줌과 아울러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 작동과 부하를 방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글래스 홀더와 도어유리 및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유동방지용 댐퍼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유동방지용 댐퍼(3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4)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으로부터 상부로 뻗어나온 플랜지(22), 상기 플랜지(22)의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글래스홀더(18)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24) 및, 상기 플랜지(2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나와 도어유리(16)을 접촉지지하여 주는 제 2 지지부재(2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0)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하는 로울러(도시한됨)의 이송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14)의 후면부에 스크류와 같은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레일(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유리(16)를 내측에서 지지하여 주기위해 플랜지(22)가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상부면을 따라 가로질러서 수직하게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재(24)가 상기 플랜지(22)의 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나와 상기 가이드레일(14)위에 고정설치되는 글래스홀더(18)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재(26)는 상기 플랜지(22)로부터 위로 소정길이만큼 뻗어나와 그 단부에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재(28)가 부착고정된으로, 상기 글래스홀더(18)에 고정되어 차측 내부방향(A)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된 도어유리(16)와 접촉되면서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상기 브라켓(20)을 가이드레일(14)의 후면부에 리벳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착하여 고정시키고, 도어유리(16)를 체널내에 포함한 글래스홀더(18)를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상부에 설치하되. 글래스홀더(18)의 측면부를 상기 플랜지(22)의 제 1지지 부재(24)에 밀착시킴으로써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글래스홀더(18)에 고정된 도어유리(16)는 차실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이루면서 기울어지게 되는 바, 상기 블랜지(22)로부터 상부로 뻗어나와 형성된 제 2 지지부재(26)에 밀착되어져 도어유리가 차폭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윈도우레귤레이터(12)가 작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재(24)에 의해 도어유리(16)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되고,상기 제 2 지지부재(26)는 도어유리와 밀착되어 지지하면서 차폭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되어, 도어유리가 균일한 궤적을 이루며 승하강하게 되어, 도어유리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여 줌과 아울러 원도우레귤레이터 모터의 작동과 부하를 방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고안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가이드레일(14)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플랜지(22), 상기 플랜지(22)의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글래스홀더(18)을 지지하여 주는 제 1 지지부재(24) 및, 상기 플랜지(22)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도어유리(16)를 접촉지지하여 주게 된 제 2 지지부재(26)로 이루어진 도어유리 유동방지용 댐퍼.
KR2019950011526U 1995-05-26 1995-05-26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KR0115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526U KR0115978Y1 (ko) 1995-05-26 1995-05-26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526U KR0115978Y1 (ko) 1995-05-26 1995-05-26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756U KR960036756U (ko) 1996-12-16
KR0115978Y1 true KR0115978Y1 (ko) 1998-04-17

Family

ID=1941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526U KR0115978Y1 (ko) 1995-05-26 1995-05-26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9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756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9341A (en) Rear window assembly for a truck cab
US4658546A (en) Windowpane lifting mechanism for vehicle door
JPH10212865A (ja) 車のドアのウィンドガラス昇降カセット
KR930008801B1 (ko) 차량의 창문 조절장치
US6427385B1 (en) Window lift mechanism
US5613322A (en) Edge drive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KR0115978Y1 (ko)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JP3603521B2 (ja) 車両のドアパネル
JP2009126488A (ja) ドアモジュール
KR100298696B1 (ko) 자동차의 레귤레이터
KR970006821Y1 (ko) 차량도어의 글래스홀더
KR100194717B1 (ko)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글래스의 연결구조
JP3281456B2 (ja) 自動車用ドア
JPH0538225Y2 (ko)
KR100422689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밸런스 암 레일 장착구조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JP2765418B2 (ja) 車両用ドアの昇降機構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200220800Y1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JPS60233285A (ja) ボ−デンワイヤ式窓昇降装置
JP2572179B2 (ja) ドアウインドウパネルの昇降装置
JPH0617611Y2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装置
KR100422688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JPH04217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