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800Y1 -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800Y1
KR200220800Y1 KR2019980026823U KR19980026823U KR200220800Y1 KR 200220800 Y1 KR200220800 Y1 KR 200220800Y1 KR 2019980026823 U KR2019980026823 U KR 2019980026823U KR 19980026823 U KR19980026823 U KR 19980026823U KR 200220800 Y1 KR200220800 Y1 KR 20022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door
glass
inner panel
gui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609U (ko
Inventor
정규율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80026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80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800Y1/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내측패널의 내부공간으로 도어글라스가 완전히 하강할 경우에 이 도어글라스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보조가이드채널을 설치함으로써, 도어글라스가 완전하강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도어글라스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어(1)의 내측패널(1a)상에 레귤레이터조립체(2)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승/하강시 좌우로 이격되게 고정된 글라스가이드채널(4)을 매개로 안내를 받도록 된 도어글라스(3)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1a)의 하단부에는 도어글라스(3)의 완전하강시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완충부재(8a)를 갖춘 보조가이드채널(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글라스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내부에 도어글라스의 완전하강시 하단부를 수용하여 이를 지지하는 보조가이드채널을 마련함으로써, 도어글라스의 완전하강시 도어를 닫을 때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도어글라스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양측에는 탑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차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면서 록크기구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잠겨지도록 된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도어(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개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레귤레이터조립체(2)를 매개로 도어글라스(3)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1)의 내측패널(1a)상에는 도어글라스(3)의 좌/우측 단부를 지지하여 도어글라스(3)의 승하강시 이를 안내하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글라스가이드채널(4)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에는 글라스홀더(5)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이 글라스홀더(5)는 상기 내측패널(1a)의 중앙부위로 수직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레귤레이터채널(6)에 끼워지는 한편, 이 레귤레이터채널(6)은 레귤레이터조립체(2)와 한쌍의 와이어(2a)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패널(1a)의 가장자리에는 글라스가이드부재(7)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어글라스(3)의 상승시 내측패널(1a)의 외부로 노출되어 도어섀시부로 승강되는 도어글라스(3)의 외주면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조립체(2)는 조작자의 조작버튼(도시안됨)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와이어(2a)를 정/역방향으로 감기도록 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채널(6)상에서 글라스홀더(5)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글라스(3)를 승/하강되게 한다.
또한, 상기 내측패널(1a)상에 상호 도어글라스(3)의 폭만큼의 이격거리를 두고 고정된 글라스가이드채널(4)은, 상기 도어글라스(3)가 내측패널(1a)의 내부공간으로 수용될 경우, 즉 상기 도어글라스(3)가 하강될 경우에 도어글라스(3)의 좌우측 단부를 지지하여 승/하강이동에 안정감 내지는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1)에서는 도어글라스(3)가 내측패널(1a)의 내부공간으로 완전하강한 상태에서 도어(1)를 개방하였다가 큰 힘을 가해 도어(1)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 도어글라스(3)는 도어(1)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떨리게 되는 진동과 이로 인한 주변요소와의 충돌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상기 도어글라스(3)가 내측패널(1a)의 내부공간에서는 좌/우의 단부면을 지지하는 글라스가이드채널(4)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유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글라스(3)의 완전하강시에 도어글라스(3)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도어글라스(3)의 고정을 확고하게 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의 내측패널의 내부공간으로 도어글라스가 완전히 하강할 경우에 이 도어글라스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보조가이드채널을 설치함으로써, 도어글라스가 완전하강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도어글라스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패널상에 레귤레이터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승/하강시 좌우로 이격되어 고정된 글라스가이드채널을 매개로 안내를 받도록 된 도어글라스를 갖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의 하단부에는 도어글라스의 완전하강시 도어글라스의 하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완충부재를 갖춘 보조가이드채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도어글라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글라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도어 2-레귤레이터조립체
3-도어글라스 4-글라스가이드채널
5-글라스홀더 6-레귤레이터채널
7-글라스가이드부재 8-보조가이드채널
8a-완충부재 9-브라켓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글라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를 구성하는 내측패널(1a)상에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레귤레이터조립체(2)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1)의 내측패널(1a)에는 도어글라스(3)의 폭만큼의 이격거리를 두고서 수직한 방향으로 글라스가이드채널(4)이 고정되며, 상기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에는 글라스홀더(5)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한편, 이 글라스홀더(5)는 내측패널(1a)의 중앙부위로 수직하게 설치된 레귤레이터채널(6)상에 끼워져 상하로 습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홀더(5)는 레귤레이터조립체(2)와 한쌍의 와이어(2a)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레귤레이터조립체(2)의 작동시 정/역방향으로 감겨져 이동하는 와이어(2a)에 의해 글라스홀더(5)가 레귤레이터채널(6)상에 승/하강됨에 따라 도어글라스(3)가 내측패널(1a)의 내부 혹은 외부로 출몰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패널(1a)의 하측부에는 도어글라스(3)의 완전하강시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된 보조가이드채널(8)이 구비되는 바, 이 보조가이드채널(8)은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널(1a)상에 접합되어 고정된 브라켓트(9)를 매개로 설치위치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가이드채널(8)상에는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를 부드럽게완충시키면서 지지하도록 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부재(8a)가 설치되는 바, 이 완충부재(8a)는 상기 보조가이드채널(8)상에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가 완전히 하강하여 수용될 경우에 이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를 보다 더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가이드채널(8)은 내측패널(1a)의 중앙부위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레귤레이터채널(6)과의 간섭을 피해 이 레귤레이터채널(6)의 주변으로 2개소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도어글라스(3)의 완전하강시 이를 보다 더 긴밀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1b는 내측패널(1a)와 접합되어 도어(1)를 형성하는 외측패널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1)의 내측패널(1a)상에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보조가이드채널(8)이 설치되면, 상기 도어글라스(3)가 레귤레이터조립체(2)의 작동에 따라 내측패널(1a)의 내부공간으로 완전히 하강하게 될 경우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는 보조가이드채널(8)상에 설치된 완충부재(8a)내로 수용되어져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도어(1)의 개폐시 도어글라스(3)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충격력에 따른 도어글라스(3)의 유동은 줄어들 수 있게 되어 소음발생이 억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도어(1)의 내측패널(1a)상의 저면부로 도어글라스(3)의 완전하강시 도어글라스(3)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보조가이드채널(8)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도어글라스(3)의 완전하강상태에서 도어(1)의 개폐시에도 도어글라스(3)의 유동은 줄어들 수 있어서 도어(1)의 개폐에 따른 충격으로 인한 도어글라스(3)의 진동유발 및 그에 따른 소음발생이 줄어들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내측패널상에 레귤레이터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승/하강시 좌우로 이격되어 고정된 글라스가이드채널을 매개로 안내를 받도록 된 도어글라스를 갖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의 하단부에는 도어글라스의 완전하강시 도어글라스의 하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완충부재를 갖춘 보조가이드채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KR2019980026823U 1998-12-28 1998-12-2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KR20022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23U KR200220800Y1 (ko) 1998-12-28 1998-12-2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23U KR200220800Y1 (ko) 1998-12-28 1998-12-2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09U KR20000013609U (ko) 2000-07-15
KR200220800Y1 true KR200220800Y1 (ko) 2001-06-01

Family

ID=6950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823U KR200220800Y1 (ko) 1998-12-28 1998-12-2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8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09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12865A (ja) 車のドアのウィンドガラス昇降カセット
JP3866720B2 (ja) 車両用ドア
KR200220800Y1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KR10246304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A2278468A1 (en) Door module
KR10038779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지지구조
KR200178093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836920B1 (ko) 차량용 도어의 사이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조
KR200154467Y1 (ko) 자동차의 델타 새시 내의 윈도우 글라스 지지구조
JPH0538225Y2 (ko)
KR0115978Y1 (ko)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KR10037311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9980041945U (ko)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벨트 웨더 스트립 장착 구조
KR200150271Y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KR200158515Y1 (ko)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
KR970006821Y1 (ko) 차량도어의 글래스홀더
KR20000004536U (ko) 자동차의 윈도우 케이블 가이드 구조
KR19980055493A (ko) 자동차의 차창 지지구조
KR100262052B1 (ko)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 고정구조
KR200188995Y1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KR100320862B1 (ko) 자동차용 도어유리 가이드 구조
KR100422688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KR100552048B1 (ko) 자동차의 도어 래치
KR0133465Y1 (ko) 자동차의 도아유리 가이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