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271Y1 -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271Y1
KR200150271Y1 KR2019970019891U KR19970019891U KR200150271Y1 KR 200150271 Y1 KR200150271 Y1 KR 200150271Y1 KR 2019970019891 U KR2019970019891 U KR 2019970019891U KR 19970019891 U KR19970019891 U KR 19970019891U KR 200150271 Y1 KR200150271 Y1 KR 200150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door
door glass
strength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425U (ko
Inventor
김홍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2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를 개시한다.
종래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는, 가이드 레일의 강도가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구조로 제작되므로,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가이드 레일이 쉽게 변형되어 신뢰성이 저하되며, 차실의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가이드 레일(22)의 평판부(22a)에 가이드 레일(22)의 강도를 보강하는 서포트 플레이트(30)가 장착되고, 서포트 플레이트(30)는 중앙에 가이드 레일(22)의 평판부(22a)에 용접되는 부착부(31)를 가지며, 부착부(31)의 양쪽 끝에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연장부(32a,32b)가 연장 형성되고, 수직연장부(32a,32b)의 끝에 부착부(31)와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연장부(33a,33b)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강도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보강되는 단순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되므로, 도어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보강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실의 승객이 보다 안전하게 보호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ca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글래스(door glass)를 리프팅(lifting)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guide rail)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엔진(engine)의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구조는 기능적으로 크게 주행에 필요한 장치를 구비한 섀시(chassis)와, 사람이나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차체(body)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자동차의 차체는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차실(cabin)과 엔진룸(engine room), 트렁크(trunk) 및 펜더(fender)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차실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도어(door)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는 일반적으로 외측의 아우터 패널(outer panel)과 내측의 이너 패널(inner panel)이 조합되고, 여기에 도어 글래스가 둘러싸여지는 도어 프레임(door frame)이 부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 글래스는 개폐의 용이성을 위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이른 바 파워 윈도우(power window)가 채용되고 있으며, 파워 윈도우에는 도어 글래스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패널(10)의 한쪽 면에 브래킷(bracket: 11)이 체결에 의해 장착되고, 브래킷(11)의 한쪽 면에 가이드 레일(12)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12)은 용접에 의해 브래킷(11)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평판부(12a)를 가지며, 이 평판부(12a)의 양쪽에는 슬라이드부(slide part: 12b,12c)가 벤딩(bending)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2)의 슬라이드부(12b,12c)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slider: 13)에 환상(環狀)의 와이어(wire: 14)가 고정되고, 와이어(14)는 풀리(pulley: 15)들에 의해 윈도우 레귤레이터(16)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슬라이더(13)의 한쪽 면에 도어 글래스(17)가 체결에 의해 장착되며, 이너 패널(10)의 외측에는 아웃터 패널(18)이 장착되어 도어(19)가 구성된다.
따라서, 윈도우 레귤레이터(16)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14)가 회전 운동되면서 슬라이더(13)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때 윈도우 레귤에이터(18)의 정·역 구동에 따라 도어 글래스(17)가 선택적으로 승·하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는, 가이드 레일(12)의 강도가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구조로 제작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가이드 레일(12)의 중앙이 평판부(12a)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19)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가이드 레일(12)이 쉽게 변형되어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차실의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이너 패널(inner panel) 21: 브래킷((bracket)
22: 가이드 레일(guide rail) 22a: 평판부
23: 슬라이더(slider) 24: 와이어(wire)
26: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 27: 도어 글래스(door glass)
28: 아웃터 패널(outer panel) 29: 도어(door)
30: 서포트 플레이트(support plate) 31: 부착부
32a,32b: 수직연장부 33a,33b: 수평연장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이너 패널의 한쪽 면에 브래킷이 장착되고, 브래킷의 한쪽 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도어 글래스가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도록 와이어를 회전 운동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의 평판부에 가이드 레일의 강도를 보강하는 서포트 플레이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고, 서포트 플레이트는 중앙에 가이드 레일의 평판부에 용접되는 평판형태의 부착부를 가지며, 부착부의 양쪽 끝에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연장부가 각각 연장 형성되고, 수직연장부의 끝에 부착부와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연장부가 각각 연장 형성되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패널(20)의 한쪽 면에 복수의 브래킷(21)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체결에 의해 장착되고, 브래킷(21)의 한쪽 면에 가이드 레일(22)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이때, 브래킷(21)은 가이드 레일(22)의 상·하부를 지지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22)은 용접에 의해 브래킷(21)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평판부(22a)를 가지며, 이 평판부(22a)의 양쪽에는 슬라이드부(22b,22c)가 벤딩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2)의 슬라이드부(22b,22c)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23)에 환상의 와이어(24)가 고정되고, 와이어(24)는 풀리(25)들에 의해 윈도우 레귤레이터(26)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슬라이더(23)의 한쪽 면에 도어 글래스(27)가 체결에 의해 장착되며, 이너 패널(20)의 외측에는 아웃터 패널(28)이 장착되어 도어(29)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 레일(22)은 평판부(22a)의 한쪽 면에 가이드 레일(22)의 강도를 보강하는 서포트 플레이트(support plate: 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서포트 플레이트(30)는 브래킷(21)과 간섭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0)의 중앙에는 가이드 레일(22)의 평판부(22a)에 용접되는 평판형태의 부착부(31)를 가지며, 부착부(31)의 양쪽 끝에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연장부(32a,32b)가 각각 벤딩에 의해 연장 형성되고, 수직연장부(32a,32b)의 끝에 부착부(31)와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연장부(33a,33b)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요컨대, 서포트 플레이트(30)는 부착부(31)와 수직연장부(32a,32b)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수직연장부(32a,32b)의 끝에 수평연장부(33a,33b)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윈도우 레귤레이터(26)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24)가 회전 운동되면서 슬라이더(23)가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때 윈도우 레귤에이터(28)의 정·역 구동에 따라 도어 글래스(27)가 선택적으로 승·하강된다.
한편, 도어(29)의 외측에 외부의 충격, 예를 들어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면, 이러한 충격을 가이드 레일(22)의 평판부(22a)에 부착된 서포트 플레이트(30)가 흡수하여 완화시키게 된다.
요컨대, 서포트 플레이트(30)는 평판부(22a)의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평판부(22a)가 충격에 의해 급격하게 변형되는 것을 자체적인 강도에 의해 방지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서포트 플레이트(30)는 부착부(31)의 양쪽 끝에 수직연장부(32a,32b)와, 이 수직연장부(32a,32b)의 끝에 형성되는 수평연장부(33a,33b)에 의해 자체적인 강도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22)의 평판부(22a)에 부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30)의해 외부의 충격이 완화되므로, 도어(29)의 전체적인 강도가 보강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실의 승객이 보다 안전하게 보호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의 강도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보강되는 단순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되므로, 도어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보강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실의 승객이 보다 안전하게 보호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이너 패널의 한쪽 면에 브래킷이 장착되고, 상기 브래킷의 한쪽 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도어 글래스가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도록 와이어를 회전 운동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1)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22)의 평판부(22a)에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강도를 보강하는 서포트 플레이트(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0)는 중앙에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평판부(22a)에 용접되는 평판형태의 부착부(31)를 가지며,
    상기 부착부(31)의 양쪽 끝에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연장부(32a,32b)가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장부(32a,32b)의 끝에 상기 부착부(31)와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연장부(33a,33b)가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KR2019970019891U 1997-07-26 1997-07-26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KR200150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91U KR200150271Y1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91U KR200150271Y1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25U KR19990006425U (ko) 1999-02-25
KR200150271Y1 true KR200150271Y1 (ko) 1999-07-01

Family

ID=1950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891U KR200150271Y1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2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4266A1 (de) * 2021-04-06 2022-10-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ensterheber für eine seiten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25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0271Y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KR19990006426U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리프팅장치
CN218805152U (zh) 车身框架和车辆
KR100223041B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CN220220912U (zh) 一种车身总成及车辆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252717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연결구조
KR200374170Y1 (ko) 강성 보완구조를 가진 자동차용 도어모듈패널
KR100298696B1 (ko) 자동차의 레귤레이터
KR100362412B1 (ko) 자동차의 루프 조립체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0127074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61057Y1 (ko) 리어도어용 글래스가이드 브라켓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39761U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터패널 강도 보강구조
KR19980042990U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9980031341A (ko) 차량의 백도어 보강구조
KR19980047981U (ko) 차량의 프론트 필러 결합구조
KR19980041695U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JPH01202520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レール部構造
JPH06156081A (ja) 側部車体構造
KR19980045305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21913U (ko) 도어의 측방 충격 흡수용 보강브래킷
KR19980077707A (ko)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레일 어셈블리
KR19980036926U (ko) 자동차 센터필러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