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744A -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744A
KR20000012744A KR1019990060445A KR19990060445A KR20000012744A KR 20000012744 A KR20000012744 A KR 20000012744A KR 1019990060445 A KR1019990060445 A KR 1019990060445A KR 19990060445 A KR19990060445 A KR 19990060445A KR 20000012744 A KR20000012744 A KR 2000001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cable
drum
window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권영직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직,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권영직
Priority to KR101999006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744A/ko
Publication of KR2000001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4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풀리를 설치하여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시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캐리어플레이트상에 케이블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하여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 소정 높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자동차도어의 내면에 고정·설치되는 소정 형상의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정·역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드럼과; 양쪽 끝단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서 제자리 회동되게 설치되며, 드럼쪽으로부터 가이드레일상의 채널쪽으로 향하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풀리와; 윈도우글래스의 하단 및 케이블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는 캐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마운팅플레이트가 가이드레일상에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줄어들어 자동차도어에 설치시 공간활용도가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케이블이 감겨지는 풀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시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부하가 최소화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증진되며, 케이블장력 보정수단이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 FOR RAISING/LOWERING A WINDOW PANE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방식(Cable-Drum Type)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풀리(Pulley)를 설치하여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시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캐리어플레이트상에 케이블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하여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도어의 아랫부분 내측에는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가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는 그 구동메카니즘에 따라 케이블방식과 아암방식(Arm Type)으로 분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방식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10)는 도어내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4)와,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드럼(16)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의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8)과, 양쪽 끝부분이 상기 드럼(16)의 바깥쪽 둘레면상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20)과,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0)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당김방향쪽으로 이동되면서 윈도우글래스(22)를 승강·개폐시켜주는 캐리어플레이트(2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윈도우레귤레이터(10)에서 상기 구동모터(14)는 자동차내부의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스위칭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드럼(16)은 구동모터(14)의 축과 기계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그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은 적어도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윈도우글래스(22)의 형상에 맞추어 바깥쪽을 향하여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완만하게 만곡(灣曲)진 형태로 구성되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캐리어플레이트(24)의 승강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가이드리브(18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상단부와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각 가이드리브(18a)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Channel : 18b) 내부에서의 케이블(2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안내편(26)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안내편(26)의 일측에는 캐리어플레이트(24)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28)가 일체로 설치된다.
또,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설치된 케이블안내편(26)을 통하여 채널(18b)내측으로 안내되는 케이블(20)에는 캐리어플레이트에 끼워져 걸리는 "T"형 고정편(30)이 삽입된다.
또,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 일측에는 하강완료시 가이드레일(18) 하단의 스토퍼(28)와 접촉될 때의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부재(32)가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드럼(16)쪽으로 향하는 케이블의 양단은 마운팅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케이블홀더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탑승자가 윈도우를 개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작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스위칭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4)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드럼(16)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16)의 외측 둘레면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20)이 가이드레일(18)상의 채널(18b) 내부에서 윗쪽 또는 아랫쪽 당겨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8)상의 가이드리브(18a)에 결합된 캐리어플레이트(24)가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상에 결합된 윈도우글래스(22)가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승강되면서 닫혀지거나 또는 열려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윈도우레귤레이터(10)에서는 케이블(20)상에 캐리어플레이트(2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 및 그 캐리어플레이트에 장착된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동작이 오직 구동모터(14)의 구동력에 따른 케이블(20)의 상하방향 당김힘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동모터(14)에 커다란 부하가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가이드레일(18)과 마운팅플레이트(12)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당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 부피가 커져 자동차도어내에 설치시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가이드레일(18)과 마운팅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드럼(16)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안내편(26)쪽으로 안내되는 케이블(20)이 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곡선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드럼(16)에 인접한 마운팅플레이트(12)상에는 케이블의 텐션력을 유지하기 위한 케이블홀더(34)가 설치됨에 따라 레귤레이터장치를 조립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풀리를 설치하여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시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마운팅플레이트를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키고 캐리어플레이트상에 케이블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하여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방식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마운팅플레이트 14 : 구동모터
16 : 드럼 18 : 가이드레일
24 : 캐리어플레이트 24a : 안착홈
34 : 압축코일스프링 40 : 풀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 소정 높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자동차도어의 내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일체를 이루는 소정 형상의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정·역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드럼과; 양쪽 끝단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서 제자리 회동되게 설치되며, 드럼쪽으로부터 가이드레일상의 채널쪽으로 향하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풀리와; 윈도우글래스의 하단 및 케이블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는 캐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는 소정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에는 케이블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끼워져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높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 가이드레일(18)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 소정 높이에는 정해진 형상을 갖는 마운팅플레이트(12)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에는 자동차 내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역 구동모터(14)가 고정설치되고, 그 마운팅플레이트(12)의 또 다른 일측에는 구동모터(14)의 축과 기계적으로 맞물려 구동되는 드럼(16)이 제자리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은 윈도우글래스(22)의 형상에 따라 바깥쪽을 향하여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완만하게 굽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 양쪽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가이드리브(18a)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가이드리브(18a) 사이에는 그 높이에 해당되는 깊이의 채널(18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상단과 하단 일측에는 풀리(40)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풀리(40)에는 드럼(16)으로부터 가이드레일(18)상의 채널(18b)쪽으로 안내되는 케이블(20)이 감겨진다.
상기 케이블의 양끝단은 드럼(16)의 외주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설치되어 그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8)의 바깥쪽에는 윈도우글래스(22)가 고정결합되는 캐리어플레이트(24)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게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 소정 위치에는 일정한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케이블이 항상 균일한 텐션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압축코일스프링(34)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윈도우글래스(22)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 작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정해진 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구동모터(14)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드럼(16)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케이블(20)이 드럼(16)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이와 같이 케이블(20)이 드럼(16)에 감겨지는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풀리(40)가 회전되면서 캐리어플레이트(24)가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미끄럼이동되어 윈도우글래스(22)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과정에서 케이블(20)은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 장착된 압축코일스프링(34)내에서 압축 및 이완되면서 그 텐션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마운팅플레이트가 가이드레일상에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콤팩트화되어 자동차도어에 설치시 공간활용도가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케이블이 감겨지는 풀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시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부하가 최소화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증진되며, 케이블장력보정수단이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일측면 소정 높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자동차도어의 내면에 고정·설치되는 소정 형상의 마운팅플레이트(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정·역 구동모터(14)와;
    상기 구동모터(14)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드럼(16)과;
    양쪽 끝단이 상기 드럼(16)의 외주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20)과;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상단과 하단에서 제자리 회동되게 설치되며, 드럼(16)쪽으로부터 가이드레일(18)상의 채널(18b)쪽으로 향하는 케이블(20)을 안내하는 풀리(40)와;
    윈도우글래스(22)의 하단 및 케이블(20)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는 캐리어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는 소정 형상의 안착홈(24a)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24a)에는 케이블(20)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압축코일스프링(34)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19990060445A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20000012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45A KR20000012744A (ko)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45A KR20000012744A (ko)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44A true KR20000012744A (ko) 2000-03-06

Family

ID=1962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445A KR20000012744A (ko)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7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18B1 (ko) * 2007-11-08 2009-01-14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개폐장치
KR20160139483A (ko) * 2015-05-27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18B1 (ko) * 2007-11-08 2009-01-14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개폐장치
KR20160139483A (ko) * 2015-05-27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580A (en)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US5623785A (en) Window regulator with torsion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US20070199246A1 (en) Window regulator cable drum
CA2164001A1 (en) Cable pull window winder
US5782038A (en) Window regulator
KR20000012744A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20080052738A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10199177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110012553A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KR20200073649A (ko) 차량의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KR20060006406A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0188995Y1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KR100400812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520757B1 (ko) 볼베어링을 구비한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구동장치
KR20000012749A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케이블텐션유지장치
KR100844659B1 (ko) 리니어모터를 적용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37311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KR100212750B1 (ko) 차량용 도어 글래스 레귤레이터
KR200153924Y1 (ko)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KR102417505B1 (ko) 차량 도어 글래스의 글래스 런
KR101261558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KR100419512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9990029626U (ko) 와이어식 파워 윈도우 개폐장치의 구동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