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924Y1 -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924Y1
KR200153924Y1 KR2019960050253U KR19960050253U KR200153924Y1 KR 200153924 Y1 KR200153924 Y1 KR 200153924Y1 KR 2019960050253 U KR2019960050253 U KR 2019960050253U KR 19960050253 U KR19960050253 U KR 19960050253U KR 200153924 Y1 KR200153924 Y1 KR 200153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bar
trunk lid
tension
trun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235U (ko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92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렁크 리드가 열리기 쉽도록 토션바의 양측 끝단부에 탄지스프링을 사이트패널에 고정설치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연결하여 토션바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인바, 종래에는 토션바가 리어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하향되어 설치되는 토션바 지지구에 단순히 걸쳐지는 구조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연결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토션바는 단순히 한쌍의 강봉이 교차되어 일측단부는 차체에 일측단부는 상기 토션바 지지구에 결합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에 의한 탄성이 저하되어 트렁크 리드의 열림량이 적게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를 완전 개방된 상태까지 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트렁크 리드를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토션바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렁크 리드가 열리기 쉽도록 토션바의 양측 끝단부에 탄지스프링을 사이트패널에 고정 설치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연결하여 토션바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트렁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는 운전자가 운행에 필요한 각종 정비기구들을 비롯하여 타이어 펑크에 대비한 보조 타이어 및 기타 운반을 요하는 물건들을 수납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트렁크를 여닫는 일은 자동차를 이용한 생활중의 일상적인 생활이라 할 수 있다. 자동차를 업무에 활용하는 사람에게는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단순한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도 트렁크를 여닫는 일은 자주 행해야 하는 작업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자동차의 트렁크는 트렁크 룸과 트렁크 리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뚜껑을 트렁크 리드라고 한다. 이 트렁크 리드의 열림방향은 상1W하방향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트렁크 리드가 비교적 중량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량물인 트렁크 리드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트렁크 리드의 열림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탄성력을 가하는 수단으로는 제일 많이 적용되는 토션바 및 인장 스프링, 공기 스프링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토션바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설치 및 작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일 많이 적용되며 이러한 토션바는 한쌍의 강봉을 교차시켜 일측의 단부는 차체에 타단부분 트렁크 리드에 연결결합하며, 토션바는 닫힌 상태에서 비틀려져 탄성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 비축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열리게 된다.
종래에는 토션바가 리어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하향되어 설치되는 토션바 지지구에 단순히 걸쳐지는 구조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연결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토션바는 단순히 한쌍의 강봉이 교차되어 일측단부는 차체에 일측단부는 상기 토션바 지지구에 결합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에 의한 탄성이 저하되어 트렁크 리드의 열림량이 적게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를 완전 개방된 상태까지 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렁크 리드를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토션바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션바가 리어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하향되어 설치되는 토션바 지지구에 단순히 걸쳐지는 구조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연결결합되는 구조로된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스프링과, 트렁크 내측의 사이드패널에 고정 설치된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며 전·후진시 가이드를 하는 브라켓과, 상기 정·역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토션바 장력 조절장치의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션바 장력 조절장치2 : 정·역모터
2a : 회전축3 : 탄지스프링
4 : 이송부재4a : 이송홈
4b, 5a : 기어4c : 고정공
5 : 조절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전동식 토션바 장력 조절장치(1)는 토션바(100)가 리어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200)의 저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하향되어 설치되는 토션바 지지구(300)에 단순히 걸쳐지는 구조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트렁크 리드(400)에 연결결합되는 구조로된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100)의 양측 끝단부(110)에 연결된 스프링(3)이 트렁크 내측의 사이드패널(10)에 고정설치된 정·역모터(2)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부재(4)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트렁크 내측의 사이드패널(10)에 고정 설치되어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정·역모터(2)의 회전축(2a)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조절부재(5)의 외주면에는 기어(5a)가 형성되며, 이 조절부재(5)가 중앙으로 일정깊이를 갖으며 내측으로 기어(4b)가 구비된 이송홈(4a)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고정공(4c)을 형성하여 토션바에 일측이 고정된 스프링(3)이 연결된 이송부재(4)의 이송홈(4a)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4)와 조절부재(5)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작동중에 이송부재(4)가 유동되지 않도록 브라켓(6)의 슬라이드홈(6a)에 삽설되어 전·후 이동시 이송부재(4)의 가이드홈(4c)에 끼워진 브라켓(6)의 가이드편(6b)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기어(4b,5a)를 나선으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1)의 작동은 운전자가 스위칭수단을 작동하면 정·역모터(2)가 구동하여 조절부재(5)를 회전 시키면 상기 조절부재(5)는 이송부재(4)의 이송홈(4a)에 형성된 기어(4b)의 치합에 의하여 이송부재(4)를 전진 시킨다.
한편, 사이드패널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6)에 삽착되어 설치된 이송부재(4)가 슬라이드홈(6a)에서 슬라이딩되어 이송되며, 이때 이송부재(4)는 가이드편(6b)에 의하여 가이드됨과 동시에 이송시 흔들림 및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이송부재(4)의 고정공(4c)에 연결된 스프링(3)의 탄성력이 모터(2)의 정회전시 이완되면서 토션바(100)의 장력을 느슨하게하며 반대로 정·역모터(2)를 역회전 시키면 조절부재(5)가 역회전하여 이송부재(4)를 후진 시키다.
즉, 모터(2)의 역회전으로 인하여 조절부재(5)도 역회전되어 이송홈(4a)에 형성된 기어(4b)가 조절부재(5)의 기어(5a)를 따라 후진되어 스프링(3)을 잡아당기므로 토션바도 당겨져 장력이 조절되어 트렁크도어의 열림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하는 본 고안의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는 트렁크 리드가 열리기 쉽도록 토션바의 양측 끝단부에 스프링을 사이트패널에 고정설치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연결하여 토션바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트렁크 리드를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과 토션바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토션바의 일단부가 리어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하향되어 설치되는 토션바 지지구에 단순히 걸쳐지는 구조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연결결합되는 구조로된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스프링(3)과,
    트렁크 내측의 사이드패널에 고정 설치된 정·역모터(2)와,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축(2a)에 설치되어 외주면에 기어(5a)를 형성한 조절부재(5)와,
    상기 조절부재(5)가 삽입되는 이송홈(4a)을 형성하되 내측에는 기어(4b)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끝단에는 스프링(3)이 연결 설치되는 고정공(4c)을 형성한 이송부재(4)와,
    상기 조절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전·후진시 가이드를 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정·역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장치.
KR2019960050253U 1996-12-17 1996-12-17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KR200153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53U KR200153924Y1 (ko) 1996-12-17 1996-12-17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53U KR200153924Y1 (ko) 1996-12-17 1996-12-17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35U KR19980037235U (ko) 1998-09-15
KR200153924Y1 true KR200153924Y1 (ko) 1999-08-02

Family

ID=1947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253U KR200153924Y1 (ko) 1996-12-17 1996-12-17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9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676B1 (ko) * 2014-09-19 2015-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리드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35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228B2 (en) Method of operating a power closure panel
US7328934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RE36428E (en) Automotive vehicle body with powered sliding side door
JP200118027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CA2364940A1 (en) Drive mechanism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closure panel manually or automatically
KR200153924Y1 (ko)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US6061963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US6637803B2 (en) Motor vehicle door drive mechanism, with corresponding door, carriage and vehicle
KR200153925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CN220067129U (zh) 一种车用直升款窗帘驱动装置的传动组件
JPH0538225Y2 (ko)
KR100191034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KR19980037234U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KR100230923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글래스지지대의 구조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JPH075189Y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0135991B1 (ko) 해치 백 타입에 사용되는 자동차의 셀프트림(shelf trim)
KR100387686B1 (ko) 차량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KR200142063Y1 (ko) 자동차의 이중 리프트암 작동형 윈도우 리프터
KR20000012744A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JP2023553684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駆動装置
JP2022130801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H0567515U (ja) ウインド昇降装置
JPH092062A (ja) サイドウィンドの開閉機構
KR20040051755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트림의 자동 열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