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719B1 -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719B1
KR100862719B1 KR1020070056061A KR20070056061A KR100862719B1 KR 100862719 B1 KR100862719 B1 KR 100862719B1 KR 1020070056061 A KR1020070056061 A KR 1020070056061A KR 20070056061 A KR20070056061 A KR 20070056061A KR 100862719 B1 KR100862719 B1 KR 10086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der member
unit
pin memb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5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동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구동부; 상하방향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드럼,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튜브;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튜브와 접촉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상기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장력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유닛에는 상기 핀부재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핀부재가 후퇴하는 것은 방지하는 후퇴방지수단이 마련된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장력유지수단, 핀부재, 탄성체, 홀더부재, 래칫

Description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Wire-type windows lift apparatus for ca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중요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6는 도 5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2홀더부재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장력유지유닛의 주요부분이 결합된 모습의 평면도.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10... 구동부 111...드럼
112... 구동수단 120...가이드부
130... 와이어 140...튜브
150... 장력유지수단 160...홀더부재
161... 제1홀더부재 162...수용공
163... 걸림부 164... 제2홀더부재
165... 걸림턱 170... 핀부재
180... 탄성체 190... 후퇴방지수단
191... 래칫부 192... 폴부
본 발명은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부재가 일방향으로만 이동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후퇴하지 않는 후퇴방지수단이 마련된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자동차의 도어내부에 설치되어 윈도우를 걔폐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특이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그 와이어와 결합된 윈도우가 승강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98-046068호에는 이러한 와이어식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 가이드부(20), 와이어(30), 튜브(40), 장력유지유닛(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0)는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11)과 상기 드럼(11)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0)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부롤(21)과 하부롤(22)이 마련된다.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드럼(11), 상부롤(21), 하부롤(22)에 감아걸려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30)에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30)의 이동에 따라 상하이동된다.
상기 튜브(40)는 상기 구동부(10)와 상기 가이드부(20)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30)를 둘러싸는 것이다.
장력유지유닛(50)은 상기 와이어(30)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튜브(40)를 구동부(10)로부터 가이드부(20)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튜브(40)의 내부에 마련된 와이어(30)가 항상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장력유지유닛(50)은 홀더부재(60), 핀부재(70), 탄성체(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부재(60)는 상기 구동부(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핀부재(70)는 일측이 튜브(40)와 접촉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핀부재(70)를 상기 홀더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사용자가 윈도우를 원하는 위치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먼저 도어에 마련된 윈도우 승강버튼(미도시)을 조작하면, 승강버튼의 조작체에 따라 구동수단(20)이 동 작하여 드럼(1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드럼(11)의 회전에 따라 그 드럼(11)에 감아걸려있는 와이어(30)가 드럼(11) - 상부롤(21) - 하부롤(22) -드럼(11) 순으로 괘도회전을 수행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괘도회전을 한다. 이러한 괘도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30)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의 윈도우는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때 상기 윈도우는 가이드부(20)의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레귤레이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30)가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30)가 늘어나면 와이어(30)의 장력이 감소하여 와이어(30)가 드럼(11)에 제대로 감기지 않아 윈도우가 제대로 승강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장치에서는 장력유지유닛(50)을 마련하였다. 장력유지유닛(50)에서 튜브(40)와 접촉하고 있는 핀부재(7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80)에 의하여 밀려서 튜브(40)를 가이드부(2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러면 이에 따라 튜브(40)가 활처럼 휘어지면서 구동부(10)와 가이드부(20) 사이의 와이어 이동경로를 길어지게 한다. 와이어 이동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그 사이에 느슨하게 되어있던 와이어(30)는 어느정도 장력이 보상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장력유지유닛(50)은 드럼(1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되어, 와이어(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수축과 신장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력유지유닛을 가진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 장착되는 레귤레이터에는 윈도우와 윈도우 프레임사이에 승객의 손이나 기타 신체가 끼어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세이프티 제어 유닛(미도시)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세이프티 제어 유닛은 상승하는 윈도우에 사람의 손이 끼어 모터등의 구동수단(2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구동수단(2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윈도우가 하강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력유지유닛(50)을 가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이러한 세이프티 제어 유닛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도 2에서 장력유지유닛(50)은 드럼(11)의 상측과 하측에 2개 마련되어 있는데, 와이어(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측에 마련된 장력유지유닛(50)의 탄성체(80)는 신장하고 하측에 마련된 장력유지유닛(50)의 탄성체(80)는 수축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장력유지유닛(50)의 탄성체(80)는 그 반대로 신장 도는 수축하게 된다.
한편,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던 와이어(30)가 그 이동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전환되면, 상측에 신장되어 있던 장력유지 유닛의 탄성체(80)는 신장상태에 있다가 수축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함께 이와 함께 핀부재(70)는 신속하게 드럼방향으로 이동한다. 드럼방향으로 이동되는 핀부재(70)는 탄성체(80)를 최대한으로 압축시킴과 동시에 탄성체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은 그대로 구동부(10)를 통하여 세이프티 제어 유닛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세이프티 제어 유닛은 이를 윈도우에 사람의 손이 끼인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수단 구동수단(2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오동작은 와이어(30)의 회전방향의 변경될 때마다 발생하게 되어 원할한 윈도우 승강을 방해한다.
한편, 이러한 현상은 와이어(30)의 회전방향이 변경될 때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윈도우의 승강을 위하여 승강버튼을 조작하는 초기상태에서도 발생한다. 즉, 드럼(11)의 상측과 하측에서 일정한 신장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장력유지 유닛의 탄성체(80)는 사용자가 윈도우의 승강을 위하여 스위치를 조작하여 정지되어 있던 와이어(3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핀부재(70)는 탄성체(80)를 가압하면서 탄성체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고, 이 충격은 구동부(10)를 통하여 세이프티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30)의 회전변경 또는 초기 윈도우 승강동작시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이프티 제어 유닛은 와이어(30)의 회전변경 또는 윈도우 초기 조작시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세이프티 제어 유닛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오동작을 방지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이프티 제어 유닛의 동작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은 신속한 세이프티 반응을 방해한다. 즉, 운전석에 않아 있는 운전자가 후방시트에 앉아있는 사람의 손이 윈도우에 끼여있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윈도우를 상승시키는 경우 세이프티 제어 유닛은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아이의 손이 창틀에 끼여 다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윈도우가 거의 닫혀있는 상태에서 아이가 윈도우의 상단에 손을 올려놓았을 때 문제가 될 것이다. 한편 윈도우가 상승할 때 그 상승속도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세이프티 제어 유닛의 동작을 지연시킨 그 소정의 시간동안 윈도우는 상당한 정도로 올라가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최근 유럽등 외국에서는 세이프티 제어 유닛의 동작 지연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종래의 장력유지 유닛에서는 동작 지연시간을 줄이는 데는 그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세이프티 제어 유닛의 동작 지연시간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구동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드럼, 상기 하부롤,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튜브;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튜브와 접촉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상기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장력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유닛에는 상기 핀부재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핀부재가 후퇴하는 것은 방지하는 후퇴방 지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후퇴방지수단은, 상기 홀더부재에 마련되는 폴부와, 상기 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폴부에 걸렸을 때 상기 핀부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는 제1홀더부재와, 상기 폴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을 통하여 상기 제1홀더부재에 삽입되는 제2홀더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제1홀더부재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홀더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렸을 때 상기 제2홀더부재가 상기 제1홀더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중요부분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6는 도 5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2홀더부재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장력유지유닛의 주요부분이 결합된 모습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100)는 구동부(10), 가이드부(20), 와이어(30), 튜브(40), 장력유지유닛(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 가이드부, 와이어, 튜브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장력유지유닛(150)은 홀더부재(160), 핀부재(170), 탄성체(180), 후퇴방지수단(1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부재(160)는 상기 구동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홀더부재(161)와 제2홀더부재(164)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홀더부재(161)는 와이어(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수용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홀더부재(161)에는 걸림부(163)가 마련된다.
상기 제2홀더부재(164)는 상기 수용공(162)를 통하여 제1홀더부재(161)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홀더부재(164)에는 상기 제2홀더부재(164)가 상기 제1홀더부재(16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부(163)에 걸리는 걸림턱(165)이 마련된다. 제2홀더부재(164)가 제1홀더부재(161)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63)가 걸림턱(165)에 걸렸을 때 상기 제2홀더부재(164)는 상기 제1홀더부재(161)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2홀더부재(164)에는 후술할 폴부(192)가 마련된다.
상기 핀부재(170)는 상기 머리부(171)와 몸통부(172)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171)는 상기 튜브(4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머리부(171)는 튜브(40)와 접촉하여 상기 튜브(40)가 드럼방향으로 이 동하는 것은 방지하고, 그 튜브(40) 내의 와이어(30)만 관통시키게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171)의 외경은 후술할 탄성체(180)의 외경보다 커서 와이어(30)가 몸체부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통부(172)는 상기 머리부(171)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써, 상기 홀더부재(160)에 삽입된다. 상기 몸통부(172)의 외주면에 후술할 래칫부(191)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체(180)는 상기 홀더부재(160)와 상기 핀부재(170)의 머리부(171)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이다. 상기 탄성체(180)는 핀부재(170)가 상기 홀더부재(1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핀부재(170)를 상기 홀더부재(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이다.
상기 후퇴방지수단(190)은, 래칫부(191)와 폴부(192)로 구성된다.
상기 래칫부(191)는 상기 핀부재(17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단면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삼각형의 단면을 가진 복수의 기어치(191a)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머리부(171)를 향하는 면이 경사지고, 그 반대면은 몸체부의 중심축에 대해서 수직이다. 다만, 상기 기어치의(191a) 단면은 반드시 직삼각형일 필요는 없고 단면의 일면이 경사지고 그 반대면이 몸체부의 중심축에 대해서 수직 또는 그와 유사한 각도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폴부(192)는 상기 래칫부(191)를 향하여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홀더부재(160)에 마련된다. 상기 폴부(192)에는 상기 복수의 기어치(191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기어치(192a)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핀부재(170)가 홀더부재(160)에 삽입될 때 상기 폴부(192)는 상기 래칫부(191)에 걸려서 상기 구동부(10)로부터 가이드부(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은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40)를 핀부재(170)의 머리부(171)에 접촉하도록 하고, 튜브(40) 내의 와이어(30)는 핀부재(170), 탄성체(180), 홀더부재(160)를 관통하도록 한다. 이후, 탄성체(180)을 핀부재(170)의 몸통부(172)에 끼워넣는다. 그 후 상기 핀부재(170)의 몸통부(172)를 구동부(10)에 고정되어 있는 제1홀더부재(161)에 삽입한다. 핀부재(170)의 몸통부(172)가 제1홀더부재(161)의 적당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제1홀더부재(161)의 수용공(162)을 통하여 제2홀더부재(164)를 삽입한다. 삽입시, 제2홀더부재(164)의 걸림턱(165)이 제1홀더부재(161)의 걸림부(163)에 걸려 삽입된 제2홀더부재(164)가 제1홀더부재(16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홀더부재(164)는 상기 제1홀더부재(161)에 삽입되었을 때, 그 제2홀더부재(164)에 마련된 폴부(192)가 핀부재(170)에 마련된 래칫부(191)에 걸리도록 한다.
설치작업이 마쳐진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100)가 장시간 작동을 하게 되면, 와이어(30)가 늘어나서 장력이 감소된다. 이후 와이어(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체(180)는 핀부재(170)를 상기 홀더부재(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상기 폴부(192)와 래칫부(191)로 이루어진 폴 부(192)는 상기 핀부재(170)가 드럼(11)으로부터 가이드부(20)방향(도 8에서 A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므로, 상기 핀부재(170)는 구동부(10)로부터 가이드부(20)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부재(170)가 구동부(10)로부터 가이드부(20)방향으로 이동시 기어치의 한 피치만큼 래칫부(191)가 폴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30)가 반대방향(도 8에서 B방향)으로 회전하여 핀부재(170)를 홀더부재(160) 쪽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핀부재(170)는 후퇴방지수단(190)에 의하여 후퇴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핀부재(170)가 후퇴하여 탄성체(180)에 충격을 가하는 일이 없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와이어(30)의 진행방향이 변경되거나, 또는 초기 구동시 핀부재(70)가 탄성체(80)에 부딪쳐 충격을 가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충격으로 인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100)의 초기 구동시 또는 승하강 변경시 소정시간동안 세이프티 제어 유닛이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후퇴방지수단(190)에 의하여 핀부재(170)가 탄성체(180)에 충격을 가하는 일이 없으므로 세이프티 제어 유닛이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을 멈추도록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윈도우 레귤레이터(100)가 동작하는 어느 순간에도 상기 세이프티 제어 유닛이 동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 윈도우의 상승에 의하여 상해를 입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100)는 제1홀더부재(161)와 제2홀더부재(164)의 결합이 용이하다. 즉, 상기 제2홀더부재(164)는 제1홀더부재(161) 의 수용공(162)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제2홀더부재(164)를 상기 제2홀더부재(164)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제2홀더부재(164)는 걸림턱(165)과 걸림부(163)의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제1홀더부재(161)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래칫부(191)에 걸리는 폴부(192)가 마모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턱(165)과 걸림부(163)를 걸림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제2홀더부재(164)를 제1홀더부재(161)로부터 빼내고, 그 후에 새로운 제2홀더부재(164)를 제1홀더부재(161)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유닛(150)은 드럼(11)의 상측 또는 하측 중에서 어느 한 쪽에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장력유지유닛(150)에서 핀부재(170)는 와이어(30)의 이동방향이 시계방향이든 반시계방향이든지 상관없이 일정하게 와이어(30)의 장력을 유지시켜 준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와이어(30)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서 드럼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한 탄성체(80)가 각각 신장 또는 압축을 하여 균형을 맞추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30)의 이동방향과는 무관하게 탄성체(180)가 항상 일정한 정도로 신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30)에 균일한 탄성력을 제공합니다. 물론, 2개의 장력유지유닛(150)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100)는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먼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홀더부재(161)의 수용공(162)이 와이어(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하였으나, 와이어(30)의 길이방향 과 평행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홀더부재(160)가 제1홀더부재(161)와 제2홀더부재(164)로 구분되었으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홀더부재(161)와 제2홀더부재(164)의 결합을 위하여 걸림턱(165)과 걸림부(163)를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걸림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홀더부재(161)와 제2홀더부재(164)를 간편하게 볼트로 조이는 곳도 고려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핀부재가 후퇴방지수단에 의하여 탄성체에 충격을 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세이프티 제어 유닛의 동작 지연시간을 거의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수단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구동부; 상하방향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드럼,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20)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튜브;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튜브와 접촉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상기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장력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유닛에는 상기 핀부재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핀부재가 후퇴하는 것은 방지하는 후퇴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방지수단은,
    상기 핀부재에 마련되는 래칫부와,
    상기 홀더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폴부에 걸렸을 때 상기 핀부가 상기 구동부 로부터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는 제1홀더부재와,
    상기 폴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을 통하여 상기 제1홀더부재에 삽입되는 제2홀더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재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홀더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렸을 때 상기 제2홀더부재가 상기 제1홀더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20070056061A 2007-06-08 2007-06-08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86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61A KR100862719B1 (ko) 2007-06-08 2007-06-08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61A KR100862719B1 (ko) 2007-06-08 2007-06-08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719B1 true KR100862719B1 (ko) 2008-10-10

Family

ID=4015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061A KR100862719B1 (ko) 2007-06-08 2007-06-08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619B1 (ko) 2011-03-23 2012-08-23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759A (ja) * 1995-05-24 1996-12-03 Isuzu Motors Ltd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ワイヤ弛み防止装置
JPH10299335A (ja) 1997-04-24 1998-11-10 Shiroki Corp ワイヤたるみ取り機構及び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2003097537A (ja) 2001-09-21 2003-04-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ワイヤーケーブルのテンション機構の初期テンション設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5083171A (ja) 2003-09-11 2005-03-31 Mitsuba Corp 車両用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759A (ja) * 1995-05-24 1996-12-03 Isuzu Motors Ltd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ワイヤ弛み防止装置
JPH10299335A (ja) 1997-04-24 1998-11-10 Shiroki Corp ワイヤたるみ取り機構及び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2003097537A (ja) 2001-09-21 2003-04-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ワイヤーケーブルのテンション機構の初期テンション設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5083171A (ja) 2003-09-11 2005-03-31 Mitsuba Corp 車両用開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619B1 (ko) 2011-03-23 2012-08-23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039B2 (en) Window blind driven by a window lifter
US5950365A (en) Motor-driven window lifter with electronic entrapment protection for a motor vehicle
KR20010078792A (ko)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US20080034667A1 (en) Manual window blind with automatic retraction
US10399537B2 (en) Adjusting device for a safety belt with an extendable belt guiding element
JP200118027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EP2038199B1 (en) Elevator with a closable opening in a car sill
KR20060110815A (ko)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JP2001507418A (ja) 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ケーブル式窓リフタ
MXPA00002831A (es) Porton levadizo con hoja flexible.
KR100862719B1 (ko)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N107995897B (zh) 用于机动车窗的遮蔽装置
WO2005120872A1 (en) Emergency lowering device for a vehicle window
CN202831979U (zh) 带安全控制机构的玻璃升降器
CN108327956B (zh) 手提捆扎机的带子限位机构
JP4082455B2 (ja) 昇降式のヘッドレスト
JPH0411184A (ja) 建設機械用キャビンのフロントウインド開閉装置
JP2005232693A (ja) 電動式シャッタの落下防止装置
CN111206844A (zh) 滑轮型汽车尾门抬升装置
JP4108508B2 (ja) 小荷物専用昇降機のドアー装置
KR100516696B1 (ko) 슬라이드 도어의 글라스 안전 장치
ITTO940236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finestrini elettrici di autoveicoli
JP4440707B2 (ja) 中間ストッパ機構を備えたスライドドア
JP2007509798A (ja) 自動車両のフロントフードをアクティブに上昇することによって自動車両との前面衝突の際に人を保護する装置
KR20220051260A (ko) 보호 후드용 구동 장치 및 보호 후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