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619B1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619B1
KR101176619B1 KR1020110025886A KR20110025886A KR101176619B1 KR 101176619 B1 KR101176619 B1 KR 101176619B1 KR 1020110025886 A KR1020110025886 A KR 1020110025886A KR 20110025886 A KR20110025886 A KR 20110025886A KR 101176619 B1 KR101176619 B1 KR 101176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holder
pin member
wire
window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2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구동부; 상하방향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드럼,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튜브; 및 상기 튜브와 접촉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함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핀부재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핀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핀부재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홀더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장력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핀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재에는 상기 캠부재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회전은 제한하는 일방향회전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핀부재가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며 캠부재에 의하여 그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이다.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자동차의 도어내부에 설치되어 윈도우를 걔폐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특이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그 와이어와 결합된 윈도우가 승강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98-046068호에는 이러한 와이어식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0) 상부에서 코킹(caulking)된 드럼 커버(32)에 내장된 드럼(34)이 회전하고, 상기 드럼(34)에 감겨진 어퍼 와이어(36), 로워 와이어(36')의 움직임에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38)가 찬넬(40)의 내면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함에 의하여 도어 글래스가 여닫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좌우 일측부에 취부되는 와이어 홀더(42)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스프링(44)과, 상기 스프링(44)에 그 선단부가 삽입되는 부시(bush)(46)와, 상기 부시(46)의 후미부와 접촉되는 튜브(tube)(48)가 내장되고 상기 튜브(48) 및 부시(46), 스프링(44) 그리고 와이어 홀더(42)를 관통하여 어퍼와이어(36), 로워와이어(36')가 지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파워식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튜브(48)의 외경에 압착되는 외장형부시(50)를 형성하되, 상기 외장형부시(50)는 측면에서 보아 'T'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기 튜브(48)가 관통되도록 내부에 소정 직경의 관통공(50a)이 형성되며, 몸통부 외면에는 소정 넓이에 걸쳐 코일스프링(60)이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튜브의 외경에 압착되는 외장형부시 및 상기 외장형부시의 외면에 감겨지는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와이어 홀더와 튜브사이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서 와이어의 장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그 코일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일정정도 와이어의 장력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코일스프링이 다시 수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단 코일스프링이 늘어난 경우에는 다시 코일스프링이 수축하지 않도록 후퇴방지수단을 부가한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등록특허 제0862719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수단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구동부; 상하방향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드럼,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20)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튜브;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튜브와 접촉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상기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장력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유닛에는 상기 핀부재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핀부재가 후퇴하는 것은 방지하는 후퇴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일단 탄성체의 신장에 의하여 장력이 일정정도 유지된 후에는 후퇴방지수단이 그 핀부재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퇴방지수단은, 상기 핀부재에 마련되는 래칫부와, 상기 홀더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래칫부재에 걸렸을 때 상기 핀부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가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부로 구성되어 있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홀더부재에 마련된 래칫부재가 작동과정에서 쉽게 부러져버릴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단 폴부가 홀더부재로부터 부러져버리는 경우에는 신장되었던 코일스프링이 원래위치로 복귀하게 되겨 이는 작업자가 다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새로운 홀더부재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 일방향으로 이동된 핀부재는 쉽게 후퇴하지 않음과 동시에 파손의 염려가 적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구동부; 상하방향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드럼,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튜브; 및 상기 튜브와 접촉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함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핀부재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핀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핀부재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홀더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장력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핀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재에는 상기 캠부재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회전은 제한하는 일방향회전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핀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형태로 감기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핀부재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핀부재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단부에는 대략 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안내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방향회전수단은,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캠부재의 안내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되,
상기 캠부재는 그 안내돌기가 상기 일방향회전수단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캠부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캠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홀더부재의 단부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홀더부재의 걸림턱에 걸림에 따라서 상기 그 홀더부재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걸림부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홀더부재에는 상기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롯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홀더부재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캠부재 및 그 캠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구속하는 일방향회전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핀부재의 반대방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구성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주요부분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4에 개시된 주요부분의 부품별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구동부, 가이드부, 와이어, 튜브, 장력유지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방향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드럼,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으로서 얇은 금속소재의 선이 꼬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 가이드부, 와이어 및 튜브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력유지유닛(10)은 핀부재(20), 홀더부재(30), 탄성체(40), 캠부재(50) 및 일방향회전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핀부재(20)는, 상기 튜브(71)와 접촉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70)의 장력이 변화함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지지부(21)와, 나선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지지부(21)는, 중앙에 튜브(71)가 끼워져 삽입되는 삽입부(21a)가 배치되며 그 삽입부(21a)의 외측에는 상기 홀더부재(30)에 끼워지기 위한 안착부(21b)가 마련된다. 이러한 안착부(21b)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21b)에는 다단의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턱에 의하여 상기 홀더부재(30)에 쉽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21b)에는 상기 탄성체(4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부(21b)의 최대외경은 탄성체(40)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부(2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내경은 적어도 와이어(70)의 직경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선부(22)의 외주면에는 나선형태로 감기는 나사산(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22a)에는 캠부재(5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핀부재(20)는 삽입부(21a)에 튜브(71)가 억지끼움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70)와 함께 이동하는 튜브(71)에 의하여 와이어(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홀더부재(30)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핀부재(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핀부재(2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홀더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 측에 설치되는 홀더고정부(31)와 캠부재(50) 및 핀부재(20)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고정부(31)에는 그 중앙에 상기 핀부재(20)의 나선부(22)가 삽입되는 원통형태의 안내부(31a) 및 상기 안내부(31a)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구동부에 결합되는 고정걸림부(53)(31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고정부(31)에는 탄성체(40)의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고정부(31)의 최대외경이 상기 탄성체(40)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32)는 상기 홀더고정부(3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캠부재(50)가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캠부재(50)와 대략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수용부(32)는 전체적으로 통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내주면에는 대략 직각삼형태의 일방향회전수단(6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32)의 단부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32a)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32)에는 그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롯(32b)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슬롯(32b)은 상기 수용부(32)의 걸림턱(32a)이 캠부재(50)의 삽입에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40)는, 상기 핀부재(20)를 상기 홀더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홀더부재(3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의 단부가 홀더부재(30) 및 핀부재(2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체(40)의 일단은 상기 홀더부재(30)의 튜브지지부(21)와 접촉하고, 상기 탄성체(40)의 타단은 상기 홀더고정부(31)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체(40)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이 있는 것이라면 탄력성 있는 고무 등 다양한 것이 사용가능한다.
상기 캠부재(50)는, 상기 홀더부재(30)와 상기 핀부재(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핀부재(20)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캠부재(50)는, 핀부재(20)의 와이어(70) 길이방향 직선운동에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캠부재(50)의 내주면에는 핀부재(20)의 나사산(22a)과 대응되는 암나사산(51)이 형성된다. 이러한 캠부재(5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단부에는 대략 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안내돌기(52)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캠부재(50)는 안내돌기(52)가 일방향회전수단(60)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캠부재(50)가 상기 일방향회전수단(60)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서 회전하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와이어(70)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인 면에 맞닿으면서 회전이 구속된다.
이러한 캠부재(50)에는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홀더부재(30)의 걸림턱(32a)에 걸림에 따라서 그 홀더부재(3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걸림부(53)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캠부재(50)의 걸림부(53)는 상기 홀더부재(30)의 걸림턱(32a)에 의하여 일단 삽입된 후에는 홀더부재(3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일방향회전수단(60)은, 상기 캠부재(50)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회전은 제안하는 것으로서, 홀더부재(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캠부재(50)의 안내돌기(5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캠부재(50)의 안내돌기(52)와 대응되도록 대략 직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캠부재(5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또는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어 배치된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와이어(70)의 장력이 약화된 경우에는 탄성체(40)가 팽창되면서 상기 홀더부재(30)로부터 핀부재(20)가 멀어지도록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핀부재(20)는 와이어(70)의 길이방향(도 5에서 하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 내부에 배치된 캠부재(50)는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부재(20)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캠부재(50)는 상기 핀부재(20)의 직선이동에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때에는 일방향회전수단(60)의 면과 면접촉되어 있는 캠부재(50)의 안내돌기(52)가 상기 일방향회전수단(60)의 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캠부재(5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이 완료된 후에 드럼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튜브(71)가 일시적으로 압축되면서 핀부재(20)를 도 5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측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핀부재(20)는 상기 캠부재(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캠부재(50)는 일방향회전수단(60)에 의하여 그 회전이 구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돌기(52)의 수직한 면에 상기 일방향회전수단(60)의 수직한 면이 접촉하면서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캠부재(50)의 회전이 억제되면 상기 캠부재(50)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핀부재(20)의 직선이동도 구속되어 상기 핀부재(2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핀부재(20)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일방향회전수단(60)은 면접촉하면서 캠부재(50)와 접촉하게 되고 쉽게 파손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작동과정에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장력유지유닛 20...핀부재
21...튜브지지부 21a...삽입부
21b...안착부 22...나선부
22a...나사산 30...홀더부재
31...홀더고정부 31a...안내부
31b..고정걸림부 32...수용부
32a...걸림턱 32b...슬롯
40...탄성체 50...캠부재
51...암나사산 52...안내돌기
53...걸림부 60...일방향회전수단
70...와이어 71...튜브

Claims (6)

  1.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구동부; 상하방향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이 마련되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드럼,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에 감아걸리며,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그 도어의 내부에서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튜브; 및 상기 튜브와 접촉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함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핀부재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핀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핀부재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홀더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장력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핀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재에는 상기 캠부재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회전은 제한하는 일방향회전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형태로 감기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핀부재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핀부재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단부에는 대략 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안내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방향회전수단은,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캠부재의 안내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되,
    상기 캠부재는 그 안내돌기가 상기 일방향회전수단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캠부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캠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단부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홀더부재의 걸림턱에 걸림에 따라서 상기 그 홀더부재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걸림부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에는 상기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롯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20110025886A 2011-03-23 2011-03-23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176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86A KR101176619B1 (ko) 2011-03-23 2011-03-23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86A KR101176619B1 (ko) 2011-03-23 2011-03-23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619B1 true KR101176619B1 (ko) 2012-08-23

Family

ID=4688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886A KR101176619B1 (ko) 2011-03-23 2011-03-23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258A (ko) * 2021-03-29 2022-10-07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9475A (ja) 2004-06-28 2006-01-12 Oi Seisakusho Co Ltd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100839659B1 (ko) 2007-08-30 2008-06-1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핑장치
KR100862719B1 (ko) 2007-06-08 2008-10-10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9475A (ja) 2004-06-28 2006-01-12 Oi Seisakusho Co Ltd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100862719B1 (ko) 2007-06-08 2008-10-10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839659B1 (ko) 2007-08-30 2008-06-1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258A (ko) * 2021-03-29 2022-10-07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KR102558647B1 (ko) * 2021-03-29 2023-07-25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9600C2 (ru) Запирающее и демпф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аемых элементов мебели
KR101690822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US20050092512A1 (en) Continuous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US9670708B2 (en) Wire harness routing structure
US9925852B2 (en) Wire harness winding device
JP2004187375A (ja) 給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JP4175825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WO2006013885A1 (ja) ロングスライド用給電装置
JP5833154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CA2485724A1 (en) Cord tensioner
WO2017175586A1 (ja) 巻取装置
JP2018070150A (ja) サンルーフウインドデフレクタシステム
KR10117661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US9616735B2 (en) Vehicle roll shade device
US10273749B2 (en) Cord winding mechanism for a cordless window blind
EP2940239B1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KR101757012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JP5185536B2 (ja) 給電装置
JP2010150841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20190060404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캐리어 플레이트
KR101347627B1 (ko)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의 캐리어 플레이트
KR101707442B1 (ko)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JP4573768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JP3807910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余長吸収装置
KR10111364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