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647B1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647B1
KR102558647B1 KR1020210040080A KR20210040080A KR102558647B1 KR 102558647 B1 KR102558647 B1 KR 102558647B1 KR 1020210040080 A KR1020210040080 A KR 1020210040080A KR 20210040080 A KR20210040080 A KR 20210040080A KR 102558647 B1 KR102558647 B1 KR 10255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ok
post
window regula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258A (ko
Inventor
김형우
엄정민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6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cable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에서, 드럼 하우징 중앙부에 돌출되어 드럼축의 본체를 형성하며,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포스트 외주면 끝단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돌출된 2개 이상의 후크를 형성하고, 드럼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드럼축 삽입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원형관 단면 형상의 서포트월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는 후크홈에 후크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드럼 하우징과 드럼 조립시 후크와 일체로 거동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Joint Structure of Drum for Car Window Regulat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 하우징 중앙부에 돌출되어 드럼축의 본체를 형성하며,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포스트 외주면 끝단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돌출된 2개 이상의 후크를 형성하고, 드럼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드럼축 삽입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원형관 단면 형상의 서포트월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는 후크홈에 후크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드럼 하우징과 드럼 조립시 후크와 일체로 거동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를 개폐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 내부에는 윈도우 레귤레이터(1)가 장착되며, 윈도우 레귤레이터(1)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패널(100) 표면에 도어 상하방향을 따라 레일(200)이 형성되고, 레일(200)의 일측 또는 양 끝단에는 풀리(300, 도 1의 배면 방향에 위치)가 장착된다.
상기 풀리(300)가 레일(200)의 일측 끝단에 장착된 경우, 레일(200)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도록 모듈패널(100)에 드럼 하우징(400)이 형성되고, 드럼 하우징(400) 중앙부의 드럼축(410)에는 드럼(5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는 상기 풀리(300)가 레일(200)의 일측 끝단에 장착된 경우, 드럼 하우징(400)은 양측 풀리(300) 사이에 형성된다.
드럼(500)에는 구동모터(530)가 연결되어 드럼(500)을 회전시키며, 레일(200)에는 캐리어 플레이트(6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캐리어 플레이트(600)에는 클램프를 통해 글라스(10)가 장착된다.
드럼(500)에는 와이어(700)가 감겨지며, 와이어(700)는 풀리(3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전환되어, 구동모터(530) 작동시 와이어(700)에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500)의 승하강 이동에 따른 글라스(10)의 개폐를 발생시키게 된다.
드럼축(410)을 통해 드럼 하우징(400)에 장착되는 드럼(500)의 연결부 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500)이 장착되는 드럼축(410)의 끝단에는 2개 이상의 분리된 후크가 형성되고, 드럼축(410)이 삽입 연결되는 드럼(500)의 연결부 내주면에는 드럼축(410)의 후크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홈으로 된 드럼축 삽입홈(510)이 링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드럼(500) 연결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1454호(2003.10.17.등록)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와이어 권취 드럼의 조립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드럼(500) 연결 구조를 통해 드럼(500)을 드럼 하우징(400)에 장착시, 2개 이상의 부재로 분리된 후크가 탄성 변형되면서 드럼(500)의 연결부 내주면으로 끼워지고, 드럼축(410)의 후크가 드럼축 삽입홈(510)까지 진행하면, 후크의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드럼축(410)의 후크와 드럼축 삽입홈(510)간 연결이 완료된다.
이때, 드럼축(410)의 후크 끝단에 형성된 완만한 경사면을 통해 드럼축(410)을 드럼(500)의 연결부 내주면으로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드럼축(410)의 후크와 드럼축 삽입홈(510)간 연결 완료 후에는 드럼(500)이 드럼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후크의 급격한 경사면이 드럼축 삽입홈(510)에 걸리면서 드럼(500)이 드럼축(41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드럼축(410) 및 드럼(500)의 연결부간 공차에 의해,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연결시 필요로 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드럼축(410)의 외경이 드럼(500)의 연결부 내주면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경우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연결 과정에서 과도한 힘(F)이 가해지면서 드럼축(410)의 각 후크가 회전축(410)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는 영구 변형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조립시 풀리(300) 및 드럼(500)에 와이어(700)를 감는 공정을 수행하거나 조립이 완료된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가동시, 드럼축(410)으로 와이어(700)의 장력(T)이 작용하게 되며, 드럼(500)이 와이어(700)의 장력(T)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장력(T) 작용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된 후크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용이한 결합을 위해 후크를 탄성체로 구성하므로, 드럼(500)에 의해 가압된 후크는 장력(T) 작용 방향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변형된 후크와 드럼축 삽입홈(510) 사이의 유격에 의해 드럼(500)의 세차운동(precessional motion)이 발생하면서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가동중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축(410)과 드럼(500)의 연결 후, 드럼 하우징(400)과 드럼(500)의 조립체 상부에 구동모터(530)를 연결하는 조립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회전축(410)에 연결된 드럼(5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구동축 연결부로 구동모터(530)의 드럼 구동축(drum drive shaft)이 끼워지게 된다.
이때,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연결 과정에서 과도한 힘(F)에 의해 후크가 영구 변형되거나, 와이어(700)의 장력(T)에 의해 후크가 변형되면서 드럼축(410)의 회전축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럼축(410)의 회전축이 기울어지는 경우 드럼(500)에 형성된 구동축 연결부와 구동모터(530)의 드럼 구동축간 정렬이 서로 어긋나면서 윈도우 레귤레이터(1) 생산라인 작업자의 구동모터(530)의 조립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과도하게 변형된 후크는 드럼축 삽입홈(5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데, 와이어(700)의 장력(T)에 의해 드럼축(410)을 중심점으로 하는 모멘트가 발생하면서 드럼(500)에 드럼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드럼(500)의 이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31454호 (2003.10.17.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럼축과 드럼간 연결 과정에서 가해지는 과도한 힘, 또는 드럼을 통해 전달되는 와이어의 장력에 의한 드럼축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럼축의 변형에 따른 드럼축 끝단의 후크와 드럼축 삽입홈간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가동중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의 장력 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드럼축의 변형부로부터 드럼이 이탈되면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고장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패널, 도어 상하방향을 따라 모듈패널에 형성된 레일, 레일의 일측 또는 양 끝단에 장착되는 풀리, 모듈패널에 형성되며 중앙부에 드럼축이 형성된 드럼 하우징, 드럼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드럼, 드럼에 연결되는 구동모터, 글라스가 장착되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풀리에 의해 진행 방향이 전환되며 각각 드럼과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에 있어서, 드럼 하우징 중앙부에 돌출되어 드럼축의 본체를 형성하며,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포스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포스트의 외주면 끝단으로 2개 이상 돌출되고, 포스트와 모듈패널간 연결부 방향으로 가면서 돌출부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후크, 드럼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드럼축 삽입홀, 드럼축 삽입홀 가장자리를 따라 모듈패널과의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서포트월, 서포트월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후크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후크홈으로 구성되어, 드럼 하우징과 드럼 조립시 후크와 일체로 거동하는 포스트의 탄성 변형 및 복원에 따른 드럼축과 서포트월간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스트는 외주면 끝단의 직경이 증가하는 확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월은 드럼 하우징과의 연결부 방향 끝단과 후크홈간 내주면 또는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직경이 감소하는 감소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드럼 하우징의 포스트 외측 표면에는 링 형상의 오목홈인 가이드가 형성되고, 가이드와 대향하는 드럼 표면에는 가이드와 상보적인 형태를 이루는 링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부는 포스트의 직경 증가율이 최소화되는 구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포스트를 통해, 드럼을 고정하는 후크와 드럼축이 서로 일체화 되어 거동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축과 드럼간 연결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와이어의 장력이 드럼을 통해 전달되면서 드럼축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드럼축의 변형에 따른 드럼축 끝단의 후크와 드럼축 삽입홈간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가동중 드럼의 세차운동에 따른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드럼축의 변형에 따른 회전축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드럼의 구동축 연결부와 구동모터의 드럼 구동축간 정렬을 이룸으로써, 윈도우 레귤레이터 생산라인 작업자의 구동모터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장력 작용에 따라 드럼축의 변형부로부터 드럼이 이탈되면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스트에 외주면 끝단 직경이 증가하는 확장부를 형성하여, 포스트 하단의 드럼 하우징 연결부 외주면과 드럼의 서포트월 내주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포스트와 서포트월간 마찰에 의한 드럼의 회전 작동 불량이나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포트월의 직경이 감소하는 감소부가 형성되어, 드럼축과 드럼간 연결시 서포트월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서포트월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여 드럼 조립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드럼 하우징의 표면에 포스트 외측을 따라 링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드럼 표면에는 오목홈과 상보적인 형태를 이루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드럼에 와이어 연결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드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조립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윈도우 레귤레이터 가동시 회전하는 드럼이 유동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스트의 확장부에 직경 증가율이 최소화되는 구간을 형성하여 후크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후크의 변형 또는 파손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어 글라스를 개폐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성 요소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방식에 따른 드럼의 회전축에 형성된 분할된 후크를 통해 드럼을 연결하는 드럼 연결 구조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방식에 따른 드럼의 회전축에 형성된 분할된 후크를 통해 드럼을 연결하는 드럼 연결 구조의 연결부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드럼 하우징에 연결된 드럼을 회전시키키기 위한 구동모터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연결 구조의 드럼축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연결 구조가 적용된 드럼 하우징과 드럼간 연결부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드럼(500) 연결 구조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 하우징(400)의 중앙부에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된 포스트(411)가 드럼축(410)의 본체를 형성하며, 포스트(411)의 외주면 끝단으로 2개 이상의 후크(412)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돌출된다.
그리고 드럼(500) 중앙부에는 드럼(5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원형의 드럼축 삽입홀(510)이 형성되고, 드럼축 삽입홀(510)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서포트월(520)이 모듈패널(100)과의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월(520)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도록 함몰되는 후크홈(521)이 형성되며, 드럼축(410)에 드럼(500) 조립시 후크홈(521) 내부로 후크(412)의 돌출부가 끼워지면서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후크홈(521)의 단면 형상은 후크(41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데, 드럼(5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후크홈(521)의 오목홈 깊이 및 높이는 후크(412)의 돌출부 너비 및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윈도우 레귤레이터(1) 조립 과정에서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끼움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스트(411)와 모듈패널(100)간 연결부 방향으로 가면서 후크(412)의 돌출부 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면(41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드럼 하우징(400)과 드럼(500) 조립시, 드럼축 삽입홀(510)의 서포트월(520) 내주면에 후크(412) 돌출부의 완만한 경사면이 접촉하여 후크(412)와 일체로 거동하는 포스트(411)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드럼축(410)이 드럼축 삽입홀(510) 내부로 삽입되며, 후크(412)의 돌출부가 후크홈(521)에 도달하면 포스트(411)의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후크(412)와 후크홈(521)간 걸림이 발생하여 드럼축(410)과 서포트월(520)간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드럼축(410)의 포스트(411)와 드럼(500)의 서포트월(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높은 내마멸성과 강도를 가지는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크(412)는 포스트(411)와 일체로 이루어져 함께 거동하게 되므로 드럼축(4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윈도우 레귤레이터(1) 조립 과정에서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연결시 드럼축(41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와이어(700)의 장력이 드럼(500)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드럼축(410)의 변형 또는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드럼축(410)과 드럼(500)간 연결 과정이나 드럼(500) 장착 완료 후, 드럼축 삽입홈(510)과 후크(412)간 연결부 유격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윈도우 레귤레이터(1) 가동 중 구동모터(530)의 작동에 따른 드럼(500) 회전시 드럼(500)의 세차운동 발생을 억제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1) 가동시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 레귤레이터(1) 가동시 또는 윈도우 레귤레이터(1) 조립시, 드럼(500)에 와이어(700)를 감아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700)의 장력으로부터 드럼(500)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해 드럼축(410)으로부터 드럼(50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후크(412)와 포스트(411)의 일체화를 통한 강성 향상 구조를 통해 드럼축 삽입홈(510)과 후크(412)간 유격 또는 분리 발생을 억제하여, 드럼(500)이 드럼축(41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드럼축(410)의 강성이 증가하면 외력 작용에 의한 드럼축(410)의 변형에 따른 회전축 기울어짐이 억제되면서, 드럼(500)의 구동축 연결부와 구동모터(530)의 드럼 구동축간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윈도우 레귤레이터(1) 생산라인에서 작업자가 드럼(500)의 구동축 연결부와 구동모터(530)의 드럼 구동축 연결시 조립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411)에는 외주면 끝단의 직경이 증가하는 확장부(4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확장부(420)는 포스트(411) 하단의 드럼 하우징(400)과의 연결부 외주면과, 드럼(500)의 서포트월(520) 내주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드럼축(410)과 드럼(500) 연결시 포스트(411) 외주면 표면과 서포트월(520) 내주면 표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 의한 드럼(500)의 회전 작동 불량이나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장부(420)의 직경 증가율은 음의 값을 제외한 비율로 형성되어, 포스트(411)의 끝단 방향으로 가면서 포스트(411)의 직경 크기가 증가하는 구간과, 직경 크기가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크기가 최소화 되는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확장부(420)에는 포스트(411)의 직경 증가율이 최소화되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된 후크(412)가 후크홈(521)을 지지하는 부위에서 확장부(420) 직경 증가율이 최소치를 이루는 구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후크홈(521)을 지지하는 부위에서의 후크(412) 돌출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춤으로써, 드럼축(410)으로부터 드럼(500)이 이탈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후크(412)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nent)의 크기를 감소시켜 윈도우 레귤레이터(1) 조립 과정이나 작동 과정에서 드럼(500)에 의해 후크(412)에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더라도 후크(412)의 변형 또는 파손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월(520)의 내주면이나 외주면 어느 일측, 또는 내주면과 외주면 양측에는 서포트월(520)의 내주면이나 외주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감소부(5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감소부(522)는 드럼 하우징(400)과 연결되는 방향의 서포트월(520) 끝단과 후크홈(52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감소부(522)는 드럼축(410)과 드럼(500)을 서로 연결할 때, 드럼축(410)이 서포트월(520)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감소부(522)에서의 서포트월(520)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며, 포스트(411)와 서포트월(520)이 동시에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럼(500) 조립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드럼 하우징(400)의 표면에는 포스트(411) 외측부를 따라 링 형상의 오목홈인 가이드(430)가 형성되고, 드럼축(410)으로 드럼(500) 연결시 가이드(430)와 대향하는 드럼(500) 표면에는 가이드(430)와 상보적인 형태를 이루는 링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축(410)과 드럼(500)이 서로 연결된 후, 모듈 패널(100)의 표면의 평면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가이드(430)와 상보적인 형태를 이루는 링 형상의 돌기가 가이드(430)의 오목홈 내부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가이드(430)는 모듈 패널(100)의 표면의 평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지지력을 형성하게 된다.
가이드(430)에 의해 발생한 모듈 패널(100)의 평면 방향 힘에 대한 지지력은
드럼(500)에 와이어(700) 연결시 와이어(700)의 장력에 의해 드럼(5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조립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윈도우 레귤레이터(1) 가동시 회전하는 드럼(500)이 유동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윈도우 레귤레이터 10: 글라스
100: 모듈패널 200: 레일
300: 풀리 400: 드럼 하우징
410: 드럼축 411: 포스트
412: 후크 413: 경사면
420: 확장부 430: 가이드
500: 드럼 510: 드럼축 삽입홀
520: 서포트월 521: 후크홈
522: 감소부 530: 구동모터
600: 캐리어 플레이트 700: 와이어

Claims (5)

  1.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패널(100), 도어 상하방향을 따라 모듈패널(1)에 형성된 레일(200), 레일(200)의 일측 또는 양 끝단에 장착되는 풀리(300), 모듈패널(100)에 형성되며 중앙부에 드럼축(410)이 형성된 드럼 하우징(400), 드럼축(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드럼(500), 드럼(500)에 연결되는 구동모터(530), 글라스(10)가 장착되며 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600), 풀리(3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전환되며 드럼(500)과 캐리어 플레이트(500)에 연결되는 와이어(700)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에 있어서,
    드럼 하우징(400) 중앙부에 돌출되어 드럼축(410)의 본체를 형성하며,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외주면 끝단의 직경이 증가하는 확장부(420)가 형성되는 포스트(411);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포스트(411)의 외주면 끝단으로 2개 이상 돌출되고, 포스트(411)와 모듈패널(100)간 연결부 방향으로 가면서 돌출부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413)이 형성된 후크(412);
    드럼(500)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드럼축 삽입홀(510);
    드럼축 삽입홀(510) 가장자리를 따라 모듈패널(100)과의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형관 단면 형상을 이루는 서포트월(520);
    서포트월(520)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후크(412)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후크홈(521);
    으로 구성되어, 드럼 하우징(400)과 드럼(500) 조립시 후크(412)와 일체로 거동하는 포스트(411)의 탄성 변형 및 복원에 따른 드럼축(410)과 서포트월(520)간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부(420)는 후크(412)의 후크홈(521) 지지부위에서 확장부(420)의 직경증가율이 최소화되는 구간이 형성되고, 드럼 하우징(400)과 드럼(500) 조립시 후크(412)와 일체로 거동하는 포스트(411)의 탄성 변형 및 복원에 따른 드럼축(410)과 서포트월(520)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월(520)은 드럼 하우징(400)과의 연결부 방향 끝단과 후크홈(521)간 내주면 또는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직경이 감소하는 감소부(5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하우징(400)의 포스트(411) 외측 표면에는 링 형상의 오목홈인 가이드(430)가 형성되고, 가이드(430)와 대향하는 드럼(500) 표면에는 가이드(430)와 상보적인 형태를 이루는 링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5. 삭제
KR1020210040080A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KR10255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80A KR102558647B1 (ko)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80A KR102558647B1 (ko)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258A KR20220135258A (ko) 2022-10-07
KR102558647B1 true KR102558647B1 (ko) 2023-07-25

Family

ID=8359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80A KR102558647B1 (ko)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45Y1 (ko) * 2004-09-17 2004-12-29 평화정공 주식회사 가조립구조를 가진 윈도우용 레귤레이터의 권취모듈
KR101176619B1 (ko) * 2011-03-23 2012-08-23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454Y1 (ko) 2003-07-28 2003-10-30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와이어 권취 드럼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45Y1 (ko) * 2004-09-17 2004-12-29 평화정공 주식회사 가조립구조를 가진 윈도우용 레귤레이터의 권취모듈
KR101176619B1 (ko) * 2011-03-23 2012-08-23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258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996B2 (ja) 昇降装置
US5505022A (en) Window regulator
JP4718494B2 (ja) ケーブルドラムを収容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WO2014061599A1 (ja) プーリ装置
WO2002075090A1 (fr) Structure de soutien pour vitre incurvee et gouverneur d'enroulement
KR102558647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KR101605287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US20060133702A1 (en) Hydrodynamic bearing assembly
KR102193861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오조립 방지 구조
KR102558648B1 (ko) 자동차 윈도우용 로워 드라이브 레귤레이터의 가이드 레일 보강 지지 구조
KR20190061614A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JP6602545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WO2012011593A1 (ja) 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H0343353Y2 (ko)
JP2017040093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5710285B2 (ja)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KR10245257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975376B1 (ko) 모듈 판넬의 마운팅부 구조
WO2024024921A1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7173756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216307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풀리 결합구조
KR102498841B1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KR102489635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230055633A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케이블 엔드 오조립 방지 드럼 구조
WO2021079965A1 (ja) 窓ガラス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