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815A -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815A
KR20060110815A KR1020060035652A KR20060035652A KR20060110815A KR 20060110815 A KR20060110815 A KR 20060110815A KR 1020060035652 A KR1020060035652 A KR 1020060035652A KR 20060035652 A KR20060035652 A KR 20060035652A KR 20060110815 A KR20060110815 A KR 2006011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lind
guide
hoop
brak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멜프 한센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11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서 가이드 레일당 제동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동 장치에 의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이동을 위해 필요한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가동 전방 에지가 장애물에 부딪히면 가이드 레일 내로 공급된다.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가이드 레일, 제동 장치, 구동력, 전방 에지.

Description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Roller blind with pinch protection}
도 1은 우측 후방 내부측에서 본 승용차의 컷어웨이된 후방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매우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후프에 가동적으로 지지되고 제동 부재로서 작용하는 가이드 부분의 실시예,
도 4는 제동 상태에 있는 도 3에 따른 실시예,
도 5는 제동 부재가 가이드 부재에 대해 이동되는 실시예,
도 6은 제동 상태에 있는 도 5에 따른 실시예,
도 7은 제동 부재가 탄성 중합체 바디인 실시예,
도 8은 제동 상태에 있는 도 7에 따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 : 차체 섹션 2 : 루프
3 : B-칼럼 5 : C-칼럼
6 : 내부 커버링 7 : 우측 사이드 도어
8 : 백시트 벤치 9 : 백시트 표면
11 : 백시트 레스트 13 : 풋 스페이스
15 : 사이드 윈도우 16 : 브레이스
17, 18 : 윈도우 스페이스 19 : 윈도우 레일링
21 : 롤러 블라인드 22 : 와인딩 샤프트
23, 24 : 와인딩 샤프트 지지 장치 25 : 루프
26 : 가이드 암 28 : 가이드
29 : 가이드 레일 30 : 홈 챔버
31 : 홈 슬롯 32 : 추진 부재
33 : 코어 35 : 가이드 튜브
36 : 기어 모터 37 : 정류 모터
38 : 기어 하우징 39 : 출력 샤프트
40 : 출력 기어 41 : 보어
42 : 후프 45 : 홈
46 : 연장부 47 : 플레이트 스프링
48 : 유지 블록 49 : 전기 시스템
50 : 스프링 모터 53 : 원추대
56, 57 : 헤드 58, 61 : 스프링 암
전자 작동식 롤러 선 쉐이드(roller sun shade)가 승용차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롤러 선 쉐이드는 후방 도어의 사이드 윈도우, 후방 윈도우 또는 글래스 선루프에서 사용된다. 후방 윈도우용 롤러 블라인드는 예컨대 DE 103 51 040 A1 에 알려져 있다. 거기에 기술된 후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는 모자 걸이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에는 에지에 의해 롤러 블라인드가 고정된다. 롤러 블라인드의 자유 단부는 후프 또는 인장 로드(tension rod)에 연결된다. 인장 로드는 관형이며, 2 개의 가이드 부분의 네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분은 후프의 각 단부에 제공된다. 가이드 부분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측면으로 후방 윈도우 옆에서 내부 사이드 커버링 내에 배치된다.
후프의 구동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선형의 추진 부재를 통해 이루어진다. 구동 부재는 그의 측면에서 형상 결합방식으로 기어 모터의 출력 기어를 통해 구동된다.
기본적으로 차량 사이드 윈도우의 롤러 블라인드 또는 선루프의 롤러 블라인드도 동일한 구조를 나타낸다.
전기 모터식 구동 메카니즘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핀치 위험은 존재한다. 모터는 이용될 구동력의 관점에서 약간 크게 설계된다. 모터의 차단은 일반적으로 시간 제어되고, 이것은 롤러 블라인드가 익스텐드되는 경우 후프가 형상 결합된 버퍼로 움직여서, 거기서 큰 힘으로 가압되어, 타임 그리드에 의해 모터가 차단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력은 비교적 크며, 누군가 움직이는 후프와 차량의 고정된 버퍼 사이의 바디 부분에 닿으면 전적으로 어느 정도의 부상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은 사이드 윈도우가 내려지는 경우 특히 사이드 윈도우에서 비교적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부상을 야기하는 핀치의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 롤러 블라인드를 제조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는 균일하게 차량 내 모든 윈도우, 즉 후방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루프 윈도우용으로 적합하다. 모든 롤러 블라인드 장치에서, 상기 장치가 에지에 의해 롤러 블라인드가 고정되어 있는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한다는 것이 공통적이다.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롤러 블라인드의 에지는 후프를 구비한다.
롤러 블라인드를 와인딩 샤프트로 와인딩 또는 수축 시키기 위하여, 와인딩 샤프트에는 스프링 모터가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모터는 초기 응력 토크를 롤러 블라인드의 와인딩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롤러 블라인드의 실시예에 따라, 후프는 적어도 가이드 레일로 안내된다. 이러한 특성은 예컨대 2부분으로 이루어진 후방 사이드 윈도우의 3각형 부분에 제공된다. 다른 용도에서 후프는 양 단부에서 대략 평행하게 서로 연장하는 2 개의 가이드 레일로 안내된다.
후프의 구동은 하나 또는 2 개의 선형 추진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선형 추진 부재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진력을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롤러 블라인드를 당기는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각각의 경우에, 롤러 블라인드가 당겨지도록, 추진 부재가 후프를 앞으로 미는 것뿐만 아니라, 후프를 와인딩 샤프트의 방향으로도 당기는데, 그 이유는 약한 스프링 모터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후프의 파워 작동식 이동시 각 부상 위험이 배제되기 위해, 가이드 레일과 상호 작용하는 제동 장치가 존재한다. 예컨대 신체 부위가 핀치됨으로써 예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지연력이 후프에 가해지면, 제동 장치가 활성화되어 추진력의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 레일 내로 공급한다. 이로 인해 핀치된 신체 부분에 작용하는 힘이 부상 위험의 아래로 유지될 수 있다.
제동 장치의 활성화를 위해 안내되는 힘은, 롤러 블라인드를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당기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크도록 선택되고, 롤러 블라인드는 경우에 따라 슬롯 에지를 통해 슬라이딩되도록 당겨진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력이 고려되어야 하며 제동 장치의 분리를 야기해서는 안된다.
제동 장치는, 예컨대 롤러 블라인드의 연장 동안만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동 장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예컨대 롤러 블라인드를 지나 측면으로 돌출하는 후프의 부분이 가이드 슬롯을 통해 아래로 삽입되는 경우 심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 경우 후프가 양 구동 방향으로 추진 부재와 형상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면 부상 위험이 존재한다.
추가 지연력이 후프에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동 장치를 리프팅 또는 프리 휠링(free wheeling) 상태로 다시 안내하기 위해, 제동 장치는 복귀 장치를 구비한다. 복귀 장치는 소위 동시에 제동 장치가 활성화되는지 또는 아이들 상태로 유지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센서로서 작용한다.
제동 장치용으로 일련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하나의 해결책에 따라 제동 부재가 가이드 부분 자체로 형성되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제동 부재가 가이드 부분에 대해 가동 방식으로 지지된다.
양 경우에, 제동 장치는 단지 마찰 결합적으로 작용될 수 있거나 또는 형상 결합방식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은 상응하는 치형부를 구비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치형부는 균일하게 평탄한 작은 치형 공간을 가진 널(knurl) 형태이며, 상기 치형 공간은 서로 긴밀하게 놓이거나 또는 상기 깊은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동 부재가 가이드 부재로 안내되면, 제동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또는 이중 일부가 가이드 레일로 밀린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분은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응하게 제동 부재를 측면으로 이동된다.
경사면은 가이드 부분의 단부측에서 원추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동 부재가 탄성 중합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동 상태에서 변형되며, 예컨대 압축되고, 따라서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에 놓인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도면 설명을 읽는 동안 일련의 변형예 및 특징 조합이 가능하며, 이것은 상세하게는 공개되지 않는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기본이 되는 실시예에 국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대상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승용차의 컷어웨이된 후방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면은 우측 내부 측면에서 본 것이며, 도시되지 않은 좌측 내부 측면에 대해 반사 대칭형이다. 도면이 간소화되었다. 따라서 예컨대 보강재(reinforcing) 및 고정 수단과 같은 차체 내부 구조는 도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차체의 도면은 개략적이며 거기에 존재하는 중공 챔버는 인식되지 않는다.
도시된 차체 섹션(1)은 루프(2)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로부터 측면으로 B-칼럼(3)이 하부로 향해 도시되지 않은 바닥 그룹으로 안내된다. 상응하는 B-칼럼은 차량의 컷어웨이된 측면 상에서 예상된다. B-칼럼이 기울어짐으로써, 그의 상부 단부는 차량 후방으로 변위된다.
루프(2)는 그의 후방 에지에서 후방 윈도우로 이어진다. 측면으로 후방 윈도우가 C-칼럼(5)에서 끝나고, 상기 C-칼럼은 B-칼럼(3)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C-칼럼(5)은 내부 커버링(6)을 지지한다.
B-칼럼(3)과 C-칼럼(6) 사이에서 B-칼럼에 후방 우측 사이드 도어(7)가 알려진 방식으로 힌지 연결된다.
후방 우측 사이드 도어(7)의 높이에 백시트 벤치(backseat bench)(8)가 놓이 고, 상기 백시트 벤치에는 시트면(9) 및 백시트 레스트(backseat rest)(11)가 포함된다. 백시트면(9)은 베이스 표면(12) 상에 놓이고, 상기 베이스 표면은 바닥 그룹에 속하며 풋 스페이스(13) 앞에 형성된다.
백시트 레스트(11)의 상부 에지의 높이에서 모자 걸이(14)가 후방 윈도우(4)의 하부 에지로 연장된다.
후방 우측 사이드 도어(7)는 리무진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사이드 윈도우(15)를 구비한다. 사이드 윈도우(15)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브레이스(16)에 의해 실질적으로 4 각형 윈도우 스페이스(17) 및 대략 3 각형 윈도우 스페이스(18)로 분할된다. 하부 단부에서 양 스페이스(17 및 18)는 윈도우 레일링(19)에 의해 제한된다. 윈도우 레일링(19)은 전방 윈도우 에지(20)에 대해 90°보다 작은 각도로 연장한다.
윈도우 스페이스(17) 내에 존재하는 패인(pane)은 알려진 방식으로 아래 위로 움직이며, 이를 위해 상기 패인은 특히 수직 브레이스(16)에 알려진 방식으로 안내된다.
윈도우 스페이스(17)는 할당된 롤러 블라인드(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쉐이딩되고, 상기 롤러 블라인드는 윈도우 레일링(19) 내 슬롯을 통해 도어(7)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롤러 블라인드(21)용 구동 메카니즘은 윈도우 레일링(19)의 하부에 있는 도어(7)용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도 2는 롤러 블라인드(21)를 구동시키고, 안내하며 또는 사용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유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중요한 부재를 도시한다.
롤러 블라인드(21)는, 대략 윈도우 스페이스(17)의 표면에 상응하고 실질적으로 직선 에지에 근사한 섹션을 가진다. 롤러 블라인드(21)의 하부 에지는 와인딩 샤프트(22)에 고정되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는 와인딩 샤프트 베어링 장치(23 및 24)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된다.
와인딩 샤프트(22)로부터 멀리 떨어진 롤러 블라인드(21)의 에지는 관형 루프(25)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를 통해 굽혀지지 않는 인장 로드 장치가 안내된다. 인장 로드 장치로부터 그의 외부에 놓인 가이드 암(26)만 인식될 수 있다. 가이드 암(26)은 단부측에서 가이드 바디(28)를 지지한다. 양 가이드 암은 소정 중간 부분에서 텔레스코프형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연장 이동 동안 롤러 블라인드(21)를 안내하기 위해, 측면으로 끌어내진 롤러 블라인드(21) 옆에 2 개의 가이드 레일(29)이 연장한다. 각 가이드 레일(29)은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홈 챔버(30)를 포함하고, 상기 홈 챔버는 홈 슬롯(31)을 통해 롤러 블라인드(21)의 방향으로 개방되고, 횡단면은 원형이다.
양 가이드 레일(29)의 2 개의 홈 챔버(30) 내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관련된 나선형으로 인터 록킹된 추진 부재(32)가 움직인다. 상승하는 나사선(34)을 나선형으로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시키기 위해, 각 추진 부재(32)는 실린더형 코어(33)로 이루어진다. 나사선(34)은 코어(33)를 중심으로 순환하는 나선형 치형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추진 부재(32)는 원형 횡단면을 가진 경사져서 인터록킹된 유연한 치형 래크를 가진다.
추진 부재(32)는 거의 구부러지지 않으며, 그 때문에 상기 추진 부재는 홈 챔버(30) 내에서 구부러지지 않고 안내된다.
가이드 레일(29)의 하부 단부에 가이드 튜브(35)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는 관련 가이드 레일(29)의 홈 챔버(30)를 기어 모터(36)에 연결시킨다.
기어 모터(36)에는 영구 여기 정류 모터(37)가 포함되고, 상기 정류 모터는 기어를 구동시키며, 상기 기어는 기어 하우징(38) 내에 배치된다. 출력 샤프트(39) 상에 출력 기어(40)가 배치되고, 상기 출력 기어는 형상 결합방식으로 양 추진 부재(32)의 치형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설계된다. 추진 부재(32)가 측면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어(41) 내에 상기 추진 부재가 안내되고, 상기 보어는 출력 기어(40)에 접하면서 지나간다. 상기 보어(41)에는 가이드 튜브(35)가 연결된다.
추진 부재의 비활성 부분을 규칙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보어(41)의 연장부에는 여전히 저장 튜브가 존재할 수 있다.
가이드 암(26), 가이드 바디(28) 및 가이드 레일(29)과 이들의 상호 작용의 정확한 구조는 하기에서 도 3 및 4에 의해 설명된다.
도 3 및 4는 도 2와 관련하여 롤러 블라인드(21)의 단면과 함께 인장 로드 장치의 우측 단부를 도시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제시된 설명은 인장 로드 장치의 다른 단부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적용되며, 거기에 존재하는 좌측 사이드에 있는 가이드 레일(29)과의 상호 작용에도 적용된다.
도 3에 따라, 가이드 바디(28)는 횡단면이 홈 챔버(30)의 횡단면에 매칭되는 디자인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바디는 가이드 레일(29)의 종방향으로 볼 때 팽창 부를 가지면, 상기 팽창부는 홈 챔버(30)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이로 인해, 종축, 즉 운동 방향으로 놓인 축이 홈 챔버(30)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가이드 바디가 쉽게 홈 챔버(30)를 통해 움직이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가이드 바디(28)가 홈 챔버(30) 내에서 약간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가이드 챔버(30)에서의 쉬운 이동이 저지된다. 서랍에 의해 충분히 알려진 핀칭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바디(28)는 추진 부재(32)의 추진력을 가이드 레일(29) 내로 공급하는 제동 부재와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형 루프(25) 내에 인장 로드 장치의 일부로서 관형 후프(42)가 삽입되고, 상기 후프는 루프(25)에 부동 연결된다. 후프(42)에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암(26)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암은 관형으로 구현된다. 가이드 암(26)의 텔레스코프형 이동 가능성으로 인해, 인장 로드 장치의 무엇보다 보이는 폭이 양 가이드 레일(29) 사이에서 와인딩 샤프트 방향으로 증가하는 가변 간격에 매칭된다.
가이드 바디(28)는 연결 암(43)을 통해 가이드 암(26)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암은 가이드 슬롯(31)을 통해 가이드 레일(29)로부터 안내된다. 연결 암(43)은 가이드 암(26) 내로 돌출하여 힌지 볼트(44)를 통해 여기에 연결된다. 힌지 볼트(44)에 의해, 가이드 암(43)이 선회축에 대해 선회될 수 있고, 상기 선회축은 투영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투영면은 후프(42) 영역에 롤러 블라인드(21)의 장착면에 상응한다.
대략 직각 횡단면을 가지는 연결 암(43)이 충분히 선회할 수 있기 위해, 후 프(42)는 홈(45)을 가진 리딩 에지에서 힌지 볼트(44)의 높이에 제공된다.
후프(42)의 내부에서 가이드 암(43)은 짧은 연장부(46) 내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는 정지 위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프(42)의 내부측에 접촉하며, 상기 내부측은 홈(45)도 포함한다. 연장부(46)가 접촉 위치에 고정 유지되기 위해, 플레이트 스프링(47)이 제공되고,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은 예컨대 플라스틱 스프링이며, 49에서 가이드 암(43)과 리벳팅된 유지 블록(48)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출발한다.
설명된 장치의 작동 모드는 하기와 같다 :
리트랙트된 상태에서 루프는 와인딩 샤프트(22)에 직접 인접하게 놓이고, 즉 상기 루프는 사이드 윈도우(17)의 윈도우 레일링(19)의 하부로 다시 당겨진다. 사용자가 상기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롤러 블라인드(21)를 윈도우(17) 앞에서 잡으려고 한다면, 사용자는 기어 모터(36)를 스타트시켜야 한다. 이로 인해 동시에 양 추진 부재(32)가 관련 가이드 레일(29)로 밀리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양 추진 부재는 롤러 블라인드(21)의 양 측면에서 가이드 바디(28)를 상부로 가압하며, 즉 상기 양 추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디를 그 앞으로 밀게 된다. 이러한 미는 운동에 대항해 스프링 모터(50)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스프링 모터(42)의 힘은 지속적으로, 롤러 블라인드(21)가 와인딩 샤프트(22)로 와인딩되고, 즉 다시 당겨지거나 또는 고정되도록 한다.
플레이트 스프링(47)의 힘은 연결 암(43)의 연장부(46)에서, 가이드 바디(28)가 쉽게 홈 챔버(30)를 통해 안내될 수 있는 위치에 머무는 고정 토크를 발생 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진 부재(32)는 가이드 바디(28)에서 연결 암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를 발생시킨다.
이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모터(50)가 발생시키는 힘에 대해 추가로, 추가 힘이 운동 방향으로 볼 때 앞에 놓인 롤러 블라인드(21)의 에지에 작용하고, 즉 후프(42)로 가압하고, 추진 부재(32)는 가이드 바디(29)에서 힌지 축(44)에 비해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며, 상기 회전 토크는 스프링(47)으로부터 발생하는 복귀 토크보다 크다. 이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디(28)는 가이드 홈(30) 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홈 챔버(30)에서 틸팅된다. 가이드 바디(28)의 크기에 따라 추진 부재(32)의 추진력의 적어도 일부가 지금 틸팅된 가이드 바디(28)를 통해 가이드 레일(29)로 도입됨으로써, 몸에 부상을 입히는 스퀴징이 배제된다. 상응하는 디자인에서 가이드 바디(28)는 가이드 부재(32)의 구동력이 완전히 가이드 레일(29)로 도입될 때까지 잼(jam)될 수 있다.
롤러 블라인드(21)의 전방 에지를 고정시키는 힘이 사라지는 즉시, 플레이트 스프링(47)은 연장부(46) 및 연결 암(43)을 다시 도 3에 따른 위치로 회전시키며, 롤러 블라인드를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동 부재가 가이드 바디(28)로 형성되는 상기 제동 장치에서 마찰에 의해 제동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홈 챔버(30)는 홈 슬롯(31)에 마주 놓인 측면에 직선 널링(straight knurling)을 구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홈 슬롯(31)에 마주 놓인 측면에는 다수의 작은, 스트립형 치형부가 발생하며, 상기 치형부는 가이드 레일(29)의 종방향에 대 해 횡으로 배치되며 그 길이는 홈 슬롯(31)의 폭에 대략 상응한다. 이러한 치형부는 도 4에서 개략적으로 51로 도시된다. 가이드 바디(28)에서 각 위치에 보조 치형부(51)가 쉽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보조 치형부는 홈 챔버(30)의 치형부(51)에 마주 놓인다. 상기 방식으로 가이드 바디(28)가 틸팅하는 경우, 치형부(51)는 서로 록킹됨으로써, 형상 결합방식의 제동 작용, 즉 블록킹이 발생한다.
도 5는 별도의 제동 부재(52)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제동 부재는 가이드 바디(28)에 대해 이동된다. 도 5에 따른 도면에서 이미 이전의 도면에서 설명되고 기능 또는 구조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며, 다시 설명하지 않겠다.
가이드 바디(28)는 고정적 및 부동적으로 연결 암(43)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바디는 원통 디자인을 가지며, 상기 디자인은 양 정면 단부에서 원추대(52 및 53)로 변형된다. 연결 암(43)은 고정적 및 부동적으로 가이드 암(26)에 연결되고, 후프(42) 내에서만 종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바디(28)는 가이드 챔버(30)를 통해 쉽게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바디(28)를 통해 관통 보어(54)가 안내되고, 상기 관통 보어는 제동 부재(52)의 로드(55)의 가동 수용을 위해 사용된다. 로드(55)는 양 단부에서 원통 헤드(56 및 57)를 지지한다. 헤드(56)로부터 가이드 바디(28)의 방향으로 스프링 암(58)이 돌출하고, 상기 스프링 암은 그의 자유 단부에 노우즈(59)를 구비한다. 헤드(57)에는 마찬가지로 스프링 암(61)이 존재하고, 상기 스프링 암은 그의 자유 단부에서 노우즈(62)를 지지한다.
홈 슬롯(31)에 마주 놓인 홈 챔버(30)의 후벽은, 등거리로 분포된 작은 리세스(63)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로 노우즈(59 및 62)가 맞물릴 수 있다.
장치의 정확한 크기는 하기의 기능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헤드(56)에는 추진 부재(32)가 인장 및 압축되지 않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동 부재(52)에는 도 5에서 상부로 작용하는 힘과 하부로 작용하는 힘이 전달될 수 있다. 상부로 작용하는 힘은 롤러 블라인드의 연장에 상응하는 반면, 하부로 작용하는 힘은 롤러 블라인드(21)의 수축시 효과적이다. 하부로 또는 당기면서 작용하는 힘은 스프링 모터(50)의 작용을 지지하고, 관련 가이드 레일(29)에서 가이드 바디(28) 및 제동 부재(52)의 슬라이딩 마찰력을 극복한다.
지연 작용하는 추가 외부력이 롤러 블라인드(21)의 전방 에지에 작용하지 않으면, 양 스프링 암(61 및 58)은 도 5에 도시된 위치를 취한다. 상기 위치에서 노우즈(59 및 62)는 헤드(56 및 57)의 외부 윤곽에 대해 다시 당겨지고, 홈 챔버(30)의 인접벽은 지나갈 수 없다. 가이드 바디(28) 및 제동 부재(52)는 홈 챔버(30)를 통해 그의 종방향으로 쉽게 움직인다. 제동 부재(52)와 가이드 바디(28) 사이의 상대 위치는 스프링 암(58 및 61)에 의해 원추형 단부면(52 및 53)과 결합하여 유지된다. 스프링 암(58 및 61)의 복원력은, 제동 부재(52)를 가이드 바디(28)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 상당한 힘이 필요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상대 운동시 원추대(52 및 53)로 인한 경사면에 의해 스프링 암(61 또는 58)이 방사 방향으로 외부로 향해 밀린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추진 부재(32)의 구동력은 스프링 암(58, 61) 및 가 이드 바디(28)의 경사면을 통해 전달된다.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부분이 연장시 롤러 블라인드(21)의 전방 에지의 이동 경로에 도달하면, 스프링 모터(50)의 복원력을 방해하는 추가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힘은 가이드 바디(28)를 제동 부재(52)에 대해 지연시킨다. 그러나 추진 부재(32)가 계속 전진되기 때문에, 하부 스프링 암(58)은 점점 더 원추대(52)로 움직이며, 방사 방향으로 외부로 향해 밀린다. 힘에 의존하여 스프링 암(58)은 자유 단부에 배치된 노우즈(59)가 리세스(63) 중 하나에 결합할 때까지 외부로 향해 밀린다. 따라서 추가 운동이 블록킹되고 위험한 스퀴징은 발생할 수 없게 된다.
도 6은 언제 힘이 전방 에지에 작용하지 않고 연장을 방해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예컨대 수축시 가이드 암(26)과 윈도우 레일링(19) 사이의 대상이 언제 핀치되는지에 대한 상황을 도시한다. 여기서 심각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스프링 암(61)은 상기 방식으로 외부로 향해 밀려지고,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원추대(53)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노우즈(62)는 리세스(63) 중 하나로 삽입되어 전방 에지 또는 가이드 암(26)이 다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심한 부상이 배제된다.
도 7은 제동 부재(52)가 부분적으로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는 도 5에 따른 장치와 유사하다. 가이드 바디(28)는 평면(65 및 66)을 구비하고, 이들은 운동 방향으로 향한다. 제동 부재(52)의 로드(55)에서 가이드 바디(28)와 제동 부재의 헤드(56 및 57) 사이에 각각 2 개의 관형 탄성 중합체 바디(67 및 68)가 배치된다.
도 4 또는 6에 따른 상황 중 하나가 나타나면, 운동 방향에 따라, 양 탄성 중합체 바디(67 및 68) 중 하나가 가이드 바디(28)와 인접한 헤드(56 또는 57) 사이에 핀치되어 스퀴징된다. 이로 인해 관련 탄성 중합체 바디(67 또는 68)가 압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챔버(30)의 내벽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추진 부재(32)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는 위험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기 이전에 가이드 레일(29) 내로 공급된다. 도 8은 연장시 상황을 도시한다. 수축시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며, 탄성 중합체 바디(67)가 아닌 탄성 중합체 바디(68)가 함께 가압되는 차이점을 가진다.
도 5 및 7에 따른 실시예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면, 도 3은 연장시에만 작용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수축은 보호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수축시 추진 부재(32)의 루즈한 트리거링이 추가 힘을 발생시키지 않고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5 및 7에 따른 실시예가 마찬가지로 비지향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부 스프링 암(61)이 생략되고 추진 부재(32)가 하부 헤드(56)에 둔하게 접촉되며, 대신에 여기에 인장 및 가압이 방지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여기서도 추진 부재(32)가 제동 부재(52)의 하부 헤드에 인장 및 가압이 방지되도록 연결되는 대신에 가압만 방지되도록 접촉되는 경우, 상부 탄성 중합체 바디(68)는 마찬가지로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서 가이드 레일마다 제동 장치가 존재하며, 상기 제 동 장치에 의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가동 전방 에지가 장애물에 부딪치는 경우,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이동을 위해 필요한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레일 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신체 부상을 야기하는 핀치의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 롤러 블라인드가 제조된다.

Claims (29)

  1. 와인딩 샤프트(22),
    에지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22)에 고정되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22)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프(42)가 고정되는 에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21),
    상기 와인딩 샤프트(22)에 결합되며 상기 와인딩 샤프트(22)에 회전 토크를 가하며, 상기 회전 토크는 상기 롤러 블라인드(21)의 권선 방향으로 상기 와인딩 샤프트(22)에 작용하는 스프링 모터(50),
    당겨진 상기 롤러 블라인드(21) 옆에서 연장하며 상기 후프(42)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29),
    상기 가이드 레일(29)을 따라 연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추진력을 상기 롤러 블라인드(21)를 상기 와인딩 샤프트(22)로부터 당기는 방향으로 발생시키는 선형 추진 부재(32),
    상기 후프에 가해지는, 예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지연력이 존재할 때 제동 장치(28, 52, 67, 68)가 추진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 내로 공급하도록 상기 추진 부재 및 상기 후프와 상호 작용하는 제동 장치(28, 52, 67, 68)를 포함하는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28, 52, 67, 68)가 상기 후프(42)의 이동시에만 상기 롤러 블라인드(21)를 상기 와인딩 샤프트(22)로부터 당기는 방향 또는 양 운동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28, 52, 67, 68)가 스프링 탄성 복원 수단(47, 58, 61, 67, 68)을 포함하고, 상기 복원 수단은 상기 제동 장치(28, 52, 67, 68)를 리프팅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다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 복원 수단(47, 58, 61, 67, 68)은 추진력과 지연력 사이의 차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28, 52, 67, 68)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상기 지연력의 크기는, 상기 스프링 모터(50)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후프(42)에 작용하는 복원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프(42)가 상기 가이드 레일(29)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분(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프(42)가 각 상기 가이드 레일(29) 마다 상기 가이드 레일(29)과 상호 작용하는 가이드 부분(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이 상기 제동 장치(28, 52, 67, 68)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이 상기 제동 장치(28, 52, 67, 68)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이 아이들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9)을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며, 상기 후프(42)에 대한 다른 상대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9)에 대해 잼(jam)되도록 상기 후프(42)에 가동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이 축(44)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고, 상기 축은 상기 후프(42)가 위치된 당겨진 롤러 블라인드(21)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이 제동 위치에서 형상 결합식 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29)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관련 선형 추진 부재(32)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 부분(28)이 단지 상기 후프(42)의 운동 방향으로만 상기 후프(42) 또는 상기 가이드 부분(28)과 형상 결합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28, 52, 67, 68)는 제동 부재(28, 52, 67, 68)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 부재는 형상 결합방식 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29)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5. 제 1항 및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52, 67, 68)는 상기 가이드 부분(28)에 가동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6. 제 1항 및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52, 67, 68)가 상기 가이드 부분(28)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 부분(28)에 대한 상기 제동 부재(52, 67, 68)의 운동 방향은 가이드 레일(29)에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의 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은 2 개의 서로 마주 놓은 정면(52, 53, 65, 66)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은 상기 가이드 부분(28)의 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면(52, 53)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28, 52, 67, 68)가 연장부(58, 61)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28)의 상기 원추형 정면(52, 53)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28, 52, 67, 68)가 노우즈(59, 62)를 지지하고, 상기 노우즈는 상기 가이드 레일(29) 상의 치형부(63)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67, 68)는 탄성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2.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28, 52, 67, 68)는 상기 가이드 부재(28)의 정면측(65, 66) 옆에 배치되고, 이것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제동 부재(28, 52, 67, 68)는 상기 가이드 부재(28)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동되고, 상기 가이드 부분(28)의 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29)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제동 부재(28, 52, 67, 68)는 상기 가이드 부재(28)와 상기 추진 부재(32) 사이에 운동학적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9)이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홈 챔버(30) 및 홈 슬롯(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챔버(30)가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28)이 네크 부분(26)을 통해 상기 후프(4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 부분(26)이 상기 후프(42)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 방향으로 상기 후프(4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 부분(26)이 상기 가이드 레일(29) 또는 상기 가이드 부분(28)의 근처에서, 상기 네크 부분(26)이 상기 가이드 슬롯(31)을 통해 통과하는 횡방향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KR1020060035652A 2005-04-21 2006-04-20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KR20060110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8903.2 2005-04-21
DE102005018903 2005-04-21
DE102005029560A DE102005029560A1 (de) 2005-04-21 2005-06-23 Rollo mit Einklemmschutz
DE102005029560.6 2005-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815A true KR20060110815A (ko) 2006-10-25

Family

ID=3669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652A KR20060110815A (ko) 2005-04-21 2006-04-20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37152A1 (ko)
EP (1) EP1714813A3 (ko)
JP (1) JP2006298370A (ko)
KR (1) KR20060110815A (ko)
CN (1) CN1854452B (ko)
DE (1) DE102005029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9559B4 (de) * 2005-06-23 2007-05-03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mit vollständiger Schlitzabdeckung durch das Auszugsprofil
DE202007016327U1 (de) * 2007-07-20 2008-02-07 Bos Gmbh & Co. Kg Beschattungsrollo mit Rolloverriegelung
ITTV20080004A1 (it) * 2008-01-10 2009-07-11 Nice Spa Azionamento per avvolgibili con protezione contro vento eccessivo
JP2011131807A (ja) * 2009-12-25 2011-07-07 Toyota Boshoku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CN102381159A (zh) * 2010-09-03 2012-03-21 皇田工业股份有限公司 遮阳帘用的挂钩
JP6000563B2 (ja) * 2012-02-09 2016-09-28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US8540008B2 (en) * 2012-02-14 2013-09-24 Ing-Wen Chen Lift guiding system for a car curtain
US9278610B2 (en) * 2014-06-13 2016-03-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nti-pinch moonroof control system and method
RU185222U1 (ru) * 2017-02-13 2018-11-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ифровая динамика"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оложением подвижной части автомобиля
CN109532684A (zh) * 2018-11-22 2019-03-29 大乘汽车有限公司 一种遮物帘
CN109552186A (zh) * 2018-11-22 2019-04-02 大乘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遮物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17A (en) * 1894-11-20 Holding device for spring-actuated shades
US315789A (en) * 1885-04-14 Curtain-fixture
DE3677008D1 (en) * 1985-11-06 1991-02-21 Automatic Roller Doors Tuersicherheitsstange.
DE10057762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rollo mit Ausgleich gegen Verzug
DE10057759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scheibe mit daran befestigtem Fensterrollo
DE10245929A1 (de) * 2002-09-30 2004-04-08 Arvinmeritor Gmbh Baugruppe bestehend aus mindestens einer Führungsschiene und einem Schlitten, insbesondere für ein Sonnenschutzrollo in einem Kraftfahrzeug
DE10248958A1 (de) * 2002-10-21 2004-04-29 Arvinmeritor Gmbh Baugruppe bestehend aus mindestens einer Führungsschiene und einem Schlitten, insbesondere für ein Sonnenschutzrollo in einem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4813A2 (de) 2006-10-25
CN1854452A (zh) 2006-11-01
DE102005029560A1 (de) 2006-11-02
JP2006298370A (ja) 2006-11-02
EP1714813A3 (de) 2009-12-02
CN1854452B (zh) 2012-08-01
US20060237152A1 (en)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0815A (ko)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KR100844281B1 (ko) 트랙션 로드용 센터링 디바이스를 구비한 권취식 윈도우셰이드
KR100744958B1 (ko)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CN103298648B (zh) 适于机动车辆座椅的包括两对导轨的纵向调节装置
KR100876847B1 (ko)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US6347825B2 (en) Side window blind with slot covering
KR20010078789A (ko) 후방 창의 롤-업식 블라인드
US7537039B2 (en) Window blind driven by a window lifter
US6390558B2 (en) Seat for a means of transport
KR101111988B1 (ko) 윤곽 부분이 있는 사이드 윈도우 셰이드
KR20070003618A (ko) 전기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US20070023152A1 (en) Roller blind with smooth pusher elements
KR20060046573A (ko) 사이드 윈도우 롤업 쉐이드용 장치
US8602082B2 (en)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04136881A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KR10169711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90049991A (ko) 구동 포크에서 마찰력이 감소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US20060219372A1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movable shaft
CN210622537U (zh) 荷兰式开门装置
JP2007008456A (ja) 作動要素と嵌合する終端ストッパを有する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CN107980027B (zh) 用于机动车的窗玻璃的遮蔽装置
KR102383374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프 장치
EP1195279A3 (en) Guide track for a moveable window pane of a vehicle
US11691484B2 (en) Sunshade curtain having a translocation function
KR100862719B1 (ko)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