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793A -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793A
KR20080066793A KR1020087011270A KR20087011270A KR20080066793A KR 20080066793 A KR20080066793 A KR 20080066793A KR 1020087011270 A KR1020087011270 A KR 1020087011270A KR 20087011270 A KR20087011270 A KR 20087011270A KR 20080066793 A KR20080066793 A KR 2008006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ssembly
input assembly
elements
accelera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942B1 (ko
Inventor
엘라인 첸
롭 포돌로프
로라인 휠러
베드 마쿠스
Original Assignee
지모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844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6679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모트, 인크. filed Critical 지모트,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6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Abstract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은 휴대폰, PDA, 포켓 PC,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호스트 전자 장치를 원격으로 동작시키도록 입력 가속기 장치 상에서 구현된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호스트 장치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제어하여 호스트 장치와 직접 인터페이스 통신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한 표면상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또는 핑거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구성 가능한 입력 요소, 및 다른 표면상에는 사용자의 핑거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구성 가능한 선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마주하는 엄지손가락과 핑거의 생체 역학적 효과를 최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무선 헤드셋을 장치 제어 특징과 결합한 하이브리드 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 호스트 장치, 입력 가속기 장치,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저장 장치, 부속 장치, 입력 어셈블리, 통신 채널, 다운로드 관리자

Description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다음의 설명은 셀룰러폰, PDA, 포켓용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휴대용 게임 장치, 바코드 리더, MP3 플레이어, 및 키보드 또는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를 갖는 기타 다른 유사한 입력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와 인터페이스 통신하는 휴대용 입력 가속 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휴대용 가속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은 부분적으로 처리 전력 대가의 감소와 동시에 보다 작은 장치에 대한 소비자에 의한 요구의 증가로 인하여 점차 정교하고 물리적으로 더 작아져 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데이터 입력(예컨대, 텍스트, 숫자, 및 기능 입력) 및/또는 장치 제어용 장치와 인터페이스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능력에 의해 기능 및 이용이 제한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장치는 데이터 입력 및/또는 장치 제어에 사용되는 입력 요소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표면상의 이용 가능한 공간이 계속 감소함에 따라 행하기 점점 더 어려워진다.
더욱이, 텍스트 중심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SMS, 및 MMS용 데이터 입력), 리스트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노래를 선택하기 위해 긴 노래 목록을 스크롤 다운하는 것과 같은 1-D 또는 2-D 내비게이션), 및 게임 애플리케이션(예컨대, 1인 운전 게임의 자동차 조종)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전자 장치 상의 키패드는 데이터 입력, 게임 실행, 긴 목록으로부터의 아이템 선택, 웹 브라우징, 및 애플리케이션 개시의 속도, 정확도 및 용이성에 점차 장애가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많은 휴대용 전자 장치, 특히 휴대폰은 아이템 단위에 기초하여 노래의 목록과 같은 아이템의 목록을 상하로 내비게이팅하는 주된 방법으로서 D-패드를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아이템 단위의 스크롤링은 특히 목록이 수백 개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경우에 목록 내의 첫번째 아이템으로부터 목록 내의 마지막 아이템까지 내비게이팅하는데 통상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이들 전자 장치의 대부분이 사용자에게 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 기능 - 이 기능은 사용자가 한꺼번에 많은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예를 들어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페이지당 10개의 아이템과 연관될 수 있음 - 을 제공하지만, 때때로 이러한 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 기능은 복수의 탭(tap)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 - 통상 키패드로 이루어짐 - 의 누름을 통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 기능을 유발하는데 요구되는 특정 개수의 탭 또는 입력 요소의 수는 통상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선호에 달려있으며, 따라서 종종 동일한 전자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마다 상이하다. 동일한 애플리케이션까지도 상이한 휴대용 전자 장치 내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한 다양한 휴먼 인터페이스와 입력 시스템 및 기술이 데이터 입력 및 장치 제어를 위해 개발되어 왔다. 이들은 코드(chordal) 입력 기술, 모드(modal) 입력 기술 및/또는 스마트 키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소형 키보드와 키패드; 및 온-스크린 키보드나 키패드 소프트웨어 또는 수기 인식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게임을 위해서, 휴대폰과 같은 일부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방향성 내비게이션 패드(D-패드)의 대신에 장치 자체의 면에 소형 섬 조이스틱(thumb joystick)을 합체하였다.
코드, 모드 및 스마트 키 기술과 함께 사용되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소형 키보드 및 키패드는 그들의 표준 풀-사이즈 버전과 유사하다 - 즉,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풀 세트 또는 거의 풀 세트의 숫자, 문자, 및 기능 입력 요소를 갖는 반면, 키패드는 통상적으로 키보드와 비교하여 축소된 세트의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 입력 요소를 갖는다. 이들 소형 입력 장치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면에 이용 가능한 공간을 맞추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작고,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는 외부 플러그-인 장치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가 더 작아짐에 따라, 입력 요소의 사이즈는 통상적으로 원하는 개수의 입력 요소가 전자 장치의 일면에 맞추도록 감소되어 왔다.
데이터 입력 및 장치 제어를 위해, 소형 키보드 및 키패드는 통상적으로 다음 2개의 입력 기술 중 어느 하나를 필요로 한다 - 원하는 입력 요소를 누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엄지손가락 또는 다른 손가락(핑거)을 사용하는 것 또는 원하는 입력 요소를 "콕 찍기(peck)" 위해서 스타일러스를 사용하는 것(이는 보통 입력 요 소가 더 작은 사이즈인 경우에 행해짐). 코드 입력 기술, 모드 입력 기술 및 스마트 키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소형 키보드 및 키패드를 사용하는 효율 및 유효성을 향상시키도록 개발 및 구현되어 왔다.
코드 입력 기술
코드 입력 기술은 일반적으로 문자, 심벌, 단어, 어구 또는 개념들이 축소된 세트의 입력 요소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원리에 기초한다. 따라서, 축소된 조합의 입력 요소를 누르기만 함으로써, 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보다 신속하고 보다 정확한 데이터 입력을 실현할 수 있다. 코드 입력 기술은 임의 키보드나 키패드 구성 또는 2개 이상의 입력 요소를 갖는 임의 장치 상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종래의 키보드나 키패드와 비교하여 보다 적은 입력 요소 또는 보다 많은 기능의 결과를 가져온다. 양손 사용의 코드 입력 기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의 일례는 법정 속기사 또는 속기사의 타이프라이터이다. 작동 수를 감소시켜 많은 기능을 달성하도록 키패드를 사용하는 한가지 코드 입력 기술은 "Compact Keyed Input Device" 명칭의 Levy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973,62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로 반영되어 있다.
모드 입력 기술
모드 입력 기술은 전자 장치, 예컨대 휴대폰 또는 PDA 내의 텍스트 메시징의 기능들이 키보드나 키패드 상의 특정 입력 요소(또는 요소의 조합)를 누름으로써 액세스될 수 있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일단 그 특정 입력 요소가 눌려지면, 키보드나 키패드 상의 모든 또는 일부분의 입력 요소의 기능성이 변경될 수 있다. 모드 기술은 전형적으로 계산기, 휴대폰, 및 PDA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휴대폰에서, 멀티탭으로 불리는 모드 기술은 보편적인데, 여기서 키패드 상의 개별 입력 요소는 문자, 글자, 숫자, 아이콘 또는 기타 다른 유형의 심벌과 같은 복수의 심벌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입력 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고, 예컨대 12 입력 요소 키패드가 영어 알파벳의 모든 문자와 십진수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엄지손가락, 핑거, 또는 스타일러스로 그 특정 입력 요소 위를 태핑하여 1회 이상 원하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어떤 입력 요소와 연관된 한 세트의 심벌 내에서 원하는 심벌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텍스트 메시지를 보내고 싶으면, 사용자는 기능 입력 요소, 예컨대 모드 키를 눌러 휴대폰의 텍스트 메시징 기능에 액세스하고 나서 개별 입력 요소를 1회 이상 태핑하여 입력하기 위한 연관된 심벌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심벌을 입력하는데 필요로 하는 탭의 개수는 선택된 언어 문자 세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어 키패드나 키보드는 통상적으로 텍스트 입력을 위해 46 문자의 최소 세트를 필요로 하는 반면, 영국 또는 미국식 키보드 및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텍스트를 입력을 위해 26 문자의 최소 세트를 필요로 한다. 이들 모드 입력 기술은 사용자가 보다 많은 텍스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인기를 얻고 있지만, 이들 기술은 일부 글자나 문자에 액세스하기 위해 키패드 상의 입력 요소를 3 또는 4번 태핑해야 하기 때문에 귀찮을 수 있다. 또한, 휴대폰과 같이 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장치에서, 이들 모드 입력 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존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핑거만큼 능숙하지 못하다.
스마트 키
스마트 키는 통상적으로 키패드 상에 사용되고, 단일 키 또는 누를 때 사용자의 다음 논리적 행동을 추측하는 키의 조합으로 칭한다. 일부 구현예들은 다른 것들보다도 더 양호하게 작동하며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것들보다 더 양호한 기능을 완성하는데 요구되는 키스크로크의 수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단어-추측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자에 기초하여, 주어진 언어 내의 가능성 있는 확률로 사용자가 입력하려고 하는 단어 또는 문자의 예측을 시도한다. 소프트웨어가 정확하게 추측하는 확률은 입력되는 단어의 길이 또는 문자수에 따라 증가한다. 키패드 상에 스마트 키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사용자는 키 2, 2 및 8을 순차적으로 태핑하여 단어 "cat"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치는 그 단어가 일반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조합이기 때문에 그 단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반면에, 동일한 키를 누름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단어 "bat"는 그것이 보편적이지 않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단어 "cat"는 단어-추측기 소프트웨어에 의한 예측에 기초하여 2 키를 두 번 누른 후에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 키는 또한 사용자가 일본어 문자(예컨대, 간지(Kanji) 문자)의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를 음성적으로 입력하는 일본어 데이터 입력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입력된 글자에 기초하여, 추측기 소프트웨어는 일본어 문자를 예측한다. 문 자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허용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스크롤링 기능을 사용하여 유사한 세트의 음성 입력을 갖는 다음 문자로 이동한다.
온-스크린 키보드 또는 수기 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터치 스크린
터치 스크린을 갖는 온-스크린 키보드 또는 키패드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사용자에게 스크린 사이즈의 키보드나 버튼 상에서 엄지손가락이나 핑거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여, 스타일러스 또는 물리적인 키보드나 키패드 부속품 없이 보다 빠른 데이터 입력을 허용한다; 반면에, 팜(Palm) 운영 체제 상에 Graffiti™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갖는 수기 인식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터치 스크린 상에서 텍스트를 직접 기록함으로써 스타일러스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며 무 터치-감응 스크린보다 더 비싸다. 이 높은 전력 소비는 통상 제한된 전원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양손(예컨대, 한 손은 장치를 쥐고 안정시키는데 사용되고 다른 손은 스타일러스를 잡는데 사용됨)을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휴대폰과 같이 한 손을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와 인터페이스 통신 및 제어하는데 보통 바람직하지 않다. 수기 인식 소프트웨어는 스타일러스, 엄지손가락 또는 핑거에 따른 느림과 불편함을 향상시켰지만, 높은 전력 소비, 양손 사용의 필수, 및 입력 요소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의 부족과 같이 다른 결점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더욱이, 인식 소프트웨어는 적절히 사용하기 위한 훈련을 필요로 하며, 그럼에도 여전히 높은 에러율의 결과를 초래한다.
게임 제어
게임 제어를 위해서, 많은 상기의 방식들이 사용되었지만,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는 장치의 정면에 통상 위치해 있는 소형 키패드 및/또는 D-패드 상에서와 같이 어떤 형태의 입력 요소의 사용을 통하여 통상적으로 게임 실행을 제어한다. 휴대폰과 같은 일부 휴대용 전자 장치 상의 게임 제어는 장치의 사이즈로 인해서 본래 한손용이거나 기꺼해야 2개의 엄지손가락용인 반면에, PDA 및 종래의 게임 콘솔 제어기와 같은 다른 휴대용 전자 장치 상의 게임 제어는 통상적으로 양손용이다. 이들 장치 상의 게임 제어와 연관된 입력 요소는 전형적으로 디지털, 특히 D-패드이지만, Microsoft의 Xbox 또는 Sony의 Play Station 2와 같이 PC 및 콘솔 게임 시스템용 게임 제어기 상에서 아날로그 입력 요소가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한 종래의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이 다른 이유들 가운데 사용하기에 비교적 비융통적이며, 성가시고, 비효율적인 경향이 있는데, 이들이 사람 손의 생체 역학, 특히 엄지손가락과 핑거의 대립 관계와 연관된 이점, 즉 엄지손가락의 유익한 특성, 예컨대 넓은 범위의 움직임과 큰 지지력을 부여하는 능력과, 핑거의 유익한 특성, 예컨대 미세한 운동 신경 제어, 공간 기억 및 움직임의 신속성을 이용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코드 및 모드 기술과 같이 데이터 입력 및 장치 제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개발된 입력 기술이 종래의 입력 시스템에 따른 비효율성에 의해 제한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면, 코드 입력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소형 키보드 및 키패드는 사용자가 수많은 입력 조합을 기억하고 필수적인 운동 신경 기량을 개발하여 전형적인 QWERTY 키보드에 비해서 훨씬 더 복잡한 기능을 제공하는 감소된 수의 입력 요소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 손의 엄지손가락과 핑거에 입력 부담을 효율적으로 할당 또는 이를 사용하지 않았다. 더욱이, 모드 입력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소형 키보드 및 키패드는 특정 심벌을 입력하는데 요구되는 탭의 개수 및 사용자가 특정 심벌을 선택하기 위해 그의 엄지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로 입력 요소를 얼마나 빨리 태핑할 수 있는지에 따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의 능력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MP3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의 출현으로, 많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빠르고 직관적인 스크롤링 및 목록 내비게이션 동작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면, 많은 휴대용 전자 장치, 특히 휴대폰은 아이템 단위에 기초하여 노래 목록과 같은 아이템 목록을 위아래로 내비게이팅하는 주 방법으로서 D-패드를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아이템 단위의 스클롤링은 특히 목록이 수백 개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경우에 목록 내의 첫번째 아이템으로부터 목록 내의 마지막 아이템까지 내비게이팅하는데 통상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더욱이, 사용자가 긴 아이템 목록을 내비게이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이들 장치의 다수에 제공된 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 기능은 종종 복수의 탭 또는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의 누름을 통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페이지 업다운 기능을 유발하는데 요구되는 특정 개수의 탭 또는 입력 요소의 수는 보통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선호에 달려 있으며, 따라서 종종 동일한 전자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마다 상이하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러한 장치에서 게임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의 능력이 크게 제한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게임 제어가 PC 및 콘솔 게임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였지만, 아날로그 게임 제어는 일반적으로 휴대폰 및 PDA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는 널리 이용 가능하지 않았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Xbox 또는 Play Station 2와 같은 게임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대부분의 하이 엔드(high end) 게임들은 소형 또는 풀 사이즈 조이스틱과 같이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로부터의 아날로그 또는 연속 입력을 수반한다. 그와 대조적으로, 휴대폰 및 PDA는 게임 실행용 입력으로서 버튼이나 키만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이 알고 있는 바로는, 휴대폰용 입력 요소 레이아웃에 대하여, 또는 입력 요소가 게임 기능으로 매핑되는 경우에 대한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때때로, 이들 휴대폰 대부분에 제공된 D-패드는 게임 입력으로서 사용하기에는 게임 개발자에게 이용 가능하지 않다. 그 결과는 키패드 상의 숫자 입력 요소, 특히 업, 다운, 왼쪽 및 오른쪽 방향성 이동을 위한 키패드 상의 "2", "8", "4", 및 "6" 입력 요소를 사용하여 방향성 이동 입력이 종종 제공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 레이아웃이 몇가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첫째로, 입력이 이산적이므로, 1인 운전 게임에서의 자동차 조종과 같은 연속적인 입력을 제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게임에서, 자동차는 미리 설정된 증분에서 단지 왼쪽, 직진, 또는 오른쪽으로만 이동하도록 조종될 수 있는데, 이는 게임 경험의 질을 심각하게 제한한다. 둘째로, 방향성 이동은 숫자 입력 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반면에 D-패드 상의 명확히 라벨링된 화살표 키는 미사용 상태로 있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익숙해지는 것을 필요로 하여 사용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셋째로, 숫자 입력 요소는 통상적으로 전화기 표면의 일단에 배치되며, 따라서 통상적으로 숫자 입력 요소 위에 배치된 D-패드보다는 사용하기에 덜 편리하다. 그 결과는 게임 실행이 제한되고 보다 양호한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만큼 폭넓게 채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키 포브(key fob) 또는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다양한 소형 휴대용 부속 장치 또는 "입력 가속기"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유연하고 효율적인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및 기술을 개발하였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블루투스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휴대폰, PDA, 포켓 PC,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또는 기타 유사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종래의 휴대용 전자 장치(즉, 호스트 전자 장치)에 연결할 수 있고, 접속된 호스트 전자 장치의 모든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문자 입력, 게임 실행, 리스트 네비게이션 및 스크롤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능력을 가속화하기 위해 호스트 전자 장치 상에 입력 요소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입력 가속기 장치는 비효율적인 휴먼 인터페이스 및 접속된 호스트 전자 장치의 입력 시스템과 직접 인터페이스 통신하는 필요도 없애줄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또한 리모트 컨트롤의 기능 이외에 무선 헤드셋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이브리드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한손용이든 또는 양손용이든)는 손에 고유한 마주보는 엄지손가락 및 핑거 인간공학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그 기술은 데이터 입력, 리스트 네비게이션, 장치 제어, 및 게임 제어를 시간 내에, 효율적이고, 편안하고, 재미있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종래의 입력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개발되었다. 따라서, 임의의 새로이 구매된 휴대용 장치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것 이상의 어떠한 구체화된 트레이닝도 기대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입력 가속기 장치에 대한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및 기술의 구현예들은 다음 특징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와 인터페이스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채널, 작동될 필요가 있는(없을 수도 있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 상의 특정 입력 요소를 여러 번 소형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으로 선택적으로 매핑될 수 있는 다수의 입력 요소를 갖는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입력 어셈블리 및 통신 채널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입력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이 입력 컨트롤러는, 최소한 하나의 입력 요소의 작동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작동된 입력 요소에 매핑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휴대용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로 입력 신호를 중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텍스트, 그래픽 또는 비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펌웨어와 같이 명령을 저장하고, 텍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소프트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매핑하고,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링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고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명령을 로딩하도록 구성된 메인 메모리 및 프로세서로(부터) 명령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버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어셈블리는 정면 입력 어셈블리, 후면 입력, 및/또는 측면 입력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어셈블리의 입력 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음 타입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버튼, 디지털 버튼, 키, 로커(rocker), 슬라이더, 회전 다이얼, 터치 패드, 압력 센서,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압전 저항 센서, 용량성 센서, 위치 센서, 회전 인코더, 선형 전위계, 방향 또는 D-패드, 및 소형 아날로그 섬 조이스틱. 통신 채널은 범용 직렬 버스 포트, IEEE 1394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 직렬 포트, 병렬 포트, 헤드폰 포트 및/또는 데이터 포트일 수 있다. 통신 채널은 또한 블루투스 접속, 적외선 접속, 및 Wi-Fi 접속과 같은 무선 데이터 접속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복수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은 다수 입력 요소를 갖는 입력 가속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다수 입력 요소들 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단계; 작동된 입력 요소로 매핑된 하나 이상의 기능에 기초하여 발생된 입력 신호를 해석하는 단계; 및 작동된 요소로 매핑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수의 입력 요소들 중의 하나를 하나 이상의 인덱싱 기능으로 매핑하도록 구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인덱싱 기능으로 매핑되는 입력 요소와 연계하여 복수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 중 하나에서 입력 요소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입력 가속기 장치 및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및 기술은 하나 이상의 다음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및 연관된 기술들은 가장 까다로운 게임 입력 요건을 지원할 수 있는 고성능 게임 제어기의 기능, 및 대형 풋프린트 없이, 종래의 표준 QWERTY 키보드의 사용으로 얻어질 수 있는 데이터 입력의 속도 및 정확성을 부여한다. 또한,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및 연관된 기술들은 필요한 키 스트로크 또는 탭의 수를 증가시킴 없이, 주어진 수의 입력 요소와 관련될 수 있는 기능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입력 요소 크기가, 종래의 입력 시스템과 비교하여 입력 시스템을 사용하는 법을 배우는데 걸리는 시간을 증가시킴 없이, 인간 손의 인간공학과 일치한 채 남아 있는 것을 허용한다.
입력 가속기 장치 상에서의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및 기술의 구현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제공된, 유연성 없고, 귀찮고, 비효율적인 입력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통신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복수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입력 가속기 장치는 복수의 종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가속기 장치는 개시된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및 관련된 기술을 직접 구현하도록 종래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선 또는 재설계할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속기 장치는 패션 액세서리로서 작고 심미적으로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가속기 장치는 색상의 넓은 선택성과 더불어, 스포츠 팀의 로고 또는 만화 캐릭터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는 키 체인(key chain) 또는 휴대폰 줄에 쉽게 부착되거나, 포켓 또는 지갑에 클리핑되거나 포켓 또는 지갑 내에 휴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 규정된다.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의 또 다른 블록도.
도 3은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의 입력 어셈블리의 상세한 블록도.
도 5a-d는 제 2 입력 어셈블리가 복수의 구성 가능한 활성 영역을 갖는 압력 센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 각각의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 상의 제 2 입력 어셈블리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d는 리모트 컨트롤과 무선 헤드셋의 결합을 포함하는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다양한 도면 내의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사람 손의 생체 역학
사람 손은 마주보게 할 수 있는 엄지손가락과 4개의 다른 손가락(핑거)을 포함하는데, 즉 엄지손가락은 임의의 4개의 핑거와 반대로, 협력하여, 조합하여 또는 기능적 관계로 사용될 수 있다. 사람의 핑거와 비교하여, 사람의 엄지손가락은 더 넓은 범위의 움직임, 더 강한 지지력 작용 및 더 서투른 손재주를 갖는 것으로 특징될 수 있다.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기본 관절은 좌우 이동, 상하 이동, 및 엄지손가락의 긴 축 주위의 회전과 같은 3 자유도를 갖는 반면에, 핑거의 기본 관절은 좌우 및 상하 이동과 같은 2 자유도를 갖는다. 따라서, 엄지손가락은 임의의 핑거보다도 더 양호한 범위의 움직임을 갖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람의 엄지손가락이 임의의 핑거보다도 더 큰 작용 근육을 갖기 때문에, 이는 핑거보다도 더 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더 큰 근육으로 인해서, 사람의 엄지손가락은 핑거에 비해서 발휘될 수 있는 섬세한 운동 신경 제어 및 움직임의 민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핑거는, 섬세한 근육 운동 협력 또는 정밀 조준 능력 또는 신속한 반복 작용의 능력을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보다 적합하다.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 하드웨어 개요
도 1은 저장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고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에서 실행하기 위해 휴먼 인터페이스와 입력 시스템 및 본원에서 설명하는 연관된 입력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100)의 고 레벨 블록도이다. 입력 가속기 장치(100)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대한 부속하는 보조 장치이며,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보조 장치 및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와 동시에 또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대신에 보조 장치와만 인터페이스 통신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10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과 같은 통신 링크(111)를 사용하여 휴대폰, PDA, 포켓 PC, 스마트 폰, 또는 기타 유사한 장치와 같은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은 피코넷(piconet)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2.4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거리, 저전력 1 Mbit/sec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피코넷은 마스터와 7개까지의 슬레이브를 가질 수 있다. 마스터는 짝수 타임 슬롯에서 전송하는 반면, 슬레이브는 홀수 타임 슬롯에서 전송한다. 피코넷 내의 장치는 1 Mbit/sec의 총 용량을 갖는 공통하는 통신 데이터 채널을 공유한다. 헤더 및 핸드쉐이킹(handshaking) 정보는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여 대화를 시작하고 서로 탐색하여 접속한다.
통신 링크(111)는 변형적으로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IEEE 1394 파이어와이어, 또는 기타 다른 직렬 또는 병렬 포트 접속과 같은 표준 데이터 포트를 사용하는 유선 링크일 수 있다. 또한, 통신 링크(111)는 적외선,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접속과 같은 다른 표준 무선 링크일 수 있다. Wi-Fi는 802.11a/b/g를 포함하는 임의 유형의 IEEE 802.11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Wi-Fi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인터넷 무선 접속 또는 장치들 간의 접속을 제공한다. Wi-Fi는 비허가 2.4 GHz 무선 대역에서 11 Mbit/sec(802.11b) 또는 54 Mbit/sec(802.11a) 데이터 속도로 또는 양 대역 모두를 포함하는 제품에 대하여 동작한다. 적외선은 사람의 눈이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더 낮은 주파수의 광파를 가리킨다. 대부분의 텔레비전 원격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므로, 적외광의 빔을 통하여 장치 간에 정보가 전달된다. 표준 적외선 시스템은 IrDA(infrared data assiciation)라 하고 일부 컴퓨터를 디지털 모드에서 주변 장치와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통신 링크(111)는 입력 가속기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의 통신 인터페이스(118)와 접속시킨다. 입력 가속기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6)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11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114)은 키, 버튼, 압력 센서 패드, 터치 패드, 회전 다이얼, 섬 조이스틱, 리니어 스트립 센서, 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나 핑거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연관된 기타 다른 작동기와 같은 입력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입력 요소는 호스트 장치(117)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에 선택적으로 매핑된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에 입력 요소를 매핑 또는 리매핑(re-mapping)하는 것은 "A Method of Remapping the Input Elements of a Hand-Held Device" 제목의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1/221,412호에 개시된 기술 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본원에 참고로 완전히 반영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및 입력 어셈블리(114)는 4개의 입력 요소로 구현되지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입력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요소를 작동시키는 경우, 입력 어셈블리(114)에 의해 전기 신호가 발생된다. 발생된 전기 신호는 입력 신호(122)로 변환되고, 이는 통신 링크(111) 상에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로 전송되며, 이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118)를 통해서 입력 신호(122를 수신한다. 입력 신호(122)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의해 처리되어 작동된 입력 요소에 매핑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실행한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는 ARM, OMAP, 또는 입력 신호 및 저장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도 2는 휴먼 인터페이스와 입력 시스템 및 본원에서 설명하는 연관된 입력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입력 가속기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구현예에서, 선택적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보다 강력한 보조 장치를 구성하여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로부터 입력 가속기 장치(200) 상으로 보다 많은 프로세싱 듀티(processing duty)를 처리하도록 제공된다.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입력 가속기 장치(100) 자체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구현예에서,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1/221,412호에 설명한 것과 같은 리매핑 소프트웨어를 저장 및 실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인터넷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실행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도록 셀룰러 폰에 제공된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CDMA 또는 GSM/SPRS)과 같은 휴대용 호스트 장치에 제공된 통신 기능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100)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와 무선(변형적으로 유선) 통신한다.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는 입력 가속기 장치(200)에 대하여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는 종래의 휴대폰이지만, 다른 유형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입력 가속기 장치(2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버스(202) 또는 정보를 전달하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 및 ARM, OMAP 또는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204) - 하나 이상의 명령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와 같은 정보를 처리하는 버스(202)와 연결됨 - 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리매핑 소프트웨어나 텍스트, 게임이나 스크롤링 애플리케이션, 또는 임의의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내장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프로세서(204)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와 명령을 저장하도록 버스(202)에 연결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동적 저장 장치와 같은 주 메모리(20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주 메모리(206)는 또한 프로세서(204)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의 실행중에 임시 변수 또는 다른 중간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프로세서(204)용 정적 정보와 명령을 저장하도록 버스(202)에 연결된 읽기 전용 메모리(ROM)(208) 또는 다른 정적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를 위한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해 저장 장치(210)가 제공되어 버스(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 장치(210)는 EEPROM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콤팩트 플래시, 또는 장치 펌웨어를 저장하는 유사한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펌웨어에 대한 업그레이드는 호스트 장치를 통하여 용이하게 다운로드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LCD)와 같은 선택적 표시 장치(212), 및 사용자로부터 프로세서(204)에 정보와 명령 선택을 전달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114)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선택은 프로세서(204)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배포하도록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114)으로부터 버스(202)로 입력 신호(122)로서 전달된다.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또한 버스(202)에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6)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무선 서비스 장치, 또는 무선 서비스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211)을 제공한다. 양방향 데이터 통신(211)은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와 입력 가속기 장치(200) 사이의 대화식 데이터의 교환을 허용한다. 대화식 데이터는 휴대폰 호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대화를 행하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식 데이터는 또한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적 표시 장치(21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휴대폰 호스트 장치는 앞서 언급한 대로 인터넷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관의 역할을 한다. 통신 인터 페이스(216)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링크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부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무선 링크 구현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16)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전기, 전자기 또는 광학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12) 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여 입력 가속기 장치(200)의 통신 범위 내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범위 내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의 리스트는 각 장치의 텍스트명, 각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명과 각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조합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입력 어셈블리(406, 408, 409)(아래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됨) 내의 입력 요소는 조합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되어 입력 가속기 장치(200)의 통신 범위 내의 장치의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는 대부분의 단순 텍스트/음성 제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포켓, 가방 또는 기타 다른 저장 위치로부터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를 제거할 필요성을 없게 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는 또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및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모든 연관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 개요
도 3은 입력 가속기 장치(100) 또는 입력 가속기 장치(200)의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114)의 서브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Human Interface System" 제목의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0/699,555호 - 본원에 참고로 완전히 반영됨 - 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114)은 입력 제어기(316)와 통신하는 입력 어셈블러(305)를 포함하여 입력 어셈블러(305)와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해석 및 생성한다. 입력 어셈블러(305)는 복수의 입력 어셈블러(아래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됨)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어셈블러는 입력 가속기 장치(100) 또는 입력 가속기 장치(200)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배치된 많은 입력 요소를 포함한다. 입력 요소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에 선택적으로 매핑되어 입력 요소 중 하나가 작동되는 경우에, 작동된 입력 요소로 매핑된 기능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입력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전기 신호(312)가 생성되고, 이는 입력 제어기(316)에 의해 수신 및 해석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입력 제어기(316)는 하나 이상의 전기 신호(312)를 수신하여 이들을 입력 신호(122)로 변환하는데, 이 신호는 입력 가속기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의 통신 인터페이스(118)와 접속시키는 통신 링크(111)를 통하여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입력신호(122)는 입력 가속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16)를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의 통신 인터페이스(118)와 접속시키는 통신 링크(211)를 통하여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전송된다. 일 구현예에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는 매핑 소프 트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즉시적으로(on the fly) 해석하여, 작동된 입력 요소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한다. 변형적으로, 입력 가속기 장치(200)는 저장 유닛(2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122)를 해석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입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어셈블리(305)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다. 입력 어셈블리(305)는 정면 입력 어셈블리(406), 후면 입력 어셈블리(408), 및 측면 입력 어셈블리(409)를 포함한다. 정면 입력 어셈블리(406) 및 후면 입력 어셈블리(408)는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를 포함한다. 입력 요소는 입력 요소의 작동시 하나 이상의 전기 신호(312)를 생성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입력 제어기(316)는 하나 이상의 전기 신호(312)를 수신하여 이들을 입력 신호(122)로 변환하는데, 이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의해 수신 및 해석되는데 적당한 형태를 취한다. 변형적으로, 입력 신호(122)는 입력 가속기 장치(200) 상의 프로세서(104)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는 입력 신호(122)를 수신하고, 이 입력 신호를 위에서 언급하고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리매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것을 해석하는데, 이 리매칭 소프트웨어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에 로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122)는 블루투스 무선 프로토콜과 같은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18)에 의해 수신된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은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122)가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에서의 텍스트 메시징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내장 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한다. 입력 신호(122)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의해 수신 및 사용되어 정면 입력 어셈블리(406), 후면 입력 어셈블리(408) 및 측면 입력 어셈블리(409) 내의 입력 요소를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기능으로 매핑 및 리매핑한다.
예를 들면, 텍스트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에서 실행되면,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입력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예컨대, 휴대폰 상에 키패드를 형성하는 입력 요소)를 문자, 글자, 숫자, 아이콘, 기타 다른 유형의 심벌, 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심벌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심벌로 매핑하고,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 상의 정면 입력 어셈블리(406)의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를 시프팅 또는 인덱싱 기능으로 매핑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문자 "X"를 삽입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 상의 제 1 시프트 키와 그리고 나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숫자 키 "9"를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 "Y"를 삽입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 상의 제 2 시프트 키와 그리고 나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숫자 키 "9"를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 "Z"를 삽입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 상의 제 3 시프트 키와 그리고 나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숫자 키 "9"를 누를 수 있다. 그래서 문자 "Z"를 삽입하기 위해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숫자 키 "9" - 이는 대부분의 멀티-탭 인터페이스 상의 표준임 - 를 세번 눌러야만 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 상의 제 3 시프트 키의 한번 누름과 조합하여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숫자 키 "9"의 한번 누름으로 동일한 문자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 상의 후면 입력 어셈블리(408)의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는 스크롤링, 내비게이션, 또는 커서 제어 기능으로 매핑될 수 있다. 게다가, 측면 입력 어셈블리(409)의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는 텍스트, 게임 또는 음악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좋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단축키로서 매핑될 수 있다.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입력 신호(122)는 게임 실행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입력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입력 어셈블리(406, 408, 409)의 입력 요소를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로부터 게임 기능으로 매핑할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에 의해 전송되는 입력 신호(122)에 응답하여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의 입력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행해지든지 간에, 주어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입력 요소를 특정한 입력 기능으로 매핑하는 것은 다운로드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양식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다. 더욱이, 입력 요소의 매핑은 언어 키 설정 변경을 위해 행해질 수 있는데, 이는 복수 국가에 서비스하는 제조업체에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조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변형적으로, 입력 가속기 장치(200)의 프로세서(204)는 상술한 매핑 기능을 수행하고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의 프로세싱 부담의 일부를 경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114)은 특히 비용이 관심사인 입력 제어기(316)를 가질 필요가 없다. 그 경우에, 프로세서(204)는 전기 신호(312)를 직접 수신하여 이것을 적절한 입력 신호(122)로 해석하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하고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매핑 기술을 사용하여 매핑된다.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1/221,412호는 공통적인 요건(예컨대, 게임, 텍스트 입력, 음악 및 스크롤링)을 갖는 특정 등급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그리고/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최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 상의 입력 요소를 선택적으로 매핑 또는 리매핑하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이들 기술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 및/또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의 입력 요소를 매핑 및 리매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는 입력 요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122)를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간단히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적절히 입력 신호를 해석한다.
일 구현예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를 리매핑하는 기술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입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구성 설정에 기초하여 매핑 기능을 수정하는 단계; 및 활성 시, 예컨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중의 물리적 입력 요소의 누름 또는 작동 시 물리적 입력 요소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리적 입력 요소의 활성은 입력 가속기 장치의 3개의 입력 어셈블리(406, 408, 409) 및/또는 휴대용 호스트 장 치의 입력 어셈블리로부터 나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와 같은 표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입력 가속기 장치(100, 200)의 입력 어셈블리의 물리적 활성화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특정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휴대용 호스트 장치(117)에 전송된다. 그리고 입력 가속기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매핑 및 리매핑 프로시저가 수행된다. 매핑 기능은 키보드 장치 드라이버, 장치 레이아웃이나 키보드 장치 드라이버의 번역 층, 이들 또는 또 다른 매핑 기능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매핑 기능이 장치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물리적 입력 요소의 활성시 물리적 입력 요소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스캔 코드를 버퍼에 기록하는 단계와, 스캔 코드를 버퍼로부터 검색하는 단계와, 수정된 장치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검색된 스캔 코드를 가상 입력 요소로 변환하는 단계와, 스캔 코드 및 가상 입력 요소 코드를 갖는 키보드 이벤트를 호출하는 단계와, 키보드 이벤트와 연관된 기능 - 물리적 입력 요소와 연관된 기능임 - 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매핑 기능이 장치 번역 층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물리적 입력 요소의 활성시 물리적 입력 요소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스캔 코드를 버퍼에 기록하는 단계와, 스캔 코드를 버퍼로부터 검색하는 단계와, 스캔 코드를 원래의 가상 입력 요소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키보드 장치 드라이버의 수정된 번역 층을 사용하여 원래의 가상 입력 요소 코드를 새로운 입력 요소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스 캔 코드 및 새로운 가상 입력 요소 코드를 갖는 키보드 이벤트를 호출하는 단계와, 키보드 이벤트와 연관된 기능 - 물리적 입력 요소와 연관된 기능임 - 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을 재구성 또는 리매핑하는 방법은 입력 가속기 장치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입력 요소를 적어도 제 1 실행 가능한 기능과 연관시키는 단계와, 매핑 기능을 수정하여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입력 요소를 제 1 실행 가능한 기능과 연관시키는 것을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입력 요소를 제 2 실행 가능한 기능과 연관시킴으로써 제 1 실행 가능한 기능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내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입력 요소의 활성시 개시되도록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행 가능한 기능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입력 요소가 눌려지거나 활성화되는 경우 디폴트 상태로 실행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디폴트 기능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입력 요소와 연관되어 이용 가능한 기능을 식별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사용자가 그의 물리적 입력 요소를 기능 연관에 적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리적 입력 요소에 대응하는 입력 요소 아이콘, 및 실행 가능한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물리적 입력 요소와 연관시키도록 기능들을 구체화할 수 있다.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 구현
도 5a-d는 휴먼 인터페이스 및 입력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500)의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 및 "휴대용" 도면을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입력 가속기 장치(500)는 4개의 평면 또는 등고 표면 - 정면(502), 배면(508), 좌측면(504), 및 우측면(506) - 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구현된다. 그렇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입력 가속기 장치(500)가 더 많거나 더 적은 평면 및/또는 등고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입력 가속기 장치(500)는 블루투스 무선 프로토콜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휴대폰, PDA, 포켓 PC, 스마트 폰, 랩톱, 또는 기타 다른 유사한 장치와 같은 다양한 휴대용 장치와 통신하는 소형의 독립형 무선 부속 장치일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502)에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 및 정면 입력 어셈블리(526)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디스플레이는 스위블(swivel) 장착 스크린 또는 플립-폰 구성을 갖는 휴대폰 및 PDA용 디스플레이와 같은 개별의 어셈블리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정면 입력 어셈블리(526)는 2이상의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정면 입력 어셈블리(526)는 4개의 입력 요소(510, 512, 514, 516)를 포함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나 핑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임의 개수의 입력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 요소(510, 512, 514, 516)는 Shift1(510), Shift2(512), Shift3(514), 및 Shift4(516)와 같은 시프트 또는 인덱스 키로서 기능하도록 매핑되어, 휴대폰이 나 PDA 상의 키패드와 같은 호스트 전자 장치 상의 입력 요소와 연관된, 문자, 글자 및/또는 숫자와 같은 심벌 간의 시프팅 또는 인덱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과 같은 호스트 전자 장치 상에는, 통상적으로 키패드가 제공되는데, 이는 "7PQRS" 키 또는 입력 요소를 갖는다. 입력 가속기 장치(500)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심벌-- P, Q, R, 및 S-- 중 어느 하나가 적절한 입력 요소(510, 512, 514, 516)를 태핑하고 호스트 전자 장치 상의 "7PQRS" 키를 태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즉, "P" 문자는 입력 요소(510)(Shift1로서 매핑됨)를 누르고 호스트 전자 장치 상의 "7PQRS" 키를 누름으로써 호스트 전자 장치 상에서 입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hift2 입력 요소(512)는 "7PQRS" 키를 사용하여 눌러져 "Q"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Shift3 입력 요소(514)는 "7PQRS" 키를 사용하여 눌러져 "R"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시프트 키 없이 "7" 키를 누르면 사용자 선호에 따라서 숫자 "7" 또는 "P"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Shift4 입력 요소(516)는 "7PQRS" 키를 사용하여 눌러져 "S"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S"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호스트 장치 상의 동일한 키를 복수회(예컨대, 3회) 태핑할 필요성이 제거된다. 상술한 복수의 시프트 또는 인덱싱 입력 요소의 구현은 다양한 휴대용 호스트 장치 사용자를 위한 편리성, 정확성 및 텍스트 입력의 속도를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입력 어셈블리(528)는 배면(308)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정면 입력 어셈블리(526)(도 5a)는 사람의 엄지손가락과 핑거의 대립관계를 이용하도록 후면 입력 어셈블리(528)에 대하여 배치된다. 변형 적으로, 사용자는 입력 가속기 장치 상에서 플리핑하여 그의 핑거 대신에 엄지손가락으로 후면 입력 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다. 후면 입력 어셈블리(528)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서로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된 활성 영역을 나타내도록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2개의 센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는 링 모양의 곡선 센서 어레이(518) 및 스트립 모양의 선형 센서 어레이(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 센서 어레이(518)는 엄지손가락(또는 핑거)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따라 옆으로 이동되어 수평 커서 움직임을 매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선형 센서 어레이(520)는 엄지손가락(또는 핑거)를 사용하여 수직으로 이동되어 수직 커서 움직임을 매핑하거나 또는 긴 선택 리스트에서 스크롤 바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의 곡선(518) 및 선형(520) 센서 어레이는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어레이, 용량성 매트 또는 어레이, 또는 기타 다른 유사한 압력 감지 장치 또는 센서 어레이 상의 복수의 활성 영역의 압력 판독에 대응하는 복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그리드에 부착된 탄성 재료와 같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 어레이(518, 520)의 또 다른 구성에서, 센서 어레이(518, 520)의 전체 표면은 작은 직각형의 불활성 영역 사이에 배치된 직각형의 활성 영역으로 덮여 임의의 원하는 개수의 활성 영역을 달성할 수 있다. 압력 센서 어레이(518, 520)의 다른 구성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건에 따라서 실현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후면 입력 어셈블리(528)는 센서가 없을 수 있으며 정면 입력 표면(502) 상의 입력 요소는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래밍되어 리스트 선택시 수직 스 크롤링 이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사용자가 선형 센서 어레이(520)를 상하로 스트로크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구현예는 배면에 어떠한 부가적 센서도 없이 사용자가 긴 리스트를 통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내비게이팅하는데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정면(502) 또는 배면(508) 입력 표면은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아날로그 입력을 갖는 소형 섬 조이스틱에의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섬 조이스틱은 이동 전화 호스트 장치(117) 상의 게임을 제어하도록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측면 입력 어셈블리(529)는 도 5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504) 및/또는 우측면(50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가속기(300)의 좌측면(504) 및 우측면(506)은 부가적인 입력 또는 선택 요소(522, 524, 526, 528)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1/221,412호의 리매핑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유형의 휴대폰 기능으로 매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측면 입력 어셈블리(529)의 입력 또는 선택 요소는 또한 모드 간의 시프팅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또는 선택 요소(522, 524, 526, 528) 중 하나를 누르는 것은 또한 단축키로서 작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인스턴트 메신저(SM), 또는 음악과 같은 좋아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선택 요소들 중 하나를 누르는 것은, 전화 번호 탐색과 선택, 전화 번호 다이얼, 및 호출 응답과 같은 휴대폰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축키로서 역할할 수도 있다. 입력 또는 선택 요소(522, 524)의 2개는 왼손 사용자를 위해 그리고 다른 2개의 선택 요소(526, 528)는 오른손 사용자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구현예 및 기타 다른 구현예에서의 정면 입력 어셈블리(526)의 입력 요소(510, 512, 514, 516), 측면 입력 어셈블리(529)의 측면 입력 요소(522, 524, 526, 528), 및 후면 입력 어셈블리(528)의 배면 입력 요소(518, 510)는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버튼, 키, 로커(하나 이상의 위치 버튼 또는 아날로그 조이스틱 타입의 버튼일 수 있음), 슬라이더, 다이얼 또는 (FSR, 압전 저항 센서, 및 용량성 센서와 같은) 압력 센서, (회전식 인코더, 선형 전위계 등과 같은) 위치 센서, 소형 아날로그 섬 조이스틱 또는 기타 다른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도 6은 후면 입력 어셈블리(408)의 변형 구현예를 나타낸다. 입력 요소(610)는 (Blackberry 섬 휠(thumb wheel)과 같은) 종래의 회전식 다이얼로서 구현되는데, 이는 수평 및 수직 커서, 스크롤, 및/또는 내비게이션 이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타 다른 센서는 사용자 연령과 포함될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a-d는 무선 헤드셋으로서 휴대용 입력 가속기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700)은 사용자가 좌우로 스크롤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면(730)의 입력 요소(710)로서 섬 휠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면(730)은 또한 복수의 입력 요소(722, 72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입력 요소는 입력 요소(710)와 함께 정면 입력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정면 입력 요소(722, 724)는 좌우로 스크롤링하는 동안 대상 선택을 수행하도록 입력 요소(710)와 연계하여 작동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700)의 배면(760)은 후면 입력 어셈블리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다. 배면(760)은 수직 스크롤링, 긴 리스트로부터의 선택, 및 내비게이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형 센서 어레이(72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 표면상의 입력 요소 및 활성 영역은 상술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7b 및 7c는 또한 헤드셋(700)의 측면 입력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좌측면(740)과 우측면(750)을 나타내는데, 이는 모드와 텍스트 입력 간의 시프팅 또는 인덱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4개의 측면 선택 요소(712, 714, 716, 71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요소는 다이얼링 및 호출 응답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대한 단축키로 매핑될 수 있다. 선택 요소(712, 714)의 2개는 왼손 사용자를 위해 그리고 다른 2개의 선택 요소(716, 718)는 오른손 사용자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d는 리모트 컨트롤로서 사용되는 헤드셋(700)을 나타낸다. 즉, 리모트 컨트롤 입력을 헤드셋(700)에 통합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지 복수의 기능을 서비스하는 헤드셋(700)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휴대용 호스트 전자 장치의 모든 기능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휴대폰과 같은 호스트 장치 상에서 통화하거나 음악을 듣는 경우, 헤드셋(700)은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및 마이크로폰(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정식 헤드셋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 헤드셋(700)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유지되어 텍스트 입력을 가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섬 휠(710) 및 센서 어레이(720)는 긴 리스트 및 아이콘 어레이를 통해서 내비게이팅 및 스크롤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된 리모트 컨트롤을 갖는 헤드셋(700)은 호스트 장치를 그 저장 위치(예컨대, 사용자의 포켓, 재킷, 배낭 또는 지갑)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 휴대폰과 같은 호스트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입력 가속기 장치는 복수 "슬레이브" 또는 호스트 장치와 통신 링크 상태에 있는 "마스터"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가속기 장치 상에 배치된 스크린 또는 LC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호스트 장치의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호스트 장치를 단지 쉽게 선택함으로써 한 호스트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쉽게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 가속기 장치 사용하여 전화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휴대폰과 같은 호스트 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헤드셋(700)을 사용하여 호출자와 통화하면서, 사용자는 PDA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호출자를 통화중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고, PDA와 같은 다른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이메일 주소를 찾아볼 수 있다. 이메일 주소를 검색한 후, 사용자는 휴대폰 제어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전화 통화로 되돌아갈 수 있다.
상기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능동 및/또는 수동 촉각 피드백이 실행될 수 있다. 수동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및/또는 제 2 입력 어셈블리의 입력 요소가 돔 캡 또는 돔 스프링과 같은 감지 가능한 디텐트와 조합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입력 요소의 활성화 및/또는 불활성화를 핑거 또는 엄지손가락을 통해,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다른 것들 중, 감지 가능한 디텐트는 입 력 요소의 작동기와 센서 성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능동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진동 유닛 또는 힘 생성 유닛(force producing unit)이 휴대용 전자 장치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탭 또는 인덱스 수준 또는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진동 유닛은 모터의 샤프트, 솔레노이드, 가변 전기저항 장치(variable reluctance device), 확성기 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진동자에 부착된 편심 매스(eccentric mass)를 갖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힘 생성 유닛은 비-진동 모드의 솔레노이드, 모터, 비-진동 작동기 또는 힘을 생성할 수 있는 기타 다른 작동기일 수 있다. 진동 유닛 및/또는 힘 생성 유닛은 각 입력 요소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유닛 및/또는 힘 생성 유닛은 입력 요소 아래에 장착될 수 있어서, 진동 유닛 및/또는 힘 생성 유닛이 활성화될 때, 진동 유닛 및/또는 힘 생성 유닛은 통신될 정보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수준 또는 위치로 전자 장치의 표면을 밀어낼 수 있다. 그리하여, 입력 요소로서 압력 센서 패드 또는 터치 패치를 사용하는 구현예에서, 계단화된 어레이는 터치 패드 또는 압력 센서 패드를 통한 인덱스 위치의 점점 더 높아지는 수준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 유닛 및/또는 힘 생성 유닛은 또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타깃 록(target lock)과 같이, 목적의 순간적이 달성을 나타내기 위해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촉각 피드백은 솔레노이드와 같은 작동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는데, 입력 요소의 경도를 전자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사용자 손 또는 핑거에 대해 압력을 가해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서의 관심 발생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계산적 형태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전기적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이들 시스템 및 기술의 형태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기계-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내에 실체적으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방법 단계들은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작동 및 출력 발생에 의해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시스템 및 기술은 엄지손가락 및 핑거들의 생체역학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핑거들의 미세한 운동 조절, 및 엄지손가락에 의해 제공되는 더 넓은 범위의 운동 및 더 강한 동작이라는 반대 기능을 사용한다. 핑거들과 엄지손가락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탭의 개수 및 주어진 기능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되고, 정확도가 향상되고, 인간 손에 고유한 자연적 프로그래밍은 다른 시스템에 대해 요구되는 훈련을 대체한다.
다수의 구현예들을 설명하였다. 다른 구현예들은 서로 다른 또는 부가적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면, 후면 및 측면 입력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의 다른 구성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입력 가속기 장치는 여섯 개 이하의 평면 또는 외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입력 어셈블리 내의 입력 요소의 개수는 상기의 구현예에서 기술된 입력 요소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어셈블리 내의 하나 이상의 입력 요소는 키, 버튼, 터치 패드, 기타 타입의 패드, 로커, 슬라이더, 다이얼, 접촉 센서 또는 어 떠한 센서와 연관된 다른 작동기와 같이, 본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어떠한 입력 또는 선택 타입일 수 있다. 작동기와 연관된 각 센서는 압력 센서(예를 들면 FSR, 압전 필름 센서, 또는 용량성 센서), 또는 위치 센서(예를 들면, 회전 또는 선형 전위계 또는 인코더)와 같은 디지털 순간 온/오프 스위치 또는 아날로그 센서, 또는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아날로그 센서, 또는 가속계 또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어셈블리는 이들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또는 선택 요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도면에 나타낸 구성물 내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적 장치의 운동을 통해 제어를 허락하기 위해 장치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보조 입력 가속 장치의 다른 구현예들이 가능하다. 사람들인 이미 기존의 부속 장치를 들고다니는데, 이는 입력 가속화를 위해 호스트 장치에 부가적인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부가적인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전지갑, 장지갑, 또는 키 체인 상에서 운반되는 장치가 이상적인데, 이들 장치는 이미 다른 기본적 기능을 하고, 이들 장치를 통한 입력 가속화 제공은 사람이 들고 다닐 필요가 있는 항목을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사용자 경험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집중형 입력 가속기 장치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단독 리모트 컨트롤 실행과 같이, 이들 집중형 입력 가속기 장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으로 또는 대략적인 가시선 적외선 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호스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집중형 입력 가속기 장치는 헤드셋 잭 또는 상기한 다수의 데이터 포트 중 하나와 같이, 호스트 장치 내에 이미 존재하는 커넥터를 통해 호스트 장치 내로 물리적으로 플러깅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원격 무키(keyless) 입력 장치를 갖는 자동차 키일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키 체인 상에 들고 다니는 통사의 장치이다. 원격 무키 입력 장치는 버튼, 라디오 주파수(RF) 링크, 및 온 보드 프로세서를 가져서 원격 무키 입력 장치로부터, 호스트 차량으로 보안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 창문 또는 트렁크를 열고; 기후 제어 설정을 변경하고; 또는 다른 차량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대부분의 원격 무키 입력 장치는 크기가 또한 작고 편리한 폼 팩터를 갖는다. 버튼, 터치패드 또는 연속 센서 스트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입력 어셈블리가 원격 무키 입력 장치 내로 통합되어, 이 원격 무키 입력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대해 입력 가속기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장치로 변환시킬 수 있다. 하이브리드 원격 무키 입력 가속기 장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장거리 RF 프로토콜, 적외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원격 차고 도어 오프너일 수 있다. 이들 원격 오프너는 자동차 내 바이저(visor)와 클립되는 경향이 있고, 크기가 더욱 소형화되어 키 체인 상에서 운반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는 호스트 장치에 대해 입력 가속기 장치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버튼 및 센서를 갖도록 쉽게 증가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프로그램 가능한 라디오 주파수 인식(RFID) 키포브일 수 있다. 오늘날, 많은 근로자가 RFID 키포브를 통해 그들의 보안 작업장에 대한 액세스를 얻는다. 그러한 키포브에서의 회로는 버튼, 센서 어레이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입력 가속기 내에 수용되어 호스트 장치에 대 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로서 사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스마트 카드일 수 있다. 유럽 및 아시아에서, RFID 키포브와 유사한 기술에 기초한 비접촉, 무선 스마트카드가 다양한 상업적 행위에 대해 점차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District of Columbia Metro Subway System에서, 모든 터미널은 스마트카드가 사용가능이고, 사람들은 고정된 수용기 앞에서 선불 스마트카드를 포함하는 지갑을 흔들어서 지하철 승차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그러한 스마트카드는 키 체인 상에서 운반될 수 있는 입력 가속기 장치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카드 입력 가속기는 일상 생활에서 식별 및 지불의 주요 모드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호스트 장치와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범용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소프트 키를 갖는 포켓 크기 범용 원격 제어 장치는 휴대폰과 같은 호스트 장치에 부가하여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VHS 플레이어 및 사운드 시스템과 같은 모든 표준 가정용 오락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범용 원격 제어 장치는 가정용 오락 장치와 및 휴대폰과 통신하는 동일한 적외선 링크를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블루투스 프로토콜과 같은 또 다른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휴대폰과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입력 가속기 장치의 기능성을 통합시킨 디지털 손목 시계일 수 있다. 디지털 손목 시계, 특히 러닝 또는 운동 시계는 통상적으로 디지털 디스플레이 및 랩 타임, 심박수 및 기타 중요한 생물통 계학을 추적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전형적인 손목 시계보다 더 큰 표면적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이들 시계는 호스트 장치에 대한 입력 가속기로서 사용되기 위한 선택 부가적 센서 어레이를 사용하여 쉽게 프로그래밍되고 레트로피팅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iPod 같은 MP3 장치일 수 있다. 이동 플랫폼 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은 표준이 되어가지만, 현재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음악을 듣기 위해 별도의 MP3 플레이어를 들고다닌다. iPot 또는 기타 MP3 플레이어는 이미 센서들 및 버튼을 통합하고 있고, 휴대폰과 같은 호스트 장치와 인터페이스 통신하기 위한 입력 가속기 장치로서 사용되도록 쉽게 증가될 수 있다. MP3 플레이어는 블루투스와 같은 기존의 또는 부가된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보조 입력 가속기 장치는 최종 무선 집중형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 중 일부 또는 모두는 단일 집중된 입력 가속기 장치 내로 조합될 수 있다. 장치의 폼 팩터는 키 체인 상에 있기 위한 키포브 폼 팩터, 손목 상에 있는 손목 시계 폼 팩터, 또는 이동성을 촉진시키는 기타 다른 소형 폼 팩터일 수 있다. 최종 무선 집중형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링크를 갖는 어떠한 부가적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이외에 다음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 무선 집중형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키들 및 선택적 센서 어레이를 갖는 휴대폰에 대한 입력 가속기; 장거리 RF 회로를 갖는 원격 무키 입력 장치; 원격 차고 도어 오프너; 단거리 수동 RF 회로를 갖는 RFID 키포브; 단거리 수동 RF 회로를 갖는 식별 및 상거래용 스마트카드; 가정용 오락 시스템용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및/또는 사람들이 통합하고 싶어하는 어떠한 다른 보조 기능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 장치 제어 및 게임 제어를 위한 방법은 서로 다른 순서로 시행되어서 여전히 소정의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구현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8)

  1. 휴대용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호스트 장치와 인터페이스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채널과,
    복수의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어셈블리로서, 각각의 입력 요소는 상기 휴대용 호스트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에 요구되는 작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으로 선택적으로 매핑되도록 구성되는 입력 어셈블리와,
    상기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통신 채널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입력 제어기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된 입력 요소로 매핑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호스트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통신 채널로 상기 입력 신호를 중계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1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정면 입력 어셈블리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1 입력 요소는 정면에 배치되는 정면 입력 어셈블리와,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2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후면 입력 어 셈블리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2 입력 요소는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입력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은 텍스트 애플리케이션, 매핑 소프트웨어, 펌웨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또는 스크롤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로딩하도록 구성된 주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성된 버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3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측면 입력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3 입력 요소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는 아날로그 버튼, 디지털 버튼, 키, 로커(rocker), 슬라이더, 다이얼, 터치 패드, 압력 센서,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압전 저항 센서, 용량성 센서, 위치 센서, 회전식 인코더, 선형 전위계, D-패드, 또는 소형 아날로그 섬 조이스틱(thumb joy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IEEE 1394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 직렬 포트, 병렬 포트, 헤드폰 포트, 또는 데이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데이터 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블루투스 접속, 적외선 접속, 또는 Wi-Fi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셋, 차고 도어 오프너, 자동 무키(keyless) 입력 유닛, 스마트카드, 프로그램 가능한 REID 키포브(keyfob), 범용 리모트 컨트롤 유닛, 디지털 손목시계, 또는 MP3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2차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입력 어셈블리, 상기 후면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측면 입력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마주하는 엄지손가락(thumb)과 핑거(finger)의 생체 역학적 효과를 최적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입력 어셈블리, 상기 측면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는 텍스트 입력을 가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입력 어셈블리, 상기 측면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롤링, 커서 제어 또는 내비게이션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입력 어셈블리, 상기 측면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는 게임 실행을 가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
  16. 입력 가속기 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요소의 조작을 통하여 사람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입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휴대용 호스트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에 요구되는 작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휴대용 호스트 장치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으로 선택적으로 매핑되도록 구성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와,
    입력 제어기를 사용하여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상기 통신 채널에 접속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입력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된 입력 요소로 매핑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호스트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통신 채널에 상기 입력 신호를 중계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1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어셈블리를 제 1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2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어셈블리를 제 2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3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제 3 입력 어셈블리를 제 3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마주하는 엄지손가락과 핑거의 생체 역학적 효과를 최적화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IEEE 1394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 직렬 포트, 병렬 포트, 헤드폰 포트, 및 데이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접속, 적외선 접속, 또는 Wi-Fi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헤드셋, 차고 도어 오프너, 자동 키리스(keyless) 입력 유닛, 스마트카드, 프로그램 가능한 RFID 키포브(keyfob), 범용 리모트 컨트롤 유닛, 디지털 손목시계, 또는 MP3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장치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버튼, 디지털 버튼, 키, 로커(rocker), 슬라이더, 다이얼, 터치 패드, 압력 센서,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압전 저항 센서, 용량성 센서, 위치 센서, 회전식 인코더, 선형 전위계, D-패드, 또는 소형 아날로그 섬 조이스틱(thumb joy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텍스트 입력을 가속시키도록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스크롤링, 커서 제어 또는 내비게이션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속시키도록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게임 실행을 가속시키도록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복수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와 인터페이스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채널,
    복수의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어셈블리로서, 각각의 입력 요소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 중 하나의 입력 요소에 요구되는 작동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으로 선택적으로 매핑되도록 구성되는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통신 채널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입력 제어기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하나의 작동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된 입력 요소로 매핑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호스트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통신 채널에 상기 입력 신호를 중계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제어기
    를 포함하는 입력 가속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작동된 입력 요소로 매핑된 하나 이상의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된 입력 신호를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된 요소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1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어셈블리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1 입력 요소는 제 1 표면상에 배치되는 제 1 입력 어셈블리와,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2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어 셈블리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2 입력 요소는 제 2 표면상에 배치되는 제 2 입력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적어도 제 3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제 3 입력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3 입력 요소는 제 3 표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마주하는 엄지손가락과 핑거의 생체 역학적 효과를 최적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IEEE 1394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 직렬 포트, 병렬 포트, 헤드폰 포트, 또는 데이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데이터 접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블루투스 접속, 적외선 접속, 또는 Wi-Fi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호스트 장치는 휴대폰, PDA, 스마트폰, 랩톱, 차고 도어 오프너, 자동 무키(keyless) 입력 유닛, 스마트카드, 프로그램 가능한 REID 키포브(keyfob), 범용 리모트 컨트롤 유닛, 디지털 손목시계,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29 항에 있어서, 입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아날로그 버튼, 디지털 버튼, 키, 로커(rocker), 슬라이더, 다이얼, 터치 패드, 압력 센서,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압전 저항 센서, 용량성 센서, 위치 센서, 회전식 인코더, 선형 전위계, D-패드, 또는 소형 아날로그 섬 조이스틱(thumb joy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또는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는 텍스트 입력을 가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롤링, 커서 제어 또는 내비게이션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어셈블리, 상기 제 2 입력 어셈블리, 또는 상기 제 3 입력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는 게임 실행을 가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3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덱싱 기능으로 매핑되도록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2 입력 요소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입력 요소 중 제 2 입력 요소와 연계하여 상기 복수의 휴대용 호스트 장치 중 하나에서 입력 요소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11270A 2005-10-11 2006-10-10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KR101043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49,009 2005-10-11
US11/249,009 US7280097B2 (en) 2005-10-11 2005-10-11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626A Division KR101206694B1 (ko) 2005-10-11 2006-10-10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793A true KR20080066793A (ko) 2008-07-16
KR101043942B1 KR101043942B1 (ko) 2011-06-24

Family

ID=376844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70A KR101043942B1 (ko) 2005-10-11 2006-10-10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KR1020107013626A KR101206694B1 (ko) 2005-10-11 2006-10-10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626A KR101206694B1 (ko) 2005-10-11 2006-10-10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80097B2 (ko)
EP (1) EP1938174A2 (ko)
JP (3) JP2009515239A (ko)
KR (2) KR101043942B1 (ko)
CN (3) CN101313270A (ko)
CA (1) CA2625758C (ko)
WO (1) WO20070448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6701A1 (en) * 2004-04-09 2010-03-25 Loadstar Sensors, Inc. Resistive force sensing device and method with an advanced communication interface
TWI254576B (en) * 2004-10-22 2006-05-01 Lite On It Corp Auxiliary function-switching method for digital video player
US8225231B2 (en) 2005-08-30 2012-07-17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on of PC settings
US7649522B2 (en) * 2005-10-11 2010-01-19 Fish & Richardson P.C.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US7652660B2 (en) 2005-10-11 2010-01-26 Fish & Richardson P.C. Mobile device customizer
US8142287B2 (en) * 2005-10-11 2012-03-27 Zeemote Technology Inc. Universal controller for toys and games
US20070103431A1 (en) * 2005-10-24 2007-05-10 Tabatowski-Bush Benjamin A Handheld tilt-text computing system and method
US20070143120A1 (en) * 2005-11-28 2007-06-21 Amit Phadnis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input arrangement for a computing device
US7716603B2 (en) * 2005-12-09 2010-05-11 Sony Corporation On screen display for alpha-numeric input
US7715831B2 (en) * 2006-03-24 2010-05-11 Sony Erics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loss of proximity between mobile devices
CA2648114C (en) * 2006-04-11 2016-03-15 Joseph V. Ambrose Spring-assisted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a load
US8814641B2 (en) * 2006-05-08 2014-08-26 Nintendo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ment of impact and/or strength of a swing based on accelerometer data
US20080033713A1 (en) * 2006-07-10 2008-02-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redicting entered text
US20080059911A1 (en) * 2006-09-01 2008-03-06 Taneli Kulo Advanced player
US20080288891A1 (en) * 2006-09-01 2008-11-20 Peter Buth Using a number shortcut
CN104656900A (zh) * 2006-09-13 2015-05-27 意美森公司 用于游戏厅游戏触觉的系统和方法
US7610813B2 (en) * 2006-09-29 2009-11-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lf-powered RFID-readable pedometer
KR101299682B1 (ko) * 2006-10-16 201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입력장치
US8380246B2 (en) * 2007-03-01 2013-02-19 Microsoft Corporation Connecting mobile devices via interactive input medium
US8180295B2 (en) * 2007-07-19 2012-05-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Bluetooth enabled compu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TW200909032A (en) * 2007-08-20 2009-03-01 Tai Sol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wireless rocking lever
US20090054069A1 (en) * 2007-08-24 2009-02-26 Zeetoo, Inc. Platform Independent Communication Protocol
US8015026B2 (en) * 2007-10-23 2011-09-06 Health Hero Network, Inc.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people and pets
US20090125848A1 (en) * 2007-11-14 2009-05-14 Susann Marie Keohane Touch surface-sensitive edit system
US20090160607A1 (en) * 2007-12-21 2009-06-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key fob having a communications circuit
US20090245532A1 (en) * 2008-03-26 2009-10-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eadset
US20090278818A1 (en) * 2008-05-12 2009-11-12 Dinozzi Jon Mario Thumb worn tap devices and storage holders for use with handheld electronics
US8165398B2 (en) 2008-05-30 2012-04-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device for handwriting detection
US8208854B2 (en) * 2008-06-18 2012-06-26 Plantronics, Inc. Bluetooth control for VoIP telephony using headset profile
US8086275B2 (en) 2008-10-23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411046B2 (en) 2008-10-23 2013-04-02 Microsoft Corporation Column organization of content
US8385952B2 (en) 2008-10-23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er interface
US8289162B2 (en) * 2008-12-22 2012-10-16 Wimm Labs, Inc. Gesture-based user interface for a wearable portable device
US20100241987A1 (en) * 2009-03-19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Tear-Drop Way-Finding User Interfaces
US8849570B2 (en) * 2009-03-19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Projected way-finding
US20100241999A1 (en) * 2009-03-19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Canvas Manipulation Using 3D Spatial Gestures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US8019903B2 (en) 2009-03-27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Removable accessory for a computing device
US8355698B2 (en) 2009-03-30 2013-01-15 Microsoft Corporation Unlock screen
US8238876B2 (en) 2009-03-30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s
US8175653B2 (en) 2009-03-30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Chromeless user interface
US8269736B2 (en) 2009-05-22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Drop target gestures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20110110514A1 (en) * 2009-11-09 2011-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button remote control headset with improved signaling
KR101664430B1 (ko) * 2009-11-13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1129983A (ja) * 2009-12-15 2011-06-30 Ihi Aerospace Co Ltd 遠隔操作装置
US8681951B1 (en) 2010-02-03 2014-03-25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879698B1 (en) 2010-02-03 2014-11-04 Tal Lavia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telephony
US8625756B1 (en) 2010-02-03 2014-01-07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687777B1 (en) 2010-02-03 2014-04-01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572303B2 (en) 2010-02-03 2013-10-29 Tal Lavian Portable universal communication device
US9001819B1 (en) 2010-02-18 2015-04-07 Zvi Or-Bach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548131B1 (en) 2010-02-03 2013-10-01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US8594280B1 (en) 2010-02-03 2013-11-26 Zvi Or-Bach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537989B1 (en) 2010-02-03 2013-09-17 Tal Lavia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telephony
US8548135B1 (en) 2010-02-03 2013-10-01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903073B2 (en) 2011-07-20 2014-12-02 Zvi Or-Bach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406388B2 (en) 2011-07-18 2013-03-26 Zvi Or-Bach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553859B1 (en) 2010-02-03 2013-10-08 Tal Lavia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telephony
US8540571B2 (en) 2010-03-31 2013-09-2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stimulus based on position
US8547335B2 (en) * 2010-07-30 2013-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FID-based input device
US8732697B2 (en) 2010-08-04 2014-05-20 Premkumar Jonnal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s on a device
CN102467238A (zh) * 2010-11-03 2012-05-23 常州市福驰电动车辆科技有限公司 用于计算机人机界面的复合按钮键盘-触摸板复合装置
US8337305B2 (en) * 2010-11-17 2012-12-25 Steelseries Ap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inputs in video games
US20120159383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Customization of an immersive environment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US8483614B2 (en) 2011-01-31 2013-07-09 Koamtac, Inc. HID protocol-based soft keyboard toggle with initialization and synchronization capability for mobile phones and PDAs connected to a peripheral device
CN102698436A (zh) * 2011-03-28 2012-10-03 德信互动科技(北京)有限公司 体感互动游戏装置及体感在线互动系统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20120304132A1 (en) 2011-05-27 2012-11-29 Chaitanya Dev Sare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8687023B2 (en) 2011-08-02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Cross-slide gesture to select and rearrange
US20130055164A1 (en) * 2011-08-24 2013-0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s on a Touch-Sensitive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US8933952B2 (en) 2011-09-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Pre-rendering new content for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CN103249174B (zh) * 2012-02-07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连接的方法及电子设备
US9778841B2 (en) 2012-02-10 2017-10-03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having random ordered keypad
US9128605B2 (en) 2012-02-16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US8731148B1 (en) 2012-03-02 2014-05-20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867708B1 (en) 2012-03-02 2014-10-21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9674331B2 (en) * 2012-06-08 2017-06-06 Apple Inc. Transmitting data from an automated assistant to an accessory
US9487388B2 (en) 2012-06-21 2016-11-08 Nextinput, Inc. Ruggedized MEMS force die
US9032818B2 (en) 2012-07-05 2015-05-19 Nextinput, Inc. Microelectromechanical load sens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35607A1 (en) * 2012-08-03 2014-02-06 Fluke Corporation Handhel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Parameters
US10095659B2 (en) 2012-08-03 2018-10-09 Fluke Corporation Handhel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parameters
CN102981622A (zh) * 2012-11-29 2013-03-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外部控制方法及系统
US9699159B2 (en) 2013-03-14 2017-07-04 Ologn Technologies Ag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providing user authentication
CN105408898B (zh) 2013-03-15 2019-05-28 弗兰克公司 测量数据的自动记录和图形生成
US9450952B2 (en) 2013-05-29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US10097369B2 (en) * 2013-06-28 2018-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ttached computing device
EP3070711B1 (en) * 2013-11-11 2018-03-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mart entry system
JP2015106174A (ja) * 2013-11-28 2015-06-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766270B2 (en) 2013-12-30 2017-09-19 Fluke Corporation Wireless test measurement
US9902611B2 (en) 2014-01-13 2018-02-27 Nextinput, Inc. Miniaturized and ruggedized wafer level MEMs force sensors
US10156976B2 (en) * 2014-01-30 2018-12-18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and method in managing low-latency direct control feedback
US9666005B2 (en) 2014-02-14 2017-05-30 Infinitekey,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KR102298602B1 (ko) 2014-04-04 2021-09-0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WO2015154273A1 (en) 2014-04-10 2015-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KR20160143784A (ko) 2014-04-10 2016-12-1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컴퓨팅 디바이스용 슬라이더 커버
CN103955283A (zh) * 2014-04-28 2014-07-30 熊猫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准连调pc键盘电路
US10146330B2 (en) * 2014-06-18 2018-12-04 Matthew Swan Lawrence Systems and methods for character and command input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42365B2 (en) 2014-09-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metric inertia and APIs
CN106662891B (zh) 2014-10-30 2019-10-11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多配置输入设备
CN105302321A (zh) * 2015-05-08 2016-02-03 姚晓宁 一种玻璃触摸键盘
CN107848788B (zh) 2015-06-10 2023-11-24 触控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具有容差沟槽的加固的晶圆级mems力传感器
CA2961221A1 (en) 2016-04-11 2017-10-1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Modular garage door opener
WO2017181050A1 (en) 2016-04-15 2017-10-19 Infinitekey,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al-time location
WO2018112224A1 (en) 2016-12-14 2018-06-2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microlocation zones
WO2018148510A1 (en) 2017-02-09 2018-08-16 Nextinput, Inc. Integrated piezoresistive and piezoelectric fusion force sensor
CN116907693A (zh) 2017-02-09 2023-10-20 触控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集成数字力传感器和相关制造方法
IT201700036562A1 (it) * 2017-04-03 2018-10-03 Epic S R L Dispositivo di comando portatile di una pluralità di apparecchiature connesse in un sistema di automazione, in particolare un sistema di domotica e relativo metodo di comando
CN111448446B (zh) 2017-07-19 2022-08-30 触控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在mems力传感器中的应变传递堆叠
WO2019023309A1 (en) 2017-07-25 2019-01-31 Nextinput, Inc. FORCE SENSOR AND INTEGRATED FINGERPRINTS
US11243126B2 (en) 2017-07-27 2022-02-08 Nextinput, Inc. Wafer bonded piezoresistive and piezoelectric force sensor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WO2019079420A1 (en) 2017-10-17 2019-04-25 Nextinput, Inc. SHIFT TEMPERATURE COEFFICIENT COMPENSATION FOR FORCE SENSOR AND STRAIN GAUGE
WO2019090057A1 (en) 2017-11-02 2019-05-09 Nextinput, Inc. Sealed force sensor with etch stop layer
US11874185B2 (en) 2017-11-16 2024-01-16 Nextinput, Inc. Force attenuator for force sensor
KR102656447B1 (ko) * 2018-02-27 2024-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러와 접촉된 신체 부위에 따라 그래픽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962427B2 (en) 2019-01-10 2021-03-30 Nextinput, Inc. Slotted MEMS force sensor
US10638229B1 (en) * 2019-03-29 2020-04-28 Bos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user controls
US11269975B2 (en) 2019-11-07 2022-03-0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embedded within a user device
CN114915598B (zh) * 2021-02-08 2023-10-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网络加速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2462A (en) 1982-07-29 1990-03-27 Sharp Kabushiki Kaisha Letter input device for electronic word retrieval device
US4891777A (en) 1983-05-11 1990-01-02 The Laitram Corporation Single hand keyboard arrays providing alphanumeric capabilities from twelve keys
GB8423427D0 (en) 1984-09-17 1984-10-24 Jones P S Music synthesizer
JPS62258136A (ja) 1986-04-30 1987-11-10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US4823311A (en) 1986-05-30 1989-04-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lculator keyboard with user definable function keys and with programmably alterable interactive labels for certain function keys
US4896554A (en) 1987-11-03 1990-01-30 Culver Craig F Multifunction tactile manipulatable control
JPH07102255B2 (ja) * 1989-04-25 1995-11-08 株式会社ハドソン ゲーム機用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5287514A (en) * 1990-01-08 1994-02-1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in a computer system
AU1207392A (en) 1991-02-21 1992-09-15 Typeright Keyboard Corp. Membrane keyboard and method of using same
US6005496A (en) 1991-04-10 1999-12-21 Kinesis Corporation Ergonomic keyboard apparatus
US5189416A (en) 1991-04-29 1993-02-23 Walker-Estes Corporation Chordal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US5365589A (en) 1992-02-07 1994-11-15 Gutowitz Howard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on, decryp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dynamical systems
JP3199130B2 (ja) 1992-03-31 2001-08-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3次元座標入力装置
AR247303A1 (es) 1992-08-21 1994-11-30 Gilligan Federico Gustavo Y Fa Nuevo teclado de computacion
US5553277A (en) * 1992-12-29 1996-09-03 Fujitsu Limited Image search method for searching and retrieving desired image from memory device
US5824931A (en) 1993-03-12 1998-10-20 Musacus International Limited Electronic information aid
US5432510A (en) 1993-03-22 1995-07-11 Matthews; Walter S. Ambidextrous single hand chordic data management device
US5612690A (en) 1993-06-03 1997-03-18 Levy; David Compact keypad system and method
US5973621A (en) 1993-06-03 1999-10-26 Levy; David Compact keyed input device
US5473325A (en) 1993-08-11 1995-12-05 Mcalindon; Peter J. Ergonomic human-comput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5515305A (en) 1993-12-09 1996-05-07 Dell Usa, L.P. PDA having chord keyboard input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data thereto
JP3546337B2 (ja)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WO1995032461A1 (en) 1994-05-23 1995-11-30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 A human/machine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US5782642A (en) 1995-12-19 1998-07-21 Goren; Michael Interactive video and audio display system network interactive monitor module interface
JP2001513918A (ja) 1996-01-26 2001-09-04 オラング―オタング コンピュータ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ーパレット
US5859629A (en) 1996-07-01 1999-01-12 Sun Microsystems, Inc. Linear touch input device
US6297752B1 (en) 1996-07-25 2001-10-02 Xuan Ni Backside keyboard for a notebook or gamebox
US6115028A (en) 1996-08-22 2000-09-05 Silicon Graphics, Inc. Three dimensional input system using tilt
JPH10222308A (ja) * 1997-01-31 1998-08-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ボタン割当て切替方法
US6232956B1 (en) 1997-02-27 2001-05-15 Spice Technologies, Inc. OHAI technology user interface
DE19718711C1 (de) 1997-05-02 1998-12-03 Easyphone Gmbh Mobilfunkgerät mit verringertem Tastensatz
US5825362A (en) * 1997-05-07 1998-10-20 Datahand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keyboard display graphical
US6084576A (en) 1997-09-27 2000-07-04 Leu; Neng-Chyang User friendly keyboard
TW401598B (en) 1997-11-27 2000-08-1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The manufacture method of hemispherical grain silicon (HSG-Si)
DE19757933A1 (de) 1997-12-27 1998-10-01 Lei Sun Ergonomische, drahtlose, multifunktionale und kompakte Eingabe- und Anzeigevorrichtung
US6919879B2 (en) 1998-06-26 2005-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 keyboard optimized for use with the thumbs
US6760013B2 (en) 1998-07-20 2004-07-06 Alphagrip, Inc. Hand held gaming and data entry system
US6512511B2 (en) 1998-07-20 2003-01-28 Alphagrip, Inc. Hand grippable combined keyboard and game controller system
US6710790B1 (en) 1998-08-13 2004-03-23 Symant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cking the active window of a host computer in a remote computer display window
US20010025289A1 (en) 1998-09-25 2001-09-27 Jenkins Michael D. Wireless pen input device
USRE43082E1 (en) 1998-12-10 2012-01-10 Eatoni Ergonomics, Inc.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US6219731B1 (en) 1998-12-10 2001-04-17 Eaton: Ergono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ulti-tap text input
US6489976B1 (en) * 1998-12-15 2002-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op-up symbols for indicating accelerator keys for implementing computer software options
US6320942B1 (en) 1998-12-31 2001-11-20 Keytouch Corporation Directionally-mapped, keyed alpha-numeric data input/output system
US6107877A (en) 1999-04-09 2000-08-2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redistortion generator coupled with an RF amplifier
US6377685B1 (en)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US6606486B1 (en) 1999-07-29 2003-08-12 Ericsson Inc. Word entry method for mobile originated short messages
JP2001046742A (ja) * 1999-08-04 2001-02-20 Namco Ltd ゲーム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6164853A (en) * 1999-09-09 2000-12-26 Foote; Lisa L. Ergonomic housing for a handheld device
SE9903405L (sv) * 1999-09-21 2001-03-22 Ericsson Telefon Ab L M Tillbehörstangentbord för en portabel radiotelefon, portabel radiotelfon kopplad till ett sådant tillbehörstangentbord samt en metod för att mata in text till en portabel radiotelefon.
US6909424B2 (en) 1999-09-29 2005-06-21 Gateway Inc.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 input device
US6865718B2 (en) 1999-09-29 2005-03-08 Microsoft Corp. Accelerated scrolling
US6542091B1 (en) 1999-10-01 2003-04-01 Wayne Allen Rasanen Method for encoding key assignments for a data input device
JP3434751B2 (ja) * 1999-11-11 2003-08-11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1142618A (ja) * 1999-11-16 2001-05-2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エレメント
US6498601B1 (en) 1999-11-29 2002-12-2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put modes on a palmtop computer
US6573844B1 (en) 2000-01-18 2003-06-03 Microsoft Corporation Predictive keyboard
US6654733B1 (en) 2000-01-18 2003-11-25 Microsoft Corporation Fuzzy keyboard
US6615299B1 (en) 2000-01-31 2003-09-02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 translating commands from an input device into commands understandable by an application
US20030083114A1 (en) 2000-04-13 2003-05-01 Daniel Lavin Hardware configuration for a navigation control unit for a wireless computer resource access device, such as a wireless web content access device
JP2001331251A (ja) * 2000-05-24 2001-11-30 Alps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US6741235B1 (en) 2000-06-13 2004-05-25 Michael Gor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JP2002010380A (ja) * 2000-06-19 2002-01-11 Canon Inc 操作装置、操作システム、操作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AU2001276884A1 (en) * 2000-08-03 2002-02-18 Mattel, Inc. Handheld driving simulation game apparatus
US20020023265A1 (en) * 2000-08-08 2002-02-21 Metcalf Darrell J. Wireless controller with publicly-accessible communications link for controlling the content seen on large-screen systems
JP2002157070A (ja) * 2000-11-16 2002-05-31 Enos:Kk ケータイ型インターネット入力装置
US6520699B2 (en) 2001-02-16 2003-02-18 Toshiyasu Abe Keyboard
US6738045B2 (en) 2001-02-26 2004-05-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lerated data navigation
US20020163504A1 (en) 2001-03-13 2002-11-07 Pallakoff Matthew G. Hand-held device that supports fast text typing
CN1319448A (zh) * 2001-04-09 2001-10-31 孕龙科技股份有限公司 组合按键操作的游戏控制器
JP2002315076A (ja) * 2001-04-12 2002-10-25 Nec Corp 携帯電話機を用いた入力装置
US7072975B2 (en) 2001-04-24 2006-07-04 Widera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6541715B2 (en) 2001-05-24 2003-04-01 Philip Swanson Alphanumeric keyboar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2002373048A (ja) * 2001-06-18 2002-12-26 Nec Yonezawa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置装置及びリモコン装置
GB0116083D0 (en) 2001-06-30 2001-08-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WO2003007117A2 (en) 2001-07-12 2003-01-23 Friedman Gary L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input device and combination with a personal digital device
US20040196265A1 (en) 2001-07-17 2004-10-07 Nohr Steven P. System and method for finger held hardware device
US20030048205A1 (en) 2001-08-10 2003-03-13 Junru He 3D electronic data input device with key mapping card
EP1433260A4 (en) 2001-09-20 2009-04-22 Timothy B Higginson UNIVERSAL KEYBOARD
JP2003099704A (ja) 2001-09-21 2003-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振動パターンをプログラミング可能なハンディターミナル装置およびハンディターミナル装置用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FI115861B (fi) 2001-11-12 2005-07-29 Myorigo Oy Menetelmä ja laite palautteen generoimiseksi
US8176432B2 (en) 2001-11-20 2012-05-08 UEI Electronics Inc. Hand held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TW531700B (en) * 2001-11-22 2003-05-11 Darfon Electronics Corp Universal input devi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CN1582536B (zh) 2001-12-18 2010-05-05 诺基亚有限公司 用于便携式无线电通信设备的可更换外壳盖
JP2003198871A (ja) * 2001-12-25 2003-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リモコン装置及び家電機器
US6947028B2 (en) 2001-12-27 2005-09-20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for handheld electronic gadgets
US20030193418A1 (en) 2002-04-10 2003-10-16 Xiaodong Shi Method and Apparatus To Input Text On Devices Requiring A Small Keypad
CA2479052C (en) 2002-05-23 2005-11-22 Digit Wireless, Llc Keypads and key switches
JP2003345459A (ja) * 2002-05-28 2003-12-05 Sony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本体に着脱可能な拡張装置
DE10229068B3 (de) 2002-06-28 2004-02-05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it Touch-Screen Display
KR20040013356A (ko) * 2002-08-06 2004-02-14 주식회사 팬코테크놀로지 휴대전화를 주변장치로 사용하는 휴대형 단말기
US6998871B2 (en) 2002-11-29 2006-02-14 Sigmatel, Inc. Configurable integrated circuit for use i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US20040208681A1 (en) 2003-04-19 2004-10-21 Dechene Joseph Fernand Computer or input device with back side keyboard
US7283125B2 (en) * 2003-05-09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Text input device and adapter mechanism
US7218313B2 (en) 2003-10-31 2007-05-15 Zeetoo, Inc. Human interface system
JP4214070B2 (ja) * 2004-03-12 2009-01-28 任天堂株式会社 携帯ゲー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0931A1 (en) 2007-04-12
KR20100089881A (ko) 2010-08-12
CN101313270A (zh) 2008-11-26
CN101326479A (zh) 2008-12-17
CA2625758C (en) 2012-07-31
EP1938174A2 (en) 2008-07-02
KR101206694B1 (ko) 2012-11-29
WO2007044870A2 (en) 2007-04-19
JP5717670B2 (ja) 2015-05-13
JP2014241159A (ja) 2014-12-25
CN101326480A (zh) 2008-12-17
CA2625758A1 (en) 2007-04-19
WO2007044870A3 (en) 2007-06-28
US7280097B2 (en) 2007-10-09
JP2009515239A (ja) 2009-04-09
KR101043942B1 (ko) 2011-06-24
JP2012135024A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942B1 (ko)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KR101298332B1 (ko) 이동 장치 커스터마이저
US7932892B2 (en)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US8142287B2 (en) Universal controller for toys and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