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541A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541A
KR20080066541A KR1020070113558A KR20070113558A KR20080066541A KR 20080066541 A KR20080066541 A KR 20080066541A KR 1020070113558 A KR1020070113558 A KR 1020070113558A KR 20070113558 A KR20070113558 A KR 20070113558A KR 20080066541 A KR20080066541 A KR 2008006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nel
coil
intake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882B1 (ko
Inventor
타카시 스나가
요시노리 와카츠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2Cooling of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조리자가 전방의 가까운 거리에 서있는 경우라 하여도, 흡기구가 폐색되는 일이 없는 가열 조리기를 얻는다.
해결 수단
가열 조리기(100)는, 본체케이스(10)의 천판(20)의 하방에 가열 코일(30)이 배치되고, 이것을 구동하는 코일 구동 기판(31)을 냉각하기 위한 풍류가, 풍로 택트(33) 및 본체 흡기로(40)에 의해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에 앞면 패널(50)이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다. 앞면 패널(50)은, 후방 및 하방이 개구한 상자체로서, 앞면(11)에 부착된 때, 패널 하방 흡기구(55)와 본체 케이스(10)의 본체 흡기구(41)를 연통하는 패널 풍로를 형성한다. 또한, 앞면 패널(50)의 표판(51)에 형성된 패널 전방 흡기구(56)를 포위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패널 돌출부(60)가 마련되고, 돌출부 하방 흡기구(65) 및 패널 전방 흡기구(56)를 경유하는 돌출부 풍로가 형성된다.
가열 조리기

Description

가열 조리기{A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 특히, 앞면을 시인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윗면에 가열 코일이 배치된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키친에 조립되거나, 키친 캐비넷에 세트되는 카열 조리기는, 본체 케이스의 윗면에 마련된 천판에 피가열물이 재치되거나,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개구하는 그릴 가열실(개폐 가능한 그릴 문을 구비한다)에 피가열물이 삽입되거나 하여, 조리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천판의 하방에는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코일(이하, 「가열 코일」이라고 칭한다)이 설치되고,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는 가열 코일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비하는 코일 구동 기판(이하, 단지 「코일 구동 기판」이라고 칭한다)과, 코일 구동 기판이나 가열 코일 자체를 냉각하기 위해 풍류를 형성하는 냉각 팬과, 냉각 팬을 수납하는 풍로(風路)가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3-114174호 공보(제 1 내지 2페이지, 도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3-208970호 공보(제 2 내지 3페이지, 도 8)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출력 조정부(가열 코일의 출력을 조정한다)와 그릴 가열실의 앞면 개구부 사이에, 풍로에 연통하는 흡기구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조리자가 전방의 가까운 거리에 서있는 경우, 흡기구가 폐색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발명은, 키친 캐비넷에 세트된 때, 키친 캐비넷의 측면과 본체 케이스의 측면의 간극을, 흡기 구멍을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폐색하기 때문에, 의장성에 우수한 것이지만, 조리자가 전방의 가까운 거리에 서있는 경우, 흡기구가 폐색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조리자가 전방의 가까운 거리에 서있는 경우라도, 흡기구가 폐색되는 일이 없고, 나아가서는, 의장성에 우수한 가열 조리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는, 윗면에 천판을 구비함과 함께, 앞면에 개구한 본체 흡기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천판의 하방에 배치된 가열 코일과,
해당 가열 코일을 구동하는 코일 구동 기판과,
상기 가열 코일을 냉각하기 위한 풍류(風流)를 형성하는 코일 냉각 팬과,
상기 코일 구동 기판 및 상기 코일 냉각 팬을 수납하는 풍로 덕트와,
상기 본체 흡기구와 상기 풍로 덕트를 연통하는 본체 흡기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패널 하방 흡기구를 구비하는 앞면 패널을 가지며,
상기 패널 하방 흡기구와 상기 본체 흡기구를 연통하는 패널 풍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일 구동 기판이란, 가열 코일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회로(포함하는 전자 회로)를 구비하는 코일 구동 기판을 가리키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는, 본체 케이스 앞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패널 하방 흡기구를 구비하는 앞면 패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i) 앞면 패널이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기 때문에, 앞면 패널을 본체 케이스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키친 캐비넷에 세트하고, 세트 후에 앞면 패널을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세트 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세트할 때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다.
(ⅱ) 앞면 패널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패널 하방 흡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조리자가 전방의 가까운 거리에 서있는 경우라도, 패널 하방 흡기로가 폐색되는 일이 없다.
[실시의 형태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가열 조리기(100)는, 윗면에 천판(20)을 구비함과 함께, 전판(11)에 개구하는 본체 흡기구(41)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10)와, 천판(20)의 하방에 배치된 가열 코일(30)과, 가열 코일(3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회로(포함하는 전자 회로)를 구비하는 코일 구동 기판(31)과, 코일 구동 기판(31)을 냉각하기 위한 풍류를 형성하는 코일 냉각 팬(32)과, 코일 구동 기판 및 상기 코일 냉각 팬을 수납하는 풍로 덕트(33)와, 본체 흡기구(41)와 풍로 덕트(33)를 연통하는 본체 흡기로(40)와,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 앞면 패널을 갖고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그릴 가열실이 마련되고, 그릴 가열실에는 그릴 문(21)이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그릴 트레이가 진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앞면 패널 : 패널 풍로)
앞면 패널(50)은 한 쌍이고,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의 측연부에 각각 배치되고, 그 형태는 대칭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실시의 형태 1 내지 6)에서, 그 한쪽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부호에 붙인 첨자 「a b」의 기재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도면에서도 같다).
앞면 패널(50)은, 표판(51), 상판(52), 측판(53a), 및 측판(53b)을 구비하는 후방(뒤쪽(裏方)과 같다) 및 하방이 개구한 상자체이다. 그리고, 측판(53a)과 측판(53b)은, 하단의 후방에서, 측판 연결판(5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앞 면 패널(50)이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에 부착된 때, 상판(52)의 후방의 단면(端面)과, 측판(53a) 및 측판(53b)의 후방의 단면과, 측판 연결판(54)의 후방의 면이, 각각 전판(11)에 맞닿는다.
그리고, 앞면 패널(50)은 착탈 자유롭기 때문에, 가열 조리기(100)를 규정의 치수로 형성된 키친 캐비넷의 오목부(도시 생략)에 설치할 때, 앞면 패널(50)을 제외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할 때,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함과 함께 설치할 때의 맞닿음이나 활주에 의한 손상은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하방의 개구부, 정확하게는, 표판(51)의 하방의 단면과, 측판(53a) 및 측판(53b)의 하방의 단면과, 측판 연결판(54)의 하방의 면에 의해 포위된 개구부를 「패널 하방 흡기구(55)」라고 칭한다. 즉, 앞면 패널(50)이 전판(11)에 본체 흡기구(41)를 포위하도록 부착된 때, 앞면 패널(50)의 둘러쌓인 곳(이하 「패널 공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는, 패널 하방 흡기구(55)와 본체 흡기구(41)를 연통하는 풍로(이하「패널 풍로」라고 칭한다)가 형성된다.
(앞면 패널 : 패널 돌출부 풍로)
또한, 앞면 패널(50)의 표판(51)에는 개구한 패널 전방 흡기구(56)가 형성되고, 패널 전방 흡기구(56)를 포위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돌출부 하방 흡기구(66)를 구비하는 패널 돌출부(60)가, 표판(51)에 마련되어 있다.
즉, 패널 돌출부(60)는, 표판(61), 상판(62) 및 측판(63a)으로 형성된, 후방(뒤쪽과 같다)과 하방이 개구한 상자체이다. 또한, 상판(62)은 개략 삼각형형상 이기 때문에, 표판(61)의 한쪽의 측연(61a)은 측판(63a)을 통하여 앞면 패널(50)의 측판(51a)에 이어지고, 다른쪽의 측연(61b)은 앞면 패널(50)의 측판(51b)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패널 돌출부(60)의 하방의 개구부, 정확하게는, 표판(61)의 하방의 단면과, 측판(63a)의 하방의 단면과, 앞면 패널(50)의 전판(11)에 의해 포위된 개구부를 「돌출부 하방 흡기구(65)」라고 칭한다.
즉, 앞면 패널(50)이 전판(11)에 본체 흡기구(41)를 포위하도록 부착된 때, 상기 패널 풍로와 함께, 패널 전방 흡기구(56)를 경유하여, 돌출부 하방 흡기구(65)와 본체 흡기구(41)를 연통하는 풍로(이하 「돌출부 풍로」라고 칭한다)가 형성된다. 단, 패널 공간에서, 패널 풍로와 돌출부 풍로는 명료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체 케이스)
또한,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조작 손잡이(29)(손잡이용 기판(28)이 설치되어 있다)를 배치하기 위한 관통구멍(11a)이 형성되고, 앞면 패널(50)의 표판(51)에도 마찬가지로 조작 손잡이(29)가 관통하는 손잡이용 관통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은, 패널 하방 흡기구(55) 및 돌출부 하방 흡기구(65)의 양쪽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돌출부 하방 흡기구(65)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연히, 패널 돌출부(60)가 불필요해진다. 한편, 패널 하방 흡기구(55) 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면 패널(50)에 하판이 설치되게 된다.
또한, 패널 돌출부(60)의 표판(61)의 하연(下緣)이,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의 하연과 개략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하방으로 연장된 경우에는, 패널 하방 흡기구(55)와 돌출부 하방 흡기구(65)를 구획하는 부재를 철거하여도 좋다(패널 전방 흡기구(56)의 내주중 하연을 철거하는 것과 같다).
또한, 이상은, 앞면 패널(50)로서 평면에 의해 형성된 상자체를 나타내고, 또한, 패널 돌출부(60)로서 개략 삼각형 기둥의 상자체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릴 문(21)에 마련된 그릴 손잡이(21a)와의 관계에 의해 의장성을 높이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가 매끈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자체로서, 패널 돌출부(60)의 표판(61)과 상판(62)이 매끈하게 이어져서 경계가 불명료하여도 좋다(패널 돌출부(60)의 전체가 개략 각추 또는 개략 원추의 일부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앞면 패널(50)의 표판(51)과 패널 돌출부(60)의 표판(61)이 매끈하게 이어져서, 패널 돌출부(60)의 상판(62)이 불명료하여도 좋다(앞면 패널(50)의 전체가 개략 각추 또는 개략 원추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때, 앞면 패널(50)의 하단에는, 본체 케이스(10)에 가까운 범위에 패널 하방 흡기구(55)가, 본체 케이스(10)로부터 떨어진 범위에 돌출부 하방 흡기구(65)가, 각각 형성되게 되지만, 양자의 경계가 불명료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풍로)
풍로 덕트(33)의 하류측에 코일 냉각 덕트(34)가 마련되어 있다. 코일 냉각 덕트(34)에는 가열 코일(30)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유출)하기 위한 분출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에서 천판(20)에 가까운 위치에, 본체 배기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널 하방 흡기구(55) 및 돌출부 하방 흡기구(65)로부터 흡인된 공기는, 본체 흡기구(41)를 통과하여 본체 흡기로(40)로 유입하고, 그리고, 풍로 덕트(33)에서 코일 구동 기판(31)을 냉각한 후, 코일 냉각 덕트(34)로 유입한다. 그리고, 분출구멍(35)으로부터 분출하여 가열 코일(30)을 냉각한 후, 본체 배기구(42)를 통과하여 본체 케이스(10)의 밖으로 배출된다.
즉, 앞면 패널(50)이 전술한 구성이기 때문에, 가열 조리기(100)의 앞면의 가까운 위치에 조리자가 서있는 경우라도, 패널 하방 흡기구(55) 및 돌출부 하방 흡기구(65)가 폐색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곳으로부터 흡인한 공기가 도중 끊어지는 일 없이, 코일 구동 기판(31) 및 가열 코일(30)은 확실하게 냉각되게 된다.
(천판)
천판(20)에는, 복수의 냄비 재치 서클(20a)이 그려지고, 그 직하(천판(20)의 하방)에 강열 코일(30)이 설치되어 있다. 천판(20)의 전방 근처의 연부(緣部)에는, 윗면 조작부(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냄비 재치 서클(20a)(가열 코일(30)과 같다)의 수량이나 배치 형태는 도시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윗면 조작부(22) 및 조작 손잡이(29)의 형태나 각각의 기능에 관해서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의 베리에이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베리에이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와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서, 가열 조리기(100B)는, 본체 케이스(10)의 저면(12)에 평행한 상하 분할판(43)이 설치되고, 본체 흡기로(40)가 본체 하흡기로(40s)와 본체 상흡기로(40u)로 2분할되어 있다(이러한 본체 케이스(10)를 본체 케이스(10B)라고 칭한다). 또한, 본체 케이스(10B)의 전판(11)에는, 본체 하흡기로(40s) 및 본체 상흡기로(40u)에 각각 연통하는 본체 하흡기구(41s) 및 본체 상흡기구(41u)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회로(포함하는 전자 회로)를 구비하는 본체 기판(13)이 본체 하흡기로(40s)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패널 하방 흡기구(55) 및 돌출부 하방 흡기구(65)로부터 흡인된 공기는, 본체 하흡기구(41s)를 통과하여 본체 하흡기로(40s)에 유입한다. 이때, 상하 분할판(43)이 설치됨에 의해, 본체 하흡기로(40s)의 단면적은 작아져 있기 때문에, 이것을 흐르는 흡기의 속도는 빠르게 되고, 본체 기판(13)은 효율 좋게 냉각되게 된다.
또한, 본체 상흡기구(41u)를 통과하여 본체 상흡기로(40u)에도 흡기가 유입하기 때문에, 공기 흐름이 없는 공기 단열층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 상흡기구(41u)를 철거(폐지)하여, 본체 상흡기로(40u)를 정류(停留)하는 공기의 층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2]
도 4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4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앞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앞면 패널의 부착 요령을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6의 (b)에서, 가열 조리기(200)의 본체 케이스(210)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앞면 패널(50)의 전판(11)에, 직사각형형상으로 개구하는 본체 흡기구(41)가 형성되고, 본체 흡기구(41)의 내주에 따라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패널 감합부(44)가 설치된 것이다. 감합부(44)는 하방이 개구한 단면 ㄷ자형상이고, 상판(44c)과, 측판(44a, 44b)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44c)에는 직사각형형상으로 관통하는 피계지용 구멍(피계지용 수단과 같다)(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의 (a)에서, 가열 조리기(200)의 앞면 패널(250)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앞면 패널(50)에 본체 침입부(70)가 설치된 것이다. 본체 침입부(70)는, 앞면 패널(250)의 전판(51)에 형성된 패널 전방 흡기구(56)의 내주에 따라 후방(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단면 ㄷ자형상이고, 상판(70c)과, 측판(70a, 70b)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면 패널(250)의 본체 침입부(70)의 외주는, 본체 케이스(10)에 설치된 패널 감합부(44)의 내주에 개략 동일하여 침입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상판(70c)의 선단에는 한쌍의 슬릿(71a, 71b)이 형성되고, 슬릿(71a) 과 슬릿(71b)에 의해 끼워진 범위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폴(계지 수단과 같다)(72)이 형성되어 있다. 폴(72)은, 전방(표판(51)측과 같다)을 향하여 상승하는 폴 테이퍼(72a)와, 폴 테이퍼(72a)의 종단(72)에 형성된 폴 단차(72b)를 갖는다.
도 6의 (c)에 있어서, 앞면 패널(250)이 본체 케이스(210)에 부착되어 있다. 즉, 앞면 패널(50)의 본체 침입부(70)가 본체 케이스(210)의 감합부(44)에 침입하고 있다. 이때, 본체 침입부(70)의 폴(72)은 폴 테이퍼(72a)를 구비함과 함께, 슬릿(71a, 71b)에 끼워진 캔틸레버(편측지지 들보)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침입부(70)는, 폴 테이퍼(72a)에 의해 안내됨과 함께, 캔틸레버의 탄성 휘어짐에 의해 용이하게 패널 전방 흡기구(56)로 침입하 수 있다.
그리고, 폴(72)은 감합부(44)의 상판(44c)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서 탄성 변형한 채로, 상판(44c)에 활주하면서 침입하고, 이윽고, 피계지용 구멍(45)에 도달한다. 그러면, 폴(72)은 탄성 복원하여 피계지용 구멍(45)에 침입(떨어져 들어간다)한다. 또한, 탄성 변형이란, 주로 이러한 캔틸레버의 탄성 휘어짐이다.
그리고, 폴(72)이 피계지용 구멍(45)에 일단 침입한 후는, 폴 단차(72b)가 피계지용 구멍(45)에 계지하기 때문에, 폴(72)이 피계지용 구멍(45)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앞면 패널(250)이 부주의로 탈락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과잉한 힘으로 앞면 패널(250)을 당겨 벗기려고 하면, 상기 캔틸레버의 탄성 변형에 의해, 폴(72)은 피계지용 구멍(45)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앞면 패널(250)을 떼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열 조리기(200)에는, 단면 ㄷ자형상의 본체 침입부(70)를 구 비하는 앞면 패널(250)이 부착되기 때문에, 패널 하방 흡기구(55) 및 돌출부 하방 흡기구(65)로부터 흡인된 공기는, 본체 침입부(70)에 의해 안내되고, 개략 수평 방향을 향하여 본체 흡기로(40)에 유입하게 된다.
또한, 감합부(44) 및 본체 침입부(70)의 형태는, 도시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면 ㄷ자형상으로 바꾸어, 단면 U자형상이나, 상판(44) 및 상판(70c)만, 또는 측판(44a, 44b) 및 측판(70a, 70c)만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폴(72) 및 피계지용 구멍(45)의 형태는, 도시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피계지용 구멍(45)을 상판(44c)에 형성된 오목부(관통하지 않는다)로 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도 3 참조)과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서, 가열 조리기(300)의 본체 케이스(310)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본체 케이스(10)에, 상하 분할판(43)이 설치되고, 본체 흡기로(40)가 본체 하흡기로(40s)와 본체 상흡기로(40u)로 2분할됨과 함께, 본체 하흡기로(40s)에, 본체 팬(14)이 배치된 것이다.
따라서, 본체 하흡기로(40s)에는, 본체 팬(14)과 코일 냉각 팬(32)의 양쪽에 의해 풍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본체 기판(13)의 냉각이 촉진된다. 또한, 본체 팬(14)의 배치 위치는, 본체 기판(13)의 상류(도 7 참조)라도, 하류(도 8 참조)라 도 좋다. 단, 본체 기판(13)을 냉각함에 의해 본체 하흡기로(40s)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는 상승하기 때문에, 본체 팬(14)은, 하류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상류측에 배치된 경우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이상은, 상하 분할판(43)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 분할판(43)을 철거하여, 본체 흡기구(41)(도 2 참고)에 가깝게 본체 팬(14)을 배치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9는 정면으로 본 단면도, 도 10은 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도 1 및 도 2 참조)과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가열 조리기(400)의 본체 케이스(410)는, 실시의 형태 3의 본체 케이스(310)에서, 풍로 덕트(33)와 코일 냉각 덕트(34)가 차단되고(연통하지 않는다), 본체 상흡기로(40u)와 풍로 택트(33)가 차단되고, 또한, 본체 상흡기로(40u)와 코일 냉각 덕트(34)가 연통구멍(36)에 의해 연통된 것이다.
따라서, 코일 냉각 팬(32)에 의해 본체 상흡기로(40u)에 흡인된 공기는, 연통구멍(36)을 통과하여 코일 냉각 덕트(34)에 유입하고, 분출구멍(35)으로부터 가열 코일(30)을 향하여 분출하게 된다. 즉, 가열 코일(30)은 외기 온도와 같은 온도의 공기에 의해 효율 좋게 냉각된다.
한편, 본체 팬(14)에 의해 본체 하흡기로(40s)에 흡인된 공기는, 풍로 덕 트(33)에 유입하여 코일 구동 기판(31)을 냉각한다. 그리고, 코일 구동 기판(31)을 냉각한 공기(이미, 본체 기판(13)을 냉각하고 있다)는, 가열 코일(30)을 향하여 유출되기 때문에, 가열 코일(30)의 냉각에도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410)의 후방에, 개구하는 후방 배기구(도시 생략)를 마련하고, 이러한 후방 배기구와 풍로 덕트(33)를 연통하여도 좋다. 이때, 가열 코일(30)은 코일 냉각 팬(32)만(외기 온도와 같은 온도의 공기만)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또한, 본체 흡기구(41a, 41b)의 형태(크기, 형상, 수량 등)는 도시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요구되는 냉각 부하나 풍로의 저항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 흡기구(41B)를 관통구멍(11a)(손잡이용 기판(28)이 설치된 조작 손잡이(29)가 관통하고 있다)의 근처에 형성하여 두면, 손잡이용 기판(28)의 냉각이 촉진되게 된다.
[실시의 형태 5]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11은 정면으로 본 단면도, 도 12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도 1 및 도 2 참조)과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서, 가열 조리기(500)의 본체 케이스(510)에는, 폭방향(도 9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에 그릴 가열실(2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510)의 전판(11)의 양측부에는 본체 흡기구(41a, 41b) 가 형성되고, 그릴 가열실(23)을 끼우도록, 본체 케이스(510)의 양측부에 본체 흡기로(40a, 40b)가 형성되고, 본체 흡기로(40a, 40b)는 어느 것이나 풍로 덕트(33)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본체 흡기로(40a)와 본체 흡기로(40B)를 연통하는 연통 흡기관(80)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 흡기관(80)은, 개략 ㄷ자형상으로 구부러진 관체(管體)로서, 그릴 가열실(23)의 상방을 횡단하는 수평부(80c)와, 수직부(80a, 80b)를 갖고 있다. 수직부(80a, 80b)의 선단(하단) 개구부(81a, 81b)는, 본체 흡기로(40a, 40b)에 형성되는 풍류에 의해 이젝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체 흡기로(40a)에서 풍류가 정지한 경우라도, 본체 흡기로(40B)에 형성된 풍류에 의해, 본체 흡기구(41a)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연통 흡기관(80)을 경유하여 본체 흡기로(40B)에 흡인되게 된다.
(실시의 형태 5의 베리에이션)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버리레이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와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서, 가열 조리기(500B)의 본체 케이스(510B)는, 실시의 형태 3의 본체 케이스(310)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본체 케이스(510B)의 폭 방향의 중앙에 그릴 가열실(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전판(11)의 한쪽의 측부에는 본체 하흡기구(41as) 및 본체 상흡기구(41ua)(도시 생략)가 마련되고, 전판(11)의 다른쪽의 측부에는 본체 하흡기구(41sb)(도시 생략) 및 본체 상흡기구(41ub)(도시 생략)가 마련되고, 이 들은 어느 것이나 풍로 덕트(33)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본체 하흡기로(40as, 40as)에는, 각각 본체 기판(13a, 13b) 및 본체 팬(14a, 14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하흡기로(40as)와 본체 하흡기로(40bs)를 연통하는 연통 흡기관(80)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 흡기관(80)은, 개략 ㄷ자형상으로 구부러진 관체로서, 그릴 가열실(23)의 상방을 횡단하는 수평부(80c)와, 수직부(80a, 80b)를 갖고 있다. 수직부(80a, 80b)의 선단(하단) 개구부(81a, 81b)는, 본체 하흡기로(40as, 40au)에 형성된 풍류에 의해 이젝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체 하흡기로(40as)에서 풍류가 정지(예를 들면, 본체 팬(14a)이 정지)한 경우라도, 본체 하흡기로(40Bs)에 형성된 풍류에 의해, 본체 하흡기구(41as)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연통 흡기관(80)을 경유하여 본체 하흡기로(40as)에 흡인되게 된다. 따라서, 본체 팬(14a)이 정지하여도, 본체 기판(13a)은 냉각되게 된다.
도 14에서, 가열 조리기(500C)의 본체 케이스(510C)는, 실시의 형태 4의 본체 케이스(410)에 상당하는 것이고, 본체 케이스(510B)(도 13 참조)에 준하여, 연통 흡기관(580)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체 케이스(510B)(도 13)와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연통 흡기관(580)은, 본체 하흡기로(40as, 40au)와 본체 상흡기로(40ua, 40bb)를, 상호 연통하는 것으로, 각각에 개구하는 하단(선단) 개구부(81as, 81bs)와, 측방 개구부(81au, 81bu)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가열 조리기(500B)와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흡기로에서 풍류가 정지하는 상황이 발생해도, 연통 흡기관(580)을 경유한 흡기에 의해, 소정의 기기 냉각이 담보되게 된다.
또한, 연통 흡기관(580)의 형태(크기, 형상 등)는 도시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6]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15는 사시도, 도 16은 앞면 패널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의 사시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도 1 및 도 2 참조)과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에서, 가열 조리기(600)에는, 앞면 패널(650)이 부착되어 있다. 앞면 패널(650)은, 실시의 형태 1의 앞면 패널(50)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10)에 부착된 때, 다른쪽의 측판(53b)(패널 돌출부(60)의 표판(61)의 다른쪽의 측연(61b)과 같다)이, 본체 케이스(10)의 측면(15)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도 15에서, 돌출량을 「S」로 나타낸다).
따라서, 가열 조리기(600)를 규정의 치수로 형성된 키친 캐비넷의 오목부(도시 생략)에 설치할 때, 앞면 패널(650)은 착탈 자유롭기 때문에, 먼저 떼어낸 상태에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할 때,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함과 함께, 설치할 때의 맞닿음이나 활주에 의한 손상은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설치 후에 앞면 패널(650)을 부착하면, 돌출량(S)에 의해, 상기 극관 이 폐색되기 때문에, 앞면 패널(650)과 키친 캐비넷의 앞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의장성이 향상한다. 특히, 돌출량(S)은 키친 캐비넷의 규격에 따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키친 캐비넷에 설치하여도, 시스템 키친으로서의 통일성이 유지되게 된다.
도 16에서, 앞면 패널(650)의 후면(이측(裏側))에는, 본체 케이스(10)의 측면(15) 측에 뒷판(裏板)(654)이 설치되어 있다. 즉, 뒷판(654)의 폭은 돌출량(S)에 상당하고 있기 때문에, 앞면 패널(650)이 본체 케이스(10)의 전판(11)에 부착된 때, 앞면 패널(650)의 상판(52)의 후방의 단면과, 측판(53a) 및 측판(53b)의 후방의 단면과, 측판 연결판(54)의 후방의 면과, 뒷판(654)의 후방의 면이, 각각 전판(11)에 맞닿는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패널 하방 흡기구(55) 및 돌출부 하방 흡기구(65)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0) 내에서, 마찬가지 풍로가 형성된다.
또한, 이상은, 실시의 형태 1에 도시하는 앞면 패널(50)의 폭을 넓히고, 본체 케이스(10)에 부착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의 형태 2 내지 5에서의 어느 앞면 패널 및 본체 케이스에 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좌우에 부착된 앞면 패널중 한쪽의 앞면 패널만에 관해서, 그 폭을 넓게 하여도 좋다.
또한, 돌출량(S)에 의한 상기 간극의 폐색이란, 완전 밀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간극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간극을 형성하는 형태를 의미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앞면 패널이 착탈 자유롭고, 확실하게 풍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정용 및 업무용의 각종 가열 조리기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베리에이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부분을 분해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앞면 패널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앞면 패널의 부착 요령을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정면으로 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정면으로 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베리에이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베리에이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앞면 패널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단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케이스 10B : 본체 케이스
11 전판 11a : 관통구멍
12 : 저면 13 : 본체 기판
13a : 본체 기판 14 : 본체 팬
14a : 본체 팬 15 : 측면
20 : 천판 20a : 냄비 재치 서클
21 : 그릴 문 2la : 그릴 손잡이
22 : 윗면 조작부 23 : 그릴 가열실
28 : 손잡이용 기판 30 : 가열 코일
31 : 코일 구동 기판 32 : 코일 냉각 팬
33 : 풍로 덕트 34 : 코일 냉각 덕트
35 : 분출구멍 36 : 연통구멍
40 : 본체 흡기로 40a : 본체 흡기로
40b : 본체 흡기로 40u : 본체 상흡기로
40s : 본체 하흡기로 40as : 본체 하흡기로
40au : 본체 상흡기로 41 : 본체 흡기구
41a : 본체 흡기구 41b : 본체 흡기구
41s : 본체 하흡기구 41u : 본체 상흡기구
41as : 본체 하흡기구 41bu : 본체 상흡기구
42 : 본체 배기구 43 : 상하 분할판
44; 패널 감합부 44 : 상판
44a : 측판 44c : 상판
45 : 피계지용 구멍 50 : 앞면 패널
51 : 표판 51a : 측판
51b : 측판 52 : 상판
53a : 측판 53b; 측판
54 : 측판 연결판 55 : 패널 하방 흡기구
56 : 패널 전방 흡기구 57 : 손잡이용 관통구멍
60 : 패널 돌출부 61 : 표판
61a : 측연 61b : 측연
62 : 상판 63a : 측판
63b : 측판 65 : 돌출부 하방 흡기구
70 : 본체 침입부 70a : 측판
70b : 측판 70c : 상판
71a : 슬릿 71b : 슬릿
72 : 폴 72a : 폴 테이퍼
72b : 폴 단차 80 : 연통 흡기관
80a : 수직부 80c; 수평부
81a : 개구부 81as : 하단(선단) 개구부
81au : 측방 개구부 100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1)
100B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1의 베리에이션)
200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2)
210 : 본체 케이스
250 : 앞면 패널
300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3)
310 : 본체 케이스
400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4)
410 : 본체 케이스
500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5)
500B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5의 베리에이션)
500C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5의 베리에이션)
510 : 본체 케이스
510B : 본체 케이스
510C : 본체 케이스
580 : 연통 흡기관
600 : 가열 조리기(실시의 형태 6)
650 : 앞면 패널
654 : 뒷판
S : 돌출량

Claims (11)

  1. 윗면에 천판을 구비함과 함께, 앞면에 개구한 본체 흡기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천판의 하방에 배치된 가열 코일과,
    해당 가열 코일을 구동하는 코일 구동 기판과,
    상기 가열 코일을 냉각하기 위한 풍류를 형성하는 코일 냉각 팬과,
    상기 코일 구동 기판 및 상기 코일 냉각 팬을 수납하는 풍로 덕트와,
    상기 본체 흡기구와 상기 풍로 덕트를 연통하는 본체 흡기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패널 하방 흡기로를 구비하는 앞면 패널을 가지며,
    상기 패널 하방 흡기구와 상기 본체 흡기구를 연통하는 패널 풍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윗면에 천판을 구비함과 함께, 앞면에 개구한 본체 흡기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천판의 하방에 배치된 가열 코일과,
    해당 가열 코일을 구동하는 코일 구동 기판과,
    상기 가열 코일을 냉각하기 위한 풍류를 형성하는 코일 냉각 팬과,
    상기 코일 구동 기판 및 상기 코일 냉각 팬을 수납하는 풍로 덕트와,
    상기 본체 흡기구와 상기 풍로 덕트를 연통하는 본체 흡기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앞면에 개구하는 패널 전방 흡기구가 형성됨과 함께, 해당 패널 전방 흡기구를 포위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돌출부 하방 흡기구를 구비하는 패널 돌출부가 형성된 앞면 패널을 가지며,
    상기 패널 전방 흡기구를 경유하여, 상기 돌출부 하방 흡기구와 상기 본체 흡기구를 연통하는 돌출부 풍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흡기로에, 상기 본체 흡기구로부터 흡기하기 위한 본체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윗면에 천판을 구비함과 함께, 앞면에 개구한 본체 흡기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천판의 하방에 배치된 가열 코일과,
    해당 가열 코일을 구동하는 코일 구동 기판과,
    상기 코일 구동 기판을 수납하는 풍로 덕트와,
    상기 본체 흡기구의 일부와 상기 풍로 덕트를 연통하는 기판용 흡기로와,
    해당 기판용 흡기로에 설치된 기판 냉각 팬과,
    상기 가열 코일을 냉각하기 위한 풍류를 형성하는 코일 냉각 팬과,
    해당 코일 냉각 팬을 수납하는 코일 냉각 덕트와,
    상기 본체 흡기구의 일부와 상기 코일 냉각 덕트를 연통하는 코일용 흡기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패널 하방 흡기구를 구비하는 앞면 패널을 가지며,
    상기 패널 하방 흡기구와 상기 본체 흡기구를 연통하는 패널 풍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5. 윗면에 천판을 구비함과 함께, 앞면에 개구한 본체 흡기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천판의 하방에 배치된 가열 코일과,
    해당 가열 코일을 구동하는 코일 구동 기판과,
    상기 코일 구동 기판을 수납하는 풍로 덕트와,
    상기 본체 흡기구의 일부와 상기 풍로 덕트를 연통하는 기판용 흡기로와,
    해당 기판용 흡기로에 설치되고 기판 냉각 팬과,
    상기 가열 코일을 냉각하기 위한 풍류를 형성하는 코일 냉각 팬과,
    해당 코일 냉각 팬을 수납하는 코일 냉각 덕트와,
    상기 본체 흡기구의 일부와 상기 코일 냉각 덕트를 연통하는 코일용 흡기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계면에 개구하는 패널 전방 흡기구가 형성됨과 함께, 해당 패널 전방 흡기구를 포위하고, 하방으로 개구 하는 돌출부 하방 흡기구를 구비하는 패널 돌출부가 형성된 앞면 패널을 가지며,
    상기 패널 전방 흡기구를 경유하여, 상기 돌출부 하방 흡기구와 상기 본체 흡기구를 연통하는 돌출부 풍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제 1, 2,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 패널이 복수개이고,
    한쪽의 앞면 패널에 형성된 패널 풍로와 다른쪽의 앞면 패널에 형성된 패널 풍로를 연통하는 패널 연통 풍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제 1, 2,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 패널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함과 함께, 선단에 계지 수단을 구비하는 본체 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상기 본체 침입부가 침입 자유로움과 함께, 상기 계지 수단에 계지 자유로운 피계지 수단을 구비하는 패널 감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 1, 2,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침입부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단면 개략 ㄷ자형상이고, 상기 패널 풍로 또는 상기 돌출부 풍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가열 조리기.
  9. 제 1, 2,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조작 손잡이가 관통하는 조작 손잡이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해당 조작 손잡이용 관통구멍의 주위에 상기 본체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0. 제 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 패널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면의 측단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앞면 패널의 측면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소정의 개구를 구비하는 키친 캐비넷에 세트된 때,
    상기 개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의 간극이, 상기 앞면 패널의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하는 범위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070113558A 2007-01-12 2007-11-08 가열 조리기 KR100896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4088 2007-01-12
JP2007004088A JP4633066B2 (ja) 2007-01-12 2007-01-12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41A true KR20080066541A (ko) 2008-07-16
KR100896882B1 KR100896882B1 (ko) 2009-05-12

Family

ID=3963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558A KR100896882B1 (ko) 2007-01-12 2007-11-08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33066B2 (ko)
KR (1) KR100896882B1 (ko)
CN (1) CN1012227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0516B2 (ja) * 2009-08-31 2013-03-13 株式会社パロマ ビルトインコンロ
JP5476921B2 (ja) * 2009-10-26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471296B2 (ja) * 2009-10-26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487879B2 (ja) * 2009-10-26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489329B2 (ja) * 2009-10-28 2014-05-14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CN103155813A (zh) * 2011-12-13 2013-06-19 洛阳甲天下牡丹园艺有限公司 压花器
JP5857188B2 (ja) * 2011-12-19 2016-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808271B2 (ja) * 2012-02-29 2015-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925112B2 (ja) * 2012-12-12 2016-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632517B2 (ja) * 2013-08-27 2014-11-26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6195164B2 (ja) * 2014-02-20 2017-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748889B2 (ja) * 2014-07-07 2015-07-1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6002340B2 (ja) * 2016-02-08 2016-10-05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16106368A (ja) * 2016-02-08 2016-06-1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7219466B2 (ja) * 2019-05-29 2023-02-08 株式会社パロマ 加熱調理器
JP7298891B2 (ja) * 2019-09-30 2023-06-27 株式会社パロマ 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126U (ja) * 1983-07-04 1985-01-26 松下精工株式会社 換気扇用フ−ド
JPH0449839Y2 (ko) * 1985-03-06 1992-11-24
JPS61263084A (ja) * 1985-05-17 1986-11-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H1043044A (ja) 1996-08-07 1998-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炊飯器
KR19990047492A (ko) * 1997-12-04 1999-07-05 윤종용 전자레인지
JP2003077627A (ja) * 2001-06-21 2003-03-14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JP3804493B2 (ja) * 2001-09-04 2006-08-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3735810B2 (ja) * 2002-01-15 2006-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0553046B1 (ko) * 2003-10-16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JP4461855B2 (ja) * 2004-03-16 2010-05-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KR101207301B1 (ko) * 2005-06-10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JP4664754B2 (ja) * 2005-06-30 2011-04-06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33066B2 (ja) 2011-02-16
KR100896882B1 (ko) 2009-05-12
JP2008171695A (ja) 2008-07-24
CN101222796A (zh) 2008-07-16
CN101222796B (zh)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882B1 (ko) 가열 조리기
KR100613510B1 (ko)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US10578311B2 (e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metered exhaust channel
JP491528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09256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206356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2102554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20200072702A (ko)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조리장치
KR20160088608A (ko) 조리기기
US20110006056A1 (en) Microwave oven
JP201027790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7274848B2 (ja) 加熱調理器
CA2674935A1 (en) A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EP1649220B1 (en) Air flow system in an oven
JP2013026167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97009B1 (ko)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CN218972960U (zh) 一种集成灶
JP2012243545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2029636U (zh) 一种集成灶散热结构和集成灶
KR102022960B1 (ko)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005962B1 (ko) 팬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17049619A1 (zh) 微波加热装置
JP5759858B2 (ja) 加熱調理器
CN112450743A (zh) 一种烤箱
KR20240032521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