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649A -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649A
KR20080014649A KR1020070079975A KR20070079975A KR20080014649A KR 20080014649 A KR20080014649 A KR 20080014649A KR 1020070079975 A KR1020070079975 A KR 1020070079975A KR 20070079975 A KR20070079975 A KR 20070079975A KR 20080014649 A KR20080014649 A KR 20080014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u
operating system
user interface
startup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쿠타다 요시다
미노루 야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4Loading of the micro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77Initialisation or configuration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5Initialisation of multiprocess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감적인 기동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OS는 고기능의 OS가 되고, CPU(112)에 의해 실행되는 OS는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OS와 비교하여 저기능이지만 고속 기동이 가능한 OS가 된다. OS의 기동 후, CPU(111)에서는, 각종의 모듈을 로드하고, 그것을 실행하는 것 등이 행하여지고, 이로써, CPU(111)가 처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CPU(111)가 그 처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의 동안, 다른쪽의 CPU인 CPU(112)에 의해, CPU(111)가 행하여야 할 처리중의 일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CPU를 탑재하는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촬영 장치, CPU, ROM, 플래시 메모리, 공유 메모리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ELECTRONIC APPLIANCE AND STARTUP METHOD}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감적인 기동 시간을 보다 단축한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한 통신,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Bluetooth(등록상표)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촬영 장치나, 플래시 메모리 또는 HDD(Hard Disk Drive) 등의 대용량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시장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대용량의 기록 매체에 액세스하거나 하는 것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개발하여야 할 소프트웨어의 규모가 커지고, 그 개발을 효율 좋게 행하기 위해서는, 고기능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Operating System)라고 칭한다)을 촬영 장치에 탑재하고, 실행시킬 필요가 생기고 있다.
고기능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이용함에 의해, 드라이버 등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준비하여 두고, 기동 후에 그것을 실행킴에 의해, 네트워크에의 접속 기능이 나 기록 매체의 액세스 기능 등의 각종의 기능을 비교적 용이하게 촬영 장치에 실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촬영 장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 메모리(12), 플래시 메모리(13), CPU(14), 메모리(15), 플래시 메모리(16),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Integrated Circuit)(17), 액정 표시 패널(18), 촬상부(19), 신호 제어 CODEC(COder/DECoder)(20), 미디어 I/O(Input/Output)(21), 기록 미디어(22),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23), 전원 버튼(24), 미디어 취출 버튼(25), 줌 버튼(26), 액정 표시 패널 온오프 버튼(27), 녹화 버튼(28), 및 통신 제어 IC(29)로 구성된다.
CPU(11), 메모리(12), 플래시 메모리(13), CPU(14), 메모리(15), 플래시 메모리(16),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7), 촬상부(19), 신호 제어 CODEC(20), 미디어 I/O(21),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23), 및 통신 제어 IC(29)는 제어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메모리(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란, 유저(사용자)에 의해 행하여진 조작에 응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나, 유저에 대해 정보의 제시, 통지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메모리(12)는,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일시적인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도 1에서 메모리(12)에 기억되는 데이터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그글의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인 것을 나 타낸다.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데이터로서 나타내어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41)은, 플래시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과 같은 프로그램이고, 유저 설정 데이터(42)는, 플래시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설정 데이터(32)와 같은 데이터이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41)과 유저 설정 데이터(42)는, 전원 버튼(24)이 가압되는 등으로 촬영 장치가 기동한 때에, 플래시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과 유저 설정 데이터(32)가 카피됨에 의해 각각 메모리(12)에 기억된다.
기동 요인 데이터(43)는, 촬영 장치의 기동 요인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촬영 장치의 기동시에 CPU(11)에 의해 메모리(12)에 기억된다.
표시 화상 데이터(44)는, 액정 표시 패널(18)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2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정 표시 패널(18)에 화상을 표시시킬 때, 기록 미디어(22)로부터 판독되고, 신호 제어 CODEC(20)에 의해 복호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표시 화상 데이터(44)로서 메모리(12)에 기억된다.
스트림 데이터(45)는, 기록 미디어(22)에 기록시키는 동화상의 데이터이고, 녹화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메모리(12)에 기억된다. 녹화시에 촬상부(19)에 의해 받아들여진 화상 신호는 신호 제어 CODEC(20)에 의해 부호화되고, 부호화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스트림 데이터(45)로서 기억된다.
플래시 메모리(13)는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플래시 메모리(13)에는, 메모리(12)에 카피됨으로서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 및 촬영 동작 등의, 촬영 장치의 동작에 관한 유저에 의한 설정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유저 설정 데이터(32)가 기억되어 있다.
CPU(1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촬상부(19) 및 신호 제어 CODEC(2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촬영 장치에는 2개의 CPU가 마련되어 있고, 한쪽의 CPU인 CPU(11)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하고, 다른쪽의 CPU인 CPU(14)는, CPU(11)에 의한 지시에 응하여, 촬상의 제어나 신호의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메모리(15)는, CPU(1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일시적인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플래시 메모리(16)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과 같은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이, 메모리(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데이터로서 나타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은, 촬영 장치가 기동한 때에, 플래시 메모리(16)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이 카피됨에 의해 메모리(15)에 기억된다.
플래시 메모리(16)는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메모리(15)에 카피됨으로서 CPU(1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 등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7)는, 액정 표시 패널(18)의 표시를 제어한다.
액정 표시 패널(18)은,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7)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각종의 화상, 문자 등을 표시한다.
촬상부(19)는, 렌즈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고, 렌즈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광학적인 화상을 전기 신호인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를 신호 제어 CODEC(20)에 공급한다.
신호 제어 CODEC(20)는, 촬상부(19)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를 부호화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 CODEC(20)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스트림 데이터(45)로서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후, 미디어 I/O(21)를 통하여 기록 미디어(22)에 기록된다.
또한, 신호 제어 CODEC(20)는, 기록 미디어(22)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정 표시 패널(18)에의 화면 표시를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7)에 행하게 한다.
미디어 I/O(21)는, 기록 미디어(22)의 인터페이스이다. 미디어 I/O(21)는, 기록 미디어(22)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기록 미디어(22)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기록 미디어(22)는, 광디스크 및 그 드라이브, 또는, 반도체 메모리, HDD 등으로 이루어지고, 미디어 I/O(21)를 통하여 공급되며 신호 제어 CODEC(20)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 미디어(22)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는 미디어 I/O(21)에 의해 적절히 판독되고, 화상의 표시 등에 이용된다.
CPU(11)와 CPU(14)는 통신 제어 IC(29)를 통하여 통신을 행한다. CPU(11)가 통신 제어 IC(29)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통신 제어 IC(29)가 CPU(14)에 대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CPU(14)는, CPU(11)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통신 제어 IC(29)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CPU(14)가 통신 제어 IC(29)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통신 제어 IC(29)가 CPU(11)에 대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CPU(11)는, CPU(14)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통신 제어 IC(29)로부터 판독한다. 이로써 CPU(11)와 CPU(14) 사이에서의 통신이 행하여진다.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23)는, 전원 버튼(24), 미디어 취출 버튼(25), 줌 버튼(26), 액정 표시 패널 온오프 버튼(27) 및 녹화 버튼(28)의 입력 인터페이스이고, 가압된 버튼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취하고, 가압된 버튼에 응한 신호를, 제어 버스를 통하여 CPU(11)에 공급한다.
전원 버튼(24)은,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미디어 취출 버튼(25)은, 기록 미디어(22)가 광디스크 및 그 드라이브로 이루어지는 경우, 광디스크를 취출할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기록 미디어(22)가 광디스크 및 그 드라이브로 이루어지고, 촬영 장치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취출 버튼(25)이 가압된 경우, 촬영 장치가 일시적으로 기동하여 광디스크가 배출된다. 즉, 촬영 장치의 기동 요인으로서는, 적어도,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24)이 가압된 것과, 전원이 오프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취출 버튼(25)이 가압된 것의 2개가 있다. 메모리(12)에 기억되는 기동 요인 데이터(43)는, 이 2개의 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줌 버튼(26)은, 줌 인 또는 줌 아웃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액정 표시 패널 온오프 버튼(27)은, 액정 표시 패널(18)의 표시를 시작시킬 때, 또는 액정 표시 패널(18)의 표시를 종료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녹화 버튼(28)은, 녹화, 즉, 부호화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 미디어(22)에 기록하는 것을 시작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도 2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촬영 장치의 기동 처리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상단에 도시되는 영역은 CPU(11)의 처리를 나타내고, 중단에 도시되는 영역은 CPU(14)의 처리를 나타낸다. 하단은, 액정 표시 패널(18)에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2의 횡방향은 시간 방향을 나타낸다.
전원 버튼(24)이 가압된 때, CPU(11)에 의한 OS의 기동과 CPU(14)에 의한 OS의 기동이 동시에 시작된다. CPU(11)에 의한 OS의 기동이 완료된 때, 드라이버 등의 모듈이 로드되고, 로드된 모듈이 CPU(11)에 의해 실행된다.
도 1의 촬영 장치에서는, CPU(11)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CPU(11)에 의한 OS의 기동이 시작된 시점(OS의 기동 등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18)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18)에 표시되는 화면은 흑화(黑畵)인 채로 된다.
또한, 도 1의 촬영 장치에서는,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OS는 CPU(14)에 의해 실행되는 OS와 비교하여 고기능의 OS이고,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기동 후에 각종의 모듈을 로드하거나, 실행하거나 할 필요가 있는 것으 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모듈의 로드나 실행에 걸리는 시간도 포함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의 시간을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OS의 기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라고 하면, 그 시간은, CPU(14)에 의해 실행되는 OS의 기동에 필요하게 되는 시간보다도 길어진다. CPU(14)에 의해 실행되는 OS는, 기동 후에 각종의 모듈을 로드하거나, 실행하거나 하는 일 없이, 기동 후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본래의 기능인 촬상의 제어나 신호 제어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PU(14)는, 자신이 실행하는 OS의 기동이 완료된 때, 플래시 메모리(16)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1)을 메모리(15)에 카피하고, 메모리(15)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을 실행함에 의해, 촬상의 제어나 신호 제어, 즉, 촬상부(19) 및 신호 제어 CODEC(20)의 제어를 시작한다. CPU(11)에 의한 OS의 기동이 완료되기 전에, CPU(14)에 의한 촬상부(19) 및 신호 제어 CODEC(20)의 제어가 시작된다.
OS의 기동이 완료되고, 드라이버 등의, 로드한 모듈의 실행도 완료한 때, CPU(14)가 처리를 시작하는 것에 지연되어, CPU(11)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한다.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는, 플래시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이 메모리(12)에 카피되고, 메모리(12)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41)에 따라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CPU(11)는, 액정 표시 패널(18)의 표시를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7)에 시작시키는 것을 CPU(14)에 지시하고, 기동 화면을 액정 표시 패널(18)에 표시시킴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기동음을 출력시킨다. 또한, 촬상부(19)의 기동을 CPU(14)에 대해 지시하는 것 등도 행한다.
촬상부(19)의 기동이 CPU(11)로부터 지시된 때, CPU(14)는, 촬상부(19)를 기동시킨다. 또한, CPU(14)는, 메모리(12)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설정 데이터(42)에 의해 나타내여지는 유저에 의한 조정에 따라 촬상부(19)의 동작을 설정한다. 촬상부(19)의 기동과, 그 동작의 설정이 완료된 때, 액정 표시 패널(18)에는, 촬상부(19)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표시된다.
촬상부(19)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액정 표시 패널(18)에 표시된 때, 줌 버튼(26)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유저의 줌 조작에 응한 프레이밍의 조정이 CPU(11)에 의해 접수되게 된다.
촬상부(19)의 기동과, 촬상부(19)의 동작의 설정이 완료되고, 프레이밍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타이밍부터 약간 지연된 타이밍에서, 녹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녹화 버튼(28)이 가압되고, 녹화의 시작이 지시되는 것에 응하여, CPU(11)는, 녹화의 시작을 CPU(14)에 지시한다.
녹화의 시작이 지시된 CPU(14)는, 촬상부(19) 및 신호 제어 CODEC(20)를 제어하여 녹화를 시작시킨다. 이 때, CPU(11)는, CPU(14)에 대해 촬상부(19)에 의해 촬영되어 있는 화상에 겹처서, 녹화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녹화 시작부터의 시간 등을 액정 표시 패널(18)에 표시하는 지시를 하고, CPU(14)는 CPU(11)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7)를 제어한다.
종래의 촬영 장치의 기동 처리는 이상과 같은 흐름으로 행하여진다.
특허 문헌 1에는, 전원 온 시의 촬영 준비가, 메모리에 기억된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행하여지도록 함에 의해,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237977호 공보
고기능의 OS를 촬영 장치에서 기동시키도록 한 경우, 수많은 드라이버 등의 모듈을 로드하거나, 네트워크에의 접속의 처리를 실행하거나, 파일 시스템을 초기화하거나 하는 처리가 전처리로서 행하여지도록 하여야 하며, 유저의 조작을 접수, 동화의 촬영을 시작시키는 도 1에서 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41)이라는 것과 같은, 촬영 장치의 본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의 기동이 지연되어 버린다.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서스펜드나 리줌과 같이, 한 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그리고 나서 전원의 오프를 지시하면, 주변 IC나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한 채로, CPU를 정지시키든지 또는 저소비 전력 모드로 함으로써, 유저에 있어서 전원이 떨어진 상태로 하고, 다음번에 전원이 온 되면, 이미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도 있다.
그러나, 동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의 사용 빈도는 퍼스널 컴퓨터의 사용 빈도와 비교하여 적고, 이와 같은 서스펜드 등의 기술을 촬영 장치에 적용한 경우, 서스펜드중의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전지(電池)에 축전되어 있는 전력이 서스펜드중에 소비되어 버려서, 촬영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져 버린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서스펜드 등의 기술은, 전지를 내장하고, 휴대되는 촬영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을 오프하고 있는 대기중에 전력을 소비하는 일 없이, 전원을 온으로 하고 나서 촬영을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의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가 있는 기술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동하고 나서 소망하는 처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의 시간인 기동 시간을, 체감적으로 보다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는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기동되는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고,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공용하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취득되는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때,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실행을 억제하는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에는,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시키고 나서,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에는,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시키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시킴과 함께,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동작의 지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 및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에서 공용되는 기억 영역에 판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에는, 기동의 요인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에서 사용된 기억 영역에 기록시키고,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는, 기록된 기동의 요인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기동의 요인에 응한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는, 상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중의 일부의 처리와 같은 처리를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로서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기동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전자 기기의 기동 방법에 있어서,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기동되는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공통하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취득되는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실행을 억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는,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가 실행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기동되는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공용하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취득되는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실행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체감적인 기동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실시의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의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의 형태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한 것이 아니다. 역으로, 실시의 형태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 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도 3의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는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3의 CPU(111))와,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기동되는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고,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공용하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취득되는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때,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실행을 억제하는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3의 CPU(1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기동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전자 기기의 기 동 방법에 있어서,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고(예를 들면, 도 6의 스텝 S34),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기동되는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공통하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취득되는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고(예를 들면, 도 6의 스텝 S25),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실행을 억제하는(예를 들면, 도 6의 스텝 S33) 스텝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촬영 장치(10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촬영 장치(101)는, 용이하게 휴대 가능한 크기의 전자 기기이고, CPU(111), CPU(112), ROM(Read Only Memory)(113), 플래시 메모리(114), 공유 메모리(115),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 액정 표시 패널(117), 촬상부(118), 신호 제어 CODEC(119), 미디어 I/O(120), 기록 미디어(121),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122), 전원 버튼(123), 미디어 취출 버튼(124), 줌 버튼(125), 액정 표시 패널 온오프 버튼(126), 녹화 버튼(127) 및 통신 제어 IC(128)로 구성된다.
CPU(111), CPU(112), ROM(113), 플래시 메모리(114), 공유 메모리(115),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 촬상부(118), 신호 제어 CODEC(119), 미디어 I/O(120),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122), 및 통신 제어 IC(128)는 제어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촬영 장치(101)는 2개의 CPU를 갖는 기기이다.
한쪽의 CPU인 CPU(111)는, 기본적으로, 유저에 의해 행하여진 조작에 응하여 처리를 행하거나, 유저에 대해 정보의 제시, 통지를 행하거나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행하는 CPU이고, 다른쪽의 CPU인 CPU(112)는, 기본적으로, 촬상부(118)의 제어나 신호 제어 등의, 동화의 촬영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CPU이다.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OS는 Linux(상표)나 WindowS(등록상표) 등의 고기능의 OS이다. 이에 대해, CPU(112)에 의해 실행되는 OS는 iTron(상표)이나 VxWORKS(상표) 등의,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OS와 비교하여 저기능이지만 고속 기동이 가능한 OS이다.
OS의 기동 후, CPU(111)는, 드라이버 등의 각종의 모듈을 로드하고, 그것을 실행한 후에,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규정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때문에,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의 시간을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OS의 기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라고 하면, 그 시간은, CPU(112)에 의해 실행되는 OS의 기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보다도 길어진다.
CPU(112)에 의해 실행되는 OS는, 각종의 모듈을 로드하거나, 실행하거나 하는 일 없이, 기동 후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본래의 기능인 촬영의 제어나 신호 제어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CPU(111)가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 시 간이 걸리기 때문에, 촬영 장치(101)에서는, CPU(111)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의 동안, 다른쪽의 CPU인 CPU(112)가, CPU(111)가 행하여야 할 처리중의 일부의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기동 화면의 표시, 기동음의 출력, 액정 표시 패널의 온/오프, 촬상부(118)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표시, 유저에 의한 줌 조작에 응한 프레이밍의 조정이라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중의 일부의 처리가, CPU(111)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되기까지의 동안, CPU(112)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로써, CPU(111)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후, 기동 화면을 표시시키거나, 기동음을 출력시키거나 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빠른 타이밍에서 그들의 처리를 CPU(112)에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원을 온으로 하고 나서의 체감적인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1)의 기동의 일련의 흐름에 관해서는 도 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의 CPU(1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한다.
CPU(11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촬상부(118) 및 신호 제어 CODEC(119)를 제어한다.
ROM(113)은,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전원의 온 시에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IPL(Initial Program Loader)(131)이 ROM(113)에 기억되어 있다. IPL(131)이 실행됨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부트 로더(141)가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되고, 그 후의 처리가 부트 로더(141)에 따라 행하여진다.
플래시 메모리(114)는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CPU(111) 및 CPU(112)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도 1의 예에서는, 부트 로더(141), OS(142), OS(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5), 유저 설정 데이터(146)가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다.
부트 로더(141)는,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됨에 의해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고, OS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 순서 등을 규정한다.
OS(142)는,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됨에 의해 CPU(112)에 의해 실행되는 CPU(112)용의 OS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OS(142)는, CPU(111)용의 OS에 비교하여 기동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OS이고, 기동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을 실행하여, 촬영의 제어뿐만 아니라,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일부의 처리를 CPU(112)의 처리로서 실현시킨다.
OS(143)는,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됨에 의해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CPU(111)용의 OS이다. OS(143)는, CPU(112)용의 OS에 비교하여 기동에 시간이 걸리는 OS이고, 기동 후, 드라이버 등의 각종의 모듈의 로드, 실행을 행하는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5)을 실행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CPU(111)의 처리로서 실현시킨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4)은, OS(142)의 기동 후에 공유 메모리(115)에 카 피됨에 의해 CPU(112)에 의해 실행되는 CPU(112)용의 프로그램이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4)은, CPU(112)에 의해 행하여지는, 촬영의 제어와,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일부의 처리를 규정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5)은, OS(143)의 기동 후에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됨에 의해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CPU(111)용의 프로그램이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5)은, CPU(111)에 의해 행하여지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규정한다.
유저 설정 데이터(146)는, 촬영 동작 등의, 촬영 장치(101)의 동작에 관한 유저에 의한 설정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공유 메모리(115)는, CPU(111)와 CPU(112)가 공유하여 이용하는 메모리이고,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소정의 기억 영역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도 3에서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는 데이터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그들의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점선으로 도시되는 데이터는, 그 전부가 공유 메모리(115)에 동시에 기억된 것은 아니고, 각각, 소정의 타이밍에서 CPU(111), CPU(112)에 의해 기억된다.
공유 메모리(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데이터로서 나타내어지는 부트 로더(151), OS(152), OS(15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5), 유저 설정 데이터(156)는, 각각,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부트 로더(141), OS(142), OS(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5), 유저 설정 데이터(146)가 카피된 데이터이다.
기동 요인 데이터(157)는, 촬영 장치(101)의 기동 요인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촬영 장치(101)의 기동시에 CPU(111)에 의해 기억된다.
표시 화상 데이터(158)는, 액정 표시 패널(117)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12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정 표시 패널(117)에 화상을 표시시킬 때, 기록 미디어(121)로부터 판독되고, 신호 제어 CODEC(119)에 의해 복호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표시 화상 데이터(158)로서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다.
스트림 데이터(159)는, 기록 미디어(121)에 기록시키는 동화상의 데이터이고, 녹화가 행하여지고 있는 때에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다. 녹화시에 촬상부(118)에 의해 받아들여진 화상 신호는 신호 제어 CODEC(119)에 의해 부호화되고, 부호화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스트림 데이터(159)로서 기억된다.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는, 액정 표시 패널(117)의 표시를 제어한다.
액정 표시 패널(117)은,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각종의 화상, 문자 등을 표시한다.
촬상부(118)는, 렌즈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고, 렌즈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광학적인 화상을 전기 신호인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를 신호 제어 CODEC(119)에 공급한다.
신호 제어 CODEC(119)는, 촬상부(118)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를 부호화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 CODEC(119)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스트림 데이터(159)로서 공유 메모리(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후, 미디어 I/O(120)를 통하여 기록 미디어(121)에 기록된다.
또한, 신호 제어 CODEC(119)는, 기록 미디어(12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정 표시 패널(117)에의 화면 표시를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에 행하게 한다.
미디어 I/O(120)는, 기록 미디어(121)의 인터페이스이다. 미디어 I/O(120)는, 기록 미디어(121)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기록 미디어(12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기록 미디어(121)는, 광디스크 및 그 드라이브, 또는, 반도체 메모리, HDD 등으로 이루어지고, 미디어 I/O(120)를 통하여 공급되며 신호 제어 CODEC(119)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 미디어(121)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는 미디어 I/O(120)에 의해 적절히 판독되고, 화상의 표시 등에 이용된다.
CPU(111)와 CPU(112)는 통신 제어 IC(128)를 통하여 통신을 행한다. CPU(111)가 통신 제어 IC(128)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통신 제어 IC(128)가 CPU(112)에 대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CPU(112)는, CPU(111)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통신 제어 IC(128)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CPU(112)가 통신 제어 IC(128)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통신 제어 IC(128)가 CPU(111)에 대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CPU(111)는, CPU(112)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통신 제어 IC(128)로부터 판독한다. 이로써 CPU(111)와 CPU(112) 사이에서의 통신이 행하여진다.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122)는, 전원 버튼(123), 미디어 취출 버튼(124), 줌 버튼(125), 액정 표시 패널 온오프 버튼(126), 및 녹화 버튼(127)의 입력 인터페이 스이고, 가압된 버튼에 응한 신호를, 제어 버스를 통하여 CPU(111), 또는 CPU(112)에 공급한다. 가압된 버튼에 응한 신호는, 적절히, CPU(111)와 CPU(112)에 출력되기 때문에,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122)는 CPU(111)와 CPU(112)의 공유의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전원 버튼(123)은,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미디어 취출 버튼(124)은, 기록 미디어(121)가 광디스크 및 그 드라이브로 이루어지는 경우, 광디스크를 촬영 장치(101)로부터 취출할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기록 미디어(121)가 광디스크 및 그 드라이브로 이루어지고, 촬영 장치(101)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취출 버튼(124)이 가압된 경우, 촬영 장치(101)가 일시적으로 기동하여 광디스크가 배출된다. 즉, 촬영 장치(101)의 기동 요인으로서는, 적어도,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123)이 가압된 것과,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취출 버튼(124)이 가압된 것의 2개가 있다.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는 기동 요인 데이터(157)는, 이 2개의 요인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줌 버튼(125)은, 줌 인 또는 줌 아웃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액정 표시 패널 온오프 버튼(126)은, 액정 표시 패널(117)의 표시를 시작시킬 때, 또는 액정 표시 패널(117)의 표시를 종료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녹화 버튼(127)은, 녹화, 즉, 부호화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 미디어(121)에 기록하는 것을 시작시킬 때에 가압되는 버튼이다.
도 4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촬영 장치(101)의 기동 처리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상단에 도시되는 영역은 CPU(111)의 처리를 나타내고, 중단에 도시되는 일부가 겹쳐져 있는 2개의 영역은 CPU(112)의 처리를 나타낸다. 하단은, 액정 표시 패널(117)에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4의 횡방향은 시간 방향을 나타낸다.
전원 버튼(123)이 가압된 때, CPU(111)는, ROM(113)에 기억되어 있는 IPL(131)을 실행하고,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부트 로더(141)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한다. CPU(111)는, 카피함에 의해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부트 로더(151)의 실행을 시작한다. CPU(111)용의 OS인 OS(143)의 기동이 완료되기까지의 동안, CPU(111)의 처리는 부트 로더(151)에 따라 행하여진다.
IPL(131), 부트 로더(151)는 기능이 적고, 데이터량이 적은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CPU(111)용의 OS의 기동에 걸리는 시간과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트 로더(151)의 실행을 시작한 CPU(111)는, CPU(112)용의 OS인 OS(142)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한다. 또한, CPU(111)는, CPU(112)를 기동시키고,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OS(152)의 기동을 CPU(112)에 시작시킨다.
촬영 장치(101)에서는, 기동 화면의 표시가 OS(152)를 기동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의 실행을 시작한 CPU(112)에 의해 행하여지기 때문에, OS(152)의 기동이 시작된 시점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117)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117)에 표시되는 화면은 흑화인 채로 된다.
OS(152)의 기동을 CPU(112)에 시작시킨 후, CPU(111)는, CPU(111)용의 OS인 OS(143)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하고,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한 OS(153)의 기동, 드라이버 등의 모듈의 판독을 시작한다. 이 OS(153)의 기동, 드라이버 등의 모듈의 판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CPU(112)용의 OS의 기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에 비교하여 긴 시간이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OS(153)의 기동 전, 기동 요인 데이터(157)를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시키는 것 등도 CPU(111)에 의해 행하여진다.
CPU(111)로부터의 지시에 응하여, CPU(112)는, CPU(111)에 의해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CPU(112)용의 OS인 OS(152)를 기동한다. OS(152)의 기동은, CPU(111)에 의한 OS(153)의 기동이 완료되기 전에 완료된다.
OS(152)의 기동이 완료된 때, CPU(112)는, CPU(112)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4)을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을 실행한다. 이 후의 CPU(112)의 처리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에 따라 행하여진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의 실행을 시작한 CPU(112)는, 도시 생략한 스피커로부터 기동음을 출력시킨다. 또한, CPU(112)는,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를 제어하고, 액정 표시 패널(117)의 표시를 시작시킨 후, 기동 화면을 액정 표시 패널(117)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촬영 장치(101)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일부의 처리 가, 기능은 떨어지지만, 기동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OS를 실행하는 쪽의 CPU인 CPU(112)에 의해 행하여진다. CPU(112)가 실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 전체가 아니라,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 전체 중의 일부의 처리와 같은 처리이고, 기능이 한정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라고 할 수 있다.
CPU(112)는,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시킨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촬상부(118)를 기동시키고, 촬상부(118)에 의한 촬영과, 신호 제어 CODEC(119)에 의한 신호 처리의 제어를 시작한다. 도 1의 촬영 장치에서는 CPU(11)에 의한 지시에 응하여, CPU(14)에 의해 촬상부의 제어 등이 시작되어 있었음에 대해(도 2), 촬영 장치(101)에서는, CPU(112)에 의해, 말하자면 자주적으로, 촬상부(118)의 제어 등도 시작된다.
촬상부(118)에 의한 촬영과, 신호 제어 CODEC(119)에 의한 신호 처리의 제어는,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와 병행하여 CPU(112)에 의해 행하여진다.
CPU(112)는, 촬상부(118)를 기동시킨 후,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설정 데이터(156)에 의해 나타내여지는 유저에 의한 조정에 따라 촬상부(118)의 동작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포커스 위치, 화이트 밸런스, 노출의 조정이 유저에 의해 미리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 그 조정치에 의해 촬영이 행하여지도록 촬상부(118)의 동작이 제어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 설정 데이터(156)는, 부트 로더(151)를 실행하는 CPU(111)에 의해,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CPU(112)는, 촬상부(118)의 기동과, 그 동작의 설정이 완료된 때, 촬 상부(118)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액정 표시 패널(117)에 표시시킨다. 이로써, 유저는, 줌 버튼(125)을 이용하여 줌 조작을 행하고, 구도를 정하거나 할 수가 있다.
유저에 의해 줌 조작이 행하여진 때, CPU(112)는,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로서 줌 조작을 접수하고, 유저의 조작에 따른 프레이밍의 조정을 행한다.
프레이밍의 조정이 가능해지는 타이밍부터 약간 지연된 타이밍에서, CPU(111)용의 OS의 기동, 드라이버 등의 각종의 모듈의 로드와 실행, CPU(111)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이 완료되고, 이 때, 녹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녹화 버튼(127)이 가압되고, 녹화의 시작이 지시되는 것에 응하여, CPU(111)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로서 그 조작을 접수하고, 녹화의 시작을 CPU(112)에 지시한다. CPU(112)는, CPU(111)에 의한 지시에 응하여 촬상부(118), 신호 제어 CODEC(119) 등을 제어하고, 녹화를 행한다.
또한, 이 때, CPU(111)는, 녹화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녹화 시작부터의 시간 등을 액정 표시 패널(117)에 표시하는 것을 CPU(112)에 지시하고, CPU(112)는 CPU(111)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를 제어한다.
녹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 타이밍에서는, CPU(111)로부터 CPU(112)에 대해,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종료할 것을 지시하는 전환 커맨드가 송신된다. CPU(112)는, 전환 커맨드가 송신되고 오는 것에 응하여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종료하고, 촬상부(118)나 신호 제어 CODEC(119)의 제어 등의, 촬영에 관한 제어를 계속한다. 이후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는, CPU(111)에 의해 이어지게 된다.
촬영 장치(101)의 기동은 이상과 같은 흐름으로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촬영 장치(101)에서는, 기능은 떨어지지만, 기동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쪽의 CPU인 CPU(112)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일부의 처리가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로서 행하여지고, 기동 화면의 표시, 촬상부(118)에 의해 받아들여진 화상의 표시 등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체감적인 기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촬영 장치(101)의 기동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 처리는,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123)이 가압된 때, 또는 미디어 취출 버튼(124)이 가압된 때에 행하여진다.
스텝 S11에서, CPU(111)는, ROM(113)에 기억되어 있는 IPL(131)의 실행을 시작하고, 스텝 S12로 진행하고,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부트 로더(141)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한다.
스텝 S13에서, CPU(111)는,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부트 로더(151)의 실행을 시작한다. OS(143)의 기동이 완료되기까지의 동안, CPU(111)의 처리는 부트 로더(151)에 따라 행하여진다.
스텝 S14에서, CPU(111)는, 기동 요인 데이터(157)를 생성하고,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전원 버튼(123)이 가압됨에 의해 기동이 시작된 때, 그 것이 기동 요인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생성되고, 기동 요인 데이 터(157)로서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다. 또한, 미디어 취출 버튼(124)이 가압됨에 의해 기동이 시작된 때, 그 것이 기동 요인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생성되고, 기동 요인 데이터(157)로서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다. 여기서 기억된 기동 요인 데이터(157)에 의해 표시되는 기동 요인에 응하여, 기동 처리의 내용이 변환된다.
스텝 S15에서, CPU(111)는,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어 있는 기동 요인 데이터(157)에 의거하여, 금회의 촬영 장치(101)의 기동 요인이, 전원 버튼(123)이 가압됨에 의한 통상의 기동 요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11)는, 스텝 S15에서, 금회의 촬영 장치(101)의 기동 요인이, 전원 버튼(123)이 가압됨에 의한 통상의 기동 요인이 아닌, 즉, 미디어 취출 버튼(124)이 가압됨에 의한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6으로 진행하고, 기동 요인이 기록 미디어(121)가 취출인 경우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시킨다. 기동 요인이 기록 미디어(121)의 취출인 경우의 처리에 관해서는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스텝 S15에서, CPU(111)는, 금회의 촬영 장치(101)의 기동 요인이, 전원 버튼(123)이 가압됨에 의한 통상의 기동 요인이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7로 진행하고,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CPU(112)용의 OS인 OS(142)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한다.
또한, CPU(111)는, 스텝 S18에서,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설정 데이터(146)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한다.
스텝 S19에서, CPU(111)는, CPU(112)의 리셋을 해제하고, 이로써, CPU(112)를 기동시킨다.
CPU(111)에 의한 지시에 응하여 기동한 CPU(112)는, 스텝 S20에서, CPU(111)에 의해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CPU(112)용의 OS인 OS(152)의 실행을 시작한다.
스텝 S21에서, CPU(111)는,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CPU(111)용의 OS인 OS(143)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하고, 스텝 S22로 진행하고,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OS(153)의 실행을 시작한다.
스텝 S23에서, OS(152)의 실행을 시작한 CPU(112)는,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CPU(112)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4)을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하고, 스텝 S24로 진행하고,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의 실행을 시작한다.
스텝 S25에서, CPU(112)는,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시킨다.
스텝 S26에서, CPU(112)는,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로서, 도시 생략한 스피커로부터 기동음을 출력시키고,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에, 액정 표시 패널(117)의 표시를 시작시킨다.
또한, CPU(112)는, 스텝 S27에서,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로서, 액정 표시 패널 제어 IC(116)를 제어하고, 액정 표시 패널(117)에 기동 화면을 표시시킨다.
스텝 S28에서, CPU(111)용의 OS의 기동을 완료한 것에 응하여, CPU(111)는, 드라이버 등의 각종의 모듈을 로드하고, 그 실행을 시작한다.
스텝 S29에서, CPU(112)는, 촬상부(118)를 기동시키고, 촬상부(118)에 의한 촬영과, 신호 제어 CODEC(119)에 의한 신호 처리의 제어를 시작한다. 여기서는, 스텝 S18에서 CPU(111)에 의해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유저 설정 데이터(156)에 의거한 촬상부(118)의 동작의 설정 등도 행하여진다. 설정이 완료된 때, 액정 표시 패널(117)에는 촬상부(118)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표시되고, 유저는, 그 표시를 확인하고, 프레이밍의 설정을 행할 수가 있다.
스텝 S30에서, CPU(111)는,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CPU(111)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5)을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하고, 스텝 S31로 진행하고,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5)의 실행을 시작한다.
스텝 S32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5)을 실행함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할 수가 있도록 된 CPU(111)는, CPU(112)에 대해, 처리를 억제하고,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종료할 것을 지시하는 전환 커맨드를 송신한다.
스텝 S33에서, CPU(112)는, 전환 커맨드가 CPU(111)로부터 송신되어 온 것에 응하여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종료한다. CPU(112)가 한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하고 있던 때에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설정된 촬영 장치(101)의 상태는, 촬영 장치(1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되고, 그것이 CPU(111)에 의해 판독됨에 의해 이어지게 된다.
스텝 S34에서, CPU(111)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시작하고, 이로써, 기 동 처리가 종료된다.
CPU(111)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액정 표시 패널(117)의 온/오프나 촬상부(118)의 조정 파라미터가 설정된 경우, 다음의 기동시에 설정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공유 메모리(115) 등에 CPU(111)에 의해 기억된다.
다음에,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5의 스텝 S16에서 행하여지는, 기동 요인이 기록 미디어(121)의 취출인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41에서, CPU(111)는,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CPU(112)용의 OS인 OS(142)를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한다.
스텝 S42에서, CPU(111)는, CPU(112)의 리셋을 해제하고, 이로써, CPU(112)를 기동시킨다.
CPU(111)에 의한 지시에 응하여 기동한 CPU(112)는, 스텝 S43에서, CPU(111)에 의해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CPU(112)용의 OS인 OS(152)의 실행을 시작한다.
스텝 S44에서, OS(152)의 실행을 시작한 CPU(112)는, 플래시 메모리(114)에 기억되어 있는, CPU(112)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4)을 공유 메모리(115)에 카피하고, 스텝 S45로 진행하고, 공유 메모리(115)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의 실행을 시작한다.
스텝 S46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의 실행을 시작한 CPU(112)는, 액정 표시 패널(117)의 표시나 촬상부(118)의 제어를 행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드 라이브를 제어하는 등의, 기록 미디어(121)의 취출의 제어를 행한다. 그 후, 도 5의 스텝 S16으로 되돌아와, 기동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체감적인 기동 시간을 단축시킨다는 것이 실현된다.
이상에서는, 촬영 장치(101)의 기동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DVD, Blu-ray Disc 등에 대응한 플레이어나 레코더, 원 세그 방송에 대응한 단말 등의, 기동시에 OS를 실행할 필요가 있는 각종의 기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고, 그 체감적인 기동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는, 2개의 CPU가 하나의 기기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3개 이상의 CPU가 마련되는 기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촬영 장치의 기동 처리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촬영 장치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촬영 장치의 기동 처리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촬영 장치의 기동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도 3의 촬영 장치의 기동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도 5에게 계속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도 5의 스텝 S16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촬영 장치 111, 112 : CPU
113 : ROM 114 : 플래시 메모리
115 : 공유 메모리 122 :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
141 : 부트 로더 142, 143 : OS
144, 145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6 : 유저 설정 데이터
151 : 부트 로더 152, 153 : OS
154, 155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56 : 유저 설정 데이터
157 : 기동 요인 데이터

Claims (6)

  1.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는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기동되는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고,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공용하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취득되는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때,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실행을 억제하는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는,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시키고 나서,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는,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시키고,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을 시작함과 함께,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동작의 지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 및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에서 공용되는 기억 영역에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는, 기동의 요인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기억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는, 기록된 기동의 요인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기동의 요인에 응한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는, 상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중의 일부의 처리와 같은 처리를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로서 실행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전자 기기의 기동 방법에 있어서,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제 1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 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기동되는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 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의 연산 처리 장치와 공용하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취득되는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2의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제 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의 실행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방법.
KR1020070079975A 2006-08-10 2007-08-09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 KR200800146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8701A JP5028904B2 (ja) 2006-08-10 2006-08-10 電子機器、および起動方法
JPJP-P-2006-00218701 2006-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649A true KR20080014649A (ko) 2008-02-14

Family

ID=3905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975A KR20080014649A (ko) 2006-08-10 2007-08-09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0035B2 (ko)
JP (1) JP5028904B2 (ko)
KR (1) KR20080014649A (ko)
CN (1) CN100568923C (ko)
TW (1) TWI37591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56B1 (ko) * 2010-06-02 2014-07-31 미노루 요시다 정보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21324B2 (en) 2014-04-07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 processor and image processor boo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5330A (ja) * 2007-09-05 2009-03-26 Panasonic Corp データ処理回路、半導体装置、撮像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9093439A (ja) 2007-10-09 2009-04-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5175603B2 (ja) * 2008-04-16 2013-04-0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476691B1 (ko) 2008-04-23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11060225A (ja) * 2009-09-14 2011-03-24 Toshiba Corp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起動方法
TWI412999B (zh) * 2010-03-31 2013-10-21 Wistron Corp 平行化快速啟動方法及具有多處理單元之電子裝置
CN102214105B (zh) * 2010-04-08 2017-05-3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平行化快速启动方法及具有多处理单元的电子装置
JP5273819B2 (ja) * 2010-07-20 2013-08-28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両用表示方法
JP5606249B2 (ja) * 2010-09-28 2014-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及び起動方法
JP2012133650A (ja) * 2010-12-22 2012-07-12 Fujitsu Ten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581253B2 (ja) * 2011-03-24 2014-08-27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リアカメラの表示装置
JP5766032B2 (ja) * 2011-06-07 2015-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CN102819457A (zh) * 2011-06-10 2012-12-12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用来于开机期间播放多媒体文件的方法与装置
JP5710424B2 (ja) * 2011-08-26 2015-04-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情報機器
JP2013190950A (ja) * 2012-03-13 2013-09-26 Ricoh Co Ltd 制御装置、及び起動方法
US8615766B2 (en) 2012-05-01 2013-12-24 Concurix Corporation Hybrid operating system
JP5450745B1 (ja) * 2012-09-18 2014-03-26 株式会社東芝 送信機及び送信機起動方法
JP6102220B2 (ja) * 2012-11-28 2017-03-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処理方法
US20160048184A1 (en) * 2013-03-29 2016-02-18 Hewlett-Paca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aring firmware among agents in a computing node
JP5899152B2 (ja) * 2013-04-25 2016-04-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メモリー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090273B1 (ko) * 2013-08-14 202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TWI557644B (zh) 2014-11-12 2016-11-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雙處理器電子裝置及其快速開機啓動的方法
DE102015205378A1 (de) * 2015-03-25 2016-09-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formations- und Unterhaltungssystem für ein Fahrzeug
JP6512895B2 (ja) * 2015-03-27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037817A1 (ja) 2015-08-31 2017-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DE112015006856T5 (de) 2015-08-31 2018-05-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pplikationsausführungsvorrichtung und Applikationsausführungsverfahren
CN107924316A (zh) 2015-08-31 2018-04-17 三菱电机株式会社 应用程序执行装置以及应用程序执行方法
KR102385552B1 (ko) * 2015-12-29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온-칩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588657B (zh) * 2016-03-25 2017-06-2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雙處理器系統及其控制方法
US10412303B2 (en) * 2016-07-21 2019-09-10 Olympus Corporation Imaging device, startup method of imag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3545093A (zh) * 2019-03-29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启动装置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336899B2 (ja) * 2019-07-02 2023-09-01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N113507567B (zh) * 2021-09-08 2021-12-07 北京创米智汇物联科技有限公司 快速启动图像采集的方法、摄像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057A (ja) * 1992-02-27 1993-09-21 Sanyo Electric Co Ltd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の起動方式
JP3318269B2 (ja) * 1998-09-17 2002-08-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0172359A (ja) * 1998-12-02 2000-06-23 Nec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起動方法
US7098899B1 (en) * 1999-09-21 2006-08-29 Intel Corporation Dual form low power, instant on and high performance, non-instant on computing device
US6763458B1 (en) * 1999-09-27 2004-07-13 Captari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servicing an operating system in a computer or information appliance
JP2001256066A (ja) * 2000-02-29 2001-09-2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切り替えシステム、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実装方法、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切り替え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伝送装置
US6715016B1 (en) * 2000-06-01 2004-03-30 Hitachi, Ltd. Multiple operating system control method
JP4499935B2 (ja) 2001-02-07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2003036174A (ja) * 2001-07-25 2003-02-07 Hitachi Ltd 車載端末装置
JP2004005320A (ja) * 2002-04-23 2004-01-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子機器、カメラ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DE60323811D1 (de) * 2003-04-09 2008-11-13 Jaluna S A Betriebssysteme
US7508943B2 (en) * 2003-05-16 2009-03-24 Mo-Dv, Inc. Multimedia storage systems and methods
JP2005050132A (ja) * 2003-07-29 2005-02-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43571B2 (ja) * 2003-08-05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US20050066209A1 (en) * 2003-09-18 2005-03-24 Kee Martin J.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 and low power processors operable in a low power mode
JP2005202105A (ja) * 2004-01-15 2005-07-28 Ricoh Co Ltd 電子装置
CN1658185A (zh) * 2004-02-18 2005-08-24 国际商业机器公司 相互独立地共存多个操作系统的计算机系统与其切换方法
JP2005284491A (ja) * 2004-03-29 200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計算機の起動時間短縮方式
US7886136B2 (en) * 2004-05-21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switching operating system
JP2006163714A (ja) * 2004-12-06 2006-06-22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TWI279711B (en) * 2005-08-19 2007-04-21 Mitac Technology Corp Dual-processor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for fast activation of the multimedia system
US8819483B2 (en) * 2006-09-27 2014-08-26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with redundant, dissimilar operating systems
US7689820B2 (en) * 2006-09-27 2010-03-30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Rapid-boot computing device with dual operating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56B1 (ko) * 2010-06-02 2014-07-31 미노루 요시다 정보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21324B2 (en) 2014-04-07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 processor and image processor boo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3686A (zh) 2008-02-13
JP2008046672A (ja) 2008-02-28
JP5028904B2 (ja) 2012-09-19
TW200820080A (en) 2008-05-01
TWI375911B (en) 2012-11-01
US7900035B2 (en) 2011-03-01
CN100568923C (zh) 2009-12-09
US20080040599A1 (en)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4649A (ko)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
US78056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device control method using said electronic device
TW200836052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JP20071226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起動制御方法
US20090086030A1 (en) Camera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7928B1 (ko) 기기정보를 출력하는 a/v기기 및 그 기기정보출력방법
JP2003051977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200602127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ng system switcho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1118399A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119996A (ja) 電池駆動可能な機器とその不揮発性メモリ更新方法
JP200622959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261815B2 (ja) 撮像装置
JP2008065641A (ja) 電子機器、デジタルカメラ及び電子機器の起動方法
JP2005221771A (ja) 撮像装置及び機能表示方法
US8514324B2 (en) Image input apparatus, a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83623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722172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78456B2 (ja) 記録媒体および撮像装置
JP4971640B2 (ja) 撮像装置
JP200324465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7143065A (ja) 撮像装置及び起動制御方法
JP2003224809A (ja) データ記録装置
JP200601983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260608A (ja) カメラ装置、その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69851A (ja) 情報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