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186A - 집적회로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집적회로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186A
KR20080009186A KR1020070136881A KR20070136881A KR20080009186A KR 20080009186 A KR20080009186 A KR 20080009186A KR 1020070136881 A KR1020070136881 A KR 1020070136881A KR 20070136881 A KR20070136881 A KR 20070136881A KR 20080009186 A KR20080009186 A KR 2008000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guide
under test
tray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보루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Publication of KR2008000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시험 IC의 접촉부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우수한 IC 시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시험 IC의 입출력 단자 HB를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에서, 테스트 헤드의 접촉 핀(51)에 밀착시켜 테트스를 행하는 IC 시험 장치에 있어서, 소켓(50) 또는 소켓 가이드(40)에 피시험 IC를 접촉하고 이것을 위치 결정하는 디바이스 가이드(52)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집적회로 시험장치{Integrated circuit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소자(이하, IC라 함)를 테스트하기 위한 IC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시험 IC의 접촉부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우수한 IC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들러(handler)라고 하는 IC 시험장치에서는 트레이에 수납된 복수의 IC를
시험장치 내에 반송하고, 각 IC를 테스트 헤드에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IC시험장치 본체(이하, 테스터라 함)에서 시험을 행한다. 그리고, 시험을 종료하면 각 IC를 테스트 헤드로부터 반출하여, 시험결과에 따라 트레이에 옮겨 실음으로써, 양품이나 불량물이라는 범주의 구분이 행해진다.
종래의 IC 시험장치로서는 시험전의 IC를 수납하거나 시험 종료 IC를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이하, 커스터머(customer)트레이라 함)와, IC시험장치 내를 순환반송시키는 트레이(이하, 테스트 트레이라 함)를 서로 다른 유형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IC시험장치에서는, 시험 전후에는 커스터머 트레이와 테스트 트레이 간에서 IC를 옮겨 싣고, IC를 테스트 헤드에 접촉시켜 테스트를 행하는 테스트 공정에서는 IC를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한 상태에서 테스트 헤드에 밀착시킨다.
그런데, 볼 그리드 트레이(BGA: Ball Grid Array)형 IC를 테스트하는 경우, 테스트 헤드(104)의 접촉부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도시없음)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접촉핀(51)으로 구성되고, 그 선단에는 도 13의 B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시험 IC의 볼 형상의 입출력 단자(이하, 땜납 볼(HB)이라고 함)에 대응하는 원추 형상의 오목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행해지는 종래의 IC 시험 장치에서는, 피시험 IC를 테스트 트레이에 장착된 인서트(insert)에 수용하고, 인서트와 소켓 가이드의 위치를 서로 맞춘 상태에서 피시험 IC를 접촉핀으로 밀착시켰으므로, IC와 인서트의 위치 어긋남 Δa, 인서트와 소켓 가이드의 위치 어긋남 Δb, 소켓 가이드와 소켓 몸체의 위치 어긋남 Δc, 및 소켓 몸체와 접촉핀의 위치 어긋남 Δd와 같은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피시험 IC와 접촉핀의 전체 위치 어긋남은 Δa + Δb + Δc + Δd로 되었다.
이 때문에, 도 13의 C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핀(51)에 대하여 땜납 볼
(HB)이 어긋난 상태에서 밀착되게 되어, 접촉 핀(51)의 예리한 선단에 의해 땜납 볼(HB)이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었다.
특히, 칩 사이즈 패키지(CSP: Chip Size Package) 등은 패키지 몰드(PM)의 치수 정밀도가 극히 낮고, 외주 형상과 땜납 볼(HB)의 위치 정밀도가 반드시 보장되지 않으므로, 인서트와의 위치결정을 패키지 몰드(PM)의 외주면에서 행하면, 전체 위치 어긋남이 현저하게 되었다.
다만, 인서트, 소켓 가이드, 소켓 몸체 및 접촉 핀 각각의 치수 정밀도를 높 이면, 전체 위치 어긋남 Δa ∼ Δd를 작게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치수 정밀도를 만들어 내는 데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시험 IC의 접촉부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우수한 IC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IC 시험장치는,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에서 피시험 IC의 입출력 단자를 테스트 헤드의 접촉부에 밀착시켜 테스트를 행하는 IC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피시험 IC에 접촉하여 이것을 위치결정하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IC 시험장치에서는 피시험 IC와 접촉부 사이에 복수의 부재를 개재시켜 간접적으로 위치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피시험 IC를 위치결정하는 가이드 수단을 직접적으로 접촉부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시험 IC와 접촉부간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으로서는 피시험 IC와 가이드 수단의 위치 어긋남(Δe) 및 가이드 수단과 접촉부 자체의 위치 어긋남(Δf)만이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수단과 접촉부 자체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는 일체 성형 등의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현저하게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켰고, 또한 피시험 IC와 가이드 수단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도 가이드 수단 자체는 성형기술에 의해 치수 정밀도를 높혔기 때문에, 결국 피시험 IC 자체의 제조 치수 오차만이 문제로 된다.
이와 같이, 피시험 IC와 접촉부 사이에 생기는 오차가 현저하게 저감되므로, 접촉부에 대한 피시험 IC의 입출력 단자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현저하게 향상되고, 그 결과, 접촉부에 의한 입출력 단자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의 설정위치는 테스트 헤드의 접촉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든 위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청구항 2에 기재된 IC 시험장치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접촉핀이 설치된 소켓 또는 상기 소켓의 위치맞춤을 행하는 소켓 가이드의 어딘가에 설치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IC 시험장치에서는 소켓 몸체 그 외의 위치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피시험 I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든 유형의 IC가 포함되나, 청구항 3에 기재된 IC 시험장치와 같이, 상기 피시험 IC의 입출력 단자가 볼 형상의 단자인, 소위 볼 그리드 어레이형 IC에 적용하면 그 효과도 특히 현저하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수단은 피시험 IC에 접촉하여 이것을 위치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그 형상(연속적으로 위치결정하든지, 부분적으로 위치결정하든지 관계없다), 설정위치, 수, 재질, 피시험 IC의 위치결정부위 등등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모든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IC 피시험 장치에는 트레이에 피시험 IC를 탑재한 상태에서 테스트 헤드의 접촉부에 밀착시키는 유형의 IC 시험장치에 특히 적용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시험 IC와 접촉부의 사이에 복수의 부재를 개재시켜 간접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피시험 IC를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 수단을 직접적으로 접촉부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시험 IC와 접촉부 사이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으로서는, 피시험 IC와 가이드 수단의 위치 어긋남(Δe) 및 가이드 수단과 접촉부 자체의 위치 어긋남(Δf)만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가이드 수단과 접촉부 자체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는 일체의 성형 등의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현저하게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피시험 IC와 가이드 수단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도 가이드 수단 자체는 성형 기술에 의해 치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시험 IC와 접촉부 사이에 생기는 오차가 현저히 저감되므로, 접촉부에 대한 피시험 IC의 입출력 단자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하고, 그 결과 접촉부에 의한 입출력 단자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IC 시험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피시험 IC의 처리 방법을 도시한 트레이의 흐름도, 도 3은 동 IC 시험장치의 IC 스토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동 IC 시험장치에 사용되는 커스터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동 IC 시험장치에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IC 시험장치에서 피시험 IC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실제로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부재를 평면 적으로 도시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그 기계적(3차원적)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IC 시험장치(1)는, 피시험 IC에 고온 또는 저온의 온도 스트레스를 가한 상태에서 IC가 적절하게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시험(검사)하고, 상기 시험결과에 따라 IC를 분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온도 스트레스를 가한 상태에서의 동작 테스트는, 시험 대상이 되는 피시험 IC가 복수 탑재된 트레이(이하,커스터머 트레이(KST)라 함, 도 4 참조)로부터, 상기 IC 시험장치(1) 내를 반송하는 테스트 트레이(TST)(도 5 참조)에 피시험 IC를 옮겨 실은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IC 시험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을 행할 피시험 IC를 격납하고, 또한 시험 종료 IC를 분류하여 격납하는 IC 격납부(200)와, IC 격납부(200)로부터 전달받은 피시험 IC를 챔버부(100)로 전달하는 로더부(300)와, 테스트 헤드를 포함하는 챔버부(100)와, 챔버부(100)에서 시험이 행해진 시험종료된 IC를 분류하여 꺼내는 언로더부(unloader)(400)로 구성되어 있다.
IC 격납부 (200)
IC 격납부(200)에는 시험 전의 피시험 IC를 격납하는 시험전 IC 스토커(201)와, 시험 결과에 따라 분류된 피시험 IC를 격납하는 시험종료 IC 스토커(20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시험전 IC 스토커(201) 및 시험종료 IC 스토커(20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틀형상의 트레이 지지틀(203)과, 이 트레이 지지틀(203)의 하부로부터 침입하여 상부를 향하여 승강 가능하게 된 승강기(2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지지틀(203)에는 커스터머 트레이(KST)가 복수개로 겹쳐 쌓여 지지되고, 이 겹쳐 쌓인 커스터머 트레이(KST)만이 승강기(20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그리고, 시험전 IC 스토커(201)에는 시험이 행해질 피시험 IC가 격납된 커스터머 트레이(KST)가 적층되어 유지되는 한편, 시험종료 IC 스토커(202)에는 시험을 종료한 피시험 IC가 적합하게 선택 분류된 커스터머 트레이(KST)가 적층되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시험전 IC 스토커(201)와 시험종료 IC 스토커(202)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시험전 IC 스토커(201)와 시험종료 IC 스토커(202) 각각의 수를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한 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험전 스토커(201)에 2개의 스토커(STK-B)를 설치하고, 또한 이에 인접하여 언로더부(400)로 보내지는 공(空) 스토커(STK-E)를 2개 설치함과 동시에, 시험종료 IC 스토커(202)에 8개의 스토커(STK-1, STK-2,...,STK-8)를 설치하여 시험결과에 따라 최대 8개 분류로 구분하여 격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양품과 불량품 구별 외에, 양품 중에서도 동작속도가 고속인 것, 중속인 것, 저속인 것, 혹은 불량 중에서도 재시험이 필요한 것 등으로 구분된다.
로더부 (300)
상술한 커스터머 트레이(KST)는 IC 격납부(200)와 장치 기판(105) 사이에 설치된 트레이 이송 암(205)에 의해 로더부(300)의 창부(306)에 장치 기판(105)의 하 측으로부터 운반된다. 그리고, 이 로더부(300)에서,커스터머 트레이(KST)에 적재된 피시험 IC를 X-Y 반송장치(304)에 의해 일단 프리사이저(preciser)(305)로 이송하고, 여기서 피시험 IC의 상호 위치를 수정한 후, 또 이 프리사이저(305)에 이송된 피시험 IC를 재차 X-Y 반송장치(304)를 사용하여, 로더부(300)에 정지되어 있는 테스트 트레이(TST)에 옮겨 싣는다.
커스토머 트레이(KST)로부터 테스트 트레이(TST)로 피시험 IC를 옮겨 실은 IC 반송장치(304)로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기판(105)의 상부에 가설된 2개의 레일(301)과, 이 2개의 레일(301)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TST)와 커스터머 트레이(KST) 사이를 왕복(이 방향을 Y방향이라 함)할 수 있는 가동 암(302)과, 이 가동 암(302)에 의해 지지되어, 가동 암(302)을 따라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헤드(303)를 구비하고 있다.
이 X-Y 반송장치(304)의 가동 헤드(303)에는 흡착 헤드가 하향하여 장치되어 있고, 이 흡착헤드가 공기를 흡인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커스터머 트레이(KST)로부터 피시험 IC를 흡착하고, 이 피시험 IC를 테스트 트레이(TST)에 옮겨 싣는다. 이렇게 한 흡착헤드는 가동 헤드(303)에 대하여 예를 들면 8개 정도 장치되어 있고, 한번에 8개의 피시험 IC를 테스트 트레이(TST)에 옮겨 실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커스터머 트레이(KST)에 있어서는 피시험 IC를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가 피시험 IC의 형상보다도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스터머 트레이(KST)에 격납된 상태에서 피시험 IC의 위치는 큰 오차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피시험 IC를 흡착헤드에 흡착하여 직접 테스트 트레이(TST)로 운반하 면, 테스트 트레이(TST)에 형성된 IC 수납 오목부에 정확하게 떨어뜨리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IC 시험장치(1)에서는 커스터머 트레이(
KST)의 설치 위치와 테스트 트레이(TST) 사이에 프리사이저(305)라고 하는 IC 위치 수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리사이저(305)는 비교적 깊은 오목부를 가지고, 이 오목부의 주변이 경사면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오목부에 흡착헤드에 흡착된 피시험 IC를 떨어뜨리면, 경사면에서 피시험 IC의 낙하위치가 수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8개의 피시험 IC의 상호 위치가 정확하게 정해져, 위치가 수정된 피시험 IC를 재차 흡착헤드로 흡착하여 테스트 트레이(TST)에 옮겨 실을 수 있고 테스트 트레이(TST)에 형성된 IC 수납 오목부에 정밀도가 좋게 피시험 IC를 옮겨 실을 수 있다.
챔버부 (100)
상술한 테스트 트레이(TST)는 로더부(300)에 피시험 IC를 실은 후 챔버부
(100)로 보내지고, 상기 테스트 트레이(TST)에 탑재된 상태에서 각 피시험 IC가 테스트된다.
챔버부(100)는 테스트 트레이(TST)에 실은 피시험 IC에 목적으로 하는 고온 또는 저온의 열스트레스를 주는 항온조(101)와, 이 항온조(101)에서 열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에 있는 피시험 IC를 테스트 헤드에 접촉시키는 테스트 챔버(102)와, 테스트 챔버(102)에서 시험된 피시험 IC에서 받은 열스트레스를 제거하는 제열조(除熱槽)(103)로 구성되어 있다.
제열조(103)에서는 항온조(101)에서 고온을 인가한 경우는 피시험 IC를 송 풍(送風)에 의해 냉각하여 실온으로 되돌리고, 또 항온조(101)에서 예를 들면 -30℃정도의 저온을 인가한 경우는 피시험 IC를 온풍 또는 히터 등으로 가열하여 결로(結露)가 생기지 않는 정도의 온도까지 되돌린다. 그리고, 이 제열된 피시험 IC를 언로더부(400)로 반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부(100)의 항온조(101) 및 제열조(103)는, 테스트 챔버(102)보다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항온조(101)에는, 도 2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테스트 챔버(102)가 빌 때까지의 시간 동안, 복수 매의 테스트 트레이(TST)가 이 수직반송장치에 지지되면서 대기한다. 주로 이 대기중에서 피시험 IC에 고온 또는 저온의 열스트레스가 인가된다.
테스트 챔버(102)에서는 그 중앙에 테스트 헤드(104)가 배치되고 테스트 헤드(104)의 위에서 테스트 트레이(TST)가 운반되므로, 피시험 IC의 입출력 단자(HB)를 테스트 헤드(104)의 접속부(51)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테스트가 행해진다. 한 편, 시험이 종료한 테스트 트레이(TST)는 제열조(103)에서 제열되어 IC의 온도를 저온으로 되돌린 후, 언로더부(400)로 배출된다.
또, 항온조(101)와 제열조(103)의 상부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기판(105)이 끼워져 있고, 이 장치 기판(105)에 테스트 트레이 반송장치(108)가 장치되어 있다. 이 장치 기판(105) 위에 설치된 테스트 트레이 반송장치(108)에 의해, 제열조(103)에서 배출된 테스트 트레이(TST)는 언로더부(400) 및 로더부(300)을 통해 항온조(101)로 반송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TST)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테스트 트레이(TST)는 사각형 플레임(12)에 복수의 살(13)이 평행 또는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이들 살(13)의 양측 및 살(13)과 대향하는 플레임(1
2)의 주변(12a)에 각각 복수의 장착편(14)이 등간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살(13) 사이 및 살(13)과 주변(12a) 사이와 2개의 장착편(14)에 의해 인서트 수납부(15)가 구성되어 있다.
각 인서트 수납부(15)에는, 각각 1개의 인서트(16)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고, 이 인서트(16)는 잠금개(fastener)(17)를 이용하여 2개의 장착편(14)에 플로우팅
(floating)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서트(16)의 양단부에는 각각 장착편(14)의 장착용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인서트(16)는 예를 들면 테스트 트레이(TST)에 16×4개 정도 부착되어 있다.
또, 각 인서트(16)는 동일 형상, 동일 치수로 되어 있고, 각각의 인서트(16)에는 피시험 IC가 수납된다. 인서트(16)의 IC 수용부(19)는 수용하는 피시험 IC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어 도5에 도시한 예에서는 사각형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헤드(104)에 대해서 한번에 접속된 피시험 IC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행×16열로 배열된 피시험 IC이면, 예를 들면 4열 걸러 4행의 피시험 IC가 동시에 시험된다. 즉, 첫번째 시험에서는 일열째부터 4열 걸러 배치된 16개의 피시험 IC을 테스트 헤드(104)의 접촉핀(51)에 접속하여 시험하고, 두 번째 시험에서는 테스트 트레이(TST)를 1열분 이동시켜 2열째부터 4열 걸러 배치된 피시험 IC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고, 이것을 4회 반복하여 모든 피시험 IC를 시험한 다. 이 시험의 결과는 테스트 트레이(TST)에 붙여진 예를 들면 식별 번호와 테스트 트레이(TST) 내부에서 분담된 피시험 IC의 번호로 결정되는 주소에 기억된다.
도 6은 동 IC 시험장치의 테스트 헤드(104)에 있어서 푸셔(30), 인서트(16)(테스트 트레이(TST)측), 소켓 가이드(40) 및 접촉 핀(51)을 가지는 소켓(50)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부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단면도, 도 11은 테스트 헤드(104)에 있어서 푸셔(30)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푸셔(30)는 테스트 헤드(104)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Z축 구동장치(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이 푸셔(30)는, 한 번에 테스트되는 피시험 IC의 간격에 따라(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있어서는 4열 간격으로 4행의 합계 16개) Z축 구동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푸셔(30)의 중앙에는 피시험 IC를 밀착시키기 위해 압압자(押壓子)(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후술하는 인서트(16)의 가이드 구멍(20) 및 소켓 가이드(40)의 가이드 부시(41)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3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압압자(31)와 가이드 핀(32)의 사이에는 상기 푸셔(30)가 Z축 구동 수단에 의해 하강한 때 하한을 규제하기 위해 스토퍼 가이드(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토퍼 가이드(33)는, 소켓 가이드(40)의 스토퍼면(42)에 맞닿음으로써, 피시험 IC를 파괴하지 않는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시키는 푸셔의 하한 위치를 결정한다.
인서트(16)는 도5에 있어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테스트 트레이(TST)에 대하여 잠금개(17)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지만, 그 양측에는 상술한 푸셔(30)의 가이 드 핀(32) 및 소켓 가이드(40)의 가이드 부시(41)가 상하 각각에서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의 푸셔 하강 상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에 있어서 좌측의 가이드 구멍(20)은 상반분이 푸셔(30)의 가이드 핀(32)이 삽입되어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소경(小經) 구멍으로 되고, 하반분이 소켓 가이드(40)의 가이드 부시(41)가 삽입되어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대경(大徑)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에 있어서 우측의 가이드 구멍(20)과 푸셔(30)의 가이드 핀(32) 및 소켓 가이드(40)의 가이드 부시(41)와는 유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인서트(16)의 중앙에는 IC 수용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피시험 IC를 떨어뜨림으로써 테스트 트레이(TST)에 피시험 IC가 쌓이게 된다.
한편, 테스트 헤드(104)에 고정된 소켓 가이드(40)의 양측에는 푸셔(30)의 2개의 가이드 핀(32)이 삽입되어 이들 2개의 가이드 핀(32) 사이에서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가이드 부시(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부시(41)의 좌측의 것은 인서트(16)와의 사이에서도 위치 결정을 행한다.
소켓 가이드(40)의 하측에는 복수의 접촉 핀(51)을 가지는 소켓(50)이 고정되어 있고, 이 접촉 핀(51)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윗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피시험 IC를 밀착시켜도 접촉 핀(51)이 소켓(50)의 상면까지 후퇴하는 한편, 시험편 IC이 다소 경사되어 밀착되어도 모든 단자(HB)에 접촉 핀(51)이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접촉 핀(51)의 선단에는 볼 그리드 어레이형 IC의 땜납 볼(HB)을 수용하는 대략 원추 형상 오목부(51a;도 13 참조, 종 래와 동일 형상임)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험 IC의 패키지 몰드(PM)의 외주면을 규제함으로써, 이것을 위치 결정하는 디바이스 가이드(5
2)(가이드 수단)가 소켓(5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 가이드(5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험 IC의 네 모퉁이 근방을 끌어들이는 테이퍼(taper)면을 가지는 벽부(52a)를 가지고 있고, 그 벽부 사이는 도려내어져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16)의 IC 수용부(19)가 피시험 IC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 가이드(
52)에 피시험 IC를 수용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 가이드(52)는, 소켓(50)에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되고, 소켓(50)과의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따로 형성한 후 접합해도 된다. 또, 동 도에 도시한 디바이스 가이드(52)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가이드의 수단은 이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도 8 및 도9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디바이스 가이드(52)를 소켓(
50)이 아닌 소켓 가이드(40)측에 설치한 예로, 이 디바이스 가이드(52)도 BGA형 등 피시험 IC의 패키지 몰드(PM)의 외주면을 규제함으로써 위치 결정한다. 이 경우에도, 디바이스 가이드(52)는 소켓 가이드(40)에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되고, 소켓 가이드(40)와의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따로 형성한 후 이것을 접합해도 된다. 또, 동 도에 도시한 디바이스 가이드(52)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언로더부 (400)
언로더부(400)에도 로더부(300)에 설치된 X-Y 반송 장치(304)와 동일 구조인 X-Y 반송 장치(404,404)가 설치되어, 이 X-Y 반송 장치(404, 404)에 의해 언로더부
(400)에 운반된 테스트 트레이(TST)로부터 시험 종료 IC가 커스터머 트레이(KST)에 옮겨 실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더부(400)의 장치 기판(105)에는 상기 언로더부(400)에 운반된 커스터머 트레이(KST)가 장치 기판(105)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창부(406, 406)가 두 쌍 개설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창부(406)의 하측에는,커스터머 트레이(K
ST)를 승강시키기 위해 승강 테이블이 설치되어져 있고, 여기에서는 시험 종료 피시험 IC가 옮겨 실어져 가득 채워진 커스터머 트레이(KST)를 실어 하강하고, 이 가득찬 트레이를 트레이 이송 암(205)에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 형태의 IC 시험 장치(1)에서는, 구분가능한 범주는 최대 8종류이긴 하지만, 언로더부(400)의 창부(406)에는 최대 4매의 커스터머 트레이(KST)밖에 배치할 수 없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주는 4종류로 규제된다. 일반적으로, 양품을 고속응답소자, 중속응답소자, 저속응답소자의 3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이것에 불량품을 더하여 4개의 범주로 충분하지만, 예를 들면 재시험을 필요로 하는 것 등과 같이 이들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범주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언로더부(400)의 창부(406)에 배치된 4개의 커스터머 트레이
(KST)에 할당된 범주 이외의 범주로 분류된 피시험 IC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언로 더부(400)에서 1매의 커스터머 트레이(KST)를 IC 격납부(200)로 되돌리고, 이것의 대신에 새로이 발생한 범주의 피시험 IC를 격납해야 할 커스터머 트레이(KST)를 언로더부(400)로 전송하고, 그 피시험 IC를 격납하면 된다. 단, 구분 작업의 도중에커스터머 트레이(KST)를 바꾸어 넣으면 그 사이는 구분 작업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 되어, 처리량(through put)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IC 시험 장치(1)에서는, 언로더부(400)의 커스터머 트레이(KST)와 창부(406)의 사이에 버퍼부(buffer)(405)를 설치하고, 이 버퍼부(405)에는 드물게 발생하는 범주의 피시험 IC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버퍼부(405)로서는 20∼30개 정도의 피시험 IC를 격납할 수 있는 용량의 것을 설치함과 동시에, 버퍼부(405)의 각 IC 격납 위치에 격납되는 IC의 범주를 각각 기억하는 메모리를 설치하고 버퍼부(405)에 일시적으로 보관한 피시험 IC의 범주와 위치를 각 피시험 IC마다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구분 작업의 사이 또는 버퍼부(405)가 가득찬 시점에서, 버퍼부(405)에 보관되어 있는 피시험 IC가 속하는 범주의 커스터머 트레이(KST)를 IC 격납부(200)에서 불러내어, 그 커스터머 트레이(KST)에 수납한다. 이 때, 버퍼부(405)에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피시험 IC가 복수의 범주인 경우도 있는 바, 이러한 때는 커스터머 트레이(KST)를 불러낼 때에 한 번에 복수의 커스터머 트레이(KST)를 언로더부(400)의 창부(406)로 불러내면 된다.
다음으로 작용을 설명한다.
챔버부(100)내의 테스트 공정에 있어서, 피시험 IC는 도5에 도시한 테스트 트레이(TST)에 탑재된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개개의 피시험 IC는 동 도의 인서트
(16)의 IC 수용부(19)에 떨어뜨려진 상태에서, 테스트 헤드(104)의 상부로 반송된다.
테스트 트레이(TST)가 테스트 헤드(104)에서 정지하면, Z축 구동 장치가 작동하기 시작하여, 도10∼도11에 도시한 하나의 푸셔(30)가 하나의 인서트에 대해 하강한다. 그리고, 푸셔(30)의 2개의 가이드 핀(32, 32)은 인서트(16)의 가이드 구멍(20, 20)을 각각 관통하고, 또 소켓 가이드(40)의 가이드 부시(41, 41)에 끼워 맞춰진다.
도 11에 그 상태를 도시하는 바, 테스트 헤드(즉, IC 시험 장치(1)측)로 고정된 소켓(50) 및 소켓 가이드(40)에 대해서, 인서트(16) 및 푸셔(30)는 어느 정도의 위치 오차를 가지고 있지만, 푸셔(30) 좌측의 가이드 핀(32)이 인서트(16)의 가이드 구멍(20)의 소경 구멍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푸셔(30)와 인서트(16)의 위치 맞춤이 행해져, 그 결과 푸셔(30)의 압압자(31)는 적절한 위치에서 피시험 IC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인서트(16)의 좌측의 가이드 구멍(20)의 대경 구멍이 소켓 가이드(40)의 좌측의 가이드 부시(41)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인서트(16)와 소켓 가이드(40)의 위치 맞춤이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피시험 IC와 접촉 핀(51)의 위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 및 그 외의 변형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16)의 IC 수용부(19)에 유지된 피시험 IC가, 푸셔(30)에 의해 밀착될 때에 소 켓(50) 또는 소켓 가이드(40)에 설치된 디바이스 가이드(52)의 벽부(52a)로 끌려 들어가 위치 결정(자세 수정)되기 때문에, 입력 단자인 땜납 볼(HB)과 접촉 핀(51)의 위치 맞춤을 높은 정밀도에서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에 도시한 상태에서 피시험 IC의 땜납 볼(HB)과 접촉 핀(51)의 위치 정밀도가 충분하게 되므로, 그 외의 위치 맞춤을 행하지 않고 스토퍼 가이드(33)가 스토퍼 면(42)에 맞닿을 때까지 푸셔(30)를 더 하강시켜, 압압자(31)에 의해 피시험 IC를 접촉 핀(51)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정지하여 소정의 테스트를 실행한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 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과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IC 시험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 피시험 IC의 처리 방법을 도시한 트레이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IC 시험 장치의 IC 스토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C 시험 장치에서 사용되는커스터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IC 시험 장치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테스트 헤드에 있어서 푸셔(pusher), 인서트(테스트 트레이), 소켓 가이드 및 접촉 핀(소켓)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테스트 헤드에 있어서 푸셔, 인서트(테스트 트레이), 소켓 가이드 및 접촉 핀(소켓)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8의 Ⅸ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 및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테스트 헤드에 있어서 푸셔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반적인 접촉 핀(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IC의 볼 단자와 접촉 핀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 … 피시험 IC PM … 패키지 몰드
HB … 땜납 볼(입출력 단자) 1 … IC 시험 장치
100 … 챔버부 101 … 항온조
102 … 테스트 챔버 103 … 제열조(除熱槽)
104 … 테스트 헤드 30 … 푸셔(pusher)
31 … 압압자(押壓子) 32 … 가이드 핀
33 … 스토퍼 가이드 40 … 소켓 가이드(접촉부)
41 … 가이드 부시(bush) 42 … 스토퍼 면
50 … 소켓(접촉부) 51 … 접촉 핀
51a … 원추 형상 오목부 52 … 디바이스 가이드(가이드 수단)
52a … 벽부 105 … 장치 기판
108 … 테스트 트레이 반송장치 200 … IC 격납부
201 … 시험전 IC 스토커(stocker) 202 … 시험 종료 IC 스토커
203 … 트레이 지지 틀 204 … 승강기
205 … 트레이 이송 암 300 … 로더부
304 … X-Y 반송 장치 301 … 레일
302 … 가동 암 303 … 가동 헤드
305 … 프리사이저(preciser) 306 … 창부(窓部)
400 … 언로더(unloader)부 401 … 레일
402 … 가동암 403 … 가동 헤드
404 … X-Y 반송 장치 405 … 버퍼부
406 … 창부 KST …커스터머(customer) 트레이
TST … 테스트 트레이 12 … 사각형 프레임
13 … 살 14 … 장착편
15 … 인서트(insert) 수납부 16 … 인서트
17 … 잠금개(fastener) 18 … 단자 핀
19 … IC 수용부 20 … 가이드 구멍
21 … 장착용 구멍

Claims (2)

  1. 피시험 IC의 볼형상 입출력 단자를 트레이에 탑재시킨 상태에서 테스트 헤드의 접촉부에 밀착시켜 테스트를 하는 IC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피시험 IC에 접촉하여 이것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시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접촉 핀이 설치된 소켓 또는 상기 소켓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소켓 가이드의 어딘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시험 장치.
KR1020070136881A 1998-04-01 2007-12-24 집적회로 시험장치 KR20080009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57698A JP3951436B2 (ja) 1998-04-01 1998-04-01 Ic試験装置
JPJP-P-1998-00105576 1998-04-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454A Division KR100810380B1 (ko) 1998-04-01 1999-04-01 집적회로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186A true KR20080009186A (ko) 2008-01-25

Family

ID=144113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454A KR100810380B1 (ko) 1998-04-01 1999-04-01 집적회로 시험장치
KR1020070136881A KR20080009186A (ko) 1998-04-01 2007-12-24 집적회로 시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454A KR100810380B1 (ko) 1998-04-01 1999-04-01 집적회로 시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73739B1 (ko)
JP (1) JP3951436B2 (ko)
KR (2) KR100810380B1 (ko)
TW (1) TW4280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05A1 (en) * 2015-03-03 2016-09-09 Leeno Industrial Inc. A tes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1741A1 (fr) * 2002-04-25 2003-11-06 Advantest Corporation Appareil d'essai de composants electroniques
AU2003241973A1 (en) * 2003-05-30 2005-01-21 Advantest Corporation Electronic component test instrument
TW200532837A (en) * 2004-03-26 2005-10-01 Renesas Tech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0946482B1 (ko) * 2004-11-22 2010-03-10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전자 부품 핸들링 장치용 인서트, 푸셔, 테스트 헤드용소켓 가이드 및 전자 부품 핸들링 장치
JP4826096B2 (ja) * 2005-02-22 2011-11-30 東洋製罐株式会社 分岐型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WO2007010610A1 (ja) * 2005-07-21 2007-01-25 Advantest Corporation プッシャ、プッシャユニットおよび半導体試験装置
US20070176618A1 (en) * 2005-08-12 2007-08-02 Amkor Technology, Inc. Universal contactor for use with multiple handlers and method therefor
WO2007026433A1 (ja) * 2005-08-31 2007-03-08 Hirata Corporation ワークハンドリング装置
KR100647494B1 (ko) * 2006-03-29 2006-11-23 주식회사 엠디플렉스 전자회로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100857911B1 (ko) * 2007-02-01 2008-09-10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소팅장치 및 소팅방법
KR100889356B1 (ko) * 2007-06-15 2009-03-18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시스템의 반도체 디바이스 핸들링방법
US7635973B2 (en) * 2007-11-16 2009-12-22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test plate
KR100960882B1 (ko) * 2007-12-26 2010-06-04 (주)엘텍솔루션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KR100938172B1 (ko) * 2007-12-28 2010-01-21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 반도체 소자 로딩방법,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및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950798B1 (ko) 2008-03-25 2010-04-02 (주)테크윙 테스트트레이용 인서트 개방유닛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소자의 장착방법
US8564304B2 (en) * 2010-04-23 2013-10-22 AFA Micro Co. Integrated circuit device test apparatus
US8497697B2 (en) * 2010-06-14 2013-07-30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multiple integrated circuit devices on a film frame handler
KR101830284B1 (ko) * 2011-10-06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테스트 장치
ITVI20110343A1 (it) * 2011-12-30 2013-07-01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e adattatore per testare chips con circuiti integrati in un package
KR101494176B1 (ko) * 2013-10-16 2015-02-24 에이엠티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시스템
CN107077978B (zh) * 2014-11-06 2019-04-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元件的运送装置
JP7281250B2 (ja) * 2018-05-11 2023-05-2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試験用キャリア
CN108910494B (zh) * 2018-07-06 2020-08-11 安徽贝昂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测试设备用移动装置
CN109384037B (zh) * 2018-12-07 2024-02-02 深圳市微特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线测试自动化设备
TWI732433B (zh) * 2020-01-21 2021-07-01 四方自動化機械股份有限公司 利用金屬載盤進行晶片自動化測試分類的系統及方法
JP2023055016A (ja) * 2021-10-05 2023-04-1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電子部品試験装置、ソケット、及び、キャリア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022Y2 (ja) * 1990-10-12 1997-09-03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Ic試験装置
JPH04199531A (ja) * 1990-11-28 1992-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測定装置
JPH05326757A (ja) * 1990-12-18 1993-12-10 Toshiba Corp Icソケット
JP2746763B2 (ja) * 1991-02-18 1998-05-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ーンイン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バーンイン方法
DE19580814B4 (de) * 1994-06-15 2004-06-24 Advantest Corp. IC-Handler mit IC-Träger
WO1996009556A1 (fr) * 1994-09-22 1996-03-28 Advantest Corporation Procede et appareil d'inspection automatique de dispositifs semiconducteurs
JPH08233899A (ja) * 1995-02-28 1996-09-13 Ando Electric Co Ltd Icのコンタクト機構
WO1997005496A1 (fr) * 1995-07-28 1997-02-13 Advantest Corporation Testeur de dispositif a semiconducteur et systeme de test de dispositif a semiconducteur comportant plusieurs testeurs
US6078188A (en) * 1995-09-04 2000-06-20 Advantest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transporting and handling apparatus
JP3644553B2 (ja) * 1995-11-20 2005-04-2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Icソケット
US6208155B1 (en) * 1998-01-27 2001-03-27 Cerprobe Corporation Probe tip and method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with a solder ball contact of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300781B1 (en) * 1998-10-30 2001-10-09 St Assembly Test Services Pte Ltd Reliable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a ball grid array handler and a ball grid array tes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05A1 (en) * 2015-03-03 2016-09-09 Leeno Industrial Inc. A te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8096B (en) 2001-04-01
KR19990082838A (ko) 1999-11-25
JPH11287841A (ja) 1999-10-19
US6573739B1 (en) 2003-06-03
KR100810380B1 (ko) 2008-03-07
JP3951436B2 (ja)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380B1 (ko) 집적회로 시험장치
KR100312093B1 (ko) 반도체 디바이스 시험장치 및 그 시험장치에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
KR100708629B1 (ko) 집적회로 시험장치
KR100390636B1 (ko)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0722643B1 (ko) 집적회로 시험장치
KR100815490B1 (ko) 전자부품 시험장치
JP4018254B2 (ja) 電子部品の試験方法
JPH0943309A (ja) Ic試験装置
KR100392190B1 (ko) 전자 부품 시험 장치용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및 트레이를 포함하는 시험 장치
JP4222442B2 (ja) 電子部品試験装置用インサート
JP2003066104A (ja) インサ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
JP4279413B2 (ja) 電子部品試験装置用インサート
US20080252317A1 (en) Apparatus for testing system-in-package devices
KR19990006956A (ko) 반도체 집적회로 시험장치
JPH09152466A (ja) Ic試験方法及び装置
WO2002056040A1 (en) Pusher and electronic part tester with the pusher
JPH09113580A (ja) Ic試験装置
KR100714754B1 (ko) 전자부품 시험장치
US7489155B2 (en) Method for testing plurality of system-in-package devices using plurality of test circuits
US20080252321A1 (en) Apparatus for testing micro SD devices
KR101214808B1 (ko) 전자부품 이송과 적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시험장치
US7518356B2 (en) Apparatus for testing system-in-package devices
WO2008032396A1 (fr) Plateau d&#39;essai et dispositif d&#39;essai de composant électronique ainsi équipé
KR101075140B1 (ko) 테스트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시험장치
WO2007135709A1 (ja) 部品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