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261A - 이열성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열성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261A
KR20080008261A KR1020070071200A KR20070071200A KR20080008261A KR 20080008261 A KR20080008261 A KR 20080008261A KR 1020070071200 A KR1020070071200 A KR 1020070071200A KR 20070071200 A KR20070071200 A KR 20070071200A KR 20080008261 A KR20080008261 A KR 2008000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
mxd6
mass
shrink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551B1 (ko
Inventor
마사오 다카시게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이열성 수축 필름은, 나일론6 (이하, Ny6 이라고 한다) 60 ∼ 85 질량부, 메타자일릴렌아디파미드 (이하, MXD6 이라고 한다) 15 ∼ 40 질량부 (양자의 합계는 100 질량부) 를 원료로서 함유하고, 이 원료는,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버진 원료와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MXD6 의 융점을 233 ∼ 238℃ 로 한 열이력품 (熱履歷品) 을 함유하고, 이 열이력품의 함유량은 원료 전량 기준으로 5 ∼ 40 질량% 이고, 그 이열성 수축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경우에, 그 필름의 수축률이 3 ∼ 20% 이다.
이열성 수축 필름

Description

이열성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 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EASY-SPLIT SHRINK FILM, EASY-SPLIT LAMINATE FILM, EASY-SPLIT BAG AND PRODUCTION METHOD OF EASY-SPLIT SHRINK FILM}
본 발명은, 이열성 (易裂性)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 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고령화 사회를 맞이한 사정도 있어, 고령자나 장애인이 청년이나 비장애인과 함께 쾌적한 사회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배리어 (장애) 가 되는 것을 없애는「배리어 프리 (barrier-free)」의 개념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
한편, 식품, 약품 등의 상품 포장 봉투의 시일 기재 (실란트) 필름으로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등의 필름이 다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L-LDPE 필름은, 시일 (seal)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안전하지만, 인열 저항이 크기 때문에 사용시에 절취선을 따라 곧게 잘라지지 않아, 개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포장 분야에 있어서도,「배리어 프리」에 대한 요청이 매우 높아 지고, 구체적으로는, 각종 식품용 포재, 의료용 포재에 관하여, 개봉 용이성 (이열성) 에 대한 요망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봉투를 구성하는 필름에 이열성, 특히 직선 컷성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축 연신 필름을 중간층으로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한 구성 (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소58-38302호) 이나, 표면 기재 필름으로서 나일론6 (이후, Ny6 이라고도 한다) 과 메타자일릴렌아디파미드 (이후, MXD6 이라고도 한다) 의 블렌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축 연신 필름을 이용한 예가 알려져 있다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20837호,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00958호). 나아가, 햄, 소세지 등의 포장용으로서 수축 (shrink) 특성을 갖게 한 예도 알려져 있다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1052호).
그러나, 상기 문헌 1 에 관련된 구성에서는, 중간층에 1 축 연신 필름을 개재시키고 있어 직선 컷성은 우수하지만, 이 1 축 연신 필름은 강도면에서 그다지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문헌 2 ∼ 4 에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직선 컷성이 우수한 표면 기재를 부여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했을 때에도, 그 우수한 직선 컷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열성 봉투로서 실용상의 가치가 높다. 그러나, Ny6 은 MXD6 의 블렌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축 연신 필름은, 라미네이트 필름을 구성한 후에 가혹한 조건 하에 놓여지면, 2 축 연신 필름의 층 내에서, 이른바 층 내 박리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층 내 박리가 일어나면, 라미네이트 필름의 강도가 불안정해져, 봉투를 구성했을 경우에 실용상의 문제가 발생 한다. 특히, 보일이나 리토르트시에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축을 일으키게 하는 수축 포장 봉투의 경우에는, 이러한 층 내 박리가 큰 문제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직선 컷성을 가짐과 함께, 연신 필름층에 있어서 층 내 박리를 일으키지 않는 이열성 수축 필름, 이것을 이용한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 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이열성 수축 필름은, 원료로서 Ny6 을 60 ∼ 85 질량부와, MXD6 을 15 ∼ 40 질량부 (양자의 합계는 100 질량부) 를 함유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서, 상기 원료는,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버진 원료와,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MXD6 의 융점을 233 ∼ 238℃ 로 한 열이력품을 함유하고, 상기 열이력품의 함유량은 상기 원료 전량 기준으로 5 ∼ 40 질량% 이고, 그 이열성 수축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경우에, 그 필름의 수축률이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서 모두 3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6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이다.
여기서, 상기 Ny6 의 화학식을 하기의 식 1 에 나타내고, 또 MXD6 의 화학식을 하기의 식 2 에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51647510-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7051647510-PAT00002
상기 서술한 버진 원료란, 통상은, Ny6 과 MXD6 이 서로 혼합되어 용융 혼련된 이력을 갖는 혼합 원료가 아닌 상태의 원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Ny6 이나 MXD6 이 각각 단독으로 용융 혼련된 이력이 있어도 (예를 들어, 리사이클품),이들이 혼합되고 용융 혼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버진 원료이다. 단, 이열성 수축 필름이 되었을 때의 물성의 면에서는, 리사이클 횟수가 가능한 한 적은 버진 원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y6 과 MXD6 이 서로 혼합되고 용융 혼련된 이력을 가지고 있어도, 그 혼련이 약하기 때문에, MXD6 의 융점 강하가 그다지 없고, 238℃ 를 초과하고 있으면, 이들의 Ny6 과 MXD6 은 여전히 버진 원료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열이력품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버진 원료를 구성하는 Ny6 과 MXD6 에 열이력품을 추가한 삼자 (또는 양자) 가 이른바 드라이 블렌드된 후에 용융 혼련되어 이열성 수축 필름을 구성한다.
또, 열이력품이란 Ny6 과 MXD6 의 배합품으로, 한번 압출기를 통과한 것을 말하고, 본 발명에 대해서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MXD6 수지의 융점이 233 ∼ 238℃ 의 범위로 유지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층 내 박리란, 이열성 수축 필름을 적당한 실란트 필름과 라미네이트한 후에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하면, 이열성 수축 필름 (나일론층) 내에서 박리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층 내 박리의 기구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이열성 수축 필름 내에서는 Ny6 과 MXD6 이 층 형상으로 배향하고 있어, 그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층 내 박리가 일어나면 라미네이트 필름의 강도가 불안정해져, 봉투를 구성했을 경우에 봉투 파손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보일 (boil) 처리나 리토르트 (retort) 처리에 있어서의 수축시에 문제가 크다. 이러한 층 내 박리는,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필름의 라미네이트 강도 (박리 강도) 를 측정하는 시험에 의해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열성 수축 필름에 의하면, 버진 원료에 있어서의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은,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이므로, 직선 컷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원료 전체에 대해서,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열이력품이 5 ∼ 40 질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열성 수축 필름을 가혹한 조건 하에서 사용해도 층 내 박리를 일으키기 어렵다.
또,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은 233 ∼ 238℃ 이고, 바람직하게는 235 ∼ 237℃ 이다.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이 233℃ 미만이 되면, 이열성 수축 필름의 직선 컷성과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또,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이 238℃ 이상이면, 층 내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열이력품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혼련시의 온도나 압력이 높으면 열이 력품 중의 MXD6 의 융점은 보다 크게 내려간다. 여기서,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이란, 버진 원료와 용융 혼련되기 전 상태에서 측정된 융점을 말한다.
이 이열성 수축 필름은, 라미네이트 봉투의 표면 기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2 축 연신되어 있는 것이 내충격성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2 축 연신은, 가로 세로의 강도 밸런스의 점에서, 튜뷸러법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열성의 점에서는, 그 이열성 수축 필름면 내의 적어도 일방향의 인열 강도가 7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필름이 2 축 연신된 것인 경우는, 특히, MD 방향 및 TD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 인열 강도가 70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이 Ny6 : MXD6 = 60 ∼ 85 질량부 : 15 ∼ 4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이, Ny6 : MXD6 = 60 ∼ 85 질량부 : 15 ∼ 40 질량부이므로, 직선 컷성, 내충격성 및 층 내 박리 방지 효과에 의해 우수한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서술한 이열성 수축 필름이 복수층의 적어도 일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이열성 수축 필름이 복수층의 적어도 일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직선 컷성이나 내충격성이 우수한 수축 필름이 된다.
본 발명의 이열성 봉투는 상기 서술한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열성 봉투에 의하면, 상기한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봉성 (직선 컷성) 이 우수함과 함께, 나일론 필름층에서 층 내 박리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강도면에서도 안정적인 실용성이 높은 이열성 봉투가 된다. 또, 보일이나 리토르트 등의 가혹한 수축 조건 하에서 사용되어도, 나일론층에 층 내 박리를 일으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은, Ny6 과 MXD6 을 원료로서 함유하는 원반 필름을 MD 방향 (필름의 이동 방향) 및 TD 방향 (필름의 폭 방향) 으로 모두 2.8 배 이상의 연신 배율로 연신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원료는,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 (양자의 합계는 100 질량부) 로 이루어지는 버진 원료에 대해서,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MXD6 의 융점을 233 ∼ 238℃ 로 한 열이력품을 상기 원료 전량 기준으로 5 ∼ 40 질량% 함유하고, 상기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를 150 ∼ 205℃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Ny6 과 MXD6 을 원료로서 함유하고, 소정의 연신 배율로 연신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후의 필름은 직선 컷성이 우수하고, 라미네이트 필름을 구성했을 경우라도 그 양호한 직선 컷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한 2 축 연신이므로 내충격성도 우수하다. 나아가 원료 중에, 소정의 열이력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라미네 이트 필름 (봉투) 을 가혹한 조건에서 취급해도 나일론층이 층 내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는 없다.
또, MD 방향 및/또는 TD 방향의 연신 배율은, 모두 2.8 배 이상으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3.0 배 이상으로 한다. 연신 배율이 2.8 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직선 컷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또 2 축 연신이어도,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실용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연신은, 튜뷸러법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MD 방향과 TD 방향의 강도 밸런스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를 150 ∼ 205℃ 로 하여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 하기 때문에, 그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부터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열성 봉투를 제조하여, 보일이나 리토르트 등에 의한 수축 처리를 실시했을 때에 적당한 수축률을 나타내고, 나아가 나일론층의 층 내 박리가 생기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열성 수축 필름]
본 발명의 이열성 수축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료 중의 Ny6 과 MXD6 의 배합량 등의 조건을 만족하고, 그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경우에, 그 필름의 수축률이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 ∼ 20% 인한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6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이다.
본 발명의 이열성 필름에 있어서, 버진 원료에 있어서의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은, 막 제조 후의 필름의 직선 컷성과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인 것이 필요하다. 버진 원료에 있어서의 MXD6 이 15 질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직선 컷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또, MXD6 이 40 질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내충격성 (충격 강도) 이 큰 폭으로 저하되어 실용성이 부족해진다.
버진 원료를 구성하는 Ny6 과 MXD6 은, 모두 펠릿 상태인 것을 드라이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중에는,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열이력품 (熱履歷品) 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은 233 ∼ 238℃ 이고, 바람직하게는 235 ∼ 237℃ 이다.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이 233℃ 미만이 되면, 이열성 수축 필름의 직선 컷성과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 또,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이 238℃ 이상이 되면, 층 내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낮아진다.
나아가 또한, 원료 전체에 대해서,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열이력품이 5 ∼ 40 질량%, 바람직하게는 10 ∼ 35 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열이력품이 5 질량% 미만에서는, 이열성 수축 필름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한 후에, 가혹한 조건 하에서 사용하면 층 내 박리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또, 열이력품이 40 질량% 를 초과하면, 이열성 수축 필름의 직선 컷성이나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은, Ny6 : MXD6 = 60 ∼ 85 질량부 : 15 ∼ 4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은,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이므로, 직선 컷성, 충격 강도 및 층 내 박리 방지 효과에 의해 우수한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배합 비율이 15 질량부 미만 (Ny6 의 배합 비율이 85 질량부보다 많다) 이면,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 했을 경우에 층 내 박리 방지 효과가 낮아진다.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배합 비율이 40 질량부를 초과하면 (Ny6 의 배합 비율이 60 질량부 미만) 이열성 수축 필름의 직선 컷성,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
이 열이력품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얻어진 이열성 수축 필름을 리사이클한 것이어도 된다. 또, 열이력품을, Ny6 의 펠릿 및 MXD6 의 펠릿과 잘 드라이 블렌드하려면, 열이력품의 형상을 펠릿상으로 가공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얻어진 이열성 수축 필름을 얇게 절단·압축하여 그러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이열성 수축 필름은 라미네이트 봉투의 표면 기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2 축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축 연신은, 종횡의 강도 밸런스의 점에서, 튜뷸러법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MD 방향 및 TD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도 인열 강도가 70N/㎝ 이하인 것이 직선 컷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열성 수축 필름에는, 필요한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안티 블로킹제 (무기 필러 등), 발수제 (에틸렌 비스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등), 윤활제 (스테아르산 칼슘 등) 를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이열성 수축 필름에 의하면, 버진 원료에 있어서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은,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로 하고 있고, 이것에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열이력품을 함유하고, 이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이 233 ∼ 238℃ 이고, 또한, 열이력품의 함유량이 원료 전량 기준으로 5 ∼ 40 질량% 이므로, 직선 컷성과 충격 강도가 우수하다.
또, 그 이열성 수축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경우에, 그 필름의 수축률을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 ∼ 20%, 바람직하게는 6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로 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나아가 이열성 봉투로 했을 때에 적당한 수축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수축률이 3 % 미만에서는, 이열성 봉투를 보일·레토르트 등에 의해 수축시켰을 경우에 수축 부족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미가열의 소세지용 원료를 충전 후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수축시켜도 내용물과 그 이열성 봉투의 밀착이 불충분해져 버려, 그 봉투의 외관이 악화되어 버린다. 반대로, 수축률이 20% 를 초과하면 수축 과다가 되어 버려, 그 이열성 봉투의 변형을 일으켜 버릴 우려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열성 수축 필름은 보일이나 리토르트 등의 가혹한 조건 하 에서 사용해도 나일론층이 층 내 박리를 일으키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이열성 수축 필름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튜뷸러 방식의 2 축 연신 장치 (1) 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y6 의 펠릿, MXD6 의 펠릿 및 열이력품을 드라이 블렌드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한 후, 냉각한 원반 필름을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2.8 배 이상의 배율로 2 축 연신하고,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를 150 ∼ 205℃, 바람직하게는 160 ∼ 195℃ 로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그 이열성 수축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경우의 그 필름의 수축률을 3 ∼ 20% 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본 발명의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이열성 수축 필름을 적어도 1 층으로서 포함하고, 2 층, 3 층 등 몇 층이어도 된다. 도 2 ∼ 도 4 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100, 200, 300) 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층을 이열성 수축 필름 (18), 제 2 층을 각종 실란트 필름 (19) 으로 한 2 층 구조,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층을 각종 기재 필름 (20), 제 2 층을 이열성 수축 필름 (18), 제 3 층을 각종 실란트 필름 (19) 으로 한 3 층 구조,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층을 이열성 수축 필름 (18), 제 2 층을 각종 기재 필름 (20), 제 3 층을 각종 실란트 필름 (19) 으로 한 3 층 구조로 해도 된다.
기재 필름 (20) 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EVOH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PVA (폴리비닐알코올), PP (폴리프로필렌), PVDC (폴리염화 비닐리덴),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PS (폴리스티렌) 등의 2 축 또는 1 축 연신 필름 또는 무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계 필름 외,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실란트 필름 (19) 의 재료로서는, L-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EVA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PB (폴리부텐-1), CPP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아이오노머,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라미네이트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익스트루전 라미네이트, 핫멜트 라미네이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웨트 라미네이트 등이 있다.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100, 200, 300) 은, 상기 서술한 이열성 수축 필름 (18) 이 복수층의 적어도 일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도 직선 컷성 (이열성)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한 수축 필름이 된다. 또, 가혹한 조건 하에서 사용되어도, 나일론층에 층 내 박리를 일으키지 않는다. 즉, 이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100, 200, 300) 을 이용하여 봉투를 제조하면, 그 특성을 살린 이열성 봉투 (400 ; 도 5) 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용물을 충전 후에 보일이나 리토르트 등에 의해 그 봉투를 수축시킨 후이더라도, 나일론층에 층 내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열성 봉투는, 햄·소세지 류의 수축 포장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소세지 포장으로서는, 비닐리덴 케이싱과 알루미늄 코킹에 의한 타입이 일반적이지만, 매우 개봉하기 어려웠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이열성 봉투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V 노치 또는 I 노치를 그 봉투의 일단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간단하게 개봉 (직선 컷) 할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열성 봉투에서는 금속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금속 탐지기의 사용도 가능해지고, 또, 히트 시일 (heat seal) 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밀봉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미가열의 소세지 원료를 그 봉투에 충전하여, 리토르트 처리를 실시하면, 원료의 가열 경화·살균과 동시에 그 봉투의 수축부형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 (소세지 등) 과 이열성 봉투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열성 봉투를 구성하는 실란트 필름의 시일면 (봉투의 내면측) 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도 유효하다.
[변형예]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재질,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가지 변형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재질, 층 구성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 니기 때문에, 그들의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서 2 축 연신 필름을 제조했지만, 1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5 의 이열성 봉투에서, TD 방향으로 배향한 1 축 연신 필름을 표면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직선 컷성이 특히 중시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 축 연신 방법으로서 튜뷸러 방식을 채용했지만, 텐터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연신 방법으로서는 동시 2 축 연신이어도 축차 2 축 연신이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Ny6 펠릿 및 MXD6 펠릿을 각각 70 질량부 및 30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것에 대해서, 이미 한 번, 이 배합비로 용융 혼합하여 펠릿화한 열이력품 (MXD6 의 융점이 236℃ 인 것) 을 원료 전량에 대해서 15 질량% 배합하였다. 이 드라이 블렌드품을 압출기 중, 270℃ 에서 용융 혼련한 후, 용융물을 다이스로부터 원통형의 필름으로서 압출하고, 계속해서 물로 급냉하여 원반 필름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MXD6 의 융점은, 퍼킨엘머사 제조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DSC) 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10℃/min 에서 50℃ 내지 280℃ 까지 승온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모두 퍼스트런에 있어서의 값을 융점으로 했다.
Ny6 으로서 사용한 것은, 우베 코우산 (주) 제조 나일론6 [UBE 나일론 1023FD (상품명), 상대 점도 ηr = 3.6] 이고, MXD6 으로서 사용한 것은, 미츠비시 가스 화학 (주) 제조 메타자일릴렌아디파미드 [MX 나일론 6007 (상품명), 상대 점도 ηr = 2.7] 이다.
또한,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을, 각각 70 질량부와 30 질량부로 하고, 40φEX, 싱글 스크루 (주식회사 야마구치 제작소 제조) 를 이용하여, 270℃ 에서 압출한 것을 열이력품으로서 사용했다.
다음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원반 필름 (11) 을 한 쌍의 닙롤 (12) 사이에 삽입 통과시킨 후, 안에 기체를 압입하면서 히터 (13) 로 가열함과 함께, 연신 개시점에 에어링 (14) 으로부터 공기 (15) 를 내뿜어 버블 (16) 로 팽창시키고, 하류측의 한 쌍의 닙롤 (17) 에서 꺼냄으로써, 튜뷸러법에 의한 MD 방향 및 TD 방향의 동시 2 축 연신을 실시했다. 이 연신시의 배율은, MD 방향으로 3.0 배, TD 방향으로 3.2 배였다.
다음으로, 이 연신 필름을 텐터식 열처리노 (도시 생략) 에 넣고, 160℃ 에서 열처리 (열고정) 를 실시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열성 수축 필름 (18 ; 이후, 연신 필름 (18) 이라고도 한다) 을 얻었다. 또, 이 연신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때의 수축률은, MD 방향, TD 방향 모두 19% 였다.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이 연신 필름 (18 ; 두께 15㎛) 을 표면 기재 필름, L-LDPE 필름 [유니락스 LS-711C (상품명), 이데미츠 유니텍 (주) 제조, 두께 50㎛] 을 실란트 필름으로서 양자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후, 라미네이트 필름이라고도 한다) 100 을 얻었다. 또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의 접착제로서는, 미츠이 다케다 케미컬 제조의 타케락 A-615/타케네이트 A-65 의 배합품 (배합비 16/1) 을 이용했다. 또, 드라이 라미네이트 후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40℃ 에서 3 일간 에이징을 실시했다.
[평가 방법]
(연신 성형성)
연신 필름 (18) 의 막 제조시에 있어서의 버블의 안정성을 연신 성형성으로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버블이 안정적인 것을 A, 버블의 흔들림이 있어 불안정한 것을 C 로 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당초, 버블의 흔들림이 있더라도, 미세한 조절로 버블을 안정화할 수 있던 것은 B 로 하였다.
(수축률)
MD, TD 방향을 따라 100㎜ 의 표선을 기입한 연신 필름 (18) 을 준비하고, 이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방치한 후, 23℃, 습도 50% RH 에 상태 조정한 후, MD 방향 및 TD 방향의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이 수축률은, 최초의 길이를 LO, 수축 후의 길이를 L 로 하여, (LO-L)/LO × 100 (%) 의 식에 의해 구했다.
(내충격성)
연신 필름 (18) 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하여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요 정기 (주) 제조의 필름·임팩트·테스터를 사용하여, 고정된 링 형상의 필름 (18) 에 반원 구상의 진자 (직경 1/2 인치) 를 부딪혀, 필름 (18) 의 펀칭에 요하는 충격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실시했다. 그리고, 충격 강도가 45,000J/m 이상을 A, 45,000J/m 미만을 C 로서 평가하였다. 이 충격 강도가 45,000J/m 보다 작아지면 표면 기재로서의 성능이 저하되어 가고, 수축 포장용 기재로서의 실용성이 부족해진다.
(직선 컷성)
연신 필름 (18) 의 이열성의 척도로서 이하와 같이 하여 직선 컷성을 측정하였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 폭의 필름 (18) 에 소정 간격 (Ws ; 예를 들어 2㎝ 간격) 으로 절취선 (21) 을 넣고, 이들의 절취선 (21) 을 따라 필름 (18) 을 찢은 후, 필름편 (18A) 의 타단 (22) 의 폭 (We) 을 측정하고, 원래의 간격 (Ws) 과의 편차 (α) 를 하기 식으로 구한다.
α = [|Ws-We|/Ws] × 100
이 측정을 10 매의 필름편 (18A) 에 대해서 실시하고, 그 평균치의 α (%) 가 ± 10% 미만인 것을 A+ (직선 컷성이 매우 양호), ±10% ≤ α ≤ ±30% 인 것을 A (직선 컷성이 양호), α (%) 가 ±30% 를 초과하는 것을 C (직선 컷성이 불량) 로서 평가하였다. α (%) 가 ±30% 를 초과하면 필름 (18) 을 바르게 자르는 것이 곤란해진다.
(인열 강도)
연신 필름 (18) 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하여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 시험 (JIS K 7128) 에 준거하여, 연신 필름 (18) 의 MD 방향 및 TD 방향의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인열 강도가 70N/㎝ 이하를 A, 70N/㎝ 를 초과하는 것 (인열 저항대) 을 C 로서 평가하였다. 이 인열 강도는, 70N/㎝ 이하인 것이 직선 컷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인열 강도가 70N/㎝ 를 초과하면, 인열 저항이 높아져 직선 컷성이 저하되어 버려, 이열성 포장용 기재로서의 실용 성능이 부족해진다.
(층 내 박리)
상기 서술한 라미네이트 필름 (100) 으로부터 15㎜ 폭의 직사각 형상의 시험편을 잘라 내고, 그 단부를 손으로 수 ㎝ 정도 계면 박리를 실시하여, 표면 기재 필름 (연신 필름 (18)) 과 실란트 필름으로 분리하였다. 그 후, 각각의 필름편을 인장 시험기 (인스트론 만능 시험기 1123 형) 에 세트하여, 300㎜/min 의 속도로 라미네이트 부분의 박리 시험을 실시했다 (90 번 박리).
박리 시험 도중에 표면 기재 필름 내부에서 층 내 박리가 발생하면 박리 강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그러한 거동이 발현했는지 여부로 층 내 박리 발생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 시험의 개시시는, 박리 강도가 7N/15㎜ 폭 정도였던 것이, 박리 시험의 도중에 급격하게 1 ∼ 2N/15㎜ 폭 정도로 감소하면, 층 내 박리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기재 필름 내부에서 층 내 박리의 거동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A, 층 내 박리의 거동을 나타낸 것을 C 로서 평가하였다
(제품 외관)
라미네이트 필름 (100) 을 이용하여, 햄, 소세지용 케이싱 삼방 봉투를 제작하고, 내용물을 충전 후, 열수에 의해 보일 처리 (95℃, 30 분간) 를 실시하여, 봉투와 내용물의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봉투와 내용물의 밀착성이 양호한 경우를 A, 봉투와 내용물의 밀착성이 불량하거나, 휜 경우를 C 로 했다.
(종합 평가)
상기 서술한 연신 성형성, 수축률, 내충격성 (충격 강도), 직선 컷성, 인열 강도, 층 내 박리, 및 제품 외관의 8 항목 모두에 A 이상이 매겨지는 것을 종합 평가에서 A 로 했다. 상기 서술한 8 항목 가운데, 하나라도 C 가 있으면 종합 평가에서 C 로 했다.
[실시예 2 ∼ 8, 비교예 1 ∼ 7]
상기 실시예 1 에 있어서, Ny6 펠릿, MXD6 펠릿, 및 열이력품의 혼합량, 또한,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을 변경함과 함께, 연신 후의 열고정 조건을 바꾸어, 실시예 1 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 의해 막 제조를 실시했다. 평가 시험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표 1 에 실시예, 표 2 에 비교예의 제조 조건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Ny6 (질량부) 70 70 70 70 70 70 70 80
MXD6 (질량부) 30 30 30 30 30 30 30 20
열이력품 (질량%) 15 30 15 5 10 20 10 20
융점1 ) (℃) 236 236 234 237 235 237 235 237
열처리 온도 (℃) 160 180 160 160 195 160 170 160
연신 성형성 A A A A A A A A
열수 수축률 (%) 19 11 19 19 4 19 16 19
충격 강도 (J/m) 측정값 70000 68000 58000 62000 55000 72000 70000 75000
충격 강도 A A A A A A A A
직선 컷성 A+ A+ A+ A+ A+ A+ A+ A+
인열 강도 A A A A A A A A
층내 박리 A A A A A A A A
제품 외관 A A A A B A A A
종합 평가 A A A A A A A A
1) 열이력품 중의 MXD6 의 융점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Ny6 (질량부) 70 70 70 70 70 70 90
MXD6 (질량부) 30 30 30 30 30 30 10
열이력품 (질량%) 0 45 15 15 3 30 20
융점1 ) (℃) - 234 235 232 236 210 237
열처리온도 (℃) 160 160 210 160 180 160 160
연신 성형성 A B A B A C A
열수 수축률 (%) 19 19 2 19 11 19 19
충격 강도 (J/m) 측정값 70000 44000 65000 50000 70000 40000 78000
충격 강도 A C A A A C A
직선 컷성 A+ C A+ C A+ C C
인열 강도 A C A A A C C
층내 박리 C A A A C A A
제품 외관 A A C A A A A
종합 평가 C C C C C C C
1) 열이력품 중의 MXD6 의 융점
[평가 결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연신 필름 (18) 은, 원료 중의 Ny6 와 MXD6 의 배합량 등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그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경우에, 그 필름의 수축률이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서 모두 3 ∼ 20% 의 범위에 있으므로, 연신 성형성, 충격 강도, 직성 컷성, 인열 강도, 및 층 내 박리 방지 효과 중 어느 것에 대해서나 우수하다. 또한, 열수 수축성이 적당하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필름 (10) 과, 내용물의 밀착성이 좋고, 봉투의 제품 외관이 양호했다.
한편,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는, 상기 서술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두, 연신 필름 (18) 의 물성에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 은 원료로서 열이력품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필름 (18 ; 나일론층) 이 층 내 박리를 일으키고 있었다. 또, 비교예 2 는, 열이력품의 함유량이 45 질량% 로 많기 때문에, 충격 강도, 직선 컷성, 및 인열 강도가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3 은, 그 필름의 수축률 (95℃, 30 분간) 이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2% 로 매우 작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필름 (10) 으로부터 작성한 케이싱 삼방 봉투의 보일시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아 봉투의 제품 외관이 나쁘고, 또 내용물과의 밀착성도 불충분했다. 비교예 4 는,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MXD6 의 융점이 232℃ 로 낮기 때문에, 직선 컷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5 는, 열이력품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필름 (18 ; 나일론층) 이 층 내 박리를 일으키고 있었다. 비교예 6 에서는, 열이력품의 융점이 210℃ 로 꽤 낮기 때문에 충격 강도와 직선 컷성, 및 인열 강도가 함께 뒤떨어지고 있었다. 또 연신 성형성도 불량이었다. 비교예 7 에서는, Ny6 의 함유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인열 저항이 높고 (인열 강도 큼), 직선 컷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직선 컷성을 가짐과 함께, 연신 필름층에 있어서 층 내 박리를 일으키지 않는 이열성 수축 필름, 이것을 이용한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 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이 수득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 축 연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2 층 구성) 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3 층 구성) 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3 층 구성) 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열성 봉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직선 컷성의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6)

  1. 나일론6 (이후, Ny6 이라고도 한다) 60 ∼ 85 질량부와 메타자일릴렌아디파미드 (이후, MXD6 이라고도 한다) 15 ∼ 40 질량부 (양자의 합계는 100 질량부) 를 원료로서 함유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으로서,
    상기 원료는,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버진 원료와,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MXD6 의 융점을 233 ∼ 238℃ 로 한 열이력품 (熱履歷品) 을 함유하고,
    상기 열이력품의 함유량은 상기 원료 전량 기준으로 5 ∼ 40 질량% 이고,
    그 이열성 수축 필름을 95℃ 의 열수중에 30 분간 유지했을 경우에, 그 필름의 수축률이,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서 모두 3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이열성 수축 필름면 내의 적어도 일방향의 인열 강도가 70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이력품에 있어서의 Ny6 과 MXD6 의 배합 비율은, Ny6 : MXD6 = 60 ∼ 85 질량부 : 15 ∼ 40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열성 수축 필름이 복수층의 적어도 일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5. 제 4 항에 기재된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열성 봉투.
  6. Ny6 과 MXD6 을 원료로서 함유하는 원반 필름을 MD 방향 (필름의 이동 방향) 및 TD 방향 (필름의 폭 방향) 으로 모두 2.8 배 이상의 연신 배율로 연신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원료는, Ny6 이 60 ∼ 85 질량부, MXD6 이 15 ∼ 40 질량부 (양자의 합계는 100 질량부) 로 이루어지는 버진 원료에 대해서, Ny6 및 MXD6 을 용융 혼련하여, MXD6 의 융점을 233 ∼ 238℃ 로 한 열이력품을 상기 원료 전량 기준으로 5 ∼ 40 질량% 함유하고,
    상기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를 150 ∼ 205℃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070071200A 2006-07-18 2007-07-16 이열성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344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5526A JP5079275B2 (ja) 2006-07-18 2006-07-18 易裂性収縮フィルムの層内剥離防止方法
JPJP-P-2006-00195526 200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61A true KR20080008261A (ko) 2008-01-23
KR101344551B1 KR101344551B1 (ko) 2013-12-26

Family

ID=3904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200A KR101344551B1 (ko) 2006-07-18 2007-07-16 이열성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79275B2 (ko)
KR (1) KR101344551B1 (ko)
CN (1) CN101108898B (ko)
TW (1) TWI4068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2978B2 (en) 2006-12-01 2013-09-03 Cryovac, Inc. Stress concentrator for opening a flexible container
US10189621B2 (en) 2007-05-21 2019-01-29 Cryovac, Inc. Bag made from high-strength heat-shrinkable film exhibiting directional tear, and process utilizing same
US10202229B2 (en) 2007-05-21 2019-02-12 Cryovac, Inc. Easy opening packaging article made from heat-shrinkable film exhibiting directional tear
JP2013129707A (ja) * 2011-12-20 2013-07-04 Idemitsu Unitech Co Ltd 易裂性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36220A (ja) * 2011-12-28 2013-07-11 Idemitsu Unitech Co Ltd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易裂性包装袋
JP2013188934A (ja) * 2012-03-13 2013-09-26 Idemitsu Unitech Co Ltd 易裂性二軸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包材および易裂性二軸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2896849B (zh) * 2012-07-19 2016-01-20 厦门长塑实业有限公司 高阻隔尼龙薄膜及其制备方法
JP5739384B2 (ja) * 2012-07-24 2015-06-24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性収縮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易裂性袋、および易裂性収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14021418A1 (ja) * 2012-08-02 2016-07-2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性二軸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包材および易裂性二軸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4151566A (ja) * 2013-02-08 2014-08-25 Idemitsu Unitech Co Ltd 二軸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14180798A (ja) * 2013-03-19 2014-09-29 Idemitsu Unitech Co Ltd 多層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延伸フィルム
JP6697839B2 (ja) * 2014-07-03 2020-05-27 ユニチカ株式会社 シート状成形体
CN105778488B (zh) * 2016-05-17 2018-02-09 厦门长塑实业有限公司 一种直线易撕裂聚酰胺薄膜及其制备方法
JP6159494B1 (ja) * 2017-01-27 2017-07-05 加川 清二 易裂性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装置
US11447632B2 (en) 2017-07-31 2022-09-2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Easily tearable film, multilayer film, packaging material, and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9915A (ja) * 1986-02-03 1987-08-07 Idemitsu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トまたは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618721B2 (ja) * 1989-10-20 1997-06-11 豊田合成 株式会社 エンジン用制振性樹脂成形品
JP3021854B2 (ja) * 1991-02-28 2000-03-15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系積層二軸延伸フイルム
JP2845684B2 (ja) * 1991-10-31 1999-01-13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易裂性袋
JPH06155467A (ja) * 1992-11-20 1994-06-03 Mitsubishi Kasei Corp ポリアミド成形品の製造方法
TW300195B (ko) * 1994-11-30 1997-03-11 Idemitsu Petrochemical Co
JP3227413B2 (ja) * 1997-09-19 2001-11-1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易裂性シュリンク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袋製品
SE9801140D0 (sv) * 1998-04-01 1998-04-0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Laminerat förpackningsmaterial samt förpackningsbehållare framställd därav
US6379812B1 (en) * 2000-05-31 2002-04-30 Cryovac, Inc. High modulus, multilayer film
EP1569985B1 (en) * 2002-10-24 2008-08-06 Dow Corning Corporation Siloxane based amide modified nyl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551B1 (ko) 2013-12-26
JP2008024744A (ja) 2008-02-07
JP5079275B2 (ja) 2012-11-21
CN101108898B (zh) 2011-09-28
CN101108898A (zh) 2008-01-23
TWI406886B (zh) 2013-09-01
TW200821341A (en)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551B1 (ko) 이열성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
JPH10195211A (ja) 包装用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5739383B2 (ja) 易裂性延伸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易裂性袋、及び易裂性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243020B2 (ja) 易裂性バリアーラミネートフィルム、これを使用した袋製品および易裂性バリア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3535719A (ja) 易引裂性非ハロゲン性食品用ラップ
JP5079268B2 (ja) 易裂性延伸フィルムの層内剥離防止方法
JP3227413B2 (ja) 易裂性シュリンク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袋製品
KR20060136317A (ko) 이열성 연신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자루,및 이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0036938A (ja) 包装材
JP2005305998A (ja) ヒートシール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7246122A (ja) 蓋材
JP2007238155A (ja) 含気ボイル用包装体
JPS59152853A (ja) 熱収縮性多層フイルムの製造方法
WO2013099698A1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易裂性包装袋
JP2000079669A (ja) 二軸延伸多層フィルム
JP2845683B2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易裂性袋
JP4747538B2 (ja) 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5739384B2 (ja) 易裂性収縮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易裂性袋、および易裂性収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246121A (ja) 容器包装体の製造方法
JP473007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無延伸フィルム
JP3124213B2 (ja) 包装用積層フィルム
JP2845685B2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
WO2014148279A1 (ja) 多層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延伸フィルム
JP200704504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無延伸フィルム
JPH11138726A (ja) 熱収縮性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