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725A -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725A
KR20080003725A KR1020070066240A KR20070066240A KR20080003725A KR 20080003725 A KR20080003725 A KR 20080003725A KR 1020070066240 A KR1020070066240 A KR 1020070066240A KR 20070066240 A KR20070066240 A KR 20070066240A KR 20080003725 A KR20080003725 A KR 20080003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base plate
striker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178B1 (ko
Inventor
히로시 오카다
사토루 니시자와
나오 미즈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6Emergency opening means for persons trapp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65Control levers 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베이스 플레이트가 차량의 도어 및 차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래치(latch)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피벗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도어 및 차체 중 다른 하나의 스트라이커(striker)와 결합한다. 래치트(rachet)가 상기 래치와 결합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 유지되게 한다. 비상-조작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실장되며 상기 차량 내부에서 수동으로 조작됨으로써, 상기 래치트가 상기 래치로부터 해제된 후에,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DOOR LATCH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힌지 샤프트에 대해 개폐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JP2005-68722A에서, 해치 도어가 상부에서 힌지 샤프트에 대해 차체의 후방부에 피벗식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개폐한다. 폐쇄 위치에 해치 도어를 유지하기 위한 도어 래치 디바이스는 차체의 스트라이커(striker)와 결합하여 상기 해치 도어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결합부(engagement portion) 및 모터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해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모터용 전기 시스템이 고장나는 비상시에, 상기 해치 도어는 차량 내부의 조작부에 의해 개방되어야 한다.
상기 도어 래치 디바이스에서, 도어 래치 비다이스의 구동부용 모터가 구동하지 않으면, 상기 차량 내부의 내장(trim) 위의 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조작부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번거롭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 내부에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 내부에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도 1의 좌측은 차량의 정면이며 우측은 차량의 후면이다. 도 2의 후면 및 도 3의 정면은 래치 디바이스의 정면이며, 도 2의 정면 및 도 3의 후면은 래치 디바이스의 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래치 디바이스(1)는 상기 차량의 후면에 힌지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상하로 개폐하는 해치 도어(3)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6); 및 상기 결합부(6)를 해제하기 위한 구동부(7)를 포함한다. 상기 해치 도어(3)의 내부 패널(31)의 하부에서, 상기 결합부(6)는 상기 해치 도어(3)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구동부(7)는 상기 해치 도어(3)에 저장된다.
도 1의 래치 디바이스가 경사져 있지만, 상기 형상에 따라 수직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해치 도어의 폐쇄 방향 및 스트라이커(4)의 실장 위치가 이하에 설명된다.
상기 결합부(6)는 차체(2)에 고정된 반전된-U자 형상 스트라이커(4)의 결합 로드(rod)(41)와 결합함으로써, 도 1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폐쇄 위치로 상기 해치 도어(3)를 유지한다. 상기 해치 도어(3)의 내부 패널(31)로부터 돌출하는 결합부(6)의 외측 표면은 합성-수지 커버(61)로 커버되어 외관을 개선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커버(61)는 도 1, 2, 4 및 7에만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도면에서는 생략된다.
도 4에서, 상기 결합부(6)는 상기 해치 도어(3)의 내부 패널(31)에 고정된 금속 베이스 플레이트(8); 상기 스트라이커(4)와 결합할 수 있는 래치(10); 상기 래치(10)와 결합할 수 있는 래치트(11); 도 2, 10 및 11에서 개방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상기 래치(10)에 힘을 가하기 위한 래치 스프링(12); 도 2, 10 및 11에서 개방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래치트(13)에 힘을 가하기 위한 래치트 스프링(13); 및 상기 래치(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위치 센서(2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7)는 합성-수지 하우징(15)의 상부; 상기 하우징(15)의 상위 후방부를 폐쇄하기 위한 합성-수지 커버(16); 모터(17); 상기 모터(17)의 샤프트(171)에 고정된 웜(worm)(18); 및 상기 웜(18)과 맞물리는 웜 휠(worm wheel)(19)을 포함한다.
해치 도어(3)의 내부 패널(31)로부터 돌출하는 베이스(83)의 실장부(81, 82) 는 볼트(5) 및 상기 볼트(5)와 결합하는 피메일 스레드(female thread)(81a, 81b, 82a)에 의해 상기 내부 패널(31)의 하부에서 실장 표면(32)에 커플링된다. 상기 실장 표면(32)은 도 1의 해치 도어(3)의 개방 방향(A)에 수직으로 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가 해치 도어(3)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83) 중간의 하부 측에서, 상기 해치 도어(3)가 닫힐 때 상기 스트라이커(4)가 결합하는 홈(84)이 스트라이커 결합 방향(B) 또는 상기 해치 도어(3)의 폐쇄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좌우 실장부(81, 82)는 상기 해치 도어(3)의 개방 방향에 수직인 표면을 갖고, 힌지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좌우 실장부(81, 82)에서, 상기 해치 도어(3)의 실장 표면(32) 및 상기 실장부(81, 82)의 표면에 수직으로, 또는 상기 해치 도어의 개방 방향(A)으로 연장하는 볼트(5)가 결합하는 피메일 스레드(81a, 81b, 82a)가 존재한다.
상기 래치 디바이스(1)를 해치 도어(3)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좌우 실장부(81, 82)가 상기 내부 패널(31)의 실장 표면(32) 상에 가압되는 한편, 상기 볼트(5)가 상기 실장 표면(32)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상기 피메일 스레드(81a, 81b, 82a)와 결합되어, 상기 실장부(81, 82)가 상기 내부 패널(31)의 실장 표면(32)에 연결되게 한다.
도 7 및 도 8에서, 상기 좌측 실장부(81)(도 8의 우측)는 우측 실장부(82)(도 8의 좌측)보다 넓다. 상기 좌측 실장부(81)는 2개의 피메일 스레드(81a, 81b)를 갖는 한편, 상기 좌측 실장부(82)는 하나의 피메일 스레드(82a)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실장부(81)의 피메일 스레드의 수는 우측 실장부(82)의 피메일 스레드의 수보다 크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우측 및 좌측 실장부(81, 82)의 피메일 스레드의 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의 일점쇄선(dotted line)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굴곡부(88)는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강성률(rigidity)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우측 및 좌측 실장부(81, 82) 사이의 접속부(8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82)는 상기 실장부(81)보다 작다. 상기 부분(82, 83)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강성률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상기 좌측 실장부(81)의 피메일 스레드(81a)와 우측 실장부(82)의 피메일 스레드(82a) 사이의 직선(L1)이 상기 힌지 축(C)과 평행하다. 상기 좌측 실장부(81)의 피메일 스레드(81b)는 상기 직선(L1)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본 발명의 결속 디바이스는 상기 실장부(81, 82)의 피메일 스레드(81a, 81b, 82a)에 결합하는 볼트(5)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결속 디바이스는 용접에 의해 상기 실장부(81, 82)에 고정된 용접 볼트 및 상기 용접 볼트와 결합하는 너트; 용접에 의해 상기 실장부(81, 82)에 고정된 용접 너트 및 상기 용접 너트와 결합하는 볼트; 상기 실장부(81, 82)의 구멍 및 상기 구멍에 결합하는 태핑 스크류(tapping screw); 또는 상기 내부 패널(31)의 표면에 용접된 용접 볼트 및 상기 실장부(81, 82)의 구멍에 꽂힌 용접 볼트와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81, 8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베이스(83)의 측면에 형 성되고, 상기 베이스(83)에 대해 직각으로 구부러진 측면부(85, 85)가 설치되어 베이스(83)의 강성률을 증가시킨다.
하우징(15)은 상기 베이스(83)와 대면하며, 상기 측면부(85, 85)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8)의 정면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5)의 하부 중간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84)과 일치하는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151)이 존재한다. 상기 하우징(15)의 후면상에, 상기 래치(10)가 끼움결합되는 래치-접속 영역(152); 상기 래치트(11)가 끼움결합되는 래치트-접속 영역(153); 상기 모터(17)가 끼움결합되는 모터-접속 영역(154); 웜 휠(19)이 끼움결합되는 웜-휠-접속 영역(155); 및 상기 래치트 스프링(13) 및 회전-위치 센서(23)가 끼움결합되는 스프링-접속 영역(156)이 존재한다.
상기 래치-접속 영역(152)은 상기 하우징(15)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접속 영역(154)은 상기 래치-접속 영역(152) 위에 있다. 상기 래치트-접속 영역(153)은 하우징(15)의 우측 하부 및 상기 래치-접속 영역(152)의 우측면에 있다. 상기 웜-휠-접속 영역(155)은 상기 래치트-접속 영역(153) 위에, 그리고 상기 모터-접속 영역(154)의 우측면에 있다. 상기 스프링-접속 영역(156)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터(17)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모터(17)와 래치트(10) 사이에 거의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직선 보더 라인(boarder line)(L2)은 스트라이커-끼움결합 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84, 151)을 통과한다. 상기 베이 스 플레이트(8) 및 하우징(15)에서, 상기 보더 라인의 좌측 또는 일측은 제 1 영역(15A)이라 칭해지는 한편, 상기 보더 라인의 우측 또는 타측은 제 2 영역(15B)이라 칭해진다. 상기 제 1 영역(15A)은 래치-접속 영역(152), 모터-접속 영역(154), 스프링-접속 영역(156) 및 2개의 볼트(153)에 의해 상기 해치 도어(3)의 실장 표면(32)에 고정된 실장부(8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영역(15B)은 상기 래치트-접속 영역(153), 상기 웜-휠-접속 영역(155) 및 하나의 볼트(5)에 의해 상기 해치 도어(3)의 실장 표면(32)에 고정된 우측부(8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10)를 포함하는 제 1 영역(15A)에서의 좌측 실장부(81)는 2개의 볼트(5)에 의해 상기 해치 도어(3)의 실장 표면(32)에 고정되어, 상기 좌측 실장부(81)가 상기 실장 표면(3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해치 도어(3)의 실장 표면(32)에 좌측 실장부(81)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5)는 상기 제 2 영역(15B)의 실장 표면(32)에 우측 실장부(82)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5)보다 그 수가 많아서, 하중이 작용할 것 같은 제 1 영역(15A)의 좌측 실장부(81)는 상기 실장 표면(3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5)의 상기 래치트-접속 영역(153) 및 웜-휠-접속 영역(155) 사이에, 상기 웜(18) 단부의 전체 원주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방사상-베어링(radial-bearing) 영역(157)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9 및 도 13에서, 방사상-베어링 영역(157)은 상기 웜(18)의 단부가 결합하는 오목부(157a) 및 상기 오목부(157a)를 비스듬히 대면하는 유지부(157b)를 포함한다. 도 9에서, 상기 유지부(157b)가 합성 수지로부터 몰딩될 때 상기 하우징(15)에서 상기 유지부(157b)와 대면하는 표면 상에 랩핑 홀(rapping hole)(157c)이 존재한다.
상기 웜(18)의 단부는 상기 오목부(157a)와 유지부(157b) 사이에 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방사상-베어링 영역(157)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의해 상기 웜(18)이 방사상으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웜(18)의 단부를 지지한다. 그 결과, 상기 개방 레버(14)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웜(18)을 가로지를 때, 상기 커버(16)가 개방 레버(14)에 의해 방사상으로 상기 웜(18)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웜(18)의 단부는 상기 오목부(157a) 및 유지부(157b)에 의해 방사상으로 헐거워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백 플레이트(9)는 상기 하우징(15)의 정면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5)와 함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에 고정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9)는 좌우 측면부(85, 85)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각 측면의 좌우 돌출부(92, 9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측면부(85, 85)의 오목부(86, 86)에 배치된다. 상기 백 플레이트(9)의 하부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91)이 상기 하우징(15)의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151)을 둘러싸는 플랜지(flange)(151a)와 결합한다.
상기 백 플레이트(9)의 상부에, 또는 상기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91) 위에, 플랜지(93)가 힌지-축 방향(C)으로 연장하고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91)의 연장부를 가로질러 전방으로 또는 피벗 방향(D)으로 연장한다. 유지부(94)가 상기 플랜지(93)의 전단부에 거의 직각으로 상향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플랜지(93)는 백 플레이트(9)의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91)의 바닥 주변의 강성률을 증가시킨다.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93)는 상기 측면부(85, 85) 사이를 결합한다.
개방 방향으로 상기 래치 디바이스(1)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백 플레이트(9)의 플랜지(93)의 각 에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측면부(85, 85)를 접촉함으로써 상기 백 플레이트(9) 및 베이스 플레이트(8)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래치(10)가 상기 래치트(11)로부터 결합해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10)와 래치트(11)의 결합 강도가 개선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93)에 의해, 상기 피벗 방향(D)으로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래치(10)와 래치트(11) 사이의 결합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백 플레이트(9)의 돌출부(92)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오목부(86)에 결합하여 상기 백 플레이트(9) 및 베이스 플레이트(8)가 서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10) 및 래치트(1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 및 백 플레이트(9)의 변형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래치(10) 및 래치트(11)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유지부(94)는 상기 하우징(15)의 정면과 접촉한다. 상기 유지부(94)의 중간 개구(95)는 상기 하우징(15)의 돌출부(158)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5)의 정면을 강화한다.
상기 래치(10)는 상기 해치 도어(3)의 개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또는 상기 스트라이커-끼움결합 방향(B) 및 힌지-축 방향(C)에 거의 수직인 피벗 방 향(D)으로 연장하는 래치 피벗(20)을 갖는 상기 하우징(15)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베이스(83) 사이의 래치-접속 영역(152)에 피벗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해치 도어(3)가 개방될 때, 상기 래치(10)는 도 11의 스트라이커(4)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개방 위치에 있다. 상기 해치 도어(3)가 폐쇄될 때, 상기 래치(10)는 상기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84, 91, 151)에 들어가는 스트라이커(4)의 결합 로드(41)와 결합하여, 상기 래치 피벗(20) 주변의 래치 스프링(12)의 힘에 대해 개방 위치로부터 도 10의 풀-래치(full-latch) 위치로 90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래치트(11)는 상기 래치 피벗(20)과 평행한 래치트 피벗(21)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베이스(83)와 상기 하우징(15)의 하부 사이의 래치트-접속 영역(153)에 피벗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해치 도어(3)가 폐쇄될 때, 상기 래치트(11)의 클로(claw)(111)가 상기 래치(10)의 클로(101)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해치 도어(3)를 폐쇄 위치로 유지한다. 상기 래치트(11)는 상기 래치트 스프링(13)의 힘에 대해 도 11의 해제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10)가 상기 개방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며 상기 해치 도어(3)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래치트(11)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치트(11)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5)에 고무로 형성된 스토퍼(25)와 접촉한다.
상기 래치트(11)의 상단부에,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스프링-접속 영역(156)의 래치트 스프링(13)의 타단(132)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13)가 존재한다. 상기 래치트(11)의 상단부에, 상기 하우징(15)의 개구(150)를 통해 상기 차량 의 내부에 노출되는 비상-조작부(emergency-operating portion)(112)가 존재한다.
상기 비상-조작부(112)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2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탄성 부재(24)는 상기 개방 레버(14)가 비상-조작부(112)를 때릴 때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상기 탄성 부재(24)는 또한 상기 래치트(11)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5)로서 작용한다. 상기 탄성 부재(24)는 상기 래치트(11)와 함께 수지로 몰딩될 수 있다.
상기 해치 도어(3)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방 레버(14)가 모터(17)에 의해 해제되어 상기 개방 레버(14)의 측면이 상기 비상-조작부(112)의 탄성 부재(24)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래치트가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전기 시스템 등에서의 고장에 의해 상기 래치트(11)가 비상시에 모터(17)에 의해 해제될 수 없게 되는 경우, 내부에 노출된 비상-조작부(112)는 상기 해치 도어의 내장(trim)을 제거하지 않고 차량의 내부에서 수동으로 조작되어, 상기 래치트(11)가 상기 래치(10)로부터 결합해제됨으로써 상기 해치 도어(3)가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비상-조작부(112)가 개방 레버(14)의 해제를 래치트(11)에 전달하며 비상시에 작동한다는 2가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래치트(11)의 형상 및 전체 구조를 간략화한다.
상기 비상-조작부(112)는 내부의 백 플레이트(9)의 플랜지(93)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비상-조작부(112)는 내부에서 비상-조작부(112) 상에 직접 수하물(baggage)과 충돌함으로써 실수로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 비상-조작부(112)는 드라이버와 같은 로드-형상 도구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부(112a)를 갖는다. 상기 도구는 상기 비상-조작부(112)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트(11)가 용이하게 해제되게 한다.
상기 래치 피벗(20) 및 래치트 피벗(21)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 하우징(15) 및 백 플레이트(9)를 통과한다. 상기 피벗(20, 21)의 전단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9) 상에 구부러지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단부 주변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하우징(15)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와 백 플레이트(9) 사이에 유지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 하우징(15) 및 하우징(9)은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도 7에서, 상기 래치(10)의 스트라이커-결합부(E)는 스트라이커-끼움결합 방향(B)으로부터 보여진 실장부(81, 82)의 피메일 스레드 구멍(81a, 82a)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L1)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8에서 상기 래치(10)의 클로(101)가 상기 래치트(11)의 클로(111)와 결합하는 결합부(F)는 상기 직선(L1)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해치 도어(3)가 폐쇄될 때 상기 래치 디바이스(1)와 스트라이커(4) 사이에 개방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래치(10) 및 래치트(11)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와 해치 도어(3) 사이의 경계부에 작용하는 하중(W)이 상기 피메일 스레드(81a, 82a)에 직접 작용함으로써, 상기 해치 도어(3)의 내부 패널(31)의 실장 표면(32)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실장부(81, 82)의 변형을 최소로 감소시키며 상기 래치 디바이스(1)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하중(W)이 상기 볼트(5) 또는 상기 직선(L1)으로부터 거리를 둔 위치에 사선으로 작용하면, 상기 표면(32) 및 실장부(81, 82)가 비스듬히 변형되어 강도를 감소시킨다.
상기 웜 휠(19)은 상기 래치 피벗(20)과 평행하게 웜-휠 피벗(22)을 갖는 커버(16)와 하우징(15)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웜-휠-접속 영역(155)에 피벗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웜-휠 피벗(22) 주변에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항상 중립 위치로 힘이 가해진다.
도 10 및 도 11에서, 상기 모터(17)는 상기 샤프트(171)가 기울어지도록 상기 하우징(15)의 상단부와 커버(16) 사이의 모터-접속 영역(154)에 배치된다. 즉, 상기 샤프트(171)의 축(L3)은 상기 래치트 피벗(21)과 웜-휠 피벗(22) 사이로 진행하며, 상기 보더 라인(L2)에 대해 비스듬히 교차한다.
상기 웜(18)은 가역으로 상기 웜 휠(19)의 외측 원주 상의 기어(gear)(191)와 맞물리고 모터(17)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웜 휠(19)이 대기 위치로부터 도 10, 도 11 및 도 13에서의 해제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웜 휠(19)은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위치 센서(23)는 래치(10)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모터(17)가 정지한다. 상기 웜 휠(19)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 정지한다.
상기 개방 레버(14)는 상기 래치트(11)로부터 분리되어 스윙(swing)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치트(11)와 동축인 래치트 피벗(21)에 의해 피벗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개방 레버(14)는 상기 웜(18) 위의 샤프트(171)의 축(L3)을 교차한다. 상기 개 방 레버(14)의 섹터 기어(141)는 상기 웜 휠(19)의 더 작은 기어(192)와 맞물린다.
상기 해치 도어(3)가 폐쇄될 때, 상기 웜 휠(19)은 모터(17)에 의해 중립 위치로부터 해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개방 레버(14)는 도 10의 해제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도 10의 대기 위치로부터 도 11의 해제 위치로 스윙한다. 상기 개방 레버(14)의 측면 에지는 상기 비상-조작부(112)의 외측 원주 표면상의 탄성 부재(24)를 통해 상기 비상-조작부(112)를 접촉하여 상기 래치트(11)가 상기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스윙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치 도어(3)가 폐쇄될 때 상기 해치 도어(3)의 외측 표면상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모터(17)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17)의 전력이 개방 레버(14)를 통해 상기 래치트(11) 및 비상-조작부(112)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래치트(11)가 해제되어 상기 해치 도어(3)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해치 도어(3)는 개방되어 상기 모터(17)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웜 휠(19)은 중립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개방 레버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개방 레버(14) 및 래치트(11)가 각각 대기 위치 및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방 레버(14)의 측면 에지는 상기 래치트(11)의 비상-조작부(112)에 대해 상기 탄성 부재(24)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개방 레버(14)의 섹터 기어(141)와 상기 웜 휠(19)의 더 작은 기어(192) 사이의 결합의 백래시(backlash)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개방 레버(14)의 헐거워짐을 방지한다.
상기 래치트 스프링(13)은 코일 스프링, 상기 스프링-접속 영역(156)의 축 부분(159a) 주변에 감긴 코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13)의 일단부는 상기 축 부분(159a) 근처의 결합부(159b)에 고정되는 한편, 타단 또는 자유단(132)이 피벗 방향(D)으로 상기 래치트(11)의 결합부(113)와 결합함으로써 결합 방향으로 상기 래치트(11)에 힘을 가한다. 상기 코일부(131)는 상기 래치트(11) 및 개방 레버(14)의 조작 영역 외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트 및 상기 개방 레버(14)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배치에 의해, 상기 래치(10), 상기 래치트(11), 상기 모터(17), 상기 웜 휠(19) 및 개방 레버(14)가 최적 위치로 모이게 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끼움결합 위치(B) 및 힌지-축 방향(C)의 크기 및 상기 피벗 방향(D)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래치 디바이스(1)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17)는 모터-접속 영역(154)에서 기울어지며, 상기 래치 스프링(13)은 상기 모터(17)와 래치(10) 사이의 스프링-접속 영역(156)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7)와 래치(10) 사이의 공간은 상기 래치 스프링(13)을 실장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상기 래치 디바이스(1)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트 스프링(13)은 상기 피벗 방향(D)으로 상기 래치트(11)와 개방 레버(14)상에 중첩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래치 디바이스(1)의 피벗 방향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래치트 스프링(13)의 타단(132)은 피벗 방향(D)으로 상기 래치트(11)의 결합부(113)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래치트 스프링(13)의 타단(132)과 래치트(11)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위치 센서(23)는 상기 스프링-접속 영역(156)에 배치되고, 검출 부(231)는 상기 래치(10)의 외측 원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상기 래치(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래치 디바이스(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래치 피벗(20) 및 래치트 피벗(21)의 전단부가 구부러져 상기 백 플레이트(9)에 고정된다. 그 후에, 상기 백 플레이트(9)는 상기 하우징(15)의 정면과 접촉하여 상기 래치 피벗(20) 및 래치트 피벗(21)이 상기 하우징(15)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게 한다.
도 14에서, 상기 래치(10), 래치트(11), 래치 스프링(12), 래치트 스프링(13), 개방 레버(14), 모터(17), 웜 휠(19) 및 회전-위치 센서(23)가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며, 상기 하우징(15)의 상방 후면은 상기 커버(16)에 의해 폐쇄된다. 그 후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는 상기 하우징(15)의 하방 후면에 실장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래치 피벗(20) 및 래치트 피벗(21)의 후단부가 구부러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래치 디바이스(1)가 최종적으로 조립된다.
전술한 사항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이탈하지 않고서, 당업자에 의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i) 상기 래치 디바이스(1)는 차체에 대한 수직 힌지 샤프트에 관하여 개폐하는 측면 도어와 같은 다른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ii) 상기 래치 디바이스(1)는 차체에 실장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스트라이 커(4)는 도어에 실장될 수 있다.
(iii)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는 상기 하우징(15)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5)이 상기 백 플레이트(9)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해치(hatch) 도어 하부의 수직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래치 디바이스의 후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래치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래치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래치 디바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라인 VII-VII를 따라 취해진 수평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라인 VIII-VIII을 따라 취해진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라인 IX-IX를 따라 취해진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버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래치 디바이스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커버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래치 디바이스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주요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주요부의 확대 후면도이다.
도 14는 커버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래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래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하우징이 제거된 래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Claims (9)

  1. 차체의 힌지 샤프트에 대해 개폐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로서,
    상기 차체 및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실장된 스트라이커;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striker-fitting groove)을 가지며 상기 차체 및 도어 중 다른 하나에 실장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피벗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트라이커-끼움결합 홈 내의 스트라이커와 결합하여 상기 도어를 유지하는 래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피벗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래치가 상기 스트라이커와 결합하여 상기 래치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래치와 결합이 허용되는 래치트(ratchet);
    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피벗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래치트를 상기 래치로부터 결합해제(disengage)시키는 개방 레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실장되고 상기 차량 내부에 노출되며, 수동으로 조작되어 상기 래치트를 상기 래치로부터 결합해제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비상-조작부(emergency-operating portion)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에 실장되는 한편,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차체에 실장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내부 패널에 실장되며, 상기 비상-조작부는 상기 도어의 내부 패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부상에 실장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근처에 상기 래치 및 래치트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상-조작부가 상기 차량 내부로 노출되는 개구를 갖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작부는 상기 래치트와 일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레버는 상기 비상-조작부를 접촉하여 상기 래치트가 상기 래치로 부터 결합해제되게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작부를 둘러싸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작부는 막대형(rod-like) 도구가 놓이는 오목부를 갖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작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KR1020070066240A 2006-07-03 2007-07-02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KR100889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3574A JP4851869B2 (ja) 2006-07-03 2006-07-03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JP-P-2006-00183574 2006-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25A true KR20080003725A (ko) 2008-01-08
KR100889178B1 KR100889178B1 (ko) 2009-03-17

Family

ID=3842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240A KR100889178B1 (ko) 2006-07-03 2007-07-02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09542B2 (ko)
JP (1) JP4851869B2 (ko)
KR (1) KR100889178B1 (ko)
CN (1) CN101109248B (ko)
FR (1) FR2904024B1 (ko)
GB (1) GB24398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30768B (zh) * 2008-01-30 2010-10-06 广州市暨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锁
FR2928954B1 (fr) * 2008-03-21 2013-04-12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e fabrication d'un cliquet pivotant pour serr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cliquet pivotant et serrure correspondante
JP5285969B2 (ja) * 2008-06-11 2013-09-1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FR2937071B1 (fr) * 2008-10-14 2013-12-20 Coutier Moulage Gen Ind Serrure de capot de vehicule automobile
CN101725290B (zh) * 2008-10-28 2013-11-06 爱信精机株式会社 车辆用盖锁装置
WO2010110492A1 (ja) * 2009-03-27 2010-09-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974038B2 (ja) * 2010-03-15 2012-07-1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JP5682004B2 (ja) * 2010-05-11 2015-03-1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ラッチ装置
DE102011012656A1 (de) * 2011-02-28 2012-08-3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5759346B2 (ja) * 2011-11-28 2015-08-0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DE102012101092A1 (de) * 2012-02-10 2013-08-1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anordnung
US8894104B2 (en) * 2012-03-26 2014-11-25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Door closer device
DE102016112482A1 (de) * 2016-07-07 2018-01-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US11421454B2 (en) 2017-06-07 2022-08-23 Magna Closures Inc. Closure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and outside release mechanism having reset device
DE102017123262A1 (de) * 2017-10-06 2019-04-11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23256A1 (de) * 2017-10-06 2019-04-11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23622A1 (de) * 2017-10-11 2019-04-1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Heckklappenschloss
US11280120B2 (en) 2017-11-09 2022-03-22 Magna Closures Inc.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 closure system having power release mechanism with mechanical release and reset feature
JP6909132B2 (ja) * 2017-11-15 2021-07-28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ラッチ装置
CN111749561B (zh) * 2019-03-29 2021-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锁和车辆
CN110242114B (zh) * 2019-04-23 2020-12-22 佛山市三水区创合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防盗锁
KR102633868B1 (ko) * 2019-07-26 2024-0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CN110821296A (zh) * 2019-12-03 2020-02-21 无锡忻润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可实现电动开锁功能的侧门锁传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5779A1 (de) * 1995-02-20 1996-08-29 Bocklenberg & Motte Bomoro Kraftfahrzeug-Klappenschloß, insbesondere Heckklappenschloß
JP3348169B2 (ja) * 1995-06-07 2002-11-2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扉のロック装置
DE19616655B4 (de) * 1996-04-26 2005-03-10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Tür oder Klappe
DE19619958C2 (de) * 1996-05-17 1999-10-21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Schloß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9713863C1 (de) * 1997-04-04 1998-09-2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ß, insbesondere Heckklappenschloß oder Seitentürschloß
US6048002A (en) * 1998-02-20 2000-04-11 Asmo Co., Ltd.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for vehicle
US6422615B1 (en) * 1998-07-20 2002-07-23 Mannesmann Vdo Ag Closure device with shutting aid
FR2783551B1 (fr) * 1998-09-21 2000-11-17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electrique perfectionnee pour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GB9911263D0 (en) * 1999-05-15 1999-07-14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JP2001030959A (ja) * 1999-07-22 2001-02-06 Mitsubishi Motors Corp トランクルーム装置
US6135514A (en) * 1999-09-13 2000-10-24 Delphi Technologies, Inc. Automotive vehicle storage compartment release mechanism
US6378920B1 (en) * 1999-12-30 2002-04-30 Delphi Technologies, Inc. Deck lid latch
CA2405706C (en) * 2000-04-27 2008-11-25 Atoma International Corp. Headliner mounted power liftgate drive mechanism
JP3502599B2 (ja) * 2000-09-11 2004-03-02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
US6517128B2 (en) * 2001-02-06 2003-02-11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latch with power operated release mechanism
JP3906341B2 (ja) * 2001-09-18 2007-04-1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ゲートロック装置
DE10206813A1 (de) * 2002-02-19 2003-08-28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os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klappen oder dgl.
JP4399207B2 (ja) * 2003-08-21 2010-01-13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4460244B2 (ja) 2003-08-21 2010-05-12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100501395B1 (ko) * 2003-10-14 2005-07-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리드 래치어셈블리
JP4381889B2 (ja) * 2004-05-26 2009-12-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装置
JP4336266B2 (ja) * 2004-07-29 2009-09-3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712616D0 (en) 2007-08-08
FR2904024B1 (fr) 2013-12-06
GB2439827A (en) 2008-01-09
CN101109248B (zh) 2011-11-09
US20080121003A1 (en) 2008-05-29
FR2904024A1 (fr) 2008-01-25
JP4851869B2 (ja) 2012-01-11
GB2439827B (en) 2010-11-10
KR100889178B1 (ko) 2009-03-17
JP2008013935A (ja) 2008-01-24
US8109542B2 (en) 2012-02-07
CN101109248A (zh)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17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KR100889662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JP4755544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WO2014045933A1 (ja) 乗物用ラッチ装置
JP464457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629101B2 (ja) ハウジングユニット及び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JP7074620B2 (ja)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車両用リッドロック機構、及び車両用ロック機構
JP5271626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静震構造
JP2015137509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5592075B2 (ja) 便器上面設備
JP482022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4917919B2 (ja) 自動車の開閉体用ロック装置
KR200424038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패널 조립체
JP2008030576A (ja) トレイ開放防止装置
JP5021419B2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5015748B2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5062024B2 (ja) グラブボックス
JP2010031503A (ja) ドアロック装置の静震構造
KR100654983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힌지구조
JPH10244837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の補助取手装置および自動車のバックドア
JP5480561B2 (ja) 開扉アシスト装置
JP2015218564A (ja) バックドアロック装置
JP2021123902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6117156A (ja) 車両用天井設置型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