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615A -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615A
KR20080000615A KR1020077024568A KR20077024568A KR20080000615A KR 20080000615 A KR20080000615 A KR 20080000615A KR 1020077024568 A KR1020077024568 A KR 1020077024568A KR 20077024568 A KR20077024568 A KR 20077024568A KR 20080000615 A KR20080000615 A KR 2008000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
compound
general formula
molec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858B1 (ko
Inventor
아키노리 류
마모루 다나카
오사무 코고
쿠니오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63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groups having sulfur atoms between two carbon atoms, the sulfur atoms being directly linked to carbon atoms or other sulfur atoms
    • C08G18/3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groups having sulfur atoms between two carbon atoms, the sulfur atoms being directly linked to carbon atoms or other sulfur atoms containing groups having one sulfur atom between two carbon atoms
    • C08G18/386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groups having sulfur atoms between two carbon atoms, the sulfur atoms being directly linked to carbon atoms or other sulfur atoms containing groups having one sulfur atom between two carbon atoms the sulfur atom belonging to a sulfid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2Combination of two or more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5Combination of polyisocyanates of C08G18/78 with othe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염색성 및 수지 강도가 우수한 수지 조성물, 해당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수지 및 광학 부품을 제공한다. 투명수지 재료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ww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한다.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광학용 수지의 제조 방법, 수지 조성물, 수지, 광학 부품

Description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 방법 {POLYTHIOURETHANE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RESIN BY USING SAME}
본 발명은 중합성 조성물, 수지 및 광학 부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렌즈는 무기 렌즈에 비해서 경량이고 좀처럼 깨지기 않으며, 염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안경 렌즈, 카레라 렌즈 등의 광학 부품용으로서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안경 렌즈는 그 용도로부터 (1) 고굴절인 점, (2) 높은 아베(Abbe)수인 점이라고 하는 광학적 성능에 더하여, (3) 내열성이 우수한 점, (4) 염색성이 용이하다는 점, (5) 가공에 견딜 수 있는 수지 강도를 갖는 점 등, 많은 기능이 요구되고 있고, 이제까지 여러 가지 렌즈용 수지 소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예로서,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가 개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2 참조).
또한, 특정의 화학 구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는, 고굴절률, 높은 아베(Abbe)수, 고내열성,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밸런스가 매우 우수한 플라스틱 렌즈를 부여한다 (특허 문헌 3 참조).
한편, 최근 안경 렌즈에서는 패션성이 요구되게 되어, 염색 렌즈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염색성이 좋다는 것은 염색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안경 렌즈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염색성과 기재의 내열성은 트레이드오프 (tradeoff) 관계에 있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 없는 내열성을 갖고, 염색성이 양호한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패션성이 더욱 추구되기 때문에, 수지에 다양한 가공이 실시되지만, 수지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가공시에 파손되기도 하여 제품 수율이 악화된다. 그 때문에, 수지 강도를 더욱 개량함이 요망되고 있다.
이상, 플라스틱 렌즈를 예로 들었지만, 폴리티오우레탄계의 수지에 있어서, 염색성 및 수지 강도의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 2-27085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 7-25220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 3-12472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수지보다도 염색성이 양호하고, 충분한 수지 강도를 갖는 수지를 부여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A) 하기 화학식(1) 및/또는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화학식(3), 화학식(4) 또는 화학식(5)의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가 요구 물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A) 하기 화학식(1) 및/또는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1]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1
(화학식(1) 중, n은 0 이상 3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2
(B) 하기 화학식(3), 하기 화학식(4) 및 하기 화학식(5)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3]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3
(화학식(3) 중, m은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4
(화학식(4) 중, p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5]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5
(화학식(5) 중, q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2] 상기 (A)가 하기 화학식(6) 및/또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화학식 6]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6
상기 (B)가 상기 화학식(3)(m=6), 상기 화학식(4)(p=6) 및 상기 화학식(5)(q=6)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3] 상기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중의 하이드록시기 및 티올기의 몰수를 각각 A 및 B로 하고,
상기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티올기의 몰수를 C로 한 경우,
100×A/(A+B+C)가 0.1% 이상 40%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4] 상기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이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메르캅토에틸)설파이드,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및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3]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5] 상기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화합물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피로갈롤, 에틸렌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디올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3] 또는 [4]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6] 상기 (A)가 하기 화학식(6) 및/또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화학식 7]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7
상기 (B)가 상기 화학식(3)(m=6), 상기 화학식(4)(p=6) 및 상기 화학식(5)(q=6)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상기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이,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적어도 1종이고,
상기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화합물이 2-메르캅토에탄올인 [5]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수지의 제조 방법.
[8]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킨 수지.
[9] [8]에 기재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부품.
[10] [9]에 기재된 광학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11] [10]에 기재된 렌즈로 이루어지는 안경 렌즈.
[12]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의 광학 부품으로서의 사용.
[13]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킨 수지의 광학 부품으로서의 사용.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이하의 성분을 함유한다.
(A) 하기 화학식(1) 및/또는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화학식 8]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8
(화학식(1) 중, n은 0 이상 3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9]
Figure 112007076460611-PCT00009
(B) 하기 화학식(3), 하기 화학식(4) 및 하기 화학식(5)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화학식 10]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0
(화학식(3) 중, m은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1]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1
(화학식(4) 중, p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2]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2
(화학식(5) 중, q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 및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적어도 1종.
또한, 본 발명의 수지는 상술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킨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는
(A) 상기 화학식(1) 및/또는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상기 화학식(3), 상기 화학식(4) 및 상기 화학식(5)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 및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혼합하고,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는 종래의 수지보다도 염색성이 양호하고, 충분한 수지 강도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성분에 대해서, 예시 화합물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복수 개 조합시켜 이용해도 좋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2,5-비스(이소시아네이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네이트)-비시클로〔2,2,1〕헵탄, 2,5-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2,5-비스(이소시아네이트에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네이트에틸)-비시클로〔2,2,1〕헵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 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6)으로 표시되는 2,5(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2,5(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은 2,5-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2,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함유하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i)~(iii)의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i) 2,5-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단품
(ii) 2,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단품
(iii) 2,5-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2,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혼합물
[화학식 13]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3
또한,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1,2-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7-헵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8-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9-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4) 및 상기 화학식(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얻어진 화합물을 정제하여 사용해도 좋고, 또한 원료 모노머인 상기 화학식(3)의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성분 (C) 및 (D)에 대해서 설명한다.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로는, 메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1,3-프로판디티올, 2,2-프로판디티올, 1,6-헥산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1,1-시클로헥산디티올, 1,2-시클로헥산디티올,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1,2,2-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1,1,5,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3-티아펜탄, 1,1,6,6-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3,4-디티아헥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등의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비스(메르캅토메틸)설파이드, 비스(메르캅토메틸)디설파이드, 비스(메르캅토에틸)설파이드, 비스(메르캅토에틸)디설파이드, 비스(메르캅토프로필)설파이드, 비스(메르캅토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비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비스(메르캅토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1,2-비스(메르캅토에틸티오)에탄, 1,3-비스(메르캅토프로필티오)에탄, 1,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3-비스(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 1,3-비스(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1,2,3-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테트라키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메르캅토프로필티오메틸)메탄, 2,5-디메르캅토-1,4-디티안,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등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는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에틸렌글리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디(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티롤에탄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티롤에탄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린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글리세린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올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1,4-시클로헥산디올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록시메틸설파이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메틸설파이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록시에틸설파이드(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에틸설파이드(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록시메틸디설파이드(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메틸디설파이드(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티오글리콜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1,2-디메르캅토벤젠, 1,3-디메르캅토벤젠, 1,4-디메르캅토벤젠, 1,2-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4-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4-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2,3-트리메르캅토벤젠, 1,2,4-트리메르캅토벤젠, 1,3,5-트리메르캅토벤젠, 1,2,3-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4-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3-트리스(메르캅토에틸)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에틸)벤젠, 1,2,4-트리스(메르캅토에틸)벤젠, 2,5-톨루엔디티올, 3,4-톨루엔디티올, 1,4-나프탈렌디티올, 1,5-나프탈렌디티올, 2,6-나프탈렌디티올, 2,7-나프탈렌디티올, 1,2,3,4-테트라메르캅토벤젠, 1,2,3,5-테트라메르캅토벤젠, 1,2,4,5-테트라메르캅토벤젠, 1,2,3,4-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3,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4,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3,4-테트라키스(메르캅토에틸)벤젠, 1,2,3,5-테트라키스(메르캅토에틸)벤젠, 1,2,4,5-테트라키스(메르캅토에틸)벤젠, 2,2'-디메르캅토비페닐, 4,4'-디메르캅토비페닐 등의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이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메르캅토에틸)설파이드,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및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중,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티롤에탄,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솔비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만니톨, 폴리카프로락톤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A-비스(2-하이드록시에틸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페놀 A-비스(2-하이드록시에틸에테르), 피로갈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열거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중,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로는,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티올, 1,3-디메르캅토-2-프로판올,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1,2-디메르캅토-1,3-부탄디올 등의 지방족 화합물;
펜타에리스리톨모노(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기를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4-메르캅토페놀, 2,4-디메르캅토페놀 등의 방향환을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피로갈롤, 에틸렌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디올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1) 및/또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3), 상기 화학식(4) 또는 상기 화학식(5)의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사용비율은, NCO/(SH+OH)의 관능기 몰비가 통상 0.5~3.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5~1.5의 범위내이고, 0.8~1.2의 범위 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A)가 하기 화학식(6) 및/또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화학식 14]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4
(B)가 상기 화학식(3)(m=6), 상기 화학식(4)(p=6) 및 상기 화학식(5)(q=6)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이하의 성분을 함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화학식(6) 및/또는 상기 화학식(2)으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3)(m=6), 상기 화학식(4)(p=6) 및 상기 화학식(5)(q=6)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을 함유하고,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이,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적어도 1종이고,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이, 2-메르캅토에탄올이다.
또한, 상기 열거된 화합물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2,5(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로서, 2-메르캅토에탄올,
을 조합시켜 사용하면, 이들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지는, 염색성, 수지 강도가 우수하고, 굴절률, 아베(Abbe)수, 내열성을 충분히 만족하는 결과를 부여한다.
또한,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은, 분자 구조중에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그 하이드록시기의 함유율의 상한은,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중의 하이드록시기와 티올기의 몰수를 각각 A 및 B로 하고,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 중의 티올기의 몰수를 C로 한 경우, 100×A/(A+B+C)(%)가 예를 들어,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염색성과 수지 강도의 밸런스가 특히 우수한 수지가 얻어진다.
또한, 하이드록시기의 함유율의 하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기 100×A/(A+B+C)(%)의 값을, 예를 들어 0.1%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조성물에는, 얻어지는 수지의 굴절률이나 비중 등의 광학 물성, 내충격성, 중합성 조성물의 점도 등을 조정하기 위하여, 수지 개질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에 의해 경화시킬 때에는, 목적에 따라서 공지의 성형법과 마찬가지로, 쇄연장제, 가교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착색 방지제, 청색화제(blueing agent) 등의 각종 물질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경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가열 경화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반응 속도로 조정하기 위해서, 공지의 반응 촉매를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촉매로는, 예를 들면, 우레탄화 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테트라메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테트라에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테트라프로필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테트라부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등의 주석 화합물이나 3급 아민 등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2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촉매의 첨가량으로는, 조성물의 모노머 총중량에 대해서 0.001~1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인 경우, 중합성은 양호하고, 조합(調合)시의 가사 시간(pot life)이나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 광학 물성 혹은 내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중합에 의해 경화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는 통상 주형(注型)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하는 모노머에, 미리 촉매, 자외선흡수제, 내부이형제 등의 각종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혼합액으로 한다. 이 혼합액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방법으로 탈기를 행한 후, 2매의 유리판과 테이프 혹은 가스켓으로 이루어지는 몰드에 주입하여 중합시킨다. 주입에 관한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모노머 혼합액의 점도는 20~1000 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시의 중합 조건은 사용되는 모노머의 종류, 촉매의 종류, 그 첨가량, 몰드형의 형상 등에 의해 크게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한정할 수 없지만, 열중합에서는 대략 -20℃~200℃의 온도에서 1~100 시간에 걸쳐 행해진다.
본 발명의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하이드록시기 및/또는 티올기에 의한 우레탄 결합 및/또는 티오카르밤산S-알킬에스테르 결합을 주체로 하지만, 목적에 따라서는, 그 이외에 알로파네이트 결합, 우레아 결합, 뷰렛 결합을 함유하고 있어도 아무 문제 없다. 예를 들면, 우레탄 결합이나 티오카르밤산S-알킬에스테르 결합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더 반응시켜 가교 밀도를 증대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결과를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반응 온도를 적어도 100℃ 이상으로 높게 하고,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많이 사용한다. 혹은, 아민 등을 일부 병용하고, 우레아 결합, 뷰렛 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는 폴리올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티올 화합물 이외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착색의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투명 수지 재료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는, 종래의 수지보다도 염색성, 수지 강도가 우수하고, 굴절률, 아베(Abbe)수, 내열성 어느 것이라도 만족하는 성능을 갖는 것을 알았다.
이 때문에,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는, 무색 투명하고, 광학 물성도 우수하여, 안경 렌즈 등의 렌즈, 프리즘, 카레라 렌즈, 광파이버, 정보기록판, 필터, 발광다이오드 등의 광학 부품이나 광학 소자 소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렌즈용 수지보다도 염색성, 수지 강도가 우수하고, 굴절률, 아베(Abbe)수, 내열성 어느 것이라도 만족하는 렌즈용 수지를 부여하는 조성물 및 수지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고굴절률 재료가 이용되는 분야 등에서의 광학 재료로서, 염색성, 수지 강도가 우수한 투명 경화수지가 얻어지고, 특히 안경 렌즈 등의 렌즈를 비롯하는 광학 부품 분야에 적합한 재료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티오우레탄계 렌즈는, 필요에 따라서 반사 방지 , 고경도 부여, 내마모성 향상, 내약품성 향상, 방담성 부여 혹은 패션성 부여 등의 개량을 행하기 위해, 표면 연마, 대전 방지 처리, 하드 코팅 처리, 무반사 코팅 처리, 염색 처리, 조광 처리 등의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염색에는 통상 분산염료를 분산시킨 탕욕이 사용되지만, 염색 속도, 염색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벤질알코올로 대표되는 캐리어(carrier)를 첨가한 염색욕을 이용해도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얻어진 수지의 성능 시험 중, 굴절률, 비중, 내열성, 수지 강도 및 염색성은 각각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굴절률(ne), 아베(Abbe)수(νe): 풀프릿 굴절계를 사용하여 20℃에서 측정했다.
비중: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측정했다.
내열성: TMA(Thermo Mechanical Analysis) 침투법 (50g 하중, 핀끝 0.5mmΦ 승온 속도 10℃/분)에서의 Tg(℃)를 내열성으로 했다.
수지 강도: 주식회사 시마즈세이사쿠쇼제 AUTOGRAPH AGS-J를 사용하여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를 두께 3mm, 길이 85mm, 폭 5mm의 덤벨형으로 가공한 수지편을 이용하여, 온도 20℃에서, 시험편을 인장속도 1mm/분에서 5mm/분으로 하중을 부하시킨 때의 최대 하중 (N/mm2)을 산출했다.
염색성: 순수 995g에 염색제로서 미이케센료우(주)사제 안경 렌즈용 분산염료「MLP-Blue」 1.5g, 「MLP-Yellow」 2.0g, 「MLP-Red」 1.5g을 첨가하여, 염료 분산액을 조정했다. 이것을 90℃에서 가열한 후에, 두께 9mm의 플라스틱 렌즈편을 90℃에서 5분간 침지, 염색했다. 염색한 후의 렌즈편을 파장 400~800 nm까지 스캔하여, 565nm에서의 투과율(%T)을 측정했다.
(실시예 1)
2,5(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50.31g,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26g, 2-메르캅토에탄올 11.91g,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7.52g, 제렉 UN (내부이형제) 0.25g, 바이오소브(BioSorb) 583(자외선흡수제) 0.05g을 20℃에서 혼합 용해하고, 경화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0.15g을 첨가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했다.
이 균일한 용액을 600Pa에서 1시간 탈포를 행하여, 1μm 테프론(Teflon)(등록 상표) 필터로 여과하여, 유리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형에 주입했다. 이 몰드형을 오븐에 투입하고, 25~120℃까지 20시간에 걸쳐 서서히 승온하여 중합 했다. 중합 종료후, 오븐으로부터 몰드형을 꺼내어, 이형시켜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를 120℃에서 4시간 더 아닐을 행했다.
얻어진 수지는 무색이고, 투명성이 높은 양호한 것이고, 굴절률(ne) 1.597, 아베(Abbe)수(νe) 41이었다.
(실시예 2 - 실시예 7)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표1의 조성으로 렌즈를 제작했다. 평가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내부이형제, 자외선흡수제, 경화촉매도 동일하게 사용했다.
(비교예 1)
2,5(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50.6g에, 제렉UN(상품명, 내부이형제) 0.13g, 바이오소브(BioSorb) 583 (상품명, 자외선흡수제) 0.05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23.9g,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5.5g을 혼합 용해했다. 경화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0.02g을 첨가하고, 이 혼합용액을 600Pa에서 1시간 탈포하고, 1μm 테프론(Teflon)(등록 상표)필터로 여과하고, 유리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형에 주입했다.
이 몰드형을 오븐에 투입하고, 10~120℃까지 서서히 승온하여, 18시간에 걸쳐 중합했다. 중합 종료후, 오븐으로부터 몰드형을 꺼내어, 이형하여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를 120℃에서 3시간 더 아닐을 행했다.
얻어진 수지는 무색이고 투명성이 높은 양호한 것이고, 굴절률(ne) 1.598, 아베(Abbe)수(νe) 41이었다.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5
또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에서는, 2,5(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으로서 2,5-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2,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혼합물을 이용했다.
표 1 중의 기호는 이하의 내용을 나타낸다.
(A)-1: 2,5(6)-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시클로[2,2,1]헵탄
(A)-2: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B)-1: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B)-2: 상기 화학식(4)에서 p=6인 화합물
(B)-3: 상기 화학식(5)에서 q=6인 화합물
(C)-1: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C)-2: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C)-3: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D)-1: 2-메르캅토에탄올
H: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중의 하이드록시기 및 티올기의 몰수를 A 및 B로 하고,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가져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티올기의 몰수를 C로 한 경우, 하이드록시기의 몰수가 티올기와 하이드록시기의 몰수의 총합에 차지하는 비율 (%): 100×A/(A+B+C)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6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수지는 비교예에 비하여 염색성, 수지 강도가 우수하고, 굴절률, 아베(Abbe)수, 내열성, 비중의 밸런스를 취하고 있음을 알았다.

Claims (13)

  1. (A) 하기 화학식(1) 및/또는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15]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7
    (화학식(1) 중, n은 0 이상 3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6]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8
    (B) 하기 화학식(3), 하기 화학식(4) 및 하기 화학식(5)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17]
    Figure 112007076460611-PCT00019
    (화학식(3) 중, m은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8]
    Figure 112007076460611-PCT00020
    (화학식(4) 중, p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9]
    Figure 112007076460611-PCT00021
    (화학식(5) 중, q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A)가 하기 화학식(6) 및/또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 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화학식 20]
    Figure 112007076460611-PCT00022
    상기(B)가 상기 화학식(3)(m=6), 상기 화학식(4)(p=6) 및 상기 화학식(5)(q=6)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중합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 중의 하이드록시기 및 티올기의 몰수를 각각 A 및 B로 하고,
    상기(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티올기의 몰수를 C로 한 경우,
    100×A/(A+B+C)가 0.1% 이상 40% 이하인 중합성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이,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메르캅토에틸)설파이드,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및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피로갈롤, 에틸렌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디올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가 하기 화학식(6) 및/또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화학식 21]
    Figure 112007076460611-PCT00023
    상기 (B)가 상기 화학식(3)(m=6), 상기 화학식(4)(p=6) 및 상기 화학식(5)(q=6)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상기 (C)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폴리티올 화합물이,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적어도 1종이고,
    상기 (D) 1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하이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고 티올기를 1개 이상 갖는 (폴리)하이드록시(폴리)메르캅토 화합물이, 2-메르캅토에탄올인 중합성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킨 수지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킨 수지.
  9. 제8항에 기재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부품.
  10. 제9항에 기재된 광학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11. 제10항에 기재된 렌즈로 이루어지는 안경 렌즈.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의 광학 부품으로서의 사용.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킨 수지의 광학 부품으로서의 사용.
KR1020077024568A 2005-04-11 2006-04-10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KR100973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3653 2005-04-11
JPJP-P-2005-00113653 2005-04-11
JP2005262168 2005-09-09
JPJP-P-2005-00262168 2005-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15A true KR20080000615A (ko) 2008-01-02
KR100973858B1 KR100973858B1 (ko) 2010-08-03

Family

ID=3708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568A KR100973858B1 (ko) 2005-04-11 2006-04-10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222366B2 (ko)
EP (1) EP1878758B1 (ko)
JP (1) JP4758987B2 (ko)
KR (1) KR100973858B1 (ko)
CN (1) CN101155848B (ko)
AU (1) AU2006234477B2 (ko)
WO (1) WO200610976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88A1 (ko) * 2013-02-21 2014-08-28 케이에스랩(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KR20150024372A (ko) * 2015-02-04 2015-03-06 케이에스랩(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WO2016010342A1 (ko) * 2014-07-14 2016-01-21 케이에스랩(주) 광학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렌즈
KR20170023093A (ko) * 2014-08-07 2017-03-0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중합성 조성물, 성형체 및 그 용도
KR20180019682A (ko) * 2015-08-06 2018-02-26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KR101894921B1 (ko) * 2018-01-19 2018-09-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광학 렌즈용 폴리티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3521B (zh) * 2008-02-07 2016-01-20 三井化学株式会社 塑料透镜的制备方法
US8304507B2 (en) * 2008-06-30 2012-11-06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polythiourethane optical material, polythiourethane optical material obtained from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polymerization catalyst for polythiourethane optical material
CN103547608B (zh) 2011-06-23 2016-04-13 三井化学株式会社 聚合性组合物
TWI640549B (zh) 2012-04-23 2018-11-11 拜耳材料科學公司 耐光性聚胺基甲酸酯組成物
JP5747001B2 (ja) * 2012-06-12 2015-07-08 Hoya株式会社 ウレタン系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2801586B1 (de) * 2013-05-07 2016-04-13 Bruno Bock Chemische Fabrik GmbH & Co. KG Gießharz auf Polythiourethanbasis mit hoher Bruchfestigkeit und niedrigem spezifischen Gewicht
JP6127159B2 (ja) 2014-02-03 2017-05-10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CN108026241B (zh) 2015-09-16 2021-11-19 三井化学株式会社 成型体和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
CN108026240B (zh) 2015-09-16 2021-01-15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由该组合物得到的光学材料及塑料透镜
CN107573483B (zh) * 2016-07-04 2022-06-17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可固化为聚硫氨酯的组合物、聚硫氨酯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1991B2 (ja) 1988-12-22 1997-06-18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メルカプト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FR2649711B1 (fr) * 1989-07-13 1993-01-22 Essilor Int Compositions de polymeres a base de polythiourethanes pour la fabrication de verres organiques
JPH0768326B2 (ja) * 1989-10-09 1995-07-26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ウレタン系レンズ用樹脂の製造方法
JP3115371B2 (ja) * 1991-09-03 2000-12-04 ホーヤ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68326A (ja) * 1993-08-31 1995-03-14 Mitsubishi Alum Co Ltd しごき加工方法およびしごき加工機
US5608115A (en) 1994-01-26 1997-03-0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thiol useful for preparing sulfur-containing urethane-based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679756A (en) * 1995-12-22 1997-10-21 Optima Inc. Optical thermoplastic thiourethane-urethane copolymers
JPH09208651A (ja) * 1996-01-30 1997-08-12 Mitsui Toatsu Chem Inc 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て得られる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
US5908876A (en) * 1996-04-19 1999-06-01 Mitsui Chemicals, Inc. Optical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thiourethane prepolymer and use thereof
JPH1143527A (ja) 1997-07-29 1999-02-16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学材料用ウレタン樹脂
EP1138670B1 (en) * 2000-03-27 2005-05-25 Mitsui Chemicals, Inc. Polythiol, polymerizable composition, resin and le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iol compound
JP4692696B2 (ja) * 2000-09-08 2011-06-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
JP4702508B2 (ja) * 2001-07-18 2011-06-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の製造方法
JP4123503B2 (ja) 2001-09-21 2008-07-23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74588A1 (fr) * 2002-03-01 2003-09-12 Mitsui Chemicals, Inc. Composition polymerisable contenant un nouveau compose de soufre cyclique et resine obtenue apres durcissement de la composition polymerisable
KR20060016798A (ko) * 2003-06-09 2006-02-22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 화합물, 투명 성형체, 및 투명 성형체의 제조 방법
DE602004024307D1 (de) 2003-06-09 2010-01-07 Hoya Corp Transparenter formkörper
JP4393831B2 (ja) * 2003-09-22 2010-01-06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88A1 (ko) * 2013-02-21 2014-08-28 케이에스랩(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KR20140105075A (ko) * 2013-02-21 2014-09-01 케이에스랩(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WO2016010342A1 (ko) * 2014-07-14 2016-01-21 케이에스랩(주) 광학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렌즈
US10227442B2 (en) 2014-07-14 2019-03-12 Ks Laboratories Co., Ltd. Optical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lens using same
KR20170023093A (ko) * 2014-08-07 2017-03-0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중합성 조성물, 성형체 및 그 용도
KR20150024372A (ko) * 2015-02-04 2015-03-06 케이에스랩(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KR20180019682A (ko) * 2015-08-06 2018-02-26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KR101894921B1 (ko) * 2018-01-19 2018-09-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광학 렌즈용 폴리티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858B1 (ko) 2010-08-03
AU2006234477A1 (en) 2006-10-19
US8222366B2 (en) 2012-07-17
EP1878758B1 (en) 2013-06-05
US20090030170A1 (en) 2009-01-29
JP4758987B2 (ja) 2011-08-31
CN101155848B (zh) 2011-10-26
AU2006234477B2 (en) 2011-11-24
EP1878758A1 (en) 2008-01-16
EP1878758A4 (en) 2011-08-31
WO2006109765A1 (ja) 2006-10-19
JPWO2006109765A1 (ja) 2008-11-20
US8455610B2 (en) 2013-06-04
CN101155848A (zh) 2008-04-02
US20120277395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858B1 (ko)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JP4934039B2 (ja) ポリチオウレタン系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光学用樹脂
JP4473267B2 (ja) ポリウレタン系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学用樹脂の製造方法
US10066081B2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KR100994313B1 (ko) 폴리우레탄ㆍ티오우레탄계 광학용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77590B1 (ko) 광학 재료용 조성물
JP2006284920A (ja) 色相に優れた硫黄原子含有透明樹脂の製造方法
JP7454024B2 (ja) ポリチオール組成物及びその応用
KR20230051571A (ko) 폴리티올 조성물, 중합성 조성물, 수지, 성형체, 광학 재료 및 렌즈
JP4684427B2 (ja) 新規なポリチオール
JP4621146B2 (ja) ポリチオウレタン系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光学用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49065B2 (ja) 高屈折率プラスチックレンズ
KR102588224B1 (ko) 폴리티올 조성물, 중합성 조성물, 수지, 성형체, 광학 재료 및 렌즈
JP4417089B2 (ja) 高屈折率・高耐熱性透明樹脂用組成物
JP4377208B2 (ja) 高屈折率透明樹脂用組成物
CN114008098A (zh)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光学材料及光学材料的制造方法
JP2007186595A (ja) 光学樹脂用重合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用樹脂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