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665A -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665A
KR20070103665A KR1020060084966A KR20060084966A KR20070103665A KR 20070103665 A KR20070103665 A KR 20070103665A KR 1020060084966 A KR1020060084966 A KR 1020060084966A KR 20060084966 A KR20060084966 A KR 20060084966A KR 20070103665 A KR20070103665 A KR 2007010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hood
seat
movable hood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하시모토
켄지 히라하라
신이치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10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과제] 가동 후드의 다른 후드에 대향하는 개구단(開口端)에 연구를 거듭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를 잡을 때의 위화감을 회피할 수 있는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엄지 재치부(載置部)(1C)의 고정 후드(2)에 대향하는 개구단인 장대 꼬리측단(1c)은 릴 다리 삽입부(1B)의 고정 후드(2)에 대향하는 개구단인 장대 꼬리측단(1b)보다 장대 꼬리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고, 엄지 재치부(1C)로부터 릴 다리 삽입부(1B)에 걸친 개구 가장자리(b)는, 엄지 재치부(1C)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릴 다리 삽입부(1B)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서서히,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스피닝 릴, 릴 시트, 가동 후드, 개구단, 릴 다리 삽입부

Description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REEL SEAT FOR ATTACHING SPINNING REEL}
도 1은 릴 다리와 릴 시트를 함께 잡은 상태에서 낚시 조작을 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릴 시트의 릴 시트 장착부와는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릴 시트의 릴 시트 장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릴 시트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는 릴 시트의 종단 측면도를 도시하며, (a)는 가동 후드를 시트 베이스로부터 이간(離間)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가동 후드를 시트 베이스에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의 (a)는 가동 후드를 장대 꼬리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b)는 고정 후드 및 시트 베이스를 장대 선단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6은 너트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 후드 1B : 릴 다리 삽입부
1C : 엄지 재치부 2 : 타방의 후드
3 : 시트 베이스 3A : 가동 후드 장착좌
3F : 릴 다리 재치부 3G : 팽출 부분
7 : 너트 부재 7A : 암나사 부재
7B : 손잡이 조작부
본 발명은 가동 후드를 시트 베이스에 장착하는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동 후드에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180° 대각 위치에 릴 다리 삽입부와 엄지 재치부(載置部)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엄지 재치부의 상기 타방(他方)의 후드에 대향하는 일단(一端)과, 상기 릴 다리 삽입부의 상기 타방의 후드에 대향하는 개구단(開口端)을, 장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동 후드의 개구단이 형성되어 있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31567호 공보(도 1)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타방의 후드측으로부터 손바닥을 대고 릴 다리를 약지와 중지로 끼우는 상태로 릴 시트에 장착한 릴 다리를 장대와 함께 잡아 낚시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엄지가 정확히 가동 후드의 엄지 재치부의 일단에 걸리기 때문에, 낚시 조작을 길게 행하면 엄지가 강하게 압박되어 아프게 되는 등의, 장대를 잡는 손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후드의 다른 후드에 대향하는 개구단에 연구를 거듭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를 잡을 때의 위화감을 회피할 수 있는 릴 시트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두 개의 후드로 릴 다리를 유지하는 것과 함께 적어도 일방(一方)을 가동 후드로 구성하여 그 가동 후드를 타방의 후드에 대하여 장대 선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가동 후드에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180° 대각 위치에 릴 다리 삽입부와 엄지 재치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엄지 재치부의 상기 타방의 후드에 대향하는 일단을, 상기 릴 다리 삽입부의 상기 타방의 후드에 대향하는 개구단보다, 타방의 후드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릴 다리 삽입 부분의 개구단에 비하여 엄지 재치부의 일단을 장대 꼬리단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에 의하여, 엄지 재치부의 일단을 엄지의 기단부(基端部)측에 가까이 댈 수 있어, 이것에 의하여, 가동 후드에 닿는 엄지는, 엄지 재치부의 일단에 걸리는 일이 적어, 아픔을 느끼는 일은 적다.
게다가, 가동 후드의 릴 다리 삽입 부분의 개구단은 엄지 재치부의 일단정도, 타방의 후드측으로 돌출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가동 후드와 타방의 후드의 간격은 릴 다리를 유지하는데 충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가동 후드의 기능을 저하하는 일이 적다.
〔효과〕
릴의 유지 기능을 충분히 살리면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위화감을 적게 할 수 있어, 안정된 채비 회수 조작을 장기(長期)에 걸쳐 쾌적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후드를 장착하고 있는 시트 베이스에 있어서의 릴 다리 재치부와는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직경 방향의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는 팽출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릴 시트를 잡는 손의 손바닥은, 릴 시트에 있어서의 릴 다리 재치부와는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닿는다. 그리고 이 손바닥이 닿는 부분이, 직경 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여 위치하는 팽출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의 손바닥이 그 팽출부에 걸려 멈추어져 장대 축선 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려워, 낚싯대를 잡는 손이 안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장대를 유지하거나 채비 회수 조작을 하는 것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베이스에 가동 후드 장착좌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가동 후드 장착좌에 장착된 상기 가동 후드의 엄지 재치부의 단면(端面)과, 상기 시트 베이스 의 상기 팽출 부분의 단면을 밀착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엄지 재치부의 외주면(外周面)과 상기 팽출 부분의 외주면을, 상기 밀착 접촉하는 상태에서 단차가 없는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상기 가동 후드의 엄지 재치부의 단면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상기 팽출 부분의 단면을 밀착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손의 손바닥 부분이 이 경계면에 닿아도, 단차를 느끼는 일이 적어, 위화감 없이 릴 시트를 잡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엄지 재치부의 외주면과 상기 팽출 부분의 외주면이 단차가 없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 다리의 사이즈에 의하여, 상기 밀착해야 할 부분에 간극(間隙)이 생긴 경우에도, 단차를 느끼는 일 없이 잡는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잡은 경우의 위화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후드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축선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너트 부재를, 상기 가동 후드에 연결되는 암나사 부재와 이 암나사 부재를 시트 베이스의 축심 둘레에서 회전 구동시키는 손잡이 조작부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너트 부재를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암나사를 구비한 부분과 그 암나사를 구비한 부분을 구동하는 조작부를 별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암나사 부재에 있어서는, 나사부를 구성하는 것만으로 강도가 있는 부재로 구성할 수 있고, 손잡이 조작부에 있어서는, 잡기 쉬운 재료 등 각각의 기능에 따른 부재를 선택할 수 있어, 거기에 따른 제작 가공도 채용할 수 있다.
게다가, 암나사 부재에는 가동 후드와의 연결 구조를 필요로 하는 점으로부터, 이와 같은 특별한 구조를 암나사 부재만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어, 제작 상의 용이함을 향수(享受)할 수 있다.
<실시예>
낚싯대의 릴 시트(A)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후드(1)와 타방의 후드로서의 고정 후드(2)와, 양 후드(1, 2)를 장비(裝備)하는 시트 베이스(3)를 구비하여 릴 시트(A)를 구성한다. 릴 시트(A)의 장대 꼬리측에는 리어 그립(4)이 설치되어 있고, 낚싯대의 손잡이측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베이스(3)의 장대 꼬리측 부분에 고정 후드(2)를 일체 형성하는 것과 함께, 시트 베이스(3)의 장대 선단측에 가동 후드 장착좌(3A)를 형성하여, 가동 후드(1)를 장착한다.
릴 시트(A)의 장착 구조를 상세히 서술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소재(5)의 소정 위치에, 시트 베이스(3)보다 축심 길이가 긴 베이스 파이프(6)를 외측에서 감합(嵌合) 장착하는 것과 함께, 베이스 파이프(6)의 축선 방향의 양단이 나오는 상태로 그 베이스 파이프(6)의 중간부에 시트 베이스(3)를 외측에서 감합 장착한다. 시트 베이스(3)에 장착된 가동 후드(1)의 장대 선단측에 가동 후드(1)를 이동시키는 너트 부재(7)를 설치한다. 너트 부재(7)는, 시트 베이스(3)에 형성한 수나사부(3B)에 나사 감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통상(筒狀)의 암 나사 부재(7A)와 그 암나사 부재(7A)에 외측에서 감합 고정되는 손잡이 조작부(7B)로 구성되어 있다.
장대 소재(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한 방향으로 혼합한 것에, 에폭시(epoxy)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시트상(狀)의 프리프레그(prepreg)를 형성한다. 이 시트상의 프리프레그를 복수매 맨드릴(mandrel)에 권회(卷回, 돌려 감음)하고, 성형 테이프로 피복한 후에 소성(燒成)하여, 소성 후 성형 테이프를 벗기고, 연마 행정을 거쳐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장대 소재(5)를 형성한다.
시트 베이스(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측에 소경상(小徑狀) 부분(3C)를 배치하고, 장대 꼬리측에 대경상(大徑狀) 부분(3D)을 배치하며, 축심 위치에 장대 소재(5)와 베이스 파이프(6)를 관통시키는 관통공(3E)이 형성되어 있다. 소경상 부분(3C)에는, 상기한 수나사부(3B)가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부(3B)는, 소경상 부분(3C)의 외주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200도에 걸치는 범위로 깎아 설치되어 있으며, 양 횡측면(橫側面)에는 상기 수나사부(3B)를 절단하는 상태로, 축선(X)에 평행한 가이드 홈(3a, 3a)이 형성되어 있다.
소경상 부분(3C)에 형성된 수나사부(3B)와 대경상 부분(3D)의 사이에는, 가동 후드(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후드 장착좌(3A)를 형성하고, 가동 후드 장착좌(3A)는, 수나사부(3B)의 외경(外徑)과 대략 같은 외경을 나타내는 받침면(3b)과, 대경상 부분(3D)과의 경계벽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단차상(段差狀) 받침면(3c)과, 경계벽의 상단(上端)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 후드(1)의 밀착 접촉면(3d)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3B)를 형성한 면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고정 후드(2)까지 달하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고, 평탄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심 위치에 원호상(圓弧狀)의 작은 돌기가 있으며, 이 돌기로 릴 다리(8)를 배치하는 릴 다리 재치부(3F)를 형성하고 있다. 릴 다리 재치부(3F)의 장대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상의 오목부(3e)는, 릴 다리(8)의 배치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상 부분(3D)에 있어서의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릴 다리 재치부(3F)와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팽출 부분(3G)은, 원호상의 단면을 유지하면서, 장대 꼬리단 부분으로부터 릴 다리 재치부(3F)의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서서히 외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보다 가동 후드 장착좌(3A)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볼록하게 튀어나온 양을 줄이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릴 다리 재치부(3F)의 반대측이 가장 볼록하게 튀어나온 양이 많은 부분(a)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즉 릴 다리 재치부(3F)에 릴을 장착하여, 낚시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다리(8)를 손가락으로 잡은 경우에, 손의 손바닥 부분이 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a)에 접촉하기 때문에, 손이 미끄러지기 어렵고, 채비 회수를 좋게 장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상 부분(3D)의 양 횡측면(3f, 3f)은, 원호상의 단면의 일부를 깎아낸 벽면으로 되어 있고, 양 횡측면(3f, 3f)의 간격을, 원호상 단면의 경우보다 작게 되도록 하고 있다. 양 횡측면(3f, 3f)은, 장대 축심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도, 장대 선단측 부분과 장대 꼬리측 부분의 중간 위치를 향하여 서서히 오목하게 들어가고, 양 횡측면(3f, 3f)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되는 부분(c)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경상 부분(3D)의 양 횡측면(3f, 3f) 사이의 간격이 작게 되어 있고, 게다가, 장대 선단측 부분과 장대 꼬리측 부분의 중간 위치를 향하여 서서히 오목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바꾸어 잡기 쉬워, 그 상태도 안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팽출 부분(3G)의 볼록하게 튀어나온 구조와의 협력 작용에 의하여, 릴과 낚싯대를 함께 잡을 때의 잡는 상태가 안정되어, 낚시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시트 베이스(3)는, 폴리아미드 수지(PA6)를 재료로 하여 성형되는 것이지만, PET 등의 다른 엔지니어링 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경량의 알루미늄, 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동 후드(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측의 선단에 테두리부(1a)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테두리부(1a)에 인접하여 너트 부재(7, 후술)와의 계합(係合)용의 환상(環狀) 홈(1A)이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1a)에 인접하여 릴 다리(8)를 삽입하고 누름 고정하는 릴 다리 삽 입부(1B)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릴 다리 삽입부(1B)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두께가 두꺼운 엄지 재치부(1C)가 형성되어 있다.
엄지 재치부(1C)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시트(3)를 잡는 손가락의 엄지가 놓이는 부분이 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엄지 재치부(1C)의 고정 후드(2)에 대향하는 일단인 장대 꼬리측단(1c)은 릴 다리 삽입부(1B)의 고정 후드(2)에 대향하는 개구단인 장대 꼬리측단(1b)보다 장대 꼬리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엄지 재치부(1C)로부터 릴 다리 삽입부(1B)에 걸친 개구 가장자리(b)는, 엄지 재치부(1C)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릴 다리 삽입부(1B)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서서히,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엄지 재치부(1C)를 시트 베이스(3)의 대경상 부분(3D)에 충분히 근접시킬 수 있으면서, 릴 다리 삽입부(1B)를 고정 후드(2)와의 필요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가동 후드(1)의 내주면(內周面)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면 위치에는, 서로 축선(X)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 줄기(1D, 1D)를 설치하여, 가동 후드(1)를 시트 베이스(3)의 가동 후드 장착좌(3A)에 장착한 상태에서, 시트 베이스(3)에 형성한 축선(X)에 평행한 가이드 홈(3a, 3a)에 걸리게 하여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가동 후드(1)가 너트 부재(7, 후술)의 구동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후드(1)를 시트 베이스(3)의 가동 후드 장착좌(3A)에 장착한 상태에서 엄지 재치부(1C)의 장대 꼬리단이 시트 베이스(3)의 대경상 부분(3D)의 장대 선단측 단면에 접촉하여, 엄지 재치부(1C)의 외주면과 대경상 부분(3D)의 외주면이 단차가 없는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여 잡는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4개의 손가락은 릴 다리(8)에 감도록 하여 잡지만, 엄지는 엄지 재치부(1C)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 재치부(1C)가 대경상 부분(3D)에 충분히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의 손바닥이 엄지 재치부(1C)와 대경상 부분(3D)의 접속 부위에 걸리지 않게 되어, 낚싯대를 유지할 때에 엄지에 아픔을 느끼기 어렵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동 후드(1)는, 폴리아미드 수지(PA6)를 재료로 하여 성형되는 것이지만, PET 등의 다른 엔지니어링 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경량의 알루미늄, 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암나사 부재(7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7A)는, 장대 꼬리단측의 대경 계합부(7a), 대경 계합부(7a)의 장대 선단측에 중경부(7b), 나아가 장대 선단측에 소경부(7c)를 설치한다. 대경 계합부(7a)의 내주면측에는, 가동 후드(1)와의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계합부 구조는, 장대 꼬리단에 내향의 돌출부(7d)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돌출부(7d)의 장대 선단측에 돌출부(7d)의 내경(內徑)보다 대경의 요입부(凹入部, 7e)를 형성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경부(7b)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7f) 가 형성되고, 암나사부(7f)는 시트 베이스(3)의 수나사부(3B)에 나사 감합하는 사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경부(7b) 및 소경부(7c)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 줄기(7g)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 줄기(7g)는, 축선(X)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의 8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 줄기(7g)의 형성에 의하여, 손잡이 조작부(7B)를 암나사 부재(7A)에 외측에서 감합 장착한 경우에, 손잡이 조작부(7B)의 내주면이 돌출 줄기(7g)에 압접되어, 양자의 연결을 강고하게 행할 수 있다.
장대 꼬리단측의 대경 계합부(7a)에 대해서는, 보강 구조로서 물림쇠(7h)가 씌워져 있다. 또한, 암나사 부재(7A)에 외측에서 감합 장착하는 손잡이 조작부(7B)의 장대 꼬리단과 물림쇠(7h)의 사이에는, 패킹재(11)가 개재(介在)되어, 씰(seal) 기능 등을 발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7A)와 가동 후드(1)를 연결하려면, 물림쇠(7h)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완만한 감합 상태로 물림쇠(7h)를 장착한 상태에서, 암나사 부재(7A)의 돌출부(7d)를 약간 무리하게 넓히는 상태로 가동 후드(1)의 장대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1a)를 지나게 하여 환상 홈(1A)에 계합할 때까지 밀어 넣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7d)가 환상 홈(1A)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가동 후드(1)의 테두리부(1a)가 암나사 부재(7A)의 요입부(7e)에 위치하여, 암나사 부재(7A)의 돌출부(7d)가 가동 후드(1)의 테두리부(1a)에 의하여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결 후에, 물림쇠(7h)의 부분을 코킹(caulking)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 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암나사 부재(7A)의 돌출부(7d)가 가동 후드(1)의 환상 홈(1A)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가동 후드(1)의 테두리부(1a)가 암나사 부재(7A)의 요입부(7e)에 위치하는 구성에 의하여, 암나사 부재(7A)가 축선(X) 둘레에서 회전하여도 가동 후드(1)는 회전하지 않고, 또한, 암나사 부재(7A)가 축선(X) 방향으로 이동하면, 암나사 부재(7A)의 돌출부(7d)가 가동 후드(1)의 테두리부(1a) 등에 계합하여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암나사 부재(7A)는, 폴리아미드 수지(PA6)를 재료로 하여 성형되는 것이지만, PET 등의 다른 엔지니어링 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경량의 알루미늄, 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7A)에 외측에서 감합 장착하는 손잡이 조작부(7B)는, 장대 꼬리측에 암나사 부재(7A)의 중경부(7b)에 외측에서 감합 장착되는 대경 감합면(7j)과, 장대 선단측에 암나사 부재(7A)의 소경부(7c)에 제1 빠짐 방지 부재(9)의 통상부(9A)를 개재시켜 외측에서 감합 장착되는 소경 감합면(7k)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 4개의 부재(1, 3, 7A, 7B)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외의 부재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7A)의 소경부(7c)의 외주면과 손잡이 조작부(7B)의 내주면의 사이에, 통상의 제1 빠짐 방지 부재(9)를 개재시키고 있다. 제1 빠짐 방지 부재(9)는, 암나사 부재(7A)의 소경부(7c)의 외주면과 손잡이 조작부(7B)의 내주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통 상부(9A)와, 손잡이 조작부(7B)의 장대 선단에 접촉하는 테두리부(9B)로 구성되고, 상기한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수지나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된다.
제1 빠짐 방지 부재(9)의 한층 더 장대 선단측에는, 제2 빠짐 방지 부재(10)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빠짐 방지 부재(10)는, 암나사 부재(7A)의 소경부(7c)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베이스 파이프(6)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대경 통상부(10A)와, 그 대경 통상부(10A)보다 장대 선단측에 위치하고 대경 통상부(10A)보다 소경으로 장대 소재(5)의 외주면에 외측에서 감합되는 소경 통상부(10B)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1) 타방의 후드로서 고정 후드(2)를 채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가동 후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2) 청구항 1에 기재한, 상기 가동 후드에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180° 대각 위치에 릴 다리 삽입부와 엄지 재치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엄지 재치부의 상기 타방의 후드에 대향하는 일단을, 상기 릴 다리 삽입부의 상기 타방의 후드에 대향하는 개구단보다, 타방의 후드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하는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에 있어서는, 릴 다리 삽입부의 개구단으로부터 엄지 재치부의 개구단에 걸쳐 서서히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구성을 제시하였지만, 서서히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것, 혹은, 중간 위치에서부터 급격하게 감소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 후드를 장착하고 있는 시트 베이스에 있 어서의 릴 다리 재치부와는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직경 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팽출부인 점을 기재하고 있지만, 반드시, 팽출부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엄지 재치부의 외주면과 상기 팽출 부분의 외주면을, 상기 밀착 접촉하는 상태에서 단차가 없는 상태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는 점을 기재하고 있지만, 반드시, 단차가 없는 상태일 필요는 없고, 어느 정도의 단차부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5) 너트 부재(7)를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가동 후드의 다른 후드에 대향하는 개구단에 연구를 거듭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를 잡을 때의 위화감을 회피할 수 있는 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두 개의 후드로 릴 다리를 유지하는 것과 함께 적어도 일방(一方)을 가동 후드로 구성하여 상기 가동 후드를 타방(他方)의 후드에 대하여 장대 선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가동 후드에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180° 대각 위치에 릴 다리 삽입부와 엄지 재치부(載置部)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엄지 재치부의 상기 타방의 후드에 대향하는 일단(一端)을, 상기 릴 다리 삽입부의 상기 타방의 후드에 대향하는 개구단(開口端)보다, 타방의 후드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후드를 장착하고 있는 시트 베이스에 있어서의 릴 다리 재치부와는 장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직경 방향의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는 팽출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베이스에 가동 후드 장착좌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가동 후드 장착좌에 장착된 상기 가동 후드의 엄지 재치부의 단면(端面)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상기 팽출 부분의 단면을 밀착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엄지 재치부의 외주면(外周面)과 상기 팽출 부분의 외주면을, 상기 밀착 접촉하는 상태에서 단차가 없는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후드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축선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너트 부재를, 상기 가동 후드에 연결되는 암나사 부재와 상기 암나사 부재를 시트 베이스의 축심 둘레에서 회전 구동시키는 손잡이 조작부로 구성하고 있는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KR1020060084966A 2006-04-19 2006-09-05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KR20070103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5892 2006-04-19
JP2006115892A JP4812009B2 (ja) 2006-04-19 2006-04-19 スピニングリール取付用のリール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65A true KR20070103665A (ko) 2007-10-24

Family

ID=3875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966A KR20070103665A (ko) 2006-04-19 2006-09-05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12009B2 (ko)
KR (1) KR20070103665A (ko)
CN (1) CN101057570B (ko)
TW (1) TW2007403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532229T3 (en) * 2007-07-12 2017-12-04 Robert Selfors Handle for fishing rod
KR101466540B1 (ko)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WO2015037470A1 (ja) * 2013-09-10 2015-03-19 富士工業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KR101508880B1 (ko) * 2013-09-10 2015-04-0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608230B2 (ja) * 2015-09-29 2019-11-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シート及び当該魚釣用リールシートを備える釣竿
JP6691842B2 (ja) * 2016-07-01 2020-05-13 株式会社シマノ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JP7133503B2 (ja) 2019-03-26 2022-09-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固定装置
JP7395440B2 (ja) * 2020-07-28 2023-12-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971U (ja) * 1981-08-25 1983-03-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握柄
JPH0715414Y2 (ja) * 1988-11-07 1995-04-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US5115591A (en) * 1990-04-23 1992-05-26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2597385Y2 (ja) * 1992-08-07 1999-07-05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3160267B2 (ja) * 1996-08-09 2001-04-25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係止構造
JP2001061381A (ja) * 1999-08-27 2001-03-13 Fuji Kogyo Co Ltd 可動フード
JP4106261B2 (ja) * 2002-12-20 2008-06-25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2009B2 (ja) 2011-11-09
TW200740367A (en) 2007-11-01
TWI361662B (ko) 2012-04-11
JP2007282596A (ja) 2007-11-01
CN101057570B (zh) 2012-11-21
CN101057570A (zh)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3665A (ko)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JP2008220213A (ja) 釣り竿
JP5506161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CN109310074B (zh) 渔轮座、钓竿以及渔轮座的下构件
JP6839879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JP6796895B1 (ja) リールシート用パームレスト、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CN115867132A (zh) 卷线器座
KR101480288B1 (ko)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KR100947812B1 (ko) 릴 시트
JP2009219409A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7376449B2 (ja) リールシート
JP4507253B2 (ja) 釣り竿
JP2009232746A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4022284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それを装着した釣り竿
JP2013146216A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に用いるフードユニット
JP5898504B2 (ja) リールシート
JP5817979B2 (ja) リールシート並びにこれに用いるフード及び操作ナット
JP4252906B2 (ja) 釣竿
JP7395440B2 (ja) リールシート
JP7094735B2 (ja) リールシート
JP2003116422A (ja) リールシート
US20220030842A1 (en) Reel seat
JP2002171873A (ja) リールシート
KR20240028913A (ko) 낚싯대
JP2002171875A (ja) リール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