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288B1 -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0288B1 KR101480288B1 KR20080095821A KR20080095821A KR101480288B1 KR 101480288 B1 KR101480288 B1 KR 101480288B1 KR 20080095821 A KR20080095821 A KR 20080095821A KR 20080095821 A KR20080095821 A KR 20080095821A KR 101480288 B1 KR101480288 B1 KR 101480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reel
- seat
- pole
- seat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425 Pain in extrem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5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후드부의 구성에 연구를 더하는 것에 의하여, 손이 압박감을 받기 어렵고, 장시간의 사용에도 아프기 어렵게 되는 릴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손잡이대(3)의 소정 개소에 장착되는 시트 보디(10)에, 스피닝 릴(5)의 다리부(5A)를 보지하는 후드부(7, 8)를 구비한다. 후드부(7, 8)의 가장자리부의 외주면과 시트 보디(10)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고 있다.
릴 시트, 커버체, 스피닝 릴, 후드부, 시트 보디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대의 소정 개소에 장착되는 시트 보디에, 릴의 다리부를 보지(保持)하는 후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통상(筒狀) 릴 시트 및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릴 시트로서는, 장대의 소정 개소에 장착된 시트 보디로서의 릴 시트(공보 내 번호:2)에 후드부로서의 이동 후드(공보 내 번호:3)와 후드부로서의 고정 후드(공보 내 번호:5)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시트 보디에 형성한 나사부(공보 내 번호:2a)에 너트(공보 내 번호:4)를 나착(螺着)하여, 너트를 나사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동 후드를 릴 시트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공보 실개평7-61호 (단락〔0008〕, 도 1)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이동 후드 및 고정 후드 모두, 릴 다리를 수납하는 대경(大徑) 팽출부(膨出部)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대경 팽출부의 큰 직경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대경 팽출 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 시트 보디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보디의 외주면(外周面)과 대경 팽출부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큰 단차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제의 낚시 조작 시에 있어서, 릴 다리부와 릴 시트를 함께 잡는 경우에는, 손가락이 이 단차부에 걸리게 되어, 손이 압박감을 받아 장시간의 사용으로 아프게 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부의 구성에 연구를 더하는 것에 의하여, 손이 압박감을 받기 어렵고, 장시간의 사용에도 아프게 되기 어려운 릴 시트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통상의 시트 보디와, 상기 시트 보디의 장대 초리 쪽 단부에 형성된 다리 취부부와, 상기 다리 취부부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피착되는 전 커버체와, 상기 시트 보디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장착되는 후 커버체와, 상기 후 커버체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장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트체와, 상기 너트체와 상기 슬리브와 상기 후커버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는, 상기 너트체의 회전에 의하여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 커버체와 상기 다리 취부부로 고정 측의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다리 누름체와 상기 후 커버체로 가동 측의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 측 및 가동 측의 후드부의 가장자리부의 외주면과 상기 시트 보디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또는 적은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통상의 시트 보디와, 상기 시트 보디의 장대 초리 쪽 단부에 형성된 다리 취부부와, 상기 다리 취부부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피착되는 전 커버체와, 상기 시트 보디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장착되는 후 커버체와, 상기 후 커버체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장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트체와, 상기 너트체와 상기 슬리브와 상기 후커버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는, 상기 너트체의 회전에 의하여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 커버체와 상기 다리 취부부로 고정 측의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다리 누름체와 상기 후 커버체로 가동 측의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 측 및 가동 측의 후드부의 가장자리부의 외주면과 상기 시트 보디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또는 적은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상기 후드부의 가장자리부의 외주면과 상기 시트 보디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또는 적은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릴 다리부와 릴 시트를 함께 잡는 경우에, 손가락이 이 접속 부위에 걸리게 되어도 단차를 느끼는 것이 적어, 손이 위화감이나 압박감을 느끼는 것은 없고, 또한, 장시간의 사용에도 아프게 되는 것은 적다.
〔효과〕
장시간의 낚시에도, 쾌적하게 조작을 계속할 수 있는 릴 시트를 제공할 수 있었다.
〔구성〕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를, 상기 시트 보디에 요입(凹入) 형성한 취부용의 좌면(座面)과, 그 좌면에 피감(被嵌, 씌우도록 끼움)되는 커버체로 구성하고, 상기 커버체를 상기 취부용의 좌면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의 가장자리부의 외주면과 상기 시트 보디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또는 적은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상기 커버체의 외주면과 상기 시트 보디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또는 적은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기 위해서, 시트 보디에 요입 형상의 취부용의 좌면을 설치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체의 두께 와 요입부의 깊이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취부좌에 커버체를 취부한 상태에서, 양자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또는 적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릴 다리부와 릴 시트를 함께 잡는 경우에, 손가락이 이 접속 부위에 걸리게 되어도 단차를 느끼는 것이 적어, 손이 위화감이나 압박감을 느끼는 것도 적고, 또한, 장시간의 사용에도 아프게 되는 것은 적다.
〔구성〕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리 누름체는, 장대 초리 쪽에 배치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장대 손잡이 쪽에 배치된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의 좌우 양 측부에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의 상면은 상기 후 커버체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리 누름체는, 장대 초리 쪽에 배치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장대 손잡이 쪽에 배치된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의 좌우 양 측부에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의 상면은 상기 후 커버체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상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인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릴 다리부와 릴 시트를 함께 잡는 경우에, 손이 위화감이나 압박감을 느끼는 것이 없고, 또한, 장시간의 사용에도 아프게 되는 것은 적기 때문에, 낚싯대의 조작도 경쾌하게 행할 수 있고, 채비의 투입, 감아 올림 조작을 경쾌하게 행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던질 장대(A)에 대해 설명한다. 던질 장대(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가이드(1A), 2번 가이드로부터 6번 가이드까지의 5개의 낚싯줄 가이드(1B)를 구비한 1번 장대(1)와, 7번 가이드(2A)를 구비한 2번 장대(2)와, 스피닝 릴(5)을 취부 고정한 통상 릴 시트(4)와 장대 손잡이단에 쥠부(6)를 구비한 장대로서의 손잡이대(3)를 이음식으로 연결해 구성하고 있다.
쥠부(6)는, 손잡이대(3)의 직경보다 대경으로 형성하여, 채비를 던질 때에 쥠부(6)를 잡는 손이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쥠부(6)의 외주면은 원형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무방하지만, 타원상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가로 폭이 상하 폭보다 넓은 타원형으로 형성하면, 잡는 손에 힘을 주기 쉽고, 멀리 던지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통상 릴 시트(4)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릴 시트(4)는, 통상의 시트 보디(10), 전후 두 개의 커버체(11, 12), 후 커버체(12)의 내부에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13), 후 커버체(12)의 장대 손잡이 쪽에 슬리브(14), 슬리브(14)의 장대 손잡이 쪽에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13)를 구동 이동시키도록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너트체(15), 너트체(15)의 장대 손잡이 쪽에 스토퍼체(16), 스토퍼체(16)의 후단과 전 커버체(11)의 전단에 장식 링(1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상의 시트 보디(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시트 보디(10)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장대 초리단의 개구(開口)와 장대 손잡이단의 개구에 달하는 관통 구멍(10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0A)의 내주면 측에는,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 8개소에 관통 구멍(10A)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돌조(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10a)의 기능은 손잡이대(3)의 외주면에 통상의 시트 보디(10)를 밀착 상태로 외측에서 감합(嵌合)시키기 위한 것이고, 여러 가지의 외경(外徑)을 가지는 손잡이대(3)여도, 돌조(10a)의 선단부가 휨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내주면을 적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손잡이 대(3)의 외경이 한층 더 대경의 것이면, 돌조(10a)의 내면을 연삭(硏削)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대경화를 도모하고, 대경의 손잡이대(3)와의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조(10a)를 가지고 있지 않은 종래 구성의 경우에는, 손잡이대(3)에 적합시키기 위해서, 줄을 밀착 감기로 감아 손잡이대(3)의 외경을 외관상 크게 해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내주면과의 적합성을 도모하고 있었지만, 작업성의 나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외경을 가지는 손잡이대(3)에 대해서 폭넓게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어, 통상 릴 시트(4)를 단독으로 판매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손잡이대(3)의 외경에 대한 적합성이 높기 때문에, 손잡이대(3)의 장대 손잡이로부터 장대 초리 쪽의 임의의 간격 위치에 통상 릴 시트(4)를 위치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낚시꾼의 취향에 대응한 설치 형태를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다.
도 3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초리 쪽 단부에는, 스피닝 릴(5)의 릴 다리(5A)의 장대 초리 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전 다리부(5a)를 덮어 누름 작용하는 후드부를 구성하는 다리 취부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 취부부(10B)는,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외방(外方)으로 팽출하는 팽출부(10b)를 입설(立設)하는 것과 함께, 팽출부(10b)의 내부에 전 다리부(5a)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팽출부(10b)는, 스피닝 릴(5)의 전 다리부(5a)를 오목부 내에 수납했을 때에 전 다리부(5a)에 밀착해 누름 고정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누름 상태를 강고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통상의 시트 보디(10)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성형된다.
종래, 이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것은, 수지제의 쿠션재로서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구성되고, 릴의 다리부를 누름 지지하고 있던 금속제의 가동 후드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가동 후드의 내주면에 취부하는 작업이 번잡하고 또한 사용이 장기에 걸치면 벗겨지기 쉬워지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쿠션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을 시트 보디의 일부로서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종래의 결점이 해소되어 있다.
전 커버체(11)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 릴(5)의 전 다리부(5a)를 수납하는 다리 취부부(10B)에, 장대 초리 개구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을 따라 전 다리부(5a)를 수납하는 오목부의 입구 근처에 달하는 범위에서, 외주를 작게 하는 얕은 깎음 부분(10c)을 설치하고 있다. 이 깎음 부분(10c)은 전 다리부(5a)를 수납하는 오목부의 입구 부근에 있어서 단차 부분(10d)을 형성하고 있다.
전 커버체(11)는, 다리 취부부(10B)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피착(被着)되는 것이지만, 상기한 얕은 깎음 부분(10c)을 완전히 덮는 통상체로 형성되고,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얕은 깎음 부분(10c)에 피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부분(10d)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얇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 재료로서는, 스 테인레스, 티탄, 알루미늄 등이 채용된다. 다만, 금속 이외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치한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이외에 열경화성 수지의 에폭시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경량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 얕은 깎음 부분(10c)을, 전 커버체(11)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용의 좌면(座面)이라고 칭한다.
통상의 전 커버체(11)는, 도 3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단 쪽이 소경(小徑)이고 팽출부(10b)를 덮는 부분이 대경으로 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얕은 깎음 부분(10c)에 피착한 상태로, 상기 단차 부분(10d)에 끼어 들어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외주면과 전 커버체(11)의 외주면의 사이에 단차가 없는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스피닝 릴(5)의 전 다리부(5a)를 취부하는 다리 취부부(10B)에 있어서의 외주면을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낚시 조작 시에, 손잡이대(3)와 스피닝 릴(5)을 함께 잡는 낚시꾼의 검지손가락 등이 다리 취부부(10B)에 걸리게 되지만, 그 부분이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화감이 적고 낚시꾼의 손가락이 아프게 되지 않아, 잡기 쉬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리 취부부(10B)에 있어서의 팽출부(10b)는, 쿠션성을 갖게 한 부분이지만, 이 다리 취부부(10B)에 금속제의 전 커버체(11)을 피착하는 것에 의하여 보강할 수 있고, 전 다리부(5a)를 수납한 취부 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전 커버체(11)와 다리 취부부(10B)로 고정 측의 후드부(7)를 구성한다. 이 후드부(7)가 보지하는 대상으로 되는 릴로서는, 스피닝 릴 이외에 양베어링 릴이어도 무방하다.
장식 링(17)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식 링(17)은 전 커버체(11)의 장대 초리단에 취부되는 것이고,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초리단, 장대 손잡이단의 단부 처리를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다.
즉, 종래,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초리단, 장대 손잡이단에 있어서는, 손잡이대(3)의 외주면과 시트 보디(10)의 장대 초리단 등의 개구 가장자리의 사이에 내외 직경의 상위(相違)에 의하여 반경 방향으로 간극(間隙)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대(3)의 외주면에 취부용의 줄을 감아 그 간극을 메우고 감은 줄과 시트 보디(10)의 단부에 걸쳐 수지 도료를 발라 굳히는 작업 형태를 채택하고 있었다. 그렇게 하면, 줄을 감는 작업과 수지 도료를 도포하는 작업이 상당히 시간이 드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 링(17)을 전 커버체(11)의 장대 초리단의 개구 가장자리에 취부하는 것에 의하여, 줄을 감는 작업이나 수지 도포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장식 링(17)의 내경(內徑)을 손잡이대(3)의 외경에 적합한 것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대(3)의 외주면과 시트 보디(10)의 장대 초리단 등의 개구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3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식 링(17)은, 외주면에 대경부(17a)와 소경부(17b)를 가지고 있고, 소경부(17b)를 전 커버체(11)의 장대 초리 개구단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상태로 장착하며, 대경부(17a)와 소경부(17b)의 단차 부분을 전 커버체(11)의 장대 초리단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시켜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대경부(17a)는 전 커버체(11)의 외주면과 단차 없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동일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장식 링(17)은 전 커버체(11)에 접착 고정된다.
다음으로, 후 커버체(12) 등을 취부하는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구조로서, 상기한 다리 취부부(10B)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릴 다리 취부면을 포함하는 중간 취부부(10C)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후 커버체(12)의 장착 위치로부터 장대 손잡이단까지 중간 취부부(10C)보다 소경의 장대 손잡이단부(10D)를 형성하고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취부부(10C)로부터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걸쳐 릴 다리 부착면의 좌우 중심 위치에, 단면이 약간 원호상(圓弧狀)으로 불룩하게 올라와 있는 원호상 받아들임면(10e)을, 축선 방향을 따른 상태로, 또한, 스피닝 릴(5)의 전 다리부(5a) 및 후 다리부(5b)의 저면(底面)을 받아들이는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단면이 원호상으로 불룩하게 올라와 있는 원호상 받아들임면(10e)의 좌우 양단 위치에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고, 릴 다리(5A)의 좌우 양단 및 다리 누름체(13)의 양단 다리부(13C)를 받아들일 수 있는 평탄 받아들임면(10f)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탄 받아들임면(10f)도 원호상 받아들 임면(10e)과 마찬가지로, 장대 손잡이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단지, 평탄 받아들임면(10f)의 중간 취부부(10C)에 있어서의 부분(10g)의 좌우 폭은 일정한 것은 아니다. 우선, 릴(5)의 전 다리부(5a)를 수납하는 오목부의 가로 폭에 대응한 넓은 부분으로부터, 일단 장대 손잡이단 쪽으로 향하여 좁은 폭으로 되는 것과 함께 좁은 폭의 중간부부터 장대 손잡이단 쪽으로 향하여 넓은 폭의 것으로 된다.
평탄 받아들임면(10f)에 있어서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대응한 부분(10h)에 있어서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고, 장대 초리 쪽의 부분이 넓은 폭의 직사각형 부분이며, 장대 손잡이 쪽의 부분이 좁은 폭의 직사각형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통상의 시트 보디(10)에 있어서의 중간 취부부(10C)와 장대 손잡이단부(10D)의 외주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취부부(10C)에 있어서의 평탄 받아들임면(10f) 및 원호상 받아들임면(10e) 이외의 외주 부분(10j)은,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관통 구멍(10A)에 있어서의 축선 X를 중심으로 한 반경 R2의 원호를 나타낸다.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장대 초리 쪽 반분(半分)에 있어서의 평탄 받아들임면(10f) 및 원호상 받아들임면(10e) 이외의 외주 부분(10k)은, 세 개의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고, 좌우의 두 개의 부분은, 반경이 상기한 중간 취부부(10C)의 외주 부분(10j)의 반경 R2에 비해 몇배나 큰 대략 직선에 가까운 대경의 좌우 원호면(10m)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대경의 좌우 원호면(10m)에 끼인 하향 원호면(10n)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관통 구멍(10A) 의 반경과 거의 같은 반경에 의한 원호상을 나타내지만,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관통 구멍(10A)에 있어서의 축선 X 위치 보다 약간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축심 Y를 중심으로 한 반경 R3에 의한 원호를 나타낸다.
도 12 ~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취부부(10C)에 있어서의 외주 부분(10j)과,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외주 부분(10k)과의 사이에는, 원호면의 중심이 간격 α만큼 다른 심 어긋남이 생기고 있고, 그것에 의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취부부(10C)와 장대 손잡이단부(10D)의 경계면에는 단차(10p)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심 어긋남에 의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취부부(10C)의 하면(下面) 부분의 두께와 장대 손잡이단부(10D)의 하면 부분의 두께는 장대 손잡이단부 쪽의 편이 얇아져 있다.
이 점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에는, 스토퍼체(16)를 취부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장대 손잡이단의 외주면(10q)은, 관통 구멍(10A)의 축선 X를 중심으로 하여,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외주 부분(10k)의 반경 R3보다 약간 소경 R4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면(10q)에는, 상반분(上半分)의 좌우에 두 개의 돌기(10r)가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체(16)를 빠짐 방지 고정하는 돌기(10r)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통상의 시트 보디(10)에 대하여, 후 커버체(12), 슬리브(14), 너트체(15), 스토퍼체(16)를 장착한다. 우선, 후 커버체(12) 의 취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 커버체(12)는, 얇은 두께의 통상체이며, 단면 형상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반(下半) 부분(12A)이 원호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상방은, 반경이 하반 부분(12A)의 반경의 몇배로 큰 대략 직선상의 부분(12B)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 직선상 부분(12B)의 상방에는, 하반 부분(12A)의 반경보다 크고 직선상 부분(12B)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상단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후 커버체(12)를,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장착하고, 그 후 커버체(12)의 전단을, 이 장대 손잡이단부(10D)와 중간 취부부(10C)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10p)에 당접시켜 위치 결정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후 커버체(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반 부분(12A)을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의 하향 원호면(10n)에 밀착하는 상태로, 또한, 대략 직선상 부분(12B)을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의 좌우 원호면(10m)에 밀착하는 상태로 취부되어 있고, 대략 직선상 부분(12B)의 상반분과 상단부(12C)는 평탄 받아들임면(10f)과 원호상 받아들임면(10e)으로부터 떨어진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후 커버체(12)는, 시트 보디(10)의 비원형 상태를 나타내는 중간 취부부(10C)에 밀착하는 상태로 취부되므로, 시트 보디(10)의 둘레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후 커버체(12)의 상단부(12C) 및 대략 직선상 부분(12B)의 상반분과,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평탄 받아들임면(10f)과 원호상 받아들임면(10e)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다리 누름체(13)가 삽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 커버체(12)를 장착하는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하향 원호면(10n)은, 관통 구멍(10A)의 축심 X보다 릴 다리 취부부 측에 편위(偏位)한 축심 Y를 중심으로 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A)은 축심 X를 중심으로 한 원호면을 나타내고, 하향 원호면(10n)은 축심 Y를 중심으로 한 원호면을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관통 구멍(10A)과 하향 원호면(10n)의 사이에 형성되는 두께는, 축심 X를 중심으로 하여 하향 원호면(10n)을 형성한 경우에 비해 얇아져 있다.
이와 같이 하향 원호면(10n)을 편심한 축심 Y를 중심으로 한 원호면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후 커버체(12)에 있어서도 축심 Y를 중심으로 하여 하반 부분(12A)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 누름체(13)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하반 부분(12A)의 상방에 직선상 부분(12B)과 상단부(12C)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 누름체(13)를 수납하기 위해서, 직선상 부분(12B)과 상단부(12C)가 도시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어도, 중간 취부부(10C)의 하반 부분을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하반 부분(12A)의 형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후 커버체(12)의 구조를 컴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이 부분에 손가락을 돌려 릴 다리(5A)와 릴 시트(4)를 함께 잡는 낚시꾼에게 있어서 잡기 쉽고, 또한, 이 얇은 부분의 형상도 임의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는 후 커버체(12)를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장착한 상태로, 후 커버체(12)의 장대 초리 쪽 단은 중간 취부부(10C)와 장대 손잡이단부(10D)의 접속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10p)에 당접하여, 후 커버체(12)의 외주면을 중간 취부부(10C)의 외주 부분(10j)과 단차 없이 연속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후 커버체(12)는,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장착되는 것인데, 이 장대 손잡이단부(10D)는, 중간 취부부(10C)로부터 일단(一段) 잘라냄 가공한 부분이며, 후 커버체(12)의 취부 좌면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 커버체(12)는, 그 취부 좌면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피착된 상태로, 취부 좌면을 완전히 덮는 통상체로 형성되고, 그 취부 좌면에 피착된 상태로 상기 단차(10p)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얇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 재료로서는, 스테인레스, 티탄, 알루미늄 등이 채용된다. 다만, 금속 이외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치한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이외에 열경화성 수지의 에폭시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경량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종래,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릴 다리의 전후 다리부를 수납 고정하는 가동 후드를 너트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형태를 채택하고 있던 구성에 있어서는, 수나사부를 형성한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외주면은, 관통 구멍(10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께가 두꺼워지고, 그 때문에 가동 후드의 하반 부분도 대경의 것으로 되어, 결과적으로 가동 후드는 대형의 것으로 되어 있었다.
여기서, 관통 구멍(10A)의 축심 X를 중심으로 하여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릴 취부면 부분과는 180° 반대 측에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부분에 외측에서 감합되는 후 커버체(12)도 편심한 축심 Y를 기준으로 하여 릴 취부면 측에 편위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릴 다리(5A)의 취부 위치를 관통 구멍(10A)의 축심 X에 대해서 편심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실제의 낚시 시에 있어서는, 릴 시트(4)의 하방(下方)에 배치되는 릴(5)의 취부 위치가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낚싯대(A)로서의 중심이 내려가 안정된다.
또, 이와 같이 릴 시트(4)가 릴 취부부 측에 약간 편위한 상태로 되므로, 오히려, 타원상의 것을 잡는 감각에 가까운 것으로 된다. 즉, 통상의 릴 시트가 아니고, 손잡이대의 외주 방향에 있어서의 하향의 면에만 판상(板狀)의 릴 시트를 취부하고, 그 판상의 릴 시트에 릴을 취부하여, 릴 시트와 릴 다리를 함께 잡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쥠 감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판상의 릴 시트가 손잡이대의 외주면의 하향 위상으로만 취부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대의 다른 외주면보다 약간 판상의 릴 시트가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완전한 원형의 릴 시트를 잡는 경우에 비해 비원형 부분이 저항으로 되어 릴 시트를 잡는 손이 미끄러지기 어렵고, 채비를 던지는 던질 낚시 조작에 적합한 릴 시트로 할 수 있었다.
상기한 후 커버체(12)의 장대 손잡이단 쪽에는, 슬리브(14)가 장착된다. 도 4부터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14)는, 통상체이기는 하지만, 후 커버체(12)와의 장대 초리 쪽의 접속단(14A)은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하는 개구로 되어 있다. 그 개구에 직교하는 상태로 슬리브(14)의 축선이 설정되고, 그 축선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리브(14)의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4)의 장대 손잡이 쪽의 접속단(14B)은 상하 방향 자세의 개구로 되어 있다. 장대 초리 쪽의 접속단(14A)에는 상단 부분에 장대 초리 쪽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14b)를 설치하고 있고, 슬리브(14)를 후 커버체(12)의 장대 손잡이 쪽에 장착했을 때에, 테두리부(14b)가 후 커버체(12)의 장대 손잡이단 쪽 개구단에 들어가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1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통 구멍(14a)은,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외측에서 감합하도록, 장대 손잡이 쪽의 접속단(14B)의 개구에 직교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삽통 구멍(14a)은, 슬리브(14)의 축선과는 교차하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슬리브(14)의 두께는, 장대 초리 쪽의 접속단(14A)에 있어서는, 상단 측이 두껍고 하단 측이 얇다. 반대로 장대 손잡이 쪽의 접속단(14B)에 있어서는, 상단 측이 얇고 하단 측이 두꺼운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슬리브(14)는, 외측의 통상체의 방향은 비스듬한 상향이지만,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통 구멍(14a)은, 수평 방향으로 삽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슬리브(14)를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외측에서 감합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14b)가 후 커버체(12)의 장대 손잡이단 쪽 개구로부터 내부로 들어가고, 후 커버체(12)의 장대 손잡이단이 테두리부(14b)를 덮어 슬리브(14)의 장대 초리 쪽의 접속단에 당접하여 양자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소정 위치에 장착된 슬리브(14)는, 후 커버체(12)의 장대 손잡이단과 단차 없이 연결되는 상태로 취부되어 있어, 릴 시트(4)를 잡는 낚시꾼에게, 위화감이나 손의 아픔을 주는 것은 없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14)를 취부한 상태로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중간 취부부(10C)보다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고, 릴 시트(4)와 릴 다리(5A)를 함께 잡는 낚시꾼의 손에 슬리브(14)의 외면의 돌출부(14c)가 당접하여 빠짐 방지 기능을 발휘하여, 낚싯대(A)가 강하게 당겨져도 손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너트체(15)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부터 도 6 및 도 8,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체(15)는 대략 원통상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내주면에 암나사부(15A)를 형성하고 있다. 장대 초리 쪽, 및, 장대 손잡이 쪽의 개구부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잘린 원호상 모서리부(15a)를 형성하고, 둥그스름함을 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의 스플라인부(15B)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인위적으로 너트체(15)를 회전 조작할 때의 미끄럼 방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체(15)와 슬리브(14)와 후 커버 체(12)의 내부 공간에는 다리 누름체(13)가 삽입되고, 다리 누름체(13)로 스피닝 릴(5)의 후 다리부(5b)를 누름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리 누름체(13)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 도 6, 도 8 및 도 10, 도 18 ~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 누름체(13)는, 장대 초리 쪽에 배치된 머리부(13A)와, 머리부(13A)의 장대 손잡이 쪽에 배치된 나사부(13B)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13A)는, 대략 아치상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원호상의 외주면(13a)을 후 커버체(12)의 내주면에 접접(摺接, 미끄러지는 상태로 접함)시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13A)의 내주면 측에는 대략 아치상의 천정면(13b)과 좌우의 종벽면(縱壁面, 13c)으로 둘러싸인 요입 공간(13d)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요입 공간(13d) 내에 스피닝 릴(5) 등의 후 다리부(5b)를 삽입하여 누름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나사부(13B)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부(13B)는, 머리부(13A)에 비해 얇고 또한 대략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며, 그 직사각형상의 상면에 수나사(13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13e)가 너트체(15)의 암나사부(15A)에 교합하고, 너트체(15)의 회전에 의하여, 다리 누름체(13)가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13A)에 형성된 요입 공간(13d)의 장대 손잡이단으로부터 나사부(13B) 내의 저면부에 이르는 상태로, 상향으로 요입하는 원호 단면의 요입로(13f)가 형성되어 있고, 통상 시트 보디(10)에 형성된 원호상 받아들임면(10e)에 요입로(13f)가 상방으로부터 당접하여,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어긋남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13A)에 있어서의 종벽면(13c)을 구비하고 있는 부분은 머리부(13A)를 지지하는 다리부(13C)로 되어 있고, 이 다리부(13C)의 저면이 통상 시트 보디(10)의 평탄 받아들임면(10f)에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물건을 올리는 것)되어, 다리 누름체(13)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 다리 누름체(13)와 그 다리 누름체(13)를 피복하여 가이드하는 후 커버체(12)로 후드부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머리부(13A)의 좌우 양 측부에 다리부(13C)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머리부(13A)의 상면은 후 커버체(12)의 내주면에 접접하고 있으므로, 다리 누름체(13)의 슬라이드 이동을 흔들림 없어 행할 수 있고, 너트체(15)의 흔들림도 적어 회전 조작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종래는, 다리 누름체(13)는, 릴의 다리부를 삽입해 누르도록, 아치상의 후드를 구비한 통상의 가동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동체가 통상 시트 보디(10)에 형성한 나사부에 나합한 너트체와 함께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릴 다리부를 취부하는 상태와 고정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있었다.
릴 다리를 고정하는 상태에서는, 나사부에 나합한 너트체에 의하여 받아들이기 위해서, 나사부는 나사 피치가 크고, 강도가 높은 각나사 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가동체와 너트체의 릴 다리부를 누르는 상태와 퇴피하는 상태의 사이의 전환을 우선하는 것으로부터, 가동체가 흔들리기 쉽고, 릴 다리를 지지하는 자세가 안정되지 않았다.
스토퍼체(16)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 도 6 및 도 21 ~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체(15)의 한층 더 장대 손잡이 쪽에 스토퍼체(16)는 위치한다. 스토퍼체(16)는, 대략 통상의 것이며, 장대 초리 쪽 개구단(16A)이 대경으로, 장대 손잡이 쪽 개구단(6B)이 소경으로 형성되고, 도 22에 있어서, 상단 부분이 두꺼운 두께로, 하단 부분이 얇은 두께로 서서히 변화하는 두께로 구성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체(16)의 외형 형상은, 도면 상 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방 측의 면에 있어서는, 장대 손잡이 쪽으로 서서히 직경이 축소하는 완경사면(16a)과, 완경사면(16a)의 한층 더 장대 손잡이 쪽에 급경사면(16b)을 구비하고, 도면 상 축선을 사이에 두고 하방 측의 면에 있어서는, 장대 초리단으로부터 장대 손잡이단에 걸쳐 서서히 직경이 축소하는 완경사면(16a)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21 ~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체(16)의 내부 공간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 구멍(16C)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16C)에 있어서의 장대 초리단 쪽에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10s)에 외측에서 감합하는 감합 구멍(16c)과, 감합 구멍(16c)보다 소경인 위치 결정 구멍(16d)을 형성하고 있다. 감합 구멍(16c)에 있어서의 장대 초리단 쪽 개구단에는, 내향으로 돌출하는 돌조(16e)가 상반분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이 돌조(16e)를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10s)에 나합한다.
즉, 도 11, 도 1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10s)에는,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외주 부분(10k)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10q)과 그 외 주위면(10q)보다 장대 손잡이단 쪽에 위치하는 돌기(10r)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조(16e)를 외주면(10q)에 당접하도록 또한 돌기(10r)의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도록 끼워 넣어 감합하여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스토퍼체(16)를 소정 상태로 취부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체(16)가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감합 고정된 상태로, 그 외주면은 너트체(15)의 외주면과 매끄럽게 연결되어, 릴 시트(4)와 릴을 함께 잡는 손에 위화감을 주지 않고, 손을 압박하는 것이 없다.
구체적으로, 이 스토퍼체(16)를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감합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우선, 도 23에 도시하는, 스토퍼체(16)의 돌조(16e)를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10s)의 돌기(10r)가 존재하지 않는 위상으로 되는 자세로 설정하여, 스토퍼체(16)를 씌우고, 그 돌조(16e)가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의 소경 외주면(10q)과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외주 부분(10k)과의 경계 부위에 형성된 단차 부분에 당접할 때까지 축선 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돌조(16e)가 소경 외주면(10q)에 이르면, 스토퍼체(16)를 원주 방향으로 180° 반전시켜, 돌조(16e)가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장대 손잡이단부(10D)에 있어서의 돌기(10r)의 장대 초리 쪽에 들어가는 상태로 하여, 돌조(16e)와 돌기(10r)를 압접시켜 스토퍼체(16)의 시트 보디(10)에 대한 취부 상태를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너트체(15)는, 슬리브(14)와 스토퍼체(16)에 끼워져,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원 주 방향으로 회전만 가능하다. 한편,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다리 누름체(13)이며, 다리 누름체(13)는, 후 커버체(12), 너트체(15)의 내부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체(15)에 형성된 암나사부(15A)와 다리 누름체(13)의 수나사부(13e)는 겉으로는 나와 있지는 않다.
종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시트 보디(10)에 원주 방향 전체 둘레에걸쳐 나사부를 각설(刻設)하고, 이 나사부에 너트를 나합시키며, 릴 다리를 보지하는 가동 후드를 시트 보디의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부에 나합한 너트를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너트와 함께 가동 후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릴 다리를 보지하는 상태와 릴 다리로부터 이간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사부의 길이를 가동 후드가 이동할 수 있는 만큼의 충분한 길이로 하기 위해서, 그 나사부의 부분이 가동 후드 및 너트로부터 크게 비어져 나와 표출하게 되어, 그 나사부에 릴 다리와 릴 시트를 함께 잡는 손이 접촉하여, 손에 위화감을 주어 손을 아프게 할 우려가 있었다.
또, 너트에 손이 닿는 것으로부터, 채비를 투입할 때 등에 장대를 흔드는 것과 동시에 너트를 푸는 조작을 하는 것으로부터 너트가 낚시 조작의 도중에 느슨해짐을 일으키거나, 너트를 가동 후드와 함께 이동시킬 필요로부터, 너트와 나사부의 교합 상태는 비교적 헐겁게 설치되어 있어, 너트가 나사부에 나합한 상태여도, 다소 너트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나사부(15A, 13e)가 표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나사부(15A, 13e)에 릴 다리(5A)와 릴 시트(4)를 함께 잡는 손이 접촉하는 것은 없고, 위화감이 적으며, 손이 아프게 되는 것이 없다. 너트체(15)는 통상의 시트 보디(10)의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으므로, 너트체(15)가 느슨해짐을 일으키는 일은 없고, 덜걱거림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스토퍼체(16)의 한층 더 장대 손잡이 쪽에는, 장식 링(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장식 링(17)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서술한다.
도 2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식 링(17)은, 외주면에 대경부(17a)와 소경부(17b)를 가지고 있고, 소경부(17b)를 스토퍼체(16)의 장대 손잡이 개구단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상태로 장착되며, 대경부(17a)와 소경부(17b)의 단차 부분을 스토퍼체(16)의 장대 손잡이단에 당접시켜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대경부(17a)는 스토퍼체(16)의 외주면과 단차가 없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동일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장식 링(17)은 스토퍼체(16)에 접착 고정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후드부를 형성하는데, 커버체(11, 12)를 이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시트 보디(10)의 후드부 형성 부위를 팽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만으로도 무방하다.
(2) 일방의 후드부(7)를 고정 측의 후드부, 타방의 후드부(8)를 가동 측의 후드부로 했지만, 양방의 후드부(7, 8)를 가동 측의 후드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3) 상기 릴 시트(4)를 적용하는 낚싯대(A)로서는, 상기한 던질 장대 뿐만이 아니라, 갯바위 낚시용 장대, 배 낚시용 장대 등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던질 장대를 도시하는 조립 전의 측면도.
도 2는 릴 시트에 릴을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릴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릴 시트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릴 시트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6은 릴 시트에 릴을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6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도.
도 10(a) 가동 측의 후드부에서 릴 다리를 보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 가동 측의 후드부에서 릴 다리를 보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1은 시트 보디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시트 보디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있어서의 XV-XV선 단면도.
도 16은 슬리브의 측면도.
도 17은 슬리브의 전면도.
도 18은 다리 누름체의 평면도.
도 19는 다리 누름체의 측면도.
도 20은 다리 누름체의 종단 정면도.
도 21은 스토퍼체의 종단 측면도.
도 22는 도 21에 있어서의 XXII-XXII선 단면도.
도 23은 스토퍼체를 시트 보디의 장대 손잡이단에 취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의 부호의 설명>
3: 손잡이대(장대)
5: 스피닝 릴(릴)
7, 8: 후드부
10: 통상의 시트 보디
10c: 깎음 부분(취부용의 좌면)
11, 12: 커버체
Claims (4)
- 통상의 시트 보디와,상기 시트 보디의 장대 초리 쪽 단부에 형성된 다리 취부부와,상기 다리 취부부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피착되는 전 커버체와,상기 시트 보디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장착되는 후 커버체와,상기 후 커버체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장착되는 슬리브와,상기 슬리브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트체와,상기 너트체와 상기 슬리브와 상기 후커버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와,를 포함하고,상기 가동식의 다리 누름체는, 상기 너트체의 회전에 의하여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상기 전 커버체와 상기 다리 취부부로 고정 측의 후드부를 구성하고,상기 다리 누름체와 상기 후 커버체로 가동 측의 후드부를 구성하고,상기 고정 측 및 가동 측의 후드부의 가장자리부의 외주면과 상기 시트 보디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또는 적은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고 있는,통상 릴 시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후드부를, 상기 시트 보디에 요입(凹入) 형성한 취부용의 좌면과, 그 좌면에 피감(被嵌)되는 커버체로 구성하고, 상기 커버체를 상기 취부용의 좌면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의 가장자리부의 외주면과 상기 시트 보디의 외주면의 접속 부위를 단차가 없는,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하고 있는 통상 릴 시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리 누름체는, 장대 초리 쪽에 배치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장대 손잡이 쪽에 배치된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고,상기 머리부의 좌우 양 측부에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머리부의 상면은 상기 후 커버체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는,통상 릴 시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상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0066526 | 2008-03-14 | ||
JP2008066526A JP5455316B2 (ja) | 2008-03-14 | 2008-03-14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8649A KR20090098649A (ko) | 2009-09-17 |
KR101480288B1 true KR101480288B1 (ko) | 2015-01-09 |
Family
ID=4110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95821A KR101480288B1 (ko) | 2008-03-14 | 2008-09-30 |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455316B2 (ko) |
KR (1) | KR101480288B1 (ko) |
CN (1) | CN101530069B (ko) |
TW (1) | TW20093995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61833B2 (en) | 2009-04-10 | 2017-05-30 | Ben Huang | Multi-layered grip |
JP6215598B2 (ja) * | 2013-07-03 | 2017-10-18 | 株式会社シマノ |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
US20170112113A1 (en) * | 2015-07-14 | 2017-04-27 | Ben Huang | Modular fishing pol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
US10653124B2 (en) | 2017-05-03 | 2020-05-19 | Winn Incorporated | Ree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CN113207825B (zh) * | 2021-04-30 | 2022-03-15 | 北京邮电大学 | 一种鱼竿用导环的自动化安装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2861U (ko) * | 1990-05-22 | 1992-01-31 | ||
JP2000041541A (ja) | 1998-05-29 | 2000-02-15 | Daiwa Seiko Inc | リ―ル装着式釣竿 |
JP2008029297A (ja) * | 2006-07-31 | 2008-02-14 | Daiwa Seiko Inc | リール脚固定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7672U (ja) * | 1983-07-28 | 1985-02-25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釣竿用パイプシ−ト |
JPH0216624Y2 (ko) * | 1985-02-06 | 1990-05-08 | ||
JPH0729822Y2 (ja) * | 1988-09-22 | 1995-07-12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釣 竿 |
JP2516023Y2 (ja) * | 1990-07-20 | 1996-11-06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竿 |
JP4767438B2 (ja) * | 2001-06-07 | 2011-09-07 | 株式会社シマノ | 釣竿 |
JP4498761B2 (ja) * | 2004-01-27 | 2010-07-07 | 株式会社シマノ | 釣竿 |
-
2008
- 2008-03-14 JP JP2008066526A patent/JP5455316B2/ja active Active
- 2008-09-12 TW TW097135195A patent/TW200939951A/zh unknown
- 2008-09-27 CN CN2008101498108A patent/CN101530069B/zh active Active
- 2008-09-30 KR KR20080095821A patent/KR1014802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2861U (ko) * | 1990-05-22 | 1992-01-31 | ||
JP2000041541A (ja) | 1998-05-29 | 2000-02-15 | Daiwa Seiko Inc | リ―ル装着式釣竿 |
JP2008029297A (ja) * | 2006-07-31 | 2008-02-14 | Daiwa Seiko Inc | リール脚固定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530069B (zh) | 2013-03-20 |
JP5455316B2 (ja) | 2014-03-26 |
JP2009219408A (ja) | 2009-10-01 |
TW200939951A (en) | 2009-10-01 |
CN101530069A (zh) | 2009-09-16 |
KR20090098649A (ko) | 2009-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18841A (en) | Finishing trowel including handle | |
KR101480288B1 (ko) |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 |
JP5506161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KR101475667B1 (ko) |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 |
JP7376442B2 (ja) | リールシート | |
US20160198689A1 (en) | 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 |
JP4812009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取付用のリールシート | |
JP5219192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JP7376449B2 (ja) | リールシート | |
JP5376556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JP4037159B2 (ja) | リールシート | |
JP5084037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JP5219193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JP4022284B2 (ja) | リールシート及びそれを装着した釣り竿 | |
JP5455319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JP5455317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US5875581A (en) | Reel seat | |
JPH0729823Y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 | |
JP7395440B2 (ja) | リールシート | |
JP3884124B2 (ja) | リールシート及びそれを装着した釣り竿 | |
JP2001275524A (ja) |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 |
JP2009247272A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 |
KR20090105790A (ko) |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 |
JP2001275526A (ja) |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 |
GB2316035A (en) | Finishing trowel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