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387A -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387A
KR20070102387A KR1020070019620A KR20070019620A KR20070102387A KR 20070102387 A KR20070102387 A KR 20070102387A KR 1020070019620 A KR1020070019620 A KR 1020070019620A KR 20070019620 A KR20070019620 A KR 20070019620A KR 20070102387 A KR20070102387 A KR 2007010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osture
plate unit
cable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703B1 (ko
Inventor
아키히코 우타키
마사아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07010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9/00Chain, staple, and horseshoe making
    • Y10S59/90Plastic

Abstract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는 케이블류의 직선자세 유지시와 굴곡자세 규제시에 생기기 쉬운 측판유닛의 접촉충격음을 분산 억제하여 소음저감할 수 있고, 측판유닛이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를 제공한다.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110)이,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에 연결되는 측판전방부(111)와,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에 연결되는 측판후방부(112)와, 상기 측판전방부(111)와 측판후방부 (112)와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개재하는 굴곡 자유로운 이음새부(113)로 구성되고,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111)에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와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를 구비하고,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112)에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i)와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i)를 구비하고 있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도 1은 본 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전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직선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굴곡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판유닛(Side plate unit)의 바깥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판유닛의 안쪽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측판유닛의 직선자세 유지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와 그 일부 확대도.
도 7은 측판유닛의 굴곡자세 규제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와 그 일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110 : 측판유닛
111 : 측판전방부(Side plate front portion)
111a : 측판전방부의 제 1 맞닿음 단면(First abutment end surface)
111b : 측판전방부의 제 2 맞닿음 단면
111c : 측판전방부의 제 3 맞닿음 단면
111d : 측판전방부의 제 4 맞닿음 단면
111e : 측판전방부의 제 5 맞닿음 단면
111f : 측판전방부의 제 6 맞닿음 단면
112 : 측판후방부
112a : 측판후방부의 제 1 맞닿음 단면
112b : 측판후방부의 제 2 맞닿음 단면
112c : 측판후방부의 제 3 맞닿음 단면
112d : 측판후방부의 제 4 맞닿음 단면
112e : 측판후방부의 제 5 맞닿음 단면
112f : 측판후방부의 제 6 맞닿음 단면
113 : 이음새부(Coupling portion)
114a : 굴곡 바깥둘레측의 제 1 걸어맞춤 돌기
114b : 굴곡 안둘레측의 제 2 걸어맞춤 돌기
114c : 제 3 걸어맞춤 돌기
115a : 굴곡 바깥둘레측의 제 1 피걸어맞춤구멍
115b : 굴곡 안둘레측의 제 2 피걸어맞춤구멍
115c : 제 3 피걸어맞춤구멍
116 : 끼워만듦용 축구멍(Fitting enagement hole)
117 : 설편지지부(Tongue piece supporting portion)
118 : 굴곡 안둘레측의 스토퍼부재
118a : 제 1 스토퍼면
119 : 굴곡 바깥둘레측의 스토퍼부재
120 : 연결판
130 : 부착브래킷(Mount bracket)
C : 케이블류
So, Si, Sm : 요철 걸어맞춤기구
Xo :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Yo :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
Xi :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Yi :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
α :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의 최대 확개각도
본 발명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산업용 기계의 가동부재에 전력이나 압축공기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케이블류를 수용함과 함께, 가동부의 이동중에 있어서도 케이블류를 안전하게 또한 확실히 안내 보호하는데 적합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측판의 하부에 서로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을 가진 다수의 체인단위부재와 각 체인 단위부재의 상부 개구를 덮는 폐쇄부재와 인접하는 체인단위부재에서의 지지판 서로를 길이방향에 연결하는 탄성연결부재로 구성하고, 체인단위부재를 서로 굴곡시키면서 수용된 제어신호 전달수단을 만곡시켜 안내하는 케이블 체인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9-177902호(제 1 페이지, 도 5)
그런데, 이러한 케이블 체인은, 체인단위부재내에 수용된 제어신호 전달수단을 차례차례 이동시키면서 안내하는 경우, 서로 굴곡시킨 체인단위부재를 직선연결상태로 차례차례 복귀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그 때에, 서로 굴곡하는 체인단위부재의 측벽끼리가 그 단면에서 전체면 접촉하고, 그 접촉에 기인하는 마모 손상이나 충격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는 케이블류를 이행시킬 때의 직선자세유지시와 굴곡자세규제시에 생기기 쉬운 측판유닛의 접촉충격음을 분산 억제하여 소음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측판유닛의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을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것과 함께 상기 측판유닛의 굴곡 안둘레측 및 굴곡 바깥둘레측에 각각 연결판을 소정간격으로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옆걸기하고, 상기 측판유닛 및 연결판으로 둘러싸이는 케이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를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이, 선행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전방부와 후속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후방부와 상기 측판전방부와 측판후방부와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개재하는 굴곡이 자유로운 이음새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에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와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에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와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그리고,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가, 상기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보다 빠른 자세유지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더 달성한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상기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보다 빠른 자세규제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더 달성한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상기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보다 큰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더 달성한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적어도 탄성변형 가능한 스토퍼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더 달성한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토퍼부재가, 선행하여 맞닿는 제 1 스토퍼면과 상기 제 1 스토퍼면보다 늦게 맞닿는 제 2 스토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더 달성한다.
본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측판유닛의 적어도 이음새부 및 스토퍼부재가,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Polybutylen terephthalate)에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고무성분을 배합시킨 내피로성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더 달성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을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것과 함께 이 측판유닛의 굴곡 안둘레측 및 굴곡 바깥둘레측에 각각 연결판을 소정간격으로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옆걸기하고, 측판유닛 및 연결판으로 둘러싸이는 케이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를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있어서, 측판유닛이, 선행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전방부와 후속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후 방부와 상기 측판전방부와 측판후방부와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개재하는 굴곡이 자유로운 이음새부로 구성되고, 이음새부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에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와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이음새부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에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와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는 케이블류를 이행시킬 때의 직선자세 유지시와 굴곡자세 규제시에 생기기 쉬운 측판유닛의 접촉충격음을 분산 억제하여 소음저감을 도모하는 것과 함께, 측판유닛이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떠한 것이라도 아무런 상관없다.
우선,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서 이용하는 측판유닛, 연결판 등의 소재에 대해서는, 굴곡 동작시에 발생하기 쉬운 굴곡 변형에 견디어 케이블 유지형태가 뛰어난 치수 안정성을 발휘하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아크릴, 폴리아세탈 등의 공업용 플라스틱 수지 (Engineering plastic resin)이면 좋지만, 특히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성분을 배합시킨 내피로성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에 배합된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성분이 내충격성에 강한 유연성을 가미하기 때문에, 반복굴곡에 대한 뛰어난 내피로성을 보다 한층 발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서 이용하는 연결판은, 측판유닛 의 굴곡 안둘레측 및 굴곡 바깥둘레측에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옆걸기하고 있지만, 길이방향에 다수 연결되는 측판유닛마다, 혹은, 간헐적으로 옆걸기해도 아무런 지장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를 도 1 내지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전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직선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굴곡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판유닛의 바깥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판유닛의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측판유닛의 직선자세 유지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와 그 일부 확대도이고, 도 7은, 측판유닛의 굴곡자세 규제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와 그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장치, 약품개발 시험장치, 차량용 도어개폐장치 등의 가동부와 정지부를 접속하고, 전기신호의 전달이나 공급을 실시하는 전기케이블이나 압력액체나 압력기체를 공급하는 호스와 같은 케이블류(C)를 보호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상술한 정지부와 가동부를 접속하기 위해서 긴 자형상으로 다수 연결되고, 가동부와 정지부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원격이동상황에 따라 직선자세, 혹은, 굴곡자세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110,110)이, 상술한 정지부에 부착되는 부착고정단(F)으로부터 가동부에 장착되는 부착이동단(M)을 향하여 케이블 길이방향에 다수 연결되는 것과 함께, 이러한 측판유닛(110,110)의 굴곡 안둘레측 및 굴곡 바깥둘레측에 각각 연결판(120)이 다수 연결되는 측판유닛(110,110)의 1개 건너의 배치간격으로 옆걸기되어 이루어지고,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110,110)과 연결판(120,120)으로 둘러싸여 직사각형형상 단면을 나타내는 케이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C)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에서는, 연결판(120)을, 다수 연결되는 측판유닛(110,110)에 대해서 1개 건너의 배치간격으로 옆걸기시키고 있지만, 예를 들면, 다수 연결되는 측판유닛(110,110)의 각각 1대 1로 대응시켜 옆걸기시켜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고정단(F)에 근접하는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110,110)에 각각 좌우 한 쌍의 부착브래킷(130,130)이 자유롭게 착탈하도록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부착이동단(M)에 근접하는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110,110)에 각각 좌우 한 쌍의 부착브래킷(130,130)이 자유롭게 착탈하도록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측판유닛(110,11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간 배치하는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110,110)은 폴리아미드수지에 고무성분을 배합시킨 내피로성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성형 가공되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판유닛(110)은,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에 연결되는 측판전방부 (111)와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에 연결되는 측판후방부(112)와, 이러한 측판전방부(111)와 측판후방부(112)와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개재하는 굴곡이 자유로운 이음새부(113)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피로성 수지의 폴리아미드수지-고무배합재로 이루어지는 이음새부 (113)가 반복하여 굴곡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반복굴곡에 대한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하는 것과 함께, 측판전방부(111)와 측판후방부(112)가 굴곡동작시에 발생하기 쉬운 굴곡변형을 이음새부(113)에 집중 전화시켜 흡수시키기 때문에, 케이블 유지형태가 뛰어난 안정성을 발휘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측판유닛(도시하지 않음)의 측판후방부와 이 측판후방부에 후속하여 연결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전방부(111)와의 사이에는, 서로 걸어맞춤하는 굴곡 바깥둘레측의 요철 걸어맞춤기구 (So)와 굴곡 안둘레측의 요철 걸어맞춤기구(Si)와 이음새부(113)의 근방에 채용한 요철 걸어맞춤기구(Sm)가 각각 설치되어, 이러한 요철 걸어맞춤기구(So,Si,Sm)를 통하여 인접하는 측판유닛(110,110)이 서로 자유롭게 착탈하도록되어 있고, 측판유닛(110,110)의 잘라 이어맞춤에 있어서의 보수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굴곡 바깥둘레측에 채용한 요철 걸어맞춤기구(So)는, 각형의 제 1 걸어맞춤 돌기(114a)와 이 제 1 걸어맞춤 돌기(114a)에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걸어맞춤하는 수직 구멍 형상의(Recess-shaped) 제 1 피걸어맞춤구멍(115a)으 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 굴곡 안둘레측에 채용한 요철 걸어맞춤기구(Si)는, 갈고리형상의 걸어맞춤훅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걸어맞춤 돌기(114b)와 이 제 2 걸어맞춤 돌기(114b)를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걸어맞춤하는 수직 구멍 형상의 제 2 피걸어맞춤구멍(1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측판유닛(110)의 이음새부(113)의 근방에 채용한 요철 걸어맞춤기구 (Sm)는, 원기둥형상의 걸어맞춤핀으로 이루어지는 제 3 걸어맞춤 돌기(114c)와 이 걸어맞춤 돌기(114c)를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걸어맞춤하는 보조개 형상의(Dimple-shaped) 제 3 피걸어맞춤구멍(115c)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있어서의 부호 116은, 상술한 연결판(120)을 측판유닛(110)에 부착하기 위한 끼워만듦용 축구멍이며, 부호 117은, 측판유닛(110)에 부착된 연결판(120)을 안정된 수평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설편지지부(Tongue piece supporting portion)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111)에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와 상술한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112)에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Xi)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인접하는 측판유닛(110,110)끼리의 접촉위치가 이음새부(113)를 끼운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二分)되고, 또한, 상술한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111)에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 (Yo)와 상술한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112)에 안둘레측 굴 곡자세규제기구(Yi)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이행할 때에, 인접하는 측판유닛(110,110)끼리의 접촉위치가 이음새부(113)를 끼운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되기 때문에, 굴곡자세 규제상태, 혹은 직선자세 유지상태중의 어느 쪽으로 이행하는 경우이더라도, 인접하는 측판유닛(110,110)끼리 발생하기 쉬운 접촉 충격력을 분산하여 소음저감을 달성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의 실선은, 선행하는 측판유닛 (110)을 나타내고, 가상선은,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인접하는 측판유닛끼리(110,110)이 접촉할 때의 충격력이 되는 누름압력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는,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의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에 위치하는 측판전방부(111)에 성형된 제 4 맞닿음 단면(111d)와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전방부(111)에 성형된 제 1 맞닿음 단면(111a)과의 사이, 및,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의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에 위치하는 측판전방부(111)에 단차(Stepped)를 가지고 오프셋 성형된 (Offset-molded) 제 6 맞닿음 단면(111f)과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전방부 (111)에 단차를 가지고 오프셋 성형된 제 3 맞닿음 단면(111C)과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i)는,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의 이음새부 (113)보다 굴곡 안둘레측에 위치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후방부(112)에 돌출 성 형된 제 5 맞닿음 단면(112e)과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후방부(112)에 성형된 제 2 맞닿음 단면(112b)과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i)는,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보다 빠른 자세유지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고,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하여 발생하기 쉬운 접촉충격음의 발생타이밍을 늦추어, 피크음(Peak sound)이나 주기음(Periodical sound)을 억제하여 한층 더 소음을 저감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는,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의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에 위치하는 측판전방부(111)에 돌출 성형된 제 5 맞닿음 단면(111e)과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전방부(111)에 성형된 제 2 맞닿음 단면(111b)과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i)는,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의 이음새부 (113)보다 굴곡 안둘레측에 위치하는 측판후방부(112)에 성형된 제 4 맞닿음 단면 (112d)과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후방부(112)에 성형된 제 1 맞닿음 단면 (112a)과의 사이, 및, 선행하는 측판유닛(110)의 이음새부(113)보다 굴곡 안둘레 측에 위치하는 측판후방부(112)에 돌출성형된 제 6 맞닿음 단면(112f)과 후속하는 측판유닛(110)의 측판후방부(112)에 단차를 가지고 오프셋 성형된 제 2 맞닿음 단면(112c)과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i)는,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보다 빠른 자세규제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고,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이행할 때에,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하여 발생하기 쉬운 접촉충격음의 발생타이밍을 늦추어, 피크음이나 주기음을 억제하여 보다 한층 소음저감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 및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는,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i)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i)보다 큰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혹은,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안둘레측보다 바깥둘레측에 큰 충격력이 부하되어도, 이 큰 충격력에 대한 접촉면압을 안둘레측과 같은 정도로 저감하여 굴곡자세의 확실한 규제, 혹은, 직선자세의 확실한 유지를 달성하는 것과 함께,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 및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i)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i)의 일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둘레측의 제 5 맞닿음 단면(112e)과 제 6 맞닿음 단면(112f)이 형성된 내피로성 수지의 폴리아미드수지-고무배합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스토퍼부재(Stop member, 11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혹은,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우선, 최초로 안둘레측에 부하되는 접촉충격력을 스토퍼부재(118)가 흡수하여 접촉충격음을 저감하는 것과 함께, 스토퍼부재(118)의 찢어짐(Tear)이나 마모를 방지하여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118)에는, 선행하여 맞닿는 제 1 스토퍼면(118a)과 이 제 1 스토퍼면(118a)보다 늦게 맞닿는 제 2 스토퍼면{즉, 제 6 맞닿음 단면 (112f)}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2 스토퍼면{즉, 제 6 맞닿음 단면(112f)}보다 돌출 선행하여 맞닿는 제 1 스토퍼면(118a)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혹은,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스토퍼부재(118)에 부하되는 접촉충격력을 제 1 스토퍼면(118a)과 제 2 스토퍼면(112f)으로 2단계로 닿기 때문에, 접촉 충격력의 집중부하를 회피해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할 수 있고, 더 한층 소음저감을 달성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 및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의 일부는, 바깥둘레측의 제 5 맞닿음 단면(111e)과 제 6 맞닿음 단면 (111f)이 형성된 스토퍼부재(11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는, 직선자세 유지상태에 있어서, 굴곡 안둘레측의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i)와 굴곡 바깥둘레측의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가 각각 서로 확개한 상태로 굴곡 바깥둘레측의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 및, 굴곡 안둘레측의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i)가 각각 서로 맞닿아 이음새부(113)에 부하를 거는 일 없이 직선자세를 확실히 유지하는 것과 함께, 굴곡자세 규제상태에 있어서, 굴곡 바깥둘레측의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o), 및, 굴곡 안둘레측의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Xi)가 각각 서로 확개한 상태로 굴곡 안둘레측의 안둘레측 굴곡자세 규제기구(Yi), 및, 굴곡 바깥둘레측의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Yo)가 각각 서로 맞닿아 이음새부(113)에 부하를 거는 일 없이 굴곡자세를 확실히 유지하기 때문에, 부착고정단(F)으로부터 부착이동단(M)을 향하여 수납하는 케이블류(C)를 이행시킬 때의 직선자세 유지시와 굴곡자세 규제시에 생기기 쉬운 측판유닛(110)의 접촉충격음을 분산억제하여 소음저감을 도모하는 것과 함께, 측판유닛(110)이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크다.
우선,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의하면,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을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것과 함께 상기 측판유닛의 굴곡 안둘레측 및 굴곡 바깥둘레측에 각각 연결판을 소정간격으로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옆걸기한 것에 의해서, 측판유닛 및 연결판으로 둘러싸이는 케이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를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유닛이, 선행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전방부와 후속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후방부와 상기 측판전방부와 측판후방부와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개재하는 굴곡이 자유로운 이음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이음새부가 반복하여 굴곡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굴곡동작의 반복에 의한 측판유닛의 이음새부에 생기기 쉬운 파손을 해소하여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하는 것과 함께, 마모가루를 억제하여 깨끗한 환경하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에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와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에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이행할 때에, 인접하는 측판유닛끼리의 접촉위치가 이음새부를 끼운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되고, 또한,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에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와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에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인접하는 측판유닛끼리의 접촉위치가 이음새부를 끼운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되기 때문에, 굴곡자세 규제상태, 혹은, 직선자세 유지상태 중의 어느 쪽으로 이행하는 경우라도 발생하기 쉬운 접촉 충격력을 분산하여 소음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가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보다 빠른 자세유지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되어 발생하기 쉬운 접촉충격음의 발생 타이밍을 늦추어, 피크음이나 주기음을 억제하여 보다 한층 소음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보다 빠 른 자세규제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이행할 때에, 굴곡 바깥둘레측과 굴곡 안둘레측으로 이분되어 발생하기 쉬운 접촉충격음의 발생 타이밍을 늦추어, 피크음이나 주기음을 억제하여 보다 한층 소음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보다 큰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또는,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안둘레측보다 바깥둘레측에 큰 충격력이 부하되어도, 이 큰 충격력에 대한 접촉면압을 안둘레측과 동일한 정도로 저감하여 굴곡자세의 확실한 규제, 혹은, 직선자세의 확실한 유지를 달성하는 것과 함께,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쪽이든 1항에 기재의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적어도 탄성변형 가능한 스토퍼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에, 혹은,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우선, 최초로 안둘레측에 부하되는 접촉 충격력을 스토퍼부재가 흡수하여 접촉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스토퍼 부재의 달라붙음이나 마모를 방지하여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스토퍼부재가, 선행하여 맞닿는 제 1 스토퍼면과 상기 제 1 스토퍼면보다 늦게 맞닿는 제 2 스토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직선자세 유지상태로부터 굴곡자세 규제상태로, 혹은, 굴곡자세 규제상태로부터 직선자세 유지상태로 이행할 때에, 스토퍼부재에 부하되는 접촉 충격력을 제 1 스토퍼면과 제 2 스토퍼면으로 2단계로 닿기 때문에, 접촉 충격력의 집중부하를 회피하여 뛰어난 내피로성을 발휘할 수 있고, 소음저감을 더 달성할 수 있다.
본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측판유닛의 적어도 이음새부 및 스토퍼부재가,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에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성분을 배합시킨 내피로성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되고 있는 것에 의해서,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에 배합된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성분이 내충격성에 강한 유연성을 가미하기 때문에, 스토퍼부재의 반복굴곡에 대한 뛰어난 내피로성을 보다 한층 발휘할 수 있다.

Claims (7)

  1.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유닛을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것과 함께 상기 측판유닛의 굴곡 안둘레측 및 굴곡 바깥둘레측에 각각 연결판을 소정간격으로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옆걸기하고, 상기 측판유닛 및 연결판으로 둘러싸이는 케이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를 부착고정단으로부터 부착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이, 선행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전방부와 후속하는 측판유닛에 연결되는 측판후방부와 상기 측판전방부와 측판후방부와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개재하는 굴곡이 자유로운 이음새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바깥둘레측의 측판전방부에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와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이음새부보다 굴곡 안둘레측의 측판후방부에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와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가, 상기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보다 빠른 자세유지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상기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보다 빠른 자세규제 타이밍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바깥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상기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보다 큰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둘레측 직선자세유지기구 및 안둘레측 굴곡자세규제기구가, 적어도 탄성변형 가능한 스토퍼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가, 선행해 맞닿는 제 1 스토퍼면과 상기 제 1 스토퍼면보다 늦게 맞닿는 제 2 스토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의 적어도 이음새부 및 스토퍼부재가,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성분을 배합시킨 내피로성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20070019620A 2006-04-14 2007-02-27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030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2087A JP4118308B2 (ja) 2006-04-14 2006-04-14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JP-P-2006-00112087 2006-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387A true KR20070102387A (ko) 2007-10-18
KR101030703B1 KR101030703B1 (ko) 2011-04-26

Family

ID=3851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620A KR101030703B1 (ko) 2006-04-14 2007-02-27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13096B2 (ko)
JP (1) JP4118308B2 (ko)
KR (1) KR101030703B1 (ko)
DE (1) DE102007010734B4 (ko)
IT (1) ITGE200700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806B1 (ko) * 2012-02-21 2015-03-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499805B1 (ko) * 2012-02-27 2015-03-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2512A1 (de) * 2004-05-05 2005-12-01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sowie Energieführungskette mit erweitertem Nutzungsquerschnitt
DE102007017940A1 (de) * 2007-04-13 2008-10-16 Igus Gmbh Seitenwandsegment für ein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Seitenwandseg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eitenwandsegmentes
JP4118314B1 (ja) * 2007-04-27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338746B2 (ja) 2007-04-27 2009-10-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4815B1 (ja) * 2007-09-28 2008-07-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503658B2 (ja) * 2008-04-25 2010-07-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307701B2 (ja) * 2009-12-18 2013-10-02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チェーン
JP4749494B1 (ja) * 2010-04-02 2011-08-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用多関節支持部材
US8622481B2 (en) * 2011-01-25 2014-01-07 Joy Mm Delaware, Inc. Fiber optic cable protection in a mining system
DE102011113378A1 (de) * 2011-09-16 2013-03-21 Tsubaki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JP5430693B2 (ja) * 2012-02-17 2014-03-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709799B2 (ja) * 2012-05-28 2015-04-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部材
CA2832525C (en) * 2013-11-05 2017-02-07 Honda Motor Co., Ltd. Cable track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E202013105149U1 (de) 2013-11-14 2013-11-27 Igus Gmbh Leitungsführung
CA2855109A1 (en) * 2014-06-23 2015-12-23 Mac & Mac Hydrodemolition Inc. Frame mounted hydrodemolition system for treating large inclined wall surfaces
JP6488981B2 (ja) * 2015-10-13 2019-03-2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配索装置
JP6457992B2 (ja) * 2016-11-22 2019-01-23 矢崎総業株式会社 湾曲規制部材及び給電装置
CN110535432A (zh) * 2018-05-24 2019-12-03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线缆收集装置、线缆引导装置及建筑构件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1955U1 (ko) * 1989-02-18 1989-04-06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DE3928238C1 (ko) * 1989-08-26 1990-10-25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DE4121433C1 (ko) * 1991-06-28 1993-02-04 Ekd Gelenkrohr Gmbh, 4006 Erkrath, De
JP2526509B2 (ja) * 1993-10-14 1996-08-21 マルホ産業株式会社 地中電線埋設自在保護管
DE4413303C1 (de) * 1994-04-18 1995-05-24 Kabelschlepp Gmbh Traverse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JP3547881B2 (ja) 1995-12-26 2004-07-28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チェーン
JP3115995B2 (ja) 1996-08-02 2000-12-11 株式会社ハーモ総研 ケーブル・ホースの保護案内チェーン
JP3703585B2 (ja) 1996-11-08 2005-10-05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多層構造重合体粒子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DE29619833U1 (de) * 1996-11-14 1998-03-19 Kabelschlepp Gmbh Befestigungsanordnung mit einem Kettenglied und einer Befestigungseinheit für Leitungen
JP2000120807A (ja) 1998-08-10 2000-04-28 Harmo Soken:Kk ケーブルホースの保護案内チェーン
DE19837231A1 (de) * 1998-08-17 2000-02-24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DE19839575A1 (de) * 1998-08-31 2000-03-09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kette zum Führen von Leitungen mit räumlich beweglichen Kettengliedern
DE19839966A1 (de) 1998-09-02 2000-04-06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zum Führen wenigstens einer Leitung
US6094902A (en) * 1999-07-23 2000-08-01 Hubbell Incorporated Carrier link having removable crossbar with opposite ends snap-fitted on cross-sectionally T-shaped protrusions
DE19962829A1 (de) * 1999-12-23 2001-08-23 Kabelschlepp Gmbh Stra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Stranges einer Leitungsführungsanordnung
JP3356754B2 (ja) * 2000-05-01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の可撓支持案内装置
DE20107003U1 (de) * 2001-04-23 2002-09-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S6978595B2 (en) * 2002-02-05 2005-12-27 Delphi Technologies, Inc. Chain links and cable carrier chains containing same
JP3722477B2 (ja) * 2002-04-02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ガイド
JP3722482B2 (ja) * 2003-02-17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22483B2 (ja) * 2003-03-25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16989B2 (ja) * 2003-05-07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16990B2 (ja) * 2003-05-12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58B2 (ja) * 2005-03-11 2008-07-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67B2 (ja) * 2005-09-29 2008-07-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76B2 (ja) * 2006-01-19 2008-07-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789632B2 (ja) * 2006-01-20 2011-10-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04B2 (ja) * 2006-03-14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11B2 (ja) 2006-11-28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87B1 (ja) 2007-02-07 2008-07-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806B1 (ko) * 2012-02-21 2015-03-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499805B1 (ko) * 2012-02-27 2015-03-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1239A1 (en) 2007-10-18
ITGE20070023A1 (it) 2007-10-15
US7513096B2 (en) 2009-04-07
DE102007010734A1 (de) 2007-10-18
KR101030703B1 (ko) 2011-04-26
DE102007010734B4 (de) 2021-06-10
JP2007285376A (ja) 2007-11-01
JP4118308B2 (ja)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703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8220243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10107378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478963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12650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7428808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305815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4111958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845900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US895731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member
US7971833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406819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20090266045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100863660B1 (ko)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JP2013170642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7176375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CN114347923A (zh) 用于长形部件的支撑夹
WO2024080096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