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801A - 적외선 센서 스위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센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801A
KR20070101801A KR1020070036027A KR20070036027A KR20070101801A KR 20070101801 A KR20070101801 A KR 20070101801A KR 1020070036027 A KR1020070036027 A KR 1020070036027A KR 20070036027 A KR20070036027 A KR 20070036027A KR 20070101801 A KR20070101801 A KR 2007010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sensor
switch
transmission signal
address
sens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950B1 (ko
Inventor
마키코 마쓰오카
도모히로 이에키
고지 요코타
하지메 야부
스스무 나카노
게이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3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passive infrar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UV or IR detection, e.g. of human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감지 범위를 갖는 적외선 센서와, 적외선 센서가 감지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각각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또한,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블록과, 벽에 설치되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0°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적어도 40°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센서 블록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센서 블록, 송신 신호, 센서 스위치, 감지 범위

Description

적외선 센서 스위치{AN INFRARED SENSOR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송신 신호와 인터럽트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벽에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회로 블록도.
도 6은, 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커버가 리드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정면도.
도 7의 (a)는, 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외선 센서가 전방을 향하고 있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정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스위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c)는 도 7의 (a)의 스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d)는 도 7의 (c)의 스위치의 확대 단면도.
도 8의 (a)는, 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외선 센서가 대각선으로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정면도.
도 8의 (b)는 도 8의 (a)의 스위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c)는 도 8의 (a)의 스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는, 적외선 센서의 감지 범위(최대 수평 각 거리, 즉 최대 방위각)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의 (b)는, 적외선 센서의 감지 범위(최대 수직 각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변형 실시예의 정면도.
도 11은 변형 실시예의 측면도.
도 12는 변형 실시예의 정면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다른 변형 실시예의 정면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의 (a)는 다른 변형 실시예의 정면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의 (b)는, 커버가 리드로부터 제거된, 도 14의 (a)의 실시예의 정면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의 (a)는 다른 변형 실시예의 정면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의 (b)는, 커버가 리드로부터 제거된, 도 15의 (a)의 실시예의 정면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스위치의 확대 단면도.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도 17의 (b)는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8은 제3 실시예의 필수 요소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필수 요소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변형 실시예의 필수 요소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의 (a)는, 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외선 센서가 후방을 향하고 있는 다른 변형 실시예의 정면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21의 (c)는 도 21의 (a)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22는 다른 변형 실시예의 측면도.
도 23은 도 22의 필수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로 하여금, 이 적외선 센서의 감지 범위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며,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천장이나 벽 등에 설치되어 에너지 절감형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1994년 9월 2일에 공개된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H6-245282호에 개시되어 있는 단말기는 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단말기는 인쇄 회로 기판과 회전식 프레임을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상에는 적외선 센서가 장착되며, 회전식 프레임은, 인쇄 회로 기판을 유지하면서, 방향 조절 노브를 이용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단말기의 경우, 적외선 센서가 감 지하는 영역범위의 중심축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감지 영역범위의 상단과 하단의 위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가 벽 등의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람을 감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1992년 2월 24일에 공개된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H4-55728호에 개시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외벽에 설치된 것이다. 이 센서 스위치는, 적외선 센서(초전 소자)를 가지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센서 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 스위치의 경우,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는 영역범위의 중심축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감지 영역범위의 상단과 하단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 영역범위의 중심축은, 45도 이하의 각도로 상향 회전 및 하향 회전하지만, 전방을 향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스위치가 사람이 있는 위치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람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이 있는 위치보다 위쪽 또는 아래쪽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람을 정확하게 감지해내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감지 범위를 갖는 적외선 센서와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센서를 제어하여 감지 범위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또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또한,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블록과 하우징 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벽에 설치되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0°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적어도 40°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센서 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가 사람보다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람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어드레스 기억 장치와 송신기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기억 장치는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한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송신기는, 지정된 다중화에 기초하여, 주 제어 유닛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주 제어 유닛은,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할당된 어드레스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대응하는 부하 유닛은, 하나 이상의 부하, 수신기,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다중화에 기초하여 주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유닛에 할당된 어드레스를 가진 송신 신호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면, 부하 유닛의 컨트롤러는, 송신 신호에 포함된 온(on) 제어 코드 또는 오프(off) 제어 코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하 유닛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온 제어 코드 또는 오프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주 제어 유닛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고, 송신 신호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송신 신호에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와, 온 제어 코드 또는 오프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가 포함되고, 송신 신호가 송신기를 통해 주 제어 유닛으로 송신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원격 모니터/제어 시스템은 주 제어 유닛, 적외선 센서 스위치 및 부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어드레스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를 갖는 외부 어댑터로부터 어드레스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어드레스를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수신기가 어댑터로부터 어드레스를 수신하면,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가 수신된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기억 장치 내에 기억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한 어드레스가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댑터의 송신기는 무선 송신기이며,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수신기는 무선 수신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사람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한 어드레스를 센서 스위치에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사람보다 낮은 위치의 벽에 설치되는 어드레스 설정 유닛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사람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한 어드레스를 센서 스위치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주변의 밝기 레벨을 감지하는 밝기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부하 유닛은 조명 기구이고,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밝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레벨이 밝기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부하 유닛을 오프로 유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각각의 감지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는 각각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각각의 감지 결과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구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감지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한다는 감지 결과를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시점부터, 부하의 상태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시간을 조정하는 홀딩 시간 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사람이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한다는 감지 결과를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후에 홀딩 시간 동안 부하 유닛을 온 상태로 유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하 유닛의 상태가, 홀딩 시간 조정기를 통해 조정된 홀딩 시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센서 블록은 감지 범위의 중심축의 경사를 나타내는 각각의 눈금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바람직한 경사 각도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강제 온 스위치(forced on switch) 및 강제 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강제 온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온(on)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을 통해 대응하 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신호는, 송신기를 통해 주 제어 유닛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온(on)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또한, 강제 오프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오프(of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신호는, 송신기를 통해 주 제어 유닛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오프(off)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턴온 및 턴오프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홀딩 시간 조정부 내에 구비된 강제 온 스위치 및 강제 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강제 온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온(on)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신호는, 송신기를 통해 주 제어 유닛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온(on)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또한, 강제 오프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오 프(of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신호는, 송신기를 통해 주 제어 유닛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오프(off)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턴온 및 턴오프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센서 블록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업 명령 또는 다운 명령을 포함하는 외부 신호에 따라,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지정된 간격마다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센서 블록을 회전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사람보다 높은 위치의 벽에 설치된 경우에도, 센서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을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적외선 센서의 정면이 하우징에 의해 숨겨질 수 있도록, 센서 블록을 수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는 하우징에 숨겨져서 보호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후방으로 180°까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센서 블록을 수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는 하우징에 완전하게 숨겨져서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1)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스위치(1)는, 2가닥으로 이루어진 단일의 케이블(Ls)에 의해, 주 제어 유닛(A)과 이에 대응하는 부하 유닛(B)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센서 스위치(1)와 부하 유닛(B)을 포함한다.
주 제어 유닛(A)은, 송신기 및 수신기로서 기능을 행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주 제어 유닛(A)은, 시분할 다중화에 기초하여, 신호 케이블(Ls)을 통해 송신 신호를 보내고, 이 송신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하 유닛(B) 및 각각의 센서 스위치(1)와 정보를 주고 받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신호(Vs)는, +24V와 -24V의 양극 신호에 해당하는 시분할 다중화 신호이며, 개시 펄스(ST), 모드(mode) 데이터(MD), 어드레스 데이터(AD), 제어 데이터(CD), 에러 정정 코드(CS) 및 신호 반환 구간(WT)을 포함하고 있다. 개시 펄스(ST)는 신호(Vs)의 개시를 나타낸다. 모드 데이터(MD)는 신호(Vs)의 형식을 나타낸다. 어드레스 데이터(AD)는 부하 유닛(B)과 센서 스위치(1)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제어 데이터(CD)는 해당하는 부하 유닛(B)에 대한 제어 명령(제어 코드)을 나타내는 데이터 이다. 에러 정정 코드(CS)는 송신 에러를 감지하기 위한 체크섬(check sum) 데이터 등의 데이터이다. 신호 반환 구간(WT)은, 해당하는 부하 유닛(B) 또는 센서 스위치(1)가 반환 신호(모니터 데이터)를 반환하는 기간에 해당하는 타임 슬롯이다. 각각의 데이터는 펄스폭 변조에 의해 송신된다.
주 제어 유닛(1)은 또한, 더미 신호 송신 수단과 인터럽트 조작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더미 신호 송신 수단은, 더미 신호를 반복적으로 생성하여, 이 더미 신호를 송신 신호로서 신호 케이블(Ls)을 통해 송신한다. 각 더미 신호의 모드 데이터(MD)는 더미 모드로 설정되며, 각 더미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터(AD)는 순환에 의해 변화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센서 스위치(1)가, 더미 신호(송신 신호 Vs)의 개시 펄스(ST)와 동기하여 인터럽트 신호(Vi)를 반환하면, 인터럽트 조작 수단은 센서 스위치(1)에 액세스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시점에서, 인터럽트 조작 수단은, 모니터 데이터, 즉 센서 스위치(1)와 관련된 부하 유닛(B)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한 데이터를 요청한다. 센서 스위치(1)로부터 모니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 제어 유닛(A)은, 센서 스위치(1)의 어드레스와 모니터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송신 신호의 제어 데이터는 모니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로 설정되며, 어드레스 데이터는 센서 스위치(1)의 어드레스에 관련된 부하 유닛(B)의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모니터 데이터의 각각의 콘텐츠와 각 제어 코드 간의 관계는, 미리 정해지며, 주 제어 유닛(A)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센서 스위치(1)의 각각의 어드레스와 부하 유닛(B)의 각각의 어드레 스 간의 관계도 또한 미리 정해지며,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부하 유닛(B)은, 계전 단자(relay terminal) 유닛(B1)과, 이 계전 단자 유닛(B1)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부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계전 단자 유닛(B1)은 부하 B2(조명 기구)와 부하 B3(환기 팬)에 접속된다. 계전 단자 유닛(B1)은 화장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부하 유닛(B)은, 미리 할당된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장치(도시 안 됨), 시분할 다중화를 위한 통신 회로(도시 안 됨), 및 하나 이상의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도시 안 됨)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는 송신기 및 수신기로서의 기능을 행한다. 계전 단자 유닛(B1)의 전원은 각각의 송신 신호의 전파 정류기(full wave rectifier)를 통해 얻는다. 계전 단자 유닛(B1), 주 제어 유닛(A)으로부터 송신 신호(Vs)를 수신하면, 송신 신호(Vs)에 포함된 어드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기억 장치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어드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기억 장치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계전 단자 유닛(B1)은, 신호(Vs)에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신호(Vs)의 신호 반환 구간에 동기하여 반환한다. 이 시점에서, 계전 단자 유닛(B1)은, 신호 케이블(Ls)의 2개의 선 사이의 적절한 저임피던스를 연결하고, 모니터 데이터를 현재의 모드 신호에 의해 반환한다. 이어서, 계전 단자 유닛(B1)은, 제어 데이터(제어 코드)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하를 제어한다. 부하(B2)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되거나, 흐릿하게 된다. 부하(B3)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또한, 계전 단자 유닛(B1)은, 주 제어 유닛(A)으로부터 주기적인 송신 신호(더미 신호) Vs 를 수신하면, 신호(Vs)에 포함된 어드레스 신호의 어드레스가 기억 장치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들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계전 단자 유닛(B1)은, 부하의 상태에 따른 모니터 데이터를 신호(Vs)의 신호 반환 구간에 동기하여 반환한다.
센서 스위치(1)는, 장착 프레임(C)에 의하여 벽에 설치되는 하우징(10),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주 회로 블록(14), 및 하우징(10)의 정면의 하부 상에 위치되는 센서 블록(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C)에는, 전원 소켓 모듈의 3배 크기에 해당하는 윈도우 구멍(C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전원 소켓 모듈은, A-타입의 전원 플러그의 평평한 블레이드만 삽입될 수 있도록 된 2개의 슬릿을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대 3개까지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C)에는, 3개의 전원 소켓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3쌍의 수용 구멍(C2)이 있다. 각각의 수용 구멍(C2)은, 사각의 브래킷 형태(즉, "[")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C)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타원형의 구멍(C3)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위치(1)가 설치되는 프레임(C)은, 벽(D)의 정면에 위치하는데, 이는 센서 스위치(1)의 하우징(10)을 벽(D)의 구멍(D1)에 밀어 넣으면서, 프레임(C)이 벽(D)의 후면에 위치한 금속 체결부(E)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프레임(C)은 2개의 나사못(F)에 의해 체결부(E)에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C)의 정면 상에는 정면 커버(G)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케이스(11), 리드(lid)(12), 및 커 버(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들 케이스(11), 리드(12) 및 커버(13)는, 하우징(10)이 전원 스켓 모듈의 3배 크기가 되도록,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베이스(110) 상에는 2쌍의 단자(T)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T)는, 베이스(T1)와 나사못(T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주 회로 블록(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1)의 우측 부분(111)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에는 각각 설치용 구멍(111a, 111b)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의 좌측 부분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에는 각각 설치용 구멍(112a, 112b)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12)의 우측 부분(121)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에는 설치용 구멍(111a, 111b)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부(121a, 12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리드(12)의 좌측 부분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에는 설치용 구멍(112a, 112b)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의 단부는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가 대응하는 설치용 구멍에 삽입되면, 리드(12)가 케이스(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드(12)의 우측 부분(121)의 정면 상단부에는, 프레임(C)의 우측 상부의 수용 구멍(C2)에 삽입되는 돌출부(1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부분(121)의 정면 하단부에는, 프레임(C)의 우측 하부의 수용 구멍(C2)에 삽입되는 돌출부(121d)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리드(12)의 좌측 부분의 정면 상단부에는, 프레임(C)의 좌측 상부의 수용 구멍(C2)에 삽입되는 돌출부(121e)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부분의 정면 하단부에는, 프레임(C)의 좌측 하부의 수용 구멍(C2)에 삽입되는 돌출부(121f)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돌출부 쌍들이 그에 대응하는 수용 구멍(C2)에 삽입되어, 하우징(10)이 프레임(C)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리드(12)의 정면 상부(125)에는 관통 구멍(125a, 125b, 125c, 125d, 125e)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드(12)의 정면 하부는 축이 수평에 위치하는 반원통형(half-cylinder shaped)의 캐비티(126)로서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126)의 바닥부에는, 끝부분이 앞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사각의 탄성 부재(1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비티(126)의 반원형(half-round) 단부에는, 센서 블록(15)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126b, 126c)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13)에는 관통 구멍(125a)의 정면에 위치되는 관통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3)는, 정면 상부(125)의 좌측 부분에 부착되어,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 회로 블록(14)은, 시분할 다중화를 위한 통신 회로(141), 주 전원 공급 회로(142), 센서 블록(15)을 위한 전원 공급 회로(143), 센서 블록(15)용의 입력 회로(144), 밝기 센서 회로(145), 홀딩 시간 조정부(146), 기억 장치(147), 어드레스 설정 회로(148), 및 CPU(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 회로(141), 주 전원 공급 회로(142), 및 전원 공급 회로(143)는 한 쌍의 단자(T)를 통해 신호 케이블(Ls)에 연결되어 있다. 통신 회로(141)는 송신기 및 수신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 전원 공급 회로(142)는, 단자로부터 얻은 각각의 송신 신호의 전파 정류기를 통해 전원을 생성하여, CPU(140) 등에 공급한다. 센서 블록(15)을 위한 전원 공급 회로(143)는 단자로부터 얻은 각각의 송신 신호의 전파 정류기를 통해 전원을 생성하여, 센서 블록(15)에 공급한다. 센서 블록(15) 내의 적외선 센서(153a)의 출력에 기초하여, 입력 회로(144)는 센서(153a)의 감지 범위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CPU(140)에 제공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 센서 회로(145)는 밝기 센서(예컨대, Cds)와 회전식 스위치(rotary switch)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밝기 센서(145a)는 관통 구멍(13a, 125a)의 뒤쪽에 배치되어, 주변의 밝기 레벨을 감지한다. 회전식 스위치(145b)는 관통 구멍(125b)의 뒤쪽에 배치되어, 밝기 기준 레벨을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밝기 기준 레벨은 최소 레벨(예컨대, 5Lx 이하)부터 최대 레벨(예컨대, 100Lx 이상)까지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회전식 스위치(145b)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오프"(off) 위치로 변경되면, 밝기 센서 회로(145)의 기능이 중지된다.
홀딩 시간 조정부(146)는 관통 구멍(125c)의 뒤쪽에 배치된 회전식 스위치(146a) 등으로 구성된다. 회전식 스위치(146a)는, 사람이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한다는 감지 결과를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시점부터, 대응하는 부분 유닛(B)의 상태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시간을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홀딩 시간은, 예컨대 10초 내지 30분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하 유닛의 상태는, 홀딩 시간 조정부(146)에 의해 조정된 홀딩 시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기억 장치(147)는, 예컨대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련된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억 장치(147)는, 예컨대 그룹 번호, 유닛 번호, 및 4개의 상이한 부하 번호 중 하나로 각각 구 성되는 4개의 상이한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어드레스 설정 회로(148)는, 관통 구멍(125d)의 뒤쪽에 배치되는 스위치(148a)와, 관통 구멍(125e)의 뒤쪽에 배치되는 수광(light-receiving) 소자(148b) 및 발광(light-emitting) 소자(148c)를 포함한다. 이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148b, 148c)는, 외부 어댑터(도시 안 됨)로부터 각각의 어드레스를 주로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송수신 회로 내에 포함된다. 이 어댑터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와, 입력 장치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어드레스를 적외선 센서 스위치(1)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기기(예컨대,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련된 각각의 어드레스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1)에 대해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 스위치(1)가 사람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련된 각각의 어드레스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1)에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CPU(140)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블록(15)은,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하우징(150), 센서 회로 블록(153), 렌즈(154), 및 셔터(155, 156)를 포함한다. 하우징(150)은, 반원통형으로 된 중공체(hollow body)(151)와, 정면에 사각형 윈도우(152a)가 형성되도록 반원통형으로 된 중공 커버(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회로 블록(153)은, 적외선 센서(153a)와 LED(153b)를 포함하며, 하우징(150) 내에 설치된다. 센서 회로 블록(153)은, 중공체(151)의 관통 구멍(도시 안 됨)에 삽입된 각각의 도선을 통해, 예컨대 전원 공급 회로(143) 및 입력 회로(144)에 연결 된다. 적외선 센서(153a)는, 초전 소자(pyroelectric element) 등과 같은 소자와, 미러를 포함한다. 렌즈(154)는, 적외선 센서(153a)의 정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50) 내에 설치된다. 셔터(155, 156)는, 자신의 후방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렌즈(154)의 우측 및 좌측의 정면에 배치된다. 셔터(155, 156)는, 적외선 센서(153)의 감지 범위가 160°까지 확장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도 9a 참조).
도 1, 도 7a-7d, 도 8a-8c, 및 도 9a-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은, 적외선 센서(153a)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또한 0°의 전방 H로부터 아래쪽으로 적어도 40°까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리드(12)의 수용 부재(126b, 126c)에 의해 수용된다. 더 엄밀하게 말하면, 중공체(151)의 우측 반원형 단부에는, 수용 부재(126b)의 돌출부(도시 안 됨)가 삽입되는 구멍(1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체(151)의 좌측 반원형 단부에는, 수용 부재(126c)의 돌출부(126e)가 삽입되는 구멍(도시 안 됨)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구멍은, 하우징(150)의 회전축의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언급한 4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126a)의 끝 부분은, 중공체(151)의 후방부 상에 형성된 슬롯(151c)에 삽입되어, 하우징(150)이 하우징(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감지 범위의 중심축은, 전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슬릿(151c)의 피치마다(예컨대, 5°) 적어도 40°까지 회전될 수 있다.
CPU(140)는 다양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48a)를 누르면, CPU(140)는 수광 소자(148b)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고, 이 수광 소자(148b)를 통해 상기 어댑터로부터 각각의 어드레스를 수신하면, CPU(140)는 각 각의 어드레스를 기억 장치(147)에 기억시킨다.
CPU(140)는 또한,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입력 회로(144)를 통해 제공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사람이 감지 범위 내에 있다는 감지 결과를 입력 회로(144)로부터 제공받으면, CPU(140)는, 감지 결과를 얻으면서 그 감지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LED(153b)를 턴온시킨다. 이 경우,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얻은 감지 결과를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CPU(140)는 또한, 기억 장치(147)에 기억된 모든 어드레스의 후속하는 처리 과정을 실행시킨다. 즉, CPU(140)는, 주 제어 유닛(A)으로부터 송신 신호의 개시 펄스와 동기하여 인터럽트 신호(Vi)를 반환하기 위해, 통신 회로(141)를 사용한다. 이후, 주 제어 유닛(A)으로부터 모니터 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하면, CPU(140)는, 대응하는 부하 유닛(부하 번호에 대응하는 부하)의 부하를 턴온시키기 위한 모니터 데이터를 통신 회로(141)를 통해 반환한다. 홀딩 시간 조정부(146)에 의하여 홀딩 시간이 조정된 후, CPU(140)는 기억 장치(147)에 기억된 모든 어드레스에서 상기와 동일한 처리 과정을 실행시킨다. 이 경우, 모니터 데이터는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부하를 턴오프시키도록 설정된다.
또한, 밝기 센서(145a)에 의해 감지된 레벨이 스위치(145b)를 통해 조정된 밝기 기준 레벨 이상이면, CPU(140)는,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얻은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부하(B2)를 유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제1 실시예의 센서 블록(15)의 각도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1)가 사람보다 높은 위치의 벽에 설치되면, 센서 블록(15)은, 센서(153a)가 상기 위치보다 낮은 곳에 있는 사람을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 스위치(1)가 사람보다 높은 위치의 벽에 설치된 경우에도, 사람을 확실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외선 센서 스위치(1)가 사람보다 낮은 위치의 벽에 설치되면, 센서 블록(15)은, 센서(153a)가 상기 위치보다 높은 곳에 있는 사람을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 스위치(1)가 사람보다 낮은 위치의 벽에 설치된 경우에도, 사람을 확실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 실시예로서, 하우징(10)은, 적외선 센서(153a)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40°까지 회전되도록, 또한 전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적어도 40°까지 회전되도록, 센서 블록(15)을 유지한다. 즉, 중공체(151)의 우측 반원형 단부 및 좌측 반원형 단부의 각각의 구멍은 상기 언급한 8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이 경우, 중공체(151)의 하부 배면 상에는, 슬릿(151c)과 동일한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는 사람보다 낮은 위치의 벽에 설치되는 어드레스 설정 유닛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드레스 설정 회로(148)와 어드레스 설정 유닛은, 무선의 송수신 및 무선 통신기기 대신에, 각각 유선의 송수신 및 유선 통신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드레스 설정 유닛은 또한, 전원 공급 회로(143) 및 입력 회로(144)에 접속되는, 센서 블록(15)과 동일한 센서 블록을 포함하는 보조의 적외선 센서 유닛이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의 적외선 센서 유닛(1A)은 전원 소켓 모듈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의 적외선 센서 유닛(1A)은 장착 프레임(C)의 어떤 위치에도 부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조의 적외선 센서 유닛(1A)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전원 소켓 모듈의 2배 크기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1에 나타낸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센서 블록(15)은, 적외선 센서(153a)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의 경사를 각각 나타내는 눈금(graduation)(151d)을 갖는다. 이 눈금(151d)은, 하우징(150)[또는 중공체(151)]의 단부 및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눈금의 각각의 간격은, 예컨대 5°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감지 범위의 중심축을 원하는 경사 각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나타낸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1)는 또한, 강제 온 스위치(forced on switch)(146c) 및 강제 오프 스위치(forced off switch)(146d)를 포함한다. 홀딩 시간 조정부(146)는 조명 기구(B2)용의 회전식 스위치(146a)와 환기 팬(B3)용의 회전식 스위치(146b)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스위치(146c, 146d)는, 예컨대 회전식 스위치 또는 누름식 스위치 등이 가능하다. 스위치(146a)는, 사람이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한다는 감지 결과를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시점부터, 대응하는 부분 유닛(B)의 조명 기구(B2)의 상태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시간을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스위치(146b)는, 사람이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한다는 감지 결과를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시점부터, 대응하는 부분 유닛(B)의 환기 팬(B3)의 상태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시간을 조정하 는데 이용된다. CPU(140)는, 강제 온 스위치(146c)가 작동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온(on)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A)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신호는, 통신 회로(141)를 통해 주 제어 유닛(A)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기억 장치(147) 내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온(on)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된다. CPU(140)는 또한, 강제 오프 스위치(146d)가 작동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오프(of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A)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신호는, 통신 회로(141)를 통해 주 제어 유닛(A)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기억 장치(147) 내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오프(off)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서 스위치(1)에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턴온 및 턴오프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강제 온 스위치 및 강제 오프 스위치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딩 시간 조정부(146) 내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시간 조정부(146) 내의 스위치(146a, 146b)에 강제 온 스위치 및 강제 오프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CPU(140)는, 스위치(146a) 내의 강제 온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ON),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온(on)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A)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조명 기구(B2)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CPU(140)는 스위치(146a) 내의 강제 오프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OFF),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오프(of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A)을 통해 조명 기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CPU(140)는 스위치(146b) 내의 강제 온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ON),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온(on)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A)을 통해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환기 팬(B3)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CPU(140)는 스위치(146b) 내의 강제 오프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OFF), 센서(153a)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오프(of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A)을 통해 환기 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서 스위치(1)에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각각의 부하의 턴온 및 턴오프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드레스 설정 회로(148)는, 수광 소자(148b) 및 발광 소자(148c) 대신에, 구멍(125e)의 뒤쪽에 배치된 딥스위치(dipswitch)이며, 상기 외부 어댑터는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의 뒤쪽에 딥스위치가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 스위치(1)는, 도 1에 도시된 커버보다 작은 크기의 커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밝기 센서(145a), 스위치(148a), 수광 소자(148b) 및 발광 소자(148c)가, 커버(13)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정면 상부(125)의 일부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밝기 센서(145a), 스위치(148a), 수광 소자(148b) 및 발광 소자(148c)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면 상부(125)의 상단부에 위치되거나,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면 상부(125)의 좌측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커버(13)를 개방하지 않고도, 센서 스위치(1)에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밝기 센서(145a)를 커버(13)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적외선 센서 스위치(2)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하우징(20) 및 센서 블록(25)에 추가하여, 이 센서 스위치(2)는, 구동 회로(249)를 추가로 포함하는 주 회로 블록(2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하우징(20)은, 케이스(21), 리드(22), 및 커버(23)를 포함하며, 센서 블록(25)은, 하우징(250)[중공체(251) 및 커버(252)], 센서 회로 블록(253)[적외선 센서(153a) 등], 렌즈(254) 및 셔터(도시 안 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회로(249)는 서보 모터(269a), 기어(269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269a)는, 주 회로 블록(24) 내의 어드레스 설정 회로의 무선 송수신 회로와 원격 제어기(도시 안 됨)를 통해 입력된 명령(예컨대, 업 명령 또는 다운 명령)에 따라, 주 회로 블록(24)의 CPU에 의해 구동된다. 기어(249b)는, 모터(269a)에 부착되며, 중공체(251)의 슬릿(251c)에 체결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스위치(2)가 사람보다 높은 위치의 벽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센서(253a)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을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터(269a)는, 상기 원격 제어기 대신에, 벽에 설치된 스위치(예컨대, 업 스위치 또는 다운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예컨대, 업 명령 또는 다운 명령)에 따라, CPU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센서 스위치(2)는, 무선 송수신 회로 대신에, 유선 송수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인 적외선 센서 스위치(3)를 나타낸다. 이 센서 스위치(3)는, 하우징(30), 주 회로 블록(34) 및 센서 블록(3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센서 블록(35) 내의 적외선 센서(153a)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센서 블록(35)이 하우징(30)에 의해 수용된다.
즉,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케이스(31) 및 커버(33)에 추가하여, 하우징(30)은, 탄성 부재(126a) 및 돌출부(126e) 대신에, 도 17a 및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톱니형 노치(326d, 326e)로 각각 형성된 수용 부재(326b, 326c)를 갖는 리드(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용 부재(노치)의 하부는 돌출되어 있어서, 센서 블록(35)이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센서 블록(35)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센서 회로 블록(353), 렌즈(354), 및 셔터(355, 356)에 추가로, 각각의 라운드형 단부(round end)가 관형 축(회전축)으로 형성된 하우징(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하우징(350)의 동체(body)(351)의 우측 반원형 단부는, 반관형(half-tubular) 돌출부(351a)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350)의 커버(352)의 우측 반원 형 단부는, 돌출부(351a)와 함께 관형 축(tubular axis)을 구성하는 반관형 돌출부(352a)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51a)에는, 톱니형 노치(326d)와 체결되는 돌출부(351e)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동체(351) 및 커버(352)의 각각의 좌측 반원 단부는 반관형 돌출부로 형성되며, 동체(351)의 돌출부는 톱니형 노치(326e)와 체결되는 돌출부로 형성된다. 각각의 노치의 톱니의 피치는, 예컨대 5°로 설정된다.
센서 회로 블록(353)은, 상기 관형 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각각의 도선을 통해, 주 회로 블록(34) 내의 이력 회로 및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된다. 도 19의 예에서, 센서 회로 블록(353)은, 우측 관형 축에 삽입되는 2개의 도선(W1, W2)을 통해 입력 회로 및 전원 공급 회로 중 하나에 연결되며, 좌측 관형 축에 삽입되는 2개의 도선을 통해 나머지 하나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센서(353a)가 중지되고 스위치(3)만이 밝기 센서 회로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센서(353a)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하고, 센서(353a)는 하우징(30) 내의 리드(32)의 캐비티(326) 내에서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부하(조명 기구)는, 주변의 밝기 레벨이 밝기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는 턴오프되고, 주변의 밝기 레벨이 밝기 기준 레벨보다 높지 않은 경우에는, 턴온된다. 또한, 센서(353a)가 사용되는 경우에, 감지 범위의 중심축은, 전방으로부터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5°당 최대 40°까지 회전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하우징(30)은, 센서(353a)의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전방으 로부터 아래쪽 및 후방으로 180°까지 수평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센서 블록(35)을 수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서(353a)는 하우징(30)의 캐비티 내에 완전하게 숨겨지게 되어 확실하게 보호된다.
변형 실시예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326b)의 노치(326d)는, 톱니형이 아닌 돌출부(326f)로 형성되며, 반관형 돌출부(351a)는 돌출부(351e) 대신에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수용 부재(326c)의 노치(326e)는 돌출부로 형성되며, 좌측 돌출부는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각 돌출부의 톱니의 피치는, 예컨대 5°로 설정된다.
다른 변형 실시에에서, 도 21a, 도 21b 및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블록(35)의 동체(351)의 뒷면은 평평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센서(353a)가 캐비티(326) 내에 숨겨지면, 센서 스위치(1)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회로 블록(353)은, 적외선 센서(353a)(도시 안 됨)의 주위에 배치된 마커(353c)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마커(353c)는, 예컨대 컬러 광을 방출하는 레이저가 될 수 있으며, 센서(353a), LED, 및 각각의 마커(353c)는 센서 회로 블록(353)의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다. 도 22 및 도 23에서, 상부 마커(353c)는 센서(353a)의 감지 범위의 상단을 나타내며, 하부 마커(353c)는 감지 범위의 하단을 나타낸다. 우측 마커(353c)는 감지 범위의 우측단을 나타내며, 좌측 마커(353c)는 감지 범위의 좌측단을 나타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353a)의 감지 범위를 확실하게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마커(353c)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 으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센서가 사람이 있는 위치보다 위쪽 또는 아래쪽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람을 정확하게 감지해내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있어서,
    감지 범위를 갖는 적외선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가 상기 감지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각각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하는 부하 유닛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
    상기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블록; 및
    벽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0°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적어도 40°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블록을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관련된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어드레스 기억 장치; 및
    지정된 다중화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를 주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는 송신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 유닛은,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와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할당된 어드레스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은,
    하나 이상의 부하;
    상기 다중화에 기초하여 상기 주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부하 유닛에 할당된 어드레스를 가진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송신 신호에 포함된 온(on) 제어 코드 또는 오프(off)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부하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부하 유닛용 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는, 온 제어 코드 또는 오프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 신호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송신 신호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와, 온 제어 코드 또는 상기 오프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주 제어 유닛으로 송신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어드레스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를 갖는 외부 어댑터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수신기가 상기 어댑터로부터 어드레스를 수신하면,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어드레스를 상기 어드레스 기억 장치 내에 기억시키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송신기는 무선 송신기이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수신기는 무선 수신기인, 적외선 센서 스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사람보다 낮은 위치의 벽에 설치되는 어드레스 설정 유닛인, 적외선 센서 스위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주변의 밝기 레벨을 감지하는 밝기 센서를 더 포 함하며;
    상기 부하는 조명 기구이고;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는, 상기 밝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레벨이 밝기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부하 유닛을 오프로 유지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은 각각의 감지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얻는 각각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각각의 감지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감지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한다는 감지 결과를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시점부터, 상기 부하 유닛의 상태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시간을 조정하는 홀딩 시간 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컨트롤러는, 사람이 상기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한다는 감지 결과를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후에 상기 홀딩 시간 동안 상기 부하 유닛을 온 상태로 유지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의 경사를 나타내는 각각의 눈금을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강제 온 스위치(forced on switch) 및 강제 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는,
    상기 강제 온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온(on)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주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신호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주 제어 유닛에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상기 온(on)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되고;
    상기 강제 오프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오프(of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주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신호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주 제어 유닛에 상기 송신 신 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상기 오프(off)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홀딩 시간 조정부 내에 구비된 강제 온 스위치 및 강제 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는,
    상기 강제 온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온(on)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주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신호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주 제어 유닛에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상기 온(on)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되고;
    상기 강제 오프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취득한 각각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오프(of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주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대응하는 부하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신호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주 제어 유닛에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어드레스 기억 장치에 기억된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상 기 오프(off)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송신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 블록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용 컨트롤러는, 업 명령 또는 다운 명령을 포함하는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지정된 간격마다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 블록을 회전시키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의 정면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숨겨질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블록을 수용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지 범위의 중심축이 상기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후방으로 180°까지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블록을 수용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KR1020070036027A 2006-04-12 2007-04-12 적외선 센서 스위치 KR100875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0294 2006-04-12
JP2006110294A JP4640239B2 (ja) 2006-04-12 2006-04-12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801A true KR20070101801A (ko) 2007-10-17
KR100875950B1 KR100875950B1 (ko) 2008-12-26

Family

ID=3860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027A KR100875950B1 (ko) 2006-04-12 2007-04-12 적외선 센서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4576B2 (ko)
JP (1) JP4640239B2 (ko)
KR (1) KR100875950B1 (ko)
CN (1) CN101055819B (ko)
HK (1) HK1107725A1 (ko)
TW (1) TWI369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855B2 (ja) 2006-11-30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1369248B (zh) * 2007-08-16 2011-11-02 联想(北京)有限公司 自动控制终端的方法、系统及终端
JP4456628B2 (ja) * 2007-11-22 2010-04-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JP5156520B2 (ja) * 2008-07-28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CN102365560B (zh) 2009-01-27 2014-06-18 Xyz互动技术公司 用于单个和/或多个设备的测距、定向和/或定位的方法和装置
WO2015184530A1 (en) 2014-06-02 2015-12-10 Xyz Interactive Technologies Inc. Touch-less switching
CN101866151B (zh) * 2010-05-14 2013-08-14 东莞巨扬电器有限公司 红外线mcu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20127317A1 (en) * 2010-11-19 2012-05-24 Bea, Inc. Method and device to securely open and close a passageway or access point
EP3140823A1 (en) * 2014-05-08 2017-03-15 Tyco Fire & Security GmbH Dual-detector capacity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thereof
CA2963578A1 (en) 2014-10-07 2016-04-14 Xyz Interactive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orientation and positioning
CN104538218A (zh) * 2014-12-30 2015-04-22 广州视声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开关和开关组
DE102015102646A1 (de) * 2015-02-25 2016-08-25 Insta Elektro Gmbh Melder
DE102015102645A1 (de) * 2015-02-25 2016-08-25 Insta Elektro Gmbh Melder
US20170094069A1 (en) * 2015-09-24 2017-03-30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024B2 (ja) * 1989-09-09 1998-06-18 松下電工株式会社 光学機器のレンズの光軸調整装置および人体検知器
JP3002238B2 (ja) 1990-06-26 2000-01-24 松下電工株式会社 屋外用熱線感知式自動スイッチ
JPH05325753A (ja) * 1992-05-26 1993-1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感熱式自動スイッチ
JP3363174B2 (ja) * 1992-05-26 2003-01-08 松下電工株式会社 熱線式自動スイッチ
JP3217521B2 (ja) 1993-02-15 2001-10-09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熱線センサ用端末器
JP3496386B2 (ja) * 1996-02-15 2004-02-09 松下電工株式会社 熱線感知式自動スイッチ
JPH1070776A (ja) * 1996-08-27 1998-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熱線センサ用端末器
JPH11273880A (ja) * 1998-03-26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負荷制御装置
US6122678A (en) * 1998-05-18 2000-09-19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Local network based multiple sensor device with electrical load control means and with temperature sensor that is exposed to ambient air by diffusion
JP3740866B2 (ja) * 1998-10-26 2006-02-01 松下電工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US6100803A (en) * 1999-02-10 2000-08-08 Chang; Wen-Hsiang Infrared illuminative warning detector
JP3620347B2 (ja) 1999-06-15 2005-02-16 松下電工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US6781129B2 (en) * 2000-08-11 2004-08-24 Monte A. Leen Dual eye motion detector assembly
CN2454836Y (zh) * 2000-11-29 2001-10-17 郭赐福 红外线感应器
JP2003281983A (ja) * 2002-03-26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階段用センサ付き照明装置
JP3888286B2 (ja) 2002-10-28 2007-02-28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4062090B2 (ja) * 2002-12-24 2008-03-19 松下電工株式会社 人感センサユニット
AU2003901646A0 (en) * 2003-04-04 2003-05-01 Belight Corporation Pty Ltd Adaptor
JP2005135631A (ja) 2003-10-28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94576B2 (en) 2012-10-23
HK1107725A1 (en) 2008-04-11
CN101055819B (zh) 2010-07-21
JP2007287358A (ja) 2007-11-01
JP4640239B2 (ja) 2011-03-02
TW200746209A (en) 2007-12-16
TWI369704B (en) 2012-08-01
KR100875950B1 (ko) 2008-12-26
CN101055819A (zh) 2007-10-17
US20070241896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950B1 (ko) 적외선 센서 스위치
JP4915551B2 (ja) タイムスイッチ
US20050243549A1 (en) Remote position control of lighting unit
WO2012135202A1 (en) Modular lamp controller
JP4696849B2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JP2006304235A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及びそれに用いるハンドル部材
US6578980B1 (en) Socket device and switch device with luminescent device
JP5870292B2 (ja) 調光器
JP3888286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3757785B2 (ja) 自動引戸用センサユニットの構造
JPH11150772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端末器
JP2010257787A (ja) 電気機器
JP2003282277A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3171941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調光操作用監視端末器
JP2005044754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照度センサ装置
JP3440476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表示端末器
KR200172275Y1 (ko) 발광 창구조물
JP2742448B2 (ja) 遠隔制御用端末器
JPH0697797B2 (ja) 遠隔監視制御用端末器
JP2007274185A (ja) タイムスイッチ
JPH06284482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調光操作用端末器
JPH10302970A (ja) 照明制御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照明制御システム
JP2714159B2 (ja) 遠隔制御用端末器
JPH08237774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KR20200120227A (ko) 모서리 설치가 가능한 다기능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