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740A - 인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740A
KR20070098740A KR1020070031852A KR20070031852A KR20070098740A KR 20070098740 A KR20070098740 A KR 20070098740A KR 1020070031852 A KR1020070031852 A KR 1020070031852A KR 20070031852 A KR20070031852 A KR 20070031852A KR 20070098740 A KR20070098740 A KR 2007009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rinting
setting
setting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476B1 (ko
Inventor
다쯔로 우찌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9Restricting the usage of resources, e.g. usage or user levels, credit limit, consumables, special f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Indicating an illegal or impossible operation or selection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2Recording use, e.g. counting number of pages co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2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separate means, e.g. a server, a magnetic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인쇄 제한을 나타내는 인쇄 제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으로서, 인쇄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설정을 특정하는 특정 단계와, 상기 특정 단계에서 특정된 인쇄 설정과 인쇄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설정을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내로 하는 인쇄 설정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이 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 부정합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인쇄 시스템,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인쇄 제한, 부정합

Description

인쇄 시스템{PRINTING SYSTEM}
도 1은 종래 제안되어 있는 유저에 대한 출력 제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인증 서버(102)에 보존되어 있는 유저마다의 인증 정보 및 제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표.
도 3은 호스트 컴퓨터(101)로부터 인쇄를 행하고자 할 때에 인쇄 드라이버가 표시하는 다이얼로그의 GUI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 드라이버(703) 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호스트 컴퓨터(401)의 내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호스트 컴퓨터(401)에서의 인쇄 처리를 위한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설정 시의 상세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시의 상세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능 제한을 특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0에 나타낸 인쇄 기능의 제한예에 관한 프린터(403) 및 프린터 드라이버(703)에서 실현되는 대표적인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호스트 컴퓨터(401)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설정 정보의 변경의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 호스트 컴퓨터
402 : SA 서버
403 : 프린터
404 : 디렉토리 서버
405 : 관리 콘솔
501 : 설정 관리부
502 : 묘화 처리부
503 : 정합성 판정부
701 : 인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703 : 프린터 드라이버
704 : 시스템 스풀러
705 : 인쇄권 처리부
본 발명은 호스트 컴퓨터가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서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실제의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나 시스템의 초기 설치 비용뿐만 아니라, 인쇄 용지나 토너 등의 착색제와 같은 소모품의 비용을 포함한 총 소유 비용(Total Cost of Ownership)의 삭감이, 사무실 경비 삭감이나 지구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 대단히 주목받고 있다. 종래에는, 사무실에 프린터가 설치되어 있고, 네트워크에 액세스 가능한 경우에, 누구나 그 프린터를 사용한 인쇄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경우에는, 누구에게도 인쇄 제한이 걸리지 않고, 형적도 남지 않는다. 사용자가 제지당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 필요한 출력을 초과한 인쇄가 행해지는 일이 자주 있게 되어, 사무실 경비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수단으로서 TCP/IP에 있어서의 IP 어드레스 등의 어드레스 정보에 의한 인쇄 제한과, 제2 수단으로서 인쇄 로그의 취득에 의한 인쇄 매수의 관리를 실현하고 있는 인쇄 시스템을 포함한 다수의 수단이 실현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수단은 특정한 IP 어드레스를 제한한다는 매우 서투른 방법이어서, 특정한 유저의 출력 매수를 제한한다고 하는 상세한 관리는 행할 수 없다. 제2 수단에 따르면, 출력에 의해 로그를 남기는 것은 가능하지만, 관리자가 일일이 로그를 감시해서 부정한 인쇄가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데는 큰 인적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 수단은 TCO 삭감의 취지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50336호에서는, 유저마다 출력을 제한하는 유저 제한 기능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들에 대해서도 몇가지 해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20532호에서는, 기능 제한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프린터 드라이버의 인쇄 설정 다이얼로그 화면으로부터 선택할 수 없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쇄 시스템에서는 유저마다 인쇄 가능 매수를 제한하거나, 호스트 컴퓨터에서 인쇄 시에 이용되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기능을 제한한다. 이러한 종래의 인쇄 시스템에서는, 일방적으로 제한하는 쪽의 제한을 적용시키는 것에 주안을 두고 있었다.
종래, 제한을 거는 유저 또는 유저 그룹에 대하여 인쇄 설정의 예외를 인정 하지 않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제한 시스템의 기능 제한과 유저가 희망하는 기능이 서로 부정합을 일으킬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제한 시스템측의 설정으로 돌리거나(강제 인쇄), 인쇄 자체를 금지시키는(인쇄 중지) 등의 동작을 행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제한 시스템 환경 하에서는, 과도하게 인쇄 기능이 제한되기 때문에, 유저의 편리성이 희생된다.
강제 인쇄가 실행될 경우, 제한 시스템측의 제한을 우선하여 인쇄 설정으로 인쇄를 행하는 것이 되고, 그 결과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인쇄 결과가 출력됨으로써, 용지나 그 밖의 인쇄에 관한 불필요한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인쇄 중지가 행해질 경우, 제한 시스템측의 기능 제한과 유저가 희망하는 기능이 서로 부정합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용지나 인쇄에 관한 불필요한 비용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 장치가 원래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무의미한 설정이나 부정합한 설정을 유저에게 강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유저가 인쇄 장치의 설치 비용에 상당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인쇄 제한을 부과한 시스템에서 필요할 경우에는 특정한 설정을 허가하는 유연한 인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1 측면이다.
또한,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을 유저에 부과되어 있는 인쇄 제한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강제 양면 인쇄 설정을 유저에 부과할 경우, 양면 인쇄와 OHP를 동시에 설정할 수 없는 등의 조건을 포함하는 경합 조건에 들어맞는 경우가 있다. 인쇄 제한이 부과되는 시스템일지라도 해당 경합 조건을 고려한 현실적인 설정에 기초하는 인쇄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2 측면이다.
인쇄 제한을 나타내는 인쇄 제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에서, 인쇄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설정을 특정하는 특정부와, 상기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인쇄 설정과 인쇄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내로 되는 인쇄 설정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한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가 부정합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하는 실행부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효과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붙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한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전제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저마다의 출력 제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1001은 유저가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쇄하기 위한 호스트 컴퓨터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1002는 유저에 의한 인증 정보와 출력 제한 정보를 갖는 인증 서버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1003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자 사진 기술이나 잉크젯 기술 등의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의 용지에 인쇄하는 프린터를 나타낸다. 호스트 컴퓨터(1001)와 인증 서버(1002)와 프린터(1003)는 이더넷(등록상표) 등의 기술에 의한 네트워크(10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인증 서버(l002)에 보존되어 있는 유저마다의 인증 정보 및 제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에서, 각 행은 유저마다의 인증 정보 및 제한 정보를 기술하는, 유저의 엔트리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01은 유저명을 나타내고, 202는 패스워드를 나타내며, 202는 해당 유저가 이번 달에 인쇄 가능한 최대 매수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 번호 203은 해당 유저가 이번 달에 실제로 출력한 매수를 나타낸다. 패스워드(202)는 편의상 평문의 패스워드를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시큐러티의 형편상 패스워드가 누설되지 않도록 평문의 한 방향 해시값만을 저장해 둔다. 그리고, 그 해시값을 입력된 패스워드의 해시값과 비교함으로써 인증을 행하는 방법이 실시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동일하게 시큐러티의 형편상 관리자의 권한만으로도 읽기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참조 번호 211이 나타내는 행은 User1이라는 이름의 유저의 엔트리를 나타낸 다. 패스워드는 "Akd5sj4f"라는 문자열이다. 최대 매수는 500매인데, 이것은 User1에 대해서는 한달에 500매까지 인쇄가 허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쇄된 매수는 실제 인쇄 결과로 프린터에서 갱신되는 값이다. User1은 이번 달에 123매를 인쇄하였다. 마찬가지로, 참조 번호 212에 있어서, User2가 정의되어 있고, 참조 번호 213에 있어서, User3이 정의되어 있다. 참조 번호 214는 게스트 유저의 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게스트 유저는 패스워드가 없다. 최대 매수가 O인 것은 게스트 유저는 전혀 인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스트 유저의 허용 여부는 시스템 정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그러한 유저를 허용해도 되고 허용하지 않아도 된다.
유저는 호스트 컴퓨터(1001)에 로그온할 때에, 유저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이 정보는 인증 서버(1002)에 전해져, 인증 서버에서 유저명을 201과 대조하고, 패스워드를 202와 대조한다. 인증이 성공하면, 최대 매수와 인쇄된 매수를 호스트 컴퓨터(1O1)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User1로서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반환값으로서 최대 매수=500, 인쇄된 매수=123이 반환된다.
실제로 인쇄 잡을 행할 때에, 호스트 컴퓨터(1001)는 최대 매수=500, 인쇄된 매수=123을 고려하여, 500-123=377매까지 인쇄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고, 매수가 377매까지라면 인쇄를 허용한다. 또는, 인쇄 잡의 매수가 400매로 상한을 초과하고 있다면, 호스트 컴퓨터(1001)는 그것에 대한 어떤 조작을 행하도록 유저에게 경고한다. 도 3은 호스트 컴퓨터(1001)로부터 인쇄를 행하고자 할 때에 인쇄 드라이버가 표시하는 다이얼로그의 GUI도이다. 참조 번호 301은 다이얼로그를 나타내고, 302는 인쇄 실행을 지시하는 버튼을 나타내며, 303은 취소용 버튼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302를 누르면, 호스트 컴퓨터는 인쇄 잡의 출력 매수를 377매로 줄여서 인쇄를 행한다. 이 때, 남은 23매는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원하는 인쇄 결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참조 번호 303을 누르면, 호스트 컴퓨터는 인쇄 요구를 취소하므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우선, OHP 시트 미디어에 대한 인쇄를 예로 하여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OHP 시트 미디어에 대한 양면 인쇄는 급지 및 배지 기구 등의 프린터측의 제한이나 정착, 현상 등의 인쇄 장치측의 제한으로 인해 금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OHP 시트에 대한 양면 인쇄를 행한다고 하면, 인쇄를 단면 인쇄로 돌려서, 이 예의 대상으로 하는 유저는 제한 시스템에 의해 단면 인쇄 기능의 이용을 제한받는 것으로 한다.
유저가 OHP 시트에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는 호스트 PC로부터 인쇄 미디어 타입을 "OHP 시트"로 설정하여 통상적으로 인쇄를 행한다. 이 때, 인쇄면 모드는 "단면 인쇄"로 돌린다. 그러나, 제한 시스템에 의해 "단면 인쇄"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 시스템의 제한(양면 인쇄)을 우선시키면,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프린터의 처리에 의해 미디어 타입이 디폴트 설정(예를 들면, 보통지)으로 돌려진 인쇄를 행하게 된다. OHP 시트에 인쇄하고자 한 유저에게 있어서는 보통지에 인쇄되므로 의미없는 인쇄가 되어, 쓸데없는 용지나 인쇄에 관한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된다. 또한, 제한 시스템의 제한을 우선시킨 결과, 인쇄를 행할 수 없는 설정으로 된 경우에는 인쇄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대상인 유저에게 있어서는, OHP 시트에 대한 인쇄가 금지된 경우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인쇄를 행하는 프린터를 사용하는 유저의 대다수가 인쇄 기능 이용 제한이 걸려 있는 경우, 인쇄 기능은 단면 인쇄 기능이 허가된 극히 일부의 유저만을 위한 OHP 시트 인쇄 기능이 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OHP 시트에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를 설치하는 비용에 상당하는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사무실 등에서 다양한 인쇄 권한을 가진 복수의 유저가 유저 주위에 있는 환경에서는, 단면 인쇄 권한이 없는 유저는 단면 인쇄 권한이 있는 유저에게 OHP 시트에 대한 인쇄를 의뢰한다. 이것은 OHP 시트에의 인쇄 결과를 입수할 필요가 생겨서, 클라이언트 및 클라이언트의 업무에 원래 불필요했던 작업이 걸리게 되어, 관리 비용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체적인 예에서는, OHP 시트에의 인쇄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프린터의 기구상 허용할 수 없는 다른 조합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허용될 수 없는 설정의 조합은 출력하는 프린터마다 상이하다. 그 각각의 예에서도 전술한 예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참조 번호 401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쇄하기 위한 호스트 컴퓨터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2는 인쇄권 토큰을 호스트 컴퓨터에 분배하기 위한 SA(Security Agent) 서버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3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자 사진 기술이나 잉크젯 기술 등의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의 용지에 인쇄하는 프린터이다. 프린터(403)의 내부 구성은 도 14에도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4는 인쇄권 토큰 생성의 근원이 되는 인쇄 기능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탑재한 디렉토리 서버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5는 디렉토리 서버(404)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인 관리 콘솔을 나타낸다. 호스트 컴퓨터(401), SA 서버(402), 프린터(403), 디렉토리 서버(404), 관리 콘솔(405)은 이더넷(등록상표) 기술에 의해 네트워크(406)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참조 번호 401 내지 405가 나타내는 것들은 하나의 컴퓨터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참조 번호 401 내지 405가 나타내는 것들에 탑재되어 있는 기능 중 일부 기능은 하나의 컴퓨터에 탑재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반적인 컴퓨터인 호스트 컴퓨터(401)의 내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PU(101)는 ROM(l02), RAM(l03) 또는 외부 기억 장치(10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RAM(l03)은 CPU(10l)가 각종 처리를 행할 때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된다. 외부 기억 장치(105)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키보드(104) 또는 마우스(도시 생략) 등의 입력 장치는 유저가 각종 지시를 내리기 위한 장치이다. 네트워크 I/F(l06) 및 프린터 I/F(l07)는 이더넷(등록상표) 또는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레이저빔 프린터(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모니터 I/F(l08)는 모니터에 접속하여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모니터 I/F(l08)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프린터 드라이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참조 번호 110은 공통 데이터 버스를 나타낸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CPU(101)에 의해 실행되어, 참조 번호 401이 나타내는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7은 호스트 컴퓨터(401)에서의 인쇄 처리를 위한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호스트 컴퓨터(401)은 도 1의 호스트 컴퓨터(1001)에 대응한다. 인증 서버(1002)는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능을 제외하고는 하드웨어 구성이 유사하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 그래픽 엔진(702), 프린터 드라이버(703) 및 시스템 스풀러(704)는 외부 메모리(11)에 보존된 파일로서 존재한다. 이것들은 OS나 그 OS 모듈을 이용하는 모듈에 의해 RAM(2)에 로드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 및 프린터 드라이버(703)는 외부 메모리(11)의 FD나 CD-ROM(도시 생략), 또는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경유해서 외부 메모리(11)의 HD에 추가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11)에 보존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은 RAM(2)에 로드되어 실행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으로부터 프린터(403)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때는,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RAM(2)에 로드되고 이용 가능한 그래픽 엔진(702)을 이용해서 출력(묘화)을 행한다. 그래픽 엔진(702)은 프린터 등의 프린터마다에 준비된 프린터 드라이버(703)를 외부 메모리(11)로부터 RAM(2)에 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의 출력을 프린터 드라이버(703)에 설정한다. 또한, 그래픽 엔진(702)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으로부터 수신하는 GDI(Graphic Device Interface) 함수를 DDI(Device Driver Interface) 함수로 변환하고, 그것을 프린터 드라이버(703)에 출력한다. 프린터 드라이버(703)는 그래픽 엔진(702)으로부터 수신한 DDI 함수에 기초하여, 그것을 프린터가 인식 가능한 제어 커맨드인 PDL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PDL 데이터는 OS에 의해 RAM(2)에 로드된 시스템 스풀러(704)를 통해 인터페이스(21)를 경유해서 프린터(403)에 인쇄 잡으로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은 프린터 드라이버(403) 내에 인쇄권 처리부(705)를 갖는다. 인쇄권 처리부(705)는 프린터 드라이버(703)의 빌드인 모듈이거나, 개별 인스톨레이션에 의해 추가되는 라이브러리 모듈의 형식일 수도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703)가 인쇄용으로 실행되면, 인쇄권 처리부(705)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로드된다. 인쇄권 처리부(705)가 로드되면, 그것은 인쇄 기능 제한에 필요한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401) 상에서 수집하고, 그 정보를 SA 서버(402)에 송신한다. 그러면, 인쇄권 처리부(705)는 SA 서버로부터 응답으로서 인쇄권 토큰을 수신한다. 프린터 드라이버(703)는 인쇄권 처리부(705)가 수신한 인쇄권 토큰에 따라 PDL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것을 시스템 스풀러(704)에 송신한다. 이 PDL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스풀러(704)를 통해 인터페이스(21)를 경유해서 프린터(403)에 인쇄 잡으로서 출력된다. 즉, 인쇄 지시에 따라,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도 8 및 도 9의 처리가 행해진 인쇄 설정이 이루어진 잡이 프린터 드라이버(703)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7의 프린터 드라이버(703) 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설정 관리부(501)는 인쇄에 관한 설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인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으로부터의 인쇄 설정 요구에 따라서 인쇄 대상의 프린 터(403)에 관한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하여 반환한다. 또한, 설정 관리부(501)는 인쇄 설정용 GUI를 유지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을 통해서 유저에게 인쇄 설정을 변경하는 수단으로서 그 GUI를 제공한다.
묘화 처리부(502)는 인쇄 잡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래서, 묘화 처리부(502)는 인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으로부터 GDI(702)를 통해서 받은 인쇄 설정 정보 및 묘화 정보를 해석한다. 그리고, 그 정보를 인쇄 대상의 프린터(403)가 이해 가능한 형식의 PDL로 변환하고, 시스템 스풀러(704)를 통해서 프린터(403)에 인쇄 잡을 발행한다.
정합성 판정부(503)는 설정 관리부(501) 및 묘화 처리부(502)에서 취급하는 인쇄 설정 정보에 대해서, 인쇄 설정 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각각의 인쇄 설정 항목에 대한 정합성을 체크하여, 허용 가능한 인쇄 설정의 조합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 정합성 체크 처리로는 적어도 2 종류의 처리를 지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첫째는 단순히 정합성의 체크만을 행하여 정합성의 판정만을 행하는 처리(정합 판정 처리)이다. 둘째는 정합성의 체크를 행한 후, 부정합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별도 규정되는 설정 항목의 우선 순위 및 설정 항목에 대한 규정값에 따라서 정합성이 있는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하는 처리(설정 라운딩 처리)이다.
인쇄권 처리부(7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권 토큰 획득에 필요한 정보를 SA 서버(402)에 송신하고, 인쇄권 토큰을 SA 서버(402)로부터 수신한다. SA 서버는 유저마다에 송신할 인쇄권 토큰 정보를 저장한다. SA 서버는 인쇄권 처리부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발행자에 대응하는 유저 정보를 취득한다. 인쇄권 처리 부(705)는 이 정보를 SA 서버에 송신한다. SA 서버는 디렉토리 서버(304)와 통신하여, 유저가 정당한 유저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SA 서버는 패스워드, 유저 ID 및 도메인명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디렉토리 서버에 송신한다. 디렉토리 서버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가 정당한 유저인지의 여부를 SA 서버에 통지한다. SA 서버는 디렉토리 서버로부터 유저가 정당한 유저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유저에 대응하는 인쇄권 토큰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인쇄권 토큰을 인쇄권 처리부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권 토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기능 제한을 특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후술하는 완화 인쇄를 행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0의 기능 제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면 인쇄 제한은 인쇄 미디어의 한면에만 인쇄를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을 허가하지 않으면, 인쇄 미디어의 양면(표면과 이면)에 인쇄를 행하기 때문에, 인쇄 미디어에 대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컬러 인쇄 제한은 컬러 인쇄를 허가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을 허가하지 않으면, 모노크롬 인쇄만이 행해지기 때문에, 잉크 또는 토너 비용이나 컬러 인쇄에 대한 과금을 삭감할 수 있다. 인쇄 레이아웃 제한은 NUP 인쇄에 대한 제한의 유무와 제한이 있을 경우에는 제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3개의 값을 설정 가능하다.
NUP 인쇄는 N 페이지분의 인쇄 데이터를 축소하여 1 페이지 내에 배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N 값은 1(1×1), 2(1×2), 4(2×2), 6(2x3), 8(2×4), 9(3×3), 16(4×4) 등의 n×m(n, m은 1 이상의 정수)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면, 1UP는 1매의 용지에 1 페이지의 정보를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2UP는 1매의 용지에 2 페이지의 정보를 배치하는 레이아웃을 의미한다. "제한 없음"에서는, 어떠한 인쇄 레이아웃에 대해서도 인쇄 제한을 행하지 않는다. "1UP 불가"에서는, 1UP 인쇄만을 불허가하고, 2UP 이상의 인쇄는 허가한다.
"1∼2UP 불가"에서는, 1UP, 2UP 인쇄만을 불허가하고, 4UP 이상의 인쇄는 허가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중심인 완화 인쇄에 대해서 설명한다. 완화 인쇄는 인쇄 대상인 제한 시스템이 규정하는 기능 제한이 적용되어, 다른 제한에 의해 인쇄를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인쇄 대상인 제한 시스템의 기능 제한을 일시적으로 완화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인쇄 방법을 의미한다. 인쇄권 처리부(705)는 SA 서버(402)로부터 완화 인쇄를 행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도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인쇄 설정 시의 상세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으로부터 설정 관리부(501)에 대하여 인쇄 설정 정보가 요구된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801은 유저의 인쇄 설정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이 스스로 인쇄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변경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프린터(403)가 처리할 수 있는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하는 동작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 의 지시에 따라, 인쇄 설정을 위한 GUI를 표시하고, 유저에 의한 인쇄 설정의 변경을 받는다. 이것을 출력 대상의 프린터(403)가 처리할 수 있는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하는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내부적으로는 정합성 판정부(503)를 이용하여 출력 대상의 프린터(403)가 처리할 수 있는 인쇄 설정 정보("설정 B")를 작성한다. 여기서 작성된 "설정 B"는 이후의 단계를 위해서 "설정 Bo"로서 기억 영역에 보존된다.
이 단계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API를 이용하여, 출력 대상의 프린터(403)가 처리할 수 있는 인쇄 설정 정보("설정 B")를 작성한다.
단계 S802에서는, 인쇄권 처리부(705)를 이용하여, SA 서버(402)로부터 취득한 인쇄권 토큰으로부터 인쇄 기능 제한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제한 A")와, 완화 인쇄를 행할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제한되는 제한 항목의 수를 산출하여, 워크 에어리어에 "n"으로서 보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 A"가 도 10에서 나타낸 복수의 제한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는 유효한 제한 항목의 수("n")(n은 0 이상의 정수)라고 했을 경우, 각각의 제한 항목을 "An"(n=1, 2, 3, …)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단계 S803에서는, 유효한 제한 항목의 수("n")가 0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n이 0이면, 단계 S809로 진행하고, n이 0이 아니면, 다음 단계 S804로 진행한다.
단계 S804는 하나의 제한 항목을 적용한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이 다. 즉, 제한 항목 "An"을 "설정 B"에 적용한 "설정 B'"를 워크 에어리어에 작성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인쇄가 "불허가"인 경우에는, "설정 B"의 인쇄면 모드를 "양면 인쇄"로 대체한 "설정 B'"를 작성한다.
단계 S805에서는, 단계 S804에서 작성한 하나의 제한 항목을 적용한 인쇄 설정 정보가 인쇄 가능한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먼저 작성한 "설정 B'"를 이용하여, 정합성 판정부(503)의 정합성 판정 처리를 호출한다. 그 결과, 정합성 판정부(503)로부터 "정합성 있음"의 값이 반환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806으로 진행한다. "정합성 없음"의 값이 반환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807로 진행한다. 즉, S805에서는, 정합성 판정부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정합성의 유무를 판정한다.
단계 S806에서는, 단계 S804에서 작성한 하나의 제한 항목을 적용한 인쇄 설정 정보가 정합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이 설정을 일시적으로 인쇄 설정 정보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설정 B'"의 내용을 "설정 B"에 복사한다. 그리고, S808로 진행한다.
단계 S807에서는, 전술한 완화 인쇄 처리가 허가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입력이나 외부 파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는 플래그 정보를 이용한다. 완화 인쇄를 허가하는지의 여부의 설정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단계 S802에서 판독하고, 인쇄권 처리부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
단계 S802에서 먼저 취득한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완화 인쇄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02에서,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808로 진행한다. 인쇄 설정 정보 설정 처리는 계속 유지된다. 즉, "설정 B'"의 내용을 "설정 B"에 기입한다.
완화 인쇄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단계 S807에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8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810에서는, 인쇄 설정 불가 또는 인쇄 설정이 강제된 취지를 유저에 통지한다. 하나의 제한 항목("An")을 인쇄 설정 정보에 반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 것으로 된다.
단계 S805에서 인쇄 설정 정보("설정 B'")가 정합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한 항목("An")이 반영되고, 정합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한 항목("An")은 반영되지 않는다.
단계 S808에서는, 다음 대상의 제한 항목으로 진행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즉, "n" 값으로부터 1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n" 값으로 하고, 단계 S80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809에서는, 본 처리를 통해서 확정한 인쇄 설정 정보("설정 B")를 인쇄 설정 가능한 정보로서 요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에 반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설정 Bo"와 "설정 B"의 차분의 설정 항목, 즉 본 인쇄 기능 제한 시스템에 의해 강제된 설정 항목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S810에서는, 본 처리의 결과, 인쇄 설정 정보로서 유효한 설정을 구축할 수 없는 경우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인쇄 기능 제한 시스템의 제한에 의해 인쇄를 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유저에게 표시하고, 단계 S801에서 먼저 보존되어 있는 "설정 Bo"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에 반환한다. 대안적으로, "설정 Bo"에 대하여 모든 기능 제한(A1, A2 내지 An)을 반영한 인쇄 설정 정보(설정 Ba)를 작성한다. 그리고, 그 정보를 인쇄 설정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에 반환할 수도 있다. 동시에, "설정 Bo"와 설정 "Ba"의 차분의 설정 항목, 즉 본 인쇄 기능 제한 시스템에 의해 제한된 설정 항목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하는 처리를 설명하였다. 단계 S810에서는, 잡을 취소하여 처리를 종료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A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인쇄권이 유저 A에 대해서는 단면 인쇄 불허가(즉, 강제 양면 인쇄)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드라이버에 대해서는 완화 인쇄 허가, 즉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부정합 발생 시의 양면 인쇄에 대한 완화 인쇄는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유저가 단면 인쇄 설정과 OHP 시트의 미디어를 지정하고 설정을 확정하여, 잡에 대한 인쇄 지시를 발행한 것으로 한다(S801). 그러면, 단계 S802에서 드라이버에 입력된 완화 인쇄 플래그가 판독된다. 편의상, OHP 설정과 단면 설정만이 설정된 것으로 한다. 여기서, OHP는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도 8의 처리의 대상이 되지 않고, 설정이 계속된다. 따라서, N=1이 되고, 양면 인쇄 설정에 대해서 도 8의 처리가 실행된다(S803에서 아니오). 여기에서는, 단계 S804에서, 단면 인쇄 설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토큰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단계 S804에서는, 설정 B'로서 양면 인쇄가 준비된다. 여기에서, 인쇄권 처리부는 OHP 및 양면 인쇄의 설정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정합성 판정부를 호출한다.
정합성 판정부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합 룰을 유지하고 있다. 정합성 판정부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OHP 시트 및 카드보드를 포함하는 미디어는 양면 인쇄가 불가능하다는 룰에 저촉되는 것을 검출한다. 정합성 판정부는 OHP 시트와 양면 인쇄는 양립할 수 없다는 취지를 인쇄권 처리부에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인쇄권 처리부는 정합성 판정부로부터 반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805의 판정을 행한다. 여기서, 인쇄권 처리부는 양면 인쇄와 OHP는 양립할 수 없다는 설정인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 S805에서 아니오로 판정된다. 단계 S807로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 S807에서는, 부정합으로 판정된 양면 인쇄의 완화 인쇄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완화 인쇄가 허가되는지의 여부를 정의하는 테이블은 미리 유저에 입력되어 있다. 단계 S807의 처리는 그 테이블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단계 S807에서는, 그 테이블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어 있으므로, 부정합 상태 하의 양면 인쇄의 완화 인쇄는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단계 S807에서는, 양면 인쇄를 완화하고, 단면 인쇄를 설정 B로서 유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양면 인쇄 처리가 강제되는 경우에는, OHP에 대하여 양면 인쇄가 절대적으로 강제된다. 이 경우에는, 유저 또는 관리자에 대하여 경고의 통지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잡을 취소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HP와 양면 인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양면 설정과 제본 설정의 조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제본의 경우에는, 양면 인쇄가 완화된다. 도 11에 나타낸 조합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 양면 인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특정한 사이즈 이하의 사이즈에 대해서는 양면 인쇄를 완화할 수도 있다. 도 11의 제본에 대해서는, 양면 인쇄 및 2UP 인쇄 중 어느 하나만을 불허가하는 것으로 제한된 경우에는 실현할 수 없다. 따라서, 제본 인쇄를 허가하도록 요망되고 있는 경우에는, 완화 인쇄로서 2UP와 양면 인쇄를 모두 허가하도록 완화 인쇄를 행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인쇄 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쇄 시의 상세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으로부터 묘화 처리부(502)에 인쇄 설정 정보와 함께 묘화 정보가 전달된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흐름은 인쇄 설정 시의 것(도 8)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인쇄 시 특유한 처리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인쇄 설정 시에 도 8에 나타낸 흐름을 우선 실시한다. 이 흐름에 따라 작성된 인쇄 설정 정보가 묘화 처리부(502)에 전달되는 것이라면, 인쇄 설정 시에 본 발명에 관한 처리는 행할 필요가 없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의 인쇄 플로우에 따라서는, 인쇄 설정 관리부(501)로부터는 디폴트 설정을 입수할 뿐, 독자적으로 인쇄 설정 정보를 재기입하고, 묘화 처리부(502)에 인쇄 설정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인쇄 시에도 인쇄 설정 시와 거의 동일한 처리를 실시 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901은 유저의 인쇄 설정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으로부터 전달된 인쇄 설정 정보를 정합성 판정부(503)에 전달하고, 출력 대상의 프린터(403)가 처리할 수 있는 인쇄 설정 정보("설정 B")를 작성한다.
여기서 작성된 "설정 B"를 이후의 단계를 위해서 "설정 Bo"로서 기억 영역에 보존할 수도 있다.
단계 S902에서는, 인쇄권 처리부(705)를 이용하여, SA 서버(402)로부터 취득한 인쇄권 토큰으로부터 인쇄 기능 제한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제한 A")와, 완화 인쇄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또 제한된 제한 항목의 수를 산출하고, 워크 에어리어에 "n"으로서 보존한다.
단계 S903에서는, 유효한 제한 항목의 수("n")가 0이 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 수가 0이면, 단계 S909로 진행하고, 그 수가 0이 아니면, 다음 단계 S904로 진행한다.
단계 S904는 하나의 제한 항목을 적용한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즉, 제한 항목 "An"을 "설정 B"에 적용한 "설정 B'"를 워크 에어리어에 작성한다.
단계 S905는 단계 S904에서 작성한 하나의 제한 항목을 적용한 인쇄 설정 정보가 인쇄 가능한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먼저 작성한 "설정 B'"에 대해서 정합성 판정부(503)가 정합 성 판정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정합성 있음"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906으로 진행하고, "정합성 없음"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907로 진행한다.
단계 S906에서는, 단계 S904에서 작성한 하나의 제한 항목을 적용한 인쇄 설정 정보가 정합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이 설정을 일시적으로 인쇄 설정 정보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설정 B'"의 내용을 "설정 B"에 복사한다.
단계 S907에서는 전술한 완화 인쇄 처리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에 따라 단계 S902에서 먼저 취득한 완화 인쇄가 허가되어 있다면, 단계 S908로 진행하고, 인쇄 처리는 계속되지만, 허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10으로 진행하여, 인쇄를 중지하거나 강제 설정으로 인쇄를 계속한다.
단계 S908에서는, 제한 항목을 다음으로 진행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즉, "n" 값으로부터 1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n" 값으로 하여, 단계 S90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909에서는, 본 처리에 의해 확정된 인쇄 설정 정보("설정 B")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이 발행하는 묘화 정보를 프린터(403)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PDL)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 형식을 시스템 스풀러(502)에 기입하는 것으로 인쇄 처리를 계속한다.
여기서는, "설정 Bo"와 "설정 B"의 차분의 설정 항목, 즉 인쇄 기능 제한 시스템에 의해 강제된 설정 항목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S910에서는, 본 처리의 결과, 인쇄 설정 정보로서 유효한 설정을 구축할 수 없는 경우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인쇄 기능 제한 시스템의 제한에 의해 인쇄를 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유저에게 표시하고, 인쇄를 중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설정 Bo"에 대하여 모든 기능 제한을 반영한 인쇄 설정 정보("설정 Ba")를 작성하고, 이것을 인쇄 설정 정보로 이용하여 강제 인쇄 처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이 발행하는 묘화 정보를 프린터(403)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것을 시스템 스풀러(502)에 기입한다.)를 행한다. 또한, "설정 Bo"와 "설정 Ba"의 차분의 설정 항목, 즉 인쇄 기능 제한 시스템에 의해 제한된 설정 항목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인쇄 시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도 10에 나타낸 인쇄 기능의 제한 예에 관계가 있는 프린터(403) 및 프린터 드라이버(703)에서 실현되는 대표적인 기능의 일례를 도 11에 나타낸다.
이하 대표적인 기능을 예로 들어서 도 10에 나타낸 인쇄 기능의 제한 항목이 정합성 판정부(503)의 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디어 타입(인쇄 매체)의 경우, OHP 시트나 카드보드 등의 미디어에 대해서는 프린터(403)의 기구상 양면 인쇄를 행할 수 없다. 즉, 본 제한 시스템에서 단면 인쇄가 "불허가"로 되어 있으면, 미디어 타입이 OHP 시트나 카드보드인 경우에, 정합성 판정부(503)는 부정합으로 판정한다. 즉, OHP 시트나 카드보드가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으면, 인쇄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양면 설정이 강제되는 경우 에, 그 미디어에 대한 인쇄를 할 수 없게 된다. 그 경우에는, 경고를 발행하여 잡를 취소하거나, 양면 인쇄를 완화하여 인쇄를 속행하게 된다.
또한, 특정한 사이즈 이하 또는 다른 특정한 사이즈 이상의 미디어에 대해서는 프린터(403)의 양면 인쇄 기구상 인쇄를 행할 수 없다. 즉, 본 제한 시스템에서 단면 인쇄가 "불허가"로 설정되어 있으면, 미디어 사이즈가 특정한 사이즈 이하 또는 다른 특정한 사이즈 이상인 경우에, 정합성 판정부(503)는 부정합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본 인쇄는 인쇄 미디어의 양면에 2UP 인쇄를 행하고, 배지된 미디어를 함께 중앙에서 두번 접어 책자를 만드는 인쇄 타입이다. 제본 인쇄에서는 페이지 순서를 논리적으로 제어한다. 제본 인쇄에서는 레이아웃을 2UP에 고정하고, 인쇄면 모드를 양면 인쇄에 고정한다. 즉, 본 제한 시스템에서 단면 인쇄가 "불허가"로 되어 있거나, 레이아웃이 "1UP 불가" 또는 "1∼2UP 불가"로 되어 있는 경우, 정합성 판정부(503)는 부정합으로 판정한다.
포스터 인쇄는 입력된 논리적인 페이지의 인쇄 데이터를 확대하고, 그 데이터를 복수의 물리적인 페이지로 분할하여, 미디어의 한 면에 인쇄하고, 인쇄된 물리적인 페이지들을 접합시켜 큰 논리적인 페이지의 화상(2×2, 3×3, 4×4 등의 설정이 일반적임)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이다.
포스터 인쇄는 1/NUP(N분의 1UP)로서 분류할 수 있다. 즉, 본 제한 시스템에서 단면 인쇄가 "불허가」"로 되어 있거나, 레이아웃이 "1UP 불가" 또는 "1∼2UP불가"로 되어 있는 경우, 정합성 판정부(503)는 부정합으로 판정한다. 완화 인쇄 에 대해서는 단면 인쇄를 허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워터마크는 인쇄 화상에 특정한 정보를 갖은 불가시 화상이나 패턴을 매립하는 기능이다. 화상이나 패턴의 불가시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컬러 인쇄 모드에서 매우 엷은 색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즉, 본 제한 시스템에서 컬러 인쇄가 "불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 정합성 판정부(503)는 부정합으로 판정한다. 완화 인쇄에서는 컬러 인쇄를 허가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것들은 단순히 예로 든 것으로, 일반적으로 경합하는 설정에 관한 경합 룰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린터(403) 및 프린터 드라이버(703)의 제한에 의해 인쇄를 행할 수 없게 된 경우의 완화 인쇄에 관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의 제한 시스템에 대치하는 제한은 프린터(403)의 제한과 프린터 드라이버(703)의 제한 어느 쪽에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제한 시스템과 동일 또는 전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쇄 기능을 제한하는 타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한 시스템의 완화 인쇄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호스트 컴퓨터(401) 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프린터 드라이버(703) 내에 타 시스템 확장부(706)를 추가한 점에서 도 7의 구성과는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타 시스템 확장부(706)는 프린터 드라이버(703)의 빌드인 모듈이거나 개별의 인스톨레이션에 의해 추가되는 라이브러리 모듈의 형식일 수도 있다. 타 시스템 확장부(706)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쇄 기능을 제한하기 위해 프린터 드라이버(701)와 협력해서 인쇄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동작을 행한다.
타 시스템 확장부(706)는 도 8의 단계 S801과 도 9의 단계 S901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에서 동작하고, 정합성 판정부(503)와 협력해서 타 시스템의 목적에 따른 인쇄 설정 정보를 확정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설정 정보의 변경의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를 참조하여 인쇄 설정 정보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1)이 작성한 인쇄 설정 정보는 프린터 드라이버(703)에 전달된다. 그러면, 프린터 드라이버(703)와 타 제한 시스템의 타 시스템 확장부(706)가 서로 협력해서 동작 개시하여, 타 시스템 제한이 적용된 인쇄 설정 정보를 작성한다. 작성된 인쇄 설정 정보는 도 8의 단계 S801 및 도 9의 단계 S901에서 확정된 인쇄 설정 정보(설정 B)가 되고, 본 발명의 제한 시스템에서 취급된다. 이후,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화 인쇄를 포함하는 본 제한 시스템의 제한을 적용하여 인쇄 기능을 제한한다.
타 시스템의 예로서, 패턴 인쇄 기능을 설명한다. 패턴 인쇄에서는 극도로 해상도에 의존하는 패턴의 묘화를 행하도록 인쇄 해상도를 고정하기 위해서 인쇄 설정 정보를 강제한다.
전술한 것들은 단지 예로 든 것이며,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린터 드라이버(703)와 협력해서 인쇄 설정 정보를 강제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시스템을 이용해도 된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이나 도 9에서와 같이 부정합한 설정의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것을 보증하지 않는 시스템도 있다. 도 1의 프린터(403)는 복합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프린터(403)가 화상 형성 장치(1400)에 대응한다. 통신 회선(1044)은 도 4의 참조 번호 406이 나타내는 것에 대응한다. 다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잡은 부정합한 설정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그 잡이 부정합한 설정은 아니더라도, 장치에 인쇄 제한을 맡기는 경우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400)는 화상 입력 장치에 접속된 프린터 컨트롤러부(1040), 조작 패널(1041) 및 프린터 엔진부(1042)를 갖는다. 조작 패널(1041)은 화상 형성 장치의 현 상태를 알리고, 인쇄 모드를 선택하며, 각종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것이다. 엔진부(1042)는 잉크젯 프린터가 실시될 때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것이다. 프린터 컨트롤러부(1040)는 각종 정보, 예를 들면 이용 가능한 화상 입력 장치의 종류, 버전, 화상 처리 정보, 인쇄 모드, 데이터 처리 방법, 조작 방법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이 로드되는 RAM(1401)을 포함한다. 이 제어 프로그램은 재기입 가능한 비휘발성 ROM(1401)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컨트롤러부는 상기 ROM(1401 및 1402)에 있는 정보에 의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14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1404)의 워크 메모리 입력 데이터의 입력 버퍼 및 인쇄 데이터용의 인쇄 버퍼의 용도로도 RAM(1401)을 이용한다. 상기 프린터 컨트롤러부는 상기 엔진(1042)과 커맨드, 스테이터스 또는 인쇄 데이터를 교환하는 엔진 인터페이스(1406)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 컨트롤러부는 또한 상기 조작 패널(1041)과의 교환을 행하는 패 널 인터페이스(1405)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 컨트롤러부는 화상 입력 장치(1043)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데이터용 인터페이스(1407)를 갖는다. 외부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1408)를 이용한 통신 회선(1044)과의 접속은 IEEE 1394 등의 케이블에 의한 접속이거나, 적외선(IrDA) 등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접속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이 비휘발성 ROM(1403)에 저장된다. 비휘발성 ROM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CPU(1404)를 실행하여, 도 8의 처리를 실행한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완화 인쇄를 허가 또는 불허가를 지시하는 명령은 조작 패널(1041)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인쇄권 토큰은 통신 회선(1044)을 통해서 통신용 I/F(1408)가 SA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완화 인쇄를 허가하는 설정의 내용도 조작 패널(1041)로부터 입력되어, RAM 또는 비휘발성 ROM에 기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8은 프린터(401)가 잡을 처리할 때 실행된다. 우선, 잡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설정을 확정하고, 전술한 ROM 또는 RAM에 저장되어 있는 완화 인쇄의 허가 또는 불허가를 단계 S802에서 취득한다.
이후의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 처리는 설치된 제어 프로그램 하에서 CPU(1404)가 실행한다. 도 8의 처리가 종료하고, 유효한 인쇄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CPU(1404)는 해당 인쇄 설정을 이용하여 도 8의 처리를 행한 잡 데이터를 처리한다. 엔진 I/F(1406)는 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비트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엔진(1042)에 전송하고, 엔진(1042)은 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한다.
<기타의 실시예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8 및 도 9 등의 기능을 실행하는 호스트 컴퓨터(401) 및 프린터(403)에 있어서의 각 처리 기능은 그 처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CPU(중앙 처리 장치)가 그것을 실행함으로써 그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모리는 광 자기 디스크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나, CD-ROM 등의 판독만 가능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RAM 이외의 휘발성 메모리나, 이들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에 의한 컴퓨터 판독 및 기입 가능한 기록 매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호스트 컴퓨터(401), 인증 서버(402) 및 프린터(403) 내의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은 OS나 주변 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그 프로그램을 기입시킨다. 또한,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행하여, 그 처리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렉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휴대형 매체와,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송신된다. 이 경우, 서버나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담당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등에 저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통해서 또는 전송 매체 중의 전송파에 의해 타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통신망)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통신선)과 같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매체를 의미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과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조합, 즉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등의 프로그램 제품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적용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 기록 매체, 전송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제한을 나타내는 인쇄 제한 정보를 이용해서 인쇄 처리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일례로서, 호스트 컴퓨터(401) 및 프린터(403)를 설명하였다.
인쇄권 처리부는 CPU를 실행하고, 인쇄 제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인쇄권 처리부는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설정을 특정한다. 특정된 인쇄 설정과 인쇄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설정을 상기 인쇄 권한정보의 범위 내로 하는 인쇄 설정을 결정한다.
인쇄권 처리부(705)는 정합성 판정부를 이용하여,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이 되는지를 판정한다.
부정합으로 판정된 경우에, 인쇄권 처리부는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한다. 상기 처리는 프린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 내의 CPU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 하는지의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부의 일례로서, 키보드(104) 및 조작 패널(1041)을 개시하였다.
인쇄 권한 정보의 일례로서는 도 10의 토큰이 있다. 그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하지 않는 취지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이 되는 경우에는, 도 14에서 참조 번호 1041로 나타낸 도 6의 모니터나 전자 메일 통지를 이용해서 경고한다.
또한, 미리 인쇄 설정을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부정합 설정이 상기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인쇄 설정과 관련되는 경우에, 인쇄권 처리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인쇄 설정을 허가할 수도 있다. 즉, 완화 인쇄로서 양면 인쇄의 완화가 설정되어 있거나, 단면 인쇄 허가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당 설정을 허가할 수도 있다. 경합이 설정되는 도 11의 좌단 열의 설정마다, 완화 인쇄의 허가 여부를 지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한 인쇄를 완화할 수 있다.
포스터, 제본, OHP, 카드보드, 디지털 워터마크 및 미디어 사이즈에 관한 설정이 이루어지고, 다른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 상기 판정부가 부정합으로 판정하면, 인쇄권 처리부는 상기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도 그것을 허가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가지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제한을 부과한 시스템에서 필요할 경우에는 특정한 설정을 허가하는 유연한 인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인쇄 제한을 나타내는 인쇄 제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로서,
    인쇄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설정을 특정하는 특정부와,
    상기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인쇄 설정과 인쇄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설정을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내로 하는 인쇄 설정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이 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가 부정합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하는 실행부
    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가 부정합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특정한 설정에 대하여 허가하는지의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하지 않는 취지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경우에,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이 되는 것으로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는, 경고하는 경고부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인쇄 권한 정보를 관리 장치와 통신하여 취득하는 인쇄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결정부가, 상기 인쇄 제한 정보가 양면 인쇄를 강제하는 경우에, 양면 인쇄와 부정합이 되는 설정을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하는 경우에는, 부정합으로 판정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인쇄 제한 정보가 양면 인쇄를 강제하더라도 단면 인쇄의 설정을 허가하는 인쇄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인쇄 설정을 등록하는 등록부
    를 더 포함하며,
    부정합으로 판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인쇄 설정과 관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부가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인쇄 설정을 허가하는 인쇄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포스터, 제본, OHP, 카드보드, 디지털 워터마크 및 미디어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판정부가 부정합으로 판정하면,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 있더라도, 상기 다른 인쇄 설정을 허가하는 인쇄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허가된 인쇄 설정을 따른 인쇄 데이터를 인쇄 엔진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부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허가된 인쇄 설정을 따른 인쇄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 해서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10. 인쇄 제한을 나타내는 인쇄 제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으로서,
    인쇄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설정을 특정하는 특정 단계와,
    상기 특정 단계에서 특정된 인쇄 설정과 인쇄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설정을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내로 하는 인쇄 설정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이 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 부정합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하는 실행 단계
    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에서 부정합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특정한 설정에 대하여 허가하는지의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설정을 허가하지 않는 취지가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과 부정합이 되는 것으로 상기 판정 단계에서 판정한 경우에는, 경고하는 경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단계에서는 상기 인쇄 권한 정보를 관리 장치와 통신하여 취득하는 인쇄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에서는,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인쇄 제한 정보가 양면 인쇄를 강제하는 경우에, 양면 인쇄와 부정합이 되는 설정을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하는 경우에는, 부정합으로 판정하고,
    상기 실행 단계에서는, 상기 인쇄 제한 정보가 양면 인쇄를 강제하더라도 단면 인쇄의 설정을 허가하는 인쇄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인쇄 설정을 등록하는 등록 단계
    를 더 포함하며,
    부정합으로 판정된 인쇄 설정이 상기 등록 단계에서 등록되어 있는 인쇄 설정과 관련되는 경우에, 상기 인쇄 제어 장치는 상기 실행 단계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서의 인쇄 설정을 허가하도록 하는 인쇄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에서는, 포스터, 제본, OHP, 카드보드, 디지털 워터마크 및 미디어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판정 단계에서 부정합으로 판정하면, 상기 인쇄 권한 정보의 범위 외에 있더라도, 상기 다른 인쇄 설정을 허가하는 인쇄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에서 허가된 인쇄 설정을 따른 인쇄 데이터를 인쇄 엔진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에서 허가된 인쇄 설정을 따른 인쇄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19.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특정한 장치를 제1항에 기재한 장치로서 기능시키게 하는 제어 프로그램.
KR1020070031852A 2006-03-31 2007-03-30 인쇄 시스템 KR100915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8004 2006-03-31
JP2006098004A JP4817930B2 (ja) 2006-03-31 2006-03-31 印刷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740A true KR20070098740A (ko) 2007-10-05
KR100915476B1 KR100915476B1 (ko) 2009-09-03

Family

ID=3822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852A KR100915476B1 (ko) 2006-03-31 2007-03-30 인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86525B2 (ko)
EP (1) EP1840727B1 (ko)
JP (1) JP4817930B2 (ko)
KR (1) KR100915476B1 (ko)
CN (1) CN10104673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64B1 (ko) 2007-08-10 2008-04-28 강재석 문서 출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8243300B2 (en) 2008-02-20 2012-08-14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system, printing method and printer which facilitate print management using authorization tok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5076B2 (ja) * 2006-03-3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機能制限方法及び印刷制御装置
JP4863475B2 (ja) * 2006-11-01 201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078332B2 (ja) * 2006-12-04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4974767B2 (ja) * 2007-06-01 2012-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限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20131B2 (ja) * 2008-03-14 2012-09-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44597A1 (en) * 2008-03-31 200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nt system for optimizing size based on remaining pages
JP5089464B2 (ja) * 2008-04-02 201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21640B2 (ja) * 2008-04-25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12164B2 (ja) * 2009-04-10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WO2011101784A1 (en) * 2010-02-16 2011-08-25 Tigertext Inc. A messaging system apparatuses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JP2011175544A (ja) * 2010-02-25 2011-09-08 Sharp Corp 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1183633A (ja) 2010-03-08 2011-09-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制御用プログラム
JP2012061759A (ja) * 2010-09-16 2012-03-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26664A (ja) * 2011-04-21 2012-11-1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印刷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56472A (ja) * 2011-09-08 2013-03-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582129B2 (ja) * 2011-11-25 2014-09-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リントサーバー、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84066B2 (ja) * 2013-02-25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70033B2 (ja) 2013-07-29 2018-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6010867A (ja) * 2014-06-27 2016-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65147B2 (en) * 2016-08-30 2018-12-25 Kabushiki Kaisha Toshiba Cloud data storing of property and setting data of image data
JP7071062B2 (ja) * 2017-04-28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画像形成装置、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9062455A (ja) * 2017-09-27 2019-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90037947A (ko) 2017-09-29 2019-04-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JP2019119089A (ja) 2017-12-28 201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07896B2 (ja) * 2018-08-10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5377B2 (ja) * 2019-05-30 2023-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309A (en) * 1975-12-15 1977-04-05 First-Sha Co., Ltd. Method for treating printed paper sheets for illuminated display
JPH07118769B2 (ja) * 1990-10-24 1995-1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3342218B2 (ja) * 1995-01-13 2002-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H08205126A (ja) * 1995-01-23 1996-08-09 Nikon Corp 画像伝送装置及び画像伝送システム
US5790119A (en) * 1995-10-30 1998-08-04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 job ticket in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JP3793270B2 (ja) * 1996-02-01 2006-07-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85419A (ja) * 1997-09-12 1999-03-30 Canon Inc プリンタ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US6052547A (en) * 1998-10-23 2000-04-18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etering printer/copier usage
WO2000068817A1 (en) * 1999-05-12 2000-11-16 Hewlett-Packard Company Generalized resource server
JP4786776B2 (ja) * 1999-12-13 2011-10-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R2802674B1 (fr) * 1999-12-21 2004-08-27 Bull Sa Dispositif et procede de controle d'acces a des ressources
JP2001188663A (ja) * 2000-01-04 2001-07-10 Ricoh Co Ltd プリント管理方法,プリンタシステムとそのユーザ用及び管理者用ホストコンピュータ,並びに記録媒体
ATE266291T1 (de) * 2000-06-16 2004-05-15 Nokia Corp Nachrichtendienstsystem und in einem derartigen system durchgeführtes verfahren
JP2002175166A (ja) * 2000-12-08 2002-06-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印刷システム
US7319532B2 (en) 2001-06-28 2008-01-1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printing embedded font
JP4095279B2 (ja) 2001-11-09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実行装置、ジョブ管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3196046A (ja) 2001-12-21 2003-07-11 Fuji Xerox Co Ltd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
JP4447817B2 (ja) 2002-01-16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26038B2 (ja) 2002-01-17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印刷方法並びに印刷装置
JP3875608B2 (ja) * 2002-09-04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対応印刷システム
US7230730B2 (en) * 2002-10-29 2007-06-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ve printing after consumable exhaustion
US6738587B1 (en) * 2002-11-25 2004-05-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int recommendation and control
US7136941B2 (en) * 2002-12-04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Print management architecture for computing devices having a set of filters functions wherein the functions are prevented from conflicting with one another
JP4368589B2 (ja) 2003-01-17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刷制御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JP4154254B2 (ja) * 2003-02-12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96242A (ja) * 2003-09-24 2005-04-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4266766B2 (ja) 2003-10-10 2009-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4497898B2 (ja) * 2003-11-17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93648A (ja) 2003-12-09 2005-07-21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24038B2 (ja) * 2004-03-31 2010-03-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管理システムおよび印刷管理装置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4160017B2 (ja) * 2004-06-10 2008-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805347B2 (ja) * 2004-09-02 2006-08-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制御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92363A (ja) 2004-09-24 2006-04-06 Canon Inc 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6110861A (ja) * 2004-10-14 2006-04-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60170957A1 (en) * 2005-02-03 2006-08-03 Kim Niebl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trol of computer printing features
JP4804164B2 (ja) * 2005-02-23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411294B2 (en) * 2006-01-17 2013-04-02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64B1 (ko) 2007-08-10 2008-04-28 강재석 문서 출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8243300B2 (en) 2008-02-20 2012-08-14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system, printing method and printer which facilitate print management using authorization tok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476B1 (ko) 2009-09-03
US20090003913A1 (en) 2009-01-01
EP1840727A2 (en) 2007-10-03
CN101046732B (zh) 2010-05-26
CN101046732A (zh) 2007-10-03
EP1840727B1 (en) 2017-08-02
JP4817930B2 (ja) 2011-11-16
EP1840727A3 (en) 2010-05-12
JP2007272602A (ja) 2007-10-18
US7686525B2 (en) 2010-03-30
US20070231038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476B1 (ko) 인쇄 시스템
JP4761538B2 (ja)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2880435B (zh) 打印装置及打印装置的控制方法
US81273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eripheral apparatus, and authority control system
JP4795076B2 (ja) 印刷機能制限方法及び印刷制御装置
JP5089464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99253A (ja)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US117339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etting a print setting value
JP2005141556A (ja) ジョブ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ジョブ管理方法、ジョブ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9075772A (ja) 印刷指示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71475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function limiting server
JP6025797B2 (ja) 画像形成装置、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52905B1 (ko) 출력문서보안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80100677A (ko) 프린터 출력물 모니터링 시스템
JP4168991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印刷制御方法
JP201013066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92543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8508782B2 (en) Method of securing printers against malicious software
JP5056598B2 (ja) 画像形成装置、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管理プログラム
US201102426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201119463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制御方法、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743281B2 (ja) 画像操作装置
JP2010186269A (ja)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4923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672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