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881A -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881A
KR20070093881A KR1020070024816A KR20070024816A KR20070093881A KR 20070093881 A KR20070093881 A KR 20070093881A KR 1020070024816 A KR1020070024816 A KR 1020070024816A KR 20070024816 A KR20070024816 A KR 20070024816A KR 20070093881 A KR20070093881 A KR 2007009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nergy leve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443B1 (ko
Inventor
장준기
전상영
김창환
김공겸
김지은
조욱동
전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7009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5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dop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1Aromatic anhydride or imide compounds, e.g. peryle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or perylene tetracarboxylic di-im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이들 2개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함께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유기발광소자, HOMO 에너지 레벨, LUMO 에너지 레벨, 정공주입, 정공수송

Description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IGH EFFICIENC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음극(1), 전자주입층(2)
전자수송층(3), 발광층(4)
정공수송층(5), 정공주입층(6)
양극(7)
본 발명은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에 LUMO 에너지 레벨이 낮은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고효율의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는 가해진 전압에 의해서 전류를 통하여 빛을 내는 전기소자이다. Tang. 등은 논문[Applied Physics Letters 51, p. 913, 1987]에서 좋은 특성의 유기발광소자를 보고하였다. 또한, 상기 논문에 개시된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를 이 용하면서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유기발광소자도 개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의 핵심은 유기발광소자가 빛을 내기 위한 과정, 즉 전하 주입, 전하 수송, 광 여기자 형성 및 빛의 발생들을 각각 다른 유기물층을 이용하여 역할 분담을 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극(7), 정공주입층(6), 정공수송층(5), 발광층(4), 전자수송층(3), 전자주입층(2), 음극(1)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세분화된 구조의 유기발광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구조 중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에 대하여는 기존의 유기물의 도전율(mo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른 물질을 도핑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0-196140호, 논문 [Applied Physics Letters, 73, p. 729-731, 1998], 논문 [Applied Physics Letters, 72, pp. 2147-2149, 1998] 미국 특허 제5,093,698호, 국제 특허 공개 WO 01/67825}.
상기 문헌들은 도핑에 의하여 단순히 전하수송층 또는 전하주입층의 도전율을 증가시켜서 좋은 효율을 가지는 소자를 구현하고 있다. 예컨대, 국제 특허 공개 WO01/67825에는 정공수송층에 분자량이 200g/mol 이상으로 높은 억셉터형의 안정한 유기 분자 재료로 P-도핑하면(낮은 도핑 농도 1:110~10000) 그렇지 않은 것 보다 정공 도전율이 증가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자수송층에는 분자 질량이 높은 도너형의 안정한 분자로 n-도핑 하면 상기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현재 유기발광소자에서 전자수송층에서 전자가 발광층으로 들어오는 정도가 정공수송층에서 정공이 발광층으로 들어오는 정도 보다 작기 때문에, 정공수송층의 도전율을 감소시켜서 소자의 효율을 크게 한 경우가 있다[Applied Physics letters, 86, 203507, 2005].
하지만, 위의 문헌에는 큰 에너지 밴드 갭을 가지는 정공수송층[N,N'-bis-(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NPB), HOMO: -5.5 eV, LUMO: -2.4 eV]에 작은 에너지 밴드갭을 가지는 정공 주입 층[copper phthalocyanine (CuPC), HOMO: -5.1 eV, LUMO: -3 eV]을 도핑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자에서의 효율 증가는 CuPC의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레벨을 이용하여 정공을 트랩(trapping)하여 발광층에 들어 오는 정공과 전하의 비율을 맞추어서 효율을 증가시킨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유기발광소자의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을 본래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 물질로 사용되는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함께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고효율의 유기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이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이들 2개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함께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유기물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증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함께 이용하여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기물층으로서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이 층이 종래에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 물질로 사용되는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 이외에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HOMO 에너지 레벨 및 LUMO 에너지 레벨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진 장치 또는 계산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예컨대, HOMO 에너지 레벨은 UPS(ultra-violet photoemission spectroscopy) 또는 Riken Keiki(일본)사의 AC-2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LUMO 에너지 레벨은 IPES(inverse photoemissi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HOMO 에너지 레벨을 측정한 후 이 값에서 광학 밴드갭을 빼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종래에 정공 주입 또는 수송 물질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HOMO 에너지 레벨의 한계는 인접하는 전극의 일함수에 기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물질에 도핑되는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전하 생성 센터(charge generation center)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의 전하가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로 점프하게 되고,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에는 정공만이 남게 되어 트래핑(trapping)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2차적으로 전하 이동성 조절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이 물질의 HOMO 에너지 레벨은 -9 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공 주입 또는 수송 물질로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유기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N,N'-비스-(1-나프틸)-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NPB)(-5.5 eV), N,N'-디페닐- N,N'-(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5.2 eV)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LUMO 에너지 레벨을 통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의 도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의 정공을 트랩(trap)할 수 있는 LUMO 에너지 레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의 도전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질은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이기만 하면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LUMO 에너지 레벨이 -5 eV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질의 LUMO 에너지 레벨은 -9 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이 상기 범위 내의 LUMO 에너지 레벨을 갖는 경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균형을 이루어,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의 도전율을 적절히 감소시킴으로써 소자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 불소 치환된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PTCDA), 시아노 치환된 PTCDA,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NTCDA), 불소 치환된 NTCDA, 시아노 치환된 NTCDA, 헥사니트릴헥사아자트리페닐렌(HAT),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 등이 있으나,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 중의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의 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물질이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에 비하여 구동전압이 증가하는 때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비율은 혼합되는 물질의 종류, 소자의 제작 또는 구동 조건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로 NPB를 사용하는 경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로서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을 20 부피% 내지 80 부피%의 범위로 혼합할 수 있다.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이용하여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물질들을 혼합하여 용액 공정으로 코팅하거나, 상기 물질들을 함께 증착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방법으로는 스핀 코팅, 딥 코팅, 닥터 블레이딩,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열 전사법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포함하는 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0nm가 바람직하고, 10nm 내지 60nm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이 종래에 정공 주 입 및/또는 수송 물질로 사용되는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에 더하여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은 무기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로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물의 일함수는 6 eV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eV 이상 6 eV 이하인 것이 좋다. 일함수가 6 eV 이하인 무기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Au(5.1 eV), Pt(5.6 eV), Al(4.2 eV), Ag(4.2 eV), Li(2.9 eV)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이들 2개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과 발광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외에 추가의 유기물층, 예컨대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정공 또는 전자 차단층 및 버퍼층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정공주입전극,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유기발광소자를 통상 정방향 구조의 유기발광소자라고 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역방향 구조의 유기발광소자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전자주입전극, 전자수송층, 발광층,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 및 정공주입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1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유기물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함께 이용하여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을 종래에 정공 주입 또는 수송 물질로 사용되는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 이외에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 및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스퍼터링(sputtering) 이나 전자빔 증발(e-beam evaporation)과 같은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금속 또는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산화물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시켜 양극을 형성하고, 그 위에 유기물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증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 구조의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하여 기판 상에 음극 물질부터 유기물층, 양극 물질을 차례로 증착시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중 유기물층은 다양한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여 증착법이 아닌 용매 공정(solvent process), 예컨대 스핀 코팅, 딥 코팅, 닥터 블레이딩,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열 전사법 등의 방법에 의하여 더 적은 수의 층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전극 중 정공주입 전극 물질로는 통상 유기물층으로 정공주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일함수가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공주입 전극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바나듐, 크롬, 구리, 아연, 금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아연산화물, 인듐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과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조합;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전극 중 전자주입 전극 물질로는 통상 유기물층으로 전자주입이 용이하도록 일함수가 작은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티타늄, 인듐, 이트륨, 리튬, 가돌리늄, 알루미늄, 은, 주석 및 납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LiF/Al 또는 LiO2/Al과 같은 다층 구조 물질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 물질로는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으로부터 정공과 전자를 각각 수송받아 결합시킴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는 물질로서, 형광이나 인광에 대한 양자효율이 좋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8-히드록시-퀴놀 린 알루미늄 착물 (Alq3); 카르바졸 계열 화합물; 이량체화 스티릴(dimerized styryl) 화합물; BAlq; 10-히드록시벤조 퀴놀린-금속 화합물; 벤족사졸, 벤즈티아졸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의 화합물; 폴리(p-페닐렌비닐렌)(PPV) 계열의 고분자; 스피로(spiro) 화합물; 폴리플루오렌, 루브렌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수송 물질로는 전자주입 전극으로부터 전자를 잘 주입 받아 발광층으로 옮겨줄 수 있는 물질로서, 전자에 대한 이동성이 큰 물질이 적합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8-히드록시퀴놀린의 Al 착물; Alq3를 포함한 착물; 유기 라디칼 화합물; 히드록시플라본-금속 착물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유기 기판 위에 정공주입 전극으로 투명전극(Indium Tin Oxide)을 100nm의 두께로 증착하고, 그 위에 진공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정공주입 및 수송층으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HOMO: 약 -5.33 eV)에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LUMO: 약 -5.5 ~ -6 eV)을 40 부피% 도핑하여 60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그 위 에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으로 N,N'-비스-(1-나프틸)-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NPB)을 20nm의 두께로 증착하고, 그 위에 발광층으로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노)알루미늄 (Alq3)과 10-(2-벤조티아졸릴)-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1]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C545t)을 25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이어서, 그 위에 전자수송 및 주입층으로 tris(8-hydroxyquinolino)aluminum(Alq3)을 25nm의 두께로 증착하고, 그 위에 전자 주입층으로 LiF를 1nm의 두께로 증착하고, 그 위에 전자주입전극으로 알루미늄(Al)을 150nm의 두께로 증착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10.97 V 이며 효율이 9.92 cd/A로 측정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20444959-PAT00001
실시예 2
정공주입 및 수송층의 두께를 10 nm로 증착하고,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의 두께를 40 nm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7 V이며 효율이 9.95 cd/A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정공주입 및 수송층을 NPB(HOMO: 약 -5.5 eV)에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을 40 부피%로 도핑하여 두께 10 nm로 증착하고,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의 두께를 30 nm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7.73V이며 효율이 10.11 cd/A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정공주입 및 수송층을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HOMO: 약 -5.3eV)에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을 40 부피%로 도핑하여 두께를 10 nm로 증착하고,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의 두께를 30 nm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20444959-PAT00002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7.2 V이며 효율이 9.5 cd/A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5
정공주입 및 수송층을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HOMO:약 -5.2 eV)에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을 40 부피%로 도핑하여 두께를 10 nm로 증착하고,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의 두께를 30 nm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20444959-PAT00003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6.9 V이며 효율이 9.4 cd/A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6
정공주입 및 수송층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HOMO: 약 -5.4 eV)에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을 40 부피%로 도핑하여 두께를 10 nm로 증착하고,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의 두께를 30 nm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화학식 4]
Figure 112007020444959-PAT00004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8 V이며 효율이 10.6 cd/A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7
정공주입 및 수송층을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HOMO: 약 -5.4 eV)에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을 40 부피% 도핑하여 두께 10 nm로 증착하고,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의 두께를 30 nm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07020444959-PAT00005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7.4V이며 효율이 9.8cd/A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8
정공주입 및 수송층을 NPB 물질(HOMO: -5.5 eV정도)에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LUMO: 약 -5.0 ~ -5.3 eV)을 40 부피% 도핑하여 두께를 10 nm로 증착하고, 정공수송 및 전자차단층의 두께를 30 nm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화학식 6]
Figure 112007020444959-PAT00006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8.4 V이며 효율이 9.5 cd/A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
정공주입 및 수송층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만을 60 nm의 두께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6.93 V이며 효율이 7.74 cd/A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2
정공주입 및 수송층으로서 NPB 물질만을 60 nm의 두께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7.55 V 이며 효율이 8.5cd/A가 나왔다.
비교예 3
정공주입 및 수송층으로서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만을 60 nm의 두께로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소자는 100 mA/cm2 의 전류밀도에서 전압이 6.3 V 이며 효율이 6.9 cd/A가 나왔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의 결과를 통하여 유기발광소자에서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함께 이용하여 정공 주입 및/또는 수송층을 형성하는 경우 좋은 효율을 가지는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3의 결과와 실시예 1의 결과 및 비교예 2의 결과와 실시예 3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 재료로서 전술한 2가지 물질을 사용한 실시예의 소자가 정공주입 및 수송층 재료로서 1가지 물질만을 사용한 비교예의 소자에 비하여 효율면에서 유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의 소자는 비교예 1의 소자에 비하여 전압 및 효율 면에서 모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발광소자의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층 재료로서 종래에 사용되어 온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 이외에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고효율의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8)

  1.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이들 2개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함께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아민기를 갖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HOMO 에너지 레벨이 -9 eV 이상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LUMO 에너지 레벨이 -9 eV 이상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 불소 치환된 3,4,9,10-페 릴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PTCDA), 시아노 치환된 PTCDA,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NTCDA), 불소 치환된 NTCDA, 시아노 치환된 NTCDA, 헥사니트릴헥사아자트리페닐렌(HAT) 및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무기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일함수가 2.5 eV 이상 6 eV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정공주입전극,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전자주입전극이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방향 구조인 유기발광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전자주입전극,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정공주입전극이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 역방향 구조인 유기발광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 및 수송층, 전자차단층, 정공차단층 및 버퍼층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3. 제1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비롯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유기물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함께 이용하여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아민기를 갖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HOMO 에너 지 레벨이 -9 eV 이상인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LUMO 에너지 레벨이 -9 eV 이상인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은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 불소 치환된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PTCDA), 시아노 치환된 PTCDA,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NTCDA), 불소 치환된 NTCDA, 시아노 치환된 NTCDA, 헥사니트릴헥사아자트리페닐렌(HAT) 및 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본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과 LUMO 에너지 레벨이 -4 eV 이하인 물질을 이용하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핀 코팅, 딥 코팅, 닥터 블레이딩,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열 전사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70024816A 2006-03-14 2007-03-14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23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3608 2006-03-14
KR1020060023608 2006-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881A true KR20070093881A (ko) 2007-09-19
KR100823443B1 KR100823443B1 (ko) 2008-04-18

Family

ID=3850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816A KR100823443B1 (ko) 2006-03-14 2007-03-14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86968B2 (ko)
EP (1) EP1994118B1 (ko)
JP (2) JP5064482B2 (ko)
KR (1) KR100823443B1 (ko)
CN (1) CN101400757B (ko)
TW (1) TWI376980B (ko)
WO (1) WO2007105906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758B1 (ko) * 2008-02-20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7994713B2 (en) 2008-01-15 2011-08-0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3032304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3032303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KR20130079230A (ko) * 2011-12-26 201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023492B2 (en) 2008-11-13 2015-05-05 Lg Chem, Ltd. Low voltage-driv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89219A (ko) 2015-01-19 2016-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조명 엔진
KR20170048870A (ko) 2015-10-27 201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
WO2019117597A1 (ko) * 2017-12-11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87965B2 (en) * 2017-03-30 2023-10-17 Novaled Gmbh Ink composition for forming an organic layer of a semicondu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7366B2 (ja) * 2008-03-11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9277791A (ja) 2008-05-13 2009-11-26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素子
US8637854B2 (en) 2008-05-16 2014-01-28 Lg Chem, Ltd. Stack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JP5458554B2 (ja) * 2008-11-19 2014-04-02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CN101734173B (zh) 2008-11-26 2013-08-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机档位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8603642B2 (en) * 2009-05-13 2013-12-10 Global Oled Technology Llc Internal connector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EP2448033A4 (en) * 2009-06-23 2014-07-23 Sumitomo Chemical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8729596B2 (en) * 2009-08-24 2014-05-20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illumin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1137388B1 (ko) * 2009-11-13 2012-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장치
WO2011119162A1 (en) * 2010-03-25 2011-09-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Solution processable doped triarylamine hole injection materials
KR101135541B1 (ko) 2010-04-01 2012-04-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20140072830A (ko) * 2010-10-15 2014-06-13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간 광전변환 디바이스에서 광활성 층의 에피택셜 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물질
JP5565742B2 (ja) 2011-07-15 2014-08-06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れに用いる化合物
US9431621B2 (en) * 2012-03-13 2016-08-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al oxide charge transport material doped with organic molecules
US10522788B2 (en) * 2012-05-31 2019-12-3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1580356B1 (ko) 2012-06-18 2015-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함질소 헤테로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자소자
KR101900287B1 (ko) * 2012-12-11 2018-09-19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CN103296215A (zh) * 2013-05-21 2013-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显示装置
KR20150077269A (ko) 2013-12-27 2015-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6788335B2 (ja) 2014-08-11 2020-11-25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モノアミン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2390993B1 (ko) * 2014-09-09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GB2530748A (en) * 2014-09-30 2016-04-06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448359B1 (ko) 2014-10-06 2022-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401598B1 (ko) 2014-11-07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6100364A (ja) 2014-11-18 2016-05-3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796288B1 (ko) 2014-12-02 2017-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GB2533268A (en) * 2014-12-02 2016-06-22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2498847B1 (ko) 2014-12-03 202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624166B1 (ko) 2015-06-15 2024-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6282614B2 (ja) * 2015-06-22 2018-02-21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溶液加工可能な、ドープされたトリアリールアミン正孔注入材料
KR102556088B1 (ko) 2015-06-23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5244446B (zh) * 2015-08-28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5140361B (zh) * 2015-09-11 2019-08-27 Tcl集团股份有限公司 量子点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20170075122A (ko) 2015-12-22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615638B1 (ko) * 2015-12-22 2023-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579752B1 (ko) 2015-12-22 2023-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70075114A (ko) 2015-12-22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70075118A (ko) * 2015-12-22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939182B1 (ko) * 2016-07-01 2019-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CN112909188B (zh) 2019-12-03 2023-09-01 北京夏禾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CN115666146A (zh) * 2021-07-10 2023-01-31 北京夏禾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3698A (en) 1991-02-12 1992-03-03 Kabushiki Kaisha Toshiba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GB9712483D0 (en) * 1997-06-17 1997-08-20 Kathirgamanathan Poopathy Fabrication of light emitting devices from chelates of transition metals, lanthanides and actinides
US6420031B1 (en) * 1997-11-03 2002-07-1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ighly transparent non-metallic cathodes
US6303238B1 (en) * 1997-12-01 2001-10-1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LEDs doped with phosphorescent compounds
JP2000196140A (ja) 1998-12-28 2000-07-14 Sharp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とその製造法
JP4543446B2 (ja) 1999-04-05 2010-09-15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2000327664A (ja) * 1999-05-17 2000-11-28 Toppan Printing Co Ltd 正孔輸送性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薄膜発光素子
US6639357B1 (en) 2000-02-28 2003-10-28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igh efficiency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6573651B2 (en) 2000-12-18 2003-06-0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ighly efficient OLEDs using doped ambipolar conductive molecular organic thin films
US6597012B2 (en) * 2001-05-02 2003-07-22 Junji Kido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3933591B2 (ja) 2002-03-26 2007-06-20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US20100026176A1 (en) * 2002-03-28 2010-02-04 Jan Blochwitz-Nomith Transparent, Thermally Stable Light-Emitting Component Having Organic Layers
JP2004119074A (ja) 2002-09-24 2004-04-1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6982179B2 (en) 2002-11-15 2006-01-03 University Display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devices
WO2004064453A1 (ja) * 2003-01-10 2004-07-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発光素子及びその作製方法
US20040219390A1 (en) * 2003-01-23 2004-11-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enzoxazinone and quinazolinone derivatives
AU2003220906A1 (en) * 2003-03-13 2004-09-30 Fujitsu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10339772B4 (de) * 2003-08-27 2006-07-13 Novaled Gmbh Licht 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519968B1 (ko) 2003-12-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역외채널의 부가신호에 대한 수신성능이 향상된 디지털케이블 수신기 및 그의 수신방법
JP4476594B2 (ja) 2003-10-17 2010-06-09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US20050100760A1 (en) * 2003-10-24 2005-05-12 Pentax Corporation Whi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7061011B2 (en) * 2003-11-26 2006-06-1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Bipolar organic devices
JP4393249B2 (ja) * 2004-03-31 2010-01-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81309C (zh) * 2004-04-27 2010-01-13 富士胶片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JP5064034B2 (ja) * 2004-05-11 2012-10-3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有機電気素子
TWI293211B (en) * 2004-06-11 2008-02-01 Au Optronics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315874B2 (ja) 2004-07-30 2009-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TWI382079B (zh) 2004-07-30 2013-01-11 Sanyo Electric Co 有機電場發光元件及有機電場發光顯示裝置
US7804238B2 (en) * 2004-08-31 2010-09-28 Nissan Motor Co., Ltd. Functional thin-film element,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article using functional thin-film element
JP4596977B2 (ja) 2005-05-20 2010-12-1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表示装置
US20070290195A1 (en) * 2005-08-22 2007-12-20 Stephen Forrest Increased open-circuit-voltage organic photosensitive devices
JP2007208102A (ja) * 2006-02-03 2007-08-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223720B1 (ko) * 2006-06-05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GB2450382B (en) * 2007-06-22 2009-09-09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rganic light-emissive devices and organic light-emissive displays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4713B2 (en) 2008-01-15 2011-08-0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22758B1 (ko) * 2008-02-20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8911884B2 (en) 2008-02-20 2014-12-1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9023492B2 (en) 2008-11-13 2015-05-05 Lg Chem, Ltd. Low voltage-driv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20449B1 (ko) * 2011-09-02 2013-10-23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WO2013032303A3 (ko) * 2011-09-02 2013-05-02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KR101290185B1 (ko) * 2011-09-02 2013-07-30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3032304A3 (ko) * 2011-09-02 2013-05-02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3032303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WO2013032304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기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9230A (ko) * 2011-12-26 201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89219A (ko) 2015-01-19 2016-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조명 엔진
KR20170048870A (ko) 2015-10-27 201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
US11787965B2 (en) * 2017-03-30 2023-10-17 Novaled Gmbh Ink composition for forming an organic layer of a semiconductor
WO2019117597A1 (ko) * 2017-12-11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58031B2 (en) 2017-12-11 2022-02-22 Lg Chem,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05906A1 (en) 2007-09-20
TW200735705A (en) 2007-09-16
JP2012186496A (ja) 2012-09-27
CN101400757B (zh) 2013-05-15
US20100289008A1 (en) 2010-11-18
EP1994118A1 (en) 2008-11-26
EP1994118B1 (en) 2018-10-17
KR100823443B1 (ko) 2008-04-18
JP5064482B2 (ja) 2012-10-31
CN101400757A (zh) 2009-04-01
JP5576430B2 (ja) 2014-08-20
US8586968B2 (en) 2013-11-19
EP1994118A4 (en) 2011-01-26
JP2009530809A (ja) 2009-08-27
TWI376980B (en) 201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443B1 (ko)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15830B2 (ja) 低電圧駆動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10704B2 (ja) 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13997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117388B2 (ja) 有機電子素子
KR101766709B1 (ko) 유기 반도전성 물질 및 전자 부품
CN104995187B (zh) 化合物和使用其的有机电子器件
JP2009206512A (ja) 有機発光素子
JP2009164578A (ja) 有機発光素子
JP6134786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6532539B2 (ja) 有機発光素子
KR20110120016A (ko) 유기 발광 소자
CN116746297A (zh) 包含公共电荷产生层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