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945A -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945A
KR20070073945A KR1020077012040A KR20077012040A KR20070073945A KR 20070073945 A KR20070073945 A KR 20070073945A KR 1020077012040 A KR1020077012040 A KR 1020077012040A KR 20077012040 A KR20077012040 A KR 20077012040A KR 20070073945 A KR20070073945 A KR 20070073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se
fructose
indigestible dextrin
liquid sugar
dext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746B1 (ko
Inventor
카즈히로 오쿠마
이사오 마츠다
다카시 이치하라
코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carbohydrase (EC 3.2.x), e.g. by alpha-amylase, e.g. by cellulase, hemicellul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4Di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0Preparation of starch, degraded or non-chemically modified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 C08B30/12Degraded, destructured or non-chemically modified starch, e.g. mechanically, enzymatically or by irradiation; Bleaching of starch
    • C08B30/18Dextrin, e.g. yellow canari, white dextrin, amylodextrin or maltodextrin; Methods of depolymerisation, e.g. by irradiation or mechan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Diabet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품으로의 이용 가치가 높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이성화당의 저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하기의 공정(A)과, 후속하는 공정(B) 또는 공정(C)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한다. (A) 난소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배소 덱스트린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켜 소화성 성분을 포도당으로 가수분해하는 공정, (B) 과당을 첨가하는 공정, (C) 생성한 포도당의 일부를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에 의해 과당으로 변환하는 공정.
난소화성 덱스트린, 이성화당, 저가의 제조방법

Description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INDIGESTIBLE DEXTRIN CONTAINING ISOMERIZED SUGAR}
본 발명은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정장 작용,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이나 장기 섭취에 의한 혈중의 중성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의 저하 작용 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조제 공정이 적으면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낮은 경우가 많고, 또한, 조제 공정이 많으면, 예를 들어, 배소 덱스트린에 알파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켜, 소화성의 획분을 포도당으로 바꾸고, 크로마토그래피나 막에 의해 분획을 수행하여 난소화성의 획분만을 끄집어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율이 약 40% 전후가 되어 가격이 높아졌다(일본 특허공개 평 2-145169호 공보 내지 일본 특허공개 평 2-154664호 공보). 그런데, 실제로 식품의 용도를 조사하면 각종 음료나 과자, 디저트 등에 이용되고 있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포도당 과당액당(포도당과 과당의 질량 비율이 58:42)이나 과당 포도당액당(상기 비율이 45:55) 등의 소위 이성화당과 함께 이용되는 케이스가 상당히 많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이성화당을 동시에 포함하는 음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따로따로 제조한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이성화당을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미리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따로따로 첨가하는 것이 종래의 제조방법이다. 그러나,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이성화당을 동시에 포함하는 음식품을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려고 하면, 공정이 번잡할 뿐 아니라 제조 비용도 높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런 점에서, 배소 덱스트린으로부터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부생하는 포도당에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키거나 과당을 첨가하면,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얻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발상에서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덱스트린을 제조한 예는 알려져 있지 않다.
포도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중간 산물로서 얻을 수 있지만(일본 특허공개 평 2-154664호 공보), 통상 그 포도당 순도는 50% 정도이다.
한편, 이성화당의 제조방법은 통상 95% 이상의 고순도의 포도당에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것은 이성화 반응이 평형 반응이고, 과당의 포도당으로부터의 최대 생성량이 50%인 것, 및 원료 당액의 포도당 순도가 높을수록 이성화 반응이 진행되기 쉽기 때문이다(전분 과학의 사전, 464~466 페이지, 후와 에이지 외 3명(편), 아사쿠라 서점, 2003년).
따라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중간 산물과 같은 순도가 낮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포도당액에,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켜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이성화 반응이 충분히 진행될지 어떨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음식품으로의 이용 가치가 높은,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저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난소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배소 덱스트린 중의 소화성 성분을 포도당으로 변환한 후, 생성한 포도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에 직접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킴으로써, 의외로 포도당 단독 용액에 작용시킨 경우와 동등 이상의 효율로 포도당의 일부가 용이하게 과당으로 변환되어 이성화당을 생성하여,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저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배소 덱스트린의 수용액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고, 이어서 과당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2. 배소 덱스트린의 수용액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고, 이어서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과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3.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기 전에 알파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4.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포도당 과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에 과당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추가로 수소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환원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6.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7. 상기 5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환원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환원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
8. 상기 6에 기재된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9. 상기 7에 기재된 환원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환원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배소 덱스트린을 효소 소화하여 얻어진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을 분석했을 때의 HPLC 챠트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배소 덱스트린을 효소 소화하여 얻어진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과당을 첨가하여, 포도당 41.4 질량부에 대한 과당의 비율을 30.0 질량부로 했을 때의 HPLC 챠트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배소 덱스트린을 효소 소화하여 얻어진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과당을 첨가하여, 포도당 41.4 질량부에 대한 과당의 비율을 50.6 질량부로 했을 때의 HPLC 챠트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켜 얻어진, 이성화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 혼합액의 HPLC 챠트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있어서, 비교 대조 실험에서 얻어진 이성화당액의 HPLC 챠트이다.
도 6은 실시에 3에 있어서,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SV1.2로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켜 얻어진, 이성화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 혼합액의 HPLC 챠트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있어서, 비교 대조 실험에서 얻어진 이성화당액의 HPLC 챠트이다.
도 8은 실시에 3에 있어서,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SV1.75로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켜 얻어진, 이성화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 혼합액의 HPLC 챠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라 함은 위신(衛新) 제 13호(영양 표시 기준에 있어서의 영양 성분 등의 분석 방법 등에 대하여)에 기재된 식물 섬유의 분석 방법인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효소-HPLC법)으로 측정되는 난소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덱스트린, 바람직하게는 35~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질량%의 난소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덱스트린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소 덱스트린의 '백도'라 함은 색차계(예를 들면, 일본 닛폰덴쇼쿠코교 카부시키가이샤 제품)를 이용하여 시료를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측정하여, 산화마그네슘의 표준 백판의 백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상대값으로서, 최고값은 10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성화당'이라 함은, 포도당과 과당으로 구성되는 액당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도당 과당액당'은 포도당의 상대 농도가 과당과 비슷하거나 또는 이보다 높은 이성화당을 의미하며, '과당 포도당액당'은 과당의 상대 농도가 포도당보다도 높은 이성화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은 (A)난소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배소 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고, 이것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켜 소화성 성분을 포도당으로 가수분해하는 공정, 이어서 (B)과당을 첨가하는 공정, 또는 (C)생성한 포도당의 일부를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에 의해 과당으로 변환하는 공정, 또는 추가로 (D)상기 공정(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수소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은 공정 (A), (B), (C) 및 (D)를 포함할 수도 있다.
(A)난소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배소 덱스트린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켜 소화성 성분을 포도당으로 가수분해하는 효소 소화 공정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배소 덱스트린의 제조 방법으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 자극적인 냄새나 바람직하지 않은 미각을 가능한 한 생성하지 않는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원료 전분으로는 널리 사용되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옥수수, 소맥, 카사바, 감자 등의 전분 외에, 각종 시판하는 가공 전분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원료 전분에, 황산, 질산, 염산 등의 광산, 바람직하게는 염산을, 그 농도를 바람직하게는 1질량% 정도의 수용액으로 하여, 원료 전분에 대하여 수 질량%를 첨가, 바람직하게는 분무하여 균일하게 되도록 혼합하고, 바람직하게는 100~120℃ 정도에서 예비 건조하여 수분을 바람직하게는 2~6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전후로 한다.
이어서, 온도를 바람직하게는 130~180℃로 올려 바람직하게는 0.5~5시간 정도 배소하여 배소 덱스트린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배소 덱스트린은 DE 1~10, 백도 55~65, 난소화성 성분의 함유량이 50~6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글루코아밀라아제(소화 효소)를 작용시킨다. 최종 난소화성 덱스트린 중의 난소화성 성분이 고농도인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 효소 소화 공정에 있어서,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기 전에 알파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소 소화 공정의 일예를 들면, 먼저 배소 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여 바람직하게는 30~50 질량% 수용액으로 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pH 5.5~6.5,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5.8로 하고, 곰팡이 또는 세균 등 에서 유래하는 시판하는 알파아밀라아제 제제를 바람직하게는 0.05~0.2 질량% 첨가하여, 바람직하게는 50~100℃에서, 바람직하게는 0.5~2.0 시간 유지한다. 그 후, 바람직하게는 40~60℃로 냉각하고, 바람직하게는 pH 4.5~5.5로 조정한 후, 시판하는 글루코아밀라아제 제제를 바람직하게는 0.1~0.5 질량% 첨가하여 바람직하게는 45~55℃에서, 바람직하게는 1~10시간 유지하여, 소화성 성분을 포도당으로 변환한다.
최종 난소화성 덱스트린 중의 난소화성 성분이 고농도인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효소 소화 공정에서 알파아밀라아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 수용액을 필요에 따라 활성탄, 규조토 등으로 탈색하고, 이온 교환 수지 등으로 탈염, 농축을 수행하여, 포도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수용액으로 한다.
(B)과당을 첨가하는 공정, 및 (C)생성한 포도당의 일부를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에 의해 과당으로 변환하는 공정
본 발명은 이어서 포도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수용액에 과당을 첨가하는 공정(공정(B)), 및/또는 생성한 포도당의 일부를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에 의해 과당으로 변환하는 공정(공정(C))을 포함한다.
공정(C)는 예를 들면, 담체에 고정화한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충전한 칼럼에 포도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수용액을 통액하여 연속적으로 포도당의 일부를 과당으로 변환함으로써,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이 용액을 필요에 따라 활성탄, 규조토 등으로 탈색하고, 이어서 이온 교환 수지 등으로 탈염, 농축을 수행하면 고농도 제품이 얻어진다. 포도당과 과당의 조성비는 과당의 첨가량이나 공정(C)의 조작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D)상기 공정(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수소 첨가하는 공정
공정(B) 및/또는 (C)에서 얻어지는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원하는 바에 따라 수소 첨가에 의해 환원하여 환원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수용액을 필요에 따라 활성탄, 규조토 등으로 탈색하고, 이어서 이온 교환 수지 등으로 탈염, 농축한 용액에, 라네이니켈 등을 촉매로 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압 하에 수소 가스를 도입하여 수소 첨가를 수행한다. 반응 종료 후, 촉매를 제거, 필요에 따라 활성탄, 규조토 등으로 탈색하고, 이어서 이온 교환 수지 등으로 탈염, 농축하면, 환원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혹은 환원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이성화당을 동시에 포함하는 각종 음식품, 예를 들면, 탄산 음료, 과즙 음료, 요구르트, 잼, 젤리, 케익 등의 동서양 과자류 등의 제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음식품에 대한 본 발명의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혹은 환원 이성 화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첨가량은 임의이지만, 통상은 5~15 질량%이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판하는 옥수수 전분 1kg을 교반기가 장착된 가열 장치에 넣어 교반하면서 1% 염산 30ml를 스프레이하고, 계속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서서히 가열하여 110℃까지 승온시켜 수분 3질량%로 예비 건조한 후, 150℃에서 40분간 가열하여, 백도 60의 배소 덱스트린을 얻었다.
이 배소 덱스트린 500g에 물 1000ml를 가하여 용해하고, 4%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5.8로 한 후, 알파아밀라아제(타마밀 60L, 노보자임사)를 0.2질량% 첨가하여 95℃에서 1시간 가수 분해하였다.
이어서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글루코아밀라아제(그룩자임 NL4.2, 아마노세이야쿠(주))를 0.1질량%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가수 분해하였다.
다음으로, 활성탄을 0.2질량% 첨가하여 30분간 유지한 후, 규조토 여과하여 탈색하고,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탈염을 수행하여, 브릭스 농도 60%까지 농축하여, 고형분 약 450g을 포함하는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 750g을 얻었다. 이 혼합액은 포도당 41.4 질량부와 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의 혼합물이었다(도 1).
이 혼합 용액에 과당을 첨가하여, 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 포도당 41.4 질량부 및 과당 30.0 질량부의 혼합액(도 2), 및 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 포도당 41.4 질량부 및 과당 50.6 질량부의 혼합액(도 3)을 얻었다.
또한, 난소화성 덱스트린, 포도당 및 과당의 조성 분석에는 미쯔비시 카세이(주)제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용 칼럼(MCI GEL CK08EC)을 사용하여, 컬럼 온도 80℃에서 이온 교환수를 이용하여 용출하고, RI 검출기로 검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을 브릭스 농도 10%로 조정하고, 고정화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 제제(스위트자임IT, 노보자임사)의 칼럼(57㎖)에 SV(㎖통액량/hr/㎖ 칼럼 용량)3.5, 칼럼 온도 70℃에서 통액하여, 포도당과 과당,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을 얻었다. 이것을 믹스이온 교환 수지(강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와 강산성 이온 교환 수지의 등량 혼합물)에 통액하여 탈염한 후 농축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조성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 포도당 21.1 질량부 및 과당 20.3 질량부이고, 포도당으로부터 과당으로의 이성화율은 49.0%였다.
비교 대조로서, 브릭스 농도 10%의 포도당 용액에 대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여, 포도당 50.5 질량부 및 과당 49.5 질량부의 조성물을 얻었으며, 이성화율은 49.5%였다(도 5).
이들 결과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포도당 용액이라도, 포도당 단독 용액과 동등한 효율로 이성화 반응이 진행됨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을 브릭스 농도 45%로 조정하고, 고정화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 제제(스위트자임IT, 노보자임사)의 칼럼(2000㎖)에 SV(㎖통액량/hr/㎖ 칼럼 용량)1.2, 칼럼 온도 55℃에서 통액하여, 포도당과 과당,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을 얻었다. 이것을 믹스이온 교환 수지에 통액하여 탈염한 후 농축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조성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 포도당 21.1 질량부 및 과당 20.3 질량부이고, 포도당으로부터 과당으로의 이성화율은 49.0%였다.
비교 대조로서, 브릭스 농도 45%의 포도당 용액에 대하여 동일한 실험을 SV1.2로 수행한 결과, 포도당 55.0 질량부 및 과당 45.0 질량부의 조성물이 얻어졌으며, 이성화율은 45.0%였다(도 7).
또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을 브릭스 농도 45%로 조정하고, 동일한 실험을 SV1.75로 수행한 결과, 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 포도당 24.8 질량부 및 과당 16.6 질량부의 조성물이 얻어졌으며, 이성화율은 40.1%였다(도 8). 이들 결과는 SV를 조정함으로써,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포도당 용액의 이성화 반응을, 포도당 단독 용액을 이용한 경우보다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성화율(49%)은 종래의 공업적 이성화당의 제조에 있어서의 최대 이성화율(50%)에 필적한다((전분 과학의 사전, 464~466 페이지, 후와 에이지 외 3명(편), 아사쿠라 서점, 2003 년).
실시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 SV1.75의 조건으로 실시하여 얻어진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용액 100 질량부에 대하여, 과당을 13.7 질량부 첨가하여, 과당과 포도당의 비율이 55:45인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용액을 얻었다. 마찬가지로, 과당을 206.6 질량부 첨가하여, 과당과 포도당의 비율이 90:10인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 포도당 41.4 질량부, 과당 50.6 질량부)을 브릭스 농도 50%로 조정하고, 그 일부를 이용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오렌지에이드를 조제하였다. 배합한 원재료를 혼합하고, 용기에 가열 충전하여 원하는 음료를 얻었다. 이 오렌지에이드는 본 발명의 조제품에서 유래하는 3.4g의 포도당, 4.2g의 과당 및 4.9g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고 있다.
원재료 배합(g)
본 발명의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25
5배 농축 오렌지 과즙 5.75
5배 농축 레몬 과즙 0.25
구연산 0.01
비타민 C 0.01
플레이버 0.15
전량을 100㎖로 한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과당 20.3 질량부, 포도당 21.1 질량부 및 난소화성 덱스트린 58.6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브릭스 농도 65%로 조정하고, 그 1.0㎏을 2.0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나크 오토클레이브사제)에 넣어, 20g의 라네이니켈(닛코리카제 R239)을 첨가하고, 7.2% 인산이나트륨 수용액과 2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9.6으로 한 후, 수소 가스를 100㎏/㎠로 도입하여, 130℃, 2시간의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라네이니켈을 제거하고, 활성탄으로 탈색, 믹스 이온 교환 수지의 칼럼에 통액하고 탈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액의 조성은 만니톨 10.1 질량부, 솔비톨 31.1 질량부 및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 58.7 질량부였다(과당을 수소 첨가하면, 등량의 만니톨과 솔비톨이 생성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주지의 사실이다). 이 환원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에너지는 1.5kcal/g이고, 설탕의 감미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상대 감미도는 30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얻어진 환원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이용하여 캔디를 조제하였다. 고형분 200g을 포함하는 용액을 브릭스 농도 60%로 농축한 후 스텐레스 용기에 옮겨, 전열기 상에서 온화하게 교반하면서 온도 160℃까지 가열하여 바짝 조린 후, 약 80℃까지 방냉하고 캐비티에 흘려 넣어 성형, 고화시켜 캔디를 얻었다. 얻어진 캔디는 틀 분리가 양호하고, 외관은 투명하며 표면의 요철이 없고, 적당한 치감이 있으며, 저흡습성이고, 형상 유지성, 열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중간 산물로서 얻어지는 포도당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과당을 첨가함으로써, 또한 포도당을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의 기질로서 이용함으로써,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분리 공정도 생략할 수 있고, 음식품으로의 이용 가치가 높은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효율적이며 저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이성화당을 동시에 포함하는 음식품을 효율적이며 저가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수소 첨가함으로써, 저에너지 및 저감미도이며 착색 안정성이 우수한, 환원 이성화당을 함유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배소 덱스트린의 수용액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고, 이어서 과당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2. 배소 덱스트린의 수용액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고, 이어서 글루코스이소메라아제를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과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기 전에 알파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포도당 과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에 과당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추가로 수소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환원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7. 제 5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환원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환원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
  8. 제 6 항에 기재된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9. 제 7 항에 기재된 환원 포도당 과당액당 또는 환원 과당 포도당액당을 포함하는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KR1020077012040A 2004-10-29 2005-10-31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KR100934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6301 2004-10-29
JPJP-P-2004-00316301 2004-10-29
JPJP-P-2005-00193842 2005-07-01
JP2005193842A JP4945096B2 (ja) 2004-10-29 2005-07-01 異性化糖を含む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の製造方法
PCT/JP2005/019987 WO2006046738A1 (ja) 2004-10-29 2005-10-31 異性化糖を含む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945A true KR20070073945A (ko) 2007-07-10
KR100934746B1 KR100934746B1 (ko) 2009-12-30

Family

ID=3622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040A KR100934746B1 (ko) 2004-10-29 2005-10-31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31454A1 (ko)
EP (1) EP1806366B1 (ko)
JP (1) JP4945096B2 (ko)
KR (1) KR100934746B1 (ko)
CN (1) CN101052657B (ko)
WO (1) WO20060467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845A (ko) * 2014-03-26 2015-10-06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2474B2 (ja) * 2007-05-29 2013-02-27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リゴ糖、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0910081B1 (ko) 2007-12-20 2009-07-3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지소화성이 증진된 전분의 제조방법
WO2009113652A1 (ja) * 2008-03-14 2009-09-17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分岐デキストリン、その製造方法及び飲食品
CN102960741B (zh) * 2012-11-02 2014-05-14 翁源广业清怡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难消化糊精的制备工艺
KR101693477B1 (ko) 2015-05-14 2017-01-0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알파 아밀라아제를 이용한 지소화성 전분의 제조방법
KR101832799B1 (ko) 2016-05-19 2018-02-27 주식회사 삼양사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71347A (en) * 1922-11-16 1923-10-23 Corn Prod Refining Co Method of making grape sugar
JPS5118518B2 (ko) * 1973-03-07 1976-06-10
JPS52120190A (en) * 1976-04-02 1977-10-08 Cpc International Inc Fixing method of glucose isomerase and cotinuous isomerization of glucose
US4605619A (en) * 1982-06-30 1986-08-12 Nabisco Brands, Inc. Process for preparing fructose from starch
CN1034304A (zh) * 1987-09-28 1989-08-02 纳比斯克布兰德斯公司 被果糖天然甜化的谷物产品
US4857339A (en) * 1987-09-28 1989-08-15 Nabisco/Cetus Food Biotechnology Research Partnership Method for making cereal products naturally sweetened with fructose
DE68914401T2 (de) * 1988-10-07 1994-08-25 Matsutani Kagaku Kogyo K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xtrin enthaltenden faserigen Nahrungsprodukten.
JPH02154664A (ja) * 1988-12-05 1990-06-14 Matsutani Kagaku Kogyo Kk 食物繊維高含有デキストリンの製造法
EP0436502B1 (en) * 1990-01-04 2005-11-16 Genencor International, Inc. Novel glucose isomerases with an altered pH optimum
JPH04237497A (ja) * 1991-01-14 1992-08-25 Kikuo Ono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の製造法
JP3003008B2 (ja) * 1991-02-28 2000-01-24 天野製薬株式会社 耐酸、耐熱性グルコースイソメラーゼ、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るフラクトースの製造法
US5358729A (en) * 1991-08-28 1994-10-25 Matsutani Chemical Industries Co., Ltd. Indigestible dextrin
US5236719A (en) * 1991-09-27 1993-08-17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and other comestibles containing purified indigestible dextrin
JPH05178902A (ja) * 1991-10-29 1993-07-20 Matsutani Kagaku Kogyo Kk 難消化デキストリン
JPH05199855A (ja) * 1992-01-24 1993-08-10 Kanebo Ltd 健康飲料
JPH0870842A (ja) * 1994-07-05 1996-03-19 Matsutani Chem Ind Ltd 醸造用糖類およびその製造法
CN1037444C (zh) * 1994-09-17 1998-02-18 华南理工大学 难消化糊精的制备方法
JP2779616B1 (ja) * 1997-09-10 1998-07-23 株式会社紀文フードケミファ 食物繊維含有組成物
JP2001000200A (ja) * 1999-06-23 2001-01-09 Nippon Rensui Co Ltd 高果糖異性化糖の製造方法
JP4407006B2 (ja) * 2000-05-10 2010-02-03 大正製薬株式会社 鉄化合物配合内服液剤
US8187624B1 (en) * 2000-06-14 2012-05-29 Kao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taking dietary fibers
JP2002330735A (ja) * 2001-05-11 2002-11-19 Matsutani Chem Ind Ltd 炭酸飲料の製造法
JP4674319B2 (ja) * 2001-06-22 2011-04-2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茶飲料の製造法
US8784171B2 (en) * 2002-12-23 2014-07-22 Nintend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ling a track in video games using arcs and splines that enables efficient collision detection
US7981639B2 (en) * 2003-02-19 2011-07-19 Academia Sinica Starch-derived products
JP2005287454A (ja) * 2004-04-02 2005-10-20 Matsutani Chem Ind Ltd 保健機能付与飲食品及び飲食品へ保健機能を付与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845A (ko) * 2014-03-26 2015-10-06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6366B1 (en) 2012-09-05
CN101052657A (zh) 2007-10-10
JP2006149369A (ja) 2006-06-15
EP1806366A1 (en) 2007-07-11
US20070231454A1 (en) 2007-10-04
KR100934746B1 (ko) 2009-12-30
WO2006046738A1 (ja) 2006-05-04
CN101052657B (zh) 2010-11-03
JP4945096B2 (ja) 2012-06-06
EP1806366A4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746B1 (ko) 이성화당을 포함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US7608436B2 (en) Process for producing saccharide oligomers
JP4908390B2 (ja) 低カロリービール風味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23638A1 (en) Monosaccharide production system
KR0135075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덱스트린의 제조방법
AU65718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hypocariogenic hydrogenated saccharides, process for preparing it and the application of this composition
EP1866426B1 (en) Preparation of slowly digestible carbohydrates by ssmb chromatography
KR101445432B1 (ko) 수소화된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제조 방법
KR102224100B1 (ko)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방법
EP3336167A1 (en) Beer-like effervescent beverage
JPH02154664A (ja) 食物繊維高含有デキストリンの製造法
CN113322295A (zh) 一种富硒黑小麦芽低聚糖肽的制备方法及其制品
US9237765B2 (en) Non-digestible hydroxypropyl starch hydrolysat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food and beverage
JP5859103B1 (ja) ビールテイストの発酵アルコール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834551B (zh) 一种蔗糖转化糖浆的制备方法及蔗糖转化糖浆
JP3497468B2 (ja) アミノ酸・ミネラル含有米水飴、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71171A (ko) 도라지, 더덕 또는 인삼 착즙액을 포함하는 감미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5961339B2 (ja) 低糖質ビール風味アルコール飲料用液糖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低糖質ビール風味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
KR101841203B1 (ko) 가바 고함유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가바 고함유 이소말토올리고당
CN105506190A (zh) 一种生产麦芽糖浆的方法
CN116998642A (zh) 降糖果蔬汁、降糖橙汁和降低含糖饮料中糖含量的方法
CN117604041A (zh) 一种通过发酵制备银杏提取物和莽草酸的方法
JP2019062786A (ja) 麦汁もしくは麦芽エキス、又は醸造酒の製造方法
JPS626777B2 (ko)
KR20190025944A (ko) 식이 섬유를 함유하는 수소첨가 글루코스 중합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