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922A -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수집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수집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922A
KR20070059922A KR1020060085889A KR20060085889A KR20070059922A KR 20070059922 A KR20070059922 A KR 20070059922A KR 1020060085889 A KR1020060085889 A KR 1020060085889A KR 20060085889 A KR20060085889 A KR 20060085889A KR 20070059922 A KR20070059922 A KR 20070059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al bus
signal
address
analog signal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727B1 (ko
Inventor
정의석
이철수
장승현
김병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8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727B1/ko
Priority to US11/588,139 priority patent/US7453380B2/en
Publication of KR2007005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5Digital input using the sampling of an analogue quantity at regular intervals of time, input from a/d converter or output to d/a conver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clocked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그 중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만 출력하는 다중화부;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출력하고 상기 A/D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직렬 버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래의 기술을 적용할 때 발생하였던 병렬 버스를 이용한 회로 설계의 복잡도 증가 문제, 버스 구동력 증가를 위한 버퍼의 필요성, 어드레스 디코더의 필요성,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 개수 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필요성, 회로 설계 시 소요되는 부품의 수 증가 및 소요 면적 증가 문제, 그리고 개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위한 제어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llecting digitally converted analog signals using serial b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신호 수집을 위한 디지털 변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환 장치가 확장 구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직렬 버스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a와 도 3b의 장치들이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3 : 제1A/D(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321 : 제2/D(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311 : 다중화부
315 : 제1제어부
323 : 제2제어부
319 : 제1버스제어부
329 : 제2버스제어부
325 : 제2주소설정부
320, 330 : 직렬버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상태 확인이 필요한 아날로그 신호들이 많은 경우 미리 부여된 주소별로 선택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들을 다중화한 후 하나를 선택하고 디지털로 변환하여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아날로그 신호 수집 장치는 도 1과 같이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101)마다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103)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병렬 버스(105)를 통해 상위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도 2와 같이 모니터 링 아날로그 신호(201)가 다수인 경우 A/D 변환부(202)도 수집할 신호의 개수만큼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병렬 버스(203)의 경우 전기적 구동력(drive strength)의 제한때문에 하나의 버스로 공유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각 A/D 변환부(202)를 제어할 어드레스 디코더(204)가 존재하여 별도의 병렬 버스(205)를 통해 상위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 구현할 때 회로 설계나 인쇄회로기판(PCB) 설계시 병렬 데이터 전송 라인의 신호 무결성을 확보해야 하고, 병렬 버스 버퍼링 관련 부품이 추가되면서 전체적으로 소요 부품 수가 증가하고 소요 면적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각 아날로그 신호 별 취합 소프트웨어를 따로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별로 주소를 부여하여 선택된 주소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거나, 다중화기(Multiplexer)를 이용하여 여러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가 많을 경우에도 직렬 버스를 이용하여 모닝터링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 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그 중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만 출력하는 다중화부;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출력하고 상기 A/D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직렬 버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A/D변환부; 고유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는 주소 설정부; 외부에서 입력되는 활성화 정보와 상기 고유 어드레스가 동일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직렬 버스로 연결하는 직렬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한 후, 수신되는 활성화 정보의 적법성을 인증하여 그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수집된 아날로그 신호중에서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를 선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직렬버스로 출력하는 다중화 취합부; 상기 수신되는 활성화 정보의 적법성을 인증하여 그 인증이 성공하면 수집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직렬버스로 출력하는 주소별 취합부; 및 상기 다중화 취합부와 주소별 취합부를 연결하는 상기 외부 직렬버스를 제공하는 직렬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은 외부 직렬 버스로 연결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중에서 하나를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한 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직렬 버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용이함을 위하여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직렬 버스 신호의 타이밍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a와 도 3b의 장치들이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3a와 도 6을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a의 구성을 이하 “다중화 취합부(300)”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중화부(3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모니터링 신호들을 수신한다(S601단계). 제1제어부(315)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1버스제어부(319)를 통하여 수신되는 명령으로부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정보의 수집을 행하여야 할지 혹은 대기 상태로 지속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한다(S603단계). 제1제어부(315)는 제1주소설정부(316)와 활성화판단부(31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주소설정부(316)는 다중화 취합부(300)의 고유한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활성화판단부(317)는 입력되는 활성화 정보 즉 다중화 취합부(3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와 제1주소설정부(316)가 저장하고 있는 어드레스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두 값이 일치하면 다중화 취합부(300)의 기능을 활성화 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가 직렬버스(320)로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정보 수집 명령이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다중화부(311)에 명령한다. 다중화부(311)는 선택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1A/D변환부(313)로 출력한다. 제1A/D변환부(313)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이상 S605단계). 제1제어부(315)는 이 디지털 신호를 제1버스제어부(319)로 송신하고, 제1버스제어부(319)는 자신과 접속되어 있는 외부 직렬 버스(320)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607단계).
한편 제1제어부(315)에서의 판단 결과 대기명령이면 외부 직렬 버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그대로 직렬 버스에 실어 출력한 후(S609단계)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3b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b의 구성을 “주소별 취합부(320)”로 칭하기로 한다.
주소별 취합부(320)의 경우, 다중화 취합부(300)과 달리 다중화부가 없으며, 대신 주소 설정부(325)를 구비하고 있다. 주소 설정부(325)는 현재 주소별 취합 부(320)의 주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주소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제2버스제어부(329)는 1차 직렬 버스(330)를 구동하는 장치(미도시)로부터 모니터링 할 아날로그 신호가 연결된 블록의 직렬 버스 연결 설정을 요청받게 된다(S701단계). 그러면 제2버스제어부(329)는 그 요청을 제2제어부(323)로 전달한다. 제2제어부(323)는 주소설정부(325)로부터 저장된 주소를 읽어온 후 메시지상에 존재하는 주소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703단계). 만약 같으면 그 결과를 제2버스제어부(329)로 알리게 되고, 제2버스제어부(329)는 1차 직렬 버스(330)를 2차 직렬 버스(327)로 연결한다(S705단계). 제2제어부(323)는 제2A/D변환부(321)로 하여금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것을 명령한다. 이 명령에 따라 제2A/D변환부(32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1차 직렬 버스(33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되게 된다(S707단계).
그러나 주소를 비교한 결과 동일하지 아니하면 연결 요구를 무시하고 1차 직렬버스(330)와의 접속을 차단한다.
이제 직렬 버스(33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a의 직렬버스(320)와 도 3b의 1차 직렬 버스(330)와 2차 직렬 버스(327)는 직렬 버스 클럭 신호(401), 직렬 버스 일반 입력 데이터 신호(402), 그리고 명령어 입력 데이터 신호에 따른 직렬 버스 출력 데이터 신호 등 4개의 필수 신호로 구성된다. 직렬 버스 클럭(401)은 직렬 버스의 동작 기준 클럭용으로 사용되며, 클럭 신호(401)가 논리신호 로우(0)에서 논리신호 하이(1)로 변하는 곳(403)에서 직렬 버스 입력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 받고, 클럭 신호가 논리신호 하이(1)에서 논리신호 로우(0)로 변 하는 곳(404)에서 직렬 버스 출력 데이터가 출력된다. 아울러 직렬 버스 입력 데이터로 받은 명령이나 데이터는 한 클럭 이후인 직렬 버스 명령 수행 시점(405)에서 처리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다중화 취합부(501, 502)와 주소별 취합부(503, 504)가 복수 개 존재할 때 1차 직렬 버스상에서 확장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다중화취합부(300)가 복수로 직렬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에 도 3a의 제1주소설정부(316)와 활성화판단부(317)가 동작하여, 자신의 주소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주소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다중화취합부(300)의 동작을 활성화함으로써 직렬버스를 통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5b는 주소별취합부(320)가 복수로 직렬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에 도 3b의 제2주소설정부(325)와 제2제어부(323)가 동작하여, 자신의 주소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주소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주소별취합부(320)의 동작을 활성화함으로써 직렬버스를 통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c는 다중화취합부(300)와 주소별취합부(320)가 복수로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각 주소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동작함으로써 충돌 없이 연결된다.
그리고 도 5는 도 5a와 같은 다중화취합부만으로 이루어진 블록(510), 그리고 도 5b처럼 주소별취합부로만 이루어진 블록(520)이 직렬버스로 연결되고(540), 다시 이러한 구성이 하나의 전체 블록으로서 이루어지되, 그 전체 블록 자체의 주소를 저장하고 입력되는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그 전체블록과 다른 전체 블록 을 연결하는 직렬버스(550)와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주소비교 및 연결부(530)를 포함하는 구성을 보여준다.
한편, 직렬 버스 연결에서 직렬 버스 클럭과 명령어 신호는 공유하고, 다중화 취합부(300)의 직렬 출력 데이터 신호가 그 다음에 접속하여 있는 다중화 취합부(300)의 직렬 출력 입력 신호에 종속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모니터링 할 아날로그 신호가 많아지더라도 1차 직렬 버스의 연결은 간단히 확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머지 다중화 취합부와 연결된 주소별 취합부, 그리고 그 주소별 취합부와 다시 직렬 연결된 주소별 취합부 역시 인접한 블록 간 직렬 버스 데이터 입력 신호와 직렬 버스 데이터 출력을 종속적으로 연결하고 직렬 버스 클럭과 명령어 신호는 공유하는 방법으로 확장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_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 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에 주소를 부여하거나, 다중화기로 선택한 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직렬 버스를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을 적용할 때 발생하였던 병렬 버스를 이용한 회로 설계의 복잡도 증가 문제, 버스 구동력 증가를 위한 버퍼의 필요성, 어드레스 디코더의 필요성,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 개수 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필요성, 회로 설계 시 소요되는 부품의 수 증가 및 소요 면적 증가 문제, 그리고 개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위한 제어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가 밀집된 곳에서는 다중화 취합부를,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가 떨어져 있는 곳에서는 주소별 취합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혼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다중화 취합부와 주소별 취합부를 동일 직렬 버스에 존재시키면서도 종속적 연결을 통해 일관성 있는 단순한 직렬 버스 회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확장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직렬 버스를 이용한 각 취합부의 제어 방법이 하나의 방식으로 단일화되기 때문에 모니터링 아날로그 신호별로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그 중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만 출력하는 다중화부;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출력하고 상기 A/D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직렬 버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수집 장치의 고유 주소를 저장하는 제1주소설정부; 및
    상기 외부 직렬 버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활성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집 장치의 고유 주소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치하면 상기 버스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 제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활성화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는
    상기 외부 직렬 버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4.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A/D변환부;
    고유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는 주소 설정부;
    외부에서 입력되는 활성화 정보와 상기 고유 어드레스가 동일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직렬 버스로 연결하는 직렬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는
    상기 고유 어드레스를 상이하게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집 장치가 상기 외부 직렬 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한 후, 수신되는 활성화 정보의 적법성을 인증하여 그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수집된 아날로그 신호중에서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를 선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직렬버스로 출력하는 다중화 취합부;
    상기 수신되는 활성화 정보의 적법성을 인증하여 그 인증이 성공하면 수집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직렬버스로 출력하는 주소별 취합부; 및
    상기 다중화 취합부와 주소별 취합부를 연결하는 상기 외부 직렬버스를 제공하는 직렬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취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그 중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만 출력하는 다중화부;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출력하고 상기 A/D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외부 직렬 버스로 출력하는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다중화 취합부의 고유 주소를 저장하는 제1주소설정부; 및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활성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고유 주소 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치하면 상기 버스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 제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활성화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별 취합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A/D변환부;
    상기 주소별 취합부의 고유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는 제2주소설정부;
    상기 활성화 정보와 상기 주소별 취합부의 고유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외부 직렬 버스로 연결하는 직렬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장치는
    상기 다중화 취합부 혹은 주소별 취합부가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며, 상기 고유의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상기 외부 직렬 버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장치는
    상기 수집장치 자체의 고유 어드레스를 저장하여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고유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상기 수집장치를 활성화하여 상기 외부 직렬 버스와 연결하는 주소비교 및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
  12. 외부 직렬 버스로 연결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중에서 하나를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한 후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직렬 버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수집 장치의 고유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입력되는 주소와 상기 수집 장치의 고유 주소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3) 일치하면 상기 직렬 버스로의 송신을 허용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직렬 버스로의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 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
  14. 외부 직렬 버스로 연결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장치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중에서 하나를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한 후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직렬 버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 수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85889A 2005-12-07 2006-09-06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수집 장치 및 그 방법 KR10082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89A KR100825727B1 (ko) 2005-12-07 2006-09-06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수집 장치 및 그 방법
US11/588,139 US7453380B2 (en) 2005-12-07 2006-10-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alog signals and outputting digitally converted analog signals using serial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068 2005-12-07
KR20050119068 2005-12-07
KR1020060085889A KR100825727B1 (ko) 2005-12-07 2006-09-06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수집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922A true KR20070059922A (ko) 2007-06-12
KR100825727B1 KR100825727B1 (ko) 2008-04-29

Family

ID=3811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889A KR100825727B1 (ko) 2005-12-07 2006-09-06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수집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53380B2 (ko)
KR (1) KR100825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454B1 (ko) * 2010-07-26 2012-03-16 엠텍비젼 주식회사 블록간 분리 구조를 가지는 프로세서 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8047A (zh) * 2006-11-17 2008-05-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通道差动信号监测电路
CN116074155B (zh) * 2023-02-17 2024-02-13 广东保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复合总线通讯设备的传输控制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557A (en) * 1975-05-08 1977-04-0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led amplifier apparatus
JPS60124125A (ja) * 1983-12-08 1985-07-03 Ishida Scales Mfg Co Ltd 多入力信号高速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US4804957A (en) * 1985-11-27 1989-02-14 Triad Communications, Inc. Utility meter and submetering system
US5208545A (en) * 1991-03-27 1993-05-04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phase skew in a multi-channel data acquisition system
US5621437A (en) 1994-10-07 1997-04-15 Lg Electronics Inc. Data input/output control unit for touch panel interface device
KR100192636B1 (ko) 1995-06-28 1999-06-15 김영환 디지탈/아날로그 시스템의 경보/상태신호 수집장치
US5774733A (en) 1995-10-03 1998-06-3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icrocontroller with analog front-end for providing intelligent battery management
US5768152A (en) 1996-08-28 1998-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Performance monitoring through JTAG 1149.1 interface
JP2000092083A (ja) * 1998-09-17 2000-03-31 Nissan Motor Co Ltd 車両搭載用電子制御装置
KR100332835B1 (ko) 1999-08-05 2002-04-17 홍상복 이종 열전대의 다채널 동시 사용이 가능한 온도측정 장치 및방법
DE60222739D1 (de) * 2002-04-23 2007-11-15 St Microelectronics Sa Gerät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digitalen Signalen, die jeweils einen analogen Signalwert kodieren
JP2005057374A (ja) * 2003-08-08 2005-03-03 Renesas Technology Corp A/d変換装置および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
JP3982762B2 (ja) * 2004-10-26 2007-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装置
US7277040B2 (en) * 2005-07-01 2007-10-02 Dsp Group In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with ping-pong architecture
US7209066B1 (en) * 2005-10-18 2007-04-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ircuit and method for extending microcontroller analog input capa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454B1 (ko) * 2010-07-26 2012-03-16 엠텍비젼 주식회사 블록간 분리 구조를 가지는 프로세서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727B1 (ko) 2008-04-29
US7453380B2 (en) 2008-11-18
US20070126613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94853A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伝送装置及びデータ伝送方法
KR100825727B1 (ko) 직렬 버스를 이용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데이터수집 장치 및 그 방법
JP6741497B2 (ja) 信号変換装置、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信号変換方法
US7209868B2 (en) Sign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06262275A (ja) 送受信機、光伝送装置、ポート別切替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0472939A (ja) 光スイッチを用いたパケット交換装置
JP4889025B2 (ja) 伝送システム、情報機器、情報伝送方法及び情報伝送プログラム
JPS59134943A (ja) デ−タ通信システム
JP2003218731A (ja) ソフトウェア無線機用信号処理装置および無線システム
JP2003163653A (ja) シリアルデータ通信方法
KR100299137B1 (ko) 통신시스템의 서킷 에뮬레이션 장치
JP5592189B2 (ja) ディジタル保護制御装置
JP3074598B2 (ja) データ交換装置
JPH1011390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応用装置
KR100200567B1 (ko) 대용량 icps에서 tnif의 프로세서와 tdna 간의 정합 방법
US7571260B2 (en) CPU address decoding with multiple target resources
JPH09200203A (ja) インターフェース変換装置
JPH07248882A (ja) アナログ入力処理装置
CN114221666A (zh) 多模式时序控制与中频调制信号产生装置
JP2007053720A (ja) A/d変換装置およびa/d変換システム
JP2001007889A (ja) データ伝送方式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JPH0440919B2 (ko)
JPH081630B2 (ja) データ送受信装置
JPH1049474A (ja) スロットアドレス回路
JP2009098787A (ja) 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