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975A -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975A
KR20070058975A KR1020060121191A KR20060121191A KR20070058975A KR 20070058975 A KR20070058975 A KR 20070058975A KR 1020060121191 A KR1020060121191 A KR 1020060121191A KR 20060121191 A KR20060121191 A KR 20060121191A KR 20070058975 A KR20070058975 A KR 20070058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ock
arm
closing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홋따
사다또 시이바시
마사노리 야마무라
마사또 이나가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개폐 덮개를 확실하게 폐색하는 면에서 유리한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로크 기구(86)는 개폐 덮개(27)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와, 개폐 덮개(27)의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로 한다. 개폐 덮개(27)의 내면에 상기 개폐 덮개(27)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개폐 덮개(27)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부에 연장되는 아암(88)이 설치되고, 아암(88)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개폐 덮개(27)의 요동 축심(O1)으로부터 떨어진 수용부(26)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2개의 로크 갈고리가 각각 설치되고, 로크 기구(86)는 아암(88) 및 그들 2개의 로크 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 개폐 덮개, 아암, 수용부, 촬상 장치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촬상 장치(10)의 우측면도.
도8은 그립 벨트(28)와 케이스(12)의 고정 부분의 사시도.
도9는 그립 벨트(28)와 개폐 덮개(27)의 고정 부분의 사시도.
도10은 촬상 장치(10)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11은 개폐 덮개(27)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12는 로크 기구(86)의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로크 기구(86)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로크 기구(86)의 비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로크 기구(86)의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6은 로크 기구(86)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7은 로크 기구(86)의 비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
10 : 촬상 장치
12 : 케이스
14 : 촬영 광학계
18 : 촬상 소자
26 : 수용부
27 : 개폐 덮개
28 : 그립 벨트
60 : 기록 재생 기구
86 : 로크 기구
88 : 아암
8802 : 제1 로크 갈고리
8804 : 제2 로크 갈고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4668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2877호 공보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 등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부를 설치하고,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를 힌지를 거쳐서 수용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로크 기구에 의해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와, 개폐 덮개의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참조).
상기 전자 기기에서는, 로크 기구는 개폐 덮개의 외주에서 힌지와 반대측의 개폐 덮개 부위에 설치된 걸어 맞춤 갈고리와, 수용부에 조립되고 플런저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슬라이드함으로써 걸어 맞춤 갈고리와의 걸림 이탈이 이루어지는 걸어 맞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466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2877호 공보
한편,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어 있으므로 케이스나 개폐 덮개의 박육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개폐 덮개가 1부위에서 로크되는 구조에서는, 개폐 덮개를 확실하게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개폐 덮개를 확실하게 폐색하는 면에서 유리한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덮개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개폐 덮개의 내면에 상기 개폐 덮개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개폐 덮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부에 연장되는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로크 상태 를 형성하는 로크 갈고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아암 및 2개의 로크 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케이스의 전방면에 면하도록 설치된 촬영 광학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해 도입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부와, 상기 케이스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개폐 덮개의 내면에 상기 개폐 덮개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개폐 덮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부에 연장되는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갈고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아암 및 2개의 로크 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촬상 장치(10)의 우측면도, 도10은 촬상 장치(10)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 는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는 촬상 장치(10)이며, 촬상 장치(10)가 비디오 카메라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촬상 장치(10)는 외장을 구성하고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큰 치수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케이스(1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좌우는, 촬상 장치(10)를 후방에서 본 상태에서 말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광학계의 광축 방향에서 피사체측을 전방이라 하고, 촬상 소자측을 후방이라 한다.
케이스(12)의 상부의 전방부에는, 촬영 광학계(14)가 조립된 경통(16)이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촬영 광학계(14)는 줌 렌즈를 갖고, 줌률이 연속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촬영 광학계(14)에 의해 도입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18)(도10 참조) 등이 수용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상부의 후방부에는 촬상 소자(1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뷰 파인더(전자식 파인더)(20)가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뷰 파인더(20)는 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된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22)(도10 참조)을 갖고, 그 디스플레이 패널(22)에 표시되는 화상을 눈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좌측부에는 촬상 소자(1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24)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디스플레이 패널(24)은 폐쇄되었을 때에 수용 오목부(1202)에 수용된다. 또한, 수용 오목부(1202)의 바닥벽에는 스피커(52)(도10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우측부에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도10 참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26)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2602)과, 수용 공간(2602)에 설치되고 장착부를 구성하는 턴테이블(2606)과, 기록 재생 기구(60)와 이 수용 공간(2602)을 폐색하는 개폐 덮개(27)를 갖고, 개폐 덮개(27)의 외면에 의해 케이스(12)의 우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27)는 하단부의 힌지(2650)(도5 참조)를 지지점(요동 축심)으로 하여 그 상단부가 케이스(12)의 외측방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개폐 덮개(27)는 도2에 도시한 폐색 위치와 도3에 도시한 개방 위치에 걸쳐 개폐되고, 개방 위치에 있어서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착탈이 이루어진다.
또한, 개폐 덮개(27)는 후술하는 로크 기구(86)에 의해 폐색 위치에서 로크되고, 또한 로크가 해제됨으로써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턴테이블(2606)은 수용 공간(2602)의 바닥벽에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스핀들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중심 구멍이 턴테이 블(2606)에 걸어 맞춤 보유 지지됨으로써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가 턴테이블(2606)과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우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 벨트(28)가 설치되어 있고, 그립 벨트(28)는 개폐 덮개(27)의 외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폐 덮개(27)의 외면과의 사이에 오른손 바닥이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상면 후방부에는 비디오 라이트나 플래시 라이트 등의 액세서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핫슈(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전방면 하부에는 음성을 수음하기 위한 마이크로 폰(46)(도10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에는 촬영에 관련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 전원용 조작 부재(32),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 줌용 조작 부재(36), 모드 절환용 조작 부재(38),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 개폐 덮개용 조작 부재(8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용 조작 부재(32),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 줌용 조작 부재(36), 모드 절환용 조작 부재(38), 개폐 덮개용 조작 부재(82)는 케이스(1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는 케이스(12)의 후방면의 상하 방향의 중간에서 우측면 부근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전원용 조작 부재(32)는 촬상 장치(10)의 전원의 온, 오프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는 촬영 소자(18)에 의한 정지 화상의 촬영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줌용 조작 부재(36)는 촬영 광학계(14)의 줌률을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모드 절환용 조작 부재(38)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와 동화상 촬영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것이다.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는 동화상 촬영의 개시와 정지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 덮개용 조작 부재(82)는 개폐 덮개(27)를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에는 영상 신호용 증폭 회로(42), 화상 데이터 처리부(44), 마이크로 폰(46), 마이크로 폰용 증폭 회로(48), 음성 데이터 처리 회로(50), 스피커(52), 출력용 증폭 회로(54), 기록 재생 회로(56), 제어 회로(58), 기록 재생 기구(60), 드라이브 회로(62), 인터페이스 회로(64), 메모리 카드용 슬롯(66), 줌 구동부(6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에는 전원 스위치(70), 정지 화상 촬영용 스위치(72), 줌용 스위치(74), 모드 절환용 스위치(76), 동화상 촬영용 스위치(78), 개폐 덮개용 스위치(84)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18)에 의해 생성된 촬상 신호는 영상 신호용 증폭 회로(42)에서 증폭되고, 화상 데이터 처리부(44)에 공급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는 촬상 신호로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록 재생 회로(56)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폰(46)으로 수음된 음성 신호는 마이크로 폰용 증폭 회로(48)에서 증폭되고, 음성 데이터 처리 회로(50)에 의해 소정의 신호 처리가 이루어져 음성 데이터로서 기록 재생 회로(56)에 공급된다.
기록 재생 회로(56)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로부터 공급된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처리 회로(50)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 회로(58)의 제어에 따라서 수용부(26)의 기록 재생 기구(60)에 공급한다.
기록 재생 기구(60)는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에 기록하는 것이며, 특허 청구 범위의 기록 재생부(기록부)를 구성하고 있다. 기록 재생 기구(60)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광픽업에 의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기록층에 광빔을 조사함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고, 또한 광픽업에 의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기록층에 조사한 광빔의 반사광 빔을 검출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로서 DVD-R 등의 광디스크를 이용하지만,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로서는 DVD-R 이외의 광디스크, 혹은 광자기 디스크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록 재생 회로(56)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로부터 공급된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처리 회로(50)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회로(64)를 통해 메모리 카드용 슬롯(66)에 장착된 기록 매체로서 의 메모리 카드(4)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재생 회로(56)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로부터 공급된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드라이브 회로(6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2, 24)에 공급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하게 한다.
또한, 기록 재생 회로(56)는 인터페이스 회로(64)를 통해 메모리 카드(4)로부터 공급되는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드라이브 회로(6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2, 24)에 공급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하게 하는 동시에, 인터페이스 회로(64)를 통해 메모리 카드(4)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용 증폭 회로(54)를 통해 스피커(52)에 공급하여 음성의 출력을 행하게 한다.
또한, 기록 재생 회로(56)는 기록 재생 기구(60)에 의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로부터 재생된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드라이브 회로(6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2, 24)에 공급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하게 하는 동시에, 기록 재생 기구(60)에 의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용 증폭 회로(54)를 통해 스피커(52)에 공급하여 음성의 출력을 행하게 한다.
전원 스위치(70)는 전원용 조작 부재(32)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며, 제어 회로(58)는 전원 스위치(70)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촬상 장치(10)의 전원의 온, 오프를 행한다.
정지 화상 촬영용 스위치(72)는 정지 화상 촬영용 부재(34)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고, 제어 회로(58)는 정지 화상 촬영용 스위치(72)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부(44) 및 기록 재생 회로(56)에 지령을 부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로부터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로 공급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 재생 회로(56)로부터 기록 재생 기구(60)로 공급함으로써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에 기록시킨다. 환언하면, 정지 화상 촬영용 부재(34)는 이른바 셔터 버튼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줌용 스위치(74)는 줌용 조작 부재(36)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며, 제어 회로(58)는 줌용 스위치(74)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줌 구동부(68)에 지령을 부여함으로써, 촬영 광학계(14)의 줌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영 광학계(14)의 줌률을 변화시킨다.
모드 절환용 스위치(76)는 모드 절환용 조작 부재(38)의 조작에 의해 동작 되는 것이며, 제어 회로(58)는 모드 절환용 스위치(76)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부(44)에 지령을 부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처리부(44)에 의해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동화상 촬영 모드와, 화상 데이터 처리부(44)에 의해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를 절환한다.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4)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 재생 회로(56)를 통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 또는 메모리 카드(4)에 기록되고,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4)에서 생성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기록 재생 회로(56)를 통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 또는 메모리 카드(4)에 기록된다.
동화상 촬영용 스위치(78)는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며, 제어 회로(58)는 동화상 촬영용 스위치(78)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의 개시, 기록의 정지를 행하게 한다. 즉, 제어 회로(58)는 동화상 촬영용 스위치(78)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부(44) 및 기록 재생 회로(56)에 지령을 부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로부터 화상 데이터 처리부(44)로 공급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 재생 회로(56)로부터 기록 재생 기구(60)로 공급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를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에 기록시키는 동작을 개시시키거나, 혹은 그 동작을 정지시킨다. 환언하면,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는 이른바 촬영 개시/정지의 조작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개폐 덮개용 스위치(84)는 개폐 덮개용 조작 부재(82)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며, 제어 회로(58)는 개폐 덮개용 스위치(84)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후술하는 액츄에이터(90)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액츄에이터(90)를 동작시키고, 이에 의해 개폐 덮개(27)의 로크 기구(86)를 구동한다. 즉, 제어 회로(58)는 개폐 덮개용 스위치(84)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로크 기구(86)에 의한 개폐 덮개(27)의 로크와 로크의 해제를 행하고,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에 대한 기록 동작 중에 개폐 덮개(27)가 부주의하게 개방되어 기록 동작이 도중에 정지하여 데이터가 파손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덮개용 조작 부재(82)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전방면을 전방을 향해 오른손의 손바닥과, 엄지를 제외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케이스(12)의 우측부를 잡은 상태에서, 케이스(12)의 상면의 후방부의 우측부에서 오른손의 검지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의 부위에, 촬영에 관련되는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3 개의 조작 부재인 전원용 조작 부재(32)와,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와, 줌용 조작 부재(36)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우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 벨트(28)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2)를 오른손 바닥과, 엄지를 제외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케이스(12)의 우측부를 잡을 때에, 엄지를 제외한 오른손의 손가락은 케이스(12)의 우측면과 그립 벨트(28)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용 조작 부재(32)와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와 줌용 조작 부재(36)는 수용부(26)의 후방 또한 상방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용 조작 부재(32)와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와 줌용 조작 부재(36)가 배치된 부위의 좌측방에 뷰 파인더(20)가 케이스(12)의 후방면에 면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용 조작 부재(32)와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와 줌용 조작 부재(36) 중, 전원용 조작 부재(32)는 가장 후방의 부위에 배치되고, 줌용 조작 부재(36)는 가장 전방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는 압박용 버튼으로 구성되고,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를 압박 조작함으로써 정지 화상 데이터가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 또는 메모리 카드(4)에 기록된다.
줌용 조작 부재(36)는 요동 레버로 구성되고, 전후 방향을 지나는 가상 축의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항시 중립 위치에 가압되고, 케이스(12)의 폭 방향의 중심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줌률이 감소되도록(광각측이 되도록), 외측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줌률이 증가되도록(망원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줌용 조작 부재(36)의 전후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벽(1210)이 각각 설치되어, 줌용 조작 부재(36)를 보다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원용 조작 부재(32)와 모드 절환용 조작 부재(38)는 전후 방향을 지나는 가상 축의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반 형상의 단일 요동 부재(80)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부재(80)의 후방 단부면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12)의 후방 단부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케이스(12)의 후방에 노출되어 있다.
요동 부재(80)를 제1 요동 위치와 제2 요동 위치 사이에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전원의 온, 오프가 이루어지고, 상세하게는 제1 요동 위치에서 전원이 오프되고, 제2 요동 위치에서 전원이 온된다.
또한, 요동 부재(80)를 제2 요동 위치와, 제2 요동 위치를 사이에 두고 제1 요동 위치와 반대에 위치하는 제3 요동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조작할 때마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와 동화상 촬영 모드로 번갈아 절환되고, 요동 부재(80)는 제2 요동 위치에 위치하도록 항시 가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부재(80)의 외주부에 오 목부(8002)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8002)의 바닥면에 로크 버튼(8004)이 압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부재(80)가 제1 요동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크 버튼(8004)을 누름으로써 제1 요동 위치부터 제2 요동 위치로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는 케이스(12)의 전방면을 전방을 향해, 오른손의 손바닥과, 엄지를 제외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케이스의 우측부를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의 엄지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원용 조작 부재(32)의 하방의 케이스(12)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는 압박용 버튼으로 구성되고, 동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40)를 압박 조작할 때마다 동화상 데이터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 또는 메모리 카드(4)에의 기록의 개시와 정지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용 조작 부재(32)와,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와, 줌용 조작 부재(36)를 배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게 된다.
케이스(12)의 전방면을 전방을 향해, 오른손의 손바닥과, 엄지를 제외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케이스(12)의 우측부를 잡은 상태에서, 케이스(12)의 상면의 후방부의 우측부에서 오른손의 검지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의 부위에, 전원용 조작 부재(32)와, 정지 화상 촬영용 조작 부재(34)와, 줌용 조작 부재(36)가 전후 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2)를 잡은 상태에서 이들 3개의 조작 부재의 전부를 오른손의 검지로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다음에, 그립 벨트(28)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은 그립 벨트(28)와 케이스(12)의 고정 부분의 사시도, 도9는 그립 벨트(28)와 개폐 덮개(27)의 고정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벨트(28)는 개폐 덮개(27)의 외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본체(2802)와, 벨트 본체(2802)의 중간 부위를 덮는 손등 맞댐 패드(2804)를 갖고 있다.
벨트 본체(2802)는 가요 가능하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 섬유가 띠 형상으로 짜여져 형성되어 있다.
손등 맞댐 패드(2804)는, 예를 들어 직물이나 합성 피혁 등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손 등에 닿도록 벨트 본체(2802)보다도 큰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본체(2802)의 중간 부위에 손등 맞댐 패드(2804)가 설치됨으로써 벨트 본체(2802)와 개폐 덮개(27)의 외면 사이에 오른손 바닥이 삽입되었을 때에, 손등 맞댐 패드(2804)의 부분이 오른손 등에 접촉하여, 오른손 바닥과 케이스(12)의 우측부 및 개폐 덮개(27)의 외면과의 피트감이 확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벨트(28)의 전후 방향의 일단부는 케이스(12)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케이스(12)의 전후 방향의 단부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개폐 덮개(27)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 도2,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본체(2802)의 전방 단부(2810)는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전방을 향한 벽부(2610)에는, 벨트 본체(2802)의 전방 단부(2810)를 삽입 가능한 개구(2612)가 형성되고, 개구(2612)의 내부에 삽입된 벨트 본체(2802)의 전방 단부(2810)의 구멍(2812)에 개폐 덮개(27)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걸어 맞춤 돌기(2614)가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벨트 본체(2802)의 전방 단부(2810)가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벽부(2610)가 위치하는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12)의 전방면의 상하 방향 중앙부보다도 후방으로 변위한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4, 도5,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는 케이스(12)의 하부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케이스(12)는 후방을 향한 후방면(1220)을 갖고, 후방면(1220)의 하부에서 우측부 부근에 위치하는 벽부(2820)에 벨트 본체(2802)의 후방 단부(2820)가 삽입되는 개구(1222)가 형성되고, 개구(1222) 내에 삽입된 벨트 본체(2802)의 후방 단부(2820)가 후방면(1220)의 내면에 설치된 걸어 맞춤 축부(1224)에 계지됨으로써, 벨트 본체(2802)의 후방 단부(2820)가 케이스(12)의 하부 후방 단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 부근 부분은 개구(1222)를 통해 후방면(12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벨트 본체(2802)가 개구(2612, 1222)에 근접하는 부위에는 각각 부재(2830)가 고정되어 있고, 그들 부재(2830)의 사이에서 벨트 본체(2802)의 길이 조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 벨트(28)를 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휘된다.
개폐 덮개(27)는 하단부의 힌지(2650)(도5 참조)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는 개폐 덮개(27)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후방 단부(2820)는 케이스(12)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개폐 덮개(27)를 개방한 경우, 혹은 폐색한 경우 중 어떠한 경우에도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는 개폐 덮개(27)의 전방 단부(2820)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그립 벨트(28)가 개폐 덮개(27)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종래와 달리 그립 벨트(28)를 개폐 덮개(27)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고,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장착부(26)로의 교환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특히,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는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후방 단부(2820)는 케이스(12)의 하부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한층 더 유리해진다.
또한, 개폐 덮개(27)를 개폐할 때,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가 개폐 덮개(27)의 전방 단부와 함께 이동하므로, 그립 벨트(28)와 개폐 덮개(27)의 외면과의 사이에 오른손을 삽입한 상태라도 개폐 덮개(27)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0)를 책상 위 등에 적재하지 않고, 그립 벨트(28)와 개폐 덮개(27)의 외면 사이에 오른손을 삽입하여 오른손으로 촬상 장치(10)를 보유 지지한 상태로, 왼손으로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교환 조작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히 행할 수 있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촬영을 행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12)의 전방면 상하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후방으로 변위한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금구(2830)가 위치하고 있어도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촬상 장치(10)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가 개폐 덮개(27)의 지지점에 가까운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립 벨트(28)와 개폐 덮개(27)의 외면과의 사이에 오른손을 삽입하였을 때에,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로부터 개폐 덮개(27)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지지점에 가까운 부위에 걸리고, 따라서 개폐 덮개(27)를 박육화하여 촬상 장치(10)를 콤팩트화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그립 벨트(28)와 개폐 덮개(27)의 외면과의 사이에 삽입한 오른손의 폭이 커, 오른손의 후방 부근의 부분이 후방면(1220)보다도 후방으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라도,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 부근 부분이 후방면(12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 부근 부분을 후방 면(1220)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어져 나온 오른손 부분에 밀착하여 연장시킬 수 있어, 그립 벨트(28) 및 케이스(12)와 오른손의 피트감을 확보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즉,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가 케이스(12)의 후방면(1220)이 아닌, 케이스(12)의 우측면의 후방부 부근 부위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지만, 그 때에는 오른손의 후방 부근의 부분이 후방면(1220)보다도 후방으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에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가 일단 우측방으로 돌출한 후 후방으로 굴곡되므로, 그립 벨트(28) 및 케이스(12)와 오른손의 피트감을 얻는 면에서 불리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가 개폐 덮개(27)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가 케이스(12)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가 케이스(12)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가 개폐 덮개(27)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가 개폐 덮개(27)의 하부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그립 벨트(28)의 후방 단부(2820)가 케이스(12)의 하부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와 후방 단부(2820)가 고정되는 위치는 케이스(12)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덮개(27)가 하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그 상단부가 케이스(12)의 외측방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 지만, 개폐 덮개(27)가 후방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그 전방 단부가 케이스(12)의 외측방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립 벨트(28)의 전방 단부(2810)를 개폐 덮개(27)의 전방 단부에 고정하고, 그립 벨트(2810)의 후방 단부(2820)를 케이스(12)의 후방 단부에 고정하도록 하면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다음에, 로크 기구(86)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개폐 덮개(27)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12는 로크 기구(86)의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로크 기구(86)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로크 기구(86)의 비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로크 기구(86)의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6은 로크 기구(86)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7은 로크 기구(86)의 비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로크 기구(86)는, 도12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7)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와, 도14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7)의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로 하는 것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7)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보다도 큰 윤곽을 갖고, 개폐 덮개(27)의 내면에 상기 개폐 덮개(27)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개폐 덮개(27)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부에 연장되는 아암(88)이 설치되고, 아암(88)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개폐 덮개(27)의 요동 축심(O1)으로부터 떨어진 수용부(26)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2개의 로 크 갈고리가 각각 설치되고, 로크 기구(86)는 아암(88) 및 그들 2개의 로크 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암(88)은 개폐 덮개(27)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아암(88)은 개폐 덮개(27)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에서, 수용부(26)에 수용된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아암(88)은 개폐 덮개(27)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에서, 요동 축심(O1)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86)를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로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90)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88)의 중간부는 개폐 덮개(27)의 내면 중앙의 축(270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아암(88)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제1 로크 갈고리(8802)로서 형성되고, 아암(88)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제2 로크 갈고리(8804)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로크 갈고리(8802)는 아암(88)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개폐 덮개(27)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88)의 제1 로크 갈고리(8802) 부근의 부위에, 이 제1 로크 갈고리(8802) 부근의 부위를 끼우도록 제1 로크 갈고리(8802)를 가압하는 스프링(8810)과 제1 스토퍼(8812)가 설치되고, 아암(88)의 제2 로크 갈고리(8804) 부근의 부위에 스프링(8810)의 탄성력에 의한 아암(88)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881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90)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26)에 근접하는 케이스(12)의 내면에 설치되고, 액츄에이터(9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모터와 감속 기구로 구성되고, 제어 회로(58)로부터 모터로의 전류의 공급에 의해 도15 내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용 돌기(9002)를 돌출, 몰입시켜 왕복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이 액츄에이터(90)의 작동은 상기한 개폐 덮개용 조작 부재(82)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액츄에이터(90)로서 솔레노이드나 플런저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것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액츄에이터(90)에 인접하여 케이스(12)의 내면에 가이드판(92)이 설치되어 있다.
도12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92)에는 축(9202)과 긴 홈(9204)의 걸어 맞춤을 통해 슬라이드 부재(94)가 왕복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슬라이드 부재(94)는 이동용 돌기(9002)에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94)에는 제1 로크 갈고리(8802)에 걸어 맞춤 가능한 제1 돌기(9402)가 설치되고, 또한 후술하는 요동편(96)에 걸어 맞춤 가능한 제2 돌기(94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돌기(9402)가 특허청구 범위의 계지부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제2 로크 갈고리(8804)는 수용부(26)의 벽면에 설치된 돌기(2620)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판(92)에는 슬라이드 부재(94)에 더하여, 요동편(96)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편(96)은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축(9210)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축(9210)은 슬라이드 부재(94)의 긴 홈(9410)을 통해 가이드판(92)으로 지지되어 있고, 요동편(96)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제1 걸어 맞춤부(9602)가 되고, 요동편(96)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는 제2 걸어 맞춤부(9604)로 되어 있다.
요동편(96)과 슬라이드 부재(94)의 사이에 스프링(9610)이 설치되고, 요동편(96)은 스프링(9610)의 탄성력에 의해 축(9210)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개폐 덮개(27)가 폐쇄되어 로크 상태에 있고, 이 상태로부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를 착탈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7)가 폐쇄되어 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90)에는 통전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드 부재(94)는 스프링(9610)에 의해 힌지(2650)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아암(88)은 제1 로크 갈고리(8802)가 힌지(2650)에 근접하는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고, 도11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로크 갈고리(8802) 부근 부분이 제1 스토퍼(8812)에 접촉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12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94)에 설치된 제1 돌기(9402)가 아암(88)의 제1 로크 갈고리(8802)에 걸어 맞추어지고, 아암(88)의 제2 로크 갈고리(8804)가 돌기(2620)(특허청구 범위의 결합벽에 상당)에 걸어 맞추어지고, 개폐 덮개(27)가 수용부(2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요동이 저지되어 개폐 덮개(27)는 폐색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아암(88)의 요동 상태를 제1 요동 상태라 한다.
여기서, 개폐 덮개용 조작 부재(82)의 조작에 의해 액츄에이터(90)를 구동하면, 이동용 돌기(9002)가 돌출함으로써, 도13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94)가 힌지(26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88)은 스프링(8810)에 의해 제1 로크 갈고리(8802)가 힌지(26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부재(94)의 이동에 제1 로크 갈고리(8802) 부근 부분이 추종하여 이동하고, 이윽고 제2 로크 갈고리(8804) 부근 부분이 제2 스토퍼(8814)에 접촉하여, 도1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요동 위치가 된다. 이 아암(88)의 요동 상태를 제2 요동 상태라 한다.
이 제2 요동 상태에서, 도13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로크 갈고리(8804)는 돌기(2620)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제1 돌기(9402)가 제1 로크 갈고리(8802)에 계지되어 로크 기구(86)는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의 중간 상태가 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94)가 힌지(26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14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로크 갈고리(8802)로부터 제1 돌기(9402)가 떨어진다.
즉, 아암(88)은 제2 요동 상태로 유지된 상태로 제2 로크 갈고리(8804)가 돌기(2620)로부터 떨어지고, 제1 로크 갈고리(8802)가 제1 돌기(9402)로부터 떨어져 비로크 상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로크 갈고리(8802)로부터 제1 돌기(9402)가 떨어지면, 요동편(96)이 스프링(9610)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요동편(96)의 제1 걸어 맞춤부(9602)에 의해 제1 로크 갈고리(8802)는 수용부(2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출되고 개폐 덮개(27)는 소정의 개방도로 개방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94)의 제2 돌기(9404)가 요동편(96)의 제2 걸어 맞춤부(9604)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슬라이드 부재(94)의 힌지(2650)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저지된다.
또한, 전류가 액츄에이터(90)에 공급되어 이동용 돌기(9002)가 돌출된 후에는, 액츄에이터(90)에 대한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지만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94)의 제2 돌기(9404)가 요동편(96)의 제2 걸어 맞춤부(9604)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이동용 돌기(9002)는 돌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개폐 덮개(27)가 소정의 개방도 개방되었으면, 사용자는 개폐 덮개를 개방 위치로 개방하여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착탈을 행한다.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착탈 후, 개폐 덮개(27)를 폐쇄하면 제1 로크 갈고리(8802)가 요동편(96)의 제1 걸어 맞춤부(9602)에 걸어 맞추어져 요동편(96)을 요동시켜, 슬라이드 부재(94)의 제2 돌기(9404)와 요동편(96)의 제2 걸어 맞춤부(9604)의 걸어 맞춤을 해제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94)가 스프링(9610)의 가압력에 의해 힌지(2650)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13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94)의 제1 돌 기(9402)가 아암(88)의 제1 로크 갈고리(8802)에 걸어 맞추어지고, 아암(88)은 제2 요동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로크 기구(86)는 상기 중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94)가 스프링(9610)의 가압력에 의해 더욱 힌지(265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1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88)은 그 제1 로크 갈고리(8802) 부근 부분이 제1 스토퍼(8812)에 닿을 때까지 요동되고, 아암(88)은 제1 요동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12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88)의 제2 로크 갈고리(8804)가 돌기(2620)에 걸어 맞추어지고, 제1 돌기(9402)와 제1 로크 갈고리(8802)의 걸어 맞춤 및 제2 로크 갈고리(8804)와 돌기(2620)의 걸어 맞춤에 의해 로크 상태가 형성되고, 개폐 덮개(27)가 수용부(2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요동이 저지되어 개폐 덮개(27)는 폐색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94)가 스프링(9610)의 가압력에 의해 힌지(265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공급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액츄에이터(90)의 이동용 돌기(9002)는 몰입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일 아암(88)을 이용함으로써 개폐 덮개(27)의 2군데를 로크할 수 있고, 따라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개폐 덮개(27)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어 개폐 덮개(27)나 케이스(12)의 박육화를 도모하는 면에서도 유리해진다.
또한, 아암(88)에 의해 개폐 덮개(27)의 2군데를 로크함으로써 개폐 덮개(27)의 폐색 위치의 로크 상태를 견고하게 하여, 그립 벨트(28)로부터 받는 힘에 충분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와 같이 그립 벨트(28)의 일단부를 개폐 덮개(27)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장착부(26)에의 교환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아암(88)은 개폐 덮개(27)의 내면을 따라 연장하고 개폐 덮개(27)의 내면의 데드 스페이스에 배치되므로, 아암(88)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는 최소로 충분하며 소형화를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아암(88)은 개폐 덮개(27)를 폐색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에서, 수용부(26)에 수용된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게다가 힌지(2650)의 요동 축심(O1)과 평행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므로 개폐 덮개(27)의 폐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86)의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액츄에이터(90)를, 개폐 덮개(27)가 아닌 수용부(26)[케이스(12)]에 설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액츄에이터(90)를 개폐 덮개(27)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개폐 덮개(27)를 복잡화하는 일 없이 박형화, 콤팩트화하는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86)에 의한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의 사이에, 제2 로크 갈고리(8804)가 돌기(2620)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제1 돌기(9402)가 제1 로크 갈고리(8802)에 계지되는 중간 상태가 형성되어, 로크 상태 및 비로크 상태가 단계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해,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2)의 착탈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90)에 의해 로크 기구(86)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액츄에이터(90)를 이용하지 않고 조작 버튼이나 링크 기구 등을 이용함으로써 로크 기구(86)를 구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86)가 가이드판(92)이나 슬라이드 부재(94), 요동편(9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아암(88)을 요동시켜 제1 로크 갈고리(8802) 및 제2 로크 갈고리(8804)를 수용부(26)에 걸림 이탈시키는 기구에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채용 가능하며, 실시 형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출원인은 가이드판, 슬라이드 부재, 요동편, 로크 갈고리를 구비하고, 로크 갈고리와 슬라이드 부재의 걸어 맞춤부가 걸림 이탈함으로써 개폐 덮개의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기구를 갖는 촬상 장치(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2877호 공보)를 이미 제안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이 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가이드판, 슬라이드 부재, 요동편과 동일한 구조를 본 발명의 로크 기구(86)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가 촬상 장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착탈하여 이용하는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휴대형 CD 플레이어나 DVD 플레이어, 혹은 CD 드라이브 장치나 DVD 드라이브 장치 등에 널리 적용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아암을 이용함으로써 개폐 덮개의 2군데 를 로크할 수 있고, 따라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개폐 덮개를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어, 개폐 덮개나 케이스의 박육화를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Claims (20)

  1.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덮개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개폐 덮개의 내면에 상기 개폐 덮개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개폐 덮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부에 연장되는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갈고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아암 및 2개의 로크 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개폐 덮개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한 로크 상태에서,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을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로 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로크 갈고리는 제1 로크 갈고리와 제2 로크 갈고리이며,
    계지부를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걸림 이탈시켜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고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로 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제1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이 상기 제2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어 상기 로크 상태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의 제2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로부터 상기 제1 로크 갈고리가 빠지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으로부터 상기 제2 로크 갈고리가 빠져 상기 비로크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로크 갈고리는 제1 로크 갈고리와 제2 로크 갈고리이고,
    계지부를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걸림 이탈시켜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고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로 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제1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이 상기 제2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어 상기 로크 상태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의 제2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로부터 상기 제1 로크 갈고리가 빠지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으로부터 상기 제2 로크 갈고리가 빠져 상기 비로크 상태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아암의 상기 제2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으로부터 상기 제2 로크 갈고리가 빠지는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의 중간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을 상기 제2 요동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아암에 접촉하여 상기 아암의 상기 제2 요동 상태를 형성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케이스의 전방면에 면하도록 설치된 촬영 광학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해 도입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부와,
    상기 케이스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개폐 덮개의 내면에 상기 개폐 덮개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개폐 덮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부에 연장되는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로크 갈고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아암 및 2개의 로크 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개폐 덮개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로크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축심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아암은 상기 개폐 덮개를 폐색 위치에 보유 지지한 로크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을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로 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로크 갈고리는 제1 로크 갈고리와 제2 로크 갈고리이고,
    계지부를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걸림 이탈시켜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고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로 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제1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이 상기 제2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어 상기 로크 상태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의 제2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로부터 상기 제1 로크 갈고리가 빠지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으로부터 상기 제2 로크 갈고리가 빠져 상기 비로크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요동 축심으로 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부의 2군데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로크 갈고리는 제1 로크 갈고리와 제2 로크 갈고리이고,
    계지부를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걸림 이탈시켜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고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로 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제1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이 상기 제2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어 상기 로크 상태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의 제2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로부터 상기 제1 로크 갈고리가 빠지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으로부터 상기 제2 로크 갈고리가 빠져 상기 비로크 상태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아암의 상기 제2 요동 상태에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로크 갈고리에 계지되고, 또한 케이스에 설치된 계지벽으로부터 상기 제2 로크 갈고리가 빠지는 로크 상태와 비로크 상태의 중간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을 상기 제2 요동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아암에 접촉하여 상기 아암의 상기 제2 요동 상태를 형성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외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 덮개의 외면과의 사이에 오른쪽 손바닥이 삽입되도록 그립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그립 벨트의 전후 방향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 방향의 단부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반대인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 덮개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벨트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개폐 덮개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그립 벨트의 후방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벨트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개폐 덮개의 하부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그립 벨트의 후방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큰 치수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60121191A 2005-12-05 2006-12-04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 KR20070058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0743 2005-12-05
JP2005350743A JP2007157238A (ja) 2005-12-05 2005-12-05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975A true KR20070058975A (ko) 2007-06-11

Family

ID=3787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91A KR20070058975A (ko) 2005-12-05 2006-12-04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49014A1 (ko)
EP (1) EP1793383B1 (ko)
JP (1) JP2007157238A (ko)
KR (1) KR20070058975A (ko)
CN (1) CN100477736C (ko)
DE (1) DE60200600577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8375B2 (en) 2020-04-22 2024-02-13 Channell Commercial Corporation Shielded self-latching locking assembly for a utility vault
CN213069440U (zh) * 2020-09-27 2021-04-2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相机及其卡盖结构
CN113286457B (zh) * 2021-05-08 2022-08-23 广州文森特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功能的平板显示器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3769A (ja) * 1990-01-16 1991-12-04 Hitachi Ltd Vtr一体形カメラ
CA2130011C (en) * 1993-08-24 2004-03-30 Masayoshi Morikawa Cassette eject mechanism, battery loading mechanism and mechanical chassis supporting mechanism
JP3612801B2 (ja) * 1995-07-03 2005-01-1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6657925B2 (en) * 2000-05-11 2003-12-02 Sony Corporation Magneto-optical disk drive having first and second movable sliders
JP2003288743A (ja) * 2002-03-28 2003-10-10 Hitachi Ltd ディスク装置
JP4100993B2 (ja) * 2002-08-09 2008-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050147397A1 (en) * 2003-12-17 2005-07-07 Sony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JP3846475B2 (ja) * 2003-12-22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9014A1 (en) 2007-06-28
EP1793383A1 (en) 2007-06-06
CN1980327A (zh) 2007-06-13
EP1793383B1 (en) 2009-03-18
DE602006005772D1 (de) 2009-04-30
CN100477736C (zh) 2009-04-08
JP2007157238A (ja)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0973B1 (en) Cassette eject mechanism, battery loading mechanism and mechanical chassis supporting mechanism
KR940005799B1 (ko) 소형 수납용 포울딩 캠코더
EP0522330B1 (en) Camera-integrated video recorder apparatus
KR20070058975A (ko) 전자 기기 및 촬상 장치
JP2010109454A (ja) 撮像装置
KR20050061351A (ko) 이미지 촬상 장치
JP2004022998A (ja) 蓋開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58753A (ja)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H0918159A (ja) 電子機器
JP2007150821A (ja) 撮像装置
JP4300640B2 (ja) 撮像装置
JP4666220B2 (ja) 撮像装置
JPH073735Y2 (ja) 再生装置付カメラ
JP3846475B2 (ja) 撮像装置
JP4273610B2 (ja) 撮像装置
JP4356744B2 (ja) 電子機器
JP2006352637A (ja) 撮像装置
JP4029524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586458B2 (ja) 撮像装置
JP4164927B2 (ja) 撮像装置
JP2008199335A (ja) 撮像装置
JP2005079761A (ja) 撮像装置
JPH04369975A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装置
JP2005182877A (ja) 撮像装置
JP4027127B2 (ja) 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