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220A -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 및 의류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 및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220A
KR20070045220A KR1020077002616A KR20077002616A KR20070045220A KR 20070045220 A KR20070045220 A KR 20070045220A KR 1020077002616 A KR1020077002616 A KR 1020077002616A KR 20077002616 A KR20077002616 A KR 20077002616A KR 20070045220 A KR20070045220 A KR 20070045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evoh
ethylene
atopic dermatitis
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가와모또
가즈히꼬 다나까
시게또시 아미야
미쯔다께 아루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07004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polyvinyl alcohol, or of their acetals or ket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08Fabric composed of a fiber or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이 높고,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해서도 자극이 적은 천 및 의류를 제공한다. 섬유 표면의 70 % 이상이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환부와 접촉 가능한 천이고, EVOH계 섬유 표면의 수산기량이 20 내지 70 몰%이며, EVOH계 섬유의 영률이 60 cN/dtex 이하일 뿐만 아니라, EVOH계 섬유의 단섬유 굵기가 5 dtex 이하인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을 제조한다. 상기 EVOH계 섬유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 특히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고, 융점 150 ℃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심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일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 EVOH계 섬유, 심초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사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 및 의류{FABRIC AND CLOTHES FOR ATOPIC DERMATITIS PATIENTS}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환부의 가려움 경감이나 가려움에 따르는 소파상(搔破傷)의 치료에 적합하고, 섬유로서 충분한 물성을 가지며, 내구성이나 천 형성성도 우수한 합성 섬유로 구성된 천(fabric) 및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섬유 소재로서, 게나 새우 등의 외골격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 고분자 물질인 키틴이나 키틴의 탈아세틸화물인 키토산을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92820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키틴을 비스코스화하여 키틴 비스코스와 셀룰로오스 비스코스를 혼합한 액체를 방사 원액으로서 사용하면, 통상적인 비스코스법 레이온의 습식 방사법에 의해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functional fibers from crabshell chitin"(Journal of Biotechnology 70(1999)373-377)(비특허 문헌 1)에는, 키틴과 실크의 피브로인을 혼합한 인공 필라멘트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술은 키틴ㆍ키토산과 다른 섬유를 혼합 방사한 혼합 섬유이기 때문에, 키틴ㆍ키토산 함유량을 높이면 섬유 재료로서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 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키틴의 크산틴산염화시에 유해한 이황화탄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키틴ㆍ키토산과 다른 섬유를 혼합 방사하기 때문에, 얻어진 섬유의 표면이 100 % 키틴ㆍ키토산으로 덮여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는다는 면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것은, 흡습성이나 염색성 등의 다른 기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섬유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셀룰로오스 섬유를 키틴ㆍ키토산으로 피복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에는, 피복한 키틴이나 키토산이 사용 중 또는 반복 세탁으로 박리되어 내구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천연 소재의 실크를 사용한다는 제안도 있다. 실크는, 매우 우수한 광택과 유연한 감촉을 가지며, 흡방습성 등도 우수하기 때문에, 고급 지향의 의류 재료로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우수한 재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크는 생체 적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봉합사 등 의료용 소재나 화장품 재료로서도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실크는 그의 공급량이 한정되어 있으며, 비용면에서도 매우 값이 비싸기 때문에, 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최근 실크와 매우 가까운 특성을 갖는 섬유 및 필름 등의 대체 재료를 얻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몇 개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섬유나 필름의 표면을 실크 단백질 함유 처리액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수식하여 실크의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나, 열가소 성 합성 수지에 실크 분말을 함유시켜, 열가소성 합성 중합체의 성형물에 실크의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212456호 공보(특허 문헌 2)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0-44598호 공보(특허 문헌 3)).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서는, 대체로 실크 단백질의 성질을 재료 표면에 부여할수 있지만, 처리제로서 실크 단백질 수용액이나 실크 단백질 분산액을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상기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실크 단백질이 섬유의 사용 중 또는 세정 중에 탈락되기 쉽고,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처리제로서, 실크 단백질을 결합제나 도료에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이 처리액을 섬유나 천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이 방법의 경우 실크 단백질의 표면을 결합제나 도료 수지가 피복하여, 실크 단백질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2835호 공보(특허 문헌 4)에 제안된 방법, 즉 적절한 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에 실크 입자를 넣고, 이 수지를 초(sheath) 성분으로서 심초형(sheath-core) 복합 방사 섬유로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의 경우에도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로, 실크 단백질이 수지로 덮이기 때문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매우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내의(underwear)를 착용하면, 아토피성 피부염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천연 목면이나 양모 등을 사용한 내의를 착용하여도 기대한 만큼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평)3-213535호 공보(특허 문헌 5)에는, 속옷, 중의 및 스포츠 의료 등의 의류로서,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70 몰%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 중합체 (A)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B)가 질량 비율 (A):(B)=5:95 내지 60:40의 범위로 합쳐진 단섬유 섬도 5 데니어 이하의 다성분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한 흡습률과 흡수 방산 속도가 특정한 관계를 갖는 직편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는 섬유의 생체 적합성,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질병과 섬유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발한 변위량 변동 계수의 각종 섬유의 생체 적합성 평가 지표로서의 유효성의 검토"(발한학, 2002 Vol.9 N0.2, p 57-60)(비특허 문헌 2)에는,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섬유가 정신성 발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를 피험자로 한 실험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는 사용한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의 특성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9282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1245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0-4459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2835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3-213535호 공보(특허 청구의 범위, 제1페 이지 좌측란 17행 내지 우측란 3행, 실시예)
비특허 문헌 1: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functional fibers from crabshell chitin"(Journal of Biotechnology 70(1999) 373-377)
비특허 문헌 2: "발한 변위량 변동 계수의 각종 섬유의 생체 적합성 평가 지표로서의 유효성의 검토"(발한학, 2002 Vol.9 N0.2, p 57-6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이 높고,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해서도 자극이 적은 천 및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로서의 물성 및 천 형성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피부염 증상을 경감 또는 치유할 수 있는 천 및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복하여 세탁하여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감 또는 치유 효과가 거의 저하되지 않는 천 및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에틸렌-비닐알코올(EVOH)계 섬유로 천을 구성하면, 생산성이 높고,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환부에 접촉시켜 사용하여도 자극이 적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은, 섬유 표면의 70 % 이상이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환부와 접촉 가능한 천이고, EVOH계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 비율이 20 내지 70 몰%이며, EVOH계 섬유의 영률(Young's modulus)이 60 cN/dtex 이하일 뿐만 아니라, EVOH계 섬유의 단섬유 굵기가 5 dtex 이하이다. 또한, "EVOH계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 비율"을 이하, 간단히 "섬유 표면의 수산기량", "수산기량" 또는 "OH기 농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섬유 표면의 수산기량은, 수산기가 자유로운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비닐알코올 단위의 비율을 의미하며, 실제로는 이론값보다 낮은 값이 측정된다. 그 때문에, 상기 수산기량은 이론값이 아니라 X선 광 전자 발광 분석(XPS)법에 의한 측정값을 의미한다. 상기 수산기량은, 예를 들면, 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AXIS-HSi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EVOH계 섬유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 특히,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고, 융점 150 ℃ 이상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심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일 수 있다. 이러한 심초형 복합 섬유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의 심부의 단면 형상이 4개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형상이며, 심부의 외주 길이 (L2)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 (L1)의 비가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1.6≤X/C
(식 중, X는 심부의 외주 길이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의 비 (L2/L1)을 나타내고, C는 복합 섬유 전체를 1로 했을 때의 심부의 복합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상기 초 성분은, 초 성분에 대하여 5 내지 45 질량% 정도의 비율로, 말단 아미노기의 적어도 일부가 캡핑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EVOH계 섬유는, 합계 굵기 40 내지 160 dtex의 멀티 필라멘트사를 형성하며, 가연(假撚)이 실시되어 연수(撚數) 500 내지 1500 T/m의 실연(實撚)이 실시될 수도 있다.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중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의 함유량은, 질량 기준으로 각각 100 ppm 이하이며, EVOH계 섬유에 포함되는 유제(油劑)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은, 피착용자의 환부와 접하는 부분이 EVOH계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천으로 형성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의류도 포함된다. 의류에는 내의, 셔츠, 잠옷, 양말, 장갑 및 마스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의류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하여 사용되는 내의이며, 환자의 피부와 접하는 측이 적어도 EVOH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피부와 접하는 측과 반대측이 적어도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된 의류일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천을 사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염 증상을 경감 또는 치유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A 중합체로 약칭하며, 복합 섬유인 경우에는, A 중합체와 복합된 상대 중합체(특히 결정성 열가소성 중합체)를 B 중합체로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고,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해서도 자극이 적은 천이 얻어진다. 이 천은 섬유로서의 물성 및 천 형성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피부염 증상을 경감 또는 치유할 수 있다. 이 천은, 반복하여 세탁하여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감 또는 치유 효과가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이러한 천은, 내의, 셔츠, 잠옷, 양말, 장갑 및 마스크 등의 의류 등에 적합하다. 즉, 본 발명의 천에서 얻어진 의류는 인체에 대하여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가 착용한 경우,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가려움이나 소파상 등이 줄어들기 때문에, 아토피 증상의 경감화 또는 치유 효과가 우수하다.
[도 1]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현미경 단면 사진(5000배)이다.
[도 2]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섬유의 다른 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섬유의 다른 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섬유의 다른 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EVOH계 섬유]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환부와 접촉 가능한 천이며, 섬유 표면의 70 % 이상이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A 중합체)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A 중합체)
A 중합체란, 기본 골격이 에틸렌 단위와 비닐알코올 단위로 구성된 공중합체이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비누화도는 95 몰% 이상의 고비누화도일 필요가 있으며, 기본 골격 중에 차지하는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특히 30 내지 65 몰%) 정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닐알코올 단위(미비누화 등에 의해 비닐알코올의 -OH기가 OR기(R은 유기기)로 되어 있는 공중합 단위도 포함함)는, 30 내지 75 몰%(특히 35 내지 70 몰%) 정도가 최적이다. A 중합체 중의 비닐알코올 단위의 공중합 비율이 낮아지면, 수산기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이 저하되며, 소수성이 강해져 피부와의 친화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비닐알코올 단위의 공중합 비율이 지나치게 커지면, 이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체 적합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예사성(曳絲性)이 불량해져 방사 또는 연신시에 단사 조각이나 단사가(斷絲) 다수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비닐알코올 단위의 공중합 비율이 지나치게 커지면 생체 적합성이 저하되는 원인은 아직 불명확하지만, 사실로서,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즉 비닐알코올 단위가 거의 100 몰%인 섬유가 생체 적합성의 면에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계 섬유보다 훨씬 떨어진다는 것이 판명되어 있으며, 소수성의 에틸렌 부분과 친수성의 비닐알코올 부분이 특정 비율로 공존하고 있는 것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려움을 감소시키고, 치유하는 효과를 발휘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추가로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유도체(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C1 -6 알킬에스테르 등),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그의 유도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예를 들면, (무수)말레산 등) 등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A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메탄올 등의 중합 용매 중에서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을 라디칼 중합 촉매하에 라디칼 중합시킨 후, 미반응 단량체를 추출하고, 이어서 가성 소다에 의해 비누화 반응을 행한다. 또한, 얻어진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수중에서 펠릿화한 후, 수세하여 건조시킨다.
이러한 공정상, 얻어진 A 중합체 중에는 불가피하게 알칼리 금속 이온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이 혼재하게 되지만, 인체의 피부에 직접 닿는 A 중합체는 가능한 한 순도를 높여, 불순물에 의한 피부 자극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A 중합체 중의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 함유량은, 질량 기준으로 각각 100 ppm 이하(예를 들면, 0.01 내지 100 ppm 정도),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예를 들면, 0.01 내지 50 ppm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하(예를 들면, 0.01 내지 10 ppm 정도)이다. 또한, 이들 금속 이온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면, 피부 자극의 저하 뿐만 아니라 방사성도 개량할 수 있다.
A 중합체의 순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중합체 제조 공정 중의 비누화 처리 후 펠릿화하고 나서, 습윤 상태의 펠릿을 아세트산 등의 산을 포함하는 대량의 순수 용액으로 세정한 후, 더욱 대량의 순수만으로 펠릿을 세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이온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이 섬유 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피부가 약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하여, 가려움을 더욱 유발하는 결과가 된다.
이와 같이, A 중합체는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를 가성 소다에 의해 비누화함으로써 제조되지만, 이때의 비누화도는 95 몰% 이상(예를 들면, 95 내지 99.99 %, 특히 96 내지 99.9 % 정도)이 바람직하다. 비누화도가 낮아지면 중합체의 결정성이 저하되어, 강도 등의 섬유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A 중합체가 연화되기 쉬워져 가공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얻어지는 섬유 물성도 악화되고, 의류로 한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를 자극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섬유는 A 중합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섬유 표면의 70 % 이상이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의해 덮여 있는 한, A 중합체와 다른 성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A 중합체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는, 내열수성이 낮고, 예를 들어 열수에 침지하면, 섬유가 교착(膠着)이나 수축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아세탈화 또는 포말화(formalizing)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확실하게 섬유의 교착이나 수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반면 섬유 표면의 수산기가 감소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치유 효과가 감소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섬유 표면의 수산기의 수를 감 소시키지 않고, 섬유에 내열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를 행한 결과,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A 중합체)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B 중합체의 항에 예시된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2 및 폴리아미드 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가 사용된다.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섬유의 내열수성을 높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단순히 첨가하는 것 만으로는 용융 방사시에 겔화가 발생하여 방사성이 저하된다. 이 겔화를 방지하기 위해,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말단 아미노기를 캡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전체 말단기의 대부분을 아미노기로 하고, 이 아미노기를 캡핑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기의 캡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다 완전하게 내열수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아미노기와 환상 이미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말단 캡핑제로 캡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단 캡핑제로서는, 환상 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며, 특히 방향족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무수물(예를 들면, 프탈산 무수물이나 숙신산 무수물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프탈산 무수물 또는 숙신산 무수물을 사용하면, 환상 이미드 결합으로서 프탈이미드 또는 숙신이미드가 생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단기의 대부분을 아미노기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분자량 조절제(특히,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아민)의 존재하에, 카프로락탐 및 라우릴락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주체로 하는 폴리아미드 형성성 단량체를 개환 중합시켜, 전체 말단의 75 % 이상이 아미노기이며, 25 ℃에서의 상대 점도 "ηr"이 2 내지 7(특히 2 내지 5) 정도인 카프로락탐과 라우릴락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주체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일단 형성한다. 이어서, 얻어진 폴리아미드 수지의 말단 아미노기와 환상 이미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말단 캡핑제를 반응시킴으로써, 말단 아미노기의 적어도 일부가 캡핑된 폴리아미드 수지가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혼합하면, 폴리아미드 수지의 첨가량이 적은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중에 섬 형상으로 분산되어 존재하게 되지만, 일도(一島)의 크기가 1 ㎚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 정도이며, 섬유 단면(섬유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의 단면)에 섬수가 10 개/㎛2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개/㎛2,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 개/㎛2 정도 존재하고 있는 경우, 내열수성의 면에서 효과를 가장 많이 발휘한다.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혼합하는 양으로서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의 양에 대하여 5 내지 45 질량%의 범위가 내열수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질량%(특히 10 내지 30 질량%)의 범위이다.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내열수성 개선 효과가 낮고, 한편 지나치게 많으면, 섬유화 공정에 기여하는 분산 상태가 얻어지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해도(sea-island) 관계의 역전이 발생하여, 얻어지는 천의 촉감이 저하된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섬수 및 비율은, 심초형 복합 섬유에서는 초부에서의 섬수 및 비율이며, EVOH계 섬유만으로 구성된 섬유에서는, 전체 섬유에서의 섬수 및 비율이다.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내열수성이 향상되는 원인으로서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의 히드록실기와 폴리아미드 수지의 말단 카르복실기가 가교 반응을 일으키거나, 폴리아미드 수지의 말단 아미노기와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가 가교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예상된다. 또한,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을 공중합하여 비누화하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시키지 않아도, 통상적으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는 카르복실기가 생성된다. 가교도는 95 내지 125 ℃의 비등수 중에서 교착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내열수성이 얻어지는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것에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분산 상태가 크게 영향을 준다. 즉, 분산 성분인 폴리아미드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중에서 어느 정도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팀 다리미질을 할 때나, 세탁ㆍ건조시 섬유간의 교착이나 과대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섬 성분의 분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 성분의 수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섬유 단면을 100000배로 확대하여 사진을 찍고, 이 사진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또한, 섬 성분의 크기는, 상기 사진으로부터 임의의 섬 20개를 선택하고, 이들 20개의 섬 중에서 가장 큰 섬 2개와 가장 작은 섬 2개를 제외하고 남은 섬 16개 각각의 면적에 상당하는 원의 직경을 구하여, 이들 16개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본 발명에서, A 중합체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방사할 때에는, 공중합체 중의 비닐알코올 성분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에 의해 융점 피크가 고온측으로 이동하여,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혼합 방사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한편 에틸렌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용융 방사성이 저하되는 경향과, 지나치게 에틸렌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생체 적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폴리아미드 수지를 혼합하는 것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생체 적합성을 고려하면 에틸렌 함유량이 25 내지 70 몰% 정도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기타, 예를 들면 안정제(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및 산화 방지제 등),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가교 수지 입자, 광물 입자, 금속 화합물 또는 세라믹 입자 등), 착색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가소제, 윤활제 및 결정화 속도 지연제 등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의류 등의 천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아미드나 첨가제 등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는 A 중합체와, A 중합체 이외의 B 중합체로 구성된 복합 섬유, 특히 내열수성의 면에서 A 중합체를 초(sheath) 성분으로 하고, B 중합체를 심(core)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sheath-core)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중합체)
B 중합체로서는 관용의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 C2 -4 올레핀계 수지 등), 아크릴계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로니트릴 단위를 갖는 아크릴니트릴계 수지 등), 비닐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및 염화비닐계 수지 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 폴리아미드계 수지(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 지환족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 중,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의 면에서 융점 150 ℃ 이상(복합 방사성의 면에서, 특히 170 내지 270 ℃ 정도)의 열가소성 결정성 중합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결정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C2 -4 알킬렌알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알킬렌알릴레이트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 C2 -4 알킬렌알릴레이트 등) 등),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0 및 폴리아미드 612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 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 C2 -4 알킬렌알릴레이트 등),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및 폴리아미드 66 등) 등이 범용된다. B 중합체에도 A 중합체와 동일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EVOH계 섬유의 특성)
EVOH계 섬유는, 피부 자극성이 높은 물질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하는 유제로서 피부 자극성이 적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유제는 섬유 제조의 관점에서 그 성분이 선택되었지만, 반드시 인체의 피부에 자극이 적은 유제 뿐만 아니라, 이 중에는 양이온형이나 음이온형 계면활성제와 같이, 오히려 피부 자극성이 높은 물질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유제로서, 피부 자극성이 낮은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에스테르계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폴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필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탄, 소르비톨 및 수크로오스 등의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중, 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나 글리세린트리라우르산에스테르 등의 글리세린 C8 -24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스테아 르산에스테르 등의 수크로오스 C8 -24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모노라우르산에스테르나 소르비탄모노올레산에스테르 등의 소르비탄 C8 -24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며, 그 비율은 예를 들면, 섬유에 대하여 0.1 내지 1.5 질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질량% 정도이다.
EVOH계 섬유는, A 중합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뿐만 아니라 복합 섬유인 경우에도, 생체 적합성의 면에서 섬유 표면의 70 % 이상이 A 중합체로 덮여 있을 필요가 있다. A 중합체에 의한 섬유 표면의 피복률은,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예를 들면, 8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예를 들면, 90 내지 100 %)이다. 섬유가 A 중합체 단독으로 구성되는 경우나, A 중합체가 초 성분인 복합 섬유의 경우, 통상적으로 섬유 표면의 100 %가 A 중합체로 덮여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EVOH계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 비율(수산기량)은 20 내지 70 몰%이며,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5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45 몰%(특히 25 내지 40 몰%) 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가 인체에 대한 생체 적합성(즉,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의 가려움 경감이나 치유성)에 영향을 미친다. 인체에 대한 생체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OH기 농도가 70 몰%를 초과하는 경우, 반대로 20 몰%를 하회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생체 적합성을 얻을 수 없으며, 20 내지 70 몰%의 범위 내인 경우에 바람직한 생체 적합성이 발현된다. 왜냐하면, 상기한 범위가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초래하는가에 대해서는 현 시점에서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의 특수한 분자 구조에 기인한다고 추측된다.
인체의 피부는, 적절한 친수성과 소수성의 균형으로 이루어지며, 특정 구속력을 가진 수분자의 존재가 중요하다고 언급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는, 소수성 단위의 에틸렌과 친수성 단위의 비닐알코올이 랜덤 공중합체를 형성하여, 특정한 공중합 범위 및 섬유화 형성 조건에 의해, 특정한 친수성과 소수성의 마이크로 상분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체의 피부 표면층에 유사한 물에 대한 친화성과 소수성을 발휘하는 구조가 되며, 결과로서 인체 적합성을 발현하는 섬유가 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아토피성 피부염에 영향을 주는 인체 적합성을 갖는 합성 섬유로서,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 및 소정 공중합 성분이 기인한다는 것을 발견한 것은 본 발명이 처음이다.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가 섬유 표면을 덮고 있어도, 즉시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섬유 표면의 OH기가 아세탈화나 포말화 등에 의해 OH기 이외의 기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를 만족하지 않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섬유 표면을 덮고 있는 A 중합체의 OH기는 미반응 상태로 섬유 표면에 잔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VOH계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 비율은, 주로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 아세탈화 등에 의한 가교의 정도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의 측정은, 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AXIS-HSi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측정 조건은, X선 여기 조건 15 kv-15 ㎃, 압력 1×10-7 Pa이다. 수산기의 측정은, 섬유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의한 화학 라벨화 처리를 행하고, 라벨화 전후의 스펙트럼 변화로부터 산출하였다.
인체에 대한 생체 적합성의 평가 방법은, 내의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실제로 착용시키고, 모니터 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모니터 평가의 방법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낮에는 본 발명의 의류(티셔츠)를, 취침시에는 본 발명의 파자마를, 여름철과 겨울철 각각 4주간 연속하여 착용시키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매일 착용 시험자에게 가려움 정도의 VAS 평가(개시시의 가려움의 정도를 결정하고, 그것을 기준으로서 증감을 10 단계 평가)와, 담당의에 의한 4 단계의 소파흔(搔破痕) 정도의 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의류를 착용한 경우에는,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도 놀랍게도 현저한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특히 겨울철은, 종래 인체의 피부 표면의 피질 배리어성이 저하되어, 효과가 발현되기 어렵다고 언급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의류를 착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개선이 관찰된 것은, 본 발명의 의류가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모니터 시험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도 중요한데, 섬유의 굵기가 지나치게 크면, 의류 등의 천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에 대한 자극이 커진다. 구체적으로, EVOH계 섬유의 굵기는 5 dtex 이하(예를 들면, 0.1 내지 5 dtex 정도)이 며, 5 dtex를 초과하면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에 대한 자극이 강해지기 때문에, 아토피 환자용의 천에 사용할 수 없다. 섬유의 굵기는, 바람직하게는 4.5 dtex 이하(예를 들면, 0.2 내지 4.5 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4 dtex 이하(예를 들면, 0.2 내지 4 dtex), 특히 0.5 내지 4 dtex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섬유의 중요한 요건으로서, 섬유의 영률을 들 수 있다. EVOH계 섬유의 영률은 60 cN/dtex 이하(예를 들면, 3 내지 60 cN/dtex)이며, 60 cN/dtex를 초과하면 섬유가 강직해져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를 자극하는 결과가 된다. 섬유의 영률은, 바람직하게는 55 cN/dtex 이하(예를 들면, 5 내지 55 cN/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 cN/dtex 정도이다. 영률의 조정은, 섬유를 구성하는 B 중합체로서 영률이 낮은 수지를 사용하거나, 연신 배율을 낮게 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심초형 복합 섬유)
이러한 특성을 갖는 EVOH계 섬유로서는, 내구성 등의 면에서 상술한 심초형 복합 섬유(A 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고, B 중합체를 심 성분으로 하는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심초형 복합 섬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섬유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의 심부의 단면 형상이, 4개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초형 복합 섬유의 일례의 단면 사진을 도 1에 도시한다.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섬유 단면은 A 중합체로 구성된 초부와, 이 초부로 둘러싸여 있으며, B 중합체로 구성된 심부로 구성되고, 심부는 단면 형상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30개의 돌기부(설편상(舌 片狀) 또는 박편상 돌출부)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심부가 돌기부를 가짐으로써, 심부와 초부의 박리가 적고, 나아가서는 심부가 박리되어 표면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를 자극하는 경우가 줄어든다.
심부의 형상은, 심부의 적절한 부분(예를 들면, 축심부로부터 편재(偏奇)된 부분, 특히 축심부 또는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부가 연출(延出)된 형상일 수도 있고, 심부의 적소(축심부 또는 중심부 등)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불규칙적으로 돌기부가 연출된 형상일 수도 있다. 심부는, 통상적으로 축심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출되는 복수의 돌기부(또는 연출부)를 갖고 있다. 돌기부(또는 연출부)의 단면 형상은, 정방형상, 장방형상 등의 방형상, 타원 형상 및 분지 형상 등의 이형상일 수도 있고, 돌출부의 종횡비(폭(짧은 변)에 대한 심부로부터의 연출 길이(긴 변)의 비율)는, 예를 들면 긴 변/짧은 변=1/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50/1,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0/1(특히 4/1 내지 10/1) 정도이다. 이와 같은 종횡비를 갖는 돌기부에 의해, 심부와 초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돌기부는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즉, 각 연출부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돌기부의 수는 4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7개 이상(예를 들면, 7 내지 1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개 이상(예를 들면, 10 내지 8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예를 들면, 20 내지 60개)이다. 돌기부의 수가 적어지면 심초간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돌기의 수의 상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방사 구금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100개가 공업적 생산의 한계이다.
또한, 심부의 외주 길이 (L2)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 (L1)의 비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1.6≤X/C
(식 중, X는 심부의 외주 길이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의 비 (L2/L1)을 나타내고, C는 복합 섬유 전체를 1로 했을 때의 심부의 복합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심부의 외주 길이 (L2)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 (L1)의 비 X는 심부의 복합 비율에 따라 변화하지만, X/C값이 1.6 이상(예를 들면, 1.6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예를 들면, 2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예를 들면, 2.5 내지 20) 정도이다. X/C값이 지나치게 작으면, 심부와 초부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한편, X/C값이 30을 초과하는 복합 섬유는, 공업적으로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심 성분과 초 성분의 질량 복합 비율이 심 성분:초 성분=60:40 내지 40:60(예를 들면, 50:50) 정도인 경우를 예로 들면, 심부의 외주 길이 (L2)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 (L1)의 비 (L2/L1)은 0.8 이상(예를 들면, 0.8 내지 15)이 바람직하며, 1.2 이상(예를 들면, 1.2 내지 12)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예를 들면, 1.25 내지 10)이다. L2/L1비가 지나치게 작으면, 심부와 초 부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한편, L2/L1비가 15를 초과하는 계면이 복잡한 복합 섬유는 공업적으로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심부와 초부의 계면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한다. 계면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유는, 복합 성분의 접착 계면의 증대와 B 성분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부의 앵커 효과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계면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심부의 노출이 없기 때문에, 아토피 환부에 대한 자극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돌기부의 간격이 2 ㎛ 이하(예를 들면, 0.1 내지 2 ㎛, 특히 0.5 내지 2 ㎛ 정도)인 경우가 박리 방지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접하는 돌기부의 간격이란, 인접하는 돌기부에 끼워진 초 성분의 평균 굵기를 의미하고 있다.
복합 섬유의 표면의 100 %를 A 중합체로 피복할 필요는 없지만, B 중합체가 표면에 노출되는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를 자극하게 되기 때문에, 복합 섬유 표면의 70 % 이상(예를 들면, 70 내지 100 % 정도)을 A 중합체가 피복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예를 들면, 80 내지 100 %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예를 들면, 90 내지 100 % 정도)이 A 중합체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초부도 포함시킨 섬유 전체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환형(丸型) 단면 이외에 이형 단면, 예를 들면 3 내지 8각 등의 다각형 단면, 편평상 또는 타원상 단면, T자상 단면, Y자상 단면 및 C자상 단면 등 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섬유의 다른 예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의 섬유는, 단면 원형상의 초부 (1)과, 이 초부 (1)에 둘러싸인 심부 (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심부 (2)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 간격으로 박편상 돌기부 (3)이 연장되어 있고, 각 돌기부 (3)은, 심부 (2)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비규칙적(또는 비방사 방향)으로 14개 연출되어 있다. 도 3의 섬유는, 단면은 삼각형 형상이고, 심부 (2)에서의 돌기부 (3)의 수가 11개인 것 이외에는, 도 2의 섬유와 동일한 섬유이다. 도 4의 섬유는 단면 원형상의 초부 (1)과, 이 초부 (1)에 둘러싸인 단면 원형상의 심부 (2)가 동축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2나 도 3의 섬유와 비교하면 돌기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심부 (1)과 초부 (2)가 박리되기 쉬워진다.
초 성분과 심 성분의 복합 비율은, 질량 비율로 예를 들면 90:10 내지 10:90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20 내지 2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30:70 정도이다. 초 성분의 비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섬유 표면을 초 성분으로 완전히 덮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으로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이러한 심초형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만족하는 복합 섬유가 얻어지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복합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노즐 도입구로 A 중합체와 B 중합체의 복합류를 도입할 때, 심부의 돌기부의 수에 상당하는 수의 세공이 설치된 분류판으로부 터 B 중합체를 흐르게 하여, 각각의 세공으로부터 흐르는 B 중합체의 흐름 전체를 A 중합체로 덮으면서, 복합류를 도입구의 중심을 향해 도입하고, 노즐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방사ㆍ연신 방법으로서는, 저속, 중속으로 용융 방사한 후에 연신하는 방법, 고속에 의한 직접 방사 연신법, 방사 후에 연신과 가연을 동시에 또는 계속해서 행하는 방법 등의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방사나 연신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섬유의 굵기를 상술한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VOH계 섬유(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로 구성된 섬유, 또는 동일한 공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필라멘트 섬유(장섬유)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섬유(스테이플 섬유)로서, 방적사로서 천(의류 등)에 사용한 경우에는, 섬유의 절단단이 아토피성 피부염 환부를 자극하여 효과가 저하된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의류 등에는 단섬유가 사용되었다. 즉, 단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실 표면으로부터 다수의 섬유단이 돌출되고, 이 섬유단에 의해 의류에 숭고성(嵩高性)을 제공하여 따뜻함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아토피 환자용 천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의류와 같이 섬유단이 존재하면, 섬유단이 환부를 자극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다는 점에서, 섬유단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장섬유(멀티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티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경우의 멀티 필라멘트사의 합계 굵기로서는, 40 내지 16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멀티 필라멘트사가 지나치게 가늘면, 공업적으로 직편물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반대로 지나치게 굵으면, 촉감이 악화되어 아토피 환부에 자극을 주는 결과가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편물인 경우에는 60 내지 100 dtex의 범위, 직물인 경우에는 60 내지 120 dtex의 범위이다. 멀티 필라멘트사는, 통상적으로 EVOH계 섬유 단독의 멀티 필라멘트이지만, 다른 섬유(천연 섬유, 반합성 섬유 및 합성 섬유 등)를 심사(芯絲)로 하고, 그 주위에 EVOH계 섬유를 측사(側絲)로서 존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EVOH계 섬유는, 실(바람직하게는 멀티 필라멘트사)로 가공되어,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의 천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천(특히, 의류)용의 실로 가공할 때의 가연으로서, 통상적으로 가연수 2000 T/m 전후의 권축(捲縮)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500 내지 1500 T/m(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450 T/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400 T/m) 정도의 저권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실을 평탄화하고, 피부에 대한 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피부 자극을 억제하는 효과가 생성된다. 또한, 가연이기 때문에 S 방향연과 Z 방향연이 교차하게 되지만, 여기서 말하는 권축수란, S 방향연과 Z 방향연의 연수를 합계한 것이다. 가연 권축수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직물의 신축성이 낮기 때문에, 내의 등의 의류에 바람직하지 않은 직물이 된다. 반대로, 가연 권축수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촉감이 악화되어 피부 자극이 강해진다.
또한, 이 가연을 실시한 실을 직물ㆍ편물 등의 천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가공에서는 행해지지 않는 추연(追撚)(즉, 실연(實撚))을 실시함으로써,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여 청량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 자극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직편물에 사용하는 멀티 필라멘트사는, 멀티 필라멘트를 2 내지 3개 합사(合絲)하고 실연을 부여하여 실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합사하지 않고, 상기한 가연사 1개로 연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 합사하면, 실이 단단해져 아토피 환부에 자극을 주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추연수로서는 500 내지 1200 T/m(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1100 T/m,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 T/m)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 처리에 의해 피부 자극 억제 효과 뿐만 아니라, 쿨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즉, 추연에 의해 천의 함기율이 작아져 최대 열 이동량 Qmax가 증대되기 때문에(예를 들면, 0.22 J/㎡ 내지 0.24 J/㎡로 증대), 열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는, 발한 장해 때문에 피부 온도가 오르기 쉽고, 가려움 등이 발현되기 쉬운 체질이다. 따라서, Qmax가 큰 천은, 효율적으로 피부 표면으로부터 열을 취하여 체온 상승을 억제하는 쿨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있어서 바람직한 소재이다. 실연수(추연수)가 지나치게 작으면 쿨링 효과가 낮고, 청량감이 저하된다. 반대로, 실연수가 지나치게 크면, 직물에 요철이 발생하기 쉽고, 직물과 피부가 점접촉 상태가 되기 쉽기 때문에, 접촉하고 있는 점이 피부를 자극하기 쉬워진다.
천은 상기 EVOH계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또는 직포이지만, 통상적으로 직편물이다. 직편물로서는, 예를 들면 평직, 능직 및 주자직(朱子織) 등의 직물이나, 평편, 고무편, 펄편, 쇄편(鎖編), 덴비(denbigh)편, 코드편, 인레이(inlay)편 및 아틀라스(atlas)편 등의 편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EVOH계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및 천연 섬유 등)와의 교직 또는 교편일 수도 있지만, 생체 적합성의 면에서 다른 섬유의 비율은 5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며, 특히 환부와 접하는 부분에서는, 통상적으로 100 질량%가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환부의 증상(가려움 등)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려움에 따르는 소파상의 치료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환부와 접촉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천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환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는, EVOH계 섬유가 존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천은, 의류(예를 들면, 내의 또는 속옷(셔츠, 팬티, 브래지어, 슈미즈, 캐미솔, 코르셋, 콤비네이션, 속바지, 슬립 및 페티코트 등), 수영복(비키니, 원피스 및 남성용 수영복 등), 와이셔츠류(티셔츠, 와이셔츠, 스포츠 셔츠, 폴로 셔츠 및 스웨트 셔츠 등), 양복(바지 및 스커트 등), 잠옷류(파자마 및 네글리제 등), 양말류(양말, 스타킹 및 팬티 스타킹 등) 및 장갑 등), 의료ㆍ위생재(예를 들면, 생리 용품, 기저귀, 일회용 기저귀, 기저귀 라이너, 마스크, 타올, 시트, 거즈, 붕대, 의료용 가운, 캡, 수술복 및 수술용 테이프 등), 화장용 비품(예를 들면, 메이크업 제거나 땀 닦는 수건 및 기름기 제거용 종이 등의 스킨 케어용 시트 및 퍼프 등), 일용품(예를 들면, 침구류(베개, 베개 커버, 이부자리, 이부자리 커버 및 시트 등), 방석 커버, 식탁보, 손수건, 수건, 타올 및 물티슈 등) 등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된다. 이들 용도에서 본 발명의 천은, 적어도 환부와 접촉하기 위한 표면 재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은 상기 예시 뿐만 아니라, 인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제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면재에는 본 발명의 천으로 표면을 덮는 섬유 제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천만으로 구성된 섬유 제품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부와 접촉할 기회가 많은 용도, 예를 들면 내의, 수영복, 와이셔츠류, 잠옷류, 양말류 및 장갑 등의 의류, 메이크업 제거나 땀 닦는 수건 및 기름기 제거용 시트 등의 화장용 시트, 특히 셔츠나 팬츠 등의 내의, 화장용 시트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내의 등의 경우에는, 인체와 접촉하는 부분은 전부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의 위에 착용하는 의류인 경우에는, 내의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는 부위(예를 들면 목 주위나 팔 부분이나 다리 부분)에서, 인체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의류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이나 부분이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면이나 부분은 그 이외의 섬유(천연 섬유, 반합성 섬유 및 합성 섬유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와 접하는 부분 전부가 EVOH계 섬유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부와 접하는 부분이 EVOH계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특히 내의)에서, 아토피 환자의 가려움을 경감시킨다는 점에서, 피부와 접하는 측의 면이 적어도 EVOH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대측의 면(즉, 인체와는 접하지 않는 측의 면)이 적어도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 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각 면은 EVOH계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즉, 인체로부터의 땀이 피부 표면에 장시간 잔류하면 가려움이 증대되게 되지만, 인체와 접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면, 땀이 인체로부터 빠르게 셀룰로오스계 섬유층으로 이동하여, 인체 표면의 땀이 흡수되고, 흡수된 땀이 존재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 부분과 인체 사이에, EVOH계 섬유로 구성된 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땀을 흡수한 의류가 인체에 부착되는 경우도 적고, 그 결과 아토피 환부를 자극하는 경우가 줄어든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구체예로서는, 목면, 삼, 레이온(비스코스 레이온 및 벰베르크 레이온) 및 리오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은, 내의, 티셔츠, 파자마, 네글리제, 양말, 팬티 스타킹 및 장갑 등의 의류, 생리 용품, 기저귀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위생재, 화장품을 바르거나 닦을 때 사용하는 섬유 제품 등에 적합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중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나 양비는 질량에 기초하는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4 및 5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을 라디칼 중합시켜,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44 몰%인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어서 가성 소다로 비누화 처리를 행하여, 비누화 도 99 몰% 이상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을 얻었다. 이 중합체를 A 중합체(초부를 형성)로 하고, 한편 B 중합체(심부를 형성)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여, A 중합체와 B 성분의 복합 비율 50:50의 조건으로, 방사 온도 285 ℃, 권취 속도 3500 m/분으로 용융 복합 방사하여, 각 섬유의 단면 형상이 도 1에 도시한 형상인 복합 필라멘트 섬유(합계 굵기가 83 dtex인 24개의 멀티 필라멘트(이하 "83 dtex/24 필라멘트"로 표기함))를 얻었다. 이 섬유를 제조하기에 앞서서, A 중합체로서 사용되는 습윤 상태의 펠릿을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대량의 순수 용액으로 세정한 후, 더욱 대량의 순수만으로 펠릿을 세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을 세정 제거하고, 각각의 함유량을 1.2 ppm, 0.8 ppm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복합 섬유의 표면에는,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가 유제로서 부착되어 있다.
B 중합체의 외주 길이(L2)와 이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L1)의 비, (L2/L1)는 4.0(X/C=8.0)이고, 강도는 3.2 cN/dtex, 영률은 40 cN/dtex였다. 얻어진 멀티 필라멘트사를 통상법에 따라 1300 T/m의 가연을 부여하고, 더블 트위스터를 사용하여 800 T/m의 실연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감압하에 110 ℃에서 20분간의 연사 중지 셋팅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멀티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28 게이지의 매끄러운 편물을 제조하였다.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를 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AXIS-HSi를 사용하여 측정한 바, 28.9 몰%였다. 이 미가공 직물(greige)을 티셔츠의 형상으로 봉제하여, 주간 착용 테스트용 내의로서 사용하였다. 한편, 얻어진 니트 직물 을 안감으로 하고, 겉감이 목면인 파자마를 봉제하여 야간 착용 테스트용 파자마로 하였다.
테스트 방법
ㆍ대상: 7세 내지 42세까지의 남녀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려움을 갖고 있는 경증부터 중등증까지의 13명
ㆍ착용 의류: 낮에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상기 티셔츠.
취침시에는 동 섬유를 이면에 사용하고, 표면측은 목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파자마.
ㆍ착용 기간: 한여름과 한겨울 각각 4주간
ㆍ평가 방법: 환자에게 매일의 가려움의 정도를 스코어로 하여 기재[VAS 평가 10 단계]
담당의는 4 단계로 소파흔의 정도를 평가
착용 개시 전과 착용 후, 가려움의 정도를 기입함.
착용 테스트 결과는, 여름철의 테스트 결과에서는 가려움의 평균 VAS 스코어가, 개시 전 4.96이 2주간 착용 후에는 3.76이 되었으며, 4주간 착용 후에는 3.35가 되었고, 소파흔의 스코어 변화에서는, 개시 전에는 2.75였던 값이 4주간 후에는 1.92까지 저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13명 중 8명의 환자에게서 개선의 효과가 관찰되었다(개선률 62 %). 한편, 겨울철의 착용 테스트에서는, 13명 평균의 VAS 스코어가 개시 전 4.15가 2주간 후에는 2.95가 되었으며, 4주간 후에는 3.00이 되었고, 소파흔의 스코어 변화에서는, 개시 전에는 2.15였던 값이 4주간 후에는 1.54까지 저하되어, 13명 중 11명에게서 개선이 관찰되었다(개선률 85 %).
한편, 비교예 4로서 통상법에 의해 레귤러 폴리에스테르(PET) 84 dtex/36 필라멘트의 멀티 필라멘트사를 얻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니트 직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5로서 통상법에 의해 폴리아미드 6으로 구성된 장섬유사(77 dtex/24 필라멘트)를 얻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니트 직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4 및 5의 경우에는, 모두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B 중합체로서 시판된 폴리아미드 6을 사용하여 섬유화한 예이다. 즉, 폴리아미드 6을 B 중합체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장섬유를 제조하고, 니트 직물로 하여 티셔츠상의 내의를 제조하여 착용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에, 이하에 나타낸 제조법으로 합성한 폴리아미드 수지를 20 % 용융 혼련하고, 사출 성형한 것을 A 중합체로 하며, B 중합체로서 시판된 폴리아미드 6을 사용하여, A 중합체가 초 성분, B 중합체가 심 성분이 되는 심초형 복합 섬유(심초 비율=1:1)를 방사 온도 285 ℃에서 구금으로부터 토출하고, 통상법에 의해 인취 속도 1000 m/분으로 인취하여, 용 기를 쌓아 올렸다. 그 후 얻어진 섬유 단선을 통상법에 의해 연신, 권축 및 절단 처리를 행하여, 단섬유 굵기 1.2 dtex, 섬유 길이 38 ㎜, 단면의 복합 형상이 도 1에 도시한 형상인 스테이플 섬유를 얻었다. A 중합체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의 평균 크기는 약 70 ㎚였으며, 섬수는 약 50 개/㎛2였다.
원면(原綿)의 영률은 15 cN/dtex였다. 얻어진 원면 70 %와 목면 30 %를 혼면하여, 60 번수(番手)의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방적사를 사용하여, 28 게이지의 매끄러운 편물을 얻고, 그 후 이하의 조건으로 염색하며, 티셔츠상의 내의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착용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섬유를 웹으로 하고, 니들 펀치 및 수류 낙합(絡合)을 부여하여 부직포로 한 후, 이 부직포를 탈지면층의 표면재로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여성 3명의 화장품 제거재로서 사용한 바, 가려움이 경감되었다는 평가를 얻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섬유를 편지(編地)로 하여 스타킹을 제조하고, 마찬가지로 3명의 아토피 환자에게 착용시킨 바, 가려움이 경감되어 쾌적하다는 평가를 얻었다.
<합성 폴리아미드의 제조>
30 ℓ 내압 반응기에, 폴리아미드 단량체로서 ε-카프로락탐(10 ㎏), 분자량 조절제로서 1,6-헥산디아민(82 g), 물(1 ㎏)을 넣고, 교반하면서 260 ℃로 가열하며, 0.5 MPa의 압력까지 승압하였다. 그 후, 상압까지 방압(放壓)하고, 260 ℃에 서 3 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중합이 종료된 시점에 반응 생성물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및 고화한 후, 절단하여 폴리아미드 6 수지 펠릿으로 하였다. 얻어진 펠릿을 95 ℃의 열수로 처리하고, 건조하여 폴리아미드 수지를 얻었다. 이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 점도는 2.7 dl/g이었다.
이 폴리아미드 수지를 프탈산 무수물과 건식 혼합하고, 260 ℃의 온도에서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시키며, 스트랜드상으로 인출하여 절단함으로써 말단기 변성 폴리아미드를 얻었다. 이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는 2.61 dl/g이었으며, 말단 아미노기량, 말단 카르복실산기량 및 말단 프탈이미드 구조량은, 각각 4 μ당량/g, 20 μ당량/g, 77 μ당량/g이었고, 전체 말단량에서의 환상 프탈이미드기의 비율은 76 %였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 점도, 말단 아미노기량, 말단 카르복실산량 및 말단 이미드 구조량은, 각각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상대 점도(dl/g)>
폴리아미드 수지를 97 % 농황산에 농도가 1 g/dl가 되도록 용해하고,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에서 측정하였다.
<말단 아미노기량(μ당량/g)>
폴리아미드 수지를 페놀에 용해하고, 0.05 N 염산으로 적정함으로써 구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질량당 말단기 농도로 나타내었다.
<말단 카르복실산량(μ당량/g)>
폴리아미드 수지를 벤질알코올에 용해하고, 0.05 N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적정함으로써 구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질량당 말단기 농도로 나타내었다.
<말단 이미드 구조량(μ당량/g)>
폴리아미드 수지를 중수소화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에 용해하고, 닛본 덴시(주) 제조 500 MHz-NMR에 의해, 말단이미드 구조에 인접하는 메틸렌기 수소의 피크 면적을 구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질량당 말단기 농도로 환산하였다.
<말단 이미드 구조 비율>
상기한 말단 아미노기량, 말단 카르복실산량 및 말단 이미드 구조량의 합계량을 산정하여, 그에 차지하는 말단 이미드 구조량의 비율을 구하였다. 또한, "owf"란 피처리 섬유에 대한 약제의 비율(중량비)을 나타낸다.
<염색 조건>
Multifix Blue N-FR(반응성 염료) 2 % owf
염료 메이커: 다이이찌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Na2SO4: 50 g/ℓ
욕비=1:50
상기 염료 수용액에 염색 대상물을 침지한 욕을 50 ℃부터 15분에 걸쳐서 98 ℃로 승온하고, 98 ℃에서 20분간 유지하며, 그 후 10분에 걸쳐서 70 ℃로 낮추어 상기 Na2SO4를 투입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간 유지하며, 액체 온도를 낮추어 염색 처리를 종료시키고, 이어서 염색물을 취출하여 비스놀 RK(잇포샤 유시 고교(주) 제조, 지방족 질소 함유 화합물)를 1 g/ℓ의 농도로 포함하는 95 ℃의 열수 중에서 20분간 소핑(soaping)을 행하고, 마지막으로 단픽스 SC-8(닛또 보세끼(주) 제조, 제4급 암모늄염 변성 중합체)을 6 % owf의 농도로 함유하는 욕비 1:50의 50 ℃의 물 중에서 20분간 픽스(고정) 처리를 행하여, 염색 처리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4 내지 5 및 비교예 6 내지 7
A 중합체로서 비누화도가 99 %이고,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 공중합 비율을 변화시킨 에틸렌-아세트산비닐 비누화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와 5는, A 중합체의 에틸렌 공중합량을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 내로 한 경우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6과 7은, A 중합체의 에틸렌 함유량이 본 발명의 규정 범위 외이며, 그 결과 예사성의 불량 또는 A 중합체의 에틸렌 공중합 비율의 증가에 따라 소수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저하되어, 아토피 피부염 환부에 대한 자극이 커지고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44 몰%인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어서 가성 소다로 비누화 처리를 행하며, 미세정으로 펠릿화하여 비누화도 99 % 이상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얻었다. 중합체 중의 불순물(알칼리 금속 함유량과 알칼리 토류 금속 함유량의 합계)은 390 ppm이었다. 이 중합체를 A 중합체로서 사용하고, 한편 B 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며, A 중합체와 B 중합체의 복합 비율을 A 중합체/B 중합체=50/50의 조건으로 섬유화하여, 84 dtex/24 필라멘트의 방사 연신사를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실 을 사용하여 28 게이지의 매끄러운 편물로 하였다. 또한 얻어진 미가공 직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셔츠와 파자마를 봉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교예의 경우에 비해 많이 관찰되었지만,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 보다 저하된 결과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섬유화하여, 84 dtex/24 필라멘트의 방사 연신사를 얻었다. 이때, 유제로서, 이온형 계면활성제인 폴리에틸렌옥시드스테아릴술페이트나트륨염, 스테아릴산아미드아민 및 스테아릴베타인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셔츠와 파자마를 봉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은 관찰되었지만, 상기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저하된 결과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화하여, 84 dtex/24 필라멘트의 방사 연신사를 얻었다. 이 장섬유를 120 ℃에서 가연한 후, 치즈 형상으로 권취한 것을 하기의 가교 처리 조건으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의 표면 OH기를 아세탈화하여 내열수성 향상 가공을 행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실을 사용하여 28 게이지의 매끄러운 편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미가공 직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셔츠와 파자마를 봉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가교 조건>
<욕 조성>
노난디알 7.5 g/ℓ
도데실벤젠술폰산 소다 0.5 g/ℓ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5 g/ℓ
함수 말레산 1.0 g/ℓ
<온도×시간> 85 ℃×40분
<욕비> 1:10
또한,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는 18.0 몰%였다. 내열수성 향상 가공에 의해 섬유 표면의 OH기 농도가 낮아져, 목적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평가 결과는 불충분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
A 중합체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B 중합체로서 이하의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여, 300 ℃에서 용융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얻고, 이 섬유를 사용하여 티셔츠 및 파자마를 제조하여 평가에 사용하였다.
B 중합체로서 사용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디아민 단위가 1,9-노난디아민 단위 및 2-메틸-1,8-옥탄디아민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몰비는 노난디아민 단위:메틸옥탄디아민 단위=90:10이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섬유의 영률은 80 cN/dtex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영률이 크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커져, 착용 평가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비교예 3
방사 연신사의 섬유 굵기가 84 dtex/16 필라멘트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 필라멘트는, 단섬유 굵기가 5.2 dtex로 굵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자극이 강하고,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거의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섬유 표면의 100 %가 EVOH계 섬유로 덮여 있다.
Figure 112007009913632-PCT00001

Claims (12)

  1. 섬유 표면의 70 % 이상이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인 에틸렌-비닐알코올(EVOH)계 공중합체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환부와 접촉 가능한 천이고, EVOH계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 비율이 20 내지 70 몰%이며, EVOH계 섬유의 영률이 60 cN/dtex 이하일 뿐만 아니라, EVOH계 섬유의 단섬유 굵기가 5 dtex 이하인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
  2. 제1항에 있어서, EVOH계 섬유가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인 천.
  3. 제2항에 있어서, EVOH계 섬유가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5 내지 70 몰%인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초 성분으로 하고, 융점 150 ℃ 이상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심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인 천.
  4. 제2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의 심부의 단면 형상이 4개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형상이며, 심부의 외주 길이 (L2)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 (L1)의 비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천.
    <식 1>
    1.6≤X/C
    (식 중, X는 심부의 외주 길이와 복합 섬유의 외주 길이의 비 (L2/L1)을 나타내고, C는 복합 섬유 전체를 1로 했을 때의 심부의 복합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5. 제2항에 있어서, 초 성분이 초 성분에 대하여 5 내지 45 질량%의 비율로 말단 아미노기의 적어도 일부가 캡핑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유하는 천.
  6. 제1항에 있어서, EVOH계 섬유가 합계 굵기 40 내지 160 dtex의 멀티 필라멘트사를 형성하고, 가연이 실시되어 연수 500 내지 1500 T/m의 실연이 실시되고 있는 천.
  7.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중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의 함유량이 질량 기준으로 각각 100 ppm 이하이고, EVOH계 섬유에 포함되는 유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되어 있는 천.
  8. 제1항에 있어서, 피착용자의 환부와 접하는 부분이 EVOH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천.
  9. 제1항에 기재된 천으로 형성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의류.
  10. 제9항에 있어서, 내의, 셔츠, 잠옷, 양말, 장갑 및 마스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의류.
  11. 제9항에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하여 사용되는 내의이며, 환자의 피부와 접하는 측이 적어도 EVOH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환자의 피부와 접하는 측과 반대측이 적어도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된 의류.
  12. 제1항에 기재된 천을 사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염 증상을 경감 또는 치유하는 방법.
KR1020077002616A 2004-07-02 2005-06-27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 및 의류 KR20070045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6430 2004-07-02
JPJP-P-2004-00196430 2004-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220A true KR20070045220A (ko) 2007-05-02

Family

ID=3578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616A KR20070045220A (ko) 2004-07-02 2005-06-27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용 천 및 의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79905A1 (ko)
EP (1) EP1764430A1 (ko)
JP (1) JP4909075B2 (ko)
KR (1) KR20070045220A (ko)
CN (1) CN1981078A (ko)
TW (1) TW200613595A (ko)
WO (1) WO2006008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2684A1 (en) * 2004-11-10 2009-12-17 Precision Fabrics Group, Inc. Underpad for preventing and reducing skin wounds
US20090308404A1 (en) * 2004-11-10 2009-12-17 Precision Fabrics Group, Inc. Fabric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skin wounds
US7816288B2 (en) * 2004-11-10 2010-10-19 Precision Fabrics Group, Inc. Fabrics for therapeutic skin care bedding
US20100050316A1 (en) * 2004-11-10 2010-03-04 Precision Fabrics Group, Inc. Synthetic woven patient gown for preventing and reducing skin wounds
JP4895666B2 (ja) * 2006-04-25 2012-03-14 株式会社ヴァンクール 洗顔用パフ
JP4859763B2 (ja) * 2007-06-18 2012-01-25 クラレ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衣料用布帛及びこれを用いた衣類
JP5009701B2 (ja) * 2007-06-27 2012-08-22 グンゼ株式会社 アトピー性皮膚炎患者用肌着
GB0911531D0 (en) * 2009-07-02 2009-08-12 Regent Medical Ltd puncture indicating gloves
IT1395142B1 (it) * 2009-08-06 2012-09-05 Ripa S P A Maglificio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tessuto ipoallergenico e non irritante, in particolare per la realizzazione di indumenti per persone affette da dermatiti
WO2012003367A2 (en) 2010-07-02 201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delivering an active agent
CN103003476B (zh) 2010-07-02 2016-02-10 宝洁公司 纤维网材料以及用于制造纤维网材料的方法
JP5963344B2 (ja) * 2011-12-02 2016-08-03 株式会社タイキ 化粧用接触冷感パフ及び容器
CN102534973A (zh) * 2012-01-31 2012-07-04 东华大学 一种色彩鲜艳的针织面料
CN102978782B (zh) * 2012-12-14 2014-11-19 北京南丁格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轻爽型医护服装用面料
EP2949810B1 (en) 2013-01-25 2019-12-11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Atopic-dermatitis-ameliorating fiber, fiber aggregate, and fiber product, method for using same, and method for ameliorating atopic dermatitis
WO2015034520A2 (en) * 2013-09-06 2015-03-12 Nathaniel Kolmes Lightweight cooling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2213970B1 (ko) * 2013-09-27 2021-02-08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JP6470312B2 (ja) * 2014-04-22 2019-02-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フィラメント及びそれを利用する繊維性構造体
JP2016194169A (ja) * 2015-03-31 2016-11-17 Kbセーレン株式会社 芯鞘型複合繊維
WO2018140675A1 (en) 2017-01-27 2018-08-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in the form of dissolvable solid structures comprising effervescent agglomerated particles
US11560464B2 (en) * 2017-03-15 2023-01-24 Kuraray Co., Ltd.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fo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using resin composition
CN111655918B (zh) * 2018-02-26 2023-02-17 株式会社可乐丽 熔粘用布帛及包括该熔粘用布帛的层叠体
JP2020117826A (ja) * 2019-01-23 2020-08-06 株式会社クラレ 芯鞘複合繊維
MX2023001042A (es) 2020-07-31 2023-02-16 Procter & Gamble Bolsa fibrosa soluble en agua que contiene granulos para el cuidado del cabello.
CN115262093B (zh) * 2022-09-25 2023-04-28 苏州多瑈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定向弹性非织造材料、制备方法及弹性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7004A (en) * 1987-09-28 1990-12-11 Tropicana Products, Inc. Barrier structure for food packages
JP2849424B2 (ja) * 1990-01-16 1999-01-20 株式会社クラレ 織編物
US5252375A (en) * 1990-03-22 1993-10-12 Interface, Inc. Permanent stain resistant treatment for polyamide fibers
JP2911657B2 (ja) * 1991-08-22 1999-06-23 株式会社クラレ 高吸湿・吸水性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系共重合体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718697T2 (de) * 1996-03-27 2003-11-27 Kuraray Co Fasern aus Ethylen-Vinylalkohol-Copolymeren und Herstellung derselben
JPH10110380A (ja) * 1996-10-04 1998-04-28 Asahi Chem Ind Co Ltd 繊維構造物
JPH10262858A (ja) * 1997-03-28 1998-10-06 Tosuko Chuo Kenkyusho:Kk 皮膚に対して低刺激性の浴用タオル
US6495255B2 (en) * 2000-06-26 2002-12-17 Chisso Corporation Polyolefin splittable conjugate fiber and a fiber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03306849A (ja) * 2002-04-17 2003-10-31 Nippon Wishbone Kk 繊維製品
US20050271710A1 (en) * 2004-06-04 2005-12-08 Argo Brian P Antimicrobial tissue products with reduced skin irritation potent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1078A (zh) 2007-06-13
WO2006008916A1 (ja) 2006-01-26
TW200613595A (en) 2006-05-01
EP1764430A1 (en) 2007-03-21
US20080279905A1 (en) 2008-11-13
JP4909075B2 (ja) 2012-04-04
JPWO2006008916A1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075B2 (ja) アトピー性皮膚炎患者用布帛及び衣類
TWI354041B (en) Woven or knitted fabric and cloth containing crimp
TWI314959B (en) Stretchable core in sheath type composite yarn and stretchable woven or knitted fabric
WO2009011268A1 (ja) 下着
DE60212109T2 (de) Unterwäsche
JP2007204864A (ja) 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ナーウエア、ストッキング
JP5040270B2 (ja) 複合加工糸
CN113089321A (zh) 乙烯基单体接枝改性的抗菌纤维及其制备方法和在抗菌袜中的用途
JP2011179143A (ja) ポリ乳酸極細繊維
JP2005533894A (ja) 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とセグメント化されたエラストマーとから調製される繊維、テープおよびフィルム
TWI695098B (zh) 聚醯胺纖維及使用其之纖維構造物、及衣物
JP3838430B2 (ja) 吸湿発熱する高伸縮性編地
JP4797905B2 (ja) ナノファイバー繊維を含む編地
JP2002180342A (ja) 吸湿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4693486B2 (ja) 肌着
WO2012029642A1 (ja) 合成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8408A (ja) 吸水性ストレッチ編地
JP5646387B2 (ja) 複合繊維および該複合繊維を用いた中空繊維の製造方法
JPS5921776A (ja) 吸水性織編物の製造方法
JP4635534B2 (ja) 芯鞘複合フィラメント糸、それを用いた布帛、中空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554A (ja) ポリエステル中空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JPH0819607B2 (ja) 保温性に優れた軽量薄地布帛、その製造方法、及び、インナーウェア製品
JP5603188B2 (ja) 織編物
JP2008095245A (ja) 編物
JP2004263311A (ja) 敏感肌に適した肌着、及びその生体適合性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