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928A -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928A
KR20070035928A KR1020050133961A KR20050133961A KR20070035928A KR 20070035928 A KR20070035928 A KR 20070035928A KR 1020050133961 A KR1020050133961 A KR 1020050133961A KR 20050133961 A KR20050133961 A KR 20050133961A KR 20070035928 A KR20070035928 A KR 20070035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ternal
write
clock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042B1 (ko
Inventor
오승민
안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13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042B1/ko
Priority to JP2006181466A priority patent/JP4915692B2/ja
Priority to US11/478,083 priority patent/US7379376B2/en
Publication of KR2007003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042B1/ko
Priority to US12/081,317 priority patent/US200801925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11C11/4087Address decoders, e.g. bit - or word line decoders; Multiple lin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3Control signal output circuits, e.g. status or busy flags, feedback comman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전류소모를 갖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으로 해당 어드레스를 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 또는 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 해당 어드레스를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 또는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모드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데이터의 출력 비트 수를 결정하는 밴드폭신호, 및 쓰기 구동시 활성화되는 쓰기구간신호를 인가받아 내부클럭을 상기 읽기 구동클럭, 상기 쓰기 구동클럭,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 또는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생성하기 위한 구동클럭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내부 어드레스, 카스레이턴시, 애디티브레이턴시, 전류소모, 선택적 구동

Description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INTERNAL ADDRESS GENERATO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구동클럭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
도 5는 도 3의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
도 6은 도 3의 제9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동클럭 생성부
200 ~ 900 : 제1 내지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전류 소모를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DRAM에서 MRS(Mode Register Set)과 EMRS(Extended Mode Register Set)를 통해 사용자의 환경에 DRAM의 구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메모리의 운용성을 확장하는 기능이 있다.
특히, DDR II SDRAM 이상의 반도체메모리소자에서는 애디티브레이턴시(Additive Latency, AL)과 카스레이턴시(Cas Latency, CL)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여기서 카스레이턴시는 외부에서 읽기커맨드가 인가될 때, 이에 대응되는 DRAM 내부의 로직 구성에 의한 지연시간에 대한 규정으로써, 클럭 주파수가 변화하더라도, 내부적인 지연시간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카스레이턴시의 설정을 통해 정상적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MRS를 통해 설정된다.
또한, 애디티브레이턴시는 데이터 버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tRCD_min(Minimum Ras to Cas Delay) 안에 읽기커맨드 또는 쓰기커맨드를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 만큼 tRCD_min보다 먼저 커맨드를 인가할 수 있으며, 이는 EMRS에 의해 설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읽기커맨드가 외부에서 인가되어도 이는 바로 수행되지 않으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시간 이후에, DRAM 내부의 읽기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내부 읽기신호가 활성화된다. 쓰기커맨드 역시, 애디티브레이턴시 및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시간 이후에, 내부의 쓰기동작을 수행시키 기 위한 내부 쓰기신호가 활성화된다.
뿐만 아니라, 읽기커맨드 및 쓰기커맨드와 함께 인가되는 어드레스 역시 설정된 레이턴시 이후에 내부 컬럼 어드레스로 생성된다. 다음에서는 내부 어드레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는 해당 어드레스를 내부클럭(CKD)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 및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읽기 어드레스(RDCOL) 또는 쓰기 어드레스(WTCOL)로 생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 20, 30, 40, 5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 20, 30, 40, 50)는 동일한 회로적 구현을 가지므로,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를 예시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는 어드레스 ADD<0>를 내부클럭(CKD)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읽기 어드레스(RDCOL)로 생성하기 위한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11)와, 읽기 어드레스(RDCOL)를 내부클럭(CKD)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쓰기 어드레스(WTCOL)로 생성하기 위한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11)는 어드레스 ADD<0>의 인가로 부터 내부클럭(CKD)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된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하기 위한 AL 지연부(12)와, 어드레스 ADD<0>와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 중 활성화된 해 당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AL<0:5>)로 선택하여 어드레스를 애디티브-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선택부(13)와, 애디티브-어드레스를 래치하여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4)를 구비한다.
참고적으로,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15)는 어드레스 ADD<0> 대신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를,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5> 대신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 CL<2:6>를 인가받는 것과 같이, 인가받는 신호만 다를 뿐 동일한 회로적 구현을 갖는다. 따라서,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15)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쓰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어, 내부 쓰기 어드레스(WTCOL<0>)가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때, 애디티브레이턴시는 3으로, 카스레이턴시는 5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이,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 CL<5>가 활성화된다.
쓰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면,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 내 AL 지연부(12)가 어드레스의 활성화로 부터 내부클럭(CKD)을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된 제1 내지 제5 AL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부(13)는 어드레스 ADD<0>와, 제1 내지 제5 AL 지연 어드레스 중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에 대응되는 제3 AL 지연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부(14)는 선택부(13)의 출력 어드레스를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한다.
그리고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5)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를 내부클럭(CKD)으로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시킨 제1 내지 제5 CL 지연 어드레스로 출력하며,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와 제1 내지 제5 CL 지연 어드레스 중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 CL<5>에 대응되는 제4 CL 지연 어드레스를 내부 쓰기 어드레스(WTCOL<0>)로 출력한다.
한편, 다음에서는 읽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는 경우로서,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가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때, 애디티브레이턴시는 0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는 논리레벨 'H'로 활성화되고, 이외의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1:5>는 논리레벨 'L'로 비활성화된다.
읽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면,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 내 AL 지연부(12)가 어드레스의 활성화로 부터 내부클럭(CKD)을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된 제1 내지 제5 AL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부(13)는 어드레스 ADD<0>와, 제1 내지 제5 AL 지연 어드레스 중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ADD<0>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부(14)는 선택부(13)의 출력 어드레스를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한다.
또한, 애디티브레이턴시가 3으로 설정된 경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이 활성화된다.
읽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면,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는 제1 내지 제5 AL 지연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5 지연 어 드레스와 어드레스 중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은 어드레스 인가 시 각 해당 어드레스 비트를 인가받는 제1 내지 제9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10, 20, 30, 40)와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50)에서 동일하게 수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불필요한 구동으로 인한 전류소모가 발생된다. 즉, 읽기커맨드와 함께 인가된 어드레스가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내부클럭(CKD)을 인가받는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 내 CL 지연부가 구동되어 전류소모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읽기 어드레스 생성 시 애디티브레이턴시가 0으로 설정된 경우 지연 어드레스가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AL 지연부 및 CL 지연부가 구동되어, 전류소모가 발생된다. 또한, 출력 데이터의 비트 수를 의미하는 X4모드에서만 어드레스 ADD<11>에 유효한 어드레스가 인가됨에도, X4, X8, 및 X16 모드에서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가 항상 구동되어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적은 전류소모를 갖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는 해당 어드레스를 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 또는 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 해당 어드레스를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 또는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모드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데이터의 출력 비트 수를 결정하는 밴드폭신호, 및 쓰기 구동시 활성화되는 쓰기구간신호를 인가받아 내부클럭을 상기 읽기 구동클럭, 상기 쓰기 구동클럭,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 또는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생성하기 위한 구동클럭 생성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는 해당 어드레스(ADD<0:9>, ADD<11>)를 읽기 구동클럭(CKDRD)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9>, RDCOL<11>)로, 쓰기 구동클럭 (CKDWT)을 기준으로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WTCOL<0:9>, WTCOL<11>)로 생성하기 위한 제1 내지 10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300, 400, 500)와, 해당 어드레스(ADD<0:9>, ADD<11>)를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9>, RDCOL<11>)로,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을 기준으로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WTCOL<0:9>, WTCOL<11>)로 생성하기 위한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와, 애디티브레이턴시, 밴드폭신호(IOX4), 및 쓰기구간신호(WTEN)를 인가받아 내부클럭(CKD)을 읽기 구동클럭(CKDRD), 쓰기 구동클럭(CKDWT),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 또는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클럭 생성부(100)를 구비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쓰기구간신호(WTEN) 및 밴드폭신호(IOX4)를 인가받는 구동클럭 생성부(100)를 구비하여, 해당 신호의 활성화 시, 읽기 구동클럭(CKDRD), 쓰기 구동클럭(CKDWT),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 또는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소자의 구동모드에 따라 필요로 되는 블록만이 해당 구동클럭의 인가로 액티브되므로, 구동모드와 관계없는 블록의 구동으로 인한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음에서는 각 블록의 회로적 구현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구동클럭 생성부(100)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클럭 생성부(10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 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KD)을 읽기 구동클럭(CKDRD)으로 출력하기 위한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120)와,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 및 밴드폭신호(IOX4)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KD)을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으로 출력하기 위한 밴드폭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140)와, 쓰기구간신호(WTEN)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KD)을 쓰기 구동클럭(CKDWT)으로 출력하기 위한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160)와,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 및 밴드폭신호(IOX4)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KD)을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으로 출력하기 위한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18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12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I1)와, 인버터(I1)의 출력신호와 내부클럭(CKD)을 입력으로 갖는 낸드게이트(ND1)와,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읽기 구동클럭(CKDRD)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인버터(I2, I3)로 구현된 인버터 체인를 포함한다.
밴드폭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14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I1)와, 인버터(I1)의 출력신호와 내부클럭(CKD)을 입력으로 갖는 낸드게이트(ND1)와,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신호와 밴드폭신호(IOX4)를 입력으로 갖는 낸드게이트(ND2)와, 낸드게이트(ND2)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으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4)를 포함한다.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160)는 내부클럭(CKD)과 쓰기구간신호(WTEN)를 입력으로 갖는 낸드게이트(ND3)와, 낸드게이트(ND3)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쓰기 구동클 럭(CKDWT)으로 출력하기 제1 및 제2 인버터(I5, I6)로 구현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한다.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180)는 내부클럭(CKD)과 쓰기구간신호(WTEN)를 입력으로 갖는 낸드게이트(ND3)와, 낸드게이트(ND3)의 출력신호와 밴드폭신호(IOX4)를 입력으로 갖는 낸드게이트(ND4)와, 낸드게이트(ND4)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으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7)를 구비한다.
간략히 구동클럭 생성부(10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읽기 구동클럭 생성부(12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가 논리레벨 'H'로 활성화되면, 읽기 구동클럭(CKDRD)을 논리레벨 'H'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가 비활성화 시에는 내부클럭(CKD)을 반전시켜 읽기 구동클럭(CKDRD)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밴드폭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14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의 활성화 또는 밴드폭신호(IOX4)의 비활성화 시 읽기 구동클럭(CKDRD)을 논리레벨 'H'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의 비활성화 및 밴드폭신호(IOX4)의 활성화 시 내부클럭(CKD)을 반전시켜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으로 출력한다.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160)는 쓰기구간신호(WTEN)의 비활성화 시 쓰기 구동클럭(CKDWT)을 논리레벨 'H'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쓰기구간신호(WTEN)의 활성화 시 내부클럭(CKD)을 반전시켜 쓰기 구동클럭(CKDWT)으로 출력한다.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180)는 쓰기구간신호(WTEN) 또는 밴드폭신호 (IOX4)의 비활성화 시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을 논리레벨 'H'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쓰기구간신호(WTEN) 및 밴드폭신호(IOX4)의 활성화 시 내부클럭(CKD)을 반전시켜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으로 출력한다.
즉, 구동클럭 생성부(100)는 애디티브레이턴시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읽기 구동클럭(CKDRD)을 일정한 전압 레벨로 유지하므로서, 제1 내지 제10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300, 400) 내 AL 지연부가 턴오프되도록 한다. 그리고 쓰기 구동 시에만 쓰기 구동클럭(CKDWT)을 활성화시키므로, 이를 인가받는 CL 지연부가 쓰기 구동 시에만 액티브되고, 이외 구동에서는 턴오프되도록 한다. 또한, X4 모드에서만 어드레스 ADD<11>에 유효한 어드레스가 인가되므로, 밴드폭신호(IOX4)의 감지를 통해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 및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을 활성화시켜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는 구동클럭 생성부를 더 구비하므로서, 애디티브레이턴시가 0인 경우 AL 지연부의 구동으로 인한 전류소모를, 읽기 구동 시 CL 지연부에 의한 전류소모를, X8 및 X16모드에선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의 구동으로 인한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의 내부 회로도로서, 제1 내지 제10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300, 400, 500)는 인가받는 어드레스 비트만 다르고 동일한 회로적 구현을 가지므로,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를 예시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는 어드레스 ADD<0>를 읽기 구동클럭(CKDRD)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생성하기 위한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210)와, 읽기 어드레스(RDCOL<0>)를 쓰기 구동클럭(CKDWT)을 기준으로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쓰기 어드레스(WTCOL<0>)로 생성하기 위한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2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210)는 어드레스 ADD<0>의 인가로 부터 읽기 구동클럭(CKDRD)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된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하기 위한 AL 지연부(220)와, 어드레스 ADD<0>와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 중 해당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5>가 활성화된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선택부(230)와, 선택부(230)의 출력 어드레스를 지연시켜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40)를 구비한다.
AL 지연부(220)는 직렬 연결되어 앞단의 출력 어드레스를 읽기 구동클럭(CKDRD)에 동기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플립플롭(222, 224)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 플립플롭(222, 224)은 동일한 회로적 구현을 가지므로, 제1 플립플롭(222)을 예시적으로 살펴본다. 제1 플립플롭(222)은 읽기 구동클럭(CKDRD)의 논리레벨 'H'에 응답하여 입력 어드레스를 전달하기 위한 제1 트랜스퍼 게이트(TG1)와, 제1 트랜스퍼 게이트(TG1)의 출력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제1 래치(222a)와, 읽기 구동클럭(CKDRD)의 논리레벨 'L'에 응답하여 제1 래치(222a)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트랜스퍼 게이트(TG2)와, 제2 트랜스퍼 게이트(TG2)의 출력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제2 래치(222b)를 구비한다.
그리고 선택부(230)는 해당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5>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해당 어드레스 ADD<0> 또는 지연-어드레스를 전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6 트랜스퍼 게이트(TG3, TG4, TG5)를 포함한다.
끝으로, 출력부(240)는 선택부(230)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 체인으로 구현된다.
참고적으로,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250)는 어드레스 ADD<0> 대신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를,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5> 대신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 CL<0:5>를, 읽기 구동클럭(CKDRD) 대신 쓰기 구동클럭(CKDWT)을 인가받는 것과 같이, 인가받는 신호만 다를 뿐 동일한 회로적 구현을 갖는다.
도 6은 도 3의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의 내부 회로도로서,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는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 및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으로 구동클럭만이 다를 뿐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와 동일한 회로적 구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및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쓰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어, 내부 쓰기 어드레스(WTCOL<0>)가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때, 애디티브레이턴시는 3으로, 카스레이턴시는 5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X16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 및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 CL<5>가 활성화되며, 밴드폭신호(IOX4)는 비활 성화된다.
구동클럭 생성부(10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KD)을 읽기 구동클럭(CKDRD)으로 출력하며, 쓰기커맨드에 의해 액티브된 쓰기구간신호(WTEN)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KD)을 쓰기 구동클럭(CKDWT)으로 출력한다. 또한, 밴드폭신호(IOX4)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 및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을 논리레벨 'L'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먼저, 쓰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면,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내 AL 지연부(220)가 어드레스 ADD<0>의 활성화로 부터 읽기 구동클럭(CKDRD)을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된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부(230)는 어드레스 ADD<0>와,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 중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에 대응되는 제3 지연-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부(240)는 선택부(230)의 출력 어드레스를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한다.
그리고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50)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를 쓰기 구동클럭(CKDWT)을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된 제1 내지 제5 CL 지연-어드레스를 생성하며, 복수의 CL 지연-어드레스 중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 CL<5>에 대응되는 제5 CL 지연 어드레스를 내부 쓰기 어드레스(WTCOL<0>)로 출력한다.
한편, 어드레스 ADD<11>를 인가받는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 내 AL 지연부 및 CL 지연부는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 및 밴드폭-읽기 구동클럭 (CKDRD11)이 논리레벨 'L'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X4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 ADD<11>에도 유효한 어드레스가 인가되며, 내부적으로는 밴드폭신호(IOX4)가 활성화되어 구동클럭 생성부(100)가 내부클럭(CKD)을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 및 쓰기 구동클럭(CKDWT)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도 전술한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와 동일한 구동을 통해 쓰기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WTCOL<11>)를 출력한다.
다음에서는 읽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가 인가되는 경우로서,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가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애디티브레이턴시는 0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는 논리레벨 'H'로 활성화되고, 이외의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1:5>는 논리레벨 'L'로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구동클럭 생성부(10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에 응답하여 읽기 구동클럭(CKDRD)을 논리레벨 'H'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쓰기구간신호(WTEN)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쓰기 구동클럭(CKDWT)을 논리레벨 'H'로, 밴드폭신호(IOX4)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 및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을 논리레벨 'L'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먼저, 읽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된다. 그러나 읽기 구동클럭(CKDRD)이 논리레벨 'H'로 유지되므로,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내 AL 지연부(220)는 구동되지 않아 제1 내지 제5 AL 지연 어드레스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어, 선택부(23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ADD<0>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출력부(240)는 이를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한다.
또한, 쓰기 구동클럭(CKDWT)이 논리레벨 'H'로 유지되므로,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 내 CL 지연부는 턴오프된다.
또한, 애디티브레이턴시가 3으로 설정된 경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구동클럭 생성부(100)는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0>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KD)을 읽기 구동클럭(CKDRD)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쓰기구간신호(WTEN)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쓰기 구동클럭(CKDWT)을 논리레벨 'H'로, 밴드폭신호(IOX4)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 및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을 논리레벨 'L'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먼저, 읽기커맨드와 함께 어드레스 ADD<0>가 인가되면,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내 AL 지연부(220)가 어드레스 ADD<0>의 활성화로 부터 읽기 구동클럭(CKDRD)을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된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부(230)는 어드레스 ADD<0>와, 제1 내지 제5 지연 어드레스 중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AL<3>에 대응되는 제3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부(240)는 선택부의 출력 어드레스를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0>)로 출력한다.
이때, 쓰기 구동클럭(CKDWT)이 논리레벨 'H'로 유지되므로,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 내 CL 지연부는 턴오프된다.
한편, X4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 ADD<11>에도 유효한 어드레스가 인가되며, 내부적으로는 밴드폭신호(IOX4) X4가 활성화되어 구동클럭 생성부(100)가 내부클럭(CKD)을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 내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도 전술한 제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200)와 동일한 구동을 통해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RDCOL<11>)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는 애디티브레이턴시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지연된 어드레스가 필요치 않으므로, 읽기 구동클럭(CKDRD) 및 쓰기 구동클럭(CKDWT)을 비활성화시켜 이를 인가받는 AL 지연부 및 CL 지연부가 턴오프되도록 한다. 따라서, 설정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어드레스를 생성하는데 불필요한 AL 지연부 및 CL 지연부의 구동에 의한 전류소모를 줄인다.
그리고 쓰기 구동 시 활성화되는 쓰기구간신호(WTEN)를 통해 쓰기 구동클럭(CKDWT)을 활성화시키므로써, 읽기 구동 시에는 CL 지연부를 턴오프시켜 이로 인한 전류소모를 줄인다.
또한, X4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활성화되는 밴드폭신호(IOX4)를 통해 밴드폭-쓰기 구동클럭(CKDWT11) 및 밴드폭-읽기 구동클럭(CKDRD11)을 활성화시키므로, 이에 동기되어 구동되는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600)가 어드레스 ADD<11>이 사용되지 않는 X8 및 X16모드에서는 턴오프되도록 한다. 종래 설정된 모드와 관계없이 항상 구동되어,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발생시키던 제11 컬럼 어드레스 생성부를 필 요에 따라 구동하므로, 이로 인해 발생되던 전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는 구동클럭 생성부를 더 구비하여 읽기 또는 쓰기 동작에 따라, 그리고 밴드폭에 따라 각각 구동클럭을 생성하고, 이를 해당 블록에 인가하므로서, 동작 및 밴드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블록이 액티브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불필요한 블록의 구동으로 인한 전류소모를 방지하여,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서는 어드레스를 설정된 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시간을 갖도록 하여 내부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받지 않고 인가된 신호를 구동 모드에 따라 선택적 지연이 필요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불필요한 전류소모라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읽기 및 쓰기 구동과 같이 구동모드에 따라, 그리고 밴드폭에 따라 구동클럭을 각각 생성하여, 구동클럭으로 블록의 액티브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구동으로 인한 전류소모를 방지한다.

Claims (33)

  1. 해당 어드레스를 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 또는 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
    해당 어드레스를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내부 읽기 어드레스, 또는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모드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데이터의 출력 비트 수를 결정하는 밴드폭신호, 및 쓰기 구동시 활성화되는 쓰기구간신호를 인가받아 내부클럭을 상기 읽기 구동클럭, 상기 쓰기 구동클럭,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 또는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생성하기 위한 구동클럭 생성수단
    을 구비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클럭 생성수단은,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읽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와,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및 상기 밴드폭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밴드폭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와,
    상기 쓰기구간신호의 활성화 시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와,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 및 상기 밴드폭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
    를 구비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가 제1 논리레벨로 활성화되면, 상기 읽기 구동클럭을 제1 논리레벨로 유지시켜 출력하며,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의 비활성화 시에는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읽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1 인버터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내부클럭을 입력으로 갖는 제1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1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읽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 체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는,
    상기 해당 어드레스의 인가로 부터 상기 읽기 구동클럭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되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하기 위한 AL 지연부와,
    상기 해당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 중 상기 해당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선택부와,
    상기 제1 선택부의 출력 어드레스를 지연시켜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의 인가로 부터 상기 쓰기 구동클럭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되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하기 위한 CL 지연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 중 상기 해당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선택부와,
    상기 제2 선택부의 출력 어드레스를 지연시켜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L 지연부는,
    직렬 연결되어 앞단의 출력 어드레스를 상기 읽기 구동클럭에 동기시켜 상기 지연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은,
    상기 읽기 구동클럭의 제1 논리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어드레스를 전달하기 위한 제1 트랜스퍼 게이트와,
    상기 제1 트랜스퍼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제1 래치와,
    상기 읽기 구동클럭의 제2 논리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래치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트랜스퍼 게이트와,
    상기 제2 트랜스퍼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제2 래치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해당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해당 어드레스 또는 상기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트랜스퍼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선택부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 체인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폭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의 활성화, 또는 상기 밴드폭신호의 비활성화 시 상기 읽기 구동클럭을 제1 논리레벨로 유지시켜 출력하며,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의 비활성화 및 상기 밴드폭신호의 활성화 시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쓰기구간신호 또는 상기 밴드폭신호의 비활성화 시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제1 논리레벨로 유지시켜 출력하며,
    상기 쓰기구간신호 및 상기 밴드폭신호의 활성화 시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쓰기구간신호의 비활성화 시 상기 쓰기 구동클럭을 제1 논리레벨로 유지시켜 출력하며,
    상기 쓰기구간신호의 활성화 시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읽기 어 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폭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1 인버터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내부클럭을 입력으로 갖는 제1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1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밴드폭신호를 입력으로 갖는 제2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2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3 인버터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내부클럭을 입력으로 갖는 제3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3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읽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인버터 체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내부클럭과 상기 쓰기구간신호를 입력으로 갖는 제4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4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제4 및 제5 인버터로 구현된 제2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내부클럭과 상기 쓰기구간신호를 입력으로 갖는 제5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5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밴드폭신호를 입력으로 갖는 제6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6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6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는,
    상기 해당 어드레스의 인가로 부터 해당 구동클럭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되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하기 위한 AL 지연부와,
    상기 해당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 중 상기 해당 애디티브레이턴시 정보신호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선택부와,
    상기 제1 선택부의 출력 어드레스를 지연시켜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의 인가로 부터 상기 해당 구동클럭 기준으로 1클럭 씩 지연되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를 출력하기 위한 CL 지연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의 지연 어드레스 중 상기 해당 카스레이턴시 정보신호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선택부와,
    상기 제2 선택부의 출력 어드레스를 지연시켜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AL 및 CL 지연부는,
    직렬 연결되어 앞단의 출력 어드레스를 상기 해당 구동클럭에 동기시켜 상기 지연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은,
    상기 해당 구동클럭의 제1 논리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어드레스를 전달하기 위한 제1 트랜스퍼 게이트와,
    상기 제1 트랜스퍼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제1 래치와,
    상기 해당 구동클럭의 제2 논리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래치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트랜스퍼 게이트와,
    상기 제2 트랜스퍼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제2 래치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쓰기구간신호의 비활성화 시 상기 쓰기 구동클럭을 제1 논리레벨로 유지시켜 출력하며,
    상기 쓰기구간신호의 활성화 시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내부클럭과 상기 쓰기구간신호를 입력으로 갖는 제1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1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제1 및 제2 인버터로 구현된 인버터 체인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 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3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쓰기구간신호 또는 상기 밴드폭신호의 비활성화 시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제1 논리레벨로 유지시켜 출력하며,
    상기 쓰기구간신호 및 상기 밴드폭신호의 활성화 시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폭 쓰기 구동클럭 생성부는,
    상기 내부클럭과 상기 쓰기구간신호를 입력으로 갖는 제1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1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밴드폭신호를 입력으로 갖는 제2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2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컬럼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해당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읽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애디티브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읽기 어드레스 생성부와,
    상기 내부 읽기 어드레스를 상기 밴드폭-쓰기 구동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카스레이턴시에 대응되는 지연을 갖는 상기 내부 쓰기 어드레스로 생성하기 위한 제2 쓰기 어드레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KR1020050133961A 2005-09-28 2005-12-29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KR10074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961A KR100744042B1 (ko) 2005-09-28 2005-12-29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JP2006181466A JP4915692B2 (ja) 2005-09-28 2006-06-30 半導体メモリ素子の内部アドレス生成装置
US11/478,083 US7379376B2 (en) 2005-09-28 2006-06-30 Internal address generator
US12/081,317 US20080192552A1 (en) 2005-09-28 2008-04-15 Internal address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0860 2005-09-28
KR1020050090860 2005-09-28
KR1020050133961A KR100744042B1 (ko) 2005-09-28 2005-12-29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928A true KR20070035928A (ko) 2007-04-02
KR100744042B1 KR100744042B1 (ko) 2007-07-30

Family

ID=3789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961A KR100744042B1 (ko) 2005-09-28 2005-12-29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379376B2 (ko)
JP (1) JP4915692B2 (ko)
KR (1) KR100744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68B1 (ko) * 2010-03-31 2012-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지연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8146B2 (en) * 2005-09-29 2009-07-07 Hynix Semiconductor, Inc. Internal address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4953348B2 (ja) * 2005-09-29 2012-06-13 ハイニックス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ク 半導体メモリ素子の内部アドレス生成装置
KR100753081B1 (ko) * 2005-09-29 2007-08-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US7796462B2 (en) * 2007-02-22 2010-09-14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Data flow control in multiple independent port
US7844798B2 (en) * 2007-12-13 2010-11-30 Qimonda Ag Command protocol for integrated circuits
KR100945802B1 (ko) * 2008-06-24 2010-03-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을 생성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KR101103066B1 (ko) * 2010-02-26 2012-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지연 회로
KR20180119071A (ko) * 2017-04-24 2018-11-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781B1 (ko) * 1995-12-31 1999-03-30 김주용 반도체 메모리의 내부 어드레스 발생장치
JP2000011638A (ja) 1998-06-23 2000-01-14 Sony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メモリアクセス方法
JP2000030456A (ja) * 1998-07-14 2000-01-28 Fujitsu Ltd メモリデバイス
JP2000057777A (ja) 1998-08-04 200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同期型バースト半導体メモリ装置
JP3948141B2 (ja) * 1998-09-24 2007-07-2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604291B2 (ja) * 1998-10-08 2004-12-22 富士通株式会社 ダブルレートの入出力回路を有するメモリデバイス
KR100324820B1 (ko) * 1999-06-29 2002-02-28 박종섭 싱크로너스 메모리 소자
KR100355229B1 (ko) * 2000-01-28 2002-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스 명령의 동작 지연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및 이에 적용되는 버퍼와 신호전송 회로
KR100374637B1 (ko) * 2000-10-24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2157880A (ja) * 2000-11-15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KR100416622B1 (ko) * 2002-04-27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컬럼 디코더 인에이블 타이밍제어방법 및 장치
KR100513365B1 (ko) * 2002-12-30 2005-09-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어드레스 카운터 스트로브 테스트 모드 장치
KR100532421B1 (ko) * 2003-02-17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n/2)스테이지를 갖는 어드레스 버퍼
KR100590855B1 (ko) * 2003-10-14 2006-06-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류 소모의 감소를 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JP4152308B2 (ja) * 2003-12-08 2008-09-17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596435B1 (ko) * 2003-12-17 2006-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어드레스 억세스타임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73904B1 (ko) * 2005-04-30 2007-0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메모리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68B1 (ko) * 2010-03-31 2012-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지연 회로
US8339894B2 (en) 2010-03-31 2012-12-25 SK Hynix Inc. Address delay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95257A (ja) 2007-04-12
US20070070781A1 (en) 2007-03-29
JP4915692B2 (ja) 2012-04-11
US20080192552A1 (en) 2008-08-14
KR100744042B1 (ko) 2007-07-30
US7379376B2 (en) 200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042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KR102401526B1 (ko)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53081B1 (ko)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654125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데이터 출력장치
JP2009211797A (ja) 半導体素子
KR100638748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US8295100B2 (en) Pipe latch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483005B2 (en) Interna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65293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670729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KR20080028617A (ko) 프리차지신호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및그의 구동방법
KR100798795B1 (ko)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9124532A (ja) 半導体集積回路
KR100870426B1 (ko) 내부 제어신호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929831B1 (ko) 고속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558146B2 (en) Internal address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853465B1 (ko) 내부리드신호 생성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902048B1 (ko) 반도체 장치의 어드레스 수신회로
KR100780622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데이터 입력장치
KR100907932B1 (ko)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2000468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1001264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명령어 디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