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904A - 감시 카메라 시스템, 원격 조작·감시 장치, 제어 방법 및그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원격 조작·감시 장치, 제어 방법 및그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904A
KR20070032904A KR1020060073602A KR20060073602A KR20070032904A KR 20070032904 A KR20070032904 A KR 20070032904A KR 1020060073602 A KR1020060073602 A KR 1020060073602A KR 20060073602 A KR20060073602 A KR 20060073602A KR 20070032904 A KR20070032904 A KR 20070032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point
pointer
image captured
poi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613B1 (ko
Inventor
유키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9Remote control of cameras, e.g. remote orientation or image zooming control for a PTZ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조작성이 우수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의 화면(41) 상에,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이 화상에 중첩하여 포인팅 디바이스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AR을 표시한다.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상의 제1 점 P1로부터 제2 점 P2까지 포인터 AR을 이동시켰을 때, 원격 조작·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카메라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에 의해, 감시 카메라를 포인터 AR의 이동 방향으로, 제1 점 P1로부터 제2 점 P2까지의 길이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 감시 카메라, 화면, 화상, 포인터.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 원격 조작·감시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 {SURVEILLANCE CAMERA SYSTEM, REMOTE-CONTROLLED MONITOR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THEIR CONTROL PROGRA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조작 방법 및 감시 화면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계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전체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처리 루틴의 한 형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8은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시 카메라 11: 비디오 카메라 본체
15: 구동 기구 16: 제어 회로
20: 네트워크 30: 퍼스널 컴퓨터
40: 디스플레이 42: 감시 화면 영역
52: 마우스 AR: 화살표
MP: 마우스 포인터 P1 및 P2: 점 또는 좌표
일본국 특개 2001-268556호 공보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 원격 조작·감시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교통 상황 등을 원격지로부터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팬(pan)·틸트(tilt)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그와 같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의 팬·틸트를 행하는 방법으로서, 이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명세서에서는, 「감시 카메라의 시야 방향의 이동」을 간단히 하기 위해, 「감시 카메라의 이동」이라고 약기(略記)한다.
(A)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용 디스플레이 화면(1)의 감시 화면 영역(1A)에,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그 옆에 4 방향(또는 8 방향)으로 버튼(1B)을 표시한다. 그리고, 버튼(1B) 중 어느 하나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그 클릭된 버튼의 방향으로 클릭되어 있는 동안, 감시 카메라가 이동한다.
(B)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 화면 영역(1A)의 옆에 태블릿(1C)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 태블릿(1C)에 대하여, 마우스로 클릭 또는 드래그를 하면, 이 것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감시 카메라가 이동한다.
(C) (B)의 변동으로, 감시 화면 영역(1A)의 임의의 점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그 드래그의 방향으로 드래그한 길이만큼 감시 카메라가 이동한다.
(D) 감시 화면 영역(1A)의 임의의 점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또는 직사각형으로 선택하면, 그 클릭한 점, 또는 직사각형의 중심이 감시 화면 영역(1A)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감시 카메라가 이동한다.
(E) 감시 카메라로 촬영 가능한 모든 범위를 미리 촬영하여 파노라마 화상을 준비해 둔다. 그리고, 그 파노라마 화상의 임의의 점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그 방향으로 감시 카메라가 이동한다.
(F) 조이스틱 등의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한다.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268556호 공보가 있다.
그런데, 상기 (A), (B)의 경우, 주행 중인 차와 같은 이동체를 추적·감시하는 경우, 감시자의 시선은 감시 화면 영역(1A)과 버튼(1B) 또는 태블릿(1C) 사이를 왕래하게 되어, 안정된 감시를 실행할 수 없다.
또, (A)∼(D)의 경우, 감시 카메라를 감시 화면 영역(1A)의 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때는 조작성에 문제는 없다. 그러나, 감시 카메라를 감시 화면 영역(1A)의 범위 밖까지 이동시킬 때는 정지와 이동을 반복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나쁘다. 또, 그 촬영 내용을 다른 디스플레이에서도 표시·감시하고 있는 경우나, 그 촬영 내용의 녹화 결과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정지와 이동이 반복되어 감시 카메라가 이동해 가므로, 보기 흉한 것이 되어 버린다.
또한, (E)의 경우에는 광범위한 시야로부터 감시 영역을 지정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조작 상황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문제를 생기게 하여 버린다. 또, (F)의 경우에는, 조이스틱의 경사와 그 방향에서 감시 카메라가 결정되므로, 감시자의 감성에 가까운 조작성을 얻을 수 있지만, 전용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므로, 감시용 디스플레이 측을 일반의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하는 경우, 비용이 상승하여 버린다. 또한, 조작성은 조이스틱의 성능(경사 및 방향의 분해능(分解能), 정밀도, 래틀(rattle), 통신 속도 등)에 크게 의존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팬·틸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와,
원격 조작·감시 장치
를 가지며,
상기 원격 조작·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시야 방향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
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이 화상에 중첩하여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켰을 때, 상기 원격 조작·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카메라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이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상기 제2 점까지의 길이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
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를 이동시킬 때, 조작이 간단하여,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감시 대상으로부터 시선을 피할 일도 없다. 또한, 전용의 조작 수단을 추가할 필요도 없고, 표준의 마우스만으로 원격 조작을 할 수도 있다. 또, 그 원격 조작 시, 감시 카메라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결과, 감시자의 감성에 가까운 감시가 가능해진다.
〔1〕 아웃 라인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의 조작 방법 및 감시 화면의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부호 41은 감시용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나타내고, 이 화면(41)에는, 그 오른 쪽 및 아래 쪽을 제외한 직사각형의 영역(42)이 감시 화면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 화면(41)의 오른 쪽에는, 줌용의 버튼(43Z), 수동 포커스용의 버튼(43F), 자동 포커스용의 버튼(43A), 종래의 장치와의 호환을 취하기 위한 방향용의 버튼(43D)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41)의 아래쪽에는,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녹화·재생하기 위한 각종의 조작 버튼(43V)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조작 버튼은 마우스로 조작되는 것이다. 또, 부호 MP는 마우스 포인터이며, 이 마우스 포인터 MP는 감시 화면 영역(42)에 표시되어 있는 감시 대상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 카메라의 조작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1)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 화면 영역(42) 중 임의의 점(좌표) P1을 마우스로 클릭한다(마우스 버튼을 계속 누른다).
(2)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 P1로부터 임의의 점(좌표) P2까지 마우스로 드래그한다(마우스 버튼을 누르면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2-1) 이 드래그에 의해,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 P1로부터 점 P2까지 화살표 AR이 묘화(描畵)된다.
(2-2) 화살표 AR의 묘화와 동시에, 도 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AR의 방향으로, 화살표 AR의 길이에 비례한 속도로 감시 카메라가 이동한다. 따라서, 이때, 영역(42)의 촬영 화상은 화살표 AR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2-3) 이 경우, 화살표 AR의 묘화 및 감시 카메라의 이동은 드래그 중,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마우스 포인터 MP의 좌표 P2를 검출하여 행한다. 따라서, 도 2 (B)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포인터 MP의 좌표 P2를 연속하여 이동시 키면, 화살표 AR의 방향으로 대응하여 감시 카메라가 연속해서 이동한다.
(3) 감시 카메라가 목적으로 하는 시야 방향으로 되었을 때, 마우스의 드래그를 해제한다(마우스 버튼을 떼어 놓는다).
(3-1) 그러면, 감시 화면 영역(42)의 화살표 AR은 사라지고, 감시 카메라의 이동도 정지한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는 목적으로 하는 시야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이동을 정지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우스를 조작하면, 감시 카메라가 이동하지만, 이 경우, 마우스는 감시 화면 영역(42)의 범위 내에서 조작하면 되므로, 시선을 그다지 움직일 필요가 없어, 감시가 용이해진다. 특히 주행 중의 차와 같은 이동체를 추적·감시하는 경우, 이것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마우스를 조작하면, 도 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는 화살표 AR의 방향으로 화살표 AR의 길이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하므로, 감시 카메라를 감시 화면 영역(42)의 범위 밖으로 이동시킬 때라도, 정지와 이동을 반복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감시 카메라가 연속해서 이동하여 가므로, 촬영 내용이 다른 디스플레이에서도 표시·감시하고 있는 경우나, 그 촬영 내용의 녹화 결과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시야 방향은 스므스하게 이동하여 보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한, 마우스에 의해 감시 카메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하드웨어가 불필요하며, 또한 이동의 분해능이나 정밀도 또는 통신 속도 등에 대하여, 충분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2〕 시스템의 상세
〔2-1〕 각 부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 전체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부호 10은 감시 카메라, 부호 20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부호 30은 원격 조작·감시 장치를 나타낸다.
감시 카메라(10)는 비디오 카메라 본체(11)와, 신호 처리 회로(12)와, 통신 회로(13)를 가진다. 이 경우, 비디오 카메라 본체(11)는 감시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며, 이 예에서는, 야간의 촬영을 고려하여 적외선 비디오 카메라로 되어 있다.
또, 신호 처리 회로(12)는 비디오 카메라 본체(11)의 촬영 출력인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AGC(Automatic Gain Control), γ 보정, A/D(Analog to Digital) 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 회로(13)는 신호 처리 회로(12)로부터 얻어지는 비디오 신호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원격 조작·감시 장치(30)에 송신하는 동시에, 네트워크(20)를 통해 원격 조작·감시 장치(30)로부터 보내져 오는 각종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감시 카메라(10)는 구동 기구(15)와 제어 회로(16)를 가진다. 구동 기구(15)는 제어 회로(16)에 의해 제어되어 비디오 카메라 본체(11)를 기계적으로 이동시켜 팬·틸트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경우, 비디오 카메라 본체(11)의 이동 속도는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어 회로(16)는 이것에 제어 커맨드 및 파라미터가 공급되면, 그 제어 커맨드 및 파라미터에 따라 구동 기구(15)를 제어하 고, 그 결과, 비디오 카메라 본체(11)의 이동 방향 및 그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어 회로(16)에[이동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 팬 방향(수평 방향)의 이동 속도 성분 VX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틸트 방향(수직 방향)의 이동 속도 성분 VY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공급되면, 비디오 카메라 본체(11)는 그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수평 속도 VX 및 수직 속도 VY로 이동을 개시하고, 이후, 그 이동을 계속한다. 또, [이동 정지를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가 공급되면, 비디오 카메라 본체(11)는 이동을 정지한다.
또한, 원격 조작·감시 장치(30)는 감시 카메라(10)를 원격 조작하는 동시에, 감시 카메라(10)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며, 이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퍼스널 컴퓨터(30)는 일반적인 사양(仕樣)의 것으로 양호하므로,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퍼스널 컴퓨터(3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31),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장치(32), 공작물 영역용의 메모리(33), 표시 제어 회로(34),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35), 통신 회로(36) 등을 가진다.
이 경우, 하드 디스크 장치(32)에는, 감시 카메라(10)가 촬영한 화상을 디스플레이(40)에 의해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있는 동시에, 그 일부로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루틴(100)도 준비되어 있다. 이 루틴(100)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루틴(100)은 마우스(52)의 조작에 따라 감시 카메라(10)를 〔1〕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34)에는 디스플레이(40)가 접속되고, 인터페이스 회로(35)에는 키보드(51) 및 마우스(52)가 접속되어 있다. 또, 통신 회로(36)는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 회로(13)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40)의 화면(41)에서의 표시는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한 내용이 된다.
그리고, 감시 카메라(10)가 촬영한 화상의 비디오 신호가 처리 회로(12)로부터 통신 회로(13)에 공급되고, 또한 통신 회로(13)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30)로 송신된다. 그러면, 퍼스널 컴퓨터(30)에서는, 감시 카메라(10)로부터 송신되어 온 비디오 신호가 통신 회로(36)에 의해 수신되고, 이 수신된 비디오 신호가 표시 제어 회로(34)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40)에 공급된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0)가 촬영한 화상이 디스플레이(40)의 감시 화면 영역(42)(도 1 및 도 2)에 표시되어, 감시 카메라(10)가 촬영한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또, 이 감시 시, 조작 버튼(43V)을 조작함으로써 감시 화면 영역(42)에 표시된 화상이 하드 디스크 장치(32) 또는 전용의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기록·보존되어, 필요할 때 재생된다.
그리고, 이때, 마우스(52)를 조작하면, 루틴(100)이 실행되어 감시 카메라(10)의 이동이 다음과 같이 원격 조정된다.
〔2-2〕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처리
도 4에 나타낸 루틴(100)은 하드 디스크 장치(32)로부터 판독되어 메모리(33)에 로드되어 있다. 그리고, 마우스(52)의 버튼을 누르면, CPU(31)의 처리가 루틴(100)의 스텝 101로부터 스타트하고, 다음에, 스텝 102에서, 이때의 마우스 포인터 MP의 좌표 P1이 취득된다. 이어서, 스텝 103에서, 마우스(52)의 버튼이 눌려져 있는지 여부가 판별되고, 눌려져 있을 때는, 처리는 스텝 103으로부터 스텝 104로 진행하고, 이 스텝 104에서, 이때의 마우스 포인터 MP의 좌표가 좌표 P2로서 취득된다.
계속해서, 스텝 105에서, 스텝 102에서 취득한 좌표 P1과, 스텝 104에서 취득한 좌표 P2와의 거리 L12, 즉 드래그한 길이 L12가 규정값 이상인지 여부가 판별되고, 규정값 이상일 때는, 처리는 스텝 105로부터 스텝 111로 진행하여,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처리가 실행된다.
즉, 스텝 111에서,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로부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이동 속도 성분 VX, VY가 산출되고(그 산출 방법의 자세한 것은 후술함), 다음에, 스텝 112에서, 이동 개시의 제어 신호, 즉 [이동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 팬 방향의 이동 속도 성분 VX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틸트 방향의 이동 속도 성분 VY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형성되고, 이 제어 신호가 통신 회로(36)를 통해 감시 카메라(10)로 송신된다.
그러면, 감시 카메라(10)에서는, 이 제어 신호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 회로(13)에 의해 수신되고, 이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제어 회로(16)에 공급된다. 이 결과, 구동 기구(15)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 본체(11)는 제어되고, 송신되어 온 제어 커맨드의 파라미터에 따른 수평 속도 VX 및 수직 속도 VY로 이동을 개시하고, 이후, 그 이동을 계속한다.
그리고, CPU(31)의 처리는 스텝 112에 계속해서, 스텝 113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 113에서, 좌표 P1과 P2를 연결하는 화살표 AR의 묘화 처리가 실행된다. 이 묘화 처리에서는, 최초의 좌표 P1과 최신의 좌표 P2 사이에, 새롭게 화살표 AR을 묘화하는 동시에, 그 이전의 화살표 AR을 소거한다. 그리고, 화살표 AR은 배경인 감시 화상과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금의 경우, 비디오 카메라 본체(11)는 적외선 비디오 카메라이며 감시 화상은 흑백 표시로 되므로, 화살표 AR은, 예를 들면, 적색으로 된다.
다음에, 스텝 114에서, 감시 카메라(10)의 응답 능력이나 퍼스널 컴퓨터(30)의 처리 능력에 따라 소정 시간 τ의 웨이트가 행해지고, 그 후, 처리는 스텝 103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마우스(52)의 버튼이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스텝 103∼105, 111∼114가 기간 τ의 주기로 반복되는 것이 되는 동시에, 그 반복마다 에 화살표 AR의 묘화 및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속도가 갱신되게 된다. 이 결과,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서 마우스(52)를 움직이면,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마우스 포인터 MP의 위치 P1과, 최신의 마우스 포인터 MP의 위치 P2 사이에, 화살표 AR이 묘화되는 동시에, 그 화살표 AR의 방향으로, 화살표 AR의 길이에 대응하는 속도로 감시 카메라(10)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감시 카메라(10)가 목적으로 하는 시야 방향까지 이동했을 때, 마우스(52)의 버튼을 떼어 놓으면, 이것이 스텝 103에 의해 판별되어, 처리는 스텝 103으로부터 스텝 121로 진행하고, 이 스텝 121에서, 이동 정지를 지시하는 제어 커맨 드가 형성되고, 이 제어 커맨드가 통신 회로(36)로부터 감시 카메라(10)로 송신된다.
그러면, 감시 카메라(10)에서는, 이 제어 커맨드가 통신 회로(13)에 의해 수신되고, 이 수신된 제어 커맨드가 제어 회로(16)에 공급된다. 이 결과, 구동 기구(15)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 본체(11)는 이동을 정지한다. 또한, 다음의 스텝 122에서, 화살표 AR의 묘화가 정지되고, 그 후, 스텝 123에 의해 루틴(100)을 종료한다.
그리고, 스텝 105에서, 좌표 P1과 좌표 P2와의 거리 L12, 즉,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가 규정값에 이르고 있지 않을 때는, 처리는 스텝 105로부터 스텝 131로 진행하고, 이 스텝 131에서, 스텝 121과 동일하게, 감시 카메라의 이동 정지를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가 형성되어 감시 카메라(10)로 송신된다. 그리고, 스텝 132에서, 화살표 AR의 묘화가 정지되고, 그 후, 처리는 스텝 103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가 규정값보다 짧을 때는 그 드래그는 무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루틴(100)에 의하면,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우스(52)를 드래그하여 화살표 AR을 묘화하면, 그 화살표 AR의 방향으로, 화살표 AR의 길이에 비례한 이동 속도로 감시 카메라(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3〕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속도 산출 방법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는, 예를 들면,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5 (A)에서,
X1, Y1: 좌표 P1의 X 좌표 및 Y 좌표
X2, Y2: 좌표 P2의 X 좌표 및 Y 좌표
LX : 마우스 포인터 MP의 팬 방향(X축 방향)의 이동량 성분
LY : 마우스 포인터 MP의 틸트 방향(Y축 방향)의 이동량 성분
으로 하면,
LX=X2-X1
LY=Y2-Y1 … (11)
이다.
그래서,
VX: 감시 카메라(10)의 팬 방향의 이동 속도 성분
VY: 감시 카메라(10)의 틸트 방향의 이동 속도 성분
으로 하면, (11) 식으로부터
VX=aX·LX+bX
VY=aY·LY+bY … (12)
단, aX, bX, aY, bY는 소정의 정수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루틴(100)의 스텝 111에서는, (12) 식에 따라 감시 카메라(10)의 팬 방향 및 틸트 방향에서의 이동 속도 성분 VX, VY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속도 성분 VX, VY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감시 화면 영역(42)에서의 드래그 가능한 최대 길이 및 최소 길이에 대응시킴으로써, 감시 카메라(10) 의 이동 속도가 변경 가능한 범위의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모든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도 있다.
도 5 (B)는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와,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속도 V12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단, 속도 V12는 수평 속도 VX 및 수직 속도 VY를 벡터 합성한 값, 즉, 화살표 AR 방향의 속도이다. 또, 도 5 (B)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bX=bY=0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의 경우, (12) 식으로부터 이동 속도 V12를 산출하고 있으므로, 이동 속도 V12는 드래그 길이 L12에 대하여 리니어로 변화한다.
〔4-1〕 감시 카메라(10) 이동 속도의 제어(1)
〔3〕에서는,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속도 V12가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에 대하여 리니어로 변화되는 경우이지만, 도 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논리니어로 할 수도 있다. 즉, 도 6 (A)에서는,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가 규정값 LTH 미만일 때는,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은 작아지고, 규정값 LTH 이상일 때는,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은 커진다.
또한, 이 경우,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가 규정값 LTH 미만일 때는, 화살표 AR은, 예를 들면,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선(細線)으로 묘화되는 동시에, 그 묘화색은 한색(寒色), 예를 들면, 청색으로 되고, 규정값 LTH 이상일 때는, 화살표 AR은, 예를 들면, 도 6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선(太線)으로 묘화되는 동시에, 그 묘화색은 난색(暖色), 예를 들면, 적색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L12<LTH의 범위에서는, 마우스(52)를 크게 드래그해도 감 시 카메라(10)의 이동은 느리므로, 감시 카메라(10)를 작게 이동시킬 때, 이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L12≥LTH의 범위에서는, 감시 카메라(10)를 크게 이동시킬 때, 보다 고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을 화살표 AR의 굵기나 색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4-2〕 감시 카메라(10) 이동 속도의 제어(2)
도 7에서는, 마우스(52)의 드래그 길이 L12에 대한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을 2 단계로 전환 가능하게 한 경우이다.
즉, 예를 들면, 마우스(52)가 2 버튼 마우스인 경우이면, 좌측의 마우스 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직선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은 작아지고, 오른 쪽의 마우스 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직선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은 커진다.
또는, 마우스(52)의 버튼만을 눌렀을 때는, 직선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은 작아지고, 키보드(51) 중 특정한 키, 예를 들면, 시프트 키를 누르면서 마우스(52)의 버튼을 눌렀을 때는, 직선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은 커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이 작을 때는, 화살표 AR은 세선으로 묘사되는 동시에, 그 묘화색은, 예를 들면, 청색으로 되고, 클 때는, 화살표 AR은 태선으로 묘화되는 동시에, 그 묘화색은, 예를 들면, 적색으로 된다. 따라서, 역시, 감시 카메라(10)를 이동시킬 때의 사용의 편리성이 양호해진다.
〔5〕 정리
전술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마우스(52)는 감시 화면 영역(42)의 범위 내에서 조작하면 되는 동시에, 마우스(52)를 조작하면, 감시 카메라(10)는 마우스(52)를 드래그한 방향으로, 그 드래그 길이 L12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이 간단하여, 직감적으로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감시 화면 영역(42)의 범위 내만을 보고 있으면 되므로, 감시 대상으로부터 시선을 피할 일도 없다.
또한, 조이스틱 등의 조작 수단을 추가할 필요도 없고, 표준의 마우스(52)만으로 원격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그 원격 조작 시,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결과, 감시자의 감성에 가까운 감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 전술한 시스템은 팬·틸트 기능만을 가지는 감시 카메라와 1대의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되는 소규모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감시 카메라가 추가로 줌 기능을 가지는 광역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도 효과적이다.
〔6〕 기타
전술에 있어서, 드래그 시, 마우스 포인터 MP의 드래그 방향 및 드래그 길이 L12를 알 수 있으면 되므로, 화살표 AR은 단순한 직선으로 할 수도 있다. 또, 〔4-1〕 또는 〔4-2〕에서,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이 작을 때와 클 때, 마우스 포인터 MP의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하면, 마우스 포인터 MP의 형상으로부터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을 알 수 있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10)의 이동 속도 V12 의 변화율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스텝 102에 계속해서, 스텝 102에서 좌표 P1을 취득했을 때, 마우스 버튼이 왼쪽 버튼 및 오른 쪽 버튼의 어느 쪽이 눌러졌는지, 또는 동시에 시프트 키가 눌려져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스텝 111에서, 이동 속도 성분 VX, VY를 산출할 때,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정수 aX, aY의 크기를 변경하면 된다.
또한, 전술에서는, 드래그 길이 L12에 대하여,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을 2 단계로 변경하는 경우이지만, 또한 다단계로, 또는 지수 함수와 같은 곡선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 화면(41)에 표시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이동 속도 V12의 변화율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살표 AR의 묘화의 허가·금지를 선택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전술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마우스(52)를 사용하고 있지만, 트랙 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10)가 이동 속도를 변경할 수 없는 타입의 경우에는, (12) 식에서 나타나는 값 VX, VY에 비례한 크기만큼 감시 카메라(10)를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스텝 114에 있어서의 웨이트 시간 τ를 변경함으로써, 외관의 이동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를 이동시킬 때, 조작이 간단하여,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감시 대상으로부터 시선을 피할 일도 없다. 또한, 전용의 조작 수단을 추가할 필요도 없고, 표준의 마우스만으로 원격 조작을 할 수도 있다. 또, 그 원격 조작 시, 감시 카메라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결과, 감시자의 감성에 가까운 감시가 가능해진다.

Claims (7)

  1. 팬(pan)·틸트(tilt)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와,
    원격 조작·감시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조작·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시야 방향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이 화상에 중첩하여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pointer)를 표시하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켰을 때, 상기 원격 조작·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카메라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이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상기 제2 점까지의 길이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때,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직선을 묘화(描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상기 직선을 묘화할 때, 그 직선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시야 방향 이동 속도의 변화율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의 시야 방향 이동 속도의 변화율을 변경할 때, 상기 직선의 굵기, 묘화색 또는 상기 포인터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팬·틸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동시에, 이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 원격 조작·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의 시야 방향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이 화상에 중첩하여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터를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상기 제2 점까지의 길이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형성하고,
    이 제어 신호를 상기 감시 카메라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감시 장치.
  6. 팬·틸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동시에, 이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스텝과,
    포인팅 디바이스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상기 제1 스텝에 의해 표시된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2 스텝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터를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이동 속도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제3 스텝과,
    이 제3 스텝에 의해 형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감시 카메라에 송신하는 제4 스텝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팬·틸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동시에, 이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스텝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상기 제1 스텝에 의해 표시된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2 스텝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제2 점까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터를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이동 속도에 비례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제3 스텝과,
    이 제3 스텝에 의해 형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감시 카메라에 송신하는 제4 스텝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KR1020060073602A 2005-09-20 2006-08-04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카메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299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2158A JP4362728B2 (ja) 2005-09-20 2005-09-20 制御装置、監視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5-00272158 2005-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904A true KR20070032904A (ko) 2007-03-23
KR101299613B1 KR101299613B1 (ko) 2013-08-23

Family

ID=3788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602A KR101299613B1 (ko) 2005-09-20 2006-08-04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카메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5300B2 (ko)
JP (1) JP4362728B2 (ko)
KR (1) KR101299613B1 (ko)
CN (2) CN101568020A (ko)
TW (1) TW2007182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30B1 (ko) * 2008-07-01 2011-04-12 박태수 실시간 원격 영상 전송 시스템
KR101030559B1 (ko) * 2007-03-06 2011-04-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의심 행동 검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6864A1 (en) * 2006-08-09 2008-02-14 Mccubbrey David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transmitting image data streams
US20080151050A1 (en) * 2006-12-20 2008-06-26 Self Michael R Enhanced Multimedia Intrus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9016956A (ja) * 2007-06-29 2009-01-22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制御システム、カメラ制御装置、及び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
WO2009097157A2 (en) * 2008-01-31 2009-08-06 Rogo,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surveillance of a premises
GB0807744D0 (en) * 2008-04-29 2008-06-04 Smith Howard Camera control systems
JP5528067B2 (ja) * 2009-11-20 2014-06-25 株式会社ミツトヨ 三次元測定機
US20110199386A1 (en) * 2010-02-12 2011-08-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Overlay feature to provide user assistance in a multi-touch interactive display environment
US8836802B2 (en) * 2011-03-21 2014-09-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defining camera scan movements using gestures
US20140063196A1 (en) * 2011-04-22 2014-03-06 Isaac S. Daniel Comprehensive and intelligent system for managing traffic and emergency services
US9851877B2 (en) 2012-02-29 2017-12-26 JVC Kenwood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3211821A (ja) * 2012-02-29 2013-10-10 Jvc Kenwood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3210989A (ja) * 2012-02-29 2013-10-10 Jvc Kenwood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836863B2 (en) * 2012-10-15 2017-12-05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ation of athletes
WO2014145925A1 (en) * 2013-03-15 2014-09-18 Moontun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ameras at live events
CN104427300A (zh) * 2013-08-27 2015-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监控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JP6276954B2 (ja) * 2013-09-24 2018-02-0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映像監視システム
CN103595972A (zh) * 2013-11-28 2014-02-19 深圳英飞拓科技股份有限公司 远程调焦设备实时浏览控制方法及系统
JP6384053B2 (ja) 2014-01-28 2018-09-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後写鏡角度設定システム、後写鏡角度設定方法および後写鏡角度設定プログラム
CN104469175A (zh) * 2014-02-25 2015-03-25 宁波蜂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ed补光灯的新型摄像机系统
JP6381265B2 (ja) 2014-04-14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47663B2 (ja) * 2014-05-12 2018-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29816B2 (ja) 2015-03-27 2017-11-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バイル監視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AU2015224397A1 (en) * 2015-09-08 2017-03-2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s for adjusting control parameters on an image capture device
US11019244B2 (en) * 2016-05-11 2021-05-25 Ubicquia Iq Llc Externally viewable orientation in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optical sensor
JP6515975B2 (ja) * 2017-10-19 2019-05-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バイル監視装置、モバイル監視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08513077B (zh) * 2018-05-28 2021-01-01 安徽文香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鼠标控制摄像头位置居中的方法
JP6996758B2 (ja) * 2019-04-17 2022-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バイル監視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81708A (ja) * 2021-05-26 2022-1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注視領域の自動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遠隔状態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1288A (en) * 1988-03-02 1992-05-05 Diamond Electronics, Inc.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H07298116A (ja) 1994-04-28 1995-11-10 Canon Inc 雲台一体型ビデオカメラ
KR960001858A (ko) * 1994-06-08 1996-01-26 김광호 마우스를 이용한 카메라방향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517236A (en) * 1994-06-22 1996-05-14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Video surveillance system
JP3335017B2 (ja) 1994-11-29 2002-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の制御装置
JP3745000B2 (ja) * 1995-02-0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744995B2 (ja) 1996-01-0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方法とその装置
US6771896B2 (en) * 1997-10-03 2004-08-03 Konica Corporation Electric camera with image printing system
JP2001268556A (ja) 2000-03-22 2001-09-28 Toshiba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制御端末装置
JP2002010240A (ja) * 2000-06-21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システム
EP1330812A1 (en) * 2000-09-28 2003-07-30 Vigilo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interaction with remote devices
JP2002359766A (ja) 2001-03-30 2002-12-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撮像装置の視野制御法及び視野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50000276A (ko) * 2003-06-24 2005-01-03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감시 카메라 제어용 가상 조이스틱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59B1 (ko) * 2007-03-06 2011-04-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의심 행동 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28130B1 (ko) * 2008-07-01 2011-04-12 박태수 실시간 원격 영상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4104A1 (en) 2007-03-22
TW200718202A (en) 2007-05-01
US8085300B2 (en) 2011-12-27
TWI320287B (ko) 2010-02-01
JP2007088584A (ja) 2007-04-05
KR101299613B1 (ko) 2013-08-23
JP4362728B2 (ja) 2009-11-11
CN1937765A (zh) 2007-03-28
CN101568020A (zh)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613B1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카메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110865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urveillance system with gesture and/or audio commands
JP4032404B2 (ja) 操作装置
US20200014833A1 (en) Control Device, Camera System and Program
US6611285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amera,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used with the method, apparatus and/or system
US200401791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aptured images according to imaging device position
EP1130906B1 (en) Pointing device for digital camera display
TWI422218B (zh) Control devices, camera systems and programs for monitoring camera systems
KR101648564B1 (ko) 휴대 단말, 원격 카메라, 및 휴대 단말에 의한 원격 카메라의 팬/틸트/줌 제어 방법
US20060044399A1 (en) Control system for an image capture device
EP1496702A2 (en) Virtual joystick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ecurity camera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226538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076846A (ko) 카메라용 영역 줌 기능을 제공
JP201703455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98455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9906710B2 (en) Camera pan-tilt-zoom (PTZ) control apparatus
KR102640281B1 (ko)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감시 시스템
JP4998522B2 (ja) 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6191408A (ja) 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2004672A (ja) 映像配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014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31609B2 (ja) 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826506B2 (ja) 情報表示方法
KR20060114950A (ko) 카메라의 gui 제어방법
CA282672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urveillance system with gesture and/or audio comm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