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901A - 점착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901A
KR20070017901A KR1020060069195A KR20060069195A KR20070017901A KR 20070017901 A KR20070017901 A KR 20070017901A KR 1020060069195 A KR1020060069195 A KR 1020060069195A KR 20060069195 A KR20060069195 A KR 20060069195A KR 20070017901 A KR20070017901 A KR 2007001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roup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812B1 (ko
Inventor
미카 가나마루
겐이치 오카다
도시타카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1928A external-priority patent/JP5000171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5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4Charge transferr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i.e.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a prim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 필름의 대전을 방지하여,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점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기재(1) 위에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층(2)을 형성하고, 이어서 기재(1) 위에 하도층(2)을 통해서 점착제층(3)을 형성하여 점착 필름을 얻거나, 또는, 유리 기판과의 접착성이 높고, 높은 내가열성이나 내습열성을 가지며, 또한 점착 필름의 대전을 방지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대전방지층을 갖춘 점착 필름, 및 그 점착 필름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점착 필름으로서 기재(1), 원료 모노머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폴리알킬렌옥사이드(메트)아크릴레이트 인산 에스터 및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3),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고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층(4)을 구비하고, 이것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접착한다.

Description

점착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ADHESIVE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점착형 광학 필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점착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반도체, 또는, 광학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점착 필름 및 그 점착 필름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기·전자 또는 반도체 분야 등의 부품을 생산할 때 그 다이싱 공정이나 그라인드 공정에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기재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한 점착 필름을 부품에 접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점착 필름은 부품의 보호가 종료하면 보통 박리된다.
그러나, 점착 필름이 부품으로부터 박리될 때, 점착 필름과 부품 사이에 정전기(이른바 박리 대전)가 발생하여, 부품의 회로에 악영향을 주거나,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한다는 장해를 일으킨다.
또한 종래부터, 광학 분야 등의 부품을 생산할 때 그 제조 공정에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 필름을 부품에 접착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점착 필름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접합된 후, 보통 박리된다.
그러나, 점착 필름이 액정 디스플레이로부터 박리될 때 박리 대전이 발생하여, 액정 배열이 어지럽혀져 화상이 흐트러진다는 장해를 발생한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박리 대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으로서, 예컨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의 주면(主面)에 형성되고 산화주석계, 산화인듐계, 산화아연계 등의 도전성 충전재 및 유기계 바인더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층, 및 상기 대전방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대전방지 점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1996-24593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제1996-245932호 공보에서 제안된 대전방지 점착 필름에서는, 기재 필름과 점착제층과의 밀착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종래부터,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시야각 확대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이 각종 산업 용도에 사용되고 있고,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전기발광 장치(유기 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접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화상 표시 장치에 접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광학 필름에 점착제를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환경 부하의 관점에서, 유기 용제의 사용을 저감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고, 용매로서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용제형 점착제로부터, 분산매(分散媒)로서 물을 사용하는 수분산형 점착제로의 전환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수분산형 점착제로서, 예컨대, 공중합체 에멀션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로서, 공중합체가, 공중합체 전체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의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이 공중합되어 있고, 또한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25℃ 이하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1-254063호 공보 참조).
또한, 점착형 광학 필름에는, 그 제조 공정이나 제조 후의 수송 공정에서 점착형 광학 필름의 표면에 상처나 오물이 붙지 않도록, 그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이 붙여지고, 이 상태로 점착형 광학 필름이 화상 표시 장치에 접착된다.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의 수송 공정이 종료하면, 보통, 표면 보호 필름을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시킨다.
그러나,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이 박리될 때에, 점착형 광학 필름과 표면 보호 필름 사이에 정전기(이른바 박리 대전)가 발생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의 액정 배열이 어지럽혀지거나, 접착된 화상 표시 장치의 회로가 파괴되거나 하여, 화상이 흐트러진다는 장해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박리 대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을 포함하 는 점착 필름으로서, 예컨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의 주면에 형성되고 산화주석계, 산화인듐계, 산화아연계 등의 도전성 충전재 및 유기계 바인더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층, 및 상기 대전방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대전방지 점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1996-24593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2001-254063호 공보를 비롯한 종래의 수분산형 점착제를 이용한 점착 필름은, 폴리올레핀 등의 소수성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개선되지만, 유리 등의 친수성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특히 낮아, 화상 표시 장치의 유리 기판에 강고하게 접착하기 어렵다는 불량이 있다.
또한, 점착 필름에 적층되는 수분산형 점착제에는, 가혹한 가열이나 가습 등에 의해서도 밀착성 등이 저하하지 않는 높은 내가열성이나 내습열성이 요구된다.
게다가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1996-245932호 공보에서 제안된 대전방지 점착 필름에서는, 기재 필름과 점착제층의 밀착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 필름의 대전을 방지하여,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기판과의 접착성이 높고, 높은 내가열성 및 내습열성을 가지며, 점착 필름의 대전을 방지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대전방지층을 갖춘 점착 필름, 및 그 점착 필름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상기 기재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고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하도층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이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 유기 타이타늄 화합물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이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수지가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이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기재가 광학 필름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하도층이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대전하기 어렵고, 더구나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 문에,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이 높은 점착 필름으로서 각종 산업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상기 기재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는 대전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원료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임의적으로 상기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함유하고, 원료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가 60 내지 99중량부이고, 상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상기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상기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총량이 1 내지 40중량부이며, 원료 모노머 중 카복실기 농도가 0.05 내지 1.50밀리몰/g이고, 인산기 농도가 0.01 내지 0.45밀리몰/g인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전방지층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1
(화학식 1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 옥시알킬렌기를, X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인산기 또는 그의 염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2
(화학식 2중, n은 1 내지 4의 정수, m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3
(화학식 3중,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양이온(cation)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추가로 함유하고, 그 배합 비율이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중량부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가 도전 폴리머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도전 폴리머가 폴리아닐린 및/또는 폴리싸이오펜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가 유기 금속 화합물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이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 유기 타이타늄 화합물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대전방지층이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대전방지층이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대전방지층이 폴리아민계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상기 기재가 광학 필름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점착 필름을 적어도 1장 이용하고, 상기 점착 필름은 광학 필름, 상기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상기 광학 필름과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는 대전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원료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임의적으로 상기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함유하고, 원료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가 60 내지 99중량부이고, 상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상기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상기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총량이 1 내지 40중량부이며, 원료 모노머 중 카복실기 농도가 0.05 내지 1.50밀리몰/g이고, 인산기 농도가 0.01 내지 0.45밀리몰/g인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전방지층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4
(화학식 1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X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인산기 또는 그의 염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5
(화학식 2중, n은 1 내지 4의 정수, m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6
(화학식 3중,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양이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기재, 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고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 있어서,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점착제층에 통상 사용되는 점착제를 들 수 있고,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 라텍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그 이외의 성분으로서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상기 모노머((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및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함유하는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터 및/또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이고, 예컨대, 하기의 화학식 4로 표시된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7
(화학식 4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탄소수 4 내지 1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2로서는, 예컨대 뷰틸기, 아이소뷰틸기, sec-뷰틸기, t-뷰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아이소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2-에틸헥실기, 아이소옥틸기, 노닐기, 아이소노닐기, 데실기, 아이소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라이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뷰틸,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산 sec-뷰틸, (메트)아크릴산 t-뷰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네오펜틸, (메트)아크릴산 아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킬(탄소수 4 내지 1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의 배합 비율은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99.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중량부이다.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가 함유하는 반응성 작용기로서는, 예컨대 카복실기, 에폭시기, 하이드록실기, 아마이드기, 아미노기, 사이아노기, 이미드기, 설폰산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를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를 들 수 있다.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신남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예컨대 무수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이타콘산 모노메틸, 이타콘산 모노뷰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등의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모노에스터, 예컨대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라이멜리트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피로멜리트산 등의 불포화 트라이카복실산 모노에스터, 예컨대, 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복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상기한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외에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글라이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라이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글라이시딜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 뷰틸 등의 1가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하이드록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에틸렌글라이콜, (메트)아크릴산 프로필렌글라이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렌글라이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2가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글라이콜계 아크릴 에스터 모노머), 예컨대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뷰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바이닐카복실산 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아마이드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뷰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사이아노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사이아노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아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의 이미드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말레이미드계 모노머), 예컨대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뷰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사이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의 이미드기 바이닐 함유 모노머(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 예컨대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석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석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석신이미드 등의 석신이미드계의 이미드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석신이미드계 모노머), 예컨대 스타 이렌설폰산, 알릴설폰산, 2-(메트)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메트)아크릴아마이드프로판설폰산,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설폰산 등의 설폰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설폰산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중,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하이드록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부이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 바이닐, 프로피온산 바이닐 등의 바이닐 에스터류(카복실산 바이닐 에스터),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렌, 뷰타다이엔, 아이소뷰틸렌 등의 올레핀계 모노머,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사이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 보닐,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보닐 등의 (메트)아크릴산 지환식 탄화수소 에스터,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터, 예컨대 스타이렌, 바이닐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바이닐 모노머,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아이소프로필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킬(탄소수 1 내지 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에스터,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모폴린, (메트) 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뷰틸아미노에틸 등의 질소 원자 함유 바이닐 모노머,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알콕시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알콕시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바이닐 에테르 등의 바이닐 에테르계 모노머, 예컨대 염화바이닐 등의 할로겐 원자 함유 모노머(할로겐 원자 함유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N-바이닐피롤리돈, N-(1-메틸바이닐)피롤리돈, N-바이닐피리딘, N-바이닐피페리돈, N-바이닐피리미딘, N-바이닐피페라진, N-바이닐피라진, N-바이닐피롤, N-바이닐이미다졸, N-바이닐옥사졸, N-바이닐모폴린, (메트)아크릴산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등의 바이닐기 함유 헤테로환 화합물, 예컨대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아크릴산 에스터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다작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다작용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프로판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폴리)알킬렌폴리올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나, 다이바이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작용성 모노머로서,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나 실리콘계 바이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트라이에톡시실레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라이에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프로폭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아이소프로폭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뷰톡시실레인,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라이메톡시실레인,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트라이알콕시실레인,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다이프로폭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다이아이소프로폭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다이뷰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틸다이메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틸다이에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 시프로필-에틸다이프로폭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틸다이아이소프로폭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틸다이뷰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로필다이메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로필다이에톡시실레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알킬다이알콕시실레인이나, 이들에 대응하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다이알킬(모노)알콕시실레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실레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실리콘계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바이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에톡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프로폭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아이소프로폭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뷰톡시실레인 등의 바이닐트라이알콕시실레인 외에, 이들에 대응하는 바이닐알킬다이알콕시실레인이나, 바이닐다이알킬알콕시실레인, 예컨대 바이닐메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바이닐메틸트라이에톡시실레인, β-바이닐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β-바이닐에틸트라이에톡시실레인, γ-바이닐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바이닐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γ-바이닐프로필트라이프로폭시실레인, γ-바이닐프로필트라이아이소프로폭시실레인, γ-바이닐프로필트라이뷰톡시실레인, 4-바이닐뷰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4-바이닐뷰틸트라이에톡시실레인, 8-바이닐옥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8-바이닐옥틸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의 바이닐알킬트라이알콕시실레인 외에, 이들에 대응하는 (바이닐알킬)알킬다이알콕시실레인이나, (바이닐알킬)다이알킬(모노)알콕시실레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 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이용함으로써, 공중합체에 알콕시실릴기가 도입되어, 그들끼리의 반응에 의해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에서는, 후술하는 가교제로는 불균일한 가교 구조가 되지만,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이용하면 균일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39.5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9중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8중량부 이하이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그 배합 비율은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01 내지 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한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유화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이 사용된다.
유화 중합에서는, 예컨대 상기한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과 함께, 유화제, 중합개시제, 필요에 따라 연쇄이동제 등을 수중에서 적절히 배합하여 공중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일괄투입법(일괄중합법), 모노머 적하법, 모노머 에멀션 적하법 또는 이들을 병용하는 등, 공지된 유화 중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모노머 적하법이나 모노머 에멀션 적하법에서는, 연속 적하 또는 분할 적하가 적절히 선택된다. 반응 조건 등은 중합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중합 온도는 예컨대 20 내지 90℃이다.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화 중합에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유화제가 사용된다. 예컨대,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 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포석신산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유화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등의 비이온계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음이온계 유화제나 비이온계 유화제에, 프로펜일기나 알릴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작용기(라디칼 반응성기)가 도입된 라디칼 중합성(반응성) 유화제(예컨대, HS-10, 다이이치공업제약(주)제)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유화제의 배합 비율은,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2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정도이다.
중합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화 중합에 통상 사용되는 중합개시제가 사용된다. 예컨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염산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2,2'-아조비스[N-(2-카복시에틸)- 2-메틸프로피온아미딘]수화물, 2,2'-아조비스(N,N'-다이메틸렌아이소뷰틸아미딘), 2,2'-아조비스(N,N-다이메틸렌아이소뷰틸아미딘)이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이염산염 등의 아조계 개시제, 예컨대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계 개시제, 예컨대 벤조일퍼옥사이드,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예컨대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 예컨대 방향족 카보닐 화합물 등의 카보닐계 개시제, 예컨대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물,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물 등의 레독스계 개시제(과산화물과 환원제의 조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수용성 또는 유용성 중 어느 쪽이더라도 좋으며,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의 배합 비율은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05 내지 1중량부이다.
한편, 상기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기 전, 또는 배합하면서, 질소 치환에 의해서 모노머 혼합물 용액 중의 용존 산소 농도를 저감할 수도 있다.
연쇄이동제는 필요에 따라 배합되어 아크릴계 점착제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유화 중합에 통상 사용되는 연쇄이동제가 사용된다. 예컨대, 1-도데칸싸이올, 머캅토아세트산, 2-머캅토에탄올, 싸이오글라이콜산 2-에틸헥실, 2,3-다이메틸캅토-1-프로판올 등의 머캅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연쇄이동제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연쇄이동제의 배합 비율은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01 내지 0.5중량부 정도이다.
이러한 유화 중합에 의해 수득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즉 에멀션(수분산액)으로서 조제할 수 있다.
조제된 아크릴계 점착제의 고형분 농도는 예컨대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이다.
한편, 아크릴계 점착제는 예컨대 상기한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을 유화 중합 이외의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예컨대, 현탁 중합 등)에 의해서 중합한 후에, 필요에 따라 상기한 유화제에 의해,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즉 에멀션(수분산액)으로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에멀션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컨대 0.05 내지 10μ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μm 정도이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그 목적 및 용도에 따라, 필요에 따라 가교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가교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용성 또는 수용성의 가교제가 사용된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되고, 그 배합 비율은 아크릴계 점착제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1 내지 10중량부이다.
또한, 에멀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예컨대 암모니아수 등에 의해 예를 들어 pH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pH 7 내지 8로 조정된다.
또한, 점착제에는, 점도조정제, 필요에 따라 박리조정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노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등,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 첨가되는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점도조정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아크릴계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는, 그 고형분의 겔분율이 예컨대 5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이다. 겔분율이 상기한 값보다 낮으면, 이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점착형 광학 필름에 적용하여 고온 고습의 분위기 하에서 사용했을 때에, 발포나 박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겔분율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테플론 필름으로 피복하고, 이것을 아세트산에틸에 7일간 침지했을 때에, 다음 수학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겔분율(중량%)=(침지후의 테플론 필름에 부착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중량/침지전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중량)×100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 있어서, 하도층은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유기 금속 화합물은 예컨대 폴리머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금속 알콕사이드, 금속 킬레이트, 유기 금속염, 유기 금속 산화물 등이고, 금속의 종류에 따라 예컨대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 유기 타이타늄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지르코늄 알콕사이드, 지르코늄 킬레이 트, 지르코늄 아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타이타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타이타늄 알콕사이드, 타이타늄 킬레이트, 타이타늄 아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알루미늄 킬레이트, 알루미늄 아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기 금속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그의 금속 함유 비율이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가 되도록 유기 용제나 물 등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서는, 하도층은 바람직하게는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수지를 반응성 작용기로 변성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작용기로서는, 예컨대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옥사졸린기, 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옥사졸린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린기로서는, 예컨대 2-옥사졸린기, 3-옥사졸린기, 4-옥사졸린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옥사졸린기를 들 수 있다.
2-옥사졸린기는,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된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8
(화학식 5중,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아르알킬기, 페닐기 또는 치환 페닐기를 나타낸다.)
아미노기로서는, 예컨대 1급 아미노기, 2급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작용기로 변성된 수지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반응성 작용기가 옥사졸린기인 경우에는, 아크릴 골격 또는 스타이렌 골격으로 이루어진 주쇄를 포함하고, 그 주쇄의 측쇄에 옥사졸린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주쇄를 포함하고, 그 주쇄의 측쇄에 옥사졸린기를 갖고 있는 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으며, 예컨대 반응성 작용기가 아미노기인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그 밖에 아크릴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주쇄를 포함하고, 그 주쇄의 측쇄에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이민 쇄나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폴리알릴아민 쇄가 변성된, 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수지나 알릴아민 변성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09
(화학식 6중, x 및 y는 폴리에틸렌이민 쇄의 중합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0
(화학식 7중, z는 폴리알릴아민 쇄의 중합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지는 통상적으로 그 고형분의 배합 비율이 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중량%가 되도록 유기 용제나 물 등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조제된다.
이러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하도층이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반응성 작용기는 유기 금속 화합물과 반응하기 때문에, 하도층의 수지끼리가 가교되어 강인한 하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하도층의 수지와 점착제층의 아크릴계 점착제 사이도 가교되어,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 있어서,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점착 필름에 통상 사용되는 기재가 사용된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예컨대 폴리염화바이닐, 폴리스타이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류, 예컨대 크래프트지(紙) 등의 종이류, 예컨대 면포, 스테이플 화이버(staple fiber)천 등의 천류, 예컨대, 폴리에스터 부직포, 비닐론 부직포 등의 부직포류, 예컨대 금속박(箔)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재에 있어서, 하도층이 도공되는 표면에는 코로나 처리, UV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기재로서, 점착 필름을 광학 재료의 표면 보호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으로서는,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시야각 확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으로서는,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설치된 것이 사용된다.
편광자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콜계 필름, 부분 폼알화 폴리바이닐알콜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것이나, 폴리바이닐알콜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바이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바이닐알콜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편광자를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필름, 다이아세틸셀룰로스나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폴리머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필름, 폴리스타이렌이나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타이렌계 폴리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사이클로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필름, 염화바이닐계 폴리머 필름,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계 폴리머 필름, 이미드계 폴리머 필름, 설폰계 폴리머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머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필름,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폴리머 필름, 바이닐알콜계 폴리머 필름, 염화바이닐리덴계 폴리머 필름, 바이닐뷰티랄계 폴리머 필름, 알릴레이트계 폴리머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필름, 에폭시계 폴리머 필름, 또는 상기한 폴리머의 블렌드물의 필름 등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자외선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5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μm,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μm이다.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처리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아이소사이아네 이트계 접착제, 폴리바이닐알콜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바이닐계 접착제, 라텍스계 접착제, 수계 폴리에스터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한다.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고분자 소재를 1축 또는 2축 연신 처리하여 되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써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20 내지 150μm이다.
고분자 소재로서는,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콜, 폴리바이닐뷰티랄, 폴리메틸바이닐에테르,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알릴설폰, 폴리바이닐알콜,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바이닐, 셀룰로스계 중합체, 또는 이들의 2원계, 3원계 각종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소재는 연신 등에 의해 배향물(연신 필름)로 된다.
액정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액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공액성의 직선상 원자단(메소겐)이 폴리머의 주쇄나 측쇄에 도입된 주쇄형이나 측쇄형의 각종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주쇄형의 액정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굴곡성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부에 메소겐기를 결합한 구조이며, 구체적으로는 네마틱 배향성의 폴리에스터계 액정성 폴리머, 디스코틱 폴리머나 콜레스테릭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측쇄형의 액정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실록세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 트 또는 폴리말로네이트를 주쇄 골격으로 하고, 측쇄로서 공액성의 원자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을 통해서 네마틱 배향 부여성의 파라 치환 환상 화합물 단위로 이루어지는 메소겐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정성 폴리머는 예컨대 유리판 상에 형성한 폴리이미드나 폴리바이닐알콜 등의 박막의 표면을 러빙(rubbing) 처리한 것, 산화규소를 사방증착(斜方蒸着)한 것 등의 배향처리면 상에 액정성 폴리머의 용액을 전개하여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예컨대 각종 파장 필름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야각 등의 확대를 목적으로 한 것, 그 외 사용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위상차를 갖는 것이면 되고, 2종 이상의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좋다.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 등,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고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 등, 좌회 또는 우회 중 어느 한쪽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시야각 확대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화면에 수직이 아닌 약간 기울어진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필름이며, 예컨대 위상차 필름,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 필름이나 투명 기재 상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층을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시야각 확대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에는, 면방향에 2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나, 면방향으로 1축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나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이하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의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기재(1)를 준비한다.
기재(1)의 두께는 예컨대 10 내지 1000μ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μm이다.
그리고, 이 기재(1)의 한 면에 하도층(2)을 적층한다.
하도층(2)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기재(1)에, 상기한 유기 금속 화합물과 필요에 따라 수지를 포함하는 하도액(용액 또는 분산액)을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의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직접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하도층(2)의 두께는, 건조 전의 두께가 예컨대 1 내지 500μ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μm이고, 건조 후의 두께가 예컨대 1 내지 1000n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nm,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nm로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한 두께의 범위 내이면, 점착 필름 및 피착체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기재(1)의 한 면에 하도층(2)을 통해서 점착제층(3)을 설치한다.
점착제층(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상기한 하도층(2)에, 점착제층(3)이 형성된 이형 필름으로부터 점착제층(3)을 전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형 필름으로서는,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 필름, 고무 필름, 천, 부직포, 네트, 발포 필름이나 금속박, 또한 이들의 적층 필름체(적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형 필름의 표면에는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이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처리가 되어 있더라도 좋다.
점착제층(3)이 형성된 이형 필름은, 이형 필름에 롤, 그라비어, 바, 나이프, 콤마, 다이 등의 코터에 의해 아크릴계 점착제를 직접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3)을 전사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3)이 형성된 이형 필름을 하도층(2)이 설치된 기재(1)에 하도층(2)과 점착제층(3)이 접촉하도록 접합한 후, 점착제층(3)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한다.
또한, 점착제층(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상기한 하도층(2)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롤, 그라비어, 바, 나이프, 콤마, 다이 등의 코터에 의해 직접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3)의 두께(건조후 두께)는 예컨대 1 내지 100μ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μ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μm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기재(1), 기재(1)의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3), 및 기재(1)와 점착제층(3) 사이에 개재되는 하도층(2)을 구비하고 있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기재(1) 및 점착제층(3) 사이에 개재되고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층(2)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대전되기 어렵고, 더구나 기재(1)와 점착제층(3)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점착 필름은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재(1)와 점착제층(3)의 밀착력이 높은 점착 필름으로서, 전기·전자, 반도체, 광학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상기한 점착 필름 외에 예컨대 점착 시트, 점착 테이프 등으로서도 사용된다. 이 점착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기재(1)로서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 하도층(2) 및 점착제층(3)은 기재(1)의 한 면에 설치되지만, 기재(1)의 양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기재,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는 대전방지층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서,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이 점착제 조성물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이고, 원료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 4 내지 18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임의적으로 상기한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함유하고, 원료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가 60 내지 99중량부이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총량이 1 내지 40중량부이며, 원료 모노머 중, 카복실기농도가 0.05 내지 1.50밀리몰/g이며, 또한 인산기 농도가 0.01 내지 0.45밀리몰/g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1
(화학식 1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X는 인산기 또는 그의 염을 나타낸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주성분으로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와 같은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들 수 있고,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60 내지 99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중량부이다.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분자내에 카복실기를 갖는 바이닐 모노머이면 되고,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이외의 성분으로서의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와 같은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를 들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이외에 예컨대 β-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ω-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복시알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카복실기 농도는 원료 모노머 중에서 예컨대 0.05 내지 1.50밀리몰/g,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90밀리몰/g이다.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카복실기 농도를 상기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분자량에도 의하지만,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배합 비율을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4 내지 4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5중량부로 설정한다. 상기한 범위보다 적으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상기한 범위보다 많으면, 유화 중합시의 안정성 및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내수성이 저하된다.
한편,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카복실기 농도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다.
카복실기 농도[밀리몰/g]= 1000×{(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배합 중량[g])/(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분자량[g/몰])}/(원료 모노머 총중량[g])
한편, 상기 식에서, 원료 모노머 총중량은 물이나 후술하는 개시제, 유화제, 연쇄이동제, 가교제, 점도조정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중량이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메트)아크릴레이트 인산 에스터이고,
화학식 1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2
(화학식 1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X는 인산기 또는 그의 염을 나타낸다.)
R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로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기(화학식 2중, n=2에 상당), 폴리옥시프로필렌기(화학식 2중, n=3에 상당) 및 이들의 랜덤, 블록 또는 그래프트 유닛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옥시알킬렌기의 중합도, 즉 화학식 2중 m은 바람직하게는 4 이상, 통상 40 이하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3
(화학식 2중, n은 1 내지 4의 정수, m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옥시알킬렌기의 중합도가 높으면, 그 인산기를 갖는 측쇄의 운동성이 높아 유리와 신속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기판에의 접착성이 향상한다.
또한, X로 표시되는 인산기 또는 그의 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양이온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예컨 대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카리 토금속 등의 무기 양이온, 예컨대 4급 아민류 등의 유기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4
(화학식 3중,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양이온을 나타낸다.)
또한,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Sipomer PAM-100(로디아 일화(주)제), Phosmer PE(유니케미컬(주)제), Phosmer PEH(유니케미컬(주)제), Phosmer PEDM(유니케미컬(주)제) 등의 모노[폴리(에틸렌옥사이드메타크릴레이트]인산 에스터, 예컨대 Sipomer PAM-200(로디아 일화(주)제), Phosmer PP(유니케미컬(주)제), Phosmer PPH(유니케미컬(주)제), Phosmer PPDM(유니케미컬(주)제) 등의 모노[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메타크릴레이트]인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인산기 농도는 원료 모노머중에서 예컨대 0.01 내지 0.45밀리몰/g,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20밀리몰/g이다.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인산기 농도를 상기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분자량에도 의하지만,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배합 비율을 원료 모노 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4 내지 2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중량부로 설정한다. 상기한 범위보다 적으면, 유리 기판에의 접착력 향상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상기한 범위보다 많으면, 유화 중합시의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탄성율이 높아지는 것에 의해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인산기 농도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다.
인산기 농도[밀리몰/g]=1000×{(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배합 중량[g])/(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의 분자량[g/몰])}/(원료 모노머 총중량[g])
한편, 상기 식에서, 원료 모노머 총중량은 물이나 개시제, 유화제, 연쇄이동제, 가교제, 점도조정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중량이다.
상기한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카복실산 이외의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이외의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이외의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와 같은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이외의 반응성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고, 추가로 상기 이외에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메트)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글라이콜계 아크릴 에스터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작용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다작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다작용성 모노머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이외의 성분으로서의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다작용성 모노머와 같은 다작용성 모노머를 들 수 있고, 추가로 상기 이외에 예컨대 (모노 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나, 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외에,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이외의 성분으로서의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와 같은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추가로 또,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나, 실리콘계 바이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실리콘계 바이닐 모노머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이외의 성분으로서의 공중합성 모노머로서의 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실리콘계 바이닐 모노머와 같은 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실리콘계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중, 바람직하게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폴리머쇄에 알콕시실릴기가 도입되어, 그들끼리의 반응에 의해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후술하는 가교제로는 불균일한 가교 구조로 되기 때문에, 단말(端末) 박리가 일어나기 쉽게 된다. 그러나,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이용하면, 균일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판에의 접착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알콕시실릴기가 유리 기판과 상호작용하여 유리 기판과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는 필요에 의해 임의적으로 배합되고, 그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39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9중량부 이하이다. 또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가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인 경우에는, 그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01 내지 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중량부이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가 상기한 범위보다 적으면, 알콕시실릴기에 의한 가교가 부족하게 되어, 점착제의 응집력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수분산형 접착제 조성물과 유리 기판과의 접착성의 향상이 얻어지지 않고, 상기한 범위보다 많으면, 유화 중합시의 안정성 저하나 접착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한 원료 모노머중, 상기한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총량은, 그 배합 비율이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 내지 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부이다.
그리고,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원료 모노머를 예컨대 유화 중합 등의 중합 방법에 의해 공중합한다.
유화 중합은 상기와 같은 유화 중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반응 조건 등은 적절히 선택되지만, 중합 온도는 예컨대 20 내지 90℃이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와 같은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들 중합 개시제중 아조계 개시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의 배합 비율은 적절히 선택되지만,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05 내지 1중량부이다.
한편, 상기한 원료 모노머에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기 전, 또는 배합하면서, 질소 치환에 의해서 모노머 용액중의 용존 산소 농도를 저감할 수도 있다.
유화제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비닐 모노머 혼합물의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와 같은 유화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적절하게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또한, 유화제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2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이다.
연쇄이동제는 필요에 따라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유화 중합에 통상 사용되는 연쇄이동제가 사용된다. 연쇄이동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의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연쇄이동제와 같은 연쇄이동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연쇄이동제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또한, 연쇄이동제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01 내지 0.5중량부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화 중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에멀션(수분산액)으로서 조제할 수 있다.
한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예컨대, 상기한 원료 모노머를, 유화 중합이외의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않는 방법에 의해서 중합한 후에, 상기한 유화제에 의해 물에 분산되도록 하여 조제할 수도 있다.
또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목적 및 용도에 따라, 필요에 응하여 가교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배합되는 가교제와 같은 가교제를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가교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용성 또는 수용성의 가교제가 사용된다. 이들 가교제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되고, 그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1 내지 10중량부이다.
또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에멀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예 컨대 암모니아수 등에 의해 예컨대 pH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pH 7 내지 8로 조정된다.
또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도조정제, 필요에 따라 박리조정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노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등,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통상 첨가되는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점도조정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첨가되는 점도조정제와 같은 점도조정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제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고형분)의 겔분율은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이다. 겔분율이 상기한 값보다 낮으면,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가 광학 필름인 점착 필름(즉, 점착형 광학 필름)에 적용하여 고온고습의 분위기 하에서 사용했을 때에, 발포나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겔분율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겔분율을 산출하기 위한 식과 같은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서, 대전방지층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수용성 도전 재료는, 수용성을 나타내는 도전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 고, 물 100g에 대한 용해도가 예컨대 5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g이다. 물 100g에 대한 용해도가 5g 미만인 경우에는, 공업적으로 도막을 형성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수분산성 도전 재료는, 수중에 분산될 수 있는 미립자상의 도전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크기)이 대전방지층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예컨대 1μm 이하이다. 한편, 수분산성 도전 재료는 그의 수분산액(후술하는 도포액에 상당함)의 액점도가 작아,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박막 도공)이 용이하고, 또한 대전방지층에 있어서의 수분산성 도전 재료의 균일성이 우수하다.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로서는, 예컨대 도전 폴리머, 유기 금속 화합물, 금속 산화물, 카본 나노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도전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아닐린, 폴리싸이오펜, 폴리피롤, 폴리퀴녹살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도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싸이오펜을 들 수 있다.
폴리아닐린은 GPC 측정에 의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예컨대 5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하이다. 폴리싸이오펜은 GPC 측정에 의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예컨대 4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하이다.
상기한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싸이오펜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한 값을 넘는 경우에는,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싸이오펜은 상기한 수용성 및 수분산성 중 어느 성질도 나타내지 않게 되고, 또한 이러한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싸이오펜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조제한 경우에는, 도포액 중에서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싸이오펜은 그 고형분이 일부 잔존하거나, 또는 그 일부가 고점도화하여, 막 두께가 균일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싸이오펜은 바람직하게는 그 분자 내에 친수성 작용기를 갖고 있다.
친수성 작용기로서는, 예컨대 설포기, 아미노기, 아마이드기, 이미노기, 4급 암모늄염기, 하이드록실기, 머캅토기, 하이드라지노기, 카복실기, 황산 에스터기(-O-SO3H), 인산에스터기(-O-PO(OH)2), 또는 이들의 염(4급 암모늄염기 제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 작용기를 분자 내에 갖는 것에 의해, 물에 용해하기 쉽거나, 또는 분산되기 쉽게 되어,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싸이오펜의 도포액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수용성 도전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아닐린설폰산(미쓰비시레이온(주)) 등을 들 수 있고, 수분산성 도전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나가세켐텍(주)제, 상품명「데나트론」(데나트론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도전 폴리머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또한, 도전 폴리머에는 예컨대 도핑제, 가교제, 라디칼개시제, 가교반응형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도핑제는 도펀트로서 기능하여 도전 폴리머에 도전성을 보다 확실히 부여(도핑)하는 것으로, 예컨대 설폰산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설폰산계 화합물은 수용성이고, 예컨대 p-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에틸벤젠설폰산, 옥틸벤젠설폰산, 도데실벤젠설폰산, 메시틸렌설폰산, m-자일렌설폰산, 폴리스타이렌설폰산, 폴리바이닐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전 폴리머의 용해성이나 수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스타이렌설폰산이나 폴리바이닐설폰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설폰산계 화합물은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도핑제를 첨가함으로써 도전 폴리머와 설폰산 화합물이 일부 반응하여 설폰산염을 형성하고, 이 설폰산염의 작용에 의해 대전방지층의 대전 방지 기능이 향상한다고 추측된다.
도핑제의 배합 비율은 도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00 내지 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중량부이다. 도핑제의 배합 비율이 100중량부 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전 폴리머와 설폰산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하는 설폰산염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대전 방지 기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핑제의 배합 비율이 300중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한 배합 비율보다 도핑제를 많게 하는 것에 의한 대전 방지 기능의 향상을 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멜라민계 가교제, 폴리카보다 이이미드계 가교제, 폴리옥사졸리딘계 가교제, 폴리에폭시계 가교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멜라민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도전 폴리머가 가교되어 경화하기 때문에, 내수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가교제의 배합 비율은 도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부이다.
라디칼 개시제는 열, 광(예컨대, 자외선(UV: ultraviolet rays), 전자선(EB: electron beam) 등)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화합물이고, 예컨대, 상기한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과산화물계 개시제(벤조일퍼옥사이드 등, 황산염계 개시제(과황산칼륨 등), 아조계 개시제(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라디칼 개시제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라디칼 개시제를 첨가함으로써 발생한 라디칼에 의해서 도전 폴리머의 수소 원자가 뽑히고 도전 폴리머 상에 라디칼이 발생한다. 이어서, 이들 라디칼끼리가 반응하여 가교되어 경화하기 때문에, 내수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의 배합 비율은 도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3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중량부이다.
가교반응형 화합물은 바인더 성분이고, 가교 반응 전에는 물에 가용성인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이며, 가교 반응 후에는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여 물에 불용성인 화합물이다. 예컨대, 2액 반응형 에폭시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2액 반응형 에폭시 수지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져, 이들 양쪽을 배합함으로써 불가역형으로 가교 반응하여 3차원의 폴리머 망상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주제는 수용성 다작용 에폭시 수지이고, 이러한 수용성 다작용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컨대 트라이글라이시딜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소르비톨 폴리글라이시딜 에테르, (폴리)글라이세롤 폴리글라이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 에테르 등의 지방족 글라이시딜 에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폴리글라이시딜 에테르 등의 지환족 글라이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제는 수용성 경화제이고, 이러한 수용성의 경화제로서는 예컨대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폴리아마이드아민 등의 지방족 다가 아민류, 예컨대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예컨대 벤질다이메틸아민 등의 3급 아민류, 예컨대 프탈산 무수물, 메틸하이믹산 무수물(예컨대 3-메틸-1,2,3,6-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4-메틸-1,2,3,6-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등) 등의 산 무수물류, 예컨대 삼불화붕소 등의 루이스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요소 수지는, 요소와 포름알데하이드를 부가 반응시킨 초기 프리폴리 머(prepolymer)(모노메틸올 요소)를 탈수 축합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요소 수지의 초기 프리폴리머는 페놀류나 벤조구아나민 등으로 변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멜라민 수지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하이드를 부가 반응시킨 초기 프리폴리머(메틸올멜라민 및 다이메틸올멜라민)를 탈수 축합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멜라민 수지의 초기 프리폴리머는 페놀류나 벤조구아나민 등으로 변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한 요소 수지의 초기 프리폴리머 및 멜라민 수지의 초기 프리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유라민 시리즈(미쓰이화학(주)제), 니카락 시리즈(산와케미컬(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반응형 화합물은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가교반응형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여 경화하기 때문에, 광학 특성이나 대전 방지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내수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가교반응형 화합물의 배합 비율은 도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0 내지 2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중량부이다.
유기 금속 화합물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하도층이 포함하는 유기 금속 화합물과 같은 유기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 유기 금속 화합물은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산화주석계, 산화안티몬계, 산화인듐계, 산화아 연계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산화주석계를 들 수 있다.
산화주석계로서는, 예컨대 산화주석, 또한 산화주석 이외에, 예컨대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인듐 도핑 산화주석, 알루미늄 도핑 산화주석, 텅스텐 도핑 산화주석, 산화타이타늄-산화세륨-산화주석의 복합체, 산화타이타늄-산화주석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그 형상이 예컨대 입자상 또는 침상이고, 그 최대 길이(입자상의 경우, 평균 입경)가 예컨대 1 내지 100n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nm이다.
이들 금속 산화물은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카본 나노 재료로서는, 예컨대,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혼, 카본 나노월, 풀러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본 나노튜브를 들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는 일반적으로 중공 섬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탄소 섬유이고, 그 직경이 예컨대 0.5nm 내지 5μm, 바람직하게는 0.5nm 내지 1μm, 그 최대 길이가 예컨대 10nm 내지 1000μm,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μm이다.
이들 카본 나노재료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이들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중, 바람직하게는 도전 폴리머, 유기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서, 대전방지층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 또는 폴리아민계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는 예컨대 아크릴 골격 또는 스타이렌 골격으로 이루 어진 주쇄를 포함하고, 그 주쇄의 측쇄에 옥사졸린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골격으로 이루어진 주쇄를 포함하고, 그 주쇄의 측쇄에 옥사졸린기를 갖고 있는 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옥사졸린기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하도층이 포함하는 수지를 변성하는 반응성 작용기로서의 옥사졸린기와 같은 옥사졸린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옥사졸린기를 들 수 있다.
2-옥사졸린기는,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된다.
화학식 5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5
(화학식 5중, R11, R12, R13,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아르알킬기, 페닐기 또는 치환 페닐기를 나타낸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는 그의 수평균 분자량이 예컨대 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며, 통상 1000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보다 낮으면, 대전방지층의 강도가 부족하게 되어 응집 파괴를 일으켜, 투묘력(投錨力; keying strength)을 향상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0보다 높으면 작업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는 그의 옥사졸린가가 예컨대 1500g solid/eq.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0g solid/eq. 이하이다. 옥사졸린가가 1500g solid/eq.보다 크면, 분자 중에 포함되는 옥사졸린기의 양이 적어져, 투묘력을 향상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는, 옥사졸린기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이 포함하고 있는 작용기(카복실기나 하이드록실기 등) 등과 비교적 저온에서 반응하기 때문에,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를 대전방지층에 포함시키면 점착제층 중의 작용기 등과 반응하여 강고하게 밀착할 수 있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시판품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에포크로스 WS-500(수용액 타입, 고형분 40%, 주쇄: 아크릴계, pH 7 내지 9, 옥사졸린가 22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크로스 WS-700(수용액 타입, 고형분 25%, 주쇄: 아크릴계, pH 7 내지 9, 옥사졸린가 22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등의 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 폴리머, 예컨대 에포크로스 K-1000 시리즈(에멀션 타입, 고형분 40%, 주쇄: 스타이렌/아크릴계, 옥사졸린가1100g solid/eq., pH 7 내지 9,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크로스 K-2000 시리즈(에멀션 타입, 고형분 40%, 주쇄: 스타이렌/아크릴계, pH 7 내지 9, 옥사졸린가 55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등의 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스타이렌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밀착력을 향상하는 관점에서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에멀션 타입보다도 수용액 타입이 바람직하다.
이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화상 표시 장치에 광학 필름 등의 기재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접착한 후, 필요에 따라 위치 조정을 위해 일단 박 리하고, 재접착(리워크(rework))할 경우, 이러한 점착제에서는 박리시에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점착제가 남아 버려(이하, 「점착제 잔존 」이라고 함), 리워크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불량이 있다.
그러나, 대전방지층이 상기한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으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의 친화성이 양호하고, 광학 필름과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밀착력을 높여, 높은 내가열성을 갖는 점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리워크성이 양호하며, 높은 내가열성을 갖는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점착형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에 있어서,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석신산, 아디프산, 프탈산 등의 다이카복실산 화합물, 예컨대 시트르산 등의 트라이카복실산 화합물 등의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포화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불포화 화합물의 중합체(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 예컨대 이들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및 말레산의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및 말레산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말레산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및 말레산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그의 수평균 분자량(GPC 측정, 표준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환산)이 예컨대 1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200000이 다.
또한,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갖는 카복실기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양이온과의 염을 형성하고 있더라도 좋다.
양이온으로서는, 예컨대 칼륨 이온, 나트륨 이온 등의 무기 양이온, 예컨대 암모늄이온이나, 1급 아민, 2급 아민 또는 3급 아민의 양이온 등의 유기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일반 시판품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포이즈 532A(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암모늄염, 수평균 분자량 약 10000, 카오(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대전방지층으로서 수용성의 재료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대전방지층의 두께가 두텁게 되면, 고습 분위기하에서 사용했을 때에 대전방지층의 강도가 저하되어, 층간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대전방지층이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면,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의 옥사졸린기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카복실기가 반응함으로써 대전방지층이 가교되어, 보다 강고한 대전방지층이 됨으로써 내가열성이나 내습열성이 높아져, 밀착력이 높아진다고 추측된다.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배합 비율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혼합물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중량부이다.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1중량부보다 적으면, 대전방지층을 가교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30중량부보다 많으면, 대전방지층이 백탁(白濁)되어, 광학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아민계 폴리머는 분자내에 복수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이고,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그 밖에 아크릴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주쇄를 포함하고, 그 주쇄의 측쇄에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이민쇄나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폴리알릴아민쇄가 변성된 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나 알릴아민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6
(화학식 6중, x 및 y는 폴리에틸렌이민쇄의 중합도를 나타낸다.)
화학식 7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7
(화학식 7중, z는 폴리알릴아민쇄의 중합도를 나타낸다.)
폴리아민계 폴리머는 그의 수평균 분자량이 예컨대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00 이상이며, 보통 1000000 이하이다. 수평균 분자량이 200보다 작으면, 대전방지층의 강도가 부족하게 되어 응집 파괴를 일으켜 투묘력을 향상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0보다 크면 작업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아민계 폴리머는 그의 아민 수소 당량이 예컨대 1500g solid/eq.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0g solid/eq. 이하이다. 아민 수소 당량이 1500g solid/eq.보다 크면, 분자 중에 포함되는 아미노기의 양이 적어져 투묘력을 향상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폴리아민계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일반의 시판품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에포민 SP-003(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47.6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민 SP-006(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50.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민 SP-012(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52.6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민 SP-018(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52.6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민 SP-103(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52.6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민 SP-110(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55.6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민 SP-200(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55.6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에포민 P-1000(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52.6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등의 폴리에틸렌이민, 예컨대 폴리멘트 SK-1000(에멀션 타입, 아민 수소 당량 65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폴리멘트 NK-350(용제 타입, 아민 수소 당량 110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폴리멘트 NK-380(용제 타입, 아민 수소 당량 110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폴리멘트 NK-100PM(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350 내지 45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폴리멘트 NK-200PM(수용성 타입, 아민 수소 당량 350 내지 450g solid/eq., (주)니혼쇼쿠바이제) 등의 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민계 폴리머는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대전방지층은 상기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 또는 폴리아민계 폴리머 등의 성분 외에, 추가로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바인더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의 박막 도공성, 광학 필름 등의 기재에의 밀착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한 각 성분과 임의적으로 병용되는 것이고, 예컨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바이닐알콜계 수지, 폴리바이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 수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저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바인더는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상기한 각 성분(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 폴리아민계 폴리머, 바인더)은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고, 각 성분의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조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필름의 변질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각 성분이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이하, 이들을 단지 「도포액」이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으로서 조제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 각 성분이 수분산되어 있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의 도포액, 수분산성 도전 재료 및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의 도포액, 수분산성 도전 재료 및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의 도포액, 또는 분산성 도전 재료 및 폴리아민계 폴리머의 도포액으로서 조제되어 있다.
이러한 도포액에서는 비수계인 유기 용제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유기 용제에 의한 기재(광학 필름 등)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액에 있어서, 물 외에 추가로 수계 용매로서 알콜류를 함유시킬 수 있다.
알콜류로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n-뷰탄올, 아이소뷰탄올, sec-뷰탄올, tert-뷰탄올, n-아밀 알콜, 아이소아밀 알콜, sec-아밀 알콜, tert-아밀 알콜, 1-에틸-1-프로판올, 2-에틸-1-뷰탄올, n-헥산올, 사이클로헥산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도포액에 있어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의 배합 비율은 예컨대 0.0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이다. 특히,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가 유기 금속 화합물인 경우에는, 유기 금속 화합물의 배합 비율은 예컨대 0.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이다. 유기 금속 화합물의 배합 비율을 상기한 범위로 하면, 유기 금속 화합물의 조성에도 의하지만, 도포액에 있어서의 유기 금속 화합물의 금속 함유 비율이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가 된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의 배합 비율은, 도포액에 있어서 예컨대 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이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의 배합 비율은, 도포액에 있어서 예컨대 0.01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중량%이다. 폴리아민계 폴리머의 배합 비율은, 도포액에 있어서 예컨대 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이다.
바인더의 배합 비율은, 도포액에 있어서 예컨대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중량%이다.
상기한 도포액은 후술하는 도포 및 건조에 의해 대전방지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대전방지층에 있어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의 배합 비율은 상기한 각 성분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0 내지 100중량 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중량부이다.
또한,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의 배합 비율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0 내지 5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중량부이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의 배합 비율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20 내지 8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중량부이다. 폴리아민계 폴리머의 배합 비율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0 내지 5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중량부이다.
바인더의 배합 비율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5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 있어서,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광학 필름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광학 필름으로서는 광학 특성을 갖고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접착되는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기재와 같은 기재를 들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의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기재(1)를 준비하고 이 기재(1)의 한 면에 대전방지층(4)을 적층한다.
기재(1)의 두께는 예컨대 10 내지 1000μ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μm이다.
대전방지층(4)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기재(1)에 상기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기재(1)에 하도액을 도포하는 방법과 같은 도포 방법에 의해 직접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전방지층(4)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층(3)과의 접착력(투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전방지층(4)의 두께는, 건조 전의 두께가 예컨대 1 내지 500μ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μm이고, 건조 후의 두께가 예컨대 1 내지 1000n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nm,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nm가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한 두께의 범위 내이면 점착 필름 및 피착체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대전방지층(4)은 기재(1)에 설치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의 표면 저항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1012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1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10Ω/□ 이하이다. 표면 저항이 1×1012Ω/□를 넘는 경우에는, 대전 방지 기능이 충분하지 않고,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대전하여, 이 정전기에 의해서 화상 표시 장치의 회로가 파괴되거나,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이 흐트러지거나 하는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기재(1)의 한 면에 대전방지층(4)을 통해서 점착제층(3)을 설치한 다.
점착제층(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상기한 대전방지층(4)에 점착제층(3)이 형성된 이형 필름으로부터 점착제층(3)을 전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형 필름으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3)을 하도층(2)에 전사하기 위한 이형 필름과 같은 이형 필름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3)이 형성된 이형 필름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3)을, 이형 필름상에 형성하기 위한 코터와 같은 코터에 의해 이형 필름에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3)을 전사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3)이 형성된 이형 필름을 대전방지층(4)이 설치된 기재(1)에 대전방지층(4)과 점착제층(3)이 접촉하도록 접합한 후, 점착제층(3)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한다.
또한, 점착제층(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하도층(2)에 직접 도포하기 위한 코터와 같은 코터에 의해 상기한 대전방지층(4)에 직접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3)의 두께(건조후 두께)는,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μ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μm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기재(1), 기재(1)의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3), 및 기재(1)와 점착제층(3) 사이에 개재되는 대전방지층(4)을 구비하고 있는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시야각 확대 필름 등의 점착 필름 등으로서 각종 산업 용도에 사용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기재(1)와 점착제층(3) 사이에 개재되고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층(4)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대전되기 어렵고, 더욱이 기재(1)와 점착제층(3)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점착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재(1)와 점착제층(3)의 밀착력이 높은 점착 필름으로서 전기·전자, 반도체, 광학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상기한 점착 필름 외에, 예컨대 점착 시트, 점착 테이프 등으로서도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점착 필름은 기재(1)로서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을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하면, 화상 표시 장치의 유리 기판과의 접착력이 높아, 강고한 접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높은 내가열성이나 내습열성을 갖기 때문에, 이 점착 필름을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하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전기발광 장치(유기 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유리 기판의 표면에 접착하면, 고온 분위기하 및 고온고습 분위기하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는 높은 내가열성이나 내습열성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 대전방지층(4) 및 점착제층(3)은 기재(1)의 한 면에 설치되지만, 기재(1)의 양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피착체에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로진계 수지, 엘라스토머 등의 점착 부여 수지 등을 첨가하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에 사용되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수분산형이면서, 그와 같은 점착 부여 수지를 첨가하지 않고 밀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밀착성이 높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추고 있는 점착 필름, 및 이러한 점착 필름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하등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 및 「%」는 특별히 명기가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합성예 1
아크릴계 점착제의 조제
용기에, 아크릴산 뷰틸 100부, 아크릴산 5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KBM-503, 신에쓰화학(주)제) 0.015부를 가하고 혼합하여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을 조제했다. 이어서, 조제한 바이닐 모노머 혼합물 627g에 반응성 유화제로서 아크알론 HS-10(다이이치공업제약(주)제) 13g, 이온 교환수 360g을 가하고, 균질화기(특수기화(주)제)를 이용하여 5분간 6000(1/min)에서 교반하여 강제 유화시켜 모노머 프리에멀션을 조제했다. 이어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갖춘 반응 용기에 상기에서 조제한 모노머 프리에멀션 중 200g, 이온 교환수 330g을 투입하고, 이어서 반응 용기를 질소 치환하고, 2,2'-아조비스[N-(2-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수화물(VA-057, 와코쥰야쿠공업(주)제) 0.2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60℃에서 1시간 중합했다. 이어서, 나머지 모노머 프리에멀션 중 800g을,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한 채로 반응 용기에 3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중합시켜 고형분 48%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에멀션을 수득했다. 다음으로,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10%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했다.
점착제층의 형성
조제한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형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 다이아호일 MRF38, 미쓰비시화학폴리에스터(주)제)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1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후 열풍순환식 오븐에 의해 100℃로 2분간 가열처리하여 이형 필름 상에 직접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광학 필름의 조제
폴리바이닐알콜 필름(두께 80μm)을 40℃의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전체 길이의 5배로 연신하고, 그 후 폴리바이닐알콜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으로부터 끌어 올리고 50℃에서 4분간 건조시켜 편광자를 수득했다. 이 편광자의 양측에 폴리바이닐알콜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을 접착하여 광학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1
하도층의 형성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ZrO2 함유 비율이 2%(Zr 함유 비율, 1.48%)가 되도록 물/에탄올(중량비 1:1) 혼합 용액으로 희석하여 하도액을 조제했다. 이 하도액을 와이어바 #5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4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했다.
점착 필름의 제작
광학 필름의 하도층을 형성한 면에, 하도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도록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5%(Zr 함유 비율, 3.7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오르가틱스 ZB-12 0(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에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5%(Zr 함유 비율, 3.7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5
실시예 3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10%(Zr 함유 비율, 7.4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5%(Zr 함유 비율, 3.7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6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10%(Zr 함유 비율, 7.4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6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오르가틱스 TC-310(티타늄 락테이트, (OH)2Ti(C3H5O2)2, Ti 함유 비율 8%,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으로 변경하고, 하도액의 Ti 함유 비율을 2%가 되도록 조제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Ti 함유 비율 2%를 Ti 함유 비율 5%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9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1
실시예 9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Ti 함유 비율 2%를 Ti 함유 비율 7%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9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1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오르가틱스 TC-400((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트라이에탄올아미네이트), (C3H7O)2 Ti(C6H14O3N)2, Ti 함유 비율 8%,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으로 변경하고 하도액의 Ti 함유 비율을 2%가 되도록 조제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하도액의 Ti 함유 비율 2%를 Ti 함유 비율 5%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2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4
하도층의 형성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ZrO2 함유 비율이 2%(Zr 함유 비율, 1.48%)로 되도록, 또한 폴리멘트 SK-1000(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수지, 고형분 38%, (주)니혼쇼쿠바이제)의 고형분이 2%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하도액을 조제했다. 이 하도액을 와이어바 #5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4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했다.
점착 필름의 제작
광학 필름의 하도층을 형성한 면에, 하도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도록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5%(Zr 함유 비율, 3.7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4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10%(Zr 함유 비율, 7.4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4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7
실시예 14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4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8
실시예 17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ZrO2 함유 비율 2%(Zr 함유 비율, 1.48%)를 ZrO2 함유 비율 5%(Zr 함유 비율, 3.7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7과 같 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19
실시예 14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베이코트 20(탄산지르코늄암모늄, (NH4)2[Zr(CO3)2(OH)2], ZrO2 함유 비율 20%, 일본경금속(주)제)을 오르가틱스 TC-400((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트라이에탄올아미네이트), (C3H7O)2 Ti(C6H14O3N)2, Ti 함유 비율 8%,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으로 변경하고 하도액의 Ti 함유 비율을 2%가 되도록 조제한 이외는 실시예 14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0
실시예 19의 하도층의 형성에 있어서, Ti 함유 비율 2%를 Ti 함유 비율 5%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9와 같이 하여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1
하도층의 형성
오르가틱스 ZB-120(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을 ZrO2 함유 비율이 5%가 되도록, 또한 본코트 5030(아크릴/우레탄하이브리드 에멀션, 고형분 50%, 다이니폰잉크(주)제)의 고형분이 2%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하도액을 조제했다. 이 하도액을, 와이어바 #5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 의 한 면에 도포하고 4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했다.
점착 필름의 제작
광학 필름의 하도층을 형성한 면에, 하도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도록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2
하도층의 형성
오르가틱스 TC-310(타이타늄 락테이트, (OH)2Ti(C3H5O2)2, Ti 함유 비율 8%,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을 Ti 함유 비율이 5%가 되도록, 또한 본코트 5030(아크릴/우레탄하이브리드 에멀션, 고형분 50%, 다이니폰잉크(주)제)의 고형분이 2%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하도액을 조제했다. 이 하도액을 와이어바 #5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4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했다.
점착 필름의 제작
광학 필름의 하도층을 형성한 면에, 하도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도록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3
실시예 4의 점착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루미러 S-10 #50, 도오레(주)제)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4와 같이 하여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4
실시예 17의 점착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루미러 S-10 #50, 도오레(주)제)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7과 같이 하여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5
실시예 21의 점착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루미러 S-10 #50, 도오레(주)제)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1과 같이 하여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6
실시예 22의 점착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루미러 S-10 #50, 도오레(주)제)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2와 같이 하여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7
하도층의 형성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를 ZrO2 함유 비율이 2%(Zr 함유 비율, 1.48%)로 되도록, 또한 에포크로스 WS-700(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수지, 고형분 25%, (주)니혼쇼쿠바이제))의 고형분이 2%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하도액을 조제했다. 이 하도액을 와이어바 #5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4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했다.
점착 필름의 제작
광학 필름의 하도층을 형성한 면에, 하도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도록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8
하도층의 형성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를 ZrO2 함유 비율이 2%(Zr 함유 비율, 1.48%)가 되도록, 또한 폴리멘트 SK-1000(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수지, 고형분 38%, (주)니혼쇼쿠바이제)의 고형분이 1.9%가 되도록, 또한 에포크로스 WS-700(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 수지, 고형분 25%, (주)니혼쇼쿠바이제))의 고형분이 0.1%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하도액을 조제했다. 이 하도액을 와이어바 #5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4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했다.
점착 필름의 제작
광학 필름의 하도층을 형성한 면에, 하도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도록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1
상기 광학 필름의 한 면에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루미러 S-10 #50, 도오레(주)제)의 한 면에 합성예 1의 이형 필름을 포개어 점착 필름을 제작했다.
평가
1) 광학 필름의 표면 저항
실시예 1 내지 28, 비교예 1 및 2에 있어서, 저항률계(Hiresta-Up MCP-HT450, (주)다이아인스트루멘트제)에 의해 USR 프로브를 이용하여 인가 전압 500V에서 광학 필름의 하도층을 형성한 면의 표면 저항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2)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
실시예 1 내지 28, 비교예 1 및 2에 있어서, 점착 필름의 이형 필름을 박리했다. 이어서, 저항률계(Hiresta-Up MCP-HT450, (주)다이아인스트루멘트제)에 의해 USR 프로브를 이용하여 인가 전압 500V에서 박리한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3) 기재와 점착제층의 초기 밀착력
실시예 1 내지 28, 비교예 1 및 2의 점착 필름을 25×12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이것을 샘플로 했다. 이 샘플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샘플의 점착면에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을 접착하고, 이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 상에 점착 테이프(No.31B, 닛토덴코(주)제)를 접착하여 보강한 후, 24시간 이상, 23℃, 60% RH의 분위기 하에서 방치했다. 그 후, 방치후의 점착 필름의 배면(점착 필름의 광학 필름측의 면)에, SUS304 강판을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인장 시험기에 의 해 180° 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과 샘플의 계면에서 박리하여, 점착제층이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측에 부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 박리 응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4) 기재와 점착제층의 경시(經時) 밀착력
실시예 1 내지 28, 비교예 1 및 2의 점착 필름을 25×12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이것을 샘플로 했다. 이 샘플을 50℃의 분위기 하에서 각각 7일간 에이징했다. 에이징 후, 샘플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샘플의 점착면에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을 접착하고, 이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 상에 점착 테이프(No. 31B, 닛토덴코(주)제)를 접착하여 보강한 후, 24시간 이상, 23℃, 60% RH의 분위기 하에서 방치했다. 그 후, 방치 후의 점착 필름의 배면(점착 필름의 광학 필름측의 면)에 SUS304 강판을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인장 시험기에 의해 180° 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과 샘플의 계면에서 박리하여 점착제층이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측에 부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 박리 응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분명하듯이, 하도층이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대전을 방지할 수 있고, 밀착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도층이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밀착력이 보다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점착 필름은 에이징에 의해 밀착력이 더욱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표면저항[Ω/□) 밀착력[N/25mm]
기재 (하도층) 점착제층 초기 경시 50℃×7일
실시예 1 2×1011 2×1011 - -
실시예 2 4×1010 7×1010 - -
실시예 3 7×109 2×1010 7.2 7.8
실시예 4 2×109 8×109 7.2 9.5
실시예 5 5×108 5×109 7.2 9.0
실시예 6 2×1010 5×1010 7.0 9.4
실시예 7 1×1010 2×1010 7.2 9.5
실시예 8 5×109 1×1010 7.2 9.9
실시예 9 4×1011 3×1012 7.2 8.9
실시예 10 1×1011 1×1012 7.7 9.2
실시예 11 3×1010 2×1011 8.0 9.9
실시예 12 1×1012 7×1012 8.3 11.6
실시예 13 1×1011 5×1011 4.8 8.9
실시예 14 7×1011 1×1012 6.1 12.8
실시예 15 3×1010 6×1010 6.1 11.4
실시예 16 1×109 6×109 6.1 11.4
실시예 17 6×109 2×1010 8.0 11.0
실시예 18 3×109 1×1010 8.2 11.2
실시예 19 5×109 2×1010 9.0 11.5
실시예 20 1×1011 3×1011 7.2 9.5
실시예 21 7×1011 4×1012 7.1 10.0
실시예 22 2×1011 7×1011 9.6 12.6
실시예 23 2×109 9×109 2.0 3.4
실시예 24 2×1010 5×1010 2.9 3.4
실시예 25 7×109 2×1010 5.6 7.4
실시예 26 1×1011 2×1011 4.9 7.2
실시예 27 2×1010 5×1010 8.3 15.0
실시예 28 7×1010 9×1010 5.7 13.0
비교예 1 1×1014 이상 1×1014 이상 4.4 4.3
비교예 2 1×1014 이상 1×1014 이상 2.1 1.9
합성예 2
모노머 프리에멀션의 조제
용기에 원료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뷰틸 100부, 아크릴산 5부, 모노[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메타크릴레이트]인산 에스터(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중합도 약5.0) 2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KBM-503, 신에쓰화학(주)제) 0.01부를 가하여 혼합하여 모노머 혼합물을 조제했다. 이어서, 조제한 모노머 혼합물 627g에 반응성 유화제 아쿠알론 HS-10(다이이치공업제약(주)) 13g, 이온 교환수 360g을 가하고, 균질화기(특수기화(주)제)를 이용하여 5분간 5000(1/min)에서 교반하여 강제 유화시켜 모노머 프리에멀션을 조제했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갖춘 반응 용기에 상기에서 조제한 모노머 프리에멀션 중 200g, 이온 교환수 330g을 투입하고, 이어서 반응 용기를 질소 치환하고, 2,2'-아조비스[N-(2-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수화물(VA-057, 와코쥰야쿠공업(주)제) 0.2g을 첨가하여 60℃에서 1시간 중합했다. 이어서, 나머지 모노머 프리에멀션 중 800g을 반응 용기에 3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중합시켰다. 추가로 그 다음에 질소 치환하면서 60℃에서 3시간 중합하여 고형분 48%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에멀션 용액을 수득했다. 다음으로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10%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고, 또한 아크릴계 증점제 아쿠알론 B-500(도아합성(주)제) 3.0g을 첨가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카복실기 농도는 0.65밀리몰/g이다. 한편, 이 계산에서는 아크릴산의 분자량을 72로 하여 산출했다.
또한,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인산기 농도는 0.04밀리몰/g이다. 한편, 이 계산에서는 모노[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메타크릴레이트]인산 에스터(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중합도 약 5.0)의 분자량(평균 분자량)을 456으로 하여 산출했다.
점착제층의 형성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 다이아호일 MRF38, 미쓰비시화학폴리에스터(주)제)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3μm가 되도록 코팅하고, 그 후 열풍순환식 오븐에서 100℃로 2분간 건조시켜 이형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광학 필름의 조제
폴리바이닐알콜 필름(두께 80μm)을 40℃의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전체 길이의 5배로 연신하고, 그 후 폴리바이닐알콜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으로부터 끌어 올려 50℃에서 4분간 건조시켜 편광자를 수득했다. 이 편광자의 양측에, 폴리바이닐알콜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을 접착하여 광학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29
대전방지층의 형성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물/아이소프로판올(중량비로 1:1) 혼합 용액으로 고형분 0.5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대전방지층의 도포액을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와이어바 #5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의 한 면에 코팅하고 40℃에서 2분간 건조시켜 대전방지층을 형성했다.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제작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접합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0
실시예 29의 대전방지층의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데나트론 P502RG(나가세켐텍스(주)제, 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와 에포크로스 WS-700(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 폴리머, (주)니혼쇼쿠바이제)으로 변경하고, 고형분을 데나트론 P502RG가 1.0중량%, 에포크로스 WS-700이 0.25중량%가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9와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1
실시예 29의 대전방지층의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로 변경하고, 물/아이소프로판올(중량비로 1:1) 혼합 용액을 물/에탄올(중량비로 1:1) 혼합 용액으로 변경하고, ZrO2 함유 비율이 2중량%가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9와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의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 도포액의 ZrO2 함유 비율을 2%에서 5%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1과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3
실시예 29의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오르가틱스 TC-400(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트라이에탄올아미네이트), (C3H7O)2Ti(C6H14O3N)2, Ti 함유 비율 8%,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으로 변경하고, 도포액의 Ti 함유 비율이 2%가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9와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4
실시예 33의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 도포액의 Ti 함유 비율을 2%에서 5%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3과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5
실시예 31의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를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와 폴리멘트 SK-1000(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 (주)니혼쇼쿠바이제)으로 변경하고, 물/에탄올(중량비로 1:1) 혼합 용액을 물로 변경하고, 오르가틱스 ZB-125의 ZrO2 함유 비율이 2%, 폴리멘트 SK-1000의 고형분이 2%가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1과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6
실시예 35의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 오르가틱스 ZB-125의 ZrO2 함유 비율을 2중량%에서 5중량%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5와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7
실시예 33의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 오르가틱스 TC-400(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트라이에탄올아미네이트), (C3H7O)2Ti(C6H14O3N)2, Ti 함유 비율 8%,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을 오르가틱스 TC-400(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트라이에탄올아미네이트), (C3H7O)2Ti(C6H14O3N)2, Ti 함유 비율 8%,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과 폴리멘트 SK-1000(에틸렌이민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 (주)니혼쇼쿠바이제)으로 변경하고, 도포액의 Ti 함유 비율이 2%, 폴리멘트 SK-1000의 고형분이 2%가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3과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8
실시예 37의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 도포액의 Ti 함유 비율을 2%에서 5%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7과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9
실시예 29의 대전방지층의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와 에포크로스 WS-700(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 수지, 고형분 25%, (주)니혼쇼쿠바이제))으로 변경하고, 물/에탄올(중량비로 1:1) 혼합 용액을 물로 변경하고, 오르가틱스 ZB-125의 ZrO2 함유 비율이 2중량%, 에포크로스 WS-700의 고형분이 2%가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9와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40
실시예 29의 대전방지층의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오르가틱스 ZB-125(염화지르코늄 화합물, ZrO2 함유 비율 15%, 마쓰모토제약공업(주)제)와 에포크로스 WS-700(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계 수지, 고형분 25%, (주)니혼쇼쿠바이제)) 및 포이즈 532A(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암모늄염, 수평균 분자량 약 10000, 카오(주)제)로 변경하고, 오르가틱스 ZB-125의 ZrO2 함유 비율이 2중량%, 에포크로스 WS-700의 고형분이 2중량%, 포이즈 532A의 고형분이 0.1중량%가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9와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41
실시예 29의 대전방지층의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폴리아닐린설폰산(PAS,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의한 중량평균 분자량 150000, 미쓰비시 레이온(주)제)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9와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42
실시예 30의 대전방지층의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데나트론 P502RG(폴리싸이오펜계 도전 폴리머, 나가세켐텍스(주)제)를 폴리아닐린설폰산(PAS,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의한 중량평균 분자량 150000, 미쓰비시 레이온(주)제)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0과 같이 처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3
실시예 29에 있어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평가
5) 광학 필름의 표면 저항
실시예 29 내지 42 및 비교예 3에 있어서, 대전방지층만을 설치한 광학 필름(즉,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전의 점착형 광학 필름)을 23℃, 60% RH의 분위기 하에서 방치했다. 그 후, 23℃, 60% RH의 분위기 하에서, 저항률계(Hiresta-Up MCP-HT450, (주)다이아인스트루멘트제)에 의해 USR 프로브를 이용하여 인가 전압 500V로 1분 후에, 광학 필름의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면의 표면 저항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6)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의 밀착력
실시예 29 내지 42 및 비교예 3의 점착형 광학 필름을 25×12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이것을 샘플로 했다. 이 샘플을 23℃에서 60% RH의 분위기하, 및 50℃의 분위기 하에서, 각각 1일 에이징했다. 에이징 후,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샘플의 점착면에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을 접착하고, 이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 상에 점착 테이프(No. 31B, 닛토덴코(주)제)를 접착하여 보강한 후, 24시간 이상 23℃에서 60% RH의 분위기하, 및 50℃의 분위기 하에서 각각 방치했다. 그 후, 방치 후의 샘플의 배면(점착형 광학 필름의 광학 필름측의 면)에 SUS304 강판을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인장 시험기에 의해 180° 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과 샘플의 계면에서 박리하여 점착제층이 폴리프로필렌 다공질막측에 부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 박리 응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7)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접착 고정성
실시예 29 내지 42 및 비교예 3의 점착형 광학 필름을 230×310mm의 크기로 절단한 후,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이것을 두께 0.7mm의 유리판(코닝 #1737, 코닝(주)제)에 접착하고, 50℃, 0.5MPa의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90℃의 분위기하, 및 60℃/90% RH의 분위기 하에서 각각 500시간 가열하고 점착형 광학 필름의 박리 유무를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점착형 광학 필름의 박리 유무에 관해서는, 하기의 기준으로 확인했다.
0: 박리 등의 변화가 인지되지 않음
△: 점착형 광학 필름의 단부에 1mm 미만의 박리가 인지됨
×: 점착형 광학 필름의 단부에 1mm 이상의 박리가 인지됨
8) 헤이즈
실시예 29 내지 42 및 비교예 3에 있어서, 대전방지층만을 설치한 광학 필름(즉,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전의 점착형 광학 필름)을 50×50mm로 절단하여, 헤이즈컴퓨터 HZ-1(스가시험기(주))에 의해 헤이즈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헤이즈는 보통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를 초과하면 육안으로 희게 보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8
한편,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상기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분명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유리 기판과의 접착력이 높아 강고한 접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높은 내가열성이나 내습열성을 갖기 때문에, 고온 분위기하나 고온고습 분위기하에서의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점 착 필름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높은 내가열성이나 내습열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는, 대전방지층이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대전되기 어렵고, 더구나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재와 점착제층과의 밀착력이 높은 점착 필름으로서 각종 산업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는, 높은 대전 방지 효과나 기재와 점착제층의 높은 밀착력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9)

  1. 기재,
    상기 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상기 기재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고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이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 유기 타이타늄 화합물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광학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8. 기재,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상기 기재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는 대전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원료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임의적으로 상기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함유하고,
    원료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가 60 내지 99중량부이고, 상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상기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상기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총량이 1 내지 40중량부이며,
    원료 모노머 중 카복실기 농도가 0.05 내지 1.50밀리몰/g이고 인산기 농도가 0.01 내지 0.45밀리몰/g인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전방지층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점착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52750515-PAT00019
    (화학식 1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X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인산기 또는 그의 염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52750515-PAT00020
    (화학식 2중, n은 1 내지 4의 정수, m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52750515-PAT00021
    (화학식 3중,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양이온을 나타낸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를 추가로 함유하고,
    그 배합 비율이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가 도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폴리머가 폴리아닐린 및/또는 폴리싸이오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가 유기 금속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이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 유기 타이타늄 화합물 및 유기 알 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와 복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폴리아민계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광학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9. 점착 필름을 적어도 1장 이용하고,
    상기 점착 필름은 광학 필름, 상기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및 상기 광학 필름과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개재되는 대전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원료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임의적으로 상기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를 함유하고,
    원료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원료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가 60 내지 99중량부이고, 상기 카복실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상기 인산기 함유 바이닐 모노머 및 상기 공중합성 바이닐 모노머의 총량이 1 내지 40중량부이며,
    원료 모노머 중 카복실기 농도가 0.05 내지 1.50밀리몰/g이고 인산기 농도가 0.01 내지 0.45밀리몰/g인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전방지층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화학식 1
    Figure 112006052750515-PAT00022
    (화학식 1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X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인산기 또는 그의 염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52750515-PAT00023
    (화학식 2중, n은 1 내지 4의 정수, m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52750515-PAT00024
    (화학식 3중,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양이온을 나타낸다.)
KR1020060069195A 2005-08-08 2006-07-24 점착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54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9927 2005-08-08
JP2005229927 2005-08-08
JPJP-P-2006-00091928 2006-03-29
JP2006091928A JP5000171B2 (ja) 2006-03-29 2006-03-29 粘着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901A true KR20070017901A (ko) 2007-02-13
KR101254812B1 KR101254812B1 (ko) 2013-04-15

Family

ID=3771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195A KR101254812B1 (ko) 2005-08-08 2006-07-24 점착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41946B2 (ko)
KR (1) KR101254812B1 (ko)
CN (1) CN1912039B (ko)
TW (2) TWI40130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622A1 (ko) * 2012-08-02 2014-02-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101511092B1 (ko) * 2012-05-02 2015-04-1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150130952A (ko) * 2012-05-25 2015-11-2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170023269A (ko) * 2015-08-19 2017-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9961B2 (en) * 2003-08-25 2011-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carbon nanotube-based structures and methods for removing heat from solid-state devices
TWI409313B (zh) * 2005-01-26 2013-09-21 Nitto Denko Corp 黏著劑組成物、黏著型光學薄膜及影像顯示裝置
KR100721702B1 (ko) * 2005-11-22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KR20070096102A (ko) * 2005-12-23 2007-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의 현상제 레벨 감지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
JP4228026B2 (ja) * 2007-02-28 2009-02-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粘着剤付光学シート
CA2689595C (en) * 2007-06-08 2015-11-03 Henkel Corporation Room temperature curing adhesive composition having high temperature properties
US20090017298A1 (en) * 2007-07-11 2009-01-15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845939B1 (ko) * 2007-07-18 2008-07-11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JP4733680B2 (ja) * 2007-10-31 2011-07-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90142593A1 (en) * 2007-11-29 2009-06-0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110051050A1 (en) * 2008-01-18 2011-03-03 Lg Chem, Ltd. Optical film,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WO2009126532A2 (en) * 2008-04-11 2009-10-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452054B2 (ja) * 2008-04-30 201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無機ハイブリッド自立膜
US8034485B2 (en) 2008-05-29 2011-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al oxide negative electrodes for lithium-ion electrochemical cells and batteries
US20100028564A1 (en) * 2008-07-29 2010-02-04 Ming Cheng Antistatic optical constructions having optically-transmissive adhesives
KR101056683B1 (ko) * 2009-01-19 2011-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11048701A1 (en) * 2009-10-20 2011-04-28 Nitto Europe Nv Heat-expandable remova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CN101841971B (zh) * 2010-04-06 2012-07-18 周伟 挠性电路板的层压用辅助材料及挠性电路板的层压工艺
CN102858900B (zh) * 2010-04-20 2013-12-25 日东电工株式会社 再剥离用水分散型丙烯酸系粘合剂组合物和粘合片
KR101442667B1 (ko) * 2011-02-10 2014-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JP5719194B2 (ja) * 2011-02-25 2015-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US9366788B2 (en) * 2011-03-18 2016-06-14 Konica Minolta, Inc. Heat radiation reflect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eat radiation reflector
JP5611883B2 (ja) * 2011-04-13 2014-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US20140037950A1 (en) * 2011-04-15 2014-02-06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2224011A (ja) * 2011-04-21 2012-11-15 Lintec Corp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工程用の剥離フィルム
US20120315476A1 (en) * 2011-06-08 2012-12-13 Hiroshi Ogawa Adhesive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on film using the same
US8981435B2 (en) 2011-10-01 2015-03-17 Intel Corporation Source/drain contacts for non-planar transistors
US9103977B2 (en) * 2011-12-14 2015-08-11 Tamkang University Method for manufacturing a hard, water-resistant anti-fog coating
WO2013095522A1 (en) * 2011-12-22 2013-06-27 Intel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compatible dicing tape with laser scribe capability
JP6070547B2 (ja) * 2012-03-16 2017-02-01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31875B1 (en) * 2013-09-27 2018-11-28 Lintec Corporation Electrically peelable adhesive agent composition, electrically peelabl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using electrically peelable adhesive sheet
CN103642418A (zh) * 2013-11-19 2014-03-19 常熟市长江胶带有限公司 阻燃胶带
US8871838B1 (en) * 2014-03-27 2014-10-28 King Abdul 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KACST) Epoxy-carbon nanomaterial based coat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15193099A (ja) * 2014-03-31 2015-11-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保護フィルムの使用方法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透明導電性基板
CN111808541A (zh) * 2014-09-25 2020-10-23 日东电工株式会社 热剥离型粘合片
EP3050702A4 (en) * 2014-12-13 2017-10-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ated film
JP6456723B2 (ja) * 2015-02-25 2019-01-23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6731219B2 (ja) * 2015-05-28 2020-07-2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着シート
US10676651B2 (en) 2016-03-09 2020-06-0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dhesiv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17154515A1 (ja) 2016-03-11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帯電防止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帯電防止膜
JP6888010B2 (ja) * 2016-07-28 2021-06-16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付補強用フィルム
US10753100B2 (en) 2017-08-11 2020-08-25 Ecointeriors Corp. Flooring panel equipped with quick-release adhesive sheet
EP3835368A4 (en) * 2018-08-06 2022-05-18 Nippon Shokubai Co., Ltd. AQUEOUS DISPERSION, METHOD FOR PRODUCTION,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KR102565398B1 (ko) * 2019-12-17 2023-08-08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반도체 가공용 테이프
CN115637426A (zh) * 2022-02-28 2023-01-24 青岛科技大学 一种化学浴沉积介孔二氧化锡薄膜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2234A (en) 1975-04-21 1976-11-17 Suriibondo:Kk An anaerobic adhesive composition
GB1569021A (en) 1976-03-17 1980-06-11 Kuraray Co Adhesive cementing agents containing partial phosphonic orphosphonic acid esters
US4433124A (en) 1980-12-13 1984-02-21 Okura Kogyo Kabushiki Kaisha Adhesive compositions
JPS5980482A (ja) 1982-10-29 1984-05-09 Hitachi Chem Co Ltd 導電性粘着シ−ト
JPS59204679A (ja) * 1983-05-09 1984-11-20 Nitto Electric Ind Co Ltd 感圧性接着テ−プ類の製造法
US4731282A (en) 1983-10-14 1988-03-15 Hitachi Chemical Co., Ltd. Anisotropic-electroconductive adhesive film
JPS6333943A (ja) 1986-07-28 1988-02-13 Nec Corp デ−タ通信網の輻輳制御方式
JPH04124601A (ja) 1990-09-14 1992-04-24 Nitto Denko Corp 偏光板
US5637368A (en) * 1992-06-04 1997-06-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tape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US5427835A (en) * 1992-06-04 1995-06-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lfopolymer/vanadium oxide antistatic compositions
JP3368927B2 (ja) 1992-12-28 2003-01-20 大倉工業株式会社 導電性粘着テープ用基材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499957B2 (ja) 1995-03-10 2004-02-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帯電防止粘着シート
JPH1020118A (ja) 1996-07-08 1998-01-23 Sekisui Chem Co Ltd 粘着型偏光板
TWI262795B (en) 1999-05-31 2006-10-01 Kuraray Co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it
JP3862489B2 (ja) * 1999-12-14 2006-12-27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粘着シート
JP2001254063A (ja) 2000-03-13 2001-09-18 Toyo Ink Mfg Co Ltd 感圧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シート
JP2002258754A (ja) 2001-03-02 2002-09-11 Ricoh Co Ltd 粘着ラベル
US6670010B2 (en) 2001-07-23 2003-12-30 Ricoh Company, Ltd. Composite sheet,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thermosensitive recording adhesive label sheet having same
JP3942150B2 (ja) 2001-09-26 2007-07-1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組成物
US6846538B2 (en) 2001-12-27 2005-01-25 Ricoh Company, Ltd. Composite sheet,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adhesive label sheet assembly having same
JP4007920B2 (ja) 2002-02-01 2007-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054007A (ja) 2002-07-22 2004-02-19 Nitto Denko Corp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902186B2 (ja) * 2003-04-21 2007-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US20060257760A1 (en) * 2003-08-11 2006-11-16 Kenichi Mori Near-infrared absorb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 same, near-infrared absorbing film rol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near-infrared absorbing filter
JP4275522B2 (ja) * 2003-12-26 2009-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4917267B2 (ja) * 2004-09-16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I409313B (zh) * 2005-01-26 2013-09-21 Nitto Denko Corp 黏著劑組成物、黏著型光學薄膜及影像顯示裝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92B1 (ko) * 2012-05-02 2015-04-1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150130952A (ko) * 2012-05-25 2015-11-2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WO2014021622A1 (ko) * 2012-08-02 2014-02-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20170023269A (ko) * 2015-08-19 2017-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2161A (en) 2007-04-01
US7641946B2 (en) 2010-01-05
TW201315793A (zh) 2013-04-16
KR101254812B1 (ko) 2013-04-15
CN1912039B (zh) 2012-09-19
CN1912039A (zh) 2007-02-14
TWI401303B (zh) 2013-07-11
TWI394814B (zh) 2013-05-01
US20070031660A1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812B1 (ko) 점착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5000171B2 (ja) 粘着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875973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03246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14249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328210B1 (ko) 광학 필름용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81964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부착된 광학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적층체
KR101857832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I428412B (zh) 黏著劑組合物、黏著型光學薄膜及圖像顯示裝置
TWI727924B (zh) 錨定層形成用組成物、錨定層、附有黏著劑層之光學薄膜、及圖像顯示裝置
US7858709B2 (en) Aqueous dispersio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KR101849429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부착된 광학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필름의 박리 방법
TW201431997A (zh) 透明導電層用水分散型黏著劑組合物、透明導電層用黏著劑層、附有黏著劑層之光學膜、及液晶顯示裝置
US20090017298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5637394B (zh) 带有粘合剂层的光学构件、图像显示装置、以及带有粘合剂层的光学构件的制造方法
CN111699416B (zh) 带粘合剂层的光学膜、内嵌型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KR20140091702A (ko)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455496B1 (ko) 점착제층, 점착 필름 및 광학 장치
TWI673635B (zh) 內置型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KR20210102186A (ko)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JP2019077878A (ja) 粘着剤層付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粘着剤層付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2012111871A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