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418A -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418A
KR20060129418A KR1020067017488A KR20067017488A KR20060129418A KR 20060129418 A KR20060129418 A KR 20060129418A KR 1020067017488 A KR1020067017488 A KR 1020067017488A KR 20067017488 A KR20067017488 A KR 20067017488A KR 20060129418 A KR20060129418 A KR 2006012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ead
control device
crew
hea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토시 아카이케
기요카 마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6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reaction to emergency situations, e.g.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62Tiltable with means for maintaining a desired position when the seat-back is adjusted, e.g. parallelogr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의해 승무원의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지 않는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여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20)의 일부(20A) 혹은 전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헤드레스트(20)와 두부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를 단축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로서, 헤드레스트(20)의 이동 중에 있어서 헤드레스트(20)의 두부에 대한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11)와, 두부 위치 검지부(11)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20)를 정지시키는 제어 회로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HEAD REST CONTROL DEVICE AND ACTIVE HEAD REST}
본 발명은 차량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여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일부 혹은 전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켜서, 헤드레스트와 두부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를 단축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가지 타입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공지되어 있고,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3443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9891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309242 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33713 호 공보에 기재된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34439 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를 경사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헤드레스트의 경사 이동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접촉면(전측부)을 승무원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동시에 비 스듬하게 상측으로 경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9891 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차량 후방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전진시키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갖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309242 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와, 헤드레스트 표면에서 승무원의 두부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와, 그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작동시켜서 헤드레스트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는 높이 위치 조정 수단을 갖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33713 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차량 후방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갖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122856 호 공보에 따른 발명은, 차량의 승무원 보호 장치로서, 이 승무원 보호 장치는, 충돌을 예지하는 예지 수단과, 예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승무원을 보호하는 소정 위치까지 차량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3443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9891 호 공보에 기재된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충돌을 검지했을 때의 헤드레스트의 이동량이,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했다. 이에 대하여 승무원의 두부 위치는 승무원의 체구 등에 의해 변한다. 그 때문에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3443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9891 호 공보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에 의해 승무원의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는 경우가 있어서, 승무원에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의해 승무원의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지 않는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 청구항에 기재에 따른 구성을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두부에 대한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와, 상기 두부 위치 검지부에서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키는 제어 회로를 갖고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를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른 바람직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헤드레스트에 의해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지 않는 위치에서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서로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는 어느 한 항에 센서에 의해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가 검지되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킨다.
제 3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소정 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는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가 검지되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킨다.
제 4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센서를 복수 개로 갖고 있다.
제 5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소정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센서를 복수 갖고 있다.
제 6 발명과 제 7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는 두부 위치 검지부가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8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는, 차량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일부 혹은 전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헤드레스트와 두부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를 단축하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와, 헤드레스트가 두부에 대해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가 된 것을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와, 충돌 검지 센서가 검지 신호를 출력했을 때에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고, 또 두부 위치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했을 때에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정지시키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그 헤드레스트를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른 바람직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헤드레스 트에 의해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지 않는 위치에서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 9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서로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는 어느 한 항의 센서가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킨다.
제 10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소정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가 검지되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킨다.
제 11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따르면, 충돌 검지 센서는 차량 충돌을 예지하는 센서이고, 제어 회로는 충돌 검지 센서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에,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으로 헤드레스트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레스트는, 이동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 때문에 헤드레스트는,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필요한 때에, 예컨대 후방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을 때에, 자동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리하여 헤드레스트는 보통 상태에 복귀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좋아진다.
제 12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전면의 거리가 접근하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와,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전측부의 전후방향의 거리를 검지하는 두 부 위치 검지부와, 두부 위치 검지부에서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정지시킴으로써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전면의 전후방향의 거리를 소정량으로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른 바람직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의해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지 않는 위치에서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 13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전면의 거리가 소정량이 되는 소정 위치에서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소정 시간 정지시켰을 때에,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후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헤드레스트 전측부는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전측부는,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필요가 되었을 때에, 예컨대 후방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을 때에, 자동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리하여 헤드레스트는 보통 상태에 복귀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좋아진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후방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있어서의 일부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전방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접촉 검지 센서의 종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접촉 검지 센서의 종단면도,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의 구성 부품도,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의 구성 부품도,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8에 따라서 설명한다.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0)와, 헤드레스트(2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레그부(38)를 갖고 있다.
레그부(38)는 시트 백(10)에 설치된 프레임(도시 생략)에 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접속되어, 헤드레스트(20)를 시트 백(10)의 상측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헤드레스트(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부를 구성하는 전측부(20A)와, 후측부를 구성하는 후측부(20B)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부(20A)와 후측부(20B) 사이에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가 설치되어 있고, 전측부(20A) 내에는 복수의 접촉 검지 센서(2)를 갖는 두부 위치 검지부(11)가 설치된다.
전측부(20A)와 후측부(20B)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측에 수지제의 플레이트(21, 22)를 갖고, 그 외측 위치에 발포 우레탄 등으로 성형된 패드(23, 24)를 갖고 있다. 그리고 패드(23, 24)는 피혁이나 천으로 이루어지는 표피(25, 26)에 의해 표면이 덮어져 있다.
후측부(20B)의 플레이트(22)는 베이스(32)를 거쳐서 레그부(38)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측부(20B)는 레그부(38)를 거쳐서 시트 백(10)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전측부(20A)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거쳐서 후측부(20B)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측부(20A)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초기 위치와 도 2에 도시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플레이트(21, 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로부터 다른 쪽의 플레이트(21, 22)를 향해 튀어나오는 차폐측부(21a, 22a)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차폐측부(21a, 22a)는 차폐측부(21a)가 차폐측부(22a)의 내측 위치에 있도록 중합하고 있다. 그리고 차폐측부(21a, 22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부(20A)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작동 위치에 도달하여 중합하는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전측부(20A)와 후측부(20B)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차폐 시트(28)가 설치되어 있다.
차폐 시트(28)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측이 플레이트(21)의 상단 에지에 설치되어 있고, 후단측이 플레이트(22)의 상단 에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폐 시트(28)의 좌우 양단부측은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고, 차폐부(21a, 22a)에 따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차폐 시트(28)는, 전측부(20A)를 도 2에 도시하는 작동 위치에서 전측부(20A)와 후측부(20B) 사이에서 전개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상면을 덮는다. 그리고 전측부(20A)가 도 1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로 됨으로써, 전측부(20A)와 후측부(20B) 사이로 접어진다.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부재(35, 36)와 베이스(31, 32)와 전동 유닛(도 4 등으로의 기재는 생략)을 갖고 있다.
베이스(31, 3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21, 22)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31, 32)의 우측 단부 에지 및 좌측 단부 에지에는 플레이트(21, 22)에 대하여 세워 설치되는 입설부(31a, 3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입설부(31a, 32a)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33, 3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33)은, 입설부(31a)의 상부 영역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긴 구멍이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33)에는, 링크 부재(36)의 상측 일단부가 핀(36a)을 거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구멍(34)은 입설부(32a)의 하부 영역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긴 구멍이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34)에는, 링크 부재(36)의 하측 일단부가 핀(36b)을 거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 부재(35, 3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37)에 의해 중간부끼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X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링크 부재(35, 36)는 일단부가 전측부(20A)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가 후측부(20B)에 부착되어 있다. 즉 링크 부재(35)는 상측 일단부가 핀(35a)을 거쳐서 입설부(32a)의 상부 영역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일단부가 핀(35b)을 거쳐서 입설부(31a)의 하부 영역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링크 부재(36)는 상측 일답부가 입설부(31a)의 상부 영역에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측 단부가 입설부(30a)의 하측 영역에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동 유닛은 링크 부재(35, 36)로 이루어진 X 링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모터를 갖고 있다. 전동 유닛은, 예컨대 베이스(32)에 조립되고, 전측부(20A)와 후측부(20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 유닛은 핀(36b)을 가이드 구멍(34)에 따라 승강 동작시킴으로써, 링크 부재(36)의 하측 단부를 승강시키고, 이에 의해 링크 부재(35, 36)를 팬터그래프(pantagraph)와 같이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리하여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는 전측부(20A)를 후측부(20B)에 대하여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과압 방지 수단(조정 수단)과 자동 후퇴 수단을 갖고 있다.
과압 방지 수단은 이동시킨 전측부(20A)에 의해 승무원의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측부(20A)의 이동량을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라서 조정하는 수단이다.
이 과압 방지 수단은,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5)와, 복수의 접촉 검지 센서(2)를 구비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11)를 갖고 있다(도 5, 도 8 참조).
두부 위치 검지부(11)는 전측부(20A)에 설치되어 있고, 전측부(20A)와 함께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한다.
접촉 검지 센서(2)는 전측부(20A)가 승무원의 두부에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측부(20A)가 승무원의 두부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위치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촉 검지 센서(2)는,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 형상의 터치 센서로서, 원반 형상의 2장의 판부(2a, 2b)와, 2장의 판부(2a, 2b)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2c)를 갖고 있다. 그리고 2장의 판부(2a, 2b) 각각에 리드선(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판부(2a)에 힘(F)이 가해지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부(2a)가 판부(2b)를 향해 변형하고, 판부(2a)와 판부(2b)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촉 검지 센서(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부(20A)의 전면측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표피(25)와 패드(23)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접촉 검지 센서(2)는 전측부(20A)의 광범위한 전면 영역에 있어서 분산되어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접촉 검지 센서(2)는 리드선(3)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접촉 검지 센서(2)의 검지 신호는 적은 신호선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5)에 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 회로(5)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 검지 센서(2)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받고, 그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전측부(20A)를 접촉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따라서 전측부(20A)의 정지 위치(이동량)는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자동 후퇴 수단은 전측부(20A)가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정지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전측부(20A)를 자동적으로 이동 전의 초기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수단이다.
이 자동 후퇴 수단은 타이머(12)와 제어 회로(5)를 갖고 있다(도 8 참조).
타이머(12)는 전측부(20A)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정지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 회로(5)는 정지 시간이 소정시간, 예컨대 1∼15초에 도달했을 때에,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전측부(20A)를 초기 위치로 후퇴시킨다.
또한 전측부(20A)를 후퇴시키는 속도는, 전측부(20A)를 전진시키는 속도보다도 느린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차량에는, 후방 충돌을 예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충돌 검지 센서(4)는 후방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신호를 출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는, 충돌 검지 센서(4), 두부 위치 검지부(11), 제어 회로(5), 타이머(12) 및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1)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충돌 검지 센서(4)에 의해 후방 충돌이 예지되어 검지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 회로(5)가 그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링크 부재(35, 36)가 작동하고, 전측부(20A)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측부(20B)로부터 멀어지며, 전측부(20A)가 초기 위치로부터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전측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측부(20A)가 승무원의 두부에 접촉하면, 접촉 검지 센서(2)가 그것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그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 회로(5)가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정지시킨다. 이로써 전측부(20A)가 접촉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전측부(20A)는 차량의 후방 충돌시에 승무원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차량의 후방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때에는, 자동 후퇴 수단이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전측부(20A)를 자동적으로 이동 전의 초기 위치까지 후퇴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티브 헤드레스트(1)가 구성된다.
즉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는, 헤드레스트(20A)의 이동 중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두부에 대한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11)와, 두부 위치 검지부(11)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20A)를 정지시키는 제어 회로(5)를 갖고 있다(도 8 참조).
따라서 헤드레스트(20A)를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른 바람직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에 의해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지 않는 위치에서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전면의 거리가 소정량이 되는 소정 위치에서 헤드레스트(20)의 전측부(20A)를 소정 시간 정지시켰을 때에, 헤드레스트(20)의 전측부(20A)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후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전측부(20A)는, 전측으로의 이동이 불필요했을 때에, 예컨대 후방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을 때에, 자동적으로 초기 위치에 복귀된다. 이리하여 헤드레스트(20)는 보통 상태로 복귀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좋아진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과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2는, 도 8에 도시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11) 대신에 도 9에 도시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13)를 갖고 있다. 이하, 실시형태 1과 서로 다른 점을 중심으로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부 위치 검지부(13)는 서로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두부 위치 검지부(13)는 접근 검지 센서(6)와 접촉 검지 센서(7)를 갖고 있다.
접근 검지 센서(6)는 헤드레스트와 승무원의 두부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로서, 예컨대 헤드레스트와 승무원의 두부의 거리가 2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로 되었을 때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다.
접근 검지 센서(6)는 예컨대 정전용량식 센서로서, 2장의 콘덴서 플레이트를 갖고, 승무원의 두부를 이들 2장의 콘덴서 플레이트 사이의 유전체로서 이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촉 검지 센서(7)는 헤드레스트 전측부와 승무원의 두부의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로서, 예컨대 도 6, 도 7에 도시하는 접촉 검지 센서(2)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근 검지 센서(6)와 접촉 검지 센서(7)는 별개로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지만, 일체로 형성되는 하이브리드형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두부 위치 검지부(13)는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센서를 복수 개로 갖고 있다. 예컨대 접근 검지 센서(6)와 접촉 검지 센서(7) 중 한쪽 또는 양쪽의 센서를 복수 개로 갖고 있다.
이들 센서는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분산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센서는 서로 리드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어 회로(5)에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접근 검지 센서(6)가 서로 리드선으로 접속되고, 제어 회로(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접촉 검지 센서(7)가 서로 리드선으로 접속되고, 제어 회로(5)에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는, 충돌 검지 센서(4), 접근 검지 센서(6), 접촉 검지 센서(7), 제어 회로(5), 타이머(12) 및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제어 회로(5)에 의해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헤드레스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10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제어 회로(5)는 제 1 루틴이 종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F1의 값에 의해 판단한다(단계 S1). 제 1 루틴이 종료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F1=1의 경우)는, 제 2 루틴이 종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제 1 루틴이 종료하지 않는 경우(F1=1이 아닐 경우)는, 충돌 검지 센서(4)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취득한다(단계 S2). 다음에 그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 후방 충돌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차량 후방 충돌이 생기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제어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차량 후방 충돌이 생긴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F1을 1이라고 한다(단계 S4). 그리고 타이머(12)를 작동시켜서(단계 S5),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전진시킨다.
계속하여 제 2 루틴이 종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F2의 값에 의해 판단한다(단계 S7). 제 2 루틴이 종료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F2=1의 경우)는, 타이머(12)에 의한 측정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제 2 루틴이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F2=1이 아닐 경우)는, 접근 검지 센서(6)로부터의 검지 신호와, 접촉 검지 센서(7)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취득한다(단계 S8).
다음에 접근 검지 센서(6)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와 승무원의 두부의 거리가 소정량 이하의 접근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접근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F2를 1로 한다(단계 S11).
접근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접촉 검지 센서(7)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가 승무원의 두부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접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는, 제어 루틴을 종료한다.
접촉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는, F2를 1로 한다(단계 S11). 다음에,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정지시킨다(단계 S12). 이로써 헤드레스트에 의해 승무원의 두부를 전방에 지나치게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타이머(12)에 의한 측정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측정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제어 루틴을 종료하고, 다시 제어 루틴을 시작한다.
측정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고 있을 경우에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3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단계 S14). 이로써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결과적으로 헤드레스트 전측부는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 정지한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최후에 F1과 F2를 0으로 한다(단계 S15).
이상과 같이 하여 실시형태 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두부 위치 검지부(13)는 서로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소정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접근 검지 센서(6)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접촉 검지 센서(7)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5)는 어느 하나의 센서가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헤드레스트가 승무원의 두부에 접근 또는 접촉한 상태가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그 상태가 검지되는 경우에서도, 다른 센서에 의해 그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근 상태 또는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3은, 도 8에 도시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11) 대신에, 차 실내 천장측에 부착되는 카메라와, 그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근거하여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구비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가 상기 두부 위치 검지부에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형태여도 좋다.
① 즉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후방 충돌을 예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후방 충돌을 검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를 갖고, 그 충돌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②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두부 위치 검지부는, 헤드레스트 전측부가 승무원의 두부에 접촉한 것을 검지하는 접촉 검지 센서를 갖고 있다. 그러나 두부 위치 검지부가, 접촉 검지 센서 대신에 실시형태 2에 따른 접근 검지 센서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③ 또한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에 따른 두부 위치 검지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피와 패드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두부 위치 검지부가 표피의 두께내에 설치되는 형태여도 좋다. 예컨대, 표피가 피혁층과 라미네이트층을 갖고, 두부 위치 검지부가 피혁층과 라미네이트층 사이에 설치되는 형태여도 좋다. 혹은 두부 위치 검지부가 패드 내에 설치되는 형태여도 좋다.
④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전측부와 후측부를 갖는 분할 구성이다. 그러나 헤드레스트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34439 호 공보에 따른 헤드레스트와 동일하게 전측부와 후측부를 일체로 갖는 일체 구성이며, 헤드레스트 전측부가 헤드레스트 전체와 함께 이동(경사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⑤ 또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에 따른 두부 위치 검지부는 복수의 센서를 갖고 있고, 복수의 센서가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분산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가 전측부의 전면의 넓은 영역, 예컨대 전면 영역의 8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⑥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 따른 자동 후퇴 수단은, 헤드레스트 전측부가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 시간 계속하여 정지한 후에,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후퇴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자동 후퇴 수단이 차량 후방 충돌이 생기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갖고 있고, 예컨대 측정 대상이 멀어졌다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갖고 있고, 그 판단 수단의 출력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후퇴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⑦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이어도 좋다.
즉, (청구항 A)
「차량의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헤드레스트 전체와 함께 또는 헤드레스트의 후측부에서 멀게 해서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이동시킨 상기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의해 상기 승무원의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레스트 전측부의 이동량을 상기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라서 조정하는 과압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레스트 전측부는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하고,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따른 바람직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즉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의해 승무원의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B)
「청구항 A항에 기재된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과압 방지 수단은 헤드레스트 전측부가 승무원의 두부에 접촉한 접촉 위치, 혹은 상기 전측부가 상기 승무원의 두부에 대한 거리가 소정값 이하로 된 접근 위치에서, 상기 전측부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레스트 전측부는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하고, 접촉 위치 또는 접근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 때문에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의해, 승무원의 두부를 지나치게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후방 충돌시 또는 후방 충돌 전에 승무원을 적합하게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C)
「청구항 B항에 기재된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과압 방지 수단은 헤드레스트 전측부가 승무원의 두부에 대해 접촉한 것, 또는 접근 위치까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를 갖고, 그 두부 위치 검지부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과압 방지 수단은 두부 위치 검지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두부 위치 검지부는 헤드레스트 전측부의 이동시에 있어서 접촉 위치 또는 접근 위치(이하, 접촉 위치 등이라고 함)를 검지한다. 그 때문에 과압 방지 수단은 두부 위치 검지부를 갖는 것으로 용이하게 접촉 위치 등을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두부 위치 검지부가 전측부 이동시에 있어서 접촉 위치 등을 검지하기 위해서, 승무원의 두부 위치에 대응한 접촉 위치 등을 검지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접촉 위치 등이 용이하게 또한 정밀하게 검지되어,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용이하게 또한 바람직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D)
「청구항 C항에 기재된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두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접촉 위치 또는 접근 위치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두부 위치 검지부는 정밀하게 접촉 위치 또는 접근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청구항 E)
「청구항 D항에 기재된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복수의 센서를 갖고, 이것들 복수의 센서는 헤드레스트 전측부의 전면 영역에 점재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 위치 검지부는 헤드레스트 전측부의 전면의 넓은 영역에 있어서 접촉 위치 또는 접근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두부 위치 검지부는 승무원의 두부의 횡방향 위치 등에도 바람직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F)
「청구항 A항 내지 E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전측부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정지 시간 또는 접근 위치에 있어서의 정지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혹은 소정 신호를 받았을 때에, 상기 전측부를 자동적으로 이동 전의 초기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자동 후퇴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레스트 전측부는, 이동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 때문에 헤드레스트 전측부는, 전측에 이동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 예컨대 후방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을 때에, 자동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리하여 헤드레스트는 보통 상태로 복귀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좋아진다.

Claims (13)

  1. 차량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여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일부 혹은 전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켜서, 헤드레스트와 두부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를 단축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두부에 대한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와, 상기 두부 위치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키는 제어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서로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 중 어느 것에 의해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가 검지되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소정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 중 어느 것에 의해 소정의 접근 상 태 혹은 접촉 상태가 검지되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센서를 복수 개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소정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센서를 복수 개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가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가 헤드레스트 전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8. 차량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일부 혹은 전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헤드레스트와 두부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를 단축하는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와,
    헤드레스트가 두부에 대하여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가 된 것을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와,
    상기 충돌 검지 센서가 검지 신호를 출력했을 때에 상기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고, 또 상기 두부 위치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했을 때에 상기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정지시키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서로 검지 방식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 중 어느 것이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를 검지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두부 위치 검지부는 소정의 접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접촉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 중 어느 것에 의해 소정의 접근 상태 혹은 접촉 상태가 검지되었을 때에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충돌 검지 센서는 차량 충돌을 예지하는 센서로서, 제어 회로는 상기 충돌 검지 센서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에,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12. 차량의 후방 충돌을 예지 또는 검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승무원의 두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전면의 거리가 접근하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와, 승무원의 두부와 상기 헤드레스트 전측부의 전후방향의 거리를 검지하는 두부 위치 검지부와, 상기 두부 위치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구동 기구를 정지시킴으 로써 승무원의 두부와 상기 헤드레스트 전면의 전후방향의 거리를 소정량으로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승무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전면의 거리가 소정량이 되는 소정 위치에서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소정 시간 정지시켰을 때에, 상기 헤드레스트 전측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후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20067017488A 2004-01-30 2005-01-28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 KR200601294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4292 2004-01-30
JPJP-P-2004-00024292 2004-01-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739A Division KR100901926B1 (ko) 2004-01-30 2005-01-28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418A true KR20060129418A (ko) 2006-12-15

Family

ID=348239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739A KR100901926B1 (ko) 2004-01-30 2005-01-28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KR1020067017488A KR20060129418A (ko) 2004-01-30 2005-01-28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739A KR100901926B1 (ko) 2004-01-30 2005-01-28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18091B2 (ko)
EP (1) EP1712406B1 (ko)
JP (1) JP4754354B2 (ko)
KR (2) KR100901926B1 (ko)
CN (1) CN1914064B (ko)
DE (1) DE602005027176D1 (ko)
WO (1) WO20050730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42B1 (ko) * 2009-02-17 2011-02-22 대원정밀공업(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325765B1 (ko) * 2006-12-22 2013-11-04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충돌에 반응하는 헤드 지지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401A2 (en) * 2010-09-03 2012-03-08 Arjuna I Rajasingham Vehicle occupant support
JP4436238B2 (ja) * 2004-11-26 2010-03-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DE102005010594B4 (de) * 2005-03-08 2010-09-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JP4690085B2 (ja) * 2005-03-23 2011-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GB2424363B (en) * 2005-03-24 2008-07-16 Autoliv Dev Active headrest with lock mechanism
JP4770314B2 (ja) * 2005-07-27 2011-09-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DE102005048279A1 (de) * 2005-10-08 2007-04-12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anordnung mit einer elektrischen Verstellung
JP4294629B2 (ja) * 2005-10-17 2009-07-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JP4018713B2 (ja) 2005-11-17 2007-12-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JP4018112B2 (ja) * 2005-11-17 2007-12-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JP4569456B2 (ja) * 2005-12-02 2010-10-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移動制御方法及び移動制御装置
EP1961608A4 (en) * 2005-12-12 2015-11-25 Aisin Seiki VEHICLE SEAT
JP2007203758A (ja) * 2006-01-30 2007-08-16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US8109567B2 (en) * 2006-10-31 2012-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material actuated headrest utilizing bar linkage deployment system
US7883148B2 (en) * 2007-04-12 2011-0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material head restraint assembly
US7766423B2 (en) * 2007-04-12 2010-08-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head restraint assembly
JP4358255B2 (ja) * 2007-04-20 2009-11-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202007008641U1 (de) 2007-06-20 2007-11-29 Köz, Zakir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7041496B3 (de) * 2007-08-31 2009-02-26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US7894960B2 (en) * 2008-04-01 2011-02-22 Lear Corporation Activ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JP5262356B2 (ja) * 2008-07-01 2013-08-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8205941B2 (en) 2008-07-30 2012-06-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ctiv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DE102009051801A1 (de) * 2008-11-03 2010-07-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Washington Aktiv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IT1392816B1 (it) * 2009-02-13 2012-03-23 Comodo Italia S R L Struttura di poltrona o divano a configurazione variabile
DE102009014696A1 (de) * 2009-03-27 2010-09-30 Sitech Sitztechnik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Messung eines Hinterkopfabstandes einer Person zu einer Kopfstütze
DE202009005849U1 (de) * 2009-04-21 2010-09-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insassen
JP5578961B2 (ja) * 2010-06-24 2014-08-27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
JP5154613B2 (ja) * 2010-08-05 2013-02-27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
US9090184B2 (en) * 2011-02-15 2015-07-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headrest device
US8698639B2 (en) 2011-02-18 2014-04-1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9292471B2 (en) 2011-02-18 2016-03-22 Honda Motor Co., Ltd. Coordinated vehicl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US9383872B2 (en) 2011-03-16 2016-07-05 Lear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seat assembly
US8781689B2 (en) * 2011-03-16 2014-07-15 Lear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head restraint
EP2540565B1 (en) * 2011-07-01 2020-02-26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a head rest arrangement with an adjustable head cush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ehicle seat
CN102285325A (zh) * 2011-09-23 2011-12-21 吉林大学 汽车座椅主动安全头枕装置
US9174574B2 (en) 2011-10-19 2015-11-03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feature responsive to an imaging sensor having an exterior rearward field of view and before a collision occurs
CN102407789B (zh) * 2011-11-18 2013-10-23 江苏大学 电磁驱动式碰撞主动响应头枕及其控制方法
JP5925575B2 (ja) * 2012-04-23 2016-05-25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EP2867061A4 (en) 2012-06-27 2016-04-06 Porter Group Llc ARRANGEMENT OF A VEHICLE HEADREST WITH VERTICAL AND LENGTH ADJUSTMENT
US9789795B2 (en) * 2012-09-26 2017-10-17 Ts Tech Co., Ltd. Head rest
JP6022590B2 (ja) * 2012-09-26 2016-11-0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US9751534B2 (en) 2013-03-15 2017-09-0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499856B2 (en) 2013-04-06 2019-12-10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with highly auto-correlated carrier sequences
KR101576377B1 (ko) * 2014-07-01 2015-12-1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US9925659B1 (en) * 2014-07-01 2018-03-27 David L. Clemmer Mechanic's creeper and headrest
CN107107796B (zh) * 2015-01-23 2020-05-12 株式会社三角工具加工 头枕的制造方法以及头枕
EP3257402B1 (en) * 2015-02-14 2022-01-05 Delta Tooling Co., Ltd. Headrest having speaker
CN104802678B (zh) * 2015-04-28 2018-04-1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安全头枕及其头枕控制器和控制方法
US9987958B2 (en) * 2015-10-26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ick disconnect headrest
EP3423301B1 (de) * 2016-02-29 2020-04-08 Jifeng Automotive Interior GmbH Kopfstütze mit verbesserter verstelleinrichtung
US9789794B1 (en) 2016-07-19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head restraint
JP6879864B2 (ja) * 2017-08-25 2021-06-02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DE102018109611B4 (de) * 2018-04-10 2022-04-21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US10953810B2 (en) * 2018-11-01 2021-03-23 Safran Seats Usa Llc Impact bracket stress-deformation release mechanism
US11760246B2 (en) 2022-01-13 2023-09-19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djustment of a vehicle headrest
US11858395B2 (en) 2022-01-13 2024-01-02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djustment of a vehicle headrest using gestur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329A (en) * 1971-07-16 1975-06-10 James Monaghan Vehicle safety device
GB2194729B (en) * 1986-09-04 1990-03-14 Gen Motors Corp Improved vehicle headrest
JPH01229737A (ja) 1988-03-09 1989-09-13 Kunimatsu Kogyo Kk ヘッドレスト自動調整装置
US6784379B2 (en) * 1995-06-07 2004-08-3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rrangement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n occupying item of a seat
US6088640A (en) * 1997-12-17 2000-07-1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head of an occupant in the presence of objects that obscure the head
US5694320A (en) 1995-06-07 1997-12-02 Automotive Technologies Intl, Inc. Rear impact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6746078B2 (en) * 1997-12-17 2004-06-0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 headrest based on anticipatory sensing
US6196579B1 (en) * 1998-09-24 2001-03-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ar impact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3829517B2 (ja) 1999-02-16 2006-10-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DE19916804C1 (de) * 1999-04-14 2000-08-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Justieren einer Fahrzeugkopfstütze sowie ein Verfahren unter Verwendung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JP3750422B2 (ja) * 1999-06-18 2006-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9941712C1 (de) * 1999-09-02 2000-10-26 Daimler Chrysler Ag Fahrzeugsitz
US6331014B1 (en) * 2000-07-11 2001-12-1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seats including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JP2002039739A (ja) * 2000-07-19 2002-02-06 Olympus Optical Co Ltd 衝突防止センサ
US6568754B1 (en) * 2000-10-30 2003-05-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pandable, redeployable automotive headrest
EP1276634A1 (de) * 2001-02-24 2003-01-22 Keiper GmbH & Co.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JP4014938B2 (ja) 2002-06-06 2007-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6863343B2 (en) 2002-06-26 2005-03-08 Nissan Motor Co., Ltd. Vehicle headrest apparatus
JP3915648B2 (ja) 2002-09-30 2007-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4690085B2 (ja) * 2005-03-23 2011-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JP4654815B2 (ja) * 2005-07-26 2011-03-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JP4294629B2 (ja) * 2005-10-17 2009-07-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65B1 (ko) * 2006-12-22 2013-11-04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충돌에 반응하는 헤드 지지부
KR101016842B1 (ko) * 2009-02-17 2011-02-22 대원정밀공업(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7176D1 (de) 2011-05-12
US20070257528A1 (en) 2007-11-08
KR100901926B1 (ko) 2009-06-10
EP1712406B1 (en) 2011-03-30
CN1914064A (zh) 2007-02-14
CN1914064B (zh) 2013-09-11
EP1712406A1 (en) 2006-10-18
JP4754354B2 (ja) 2011-08-24
WO2005073019A1 (ja) 2005-08-11
KR20080072969A (ko) 2008-08-07
US7618091B2 (en) 2009-11-17
EP1712406A4 (en) 2009-05-06
JPWO2005073019A1 (ja)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926B1 (ko)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US7484797B2 (en) Head rests
US7717507B2 (en) Head rests
US7073856B2 (en) Head rests
US7963598B2 (en) Head rest control systems
RU24427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ассажира
KR20030078918A (ko) 시트 벨트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의 제어 방법
US7791462B2 (en) Occupant detecting apparatus
ITRM950124A1 (it) Dispositivo per riconoscere lo stato di occupazione di un sedile di un autoveicolo.
US20090062989A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6367837B1 (en) Seated-state detection sensor and passenger seat air bag device control system employing the seated-state detection sensor
JP6722758B2 (ja) 一体型ブラケッ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CN114364630A (zh) 高空作业车的上方障碍物碰撞防止方法和碰撞防止装置
JP3812905B2 (ja) 乗員検知装置
JP3783409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3371411B2 (ja) 無人搬送車の障害物検知装置
KR102061841B1 (ko)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 안전 작동 제어 장치
JP2725968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H0718912A (ja) 駐車装置
JP4675621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US5004268A (en) Mechanism for positional adjustment of anchor for webbing in passive seat belt system for vehicle
KR100197883B1 (ko) 충돌 사전 감지 및 시트 자동 후진 장치
JP2542578Y2 (ja) 2ドア車の助手席の移動装置
EP1457382A2 (en) Anti-trap device for a lift platform
CN114987298A (zh) 容易进入第三排的座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