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842B1 - 액티브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액티브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842B1
KR101016842B1 KR1020090012815A KR20090012815A KR101016842B1 KR 101016842 B1 KR101016842 B1 KR 101016842B1 KR 1020090012815 A KR1020090012815 A KR 1020090012815A KR 20090012815 A KR20090012815 A KR 20090012815A KR 101016842 B1 KR101016842 B1 KR 10101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uide cover
guide
spr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741A (ko
Inventor
진우재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09001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8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프론트 커버의 상단부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와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프론트 커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커버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착석자에게 보다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품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와 프론터 가이드 커버 사이에 착석자의 손이 들어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과 가이드 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수단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프론트 커버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에 밀착시킬 시에 작동 박스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에 의해 구속되는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의 양측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어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상단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양측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측을 리어 가이드 커버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동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티브 헤드레스트, 유동 방지부재, 시트, 차량, 후방 충돌

Description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어 차량의 후방 충돌 시에 프론트 커버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착석자의 목 부위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경기술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 충돌 시에는 관성력에 의해 차량 내부에 탑승한 착석자의 머리가 시트의 후방부 방향으로 꺾이게 됨으로써 목 부위의 부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후방 충돌 시에 관성력에 의해 착석자의 머리가 시트의 후방부 방향으로 꺾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방 충돌이 발생되면 헤드 레스트가 시트의 전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시트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착석자의 목 부위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액티브 헤드레스 트가 개발되어 차량 시트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59032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충돌에 반응하는 헤드 지지부'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헤드 지지로드(3)의 상단부 전방에 부착되는 후방 캐리어부(5b)와, 상기 후방 캐리어부(5b)의 전방부에 부착되는 전방 캐리어부(5a)로 구성된 캐리어(5)와, 양측 끝단부가 전방 캐리어부(5a)에 의해 지지되도록 캐리어(5)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스프링(21)과, 상기 전방 캐리어부(5a)와 후방 캐리어부(5b)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양측 끝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체결되는 견인 지지부(41)와, 상기 캐리어(5)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걸쇠(33)에 의해 스프링(21)의 중앙부를 구속하는 작동기 박스(35)와, 상기 캐리어(5)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 진동 유닛(15)과, 상기 하부 진동 유닛(15) 및 견인 지지부(41)에 연결되는 충격소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차량의 후방 충돌 발생시 상기 작동기 박스(35)가 작동되어 걸쇠(33)가 상승되어 상기 걸쇠(33)에 의해 구속된 스프링(21)이 구속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21)의 중앙부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원됨에 따라 충격소자(13)가 전방부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견인 지지부(41)는 가이드 홈을 따라 상승을 하게 되고, 하부 진동 유닛(1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충격소자(13)가 시트의 전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착석 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충격소자(13)가 캐리어(5)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단순히 스프링(21)만 걸쇠(33)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견인 지지부재(41)는 단순히 캐리어(5)의 가이드 홈에만 슬라이딩 체결된 상태로써 상기 견인 지지부재(41)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충격소자(13)의 상단부가 캐리어(5)의 전방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유격이 발생되는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충격소자(13)에 작은 힘만 가해도 상기 충격소자(13)가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착석자에게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없으며, 상품 가치가 떨어지고, 특히 충격소자(13)와 캐리어(5) 사이에 착석자의 손이 들어가 끼이게 됨으로써 상해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프론트 커버의 상단부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와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프론트 커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커버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착석자에게 보다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품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와 프론터 가이드 커버 사이에 착석자의 손이 들어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후방부에 충돌이 발생되면 작동 박스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에 의해 구속된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이 구속 해제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프론트 커버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하부 지지부재는 프론트 커버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이드 부재는 프론트 가이드 커버와 리어 가이드 커버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과 가이드 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수단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프론트 커버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에 밀착시킬 시에 작동 박스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에 의해 구속되는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의 양측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어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상단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양측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측을 리어 가이드 커버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동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 방지부재는,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정면의 형상이'U'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회전 고정부; 상기 한 쌍의 회전 고정부의 일측 끝단부에 연장되어 회전 고정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 가압부; 상기 한 쌍의 회전 고정부의 타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정면의 형상이'n'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된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의 타측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고정부는, 측면부의 형상이 'V'자 형상이 되도록 일측 끝단부가 가이드 부재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일측을 지지하여 유동 방지부재가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스토퍼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유동 방지부재의 양측 끝단부가 안착되도록 상부면 후방에는 안착 홈이 형성되는 지지돌기; 상기 지지돌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천공된 삽입 홀; 및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삽입 홀의 상단부에서 지지돌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안착 홈에 안착되는 유동 방지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 홀 내부로 삽입된 후 유동 방지부재가 안착 홈에 완전히 안착된 다음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여 상기 유동 방지부재의 양측 끝단부를 탄성 지지하여 유동 방지부재가 안착 홈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프론트 커버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시에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의 양측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유동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프론트 커버의 상단부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와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프론트 커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커버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석자에게 보다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고, 상품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와 프론터 가이드 커버 사이에 착석자의 손이 들어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해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프론트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프론트 커버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프론트 커버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리어 가이드 커버(10), 프론트 가이드 커버(11),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 하부 지지부재(13), 작동박스(14), 가이드 부재(15), 프론트 커버(16), 유동 방지부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1)의 리어 가이드 커버(10)는, 다수개의 고정부재(19)에 의해 폴 가이드(18)의 상단부 전방에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는, 상기 리어 가이드 커버(10)의 전방면에 부착되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양측면 후방부는 물결무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가이드 커버(10)의 양측면 전방부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리어 가이드 커버(10)의 전방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와 리어 가이드 커버(10)의 양측면 사이에는 가이드 홈(1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양측면 후방부 상단에는 걸림 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은,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양측 끝단부는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후방부에서 전방부 방향으로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를 관통하여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13)는,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양측면에 양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작동박스(14)는, 폴 가이드(18)를 통해 제공되는 충돌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신호 전달라인(20)과 연결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작동박스(14)의 전방부에는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5)는 양측 끝단부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와 리어 가이드 커버(10)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 홈(100)에 삽입 체결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6)는, 후방면 상단부가 가이드 부재(15)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후방면 하단부는 하부 지지부재(13)의 중앙부와 연결된다.
상기 유동 방지부재(17)는,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과 가이드 부재(15)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수단(111)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 방지부재(17)는,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수단(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정면의 형상이'U'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회전 고정부(170)와, 상기 한 쌍의 회전 고정부(170)의 일측 끝단부에 연장되어 회전 고정부(17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 가압부(171)와, 상기 한 쌍의 회전 고정부(170)의 타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정면의 형상이'n'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된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172)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172)의 타측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17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11)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유동 방지부재(17)의 양측 끝단부가 안착되도록 상부면 후방에는 안착 홈(111a')이 형성되는 지지돌기(111a)와, 상기 지지돌기(111a)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천공된 삽입 홀(111b) 및,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삽입 홀(111b)의 상단부에서 지지돌기(111a)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안착 홈(111a')에 안착되는 유동 방지부재(17)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 홀(111b) 내부로 삽입된 후 유동 방지부재(17)가 안착 홈(111a')에 완전히 안착된 다음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여 상기 유동 방지부재(17)의 양측 끝단부를 탄성 지지하여 유동 방지부재(17)가 안착 홈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동 방지부재(17)를 고정수단(111)에 원터치 형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판(111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고정부(170)는, 측면부의 형상이 'V'자 형상이 되도록 일측 끝단부가 가이드 부재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17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172)의 일측을 지지하여 유동 방지부재(17)가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스토퍼(112)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회전 방지 스토퍼(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16)가 돌출된 상태에서 유동 방지부재(17)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유동 방지부재(17)가 화살표 B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프론트 커버(16)를 다시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킬 시에 유동 방지부재(17)가 가이드 부재(15)에 밀려 항상 화살표 A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작동 과정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후방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에 프론트 커버(16)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에 의해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중앙부가 구속됨으로써 프론트 커버(16)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에 충격이 가해져 충돌센서(도시되 지 않음)에 의해 발생된 작동신호가 작동신호 전달라인(20)을 통하여 작동 박스(14)에 입력되면, 상기 작동 박스(14)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가 상승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 박스(14)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가 상승을 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에 의해 구속된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구속이 해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에 의해 구속되어 압축되어 있던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중앙부가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6)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방향으로 밀어 돌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후방면 하단부와 연결된 하부 지지부재(13)는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6)와 연동되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6)의 후방면 상단부와 연결된 가이드 부재(15)는 가이드 홈(100)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승을 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가이드 홈(100)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승을 하는 가이드 부재(15)의 양측 끝단부가 가이드 홈(100)의 상단부에 다다르게 되면 'U'자 형태로 절곡된 가이드 부재(15)의 양측 끝단부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양측면 후방부 상단에 형성된 걸림 홈(110)에 걸려 구속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15)가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아 프론트 커버(16) 또한 더 이상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중앙부가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중앙부에 의해 가압되어있던 유동 방지부재(17)의 스프링 지지부(172)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홈(100)을 따라 상승되는 가이드 부재(15)에 의해 가이드 부재 가압부(171)가 밀리게 되어 유동방지 부재(17)가 고정수단(111)을 중심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차량의 후방 출돌 시에 프론트 커버(16)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착석자의 목 부위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프론트 커버(16)를 다시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프론트 커버(16)를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프론트 커버(16)의 후방면 상단부와 연결된 가이드 부재(15)는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와 리어 가이드 커버(10)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하강을 하게 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16)의 후방면 하단부와 연결된 하부 지지부재(13)는 상기 프론트 커버(16)와 연동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을 되어 프론트 커 버(16)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6)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측으로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커버(16)의 후방면에 의해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중앙부가 가압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어 압축된다.
이때, 유동 방지부재(17)의 스프링 지지부(172)는 상기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어 압축되는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양측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172)가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유동 방지부재(17)는 고정수단(111)을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유동 방지부재(17)의 가이드 부재 가압부(171)가 가이드 부재(15)의 양측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1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프론트 커버(16)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측으로 더 이동시켜 프론트 커버(16)의 후방면이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과 밀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중앙부가 작동 박스(14)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에 구속됨으로써 프론트 커버(16)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동 방지부재(17)의 회전 고정부(170)는, 측면부의 형상이 'V'자 형상이 되도록 일측 끝단부가 가이드 부재(15)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유동 방지부재(17)의 스프링 지지부(172)가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더 가압되어 압축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 고정부(170)의 일측 끝단부에 절곡 형성된 가이드 부재 가압부(171)가 보다 강력한 힘 으로 가이드 부재(15)의 양측을 리어 가이드 커버(10) 측으로 밀어서 지지함으로써 가이드 부재(15)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1)는, 프론트 커버(16)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시에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15)의 양측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유동 방지부재(17)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프론트 커버(16)의 상단부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와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프론트 커버(1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커버(16)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석자에게 보다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고, 상품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16)와 프론터 가이드 커버(11) 사이에 착석자의 손이 들어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해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프론트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사시도.
도 4는 프론트 커버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프론트 커버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티브 헤드레스트 (10) : 리어 가이드 커버
(11) : 프론트 가이드 커버 (12) :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
(13) : 하부 지지부재 (14) : 작동 박스
(15) : 가이드 부재 (16) : 프론트 커버
(17) : 유동 방지부재 (18) : 폴 가이드
(19) : 고정부재 (20) : 작동신호 전달라인

Claims (5)

  1. 차량 후방부에 충돌이 발생되면 작동 박스(14)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에 의해 구속된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이 구속 해제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프론트 커버(16)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하부 지지부재(13)는 프론트 커버(16)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이드 부재(15)는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와 리어 가이드 커버(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0)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16)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상부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과 가이드 부재(15)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구비된 고정수단(111)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프론트 커버(16)를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에 밀착시킬 시에 작동 박스(14)의 스프링 구속용 걸쇠(140)에 의해 구속되는 프론트 커버 돌출용 스프링(12)의 양측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어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상단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양측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 부재(15)의 양측을 리어 가이드 커버(10)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동 방지부재(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액티브 헤드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재(17)는,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구비된 고정수단(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정면의 형상이'U'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회전 고정부(170);
    상기 한 쌍의 회전 고정부(170)의 일측 끝단부에 연장되어 회전 고정부(17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 가압부(171);
    상기 한 쌍의 회전 고정부(170)의 타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정면의 형상이'n'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된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172);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172)의 타측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1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부(170)는,
    측면부의 형상이 'V'자 형상이 되도록 일측 끝단부가 가이드 부재(15)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17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172)의 일측을 지지하여 유동 방지부재(17)가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스토퍼(112)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11)은,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유동 방지부재(17)의 양측 끝단부가 안착되도록 상부면 후방에는 안착 홈(111a')이 형성되는 지지돌기(111a);
    상기 지지돌기(111a)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면 중앙부 양측에 천공된 삽입 홀(111b); 및
    상기 프론트 가이드 커버(11)의 전방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삽입 홀(111b)의 상단부에서 지지돌기(111a)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안착 홈(111a')에 안착되는 유동 방지부재(17)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 홀(111b) 내부로 삽입된 후 유동 방지부재(17)가 안착 홈(111a')에 완전히 안착된 다음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여 상기 유동 방지부재(17)의 양측 끝단부를 탄성 지지하여 유동 방지부재(17)가 안착 홈(111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판(111c);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20090012815A 2009-02-17 2009-02-17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01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15A KR101016842B1 (ko) 2009-02-17 2009-02-17 액티브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15A KR101016842B1 (ko) 2009-02-17 2009-02-17 액티브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741A KR20100093741A (ko) 2010-08-26
KR101016842B1 true KR101016842B1 (ko) 2011-02-22

Family

ID=4275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815A KR101016842B1 (ko) 2009-02-17 2009-02-17 액티브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04B1 (ko) * 2011-12-22 2013-11-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311B1 (ko) * 2011-01-19 2013-01-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모듈
WO2013154211A1 (ko) * 2012-04-10 2013-10-17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418A (ko) * 2004-01-30 2006-12-15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
JP2008035999A (ja) 2006-08-03 2008-02-21 Toyota Boshoku Corp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KR20100029478A (ko) * 2008-09-08 2010-03-17 다이모스(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418A (ko) * 2004-01-30 2006-12-15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헤드레스트 제어 장치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
JP2008035999A (ja) 2006-08-03 2008-02-21 Toyota Boshoku Corp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KR20100029478A (ko) * 2008-09-08 2010-03-17 다이모스(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04B1 (ko) * 2011-12-22 2013-11-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741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9958B2 (en) Four-way adjustable headrest
JP4850476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837910B1 (ko)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높이 유지 장치
KR101063386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및 그 엑츄에이터
JP5091574B2 (ja) 車両用シート
WO2003006275A1 (en) A head-rest arrangement
EP2030835B1 (en) Vehicle seat
KR10101684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US20200247294A1 (en) Positioning device for vehicular seat
KR100825110B1 (ko)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KR1013266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JP2010089581A (ja) 乗物用シート
JP2001163101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JP4327708B2 (ja) 車両用シート
CN108928269B (zh) 儿童座椅
KR200435295Y1 (ko) 충격흡수용 헤드레스트
KR10082320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JP2008074295A (ja) 車両用シート
JP2019209772A (ja) 子供乗員保護装置
KR200420215Y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헤드레스트
KR10117051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EP2014506A1 (en) Motor-vehicle seat having a headrest with an anti-whiplash upward sliding movement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KR10132266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머리받침대 수평 이동방법 및 그 장치
JP5077667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