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110B1 -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110B1
KR100825110B1 KR1020060077184A KR20060077184A KR100825110B1 KR 100825110 B1 KR100825110 B1 KR 100825110B1 KR 1020060077184 A KR1020060077184 A KR 1020060077184A KR 20060077184 A KR20060077184 A KR 20060077184A KR 100825110 B1 KR100825110 B1 KR 10082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rotation angle
chil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613A (ko
Inventor
이덕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순성산업
Priority to KR102006007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1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안전벨트가 통과되는 앞보기 및 뒷보기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시트와, 시트에 대해 한 조의 로드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시 시트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를 다단계로 회전시키기 위한 베이스와, 시트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 그의 일단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면서 시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조절수단과, 이 회전각도조절수단을 사용자가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의 전방측 저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어린이 보호장치에 있어서, 회전각도조절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가 일체 형성되고, 링크 선단부 상면에 걸림부재로 구성되어 차량의 뒷좌석 등받이에 대해 견고하게 밀착시켜 차량의 충돌시 관성력에 의한 사고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고 보호장치를 회전시켜 가장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어린이를 차량에 탑승시킬 수 있다.
보호장치, 시트(seat), 베이스, 회전각도조절수단, 걸림부재

Description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Child Restraints for Automobi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린이 보호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를 결합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구성요소인 회전각도조절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장치가 다단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 12 : 가이브부
12a,12b : 앞보기 및 뒷보기용 관통공 12c,22c : 끼움공
14 : 홀더 16 : 가이드레일
20 : 로드 22 : 베이스
22a,22b,24a,24b : 제1 및 제2가이드공 24,26 : 제1 및 제2호형면
24c : 걸림공 30 : 손잡이
40 : 케이스 42 : 핀
44 : 링크 46 : 토션스프링
50 : 걸림부재 52 : 프레임
54 : 걸림돌기 56 : 코일스프링
60 : 회전각도조절수단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로 구속되는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등받이에 대해 보호장치를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시보호장치의 유동 및 이동량을 최소로 줄이고, 어린이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쇠시켜 사고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며, 특히 보호장치를 다단계로 회전시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어깨와 골반을 동시에 구속하여 차량의 충돌, 추돌 등 사고위험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안전벨트는 비교적 신체가 작은 유아나 어린이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적절하게 사용할 수 없다. 즉, 안전벨트를 사용하여 어린이를 직접 구속할 경우에 있어서는 어린이의 목 부위로 안전벨트가 지나가기 때문에 차량의 급정거, 충돌 등의 상황이 발생될 때 오히려 안전벨트 로 인한 질식사 등의 위험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어린이를 보호장치에 앉혀 차량을 운행하도록 규제화하고 있다. 즉, 차량의 안전벨트를 사용하여 직접 어린이를 구속하지 않고, 별도의 보호장치를 구속함으로써 어린이를 사고위험으로 보호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다양한 어린이 보호장치가 개발 시판되고 있다. 어린이 보호장치는 통상 등받이와 바닥면이 일체로 된 의자형태로 시트(seat)와, 어린이의 양 어깨를 구속하기 위하여 시트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벨트로 구성되어 차량의 뒷좌석 상부에 위치시킨 후 차량의 안전벨트로 구속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제작된 어린이 보호장치는 차량의 등받이에 대해 견고하게 밀착되지 않아 차량의 급정거 또는 충돌시 관성력에 의해 차량과 동일한 방향으로 보호장치가 이동함은 물론 보호장치에 앉아있는 어린이의 다리 및 머리 등이 운전석 또는 보조석 뒷부분에 부딪칠 뿐 아니라, 보호장치가 정형화됨에 따라 장거리 운행시 불편성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뒷좌석 등받이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보호장치를 밀착시켜 차량의 충돌시 유동 및 이동량을 최소로 줄여 이차적인 사고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장치를 차량의 뒷좌석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단계로 회전시킴으로써, 어린이를 가장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차량의 안전벨트가 통과되는 앞보기 및 뒷보기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가 일체로 성형되며, 그의 상부에 어린이를 앉힐 수 있도록 섬유재가 덮혀 씌워지는 시트와, 시트에 대해 한 조의 로드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시 시트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를 다단계로 회전시키기 위한 베이스와, 시트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 그의 일단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면서 상기 시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조절수단과, 이 회전각도조절수단을 사용자가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의 전방측 저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호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는 어린이를 앉힐 수 있도록 섬유재가 덮혀 씌워지는 통상적인 시트(seat)(10)와, 시트에 대해 한 조의 로드(20)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시 시트(1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단계로 회전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베이스(22)와, 시트(10)의 하면에 고정되며 베이스(22)에 그의 일단부가 걸리거나 분리되어 시트(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조절수단과, 이 회전각도조절수단을 사용자가 동작시키기 위해 시트(10)의 전방측 저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된다.
시트(10)는 통상적으로 난연성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이의 저면에는 베이스(22)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부(12)가 일체로 성형되며, 가이드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에 일반적으로 설치된 안전벨트가 통과되는 앞보기 및 뒷보기용 관통공(12a)(12b)과, 한 조의 로드가 각각 끼워지는 끼움공(12c)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12) 사이에는 회전각도조절수단을 나사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14)가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시트(10)의 전방측 저면에는 손잡이(3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가이드레일(16)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2) 바닥면에는 시트(10)에 성형된 가이드부(12)와 회전각도조절수단의 외면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촉되는 제 1 및 제 2호형면(24)(26)이 형성되며, 제1호형면(24)에는 다수개의 걸림공(24c)이 마련되어 있고, 베이스(22) 내측 및 제1호형면(24)의 양벽면에는 한 조의 로드(20)가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시트(10)의 회전에 따라 로드(20)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상의 제 1 및 제 2가이드공(22a)(22b),(24a)(24b)이 형성되며, 베이스(22)의 외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벽에는 한 조의 로드(20)를 공지의 방법으로 끼울 수 있도록 끼움공(22c)을 갖는다.
상기 제 2호형면(26)은 주지된 바와 같이 제 1호형면(24)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소정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시트(10)의 회전 운동시 가이드부(12)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다수개의 걸림공(24c)은 시트(10)의 회전각도에 적합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 조의 로드(20)는 가이드부(12) 및 베이스(22)에 각각 형성된 끼움공(12c)과 제 1,2가이드공(22a)(22b)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차량의 급정거 또는 충돌시 베이스(22)에 대해 시트(10)의 분리를 예방할 뿐 아니라, 차량의 안전벨트가 통과된 앞보기 및 뒷보기용 관통공(12a)(12b)을 따라 전달되는 충격력을 보호장치 전체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한 조의 로드(20) 양끝단에는 와셔(도시되지 않음)를 끼워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각도조절수단은 시트(10)의 홀더(14)에 대해 나사로 고정되며 그의 하단부 양측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케이스(40)와, 케이스(40) 내부에 핀(42)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손잡이(30)에 형성된 삽입공(30a)으로 그의 상단부분이 삽입되는 L자 형상의 링크(44)와, 링크(44)의 하면 중앙에 위치되고 핀(42)에 개재되어 링크(44)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46) 및 링크(44) 선단부 상면에 안착되어 링크(44)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부재(50)로 구성된다.
걸림부재(50)는 링크(44) 선단부 상면에 접촉되는 프레임(52)과 이의 양측에 위치되고 케이스(40)에 형성된 삽입공(40a)으로 삽입되어 제1호형면(24)의 걸림공(24c)에 걸리는 걸림돌기(54)와 걸림돌기(54) 상부에 끼워져 걸림공(24c)으 로부터 걸림돌기(5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52)을 가압하는 코일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링크(44) 선단부와 이에 접촉되는 프레임(52) 하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찰력 및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상호간에 접촉을 하게 하여 링크(44)의 회전운동과 프레임(52)의 상,하운동을 원활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방법으로 만곡면(44a)(52a)이 각각 가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트(10) 하면에 돌출 성형된 가이드돌기(16)에 손잡이(30)를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한 다음 케이스(40) 내부에 토션스프링(46)이 개재되도록 링크(44)를 핀(42)으로 끼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프레임(52)을 링크(44) 선단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걸림돌기(54) 상부에 코일스프링(56)을 끼워 회전각도조절수단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걸림돌기(54) 하단부는 케이스(40)에 형성된 삽입공(40a)을 통과하며, 링크(44)와 프레임(52)에 각각 가공된 만곡면(44a)(52a)이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링크(44)의 상단부를 손잡이(30)에 형성된 삽입공(30a)으로 삽입시키면서 케이스(40)를 시트(10)에 성형된 홀더(14)에 대해 나사로 고정시키면 걸림돌기(54)에 끼워진 코일스프링(56) 상단이 시트(10)의 저면과 맞닿음 되어 프레임(52)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각도조절수단이 고정된 통상의 시트(10)를 베이스(22) 상부에 안착시키면, 케이스(40)와 가이드부(12)의 바깥쪽 외면이 베이스(22) 바닥면에 형성된 제 1호형면(24) 및 제1호형면(24) 양측에 소정깊이로 함몰된 제 2호형면(26)과 맞닿음되며, 케이스(40)의 삽입공(40a)에 삽입된 걸림돌기(54)는 제 1호형면(24)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공(24c)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걸림공(24c)에 걸리게 된다. 그 후, 통상의 가이드부(12)와 베이스(22)에 각각 형성된 끼움공(12c)(22c)을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베이스(22)의 외벽에 형성된 끼움공(22c)으로 한 조의 로드(20)를 도 3과 같이 끼워 어린이 보호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보호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먼저 시트(10)를 차량의 뒷좌석에 위치시킨 다음 차량용 안전벨트를 가이드부(12)에 형성된 앞보기용 관통공(12a)으로 통과시킨 다음 버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킨다. 만약, 어린이가 가장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시트(10)의 각도를 조절할 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손잡이(30)를 사용자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손잡이(30)는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직선 이동함과 동시에 손잡이(30)의 삽입공(30a)으로 삽입된 링크(44)는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6)을 압축하면서 핀(4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링크(44)의 선단부에 안착된 프레임(52)은 코일스프링(56)을 압축시키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걸림돌기(54)를 제1호형면(24)의 걸림공(24c)으로부터 분리시켜 시트(10)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시트(10)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회전각도로 회전시키면 한 조의 로드(20)는 가이드부(12)와 베이스(22) 및 제 1호형면(24)에 형성된 제 1 및 제 2가이드공(22a)(22b)(24a)(24b)을 따라 이동한다. 그 후, 손잡이(30)를 놓으면 압축되어 있는 토션스프링(46)과 코일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서 링크(44) 및 프레임(52)이 각각 동시에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54)가 걸림공(24c)으로 걸리지 않고 베이스(22)의 바닥면 즉, 제 1호형면(24) 상에 걸림돌기(54)의 끝부분이 접촉되어 있을 때에는 시트(24)를 전,후방향으로 미소적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56)의 가압력에 의해서 걸림돌기(54)는 자연스럽게 걸림공(24c)에 걸리므로 시트(10)가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각도로 시트(10)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뒷보기로 사용할 경우 즉, 어린이를 차량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좌석시킬 때에는, 차량의 등받이와 보호장치가 서로 마주보게 한 다음 차량의 안전벨트를 가이드부(12)에 형성된 뒷보기용 관통공(12b)으로 통과시켜 차량용 버클에 고정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뒷좌석 등받이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켜 차량의 충돌시 보호장치의 유동 및 이동량을 최소로 줄여 이차적인 사고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고, 보호장치를 다단계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장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어린이를 차량에 탑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안전벨트가 통과되는 앞보기 및 뒷보기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가 일체로 성형되며, 그의 상부에 어린이를 앉힐 수 있도록 섬유재가 덮혀 씌워지는 시트(10)와,
    상기 시트에 대해 한 조의 로드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시 시트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를 다단계로 회전시키기 위한 베이스(22)와,
    상기 시트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 그의 일단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면서 상기 시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조절수단과,
    상기 회전각도조절수단을 사용자가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의 전방측 저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된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성형된 가이드부 사이에는 상기 회전각도조절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14)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상단부분이 삽입되는 L자 형상의 링크(44) 선단부 상면에 안착되어 링크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부재(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50)는 링크(44) 선단부 상면에 접촉되는 프레임(52)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40)에 형성된 삽입공(40a)으로 삽입되어 베이스의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54) 상부에 끼워져 베이스의 걸림공으로부터 걸림돌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을 가압하는 코일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6. 삭제
KR1020060077184A 2006-08-16 2006-08-16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KR10082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184A KR100825110B1 (ko) 2006-08-16 2006-08-16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184A KR100825110B1 (ko) 2006-08-16 2006-08-16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613A KR20080015613A (ko) 2008-02-20
KR100825110B1 true KR100825110B1 (ko) 2008-04-25

Family

ID=3938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184A KR100825110B1 (ko) 2006-08-16 2006-08-16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574B1 (ko) * 2015-08-12 2016-09-30 이재원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RU172584U1 (ru) * 2016-08-16 2017-07-13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Стройков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сиденье безопасности детско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172639U1 (ru) * 2016-08-16 2017-07-18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Стройков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сиденье безопасности детско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25B1 (ko) * 2008-07-17 2011-05-16 한재희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KR101594154B1 (ko) * 2014-10-21 2016-02-15 정종락 유아용 카시트
KR102044613B1 (ko) * 2017-12-28 2019-11-13 이지영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KR101982761B1 (ko) * 2018-02-01 2019-05-27 (유)삼송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418A (ja) * 1994-09-20 1996-04-02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KR960012613B1 (ko) * 1993-06-30 1996-09-23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KR200326757Y1 (ko) * 2003-06-10 2003-09-19 제일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각도조정장치
KR20050059767A (ko) * 2003-12-15 2005-06-21 이덕삼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613B1 (ko) * 1993-06-30 1996-09-23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JPH0885418A (ja) * 1994-09-20 1996-04-02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KR200326757Y1 (ko) * 2003-06-10 2003-09-19 제일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각도조정장치
KR20050059767A (ko) * 2003-12-15 2005-06-21 이덕삼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574B1 (ko) * 2015-08-12 2016-09-30 이재원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RU172584U1 (ru) * 2016-08-16 2017-07-13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Стройков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сиденье безопасности детско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172639U1 (ru) * 2016-08-16 2017-07-18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Стройков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сиденье безопасности детско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613A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37B1 (ko)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아동 안전 좌석
KR100825110B1 (ko)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KR101322436B1 (ko) 구조적 지지를 갖는 아동 안전 좌석
US9067516B2 (en) Child safety seat
US11077775B2 (en) Multi-position anti-rebound bar
US7992933B2 (en) Integrated vehicle seat with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GB2144323A (en) Safety seat assembly
JPH0826008A (ja) 衝撃エネルギ吸収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50343931A1 (en) Seat belt device for the vehicle seat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JP2019209772A (ja) 子供乗員保護装置
JP3799823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2168231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장치
KR100401587B1 (ko) 자동차 시트의 회전가능한 헤드레스트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KR101570201B1 (ko) 유아용 보호 장비
AU2022294143A1 (en) Child safety seat
KR0151767B1 (ko) 3점식 시트 벨트
KR100726730B1 (ko) 유아용 시트 고정장치
KR19980024381U (ko) 어린이 보호장치가 장착된 리어시트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KR200315550Y1 (ko) 헤드레스트 지지대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KR19990029827U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보호대 구조
KR19980037896U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구조물
KR19990029266U (ko) 자동차 시이트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