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574B1 -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 Google Patents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574B1
KR101657574B1 KR1020150114003A KR20150114003A KR101657574B1 KR 101657574 B1 KR101657574 B1 KR 101657574B1 KR 1020150114003 A KR1020150114003 A KR 1020150114003A KR 20150114003 A KR20150114003 A KR 20150114003A KR 101657574 B1 KR101657574 B1 KR 101657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eat
sliding
car
sliding block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이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원 filed Critical 이재원
Priority to KR102015011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9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simultaneous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놓여지면서 일측으로 향하여 상승 경사지는 제1슬라이딩블럭이 양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연결될 때 상기 제1슬라이딩블럭에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블럭을 구비하면서 등받이가 연결되는 카시트본체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카시트본체는 가변지지수단을 연결되어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A baby car seat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angle and heigh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놓여지면서 일측으로 향하여 상승 경사지는 제1슬라이딩블럭이 양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연결될 때 상기 제1슬라이딩블럭에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블럭을 구비하면서 등받이가 연결되는 카시트본체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카시트본체는 가변지지수단을 연결되어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대개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 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
종래의 카시트는 대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가 없는 의자 형태의 본체상에 쿠션재질의 포자가 전면 및 양측면에 둘러싸여 지고, 등받이 전면 상부로부터 바닥면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체결벨트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러한 카 시트에 앉혀지는 유아는 양 어깨를 지나 가랑이 사이로 체결되는 체결벨트에 의해서 몸체의 이동이 억제된다.
그런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카시트는 유아를 탑승시킨 후 체결벨트로 체결하게 되면 더이상 자세변화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시 매우 지루하고 따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350920호에 어린이 카시트의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및 도2에서와 같이, 의자 형태로써, 유아가 안착되는 착좌부와, 착좌부의 후부 양측면을 연결하여 안정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판(120) 및, 슬라이딩 지지판(120)의 측부 양측에 돌출되는 가이드봉(11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시트 본체(100)의 유동을 지지하도록 가이드봉(110)을 관통 결합하며, 슬라이딩 지지판(120)을 다양한 지점에서 임시고정하도록 다수개의 위치 조정홀(250)을 사이드면에 형성하고, 슬라이딩 지지판(120)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본체 가이드 수단과, 가이드봉(110)의 유동을 한정하여 본체(100)의 유동을 한정하도록 가이드봉 대향면에 제2본체가이드 수단을 형성한 받침판(200)과; 본체(100)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며, 일측 양끝단에 설치되는 위치조절봉(330)으로 받침판(200)의 위치 조정홀(250)중 어느 한 지점을 결합하여, 본체(100)가 유동중에 원하는 지점에서 받침판(200)에 고정되도록 하며, 바닥판(200)의 위치조절판 가이드 수단에 슬라이딩되는 위치조절판(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판 가이드수단은, 바닥판(200)의 내측벽에 'U'자형 채널형태로 형성된 홈(240)이고, 상기 제1본체 가이드수단은 바닥판의 바닥면 양측에 라운드진 홈(230)이며, 상기 제2본체 가이드수단은, 바닥면 내측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10)과 바닥면 외측 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200)의 후면에는 위치조절판(300)의 후진을 제한하는 스토퍼용 지지 벽(270)을 더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어린이 카시트는, 위치조절판(300)을 당기는 구성으로 조절봉(330)이 조정홈(250)에서 이탈되는 구성으로 조절봉을 움직이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가이드홀(210)에 지지되는 가이드봉(110)을 통하여 위치결정되어 본체의 회전에 따른 위치결정시 움직일 수 있어 정확한 위치결정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자석에 놓여지는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카시트본체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카시트본체의 각도 및 높이가 조절토록 설치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위치결정시 움직임이 방지토록 되며, 커버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등받이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isofix결합구의 장착 및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시트에 놓여지면서 일측으로 향하여 상승 경사지는 제1슬라이딩블럭이 양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연결될 때 상기 제1슬라이딩블럭에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블럭을 구비하면서 등받이가 연결되는 카시트본체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카시트본체는 가변지지수단을 연결되어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변지지수단은, 상기 카시트본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편과 위치결정편 및 상기 슬라이딩편 및 위치결정편에 각각 대응토록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과 슬라이딩면로서 이루어진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홀은 제1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면은 양측에 제2,3장착홀이 연결되면서 상기 제2,3장착홀에는 걸림턱이 각각 구비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등받이에는 지지턱을 갖는 봉이 설치되고, 상기 봉이 삽입토록 하면서 지지홈을 갖는 고정홀이 카시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카시트본체는 둘레를 따라 시트지지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시트본체는, 내측부 양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isofix 밴드가 접촉되는 슬라이딩블럭이 구비되면서 isofix결합구가 슬라이딩토록 연결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자석에 놓여지는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카시트본체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카시트본체의 각도 및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위치결정시 움직임이 방지되며, 커버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며, isofix결합구의 장착 및 동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카시트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및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용 베이스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용 베이스부와 카시트본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각도 및 높이조절상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등받이 연결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용 베이스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용 베이스부와 카시트본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각도 및 높이조절상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등받이 연결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카시트(100)는, 자동차의 시트에 isofix결합되는 카시트본체(110)와 상기 카시트본체(110)의 저부에 연결되면서 자동차의 시트 상측에 놓여지는 베이스(150)의 연결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카시트(100)는, 자동차의 시트에 놓여지면서 일측으로 향하여 상승 경사지는 제1슬라이딩블럭(151)이 양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50)와 상기 베이스부(150)의 상부에 연결될 때 상기 제1슬라이딩블럭(151)에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블럭(111)을 구비하면서 등받이(120)가 연결되는 카시트본체(11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50)와 카시트본체(110)는 가변지지수단(200)을 통하여 연결되어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지지수단(200)은, 상기 카시트본체(11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편(210)과 위치결정편(230) 및 상기 슬라이딩편 및 위치결정편이 각각 삽입토록 베이스부(15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220)과 슬라이딩면(240)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홀(220)에는 슬라이딩편이 용이하게 삽입토록 제1장착 홀(222)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면(240)의 양측에는 위치결정편이 삽입 및 배출토록 제2,3장착홀(241)(243)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3장착홀(241)(243)의 일측에는 위치결정편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걸림턱(242)(244)이 각각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카시트본체(110)에는 지지홈(114)을 갖는 봉(116)이 설치되고, 상기 봉(122)이 삽입되어 연결토록 등받이(120)에는 스토퍼(124)홈을 갖는 고정홀(126)이 구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카시트본체(110)는 둘레를 따라 커버지지홈(119)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시트본체(110)는, 내측부 양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isofix 밴드(310)가 접촉되는 슬라이딩블럭(118)이 구비되면서 isofix결합구(330)가 슬라이딩되어 노출 및 수납토록 수납홀(117)이 구비되고, 노브의 동작에 의해 isofix 밴드(310)를 지지하면서 가변이동토록 하는 결합유니트(350)이 일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카시트(100)는, 자동차의 시트에 isofix결합되는 카시트본체(110)와 상기 카시트본체(110)의 저부에 연결되면서 자동차의 시트 상측에 놓여지는 베이스부(150)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150)를 카시트본체(110)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당기거나 밀게 되는 구성을 통하여 베이스부(150)를 중심으로 카시트본체(110)의 각도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카시트(100)는, 자동차의 시트에 놓여지면서 일측으로 향하여 상승 경사지는 상부로 오목한 제1슬라이딩블럭(151)이 베이스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의 상부에 카시트본체(110)를 연결될 때 상기 제1슬라이딩블럭(151)에 대응토록 아래로 볼록한 제2슬라이딩블럭(111)이 카시트본체(110)에 설치되어 베이스부(150)를 중심으로 카시트본체(110)의 각도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50)와 카시트본체(110)는 가변지지수단(20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카시트본체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가변지지수단(200)은, 상기 카시트본체(11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편(210)과 위치결정편(230) 및 상기 슬라이딩편 및 위치결정편이 각각 삽입토록 베이스부(15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220)과 슬라이딩면(240)로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편(210)과 위치결정편(230)이 슬라이딩홀(220)과 슬라이딩면(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토록 되어 견고한 연결및 동작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홀(220)에는 제1장착홀(222)이 형성되어 슬라이딩편이 용이하게 삽입토록 되고, 상기 슬라이딩면(240)의 양측에는 제2,3장착홀(241)(243)이 각각 형성되어 위치결정편이 삽입 및 배출토록 된다.
이때, 상기 제2,3장착홀(241)(243)의 일측에는 위치결정편이 제1슬라이딩블럭을 따라 이동한 후 각각 삽입되어 지지토록 되는 제1,2걸림턱(242)(244)이 각각 구비되어 위치결정된 상태로 고정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편을 제1,2걸림턱에서 분리할 경우 카시트본체를 약간 들어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향시키면 분리되어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는 카시트본체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카시트본체(110)에는 지지홈(114)을 갖는 봉(116)이 설치되고, 상기 봉(122)이 삽입되어 연결토록 등받이(120)에는 스토퍼(124)홈을 갖는 고정홀(126)이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와 지지홈을 일치시켜 고정홀의 내측에 봉을 삽입하여 서로 고정토록 하고, 상기 등받이가 회전되면 봉에서 등받이의 이탈이 방지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카시트본체(110)는 둘레를 따라 커버지지홈(119)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장자리에 마름부를 갖는 커버의 커버지지홈을 따라 끼워 조립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커버를 카시트본체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시트본체(110)는, 내측부 양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isofix 밴드(310)가 접촉되는 슬라이딩블럭(118)이 구비되어 분리되는 isofix 밴드(310)가 간섭없이 지지토록 되고, isofix결합구(330)가 슬라이딩되어 노출 및 수납토록 수납홀(117)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isofix결합구(330)의 지지가 용이하게 되며, 상기 isofix결합구(330)를 앵커에 결합한 후 노브를 동작시키면 타이트한 조절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100...카시트 110...카시트본체
116...봉 120...등받이
124...스토퍼 150...베이스부
210...슬라이딩편 230...위치결정편
350...결합유니트

Claims (6)

  1. 자동차의 시트에 놓여지면서 일측으로 향하여 상승 경사지는 제1슬라이딩블럭이 양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적층 연결되면서 상기 제1슬라이딩블럭에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블럭을 구비하면서 등받이가 연결되는 카시트본체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카시트본체는 가변지지수단을 연결되어 일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상기 카시트본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편과 위치결정편 및 상기 슬라이딩편 및 위치결정편에 각각 대응토록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과 슬라이딩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홀은 제1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면은 양측에 제2,3장착홀이 연결되면서 상기 제2,3장착홀에 연결되어 위치결정편을 지지토록 제1,2걸림턱이 각각 구비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는 지지턱을 갖는 봉이 설치되고,
    상기 봉이 삽입토록 하면서 지지홈을 갖는 고정홀이 카시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시트본체는 둘레를 따라 시트지지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시트본체는, 내측부 양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isofix 밴드가 접촉되는 슬라이딩블럭이 구비되면서 isofix결합구가 슬라이딩 및 노출토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KR1020150114003A 2015-08-12 2015-08-12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KR10165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003A KR101657574B1 (ko) 2015-08-12 2015-08-12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003A KR101657574B1 (ko) 2015-08-12 2015-08-12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574B1 true KR101657574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003A KR101657574B1 (ko) 2015-08-12 2015-08-12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39A (ko)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911A (ja) * 1992-11-02 1994-05-24 Takata Kk 車両用小児拘束保護シート
JPH0717312A (ja) * 1993-06-30 1995-01-20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JP2007168582A (ja) * 2005-12-21 2007-07-05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825110B1 (ko) * 2006-08-16 2008-04-25 주식회사 순성산업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911A (ja) * 1992-11-02 1994-05-24 Takata Kk 車両用小児拘束保護シート
JPH0717312A (ja) * 1993-06-30 1995-01-20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JP2007168582A (ja) * 2005-12-21 2007-07-05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825110B1 (ko) * 2006-08-16 2008-04-25 주식회사 순성산업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39A (ko)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40935B2 (en) Footrest for car seat
RU2423061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дуга для детского стула
US8777322B2 (en) Child-restraint harness for juvenile vehicle seat
US8353559B2 (en)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for a base of safety seat
EP1961336B1 (en) Table Seat with rotatable sitting Portion
KR102173773B1 (ko)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US4391453A (en) Child stroller
US20080217983A1 (en) Long-legged chair structure
CN107264347A (zh) 具有可拆卸带定位器汽车座椅的儿童增高座椅
CN105416114B (zh) 肩带高度调整机构
US9039087B2 (en) Chair with integrated back plate cell
US6676212B1 (en) Child car seat having an adjustable armrest
KR101657574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어린이 카시트
US10596929B2 (en)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harness and adjustment mechanism
EP2165877B1 (en) Method of assembly of a supporting base for a child's car seat, base and child's car seat thus obtained
US9428143B2 (en) Seat with upwardly projecting harness straps
US9776534B2 (en) Car safety seat
CA2597775C (en) Fastening bracket
KR102054404B1 (ko) 차량 안전 벨트와 연동하는 장치
US6702379B2 (en) Movable seat protector for vehicle seat
KR101761109B1 (ko) 발받침대
KR101435508B1 (ko) 유아용 이동기구
KR20180131707A (ko) 의자
JP7478515B2 (ja) 子供用安全シート
KR20110030412A (ko) 컨버터블형 유아시이트용 시이트벨트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