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925B1 -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3925B1 KR101033925B1 KR1020080069769A KR20080069769A KR101033925B1 KR 101033925 B1 KR101033925 B1 KR 101033925B1 KR 1020080069769 A KR1020080069769 A KR 1020080069769A KR 20080069769 A KR20080069769 A KR 20080069769A KR 101033925 B1 KR101033925 B1 KR 101033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car seat
- lock block
- seat
-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유아에게 최적의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시트의 록킹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시트 보디가 어떠한 구속도 없이 자유롭게 선회 작동하도록 하여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카시트의 경사도를 조절함은 물론 경사도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견고한 록킹을 유지하면서 뛰어난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시트의 전, 후방에 각각 잠금블럭을 작동하기 위한 언록킹 노브 및 푸싱캡을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는 위치에 관계없이 전후 양방향에서 경사도 조절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유아, 카시트, 경사도, 조절, 선회, 잠금블럭, 언록킹 노브, 푸싱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유아에게 최적의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잠금블럭의 록킹을 해제한 후 시트 보디를 선회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카시트의 경사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은 물론 차량의 전,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카시트의 장착위치에 관계없이 전후 양방향에 설치된 언록킹 노브 및 푸싱캡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카시트의 경사도를 양방향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됨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격이 작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카시트는 대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가 없는 의자 형태의 시트 보디에 쿠션재질의 외장커버가 둘러싸여 지고, 상기 시트 보디는 시트 베이스 에 일체로 지지되거나 다양한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경사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유아의 연령에 따라 카시트의 경사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유아가 깨어 있거나 잠자는 경우에 따라서도 카시트의 경사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에게는 최적의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함은 물론 운전자는 유아에게 신경을 쓰지 않고 운전에만 전념이 가능함에 따라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유아용 카시트는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들이 안전을 이유로 하여 오로지 강성이 뛰어나고 견고하게만 제작됨으로써 경사도 조절에 많은 힘이 들어가거나 경사도 조절이 뻑뻑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또한, 카시트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거나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차량의 시트에 양방향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현실에도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언록킹 부재가 전방에만 설치됨에 따라 카시트를 후방으로 향하도록 장착한 상태에서는 경사도를 조절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언록킹 부재가 전방에만 설치됨에 따라 카시트를 전방으로 향하도록 장착한 상태에서는 언록킹 부재를 이용하여 카시트의 록킹을 해제한 후 경사도조절이 가능하지만 장착위치가 반대 방향인 경우에는 언록킹 부재를 조작할 수 없어 사실상 경사도조절이 불가능함에 따라 카시트의 장착위치에 관계없이 경사도 조절을 양방향에서 자유롭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소비자의 신뢰성을 떨어뜨려 이에 대한 개선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고자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언록킹 노브를 잡아당겨 카시트의 록킹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시트 보디가 어떠한 구속도 없이 자유롭게 선회 작동하도록 하여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카시트의 경사도를 조절함은 물론 경사도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견고한 록킹을 유지하면서 뛰어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시트의 전, 후방에 각각 잠금블럭을 작동하기 위한 언록킹 노브 및 푸싱캡을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는 위치에 관계없이 전후 양방향에서 경사도 조절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언록킹 노브를 잡아당기면 잠금블럭이 이동하면서 시트 보디에 설치된 걸림봉의 구속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언록킹을 이룸으로써 이와 같은 언록킹 상태에서 상기 시트 보디를 선회시켜 카시트의 경사도를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이 완료된 후 상기 언록킹 노브를 놓는 순간 자동으로 잠금블럭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봉을 구속하여 록킹을 유지함으로써 카시트의 경사도는 변화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이루면서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잠금블럭은 전후 양측에 각각 언록킹 노브 및 푸싱캡이 연결 설치됨으로써 카시트를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한 상태에서도 상기 푸싱캡을 누르면 잠 금블럭이 이동하면서 언록킹을 이루어 카시트의 경사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카시트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양방향에서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부면 중앙에 노브 작동홈(11) 및 잠금블럭 하우징(12)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잠금블럭 하우징(12)의 양측에 함몰 형성된 작동요부(13)의 외측으로 지지대(14)가 돌출 형성된 시트 베이스(10)와; 상기 작동요부(13)의 상측에 위치하는 결합단부(21)가 회동축(22)으로 관통하여 지지대(14)에 선회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보디(20)와; 상기 잠금블럭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개방된 다수의 잠금슬롯(31)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이 잠금슬롯(31)의 후방과 상호 연통하는 제1 궤적홈(32)이 일체로 형성된 잠금블럭(30)과; 상기 노브 작동홈(11)에 배치되고 일측에 형성된 견인로드(41)가 잠금블럭(30)의 전면에 결합핀(43)을 매개로 일체로 결합된 언록킹 노브(40)와; 상기 견인로드(41)의 외측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잠금블럭 하우징(12)의 내면 및 잠금블럭(30)에 탄력 지지된 탄성부재(50)와; 상기 잠금슬롯(3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록킹을 유지하고, 잠금블럭 하우징(12)의 양측에 형성된 제2 궤적홈(12a)을 관통하여 시트 보디(20)에 양단이 고정 결합된 걸림봉(6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 베이스(10)는 차량의 시트에 올려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 상부면의 중앙 전방에 노브 작동홈(11)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 노브 작동홈(11)과 이격되게 잠금블럭(30)이 내장되는 잠금블럭 하우징(12)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블럭 하우징(12)의 양측에 각각 시트 보디(20)가 선회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인 작동요부(13)가 함몰 형성되며, 이 작동요부(13)의 외측으로 시트 보디(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대(14)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 보디(20)는 하단부 양측에 형성된 결합단부(21)가 작동요부(13)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4)에 형성된 결합공(14a)과 함께 회동축(22)으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4)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축(2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선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블럭 하우징(12)의 내면 양측에는 계단형의 보강벽체(15)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이 보강벽체(15)의 내측에 잠금블럭(30)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보강벽체(15)는 잠금블럭 하우징(1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잠금블럭(30)의 양단부를 가이드 함으로써 잠금블럭(30)이 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원활하게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벽체(15)의 외측에는 하우징 커버(17)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돌기(16)가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잠금블럭 하우징(12)의 저부에 하우징 커버(17)를 조립하여 잠금블럭(30)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잠금블럭(30)은 양단이 개방된 다수의 잠금슬롯(31)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이 잠금슬롯(31)의 후방에는 걸림봉(60)이 잠금슬롯(31)을 벗어나면서 록킹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봉(60)이 상하로 선회 작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인 제1 궤적홈(32)이 잠금슬롯(31)과 상호 연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봉(60)은 어느 하나의 잠금슬롯(31)에 끼워지는 경우 시트 보디(20)의 록킹을 유지하고, 상기 잠금슬롯(31)을 벗어나면서 제1 궤적홈(3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시트 보디(20)의 선회작동이 가능함으로써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슬롯(31)의 사이사이에는 걸림봉(60)을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받침돌기(33)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받침돌기(33)는 어떠한 경우에도 제1 궤적홈(32)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봉(60)의 이동을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제1 궤적홈(32)보다 작은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야만 하며, 상기 다수의 잠금슬롯(31)은 선단부가 상하로 선회 작동하는 걸림봉(60)과 수평상태를 이룰 때마다 항상 걸림봉(60)과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봉(60)은 상하 위치에 관계없이 잠금슬롯(31)에 원활하게 끼워지면서 록킹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노브 작동홈(11)에 배치되는 언록킹 노브(40)는 일측 선단에 견인로드(41)가 형성되고, 상기 견인로드(41)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4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견인로드(41)는 시트 베이스(10)부터 노브 작동홈(11)을 독립되게 구획, 분리하는 격벽(18)을 관통하여 잠금블럭(30)의 전면에 형성된 연결브라켓(34)에 결합핀(43)으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언록킹 노브(40)를 잡아당기면 잠금블럭(30)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잠금슬롯(31)이 걸림봉(60)을 이탈하여 록킹을 일시적으로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42)는 격벽(18)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언록킹 노브(40)의 수평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언록킹 노브(40)의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견인로드(41)의 외측에는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이 탄성부재(50)는 잠금블럭 하우징(12)의 보강벽체(15) 및 잠금블럭(30)에 양단부가 탄력 지지됨으로써 잡아당기던 언록킹 노브(40)를 놓는 순간 잠금블럭(30)을 원상태로 리턴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하여 자동으로 록킹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잠금슬롯(3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시트 보디(20)의 록킹을 유지하는 걸림봉(60)은 상기 잠금슬롯(31)에 선택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보강벽체(15)에 형성된 걸림봉 통로(15a)를 통과한 후 잠금블럭 하우징(12)의 양측에 형성된 제2 궤적홈(12a)을 관통하여 시트 보디(20)에 양단이 고정 결합됨으로써 시트 보디(20)의 견고한 록킹을 유지하며, 상기 걸림봉(60)이 잠금슬 롯(31)을 이탈하여 제1 궤적홈(32)에 위치하는 언록킹을 이루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시트 보디(20)가 원활하게 상하로 선회 작동이 가능함으로써 경사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언록킹 노브(4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잠금블럭(30)이 이동함에 따라 걸림상태의 걸림봉(60)이 잠금슬롯(31)을 이탈하면서 언록킹을 이루고, 이와 같은 언록킹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 보디(20)를 하부로 선회 작동하면 걸림봉(60)이 제1 궤적홈(32)을 따라 자유롭게 선회함에 따라 시트 보디(20)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시트 보디(20)의 경사도 조절이 완료된 후 잡아당기던 언록킹 노브(40)를 놓으면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블럭(30)이 자동으로 복귀하면서 걸림봉(60)이 해당 높이의 잠금슬롯(31)에 끼워지면서 록킹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카시트(1)를 도 8과 같이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한 상태에서도 경사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잠금블럭(30)을 당겨주던 것과 달리 잠금블럭(30)을 눌러주어 록킹을 해제하는 기술이 접목된다.
즉 카시트(1)가 후방을 향하는 경우 잠금블럭(30)의 위치가 반대 방향으로 변화됨에 따라 잠금블럭(3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언록킹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잠금블럭(30)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기술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도 9와 같이 잠금블럭(30)의 후면에는 푸싱로드(7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푸싱로드(71)는 잠금블럭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 푸싱캡(70)에 형성된 결합홈(72)에 억지끼움으로 일체화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푸싱캡(70)을 누르면 푸싱로드(71)가 연동하여 밀리면서 잠금블럭(3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함으로써 경사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누름상태의 푸싱캡(70)을 놓는 순간 자동으로 잠금블럭(30)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록킹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시트(1)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경사도를 양방향에서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최적의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시트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시트 베이스의 일부절결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시트 베이스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시트 베이스 및 시트 보디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언록킹 노브의 조작에 따라 잠금블럭이 이동하면서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언록킹 노브의 조작에 따라 잠금블럭이 이동하여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잠금블럭이 언록킹된 상태에서 걸림봉의 선회 작동상태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카시트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푸싱캡의 조작에 따라 잠금블럭이 밀리면서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시트 10: 시트 베이스
12: 잠금블럭 하우징 12a: 제2 궤적홈
14: 지지대 17: 하우징 커버
20: 시트 보디 30: 잠금블럭
31: 잠금슬롯 32: 제1 궤적홈
33: 받침돌기 40: 언록킹 노브
50: 탄성부재 60: 걸림봉
70: 푸싱캡 71: 푸싱로드
Claims (5)
- 상부면 중앙에 노브 작동홈(11) 및 잠금블럭 하우징(12)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잠금블럭 하우징(12)의 양측에 함몰 형성된 작동요부(13)의 외측으로 지지대(14)가 돌출 형성된 시트 베이스(10)와;상기 작동요부(13)의 상측에 위치하는 결합단부(21)가 회동축(22)으로 관통하여 지지대(14)에 선회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보디(20)와;상기 잠금블럭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개방된 다수의 잠금슬롯(31)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이 잠금슬롯(31)의 후방과 상호 연통하는 제1 궤적홈(32)이 일체로 형성된 잠금블럭(30)과;상기 노브 작동홈(11)에 배치되고 일측에 형성된 견인로드(41)가 잠금블럭(30)의 전면에 결합핀(43)을 매개로 일체로 결합된 언록킹 노브(40)와;상기 견인로드(41)의 외측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잠금블럭 하우징(12)의 내면 및 잠금블럭(30)에 탄력 지지된 탄성부재(50)와;상기 잠금슬롯(3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록킹을 유지하고, 잠금블럭 하우징(12)의 양측에 형성된 제2 궤적홈(12a)을 관통하여 시트 보디(20)에 양단이 고정 결합된 걸림봉(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잠금슬롯(31)의 사이사이에는 받침돌기(3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33)는 제1 궤적홈(32)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봉(6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1 궤적홈(32) 보다 작은 궤적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잠금슬롯(31)의 선단부는 선회 작동하는 걸림봉(60)과 수평상태를 이룰 때 항상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잠금블럭 하우징(12)의 저부에는 잠금블럭(30)의 이탈방지 및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하우징 커버(17)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언록킹 노브(40)에 형성된 견인로드(41)는 시트 베이스(10)로부터 노브 작동홈(11)을 구획, 분리하는 격벽(18)을 관통하여 잠금블럭(30)과 연결되고, 상기 견인로드(41)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42)는 격벽(18)을 관통하여 언록킹 노브(40)의 수평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잠금블럭(30)의 후면에는 푸싱로드(7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푸싱로드(71)는 잠금블럭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 푸싱캡(70)의 결합홈(72)에 끼워져 일체화를 이루며, 상기 푸싱캡(70)의 누름조작시 잠금블럭(30)이 이동하면서 걸림봉(60)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9769A KR101033925B1 (ko) | 2008-07-17 | 2008-07-17 |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9769A KR101033925B1 (ko) | 2008-07-17 | 2008-07-17 |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9077A KR20100009077A (ko) | 2010-01-27 |
KR101033925B1 true KR101033925B1 (ko) | 2011-05-16 |
Family
ID=4181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9769A KR101033925B1 (ko) | 2008-07-17 | 2008-07-17 |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392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62713A (zh) | 2020-10-13 | 2024-05-03 |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 头靠高度调节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02907A1 (de) | 2003-07-02 | 2005-01-13 | Concord Gmbh | Kindersitz |
KR20050059767A (ko) * | 2003-12-15 | 2005-06-21 | 이덕삼 |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
KR100635866B1 (ko) | 2003-08-04 | 2006-10-18 | (주)새싹 | 시트체가 곡선운동이 유도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트 |
KR20080015613A (ko) * | 2006-08-16 | 2008-02-20 | 주식회사 순성산업 |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
-
2008
- 2008-07-17 KR KR1020080069769A patent/KR1010339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02907A1 (de) | 2003-07-02 | 2005-01-13 | Concord Gmbh | Kindersitz |
KR100635866B1 (ko) | 2003-08-04 | 2006-10-18 | (주)새싹 | 시트체가 곡선운동이 유도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트 |
KR20050059767A (ko) * | 2003-12-15 | 2005-06-21 | 이덕삼 |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
KR20080015613A (ko) * | 2006-08-16 | 2008-02-20 | 주식회사 순성산업 |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9077A (ko) | 2010-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66078B2 (en) | Child safety seat | |
US5433503A (en) | Armrest for motor-vehicle rear seats | |
US8556344B2 (en) | Child safety seat assembly | |
JPH0721389Y2 (ja) | 車載用の補助座席 | |
US9022471B2 (en) |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 |
US10245980B2 (en) | Child safety seat assembly | |
US8579369B2 (en) | Truss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 |
KR101852746B1 (ko) |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 |
KR101033925B1 (ko) |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도 조절장치 | |
EP0300997B1 (en) | Automobile convertible seat | |
TWI835171B (zh) | 兒童安全座椅 | |
CN211809211U (zh) | 儿童汽车安全座椅 | |
CN214420275U (zh) | 一种用于汽车头枕的折叠支架 | |
CN215154118U (zh) | 椅体调节机构及儿童安全座椅 | |
CN108749656A (zh) | 一种可调节的儿童电动童车座椅 | |
CN215361514U (zh) | 一种座椅及设有该座椅的婴儿车 | |
JPS6040333Y2 (ja) | 車輌用座席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US20240166097A1 (en) | Child restraint | |
CN112829652A (zh) | 一种用于汽车头枕的折叠支架 | |
TW202300359A (zh) | 座椅調節結構和兒童安全座椅 | |
JPS6232911Y2 (ko) | ||
JP3552975B2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KR970000214Y1 (ko) | 자동차용 시트 트랙(seat track) | |
JPH059228Y2 (ko) | ||
KR970001466Y1 (ko) | 자동차용 시트 트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