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761B1 -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761B1
KR101982761B1 KR1020180012858A KR20180012858A KR101982761B1 KR 101982761 B1 KR101982761 B1 KR 101982761B1 KR 1020180012858 A KR1020180012858 A KR 1020180012858A KR 20180012858 A KR20180012858 A KR 20180012858A KR 101982761 B1 KR101982761 B1 KR 101982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ipe
pipe
car seat
inner pip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환
홍길표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8001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소픽스 앵커에 고정하기 용이하며 회전가능한 아이소픽스 커넥터를 구비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아가 탑승하는 유아용 카시트 탑승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외측 파이프, 외측 파이프를 관통하며, 외측 파이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내측 파이프, 내측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며, 차량의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결속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ISOFIX ASSEMBLY OF CHILD SAFETY SEA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소픽스 앵커에 고정하기 용이하며 회전가능한 아이소픽스 커넥터를 구비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ISOFIX는 1990년 국제 표준화 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1 그룹 카시트의 안전한 고정을 위해 차량마다 제각각인 방법을 통일하여 카시트를 차량에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해놓은 방식(ISO 13216)이다.
차량 시트 쿠션의 후방이면서 차량 시트 등받이의 하방인 곳에 위치하는 두 개의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ISOFIX 커넥터를 결속하는 방식은 사고 발생 시에 유아용 카시트가 차량 시트 쿠션의 전방 부분을 가압하면서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대해 회전하려 하며, 유아용 카시트에 탑승한 유아의 머리가 원치않게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탑승한 유아의 머리에 원치않는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ISOFIX 커넥터와 유아용 카시트의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된 경우,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ISOFIX 커넥터를 결속할 때 ISOFIX 커넥터의 위치나 각도에 따라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쉽게 연결할 수 없거나, 차량 시트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EP1090804에는 유아용 카시트(50)를 표준 앵커리지 유닛(16)에 체결하기 위한 링크(52, 54)가 개시되어 있다. 링크(52, 54)는 피벗 연결부(56)만을 통해 유아용 카시트(50)에 직접 부착되며, 피벗 연결부(56)는 링크(52, 54)와 유아용 카시트(50)가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그러나 도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유아용 카시트(50)가 L자형 링크(52, 54)의 단부에 위치한 커넥터(38)를 통해 표준 앵커리지 유닛(16)에 결속되기 때문에 L자형 링크(52, 54)가 유아용 카시트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며 유아용 카시트(50)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L자형 링크(52, 54)의 회전에 의해 유아용 카시트(50)가 차량의 시트 쿠션(12)을 가압하는 하방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시트 등받이(14)로부터 ε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유럽등록특허 1090804호
본 발명은 탑승한 유아의 두부 충격 안정성을 강화한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앵커리지 유닛의 위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유아용 카시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아가 탑승하는 유아용 카시트 탑승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외측 파이프, 외측 파이프를 관통하며, 외측 파이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내측 파이프, 내측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며, 차량의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결속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내측 파이프는 외측 파이프와 접하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며, 관통홀 내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 스프링 가이드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스프링 단부와 외측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외측 파이프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외측 파이프의 양단은 각각 고정쇠에 의해 탑승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내측 파이프에는 외측 파이프가 내측 파이프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외측 파이프의 양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는, 외측 파이프는 탑승부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내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의 양단에 위치한 커넥터만이 외측 파이프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탑승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방으로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는, 사고 발생 시에 탑승부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에 밀착한 채 탑승부 전체가 하방으로만 이동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유아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이후 유아용 카시트와 더미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는 유아가 탑승하는 유아용 카시트 탑승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외측 파이프(110), 외측 파이프(110)를 관통하며, 외측 파이프(1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내측 파이프(220), 내측 파이프(220)의 양단에 결합되며, 차량의 표준 앵커리지 유닛(16; 도 4 참조)에 결속되는 커넥터(210)를 포함한다.
외측 파이프(110)의 양단은 각각 고정쇠(120)에 의해 탑승부에 고정된다. 외측 파이프(110)와 고정쇠(120)는 서로 상대 회전되거나 상대 이동하지 않게 단단히 고정되며, 고정쇠(120) 역시도 탑승부에 대해 상대 회전이나 상대 이동이 되지 않게 단단히 고정된다.
내측 파이프(220)는 외측 파이프(110)를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외측 파이프(11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나,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한 힘이 가해져야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을 제한하는 부재가 구비된다. 회전 제한 부재는 내측 파이프(220)에서 외측 파이프(110)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222)과, 관통홀(222) 내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232), 스프링 가이드(232)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234), 그리고 스프링(234) 단부와 외측 파이프(110) 사이에 개재되는 볼(236)이다. 스프링(234)이 볼(236)을 외측 파이프(110)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볼(236)과 외측 파이프(110)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할 뿐 아니라, 볼(236)의 반대측에서 접촉하고 있는 외측 파이프(110)와 내측 파이프(220) 사이에도 마찰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내측 파이프(220)는 고정된 외측 파이프(110)에 대해 자중만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소정의 힘이 가해져야만 회전된다.
한편, 외측 파이프(110)의 길이는 내측 파이프(220)의 양단에 결합된 커넥터(21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내측 파이프(2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외측 파이프(110)가 내측 파이프(2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측 파이프(220)에는 외측 파이프(110)의 양단에 접하여 외측 파이프(110)가 슬라이드 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스토퍼(224)가 구비된다. 스토퍼(224)는 간단하게는 내측 파이프(220)에 끼워지는 링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내측 파이프(220)에 돌기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토퍼를 만들 수 있다.
커넥터(210)는 아이소픽스 규격을 만족하는 것으로, 차량에 설치된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결속 및 해제될 수 있다. 내측 파이프(220)가 외측 파이프(110)에 대해 상대회전하므로, 커넥터(210) 역시 외측 파이프(110)에 대해 각회전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이후 유아용 카시트와 더미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유아용 카시트(50)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차량의 시트 쿠션(12) 상에 놓이는 베이스 서포트 면(32)과, 차량의 시트 등받이(14)에 접하는 백 서포트 면(34)을 포함한다. 유아용 카시트(50)의 백 서포트 면(34)에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차량이 사고로 인해 갑작스럽게 감속을 할 경우, 내측 파이프(220; 도 3 참조)가 외측 파이프(110; 도 3 참조)에 대해 상대회전한다. 고정쇠(120)에 의해 고정된 외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10) 내에 삽입된 내측 파이프(220)는 유아용 카시트(50)와 함께 이동하지만, 커넥터(210)의 단부는 표준 앵커리지 유닛(16)에 결속되어 있어, 커넥터(210)와 유아용 카시트(50)가 이루는 각도가 바뀌게 된다.
따라서, 유아용 카시트(50)의 베이스 서포트 면(32)이 전체적으로 차량의 시트 쿠션(12)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이 흡수되며, 차량의 시트 등받이(14)에 접하는 백 서포트 면(34)이 차량의 시트 등받이(14)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격 이후 관성에 의해 더미의 하체는 고정된 상태에서 더미의 상체가 골반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는 유아용 카시트(50)의 백 서포트 면(34)을 차량의 시트 등받이(14)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해주기 때문에, 더미의 헤드(42)가 앞좌석의 시트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유아가 탑승하는 유아용 카시트 탑승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외측 파이프;
    외측 파이프를 관통하며, 외측 파이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내측 파이프;
    내측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며, 차량의 표준 앵커리지 유닛에 결속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 파이프는 외측 파이프와 접하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며,
    관통홀 내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
    스프링 가이드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스프링 단부와 외측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외측 파이프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외측 파이프의 양단은 각각 고정쇠에 의해 탑승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내측 파이프에는 외측 파이프가 내측 파이프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외측 파이프의 양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KR1020180012858A 2018-02-01 2018-02-01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KR10198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58A KR101982761B1 (ko) 2018-02-01 2018-02-01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58A KR101982761B1 (ko) 2018-02-01 2018-02-01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761B1 true KR101982761B1 (ko) 2019-05-27

Family

ID=6667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858A KR101982761B1 (ko) 2018-02-01 2018-02-01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3032A (zh) * 2021-03-26 2022-09-3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0804A2 (en) 1999-10-09 2001-04-11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Child safety seat
KR20080015613A (ko) * 2006-08-16 2008-02-20 주식회사 순성산업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JP2009286316A (ja) * 2008-05-30 2009-12-1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の荷重吸収構造
KR101272933B1 (ko) * 2011-12-09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0804A2 (en) 1999-10-09 2001-04-11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Child safety seat
KR20080015613A (ko) * 2006-08-16 2008-02-20 주식회사 순성산업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JP2009286316A (ja) * 2008-05-30 2009-12-1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の荷重吸収構造
KR101272933B1 (ko) * 2011-12-09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3032A (zh) * 2021-03-26 2022-09-3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US11981235B2 (en) 2021-03-26 2024-05-14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579B2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JP5547119B2 (ja) 構造支持体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40354021A1 (en) Child car seat and base
US20080277984A1 (en) Child Safety Seat
EP2613965B1 (en) Rotating child safety seat
KR20140119155A (ko) 어린이 시트 및 차량 어린이 시트용 충격 보호구
KR101982761B1 (ko) 유아용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어셈블리
US10589644B2 (en) Apparatus for use in a child safety seat
JPH04230447A (ja) 締付装置
JPS5914293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JP5414294B2 (ja) 乗物用シート
EP2746096B1 (en) Dynamic child restraint
JP5584420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716516B1 (ko) 차량의 폴딩 시트쿠션용 세트브래킷장치
CN117255753A (zh) 具有配备有减震装置的靠背的交通工具座椅
KR100412468B1 (ko) 목 부상 방지용 자동차 시트 고정구조
KR20014306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150453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보호용 콘솔박스의 고정구조
KR20150050061A (ko)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KR20100025649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9980025892U (ko)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구
KR20070004496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KR19990028195U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