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061A -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 Google Patents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061A
KR20150050061A KR1020130131419A KR20130131419A KR20150050061A KR 20150050061 A KR20150050061 A KR 20150050061A KR 1020130131419 A KR1020130131419 A KR 1020130131419A KR 20130131419 A KR20130131419 A KR 20130131419A KR 20150050061 A KR20150050061 A KR 2015005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seatback
end portion
seat back
rec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장창희
황순현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061A/ko
Publication of KR2015005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3Safety locks for back-rests, e.g. with locking bars activated by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과 접촉하여 시트백에 충격을 가할 때, 시트백이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의 머리, 목, 등, 허리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5)의 일측에 결합되며 주변부에 하나 이상의 제1 고정홀(110)이 형성되는 서포트브래킷(100)과;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홀(110)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고정홀(210)이 형성되는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 및 상기 제1 고정홀(110)과 제2 고정홀(210)을 관통하여 서포트브래킷(100)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고정구(7);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홀(210)은 고정구(7)의 직경과 상응하는 직경(R1)을 갖는 장착단부(211)와 고정구(7)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R2)을 갖는 충격흡수단부(213)를 연결하는 슬롯(Slot)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Active impact absorbing seat back}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충돌 사고 발생 시 프레임의 소정 변형을 유도하여, 관성력에 의해 젖혀지는 탑승자의 신체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분에는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너(Recliner)가 장착된다.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충돌 상황에서는 오히려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의 상체는 관성에 따라 차량의 후방으로 급격히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탑승자의 허리는 물론 목과 머리 부분에서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돌 시 사고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이른바, 액티브(Active) 개념의 안전장치들이 적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있다. 이러한 액티브 레드레스트는 후방 충돌 시 탑승자의 목이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의 전방으로 돌출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미리 받아주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가 결합되는 시트백에 별도의 구조를 추가하여야 함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비록 이러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현재 차량 시트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나, 머리, 목뿐만 아니라 등, 허리에서 발생되는 상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들의 수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후방 충돌 시 관성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상체가 급격하게(과도한 가속도를 가지며)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머리, 목뿐만 아니라 등, 허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 저감 시트백이 제시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충격 저감 시트백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충격 저감 시트백은, 시트쿠션 프레임(1)과 연결되는 마운트브래킷(3)의 후방 일단에 구비되는 하나의 장착홀(32)에 확장 구조의 충격흡수홀(3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2)을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후방 장착홀(32)에 체결된 고정구(7)를 충격흡수홀(33)측으로 진입 허용시킴으로서, 시트백(2)에 가해진 충격하중에 의해 시트백(2)과 리클라이너(5)로 결합된 마운트브래킷(3)이 전방 장착홀(31)에 체결된 고정구(7)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주저 않게 되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구조를 이루고, 이로 인해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충격 저감 시트백은 마운트브래킷(3)의 후방 장착홀(32)에 배치된 충격흡수홀(33)을 통해 충격 흡수 과정이 진행될 시,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된 다른 장착홀(31)에는 고정구(7)가 견고히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시트백(2)을 포함한 마운트브래킷(3)이 후방으로 회전하는 충격 흡수 동작이 원활히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격 흡수 과정은 무엇보다 신속한 반응속도가 구현되어야 하는데, 도 2에 도시된 충격 저감 시트백의 경우에는 시트백(2)뿐만 아니라 시트백(2)과 리클라이너(5)로 연결된 마운트브래킷(3)의 하단부에서 충격이 흡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충격 흡수 동작의 반응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미 설명부호 '35'는 리클라이너(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이다.
한편 도 3은 종래 충격 저감 시트백의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충격 저감 시트백은, 시트쿠션 프레임(1)과 마운트브래킷(3)의 사이를 다수개의 링크(41,42)로 연결하되, 상기 링크(41,42)상에 설치되어 링크(41,42)의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완충절개구멍(44)이 구비된 링크제한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충돌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 프레임(2)을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링크(41,42)에 의해 마운트브래킷(3)을 포함한 시트백 프레임(2)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링크제한부재(43)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구(7)가 링크제한부재(43)의 완충절개구멍(44)을 변형시키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충격 저감 시트백은 시트쿠션 프레임(1)과 마운트브래킷(3)의 사이에 다수개의 링크(41,42,43)를 구성함에 따른 소요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무엇보다 이러한 링크 조립 구조로부터 시트의 안전강도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문헌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867호(2012.11.21) 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910호(2011.03.08)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돌 사고 발생 시 마운트용 고정구가 체결되어 있는 프레임 주변부의 소정 변형을 유도하여, 관성력에 의해 젖혀지는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는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결합되는 시트백 프레임에 소정 변형을 유도하여,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전달되는 관성력에 대해 충격 흡수의 반응속도를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는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 개선이 가능한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5)를 매개로 시트쿠션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백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5)의 일측에 결합되며,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주변부에 하나 이상의 제1 고정홀(110)이 형성되는 서포트브래킷(100);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홀(110)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고정홀(210)이 형성되는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 및
상기 제1 고정홀(110)과 제2 고정홀(210)을 관통하여 서포트브래킷(100)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고정구(7);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홀(210)은, 고정구(7)의 직경과 상응하는 내경(R1)을 갖는 장착단부(211)와 고정구(7)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R2)을 갖는 충격흡수단부(213)를 연결하는 슬롯(Slot)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장착홀(210)을 구성하는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의 중심은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제2 장착홀(210")을 구성하는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는 충돌 사고 발생 시 승객의 관성력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구조 개선을 만족하는 충격 저감 시트백을 이용하여,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과 접촉하여 시트백에 충격을 가할 때, 시트백이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의 머리, 목, 등, 허리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후방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충격 저감 시트백의 구성을 보이는 일 예.
도 3은 종래 충격 저감 시트백의 구성을 보이는 다른 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저감 시트백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브래킷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백 사이드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저감 시트백의 작용을 보이는 부분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저감 시트백의 작용에 따른 탑승자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시트백 사이드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충격 저감 시트백의 작용을 보이는 부분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관통홀의 다양한 형성을 보인 예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먼저 차량 시트는 일반적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은 각각 시트쿠션 프레임(1)과 시트백 프레임(2)에 의해 기본 골격을 이루게 된다.(도 2참조) 그리고 시트쿠션 프레임(1)의 후방 측면에는 마운트브래킷(3)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2)의 하부 측면에는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여기서 마운트브래킷(3)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은 리클라이너(5)를 매개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리클라이너(5)는 레버의 미 조작 시에는 록킹 상태를, 조작 시에는 언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을 고정시키거나 회전하여 리클라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리클라이너(5)는 일측면에는 마운트브래킷(3)과 연결되는 결합돌기(미 표시)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시트백 프레임(200)과 연결되는 결합돌기(51)가 구비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너(5)의 공지된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차량 시트에 있어서, 본 발명은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과 접촉하여 시트백에 충격을 가하게 될 때, 시트백이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의 머리, 목, 등, 허리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5)에 결합되는 서포트브래킷(100),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에 결합되는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 및 상기 서포트브래킷(100)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을 고정되게 연결하는 고정구(7)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은 리클라이너(5)와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을 고정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플레이트 구조를 이루면서, 중앙부에는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53)를 회전가능하게 관통시키는 관통구멍(10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구멍(101)의 주변부에는 리클라이너(5)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돌기(51)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결합구멍(102)이 구비되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서포트브래킷(100)에는 고정구(7)가 체결되는 제1 고정홀(11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 고정홀(110)은 상기 결합구멍(102)과 간섭되지 않는 주변부 적정영역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1 고정홀(110)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모든 제1 고정홀(110)들의 중심은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53)를 중심으로 동심에 배치됨이 좋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53)를 중심으로 전, 후방으로 한 쌍의 제1 고정홀(110)들이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제1 고정홀(110)의 개수 및 그 배열 구조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은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의 일측에 밀착하여 고정구(7)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구(7)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의 제1 고정홀(110)과 대응하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제2 고정홀(210)이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4개의 제1 고정홀(110)과 대응하게 4개의 제2 고정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고정홀(210)은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을 후방으로 가압할 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시트백의 후퇴(회전)동작을 허용하고 시트백의 후퇴(회전)량을 제한하게 된다. 다시 말해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시 시트백에 가해진 충격에너지에 의해 제2 고정홀(210)은 소정 변형을 일으킴으로서 리클라이너(5)를 중심으로 시트백의 후방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시트백의 후방 회전각을 제한한다.
이를 위한 제2 고정홀(210)은 고정구(7)의 직경(제1 고정홀(110)의 직경과 상응)과 상응하는 직경(R1)을 갖는 장착단부(211)와, 상기 고정구(7)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R2)을 갖는 충격흡수단부(213)를 연결하는 슬롯(Slot)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고정홀(210)을 구성하는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의 중심은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53)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C)을 유지하게 된다.
도 6의 미 설명부호 '201'은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53)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시트백 사이드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으로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 역시 고정구(7)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의 제1 고정홀(110)과 대응하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제2 고정홀(210")이 동일하게 구비된다.
각각의 제2 고정홀(210")의 형상 역시 고정구(7)의 직경(제1 고정홀(110)의 직경과 상응)과 상응하는 직경(R1)을 갖는 장착단부(211)와, 상기 고정구(7)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R2)을 갖는 충격흡수단부(213)를 연결하는 슬롯(Slot)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각각의 제2 장착홀(210")을 구성하는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가 시트백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연결 구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한 작용은 후술하여 설명한다.
도 9의 미 설명부호 '201'역시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53)를 관통시키는 관통홀로서, 제2 고정홀(210")의 구성으로부터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의 충격 흡수 시, 고정 위치를 유지하는 회전샤프트(53)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도 6에 도시된 관통홀(201) 보다 큰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계속해서 고정구(7)는 서포트브래킷(100)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을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서포트브래킷(100)의 제1 고정홀(110)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의 제2 고정홀(2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공지의 체결부재이다. 정확히 고정구(7)는 제1 고정홀(110)과 제2 고정홀(210)의 장착단부(213)를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평상 시 시트백의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구(7)는 핀(Pin), 리벳(Rivet), 볼트(Bol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저감 시트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충돌 사고 발생 전) 고정구(7)는 서포트브래킷(100)의 제1 고정홀(110)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의 제2 고정홀(210)의 장착단부(213)를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정상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여기서 도 7 (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사고 발생에 따라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충격에너지가 발생되면, 제2 고정홀(210)의 충격흡수단부(213)는 장착단부(211)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7)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2 고정홀(210)은 장착단부(211)에서 충격흡수단부(213)로 가며 폭이 점차적으로 축소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직경의 고정구(7)를 향해 충격흡수단부(213)가 이동함에 따라 제2 고정홀(210)의 내경에서 소정 변형이 발생된다. 결국 이러한 제2 고정홀(210)의 소성 변형 량에 따라 시트백은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53)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충격이 흡수된다.
다시 말해, 탑승자로부터 전달된 시트백의 후방 충격에너지의 경중에 따라 제2 고정홀(210)의 소정 변형 량이 변화되고, 이러한 소성 변형 량에 따라 시트백의 회전속도 및 회전각을 변화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충격 저감 시트백의 작용을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충돌 사고 발생에 따라 탑승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충격에너지가 발생되면, 제2 고정홀(210")의 충격흡수단부(213)는 장착단부(211)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7)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2 고정홀(210")은 장착단부(211)에서 충격흡수단부(213)로 가며 폭이 점차적으로 축소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직경의 고정구(7)를 향해 충격흡수단부(213)가 이동함에 따라 제2 고정홀(210")의 내경에서 소성 변형이 발생된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장착홀(210")의 경우,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가 시트백의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이 제2 장착홀(210")의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다시 말해, 탑승자로부터 전달된 시트백의 후방 충격에너지의 경중에 따라 제2 고정홀(210")의 소성 변형 량이 변화되고, 이러한 소성 변형 량에 따라 시트백의 후방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충돌 사고 발생 시 승객의 주 관성력이 시트의 후방을 향하게 됨을 감안하여, 제2 장창홀(210") 역시 주 관성력이 작용하는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충돌 발생위치, 승객의 착석자세,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상태 등에 따라 시트백을 향하는 승객의 관성력 방향은 불특정하게 변화될 수 있다.
결국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구조를 이루는 제2 장착홀(210")의 길이성분은 굳이 시트의 전후방향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객의 관성력 작용방향에 상응하게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시트백의 후방(0도:a)을 기준으로 -80도(a) 범위 이내에서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예컨대, 상대적으로 약한 충돌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 동작의 반응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형성되고 제2 고정홀(210,210")의 충격흡수단부(213)가 고정구(7)에 완전히 도달하지 못하고 도중에 정지하게 됨으로서 시트백의 회전각(이동거리) 역시 작게 형성되며, 반대로 상대적으로 강한 충돌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 동작의 반응속도가 비례적으로 빠르게 형성되고 제2 고정홀(210,210")의 충격흡수단부(213)가 고정구(7)에 걸릴 때까지 제2 고정홀(210,210")이 완전히 소성 변형됨으로서 시트백의 회전각(이동거리) 역시 최대 회전된(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고정구(7)의 개수(제1,2 고정홀(110,210/210")의 개수)를 적은 개수로 구성하거나 제2 고정홀(210,210")측 충격흡수단부(213)의 내경(R2)을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하중에 대해서도 제2 고정홀(210,210")의 소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흡수의 반응속도를 보다 신속하고 민감하게 구현할 수 있고, 반대로 고정구(7)의 개수를 많은 개수로 구성하거나 제2 고정홀(210,210")측 충격흡수단부(213)의 내경(R2)을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하중에 대해서는 제2 고정홀(210,210")의 소성 변형을 무시하고 상대적으로 큰 충격하중에 대해서만 제2 고정홀(210,210")의 소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구(7)의 개수는 시트백의 안전강도를 고려한 적정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바, 제2 고정홀(210,210")측 충격흡수단부(213)의 내경(R2)을 조정함으로서, 시트백의 충격하중의 경중에 따른 제2 고정홀(210,210")의 소성 변형 속도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며, 제2 고정홀(210,210")의 길이 즉,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의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서, 제2 고정홀(210,210")의 소성 변형 량(시트백의 회전각 또는 이동거리)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백을 구성하는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과 리클라이너(5)의 결속부분에 충격흡수수단을 배치하여 둠으로서, 종래 시트쿠션측 마운트브래킷(3)상에 구비되어 있는 충격흡수수단들과 비교하여서도, 보다 신속한 충격 저감 반응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시트쿠션 프레임
2: 시트백 프레임
3: 마운트브래킷
5: 리클라이너
7: 고정구
100: 서포트브래킷
110: 제1 고정홀
200: 시트백 사이드프레임
210,210": 제2 고정홀
211: 장착단부
213: 충격흡수단부

Claims (3)

  1. 리클라이너(5)를 매개로 시트쿠션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백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5)의 일측에 결합되며,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주변부에 하나 이상의 제1 고정홀(110)이 형성되는 서포트브래킷(100);
    상기 서포트브래킷(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홀(110)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고정홀(210,210")이 형성되는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 및
    상기 제1 고정홀(110)과 제2 고정홀(210,210")을 관통하여 서포트브래킷(100)과 시트백 사이드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고정구(7);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홀(210,210")은, 고정구(7)의 직경과 상응하는 내경(R1)을 갖는 장착단부(211)와 고정구(7)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R2)을 갖는 충격흡수단부(213)를 연결하는 슬롯(Slot)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홀(210)을 구성하는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의 중심은 리클라이너(5)의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홀(210")을 구성하는 장착단부(211)와 충격흡수단부(213)는 충돌 사고 발생 시 승객의 관성력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KR1020130131419A 2013-10-31 2013-10-31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KR20150050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19A KR20150050061A (ko) 2013-10-31 2013-10-31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19A KR20150050061A (ko) 2013-10-31 2013-10-31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061A true KR20150050061A (ko) 2015-05-08

Family

ID=5338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419A KR20150050061A (ko) 2013-10-31 2013-10-31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5696B2 (ja) 車両用シート
JP5420579B2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US7699393B2 (en) Load limiting (energy management) child restraint seat
US9718386B2 (en) Vehicle seat having a seatbelt anchor bracket
JP2005186670A (ja) 車両用シート
US7931332B2 (en) Rear-seat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10946779B2 (en) Vehicle seat
EP2613965B1 (en) Rotating child safety seat
JP5521160B2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衝撃吸収装置
JP5296818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H10309968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リバウンド抑制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5317721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107009B1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JP2013067281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101435202B1 (ko) 충돌상해방지를 위한 자동차 시트백용 충격흡수장치
KR100991659B1 (ko) 자동차용 시트
KR20150050061A (ko) 능동형 충격 저감 시트백
JP5414294B2 (ja) 乗物用シート
EP2746096B1 (en) Dynamic child restraint
KR101262970B1 (ko) 차량용 시트백프레임 마운팅 브라켓 및 시트프레임 유닛
JP2008230557A (ja) シート座部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438849B1 (ko) 차량용 시트
KR101593524B1 (ko) 차량 시트용 후방 충돌 충격 저감형 시트프레임
JP5487346B1 (ja) 車両用頭頸部保護装置
KR101265172B1 (ko) 자동차용 충격완화 시트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