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838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838A
KR20060127838A KR1020067003678A KR20067003678A KR20060127838A KR 20060127838 A KR20060127838 A KR 20060127838A KR 1020067003678 A KR1020067003678 A KR 1020067003678A KR 20067003678 A KR20067003678 A KR 20067003678A KR 20060127838 A KR20060127838 A KR 2006012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ap
washer tank
driv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266B1 (ko
Inventor
하지메 이시이
도모유끼 다나까
쇼오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3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셔 탱크(27)를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이 워셔 탱크(27)와 공조 덕트(26)를 캡(8) 내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캡(8)에 설치되는 공조 덕트(26)의 주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워셔 탱크(27)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용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캡(8) 내에 워셔 탱크(27)를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워셔 탱크(27)를 노즐(11)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워셔 탱크, 공조 덕트, 캡, 노즐, 공조 유닛, 충전구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휠 로더 등의 캡(cab)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는 유압 셔블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俯仰)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선회 프레임 상에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 내에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캡 사양 유압 셔블에는 공조 유닛을 구비한 것이 있고, 상기 공조 유닛은 공조 덕트를 거쳐서 취출구로부터 캡 내에 조화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캡 내의 환경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캡에는 전방 창 유리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닦아내는 와이퍼와 함께, 전방 창 유리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워셔 탱크에 저장하는 워셔액은 노즐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워셔 탱크는, 예를 들어 캡의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7-35212호 공보 참조). 또한, 워셔 탱크를 캡의 후방측에 설치된 엔진실의 내부에 설치한 것도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2-13161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술한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7-35212호 공보와 같이, 워셔 탱크를 캡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캡 내에 워셔 탱크 전용 설치 공간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캡 내의 거주 공간이 좁기 때문에 캡 내에서의 워셔 탱크의 설치 장소가 적다. 이로 인해, 워셔 탱크를 캡 내에 설치한 경우에는 워셔 탱크가 운전자의 시계의 방해가 되거나, 거주 공간에 돌출되어 운전자에 압박감을 부여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엔진실 내에는 엔진이나 유압 기기로 혼잡하기 때문에, 일본 특허 공개 2002-1316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워셔 탱크를 엔진실 내에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가령 워셔 탱크를 엔진실 내에 설치할 수 있었다고 해도, 워셔 탱크와 노즐을 접속하는 호스가 길어지기 때문에 호스가 도중에서 막히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어 품질의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용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노즐에 가까운 캡 내에 워셔 탱크를 설치할 수 있어 거주성 및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는 전방측에 작업 장치가 설치된 차체와, 상기 차체 상에 설치되어 전방측에 전방 창 유리를 갖는 중공의 캡과, 상기 캡 내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과, 상기 캡 내에 설치되어 취출구를 향해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덕트와, 상기 캡의 전방 창 유리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워셔 탱크를 상기 공조 덕트와 일체화하여 상기 캡 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조 덕트의 주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워셔 탱크를 상기 공조 덕트와 일체화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용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캡 내에 워셔 탱크를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워셔 탱크가 시계의 방해가 되거나, 거주 공간에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에 대한 압박감 등을 해소할 수 있어 거주성 및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워셔 탱크를 캡 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워셔 탱크를 노즐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호스를 짧게 할 수 있어 호스의 손상 등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워셔 탱크를 공조 덕트와 일체화함으로써, 한랭지에서는 공조 덕트를 흐르는 온풍으로 워셔 탱크 내의 워셔액을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워셔액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운전석은 상기 전방 창 유리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캡 내에 마련하고,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는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에서 상기 공간부의 측방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운전석과 캡의 전방 창 유리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의 측방에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계나 레버 조작 등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워셔 탱크를 배치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에는 상기 운전석에 승강하기 위한 승강구를 마련하고, 상기 운전석은 상기 전방 창 유리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캡 내에 마련하고,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는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에서 상기 캡의 승강구와 반대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운전석의 전방측에서 캡의 승강구와 반대측에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석에 승강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워셔 탱크를 배치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에는 운전자의 발밑에 위치하여 공조 유닛 수용 오목부를 갖는 바닥판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공조 유닛 수용 오목부 내에는 조화 공기를 송출하는 공조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공조 덕트는 상기 공조 유닛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운전석의 전방측에 설치된 바닥판을 이용하여 공조 유닛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공조 유닛에 공조 덕트를 접속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덮는 덕트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워셔 탱크는 워셔액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를 상기 덕트 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덕트 커버에 의해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덮음으로써 외관상의 돋보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워셔 탱크의 충전구는 덕트 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충전구로부터 워셔 탱크 내에 워셔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덮는 덕트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 커버에는 상기 워셔 탱크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확인하는 감시창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덕트 커버에 의해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덮음으로써, 외관상의 돋보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에는 감시창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감시창으로부터 워셔 탱크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 시작 점검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워셔 탱크는 상기 공조 덕트와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함께 설치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는 별개의 부재로서 성형하고, 이들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화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별개의 부재로서 성형된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종류의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2는 캡 내를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운전석 시트, 운전석, 바닥판, 공조 유닛, 공조 덕트 및 워셔 탱크 등을 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4는 후방부 시트, 하부 바닥판으로부터 전방부 시트, 상부 바닥판, 바닥 매트 등을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하는 공조 유닛으로부터 공조 덕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덕트ㆍ탱크 성형체 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7은 덕트ㆍ탱크 성형체를 도5 중의 화살표 Ⅶ-Ⅶ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8은 덕트 커버를 단일체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덕트ㆍ탱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7과 동일한 위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1 내지 도8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의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 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와,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부앙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예를 들어 두꺼운 강판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선회 프레임(5)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후방부측에 탑재된 엔진 및 유압 펌프(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과, 선회 프레임(5)의 우측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 설치되어 연료 탱크, 작동 오일 탱크,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모두 도시하지 않음) 및 엔진 등을 덮은 외장 커버(6)와, 상기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에 부착된 평형추(7)와,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전방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캡(8)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8) 내에는 후술하는 노즐(11), 운전석(16), 공조 덕트(24, 26), 워셔 탱크(27) 및 덕트 커버(29) 등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부호 8은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전방측에 설치된 중공의 캡이며, 상기 캡(8)은 운전석(16)의 주위를 덮음으로써 운전자가 각종 조작을 행하는 운전실을 구획하는 것이다. 그리고, 캡(8)은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방면부(8A), 후방면부(8B), 좌측면부(8C), 우측면부(8D), 천정면부(8E)에 의해 상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부(8C)에는 전방측 부근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승강하는 승강구(8F)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구(8F)에는 도어(8G)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캡(8)의 전방면부(8A)에는 전방 창 유리(9)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 창 유리(9)에는 상기 전방 창 유리(9)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닦아내는 와이퍼(10)와, 전방 창 유리(9)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노즐(1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분사 노즐(11)은 와이퍼(10)의 근방에 위치하여 전방 창 유리(9)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11)은 전방 창 유리(9)를 향해 워셔액을 분사하는 것이다. 또한, 노즐(11)은 캡(8) 내에 설치된 후술하는 워셔 탱크(27)에 호스(도시하지 않음) 등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부호 12는 캡(8)의 후방부 하측을 폐색하도록 선회 프레임(5)의 후방측에 마련된 운전석 시트이며, 상기 운전석 시트(12)는 도3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에 위치하여 설치된 스텝형의 후방부 시트(13)와, 상기 후방부 시트(13)의 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전방부 시트(14)와, 상기 후방부 시트(13)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배면판(1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석 시트(12)를 구성하는 후방부 시트(13) 및 전방부 시트(14)는 후술하는 운전석(16)을 지지하고, 후방부 시트(13) 및 배면판(15)은 엔진의 전방측 및 상측의 일부를 덮는 엔진 전방 커버를 겸하고 있다. 또한, 전방부 시트(14)는 후술하는 상부 바닥판(21) 등을 제거하고, 공조 유닛(23)의 착탈 작업 및 보수 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면판(15)에는 캡(8)의 후방측 부분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 시트(12)의 전방부 시트(14)는 후방부 시트(1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결과, 전방부 시트(14)를 제거함으로써 후방부 시트(13) 내에 설치되는 각종 밸브 장치 및 전장 부품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은 용이 하게 착탈하거나, 정비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 시트(12)로서는, 후방부 시트(13)와 전방부 시트(14)로 이루어지는 2 부재로 하지 않고, 양자를 일체화한 형상의 운전석 시트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부호 16은 후방부 시트(13) 및 전방부 시트(14)의 상측에 마련된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이며, 상기 운전석(16)은 전방 창 유리(9)와의 사이에 공간부(A)(도2 중에 도시)를 갖고 캡(8) 내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공간부(A)는 운전석(16)으로의 승강 통로 및 후술하는 주행용 레버ㆍ페달(19) 등을 조작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운전석(16)의 좌우 양측에는 작업 장치(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17, 17)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8은 운전석(16)에 착석한 운전자의 발밑, 즉 공간부(A)의 하측에 위치하여 후방부 시트(13)의 전방측에 설치된 하부 바닥판이다. 이 하부 바닥판(18)은,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부 바닥판(21)과 함께 이중 바닥판 구조를 이루고, 그 하층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 바닥판(18)은 좌우 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의 판체로서 형성되고, 후단부가 후방부 시트(13)의 전단부에 볼트 고정 및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한편, 하부 바닥판(18)은 그 전단부측이 선회 프레임(5)의 전방부에 부착되는 레버ㆍ페달 부착판(18A)이 되고, 상기 레버ㆍ페달 부착판(18A)에는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키는 주행용 레버ㆍ페달(19)과, 작업 장치(4)에 부착되는 부속품(attachment)(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는 보조용 페달(2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하부 바닥판(18)에는 우측 부근을 오목하게 하여 공조 유닛 수용 오목 부(18B)가 마련되고, 상기 공조 유닛 수용 오목부(18B)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함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 유닛 수용 오목부(18B)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공조 유닛(23)이 수용되어 있다.
부호 21은 하부 바닥판(18)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 바닥판(도4 참조)이며, 상기 상부 바닥판(21)은 하부 바닥판(18)과 함께 이중 바닥판 구조를 이루고, 그 상층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부 바닥판(21)은 하부 바닥판(18)의 공조 유닛수용 오목부(18B)에 수용된 공조 유닛(23)을 덮어 숨기는 것이다.
부호 22는 하부 바닥판(18)의 레버ㆍ페달 부착판(18A) 상과 상부 바닥판(21)상에 걸쳐 부설된 바닥 매트이며, 상기 바닥 매트(22)는 탄성을 갖는 수지 재료, 고무 재료 및 직물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부호 23은 하부 바닥판(18)의 공조 유닛 수용 오목부(18B) 내에 실내기로서 수용된 공조 유닛이다. 이 공조 유닛(23)은 엔진측에 부착된 실외기를 이루는 압축기 및 응축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과 함께 공조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공조 유닛(23)은 흡입한 공기를 냉기 또는 온기로 조정하고, 이 조화 공기를 캡(8) 내를 향해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공조 유닛(23)은,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체 형상의 본체 케이스(23A)와, 상기 본체 케이스(23A) 내의 좌측에 설치된 송풍 팬(23B)과, 상기 송풍 팬(23B)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23A) 내에 설치된 증발기(23C)와, 상기 증발기(23C)의 하류측에 설치된 히터 코어(23D)와, 상기 본체 케이스(23A)의 우측에 설치되고,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발밑용 송풍구 (23E) 및 전방측용 송풍구(23F)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 유닛(23)은 증발기(23C)에서 냉각된 냉풍, 히터 코어(23D)에서 따뜻하게 된 온풍으로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밑용 송풍구(23E)는 조화 공기를 후술하는 덕트 커버(29)의 발밑용 취출구(29D)에 공급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밑용 공조 덕트(2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용 송풍구(23F)는 조화 공기를 덕트 커버(29)의 전방측용 취출구(29E) 및 상부 취출구(29F)에 공급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2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 유닛(23)은 송풍 팬(23B)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본체 케이스(23A) 내에 흡입한 공기를 증발기(23C)에서 냉각하고, 또는 히터 코어(23D)로 따뜻하게 하여 조화 공기로 한다. 그리고, 이 조화 공기를 발밑용 송풍구(23E), 전방측용 송풍구(23F) 및 공조 덕트(24, 26)를 거쳐서 덕트 커버(29)의 취출구(29D 내지 29F)로부터 캡(8) 내에 취출함으로써, 상기 캡(8) 내를 적절한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부호 24는 발밑용 공조 덕트이며, 이 발밑용 공조 덕트(24)는 운전석(16)의 우측 조작 레버(17)의 전방측에서 캡(8) 내의 우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밑용 공조 덕트(24)는 전후 방향으로 긴 덮개가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의 부착부(24A)가 공조 유닛(23)의 발밑용 송풍구(23E)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발밑용 공조 덕트(24)의 좌측면에는 직사각형으로 개방되는 접속구(24B)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구(24B)는 후술하는 덕트 커버(29)의 발밑용 취출구 (29D)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발밑용 공조 덕트(24)는 공조 유닛(23)이 송출하는 조화 공기를 발밑용 취출구(29D)에 공급하는 것이다.
부호 25는 덕트ㆍ탱크 성형체를 나타내고, 이 덕트ㆍ탱크 성형체(25)는 운전석(16)의 우측 조작 레버(17)의 전방측에서 캡(8) 내의 우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덕트ㆍ탱크 성형체(25)는, 후술하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를 일체적으로 성형(일체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ㆍ탱크 성형체(25)는 캡(8)의 승강구(8F)와 반대측, 즉 운전석(16)의 전방측에 형성된 공간부(A)의 우측에 위치하여 캡(8)의 우측면부(8D)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밑용 공조 덕트(24)는 덕트ㆍ탱크 성형체(25)의 내측[공간부(A)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26은 덕트ㆍ탱크 성형체(2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이다. 이 전방측용 공조 덕트(26)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부착통부(26A)와, 상기 부착통부(26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된 횡통부(26B)와, 상기 횡통부(26B)의 전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종통부(26C)와, 상기 종통부(26C)의 상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더 연장된 원통부(26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통부(26C)의 하측 위치에는 원형으로 개방되는 하측 접속구(26E)가 마련되고, 상기 하측 접속구(26E)는 후술하는 덕트 커버(29)의 전방측용 취출구(29E)에 접속하는 것이다. 또한, 원통부(26D)의 상단부는 상측 접속구(26F)가 되고, 상기 상측 접속구(26F)는 덕트 커버(29)의 상부 취출구(29F)에 접속하는 것이 다. 또한,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에는 횡통부(26B)와 종통부(26C)의 굴곡부에 위치하여 브래킷(26G)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26G)은 캡(8)의 우측면부(8D)에 볼트 등(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방측용 공조 덕트(26)는 부착통부(26A)를 공조 유닛(23)의 전방측용 송풍구(23F)에 부착함으로써, 공조 유닛(23)이 송출하는 조화 공기를 덕트 커버(29)의 전방측용 취출구(29E)와 상부 취출구(29F)에 공급하는 것이다.
부호 27은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에 인접하도록 일체화하여 설치된 워셔 탱크이며, 상기 워셔 탱크(27)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함께 덕트ㆍ탱크 성형체(25)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26)를 형성하는 횡통부(26B)의 상측으로 늘어세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는 전후 방향으로 긴 상자형 용기로서 형성되고,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일체적으로 성형(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는 적어도 후술하는 감시창(30)에 대응하는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감시창(30)을 이용하여 충전된 워셔액의 액면 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는 그 전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인 수지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워셔 탱크(27)의 상면에는 워셔액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27A)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충전구(27A)는 후술하는 덕트 커버(29)의 관통 구멍(29G)을 통해서 상면부(29B) 상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충전구(27A)에는 캡(27B)(도2 및 도3 참조)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의 저부측에는 워셔액이 유출되는 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상기 유출구는 후술하는 워셔 펌프(28)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워셔 탱크(27)의 후방부 하측에는 C자 형상의 펌프 부착부(27C)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펌프 부착부(27C)에는 워셔 펌프(2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에는 상면 전방측 부근에 위치하여 브래킷(27D)이 마련되고, 상기 브래킷(27D)은 캡(8)의 우측면부(8D)에 볼트 등(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부착되는 것이다.
부호 28은 워셔 탱크(27)의 펌프 부착부(27C)에 끼워져 부착된 워셔 펌프(도5 참조)이며, 상기 워셔 펌프(28)는 워셔 탱크(27) 내의 워셔액을 전방 창 유리(9)에 설치된 노즐(11)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워셔 펌프(28)는 흡입측이 흡입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워셔 탱크(27)의 유출구에 접속되고, 토출측이 공급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전방 창 유리(9)에 설치된 노즐(11)에 접속되어 있다.
부호 29는 캡(8) 내의 우측에 마련된 덕트 커버이며, 상기 덕트 커버(29)는 발밑용 공조 덕트(24)와, 전방측용 공조 덕트(26) 및 워셔 탱크(27)를 구성하는 덕트ㆍ탱크 성형체(25)를 덮어 숨기는 화장 커버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 커버(29)는 후방부 시트(13)의 우측 전방측 위치로부터 캡(8)의 우측면부(8D)를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2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 커버(29)는 캡(8)의 우측면부(8D)와 좌우 방향에 간격을 갖고 세워 설치된 직립부(29A)와, 상기 직립부(29A)의 상단부 후방측 부근으로부터 우측면부(8D)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면부(29B)와, 상기 직립부(29A)의 상단부 전방측 부근과 상면부(29B)의 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자형의 모니터 부착부(29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립부(29A)에는 후방측에 위치하여 발밑에 조화 공기를 취출하는 발밑용 취출구(29D)와, 전방측에 위치하여 전방 창 유리(9) 등을 향해 전방측에 조화 공기를 취출하는 흐림 방지용 전방측용 취출구(29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 부착부(29C)의 후방면측에는 작업 상태 등의 정보를 운전자를 향해 표시하는 모니터(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니터 부착부(29C)의 상부에는 운전자 등에 향해 조화 공기를 취출하는 상부 취출구(29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29B)에는 워셔 탱크(27)의 충전구(27A)가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관통 구멍(29G)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직립부(29A)에는 발밑용 취출구(29D)의 상측 근방에 위치하여 감시창(3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창(30)은 덕트 커버(29)에 마련되고, 상기 감시창(30)은 워셔 탱크(27)에 대응하도록 발밑용 취출구(29D)의 상측에 위치하여 직립부(29A)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창(30)은 외부로부터 들여다 봄으로써 워셔 탱크(27)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유압 셔블(1)을 조작하기 위해, 운전자는 도어(8G)를 개방하여 승강구(8F)로부터 캡(8) 내에 올라탄다. 그리고, 운전자는 덕트 커버(29)에 마련된 감시창(30)을 봄으로써, 워셔 탱크(27) 내에 워셔액이 충분히 충전되어 있는지 용이하 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워셔액이 적은 경우에는 캡(27B)을 개방함으로써 충전구(27A)로부터 워셔 탱크(27) 내에 워셔액을 간단하게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석(16)에 착석한 운전자는 주행용 레버ㆍ페달(19)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킨다. 또한, 조작 레버(17)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 등을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캡(8) 내의 온도 조정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운전자는 공조 유닛(23)을 구동한다. 이에 의해, 공조 유닛(23)으로부터 송출되는 조화 공기는 송풍구(23E, 23F) 및 공조 덕트(24, 26)를 거쳐서 덕트 커버(29)의 취출구(29D, 29E, 29F)로부터 캡(8) 내에 공급되고, 상기 캡(8) 내를 적절한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창 유리(9)의 흐림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우천 작업에서는 와이퍼(10)를 구동함으로써 전방 창 유리(9)에 부착된 물방울을 닦아낼 수 있다. 또한, 전방 창 유리(9)가 먼지나 진흙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즐(11)로부터 전방 창 유리(9)에 워셔액을 분사하고, 와이퍼(10)를 구동함으로써 전방 창 유리(9)에 부착된 먼지나 진흙을 닦아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워셔 탱크(27)를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일체화하여 설치함으로써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의 주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워셔 탱크(27)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캡(8) 내에 워셔 탱크(27)를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워셔 탱크(27)가 시계의 방해가 되거나, 거주 공간에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8) 내에 있는 운전자에 대한 압박감 등을 해소 할 수 있어 거주성 및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를 캡(8) 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워셔 탱크(27)를 노즐(11)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호스를 짧게 할 수 있어 공급 호스의 손상 등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를 공조 덕트(26)와 일체화함으로써, 한랭지에서는 공조 덕트(26)를 흐르는 온풍으로 워셔 탱크(27) 내의 워셔액을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워셔액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16)과 캡(8)의 전방 창 유리(9)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A)의 우측 방향에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계나 레버 조작 등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워셔 탱크(27)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는 승강구(8F)와 운전석(16)을 협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캡(8)의 우측면부(8D)를 따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는 운전자가 캡(8) 내에 승강할 때 또는 운전석(16)에 앉아 작업을 행할 때에 방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캡(8)의 우측면부(8D)를 따라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를 배치함으로써, 이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에 의해 차음 효과 및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캡(8) 내의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덕트 커버(29)에 의해 공조 덕트(24, 26)와 워셔 탱크(27)를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의 돋보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워셔 탱크(27)의 충전구(27A)는 덕트 커버(29)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충전구(27A)로부터 워셔 탱크(27) 내에 워셔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29)에는 감시창(30)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감시창(30)으로부터 워셔 탱크(27)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 시작 점검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를 일체적으로 성형(일체 성형)함으로써 덕트ㆍ탱크 성형체(25)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덕트ㆍ탱크 성형체(25)를 캡(8)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를 함께 부착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와 워셔 탱크(27)를 일체적으로 성형(일체 성형)함으로써 덕트ㆍ탱크 성형체(25)를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9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덕트ㆍ탱크 성형체(25) 대신에 덕트ㆍ탱크 조립체(31)에 적용해도 좋다. 즉, 덕트ㆍ탱크 조립체(31)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32)와 워셔 탱크(33)를 별개의 부재로서 성형하고, 이들 전방측용 공조 덕트(32)와 워셔 탱크(33)를 접착, 용착 및 나사 고정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화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발밑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발밑용 공조 덕트(24)와, 전방 창 유리(9) 및 운전자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전방측용 공조 덕트(26)의 2개의 덕트를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밑용 공조 덕트(24)와 전방측용 공조 덕트(26)를 일체화하여, 예를 들어 발밑, 전방 창 유리 및 운전자에 각각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1개의 공조 덕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워셔 탱크[27(33)]는 이 1개의 공조 덕트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바닥판(18)과 상부 바닥판(21)에 의해 이중 바닥판 구조로 하고, 하부 바닥판(18)에 공조 유닛(23)을 마련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공조 유닛(23)은 운전석(16)을 장착하는 운전석 시트(12)의 하측 위치, 혹은 운전석 시트(12)의 후방측 위치 등의 다른 장소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캡(8)은 전방면부(8A), 후방면부(8B), 좌측면부(8C), 우측면부(8D) 및 천정면부(8E)에 의해 상자체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캡은, 예를 들어 좌측면으로부터 후방면에 걸쳐 외주면을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캡은 전방면, 천정면 및 후방면에 걸쳐 원호형으로 형성한 주발 형상 캡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캡은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한 통형 캡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1)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유압 크레인, 휠 로더, 지래프(giraffe)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전방측에 작업 장치가 설치된 차체와, 상기 차체 상에 설치되어 전방측에 전방 창 유리를 갖는 중공의 캡과, 상기 캡 내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과, 상기 캡 내에 설치되어 취출구를 향해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덕트와, 상기 캡의 전방 창 유리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워셔 탱크를 상기 공조 덕트와 일체화하여 상기 캡 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상기 전방 창 유리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캡 내에 마련하고,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는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에서 상기 공간부의 측방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운전석에 승강하기 위한 승강구를 마련하고, 상기 운전석은 상기 전방 창 유리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캡 내에 마련하고,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는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에서 상기 캡의 승강구와 반대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에는 운전자의 발밑에 위치하여 공조 유닛 수용 오목부를 갖는 바닥판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공조 유닛 수용 오목부 내에는 조화 공기를 송출하는 공조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공조 덕트는 상기 공조 유닛과 접속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덮는 덕트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워셔 탱크는 워셔액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를 상기 덕트 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덮는 덕트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 커버에는 상기 워셔 탱크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확인하는 감시창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탱크는 상기 공조 덕트와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는 별개의 부재로서 성형하고, 이들 공조 덕트와 워셔 탱크를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화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067003678A 2004-02-26 2005-02-18 건설 기계 KR101059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1984 2004-02-26
JP2004051984A JP4209787B2 (ja) 2004-02-26 2004-02-26 建設機械
PCT/JP2005/003082 WO2005083186A1 (ja) 2004-02-26 2005-02-18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838A true KR20060127838A (ko) 2006-12-13
KR101059266B1 KR101059266B1 (ko) 2011-08-24

Family

ID=3490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678A KR101059266B1 (ko) 2004-02-26 2005-02-18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37074B2 (ko)
EP (1) EP1722038B1 (ko)
JP (1) JP4209787B2 (ko)
KR (1) KR101059266B1 (ko)
CN (1) CN100593605C (ko)
WO (1) WO20050831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86B1 (ko) * 2006-12-22 2013-06-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의 와셔액 보충 알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2049B2 (en) 2006-07-17 2013-03-05 Nmhg Oregon, Llc Multi-direction vehicle control sensing
US8235161B2 (en) 2007-07-06 2012-08-07 Nmhg Oregon, Llc Multiple-position steering control device
JP4880757B2 (ja) 2007-08-13 2012-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GB2466766A (en) * 2008-10-27 2010-07-07 Agco Gmbh Tractor cab with cavity floor for HVAC unit and ducting
US7975793B1 (en) * 2009-01-02 2011-07-12 Gehl Company Tilting foot pod for the operator cab of a skid steer vehicle
JP5259479B2 (ja) * 2009-04-10 2013-08-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1118285A1 (ja) * 2010-03-24 2011-09-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616619B2 (en) * 2010-04-06 2013-12-3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KR101831390B1 (ko) * 2010-11-29 2018-02-22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건설기계
JP5612134B2 (ja) * 2011-02-07 2014-10-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20130001984A1 (en) * 2011-06-28 2013-01-03 Caterpillar Inc.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machine cab
WO2013021725A1 (ja) 2011-08-09 2013-02-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208290B1 (ja) * 2012-02-23 2013-06-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US20140166233A1 (en) * 2012-12-17 2014-06-19 Deere & Company Under cab hvac cassette module
JP5803984B2 (ja) * 2013-06-13 2015-11-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03538567B (zh) * 2013-11-05 2015-07-01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装载机驾驶室用喷淋水壶内置式操纵箱
DE202014009101U1 (de) 2013-11-19 2015-02-09 Nacco Materials Handling Group, Inc. Rückwärts-Steuergriff für einen Stapler
WO2016003443A1 (en) * 2014-07-01 2016-01-0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Construction machine having retention system
USD818008S1 (en) * 2017-05-24 2018-05-15 Deere & Company Operator station floor mat
US10947698B2 (en) * 2019-06-12 2021-03-16 Caterpillar Inc. Low-profile machine cabin
USD928846S1 (en) * 2019-11-19 2021-08-24 Tractormat, LLC Tractor ma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364A (en) * 1976-10-26 1978-05-09 Deere & Company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cab combination
JPH0735212A (ja) 1993-07-27 1995-02-07 Nikon Corp 減速装置
JPH0735212U (ja) * 1993-12-14 1995-06-2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オッシャ装置
JP3261611B2 (ja) * 1997-07-01 2002-03-04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用送風装置
JP3798572B2 (ja) * 1999-04-19 2006-07-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JP3418361B2 (ja) 1999-08-19 2003-06-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運転室空気調和装置の取付構造
JP3655537B2 (ja) 2000-06-29 2005-06-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2121770A (ja) 2000-10-13 2002-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3717428B2 (ja) * 2001-07-19 2005-11-16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
KR200273186Y1 (ko) * 2002-01-17 2002-04-22 주식회사 해피콜 냄비
DE602004027611D1 (de) * 2003-03-04 2010-07-2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Baustellenmaschine
US7290829B2 (en) * 2004-06-29 2007-11-06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with a cab
US20070145780A1 (en) * 2005-12-23 2007-06-28 Caterpillar Inc. Rotatable cab with multi-piece de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86B1 (ko) * 2006-12-22 2013-06-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의 와셔액 보충 알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31262A1 (en) 2007-06-14
JP2005238999A (ja) 2005-09-08
WO2005083186A1 (ja) 2005-09-09
US7537074B2 (en) 2009-05-26
KR101059266B1 (ko) 2011-08-24
EP1722038A4 (en) 2014-06-11
CN100593605C (zh) 2010-03-10
JP4209787B2 (ja) 2009-01-14
EP1722038B1 (en) 2015-07-01
CN1842627A (zh) 2006-10-04
EP1722038A1 (en)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266B1 (ko) 건설 기계
US706973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hydraulic shovel
US7530418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991985B1 (ko) 선회 작업차
KR100602965B1 (ko) 작업차
US7744148B2 (en) Rotatable cab with toe guard
JP5254821B2 (ja) 旋回作業機
JP4541989B2 (ja) 建設機械
JP4248373B2 (ja) キャブの製造方法
JP4875600B2 (ja) 建設機械
JP2010216154A (ja) 建設機械
JP2004268799A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3471600B2 (ja) 旋回作業機
JP7487241B2 (ja) 作業用車両
JP2008080873A (ja) 作業車の防水シール構造
JP3737998B2 (ja) 旋回作業機
WO2020179580A1 (ja) 建設機械
JP3789897B2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2002127941A (ja) エンジンルームの被水防止構造
JPH11269921A (ja) 旋回作業機
JP2001020754A (ja) エンジンの断熱・防音装置
JPH11269936A (ja) 旋回作業機
JP2004196037A (ja) 作業機械のウオッシャタンク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