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516A -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516A
KR20060118516A KR1020067010356A KR20067010356A KR20060118516A KR 20060118516 A KR20060118516 A KR 20060118516A KR 1020067010356 A KR1020067010356 A KR 1020067010356A KR 20067010356 A KR20067010356 A KR 20067010356A KR 20060118516 A KR20060118516 A KR 2006011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ebbing
spindle
seat bel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322B1 (ko
Inventor
유키노리 미도리가와
히로시 야마다
마스오 마츠키
키요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6011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60R2021/01129Problems or faults
    • B60R2021/0115Current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seat belt tensi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2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parallel
    • B60R2022/4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parallel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n 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스핀들(2)은 필요시 동력전달기구부(6)를 통하여 모터(5)에 의해 웨빙 권취측에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시, 스핀들(2)은 테이크업 스프링(7)에 연결되며, 항상 웨빙권취측에 회전동력이 부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장시에도 최저한 시트벨트 사용자의 장착중의 구속을 가능하게 하고 한층 안전확실한 구속장치를 실현한다.
스핀들, 동력전달기구부, 모터, 테이크업 스프링

Description

시트벨트용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한층 안전확실한 구속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차량탑재용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리트랙터로서는, 종래부터, 일본국 특개 2000-038110호 공보(일본특허문헌 1) 및 일본국 특개 2001-334913호 공보(일본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문헌 1 및 일본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동 리트랙터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프레임에는, 시트벨트를 감는 릴 샤프트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 차량에 소정의 감속도가 작용한 때, 또는 시트벨트가 소정의 가속도로 인출된 때에 시트벨트의 인출을 잠그는 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릴 샤프트의 중심축은 릴 샤프트용 풀리의 중심축에 연결되고, 릴 샤프트용 풀리는 동력전달 벨트를 통해서 직류모터용 풀리에 연결되어 있다. 직류모터용 풀리의 중심축은 직류모터에 연결된다. 따라서, 직류모터의 동력은 그대로 릴 샤프트에 전달되고, 또,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인출함으로써 회전하는 릴 샤프트의 회전도 그대로 직류모터에 전달된 다.
더욱이, 직류모터는, 직류모터 구동부를 통하여, MPU(Micro Processing Unit)로부터 각종 제어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MPU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부, 및 충돌의 가능성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충돌예지검출부, 및 사용자가 시트벨트의 장착유무를 검출하는 버클접속유무 검출부에 접속되어 각각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직류모터를 구동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웨빙(Webbing)을 감기 위한 동력발생수단이 전력을 이용한 직류모터이므로, 어떤 이유에 의해, 모터가 동작하지 않게되거나, 전원이 끊어지는 등의 고장이 돌발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웨빙을 감을 수 없으며, 상기와 같은 고장시는, 시트벨트 사용자를 바람직한 상태에서 구속할 수 없게 된다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가 동작하지 않게 되거나 전원이 끊어지는 등의 고장시에도, 최소한 시트벨트 사용자의 장착중의 구속을 가능하게 하고, 한층 안전확실한 구속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이 스핀들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가속될때의 상기 스핀들의 회전가속도가 소정 수치 이상일 때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정지하여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한편, 차량의 감속도가 소정 수치이상일때,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인출방지부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발생된 당해 동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도록 상시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는 제1의 동력발생부를 갖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필요시에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의 동력발생부와, 필요시에 이 제2의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부가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 보다도 작은 동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속도보다도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는, 복수회 사용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가, 선회스프링의 회전스프링력으로 동력을 만들어내는 한편,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모터의 회전력으로 동력을 만들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동력전달기구부가,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할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때와 반대동력을 발생할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 불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가, 시트벨트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장착한 상태일 때, 상기 웨빙에 소정의 장력이 발생할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하도록, 미리 동력설정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3 기재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이, 상기 동력전달기구부가,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와 상기 스핀들 사이에 탄성변형하는 부재에 의해 동력전달을 완충하는 동력전달완충부를 가지며,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급격한 동력변화를 상기 스핀들에 대하여 급격한 동력변화로서는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고, 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때에, 시트벨트 사용자가 상기 웨빙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급격한 힘을 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스핀들로의 급격한 인출방향으로의 힘을,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급격한 힘의 변화로서는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5 기재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동력전달완충부는, 탄성변형하는 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에 의한 동력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웨빙이 인출되어 있는지 또는 감겨져 있는 것인지 또는 정지상태에 있는 것인지를 검출하는 웨빙 동작검출부를 갖고, 별도설치된 버클에 내장되어 텅(tongue)의 버클로의 걸림유무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장착유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시트벨트의 장착유무와, 상기 웨빙 동작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웨빙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시트벨트 장착있음에서 없음으로 된 것이 검출되면,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웨빙의 인출이 검출되면,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며, 또한,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될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 8 또는 9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당해 동력의 발생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고, 그후,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과는 반대의 동력을 소정시간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 8, 9 또는 10 기재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시트벨트 장착없음에서 있음이 검출되면,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을 소정의 동력으로 실행시키고,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과는 반대의 동력을 소정시간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11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웨빙 동작검출부가,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 및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소정시간 이내에서 소정 수치이상의 회전량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웨빙을 인출하는 측에 상기 스핀들의 회전이 검출된 경우는, 상기 웨빙이 인출되어 있다고 판단하며, 상기 웨빙을 감는 측에서 상기 스핀들의 회전이 검출된 경우는, 상기 웨빙이 감겨져 있다고 판단하고, 소정시간 이내에서 소정 수치이상의 회전량 변화가 없는 경우는,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11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별도 설치된 차량이 위험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위험상태 검출부에 의해, 위험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시트벨트 장착있음이 검출되는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3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시트벨트 장착 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차량의 위험상태있음에서 없음으로 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보다도 큰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하며, 이후, 시간경과와 함께 서서히 동력을 저하시키고 동력발생이 없어진 후,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하는 소정의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별도 설치된 버클에 내장되고, 텅의 버클로의 걸림유무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장착유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시트벨트의 장착유무상태와, 별도설치된 차량이 위험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위험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위험상태유무에 따라,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시트벨트 장착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차량의 위험상태 있음이 검출될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7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시트벨트 장착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차량의 위험상태 있음에서 없음으로 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청구항 16항의 동력보다도 큰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하고, 이후, 시간경과와 함께 서서히 동력을 저하시키며, 동력발생이 없어진 후,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하는 소정의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8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3 또는 15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위험상태 있음이 검출될 때에, 시트벨트 장착있음에서 없음이 검출되면,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하는 소정의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9 기재의 발명은,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청구항 13 내지 18중의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의 크기는, 상기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중의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의 크기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20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 10, 11, 14, 17 또는 18 기재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스핀들에 대하여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회전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웨빙검출부에 의해 소정량 이상의 웨빙의 인출량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한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발명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가 동작하지 않게 되거나, 전원이 끊어지거나 하는 등의 고장시에도, 최소한 현재 시트벨트를 사용하고 있는 승무원을 구속할 수 있으므로, 한층 안전확실한 구속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시트벨트장치의 사용모습을 표시한 외관도, 도 2는, 동 제1 실시예인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기능블럭도, 도 3은, 동 제1실시예인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기능블럭도, 도 4는, 동 제1 실시예인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기능블럭도, 도 5는, 동 제1 실시예인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기능블럭도, 또, 도 6은, 동 제1 실시예인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7은,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메인 플로 챠트, 도 8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9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0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1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2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3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4a,도 14b, 도 14c,도 14d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5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6a, 도 16b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7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18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또, 도 19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20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21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22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도 23은,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또, 도 24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 또, 도 25는, 동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벨트용 리트랙터는,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이 스핀들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가속될 때의 상기 스핀들의 회전가속도가 소정 수치이상인 때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정지하여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한편, 차량의 감속도가 소정 수치이상인 때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인출방지부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발생된 당해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도록, 상시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는 제1의 동력발생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에서는, 더욱이 필요시에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의 동력발생부와, 필요시에 이 제2의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부가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보다도 작은 동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핀들의 속도보다도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는, 복수회 사용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별도, 차량전방 및/또는 차량후방 및/또는 차량측방과 장해물과의 충돌가능성을 판단하는 위험상태검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위험상태검출부는, 거리센서에 의해 장해물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그 거리의 시간적 변화로부터 얻어지는 상대속도에서 충돌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그 시간이 소정 수치 이하라면 위험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시트벨트장치의 사용모습을 표시한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기능 블럭도, 또, 도 7은, 제어부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메인 플로 챠트이다. 본 실시예의 시트벨트장치는, 도 1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승무원을 좌석(301)에 구속하는 웨빙(302)의 일단측이 부착되는 본 실시예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100), 웨빙(302)을 승무원의 어깨근방으로 되접는 스루 앵커(303), 웨빙(302)을 삽입하여 요부에 배치되는 버클(304)과 걸어맞추는 텅 플레이트(tongue plate)(305), 웨빙(302)의 타단부를 차체에 고정하는 앵커 플레이트(anchor plate)(306), 버클(304)에 내장되어 웨빙(302)의 장착을 검출하는 버클 스위치(307), 및 시트벨트용 리트랙터(100)의 모터(5)(도 6)를 제어하는 제어부(14)(도 2)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시트벨트용 리트랙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1)에는 웨빙(302)을 감는 스핀들(2), 스핀들(2)의 좌단측에서 결합하고, 스핀들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스핀들 샤프트(3)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스핀들 샤프트(3)의 우단측에는 웨빙(302)의 인 출을 잠그는 인출방지부(4)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방지부(4)는 종래부터 공지된 것이며, 차량에 소정의 감속도가 작용한 때 웨빙(302)의 인출을 잠그는 동작과, 웨빙(302)이 소정의 가속도로 인출된 때에 웨빙(302)의 인출을 잠그는 동작을 구비하고 있다. 인출방지부(4)는, 웨빙(302)의 인출이 잠금상태에서도, 모터(제2의 동력발생부)(5)에 의한 웨빙(302)의 권취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2)은, 필요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기구부(6)를 통하여, 모터(5)에 의해 웨빙귄취측에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시, 스핀들(2)은, 테이크업 스프링(Take-up spring)(제1의 동력발생부)(7)에 연결되어 있다.
동력전달기구부(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샤프트(3)에 고정된 스핀들측 풀리(8)와, 모터(5)의 회전축에 고정된 모터측 풀리(9)와, 양 풀리(8),(9) 사이에 걸쳐진 타이밍 벨트(10)와, 모터(5)가 권취회전하면 스핀들측 풀리(8)내에 부착된 클러치(11)가 들어가서, 스핀들측 풀리(8)의 힘을 받는 클러치 하우징(12)과, 클러치 하우징(12)과 스핀들 샤프트(3)를 권취측만 완충하는 스핀들측 풀리(8)내에 장전되고 스핀들 샤프트(3)에 고정된 동력전달완충부재(코일 스프링)(17)로 되어 있다. 도 5는, 동력전달완충부재(코일 스프링)(17)가 압축되는 일 없이, 스핀들측 풀리(8)와 클러치기구부(11),(12)가 동시에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4는, 스핀들측 풀리(8)의 회전에 대하여, 클러치 기구부(11),(12)가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동력전달완충부재(코일스프링)(17)가 압축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빙동작검출을 위해서, 스핀들 샤프트(3)의 회전수와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웨빙동작검출부(13)가 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웨빙동작검출부(13)는, 예컨대, N극과 S극이 교대로 형성된 자화(磁化)디스크가 스핀들 샤프트(3)에 고정되어 되는 것으로, 전자유도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는, 제어부(14)로 전해진다. 버클 스위치(307)은 버클(304)내에 내장되고, 시트 벨트장착의 유무를 검출하며, 창착유무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4)로 공급한다.
위험상태검출부(14)는, 예컨대, 차량전방 및/또는 차량후방 및/또는 차량측방과의 장해물 충돌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이며, 거리센서에 의해 장해물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그 거리의 시간적 변화로부터 얻어지는 상대속도와, 장해물까지의 거리에서 완충까지의 시간을 계산하며, 그 시간이 소정수치 이하라면 위험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위험상태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4)로 공급한다. 제어부(14) 내에서는 모터(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모터(5)를 구동한다. 스핀들 샤프트(3)에 설치된 외주에 N극 S극이 교대로 형성된 자화디스크와, 서로 1/4주기 위상이 벗어난 출력을 발생하도록 배치된 2개의 홀 센서에 의해 스핀들(2)의 회전을 검출하여, 2상의 펄스열 ø1 및 ø2를 발생하고, 회전방향 및 회전량(회전각도)를 제어부(14)에 전달한다. 펄스열 ø1 및 ø2는 제어부(14)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내의 업다운 카운터에 의해 디지털 치화되고, 웨빙(302)의 인출량에 따른 출력으로 된다.
제어부(14)는, 예컨대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중앙연산처리장치), 각종 처리데이터를 기억하는 RAM,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ROM, 내장 타 이머, 및 신호변환 등을 실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모터(5)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버클 스위치(307) 및 위험상태검출부(1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각각 벨트장착 플래그 및 위험 플래그를 플래그 레지스터(또는 RAM)에 설정한다. 또, 도시하지 않은 플래그 레지스터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CPU가 웨빙인출량을 감시하여 각종의 플래그를 설정한다. 예컨대, 주기적으로 감시되는 웨빙인출량으로부터, 전회 감시시의 전회 수치와 금회 감시시의 금회 수치의 차이로부터, 웨빙(302)의 인출을 표시하는 인출 플래그, 또는 웨빙(302)의 권취를 표시하는 권취플래그, 또는 웨빙(302)이 인출 및 권취가 실행되지 않은 정지플래그 등을, 플래그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각종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웨빙(302)의 인출, 권취, 정지, 시트벨트 장착의 유무, 및 위험상태의 유무 등을 판별가능하다. 이들에 따라, 모터(5)를 제어한다.
도 7은, 제어부(14) 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의 각종 동작을 설명하는 메인의 플로 챠트이다. 제어부(14)는, 차량의 배터리 라인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는다. 도 7의 스타트는, 상기 예의 리트랙터를 차량에 조립하고, 제어부(14)를 배터리 라인에 접속한 때에 실행된다. 따라서, 초기 파라미터 세트는, 통상은 하지 않고, 초기의 차량조립시, 또는 수리 등으로 배터리를 제거하고 다시 부착한 때에만 실행된다. 도 7의 플로 챠트를 참조하여,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 러(CPU)의 각종 동작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먼저, 스텝 A1에서, 도 8에에 도시한 초기 파라미터를 세트한다. 여기에서는, 각종 레지스터가 클리어되고(스텝 B1), 다음에, 벨트동작에 관련된 각종 상태 플래그를 클리어하며(스텝 B2), 다음에, 고장플래그를 클리어하고(스텝 B3), 다음에, 각종 임계치를 각각 소정 수치에 세트하고(스텝 B4), 다음에, 격납원점을 세트하기 위한 격납원점세트 구동을 한다(스텝 B5).
격납원점세트구동의 상세한 동작처리순서를 도 24에 도시한다. 먼저,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duty)비를 세트하고(스텝 C1), 다음에 권취구동신호를 ON으로 하며(스텝 C2), 모터(5)를 소정시간 소정의 권취력으로 귄취구동한다(스텝 C3).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 후술의 정지검지(도 17)를 실행한다(스텝 C4). 다음에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C5),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정지검지로 되돌아오며(스텝 C4),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모터(5)의 구동을 정지하고(스텝 C6), 이 정지위치에서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센서에 의해 검지된 스핀들(2)의 회전량을 격납원점으로서 세트한다(스텝 C7). 이후, 스텝 C8로 진행되며 인출구동을 실행한다.
여기서, 웨빙(302)의 인출구동(스텝 C8)은, 도 20에 도시하는 인출구동 루틴(routine)에 따라서 실행된다. 먼저, 인출속도의 초기설정에 대응시켜서, PWM의 듀티비가 초기설정된다(스텝 S1). 이 예에서는, PWM 듀티비로서 10%~20% 사이의 특정값이 초기설정된다. 다음에 인출구동신호가 ON으로 되고, 모터(5)에 의한 인출 이 실행된다(스텝 S2). 듀티비는 20ms마다(스텝 S3), 소정량씩 증가되고 서서히 커져간다(스텝 S4). 즉, 서서히 권취력을 크게 해간다. 다음에, 듀티비가 설정된 최대값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되며(스텝 S5), 최대값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는, 계속해서 듀티비 업을 하고(스텝 S3, S4, S5), 최대값에 도달한 때에는, 다음의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인출구동을 시작하고나서부터 300ms경과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300ms 경과한 때, 리턴된다. 여기서, 인출구동중의 각 수치(초기 PWM 듀티비 10%~20%, 경과시간으로서의 20ms, 300ms)는 일예이며, 시트벨트장착중에서의 인출구동에서는, 각 수치는 클러치(11)를 해제할 수 있도록 모터(5) 및 기어를 동작할 수 있는 인출측으로의 모터회전력이 부여되는 듀티비이고, 구속된 승무원이 받는 반력에 의해 웨빙(302)이 급격히 인출되어 WSI(Webbing Senstive Inertia)가 오작동하여 인출잠금하지 않는 정도의 인출측으로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된 듀티 업의 주기이며, 1주기당의 듀티 업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클러치 해제중에 클러치 해제가 완료되기 전에 승무원에 의해 웨빙(302)이 인출되어도, 충분히 클러치(11)가 해제될 수 있을 만큼 스핀들(2)을 회전할 수 있도록 인출구동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으로 적절히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듀티 업, 듀티 다운이란 C언어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인출구동후, (도 20의 처리 루틴 종료후), 도 24로 되돌아가서 스텝 C9로 진행되며, 클러치(11)를 해제하여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당해 격납원점세트 구동의 처리를 종료한다(도 7의 스텝 A1의 종료).
다음에,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타이머 인터럽 트(Interrput)를 허가한다(스텝 A2). 여기서는 예컨대 타이머 인터럽트를 20ms로 하고, 20ms마다 인터럽트가 되고, 도 9에 도시한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은, 도어의 개폐검지가 실행된다(도 9의 스텝 D1). 도어의 개폐검지는, 상세하게는 도 25에 도시한 처리순서로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개폐검지 카운터가 소정회수에 달할 때까지의 도어폐쇄의 검지가 몇회 실행되는가에 따라서, 도어의 개폐검지를 실행하고, 소정의 플래그를 세트한다. 도 25에서, 먼저, 도어개폐검지 카운터가 증가된다(스텝 E1). 이 카운터는 RAM(레지스터)내의 소정개소에 설정되고, 도어개폐검지가 실행될때마다 증가된다. 다음에, 차량에 장비된 도어 스위치로부터의 도어개폐신호를 측정한다(스텝 E2). 다음에, 도어개폐검지 카운터가 예컨대 「5」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E3), 도어개폐검지 카운터가 「5」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E4로 진행되며, 측정된 도어개폐신호에 의해, 도어폐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도어폐쇄라면 도어폐쇄카운터가 증가된다(스텝 E5). 도어폐쇄카운터는 RAM(레지스터)내의 소정개소에 설정되어 있다. 스텝 E5에서, 도어폐쇄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도어폐쇄카운터는 증가되지 않고, 도 7의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E3에서, 도어개폐검지 카운터가 5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스텝 E6으로 진행되고, 도어폐쇄카운터가 3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3 이상이라면 도어폐쇄 플래그가 세트되며(스텝 E7), 3 이상이 아닌 경우는 도어폐쇄 플래그가 클리어된다(스텝 E8). 이후, 도어개폐검지 카운터가 클리어되고(스텝 E9), 다음에 도어폐쇄카운터가 클리어되며(스텝 E10), 도 7의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시트벨트 장착유무검출부(16)로부터의 신호로부터, 버클장착검지 루틴(도 9의 스텝 D2)이 실행된다. 버클장착검지는, 상세하게는, 도 11에 표시한 동작처리순서로 실행된다. 여기에서는, 버클장착카운터가 소정회수에 달할때까지 버클장착과 검지된 회수가 몇 회인지를 판단하여, 버클장착/비장착을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의 전회와 금회의 결과를 비교하여 버클장착에 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소정의 플래그를 세트한다. 먼저 RAM(레지스터)내의 소정개소에 설정된 버클장착 카운터가 증가된다(스텝 F1). 다음에, 시트벨트 장착유무검출부(16)에서 버클장착유무신호를 측정한다(스텝 F2). 다음에,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버클장착 카운터가 예컨데 「5」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F3), 도달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F4로 진행되며, 측정된 버클장착 유무신호에 의해 버클 장착인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버클장착이라면 버클장착 카운터가 증가되고(스텝 F4),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F4에서, 버클장착이 아닌 경우는, 그대로 리턴된다. 스텝 F3에서, 버클장착 카운터가 「5」에 도달된 경우에는, 스텝 F6으로 진행되고, 버클 장착 카운터가 「3」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3」이상의 경우는 버클장착 플래그가 세트된다(스텝 F7). 그리고, 전회의 장착 플래그와 비교되어(스텝 F8), 만약 다른 경우는 버클비장착에서 장착이행 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F9), 도어개폐검지 카운터(스텝 F10)와 버클장착 카운터(스텝 F11)가 각각 클리어된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F8의 판단결과, 만약 전회 장착플래그와 같다면, 버클장착계속 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F12), 이후, 리턴된다. 다음에 스텝 F6에서의 판단 결과, 버클장착 카운터가 「3」이상이 아닌 경우는, 버클장착 플래그 가 클리어되고(스텝 F13), 전회의 장착플래그와 비교되며(스텝 F14), 당해 비교결과, 전회의 장착플래그와 다른 경우는 버클장착에서 비장착이행 플래그를 세트하du(스텝 F15), 이후 리턴한다. 스텝 F14에서의 비교결과, 만약 전회의 장착플래그와 같은 경우에는, 버클비장착 계속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F16), 이후 리턴된다.
다음에, 충돌예지 제어루틴이 실행된다(도 9의 스텝 D3). 이것은, 도 19에 표시한 처리순서에 따라서 실행된다. 먼저, 버클장착계속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G1),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그대로 리턴된다.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위험상태검출부(15)로부터 충돌예지신호가 판독되고(스텝 G2), 그 신호로부터 충돌불가피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G3). 여기에서 충돌불가피란, 승무원 조작에 의해 충돌을 피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 G3에서의 판단결과가, 「YES」, 즉 충돌불가피로 판단된 경우는, 예컨대 3초간 시트벨트가 고속권취구동되고(스텝 G4), 이후 리턴된다. 이 동작은, 다른 동작에 우선하여 실행된다. 또, 판단시간으로서의 3초간은 일예이며, 요컨대, 충돌불가피 상태에서의 승무원 구속이 필요한 시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텝 G3에서의 판단결과가 「NO」, 즉, 충돌불가피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G5로 이동하고, 전회에서는 충돌불가피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여기서, 충돌불가피였다고 판단된 경우는, 모터(5)에 의한 권취를 실행한 리트랙터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해제 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G6),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G5에서의 판단결과, 전회도 충돌불가피가 아니었던 경우는, 충돌의 가능성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G7), 충돌의 가능성 있음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시트벨트의 권취 및 인출 측으로의 모터구동이 교대로 실행된다(스텝 G8). 이것에 의해, 승무원에게 위험을 알린다.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G7의 판단결과가 충돌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는, 전회에서는 충돌가능성이 있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G9), 충돌의 가능성이 없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리턴된다. 한편, 전회에서는 충돌의 가능성이 있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충돌의 가능성이 없어지고 나서 1초 이상 경과했는지가 판단되며(스텝 G10), 1초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G8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시트벨트의 권취 및 인출측으로의 모터구동이 교대로 실행된다. 이것은, 일순간 밖에 충돌의 가능성이 없어도, 최저 1초는 시트벨트의 권취 및 인출측으로의 모터구동을 교대로 실행시키고, 경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여기서 판단시간으로서의 1초는 일예이며, 요컨대, 경보로서 인정되는 시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텝 G10의 판단결과, 충돌의 가능성이 없어지고나서 1초 이상 경과하고 있는 때는, 모터(5)에 의한 권취를 실행한 리트랙터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해제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G11), 이후, 리턴한다.
충돌예지제어 루틴(스텝 D3)이 끝나면, 도 9로 되돌아가서 스텝 D4로 진행하여, 500ms 경과했는지가 판단된다. 이것은 RAM(레지스터)내에 500ms 카운터가 설정되고 타이머 인터럽트 20ms마다 증가되고, 이 카운터 수치에 의해 500ms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500ms 카운터가 500ms에 도달한 때는, 구동부고장진단 루틴이 실행되고(스텝 D5), 이후 500ms 카운터는 클리어 되고 리턴된다. 한편, 스텝 D4에서의 판단결과, 500ms 만큼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구동부고장진단 루틴이 실행되지 않고 그대로 리턴된다.
도 18에 구동부고장진단 루틴을 표시한다. 구동부고장진단은, 모터구동이 연속으로 소정시간 이상 정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검출된다. 먼저, 모터(5)에 흐르는 전류를 도시하지 않은 전류검출회로에서 검출하고(스텝 H1), 이 전류가 소정수치 이상이라면 모터구동 있음으로 판단한다. 모터구동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스텝 H2), 모터구동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는, RAM(레지스터)내에 설정된 구동부 이상플래그가 클리어되고(스텝 H3),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H2에서, 모터구동이라 판단된 경우는, 스텝 H4로 진행되고, 모터구동이 10초 이상 계속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10초 이상 계속된 경우에는 구동부 이상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H5), 이후 리턴된다. 한편 모터구동이 10초 이상 계속되지 않은 경우는, 그대로 리턴된다. 여기서 10초는 일예이며, 요컨대, 통상의 모터구동으로 실행되는 구동의 최대계속시간 이상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버클(304)의 상태가 상술의 타이머 인터럽트(스텝 A2)마다 실행되는 버클장착검지 루틴(스텝 D2)의 처리결과에 따라 판단되고(스텝 A3), 이에 따라 장착전제어(스텝 A6) 또는 장착초기제어 또는 장착중제어 또는 격납제어의 각 제어가 실행된다.
버클장착검지에서는 버클(304)의 상태를 표시하는 각 플래그의 세트상태에 의해 버클(304)의 상태가 검지된다(스텝 A3).
버클비장착계속이라 판단된 때는(스텝 A4), 해당하는 플래그가 클리어되고(스텝 A5), 이후 도 12에 상세하게 표시한 장착전제어가 실행된다(스텝 A6). 먼 저, 웨빙(302)이 인출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인출검지가 실행된다(스텝 J1). 이 인출검지는 도 10에 상세하게 표시한 처리순서에 따라 실행된다. 먼저, 스핀들(2)의 회전을 검지하는 회전센서로 스핀들(2)의 회전량을 판독하고(스텝 K1), 다음에 판독된 수치가 전회의 판독수치에 대하여, 소정량 이상 인출측으로 이동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K2). 여기서 소정량 이상 이동하였다고 판단된 때는 인출 있음이라고 판단하고, 인출플래그를 세트한다(스텝 K3). 한편, 스텝 K2에서, 소정량 이상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인출플래그를 클리어한다(스텝 K4). 다음에 회전센서의 판독량을 RAM내의 소정개소에 기록하고(스텝 K5), 이후 도 10의 처리로 되돌가서 인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J2). 그리고, 인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착전 제어(스텝 A6)는 리턴된다. 한편 스텝 J2에서의 판단결과, 인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J3으로 진행되고, 도 17에 상세를 표시한 정지검지루틴이 실행된다. 여기서는, 웨빙(302)의 정지유무(인출도 권취도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검지한다. 먼저, 스핀들(2)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회전센서의 출력을 판독한다(도 17의 스텝 L1). 다음에 판독된 회전량과 전회의 회전량을 비교하여 소정량의 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L2). 이 판단결과, 전회의 회전량과 금회의 회전량에 소정량의 차이가 있었던 경우, 웨빙(302)은 정지하고 있지않다고 판단하여, 정지플래그를 클리어하고(스텝 L3), 당해 정지검지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L2의 판단결과, 전회의 회전량과 금회의 회전량에 소정량의 차이가 없었던 경우는, 스텝 L4로 진행되고, 회전량에 변화가 없어지고나서 300ms이상 경과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이 판단결과, 300ms 이상 경과한 때는, 웨빙(302)은 정지하였다고 판단하여 정지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L5),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L5에서 300ms 이상 경과하고 있지않다고 판단된 때는, 그대로 리턴된다.
정지검출루틴(도 12의 스텝 J3)이 종료하면, 스텝 J4로 이동하여,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이 판단결과,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J5로 이동하고, 버클비장착 계속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며(스텝 J5), 버클비장착 계속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J3의 정지검지루틴의 실행으로 이동한다. 한편, 스텝 J5에서 버클비장착 계속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그대로 리턴된다. 한편, 스텝 J4의 판단결과,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다고 판단된 때는, 웨빙인출은 소정량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J6). 여기서, 웨빙인출의 소정량은, 시트에 착좌한 승무원을 구속하는 데에 필요한 웨빙인출량 보다도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테이크업 스프링의 설정은, 시트에 착석한 승무원을 빠듯하게 구속할 수 있을 정도의 스프링력으로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장착중의 벨트에 의한 압박감을 통상의 벨트보다도 저감하고 있기 때문에 텅을 버클(304)로부터 제거한 때에, 테이크업 스프링만으로는 완전히 웨빙(302)의 격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테이크업 스프링만으로는 웨빙(302)을 격납할 수 없는 인출량인지 아닌지를 이 소정량에서 설정하고 있다. 웨빙(302)의 인출량이 소정량 이상이 아닌 경우는테이크업 스프링만으로는 확실하게 웨빙(302)을 권취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스텝 J9의 격납제어루틴으로 점프한다. 한편, 스텝 J6의 판단결과 웨빙(302)의 인출이 소정량 이상 되었다고 판단된 때는, 스텝 J7의 권취가부검지 루틴으로 이행한다.
권취가부검지 루틴(스텝 J7)의 상세는, 도 23에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먼저, 테이크업 스프링에 의한 웨빙(302)의 권취가 가능한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웨빙(302)의 권취가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에 모터(5)에 의한 미리 설정된 소정의 권취력에서의 웨빙(302)의 권취가 가능한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먼저 100ms 사이의 회전센서에 의한 스핀들(2)의 회전량이 판독되고(스텝 M1, M2, M3), 100ms 사이에서 소정수치 이상의 웨빙(302)의 권취가 있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M4).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스텝 M4의 판단결과, 소정수치 이상의 웨빙(302)의 권취가 있었다고 판단하면, 권취가능 플래그를 세트하여(스텝 M11), 도 23의 권취가부검지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M4의 판단결과, 소정수치 이상의 권취가 있었다고 판단되지 않았던 경우는, 모터(5)를 사용한 권취가부검지로 이행하고, 먼저 모터(5)에 의한 권취력을 설정하도록 모터(5)에 부여하는 PWM신호의 듀티비를 세트후, 권취구동신호를 ON으로 한다(스텝 M5). 이후, 100ms 사이의 스핀들(2)의 회전량을 회전센서로 판독하고, 모터(5)를 정지한다(스텝 M6, M7, M8, M9). 다음에,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스텝 M10으로 진행되어, 소정수치 이상의 웨빙(302)의 권취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소정수치 이상의 웨빙(302)의 권취가 있었다고 판단된 때는, 권취가능 플래그를 세트하고나서 리턴한다. 한편, 스텝 M10의 판단결과, 소정수치 이상의 웨빙(302)의 권취가 없었던 때는, 상기와 같이 도 20에 상세를 표시한 인출구동을 실행하고(스텝 M12), 클러치(11)를 해제하며 권취가능 플래그를 클리어하고 나서(스텝 M13) 리 턴한다.
권취가부검지후(도 23의 처리루틴 종료 후), 도 12로 되돌아가서 스텝 J8로 진행되고, 귄취가능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에 의해 권취가능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귄취가능이 아닌 경우는, 스텝 J3의 정지검지루틴으로 되돌아가고, 한편 권취가능이라 판단된 경우는, 스텝 J9로 진행되어 격납제어가 실행된다.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격납제어(스텝 J9)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술의 정지검지(도 17의 루틴(스텝 L1~L5))에 의해 웨빙(302)의 정지검지를 실행하고(스텝 N1),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N2). 이 판단결과,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때는, 그대로 당해 격납제어 루틴을 리턴한다. 한편, 스텝 N2의 판단결과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때는 도어폐쇄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N3). 이 판단결과, 도어폐쇄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때는, 저속의 권취구동을 실행하고(스텝 N4), 한편, 도어폐쇄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때는, 중속의 권취구동을 실행한다(스텝 N5). 이것은, 도어로의 웨빙(302)의 끼워넣음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가 열려 있을때는, 도어를 닫은 때 격납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웨빙(302)이 도어로 끼워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여기서, 스텝 N4, N5에서의 웨빙(302)의 권취구동은 도 21에 표시한 권취구동 루틴에 따라 실행된다. 먼저, 설정하려고 하는 권취속도에 맞춰서 각각 PWM의 듀티비가 세트된다(스텝 P1). 예컨대 초기 PWM 듀티비로서 고속의 권취구동에서는 70%~90% 사이의 특정값이, 중속의 권취구동으로는 30%~50% 사이의 특정값이, 저속 의 귄취구동에서는 10%~30% 사이의 특정값이 각각 초기설정된다. 다음에 권취구동신호가 ON으로 되어 모터(5)에 의한 권취가 실행된다(스텝 P2). 듀티비는 20ms마다(스텝 P3) 소정량씩 증가되어 서서히 커져 간다(스텝 P4). 즉, 서서히 권취력을 크게 해간다. 다음에 듀티가 권취속도별로 설정된 최대값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P5), 최대값에 도달해 있지 않은 때는 계속해서 듀티비 업을 실행하고(스텝 P3, P4, P5), 최대값에 도달한 때는, 다음의 스텝 P6으로 이행한다. 스텝 P6에서는, 권취구동을 시작하고나서 300ms 경과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300ms 경과한 경우에는 리턴되며, 300ms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300ms 경과할때까지 리턴되지 않는다. 여기서 경과시간으로서의 300ms는 일예이며, 권취구동의 계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확실하게 웨빙권취를 할 수 있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구동 후(도 21의 처리루틴 종료 후), 도 15로 되돌아가서 스텝 N6으로 진행되고, 회전센서의 판독에 따라 스핀들(2)의 회전량을 검지한다. 그리고, 이미 세트되어 있는 격납원점과 검지된 스핀들(2)의 회전량에서 웨빙(302)은 격납원점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N7). 그리고,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된 때는 구동을 정지하고, 웨빙권취를 멈춘다(스텝 N8). 여기에서 소정의 위치라는 것은, 격납원점으로부터의 웨빙인출량이 도어로의 웨빙 끼워넣음을 할 수 없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동작은 격납의 웨빙권취 도중에 웨빙(302)과 함께 텅도 이동하고, 어떤 속도로 차내 내장재에 부딪히는 것에 의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내장재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어떤 위치에서 일단 권취를 멈추고,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그러나, 권취를 막 멈춘 그때에, 만약 텅마다 웨빙(302)이 차량 외부에 간혹 존재하고, 도어 등을 닫은 경우에, 웨빙(302)을 도어에 끼워넣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웨빙(302)에 손상 등이 생길 우려가 있고, 이후 웨빙강도상 바람직하지는 않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 정지하는 소정위치는, 적어도 웨빙(302)을 도어에서 끼워넣는 일이 없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N8의 구동정지후 스텝 N9로 진행되어, 도 21의 권취구동(저속) 루틴(스텝 P1~P6)을 실행하고, 다음에 스텝 N10으로 진행되어 도 17의 정지검지(스텝 L1~L5)를 실행하며, 이후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N11). 이 판단결과,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때는 스텝 N10의 정지검지로 되돌아가고, 한편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때는, 구동을 정지한다(스텝 N12).
한편, 스텝 N7의 판단결과, 웨빙(302)은 격납원점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때는 스텝 N17로 진행되어, 도 17의 정지검지(스텝 L1~L5)를 실행하고, 이후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N18). 이 판단결과,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때는, 스텝 N6으로 되돌아가고, 회전센서의 판독에 따라 스핀들(2)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것부터 다시한다. 한편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때는, 구동을 정지한다(스텝 N12).
다음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격납원점과 회전센서에 의해 판독된 스핀들 회전량을 비교하여, 격남원점보다 더욱 권취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N13), 더욱이 감겼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시 그 위치에서의 회전센서에 의해 검지된 스핀들 회전량을 격납원점으로서 재세트한다(스텝 N14). 한편, 격납원점보다도 감겨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격남원점은 다시 세트되지 않는다. 스텝 N14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N15로 진행되고, 도 20의 인출구동 루틴이 실행되어 종료하면, 도 15로 되돌아가서 스텝 N16으로 진행하고 클러치(11)를 해제하며 구동을 정지한다.
도 7의 스텝 A3로 되돌아가서 버클(304)의 상태플래그 속에서 버클(304)이 비장착에서 장착으로 이행한 것을 표시한 플래그가 세트되었다고 판단된 때는(스텝 A7), 당해 플래그는 클리어되고(스텝 A8), 이후 장착초기제어가 실행된다(스텝 A9).
스텝 A9의 장착초기제어의 상세를 도 13에 표시하고 있다(스텝 Q1~Q6). 먼저, 권취구동을 실행한다(스텝 Q1). 이것은, 기본적으로 상술의 도 21에 표시한 권취구동과 동등하지만 PWM 듀티비를 10%에서 30%로 하고, 듀티비 업의 주기를 20ms가 아니라 100ms로 하며, 권취구동의 계속시간은 300ms가 아니라 예컨대 2s로 한다. 이들 수치는 일예이며, PWM 듀티비는 승무원에게 장착된 상태의 웨빙(302)의 느슨함을 과부족없이 제거할 수 있는 권취력을 발생할 수 있는 수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듀티비 업의 주기는 급격한 권취력의 변화를 주는 것에 따른 위화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천천히 권취력을 변화시키기 위해 충분한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권취구동의 계속시간은, 천천히 권취한 때에 느슨해진 량을 충분히 권취할 정도의 계속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으로 되돌아가서, 권취구동 후(스텝 Q1), 스텝 Q2로 진행하고, 도 17의 정지검지(스텝 L1~L5)를 실행한다. 다음에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Q3), 판단결과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때는 정지구동을 실행하며(스텝 Q4), 한편 정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때는 정지검지(스텝 Q2)로 되돌아간다.
정지구동의 상세는 도 22에 표시한다. 모터(5)를 구동하고 있는 PWM 듀티비를 20ms마다 듀티 다운하고(스텝 R1, 42), 듀티비가 소정값이 될때까지, 스텝 R1, R2의 처리를 계속해서 실행한다(스텝 R3). 소정값 이하가 되면 모터구동신호를 OFF하고(스텝 R4) 리턴한다. 여기서 각 수치는 일예이며, 권취방향으로 회전중의 스핀들(2)을 WSI가 작동하고 잠그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정지시킬 수 있는 수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천히 정지시키는 이유는, 메인 락의 일부인 WSI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WSI는 종래 공지이며, 웨빙(302)을 소정가속도 이상으로 인출하면 웨빙(302)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스핀들(2)의 회전을 잠그는 것이다.
도 13으로 되돌아가서 정지구동 후(스텝 Q4), 스텝 Q5로 진행하여 클러치(11)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한 도 20의 인출구동(스텝 S1~S6)을 실행하고, 이후 정지구동을 실행한다(스텝 Q6).
도 7의 스텝 A3로 되돌아가서 버클(304)의 상태플래그속에서, 버클장착 계속플래그가 세트되었다고 판단된 때는(스텝 A10), 당해 플래그는 클리어되며(스텝 A11), 이후 장착중 제어가 실행된다(스텝 A12).
장착중 제어의 상세는 도 14a에 기재되어 있다.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먼저 해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보러가고(스텝 T1), 세트되어 있는 때는, 해제플러그를 클리어하고나서(스텝 T9), 스텝 T8로 점프해서 장착초기제어를 실행한다. 이후 리턴한다. 한편, 스텝 T1에서 해제플래그를 본 결과, 해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때는 스루 앵커(Through Ankor) 이동검지를 실행한다(스텝 T2). 스루 앵커 이동검지의 동작처리순서는 도 14b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슬라이드식의 퍼텐쇼미티(Potentiometer)에서 숄러부의 차량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지하고, 그 출력을 제어부(14)에서 판독검지한다(스텝 U1). 이 검지는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해 소정시간마다 실행된다. 다음에 전회의 타이머 인터럽트시의 스루 앵커위치와 금회 타이머 인터럽트시의 스루 앵커위치를 비교하여 이동중인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U2), 이동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된 때는, 스루 앵커 위치검지로 되돌아가며(스텝 U1), 한편, 이동이 정지하였다고 판단된 때는 스루 앵커 이동플래그를 세트한 후(스텝 U3), 도 14a의 처리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스텝 T3에서 스루 앵커 이동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세트되어 있는때는, 스텝 T8으로 점프하여 장착초기제어를 실행한다. 이후 리턴한다. 한편, 스텝 T에서 스루 앵커 이동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때는, 도 14c에 표시한 루틴에 따라서 시트전후이동 이동유무 검지가 샐행된다(스텝 V1, V2). 이 검지는, 상술의 스루 앵커 이동유무검지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실행된다. 시트이동이 있었던 경우는(스텝 V2로 「NO」인 때), 시트이동의 정지가 검출된 후 시트전후 이동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V3), 도 14a의 처 리루틴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스텝 T5에서 시트전후 이동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당해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장착초기제어를 실행하고 리턴한다.
한편, 스텝 T5에서 시트전후 이동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도 14d에 표시한 처리순서로 시트백 각도변화유무검지가 실행된다. 시트 백 각도변화유무검지는 각도검출용의 퍼텐쇼미티에 의해 시트좌면과 시트백과의 각도를 검출하며(스텝 W1), 각도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4)로 출력하고 제어부(14)는 그 출력을 소정의 타이머 인터럽트마다 판독하며, 전회의 타이머 인터럽트에 따른 각도와 금회의 타이머 인터럽트에 따른 각도에 차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각도는 변화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W2). 변화가 멈춘 때는, 시트백 각도변화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W3), 도 14a의 처리루틴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스텝 T7에서 시트 백 각도변화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당해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장착초기제어를 실행하여, 리턴한다. 한편 스텝 T7에서 시트 백 각도변화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그대로 리턴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은 웨빙(302)에 여분의 느슨함을 부여하지 않기 위해 실행된다.
도 7의 스텝 A3로 되돌아가서 버클상태가 버클장착에서 비장착으로 이행한 것이 해당하는 플래그로부터 판단된 때는(스텝 A13), 당해 플래그는 클리어되고(스텝 A14), 이후 도 15의 격납제어가 실행된다(스텝 A15).
다시 도 7의 루틴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A16에서 슬립 인(Sleep In) 제어 루 틴을 실행한다. 슬립 인 제어루틴에서는 도 16a에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먼저 회전센서를 기초로 회전량이 판독되고(스텝 X1), 판독된 회전량에서 웨빙(302)의 인출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스텝 X2), 웨빙(302)의 인출이 검지된 때는 스텝 X6으로 점프하여 슬립 인 플래그를 클리어하여 리턴한다. 한편 스텝 X2에서, 웨빙(302)의 인출이 검지되지 않은 때는, 대상시트벨트의 도어가 닫혀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X3), 당해 도어가 닫혀 있지 않은 때는 슬립 인 플래그가 클리어되며(스텝 X6)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X3에서 대상시트벨트의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이 검지되면, 이그니션 스위치(IG) OFF후, 5분이상 경과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X4), 경과되어 있지 않은 때는 스텝 X6으로 진행하여 슬립 인 플래그는 클리어되며, 이후 리턴된다. 한편 5분 이상 경과한 때는 스텝 X5로 진행하고, 슬립 인 플래그가 세트되어 이후 리턴된다.
즉, 웨빙(302)의 인출이 없고, 또한 대상도어가 닫혀 있으며,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IG) OFF후 5분 이상 경과한 때는 슬립 인 플래그가 세트된다(스텝 X5). 그리고 그 이외는 슬립 인 플래그는 클리어된다(스텝 X6).
도 16a의 슬립 인 제어의 종료후 도 7로 되돌아가서 스텝 A17에서 슬립 인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세트되어 있는 때는 슬립모드로 이행한다(스텝 A18). 이것은 슬립으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준비이외는 실행하지 않도록 하여 소비전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행된다.
다음에 스텝 A19으로 진행하여 슬립 아웃(SLEEP OUT) 판단이 된다. 이 슬립 아웃 제어의 처리는, 도 16b에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CPU)는 먼저 회전센서를 기초로 회전량이 판독되고(스텝 Y1), 판독된 회전량으로부터 웨빙(302)의 인출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스텝 Y2) 웨빙(302)의 인출이 검지된 때는 스텝 Y6으로 점프하여 슬립 아웃 플래그를 세트하고 리턴한다. 한편, 스텝 Y2에서 웨빙(302)의 인출이 검지되지 않은 때는 대상시트벨트의 도어가 닫혀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며(스텝 Y3), 당해 도어가 닫혀 있지 않은 때는 슬립 아웃 플래그가 세트되고(스텝 Y6)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Y3에서 대상시트벨트의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이 검지되면, 이그니션 스위치(IG) ON 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스텝 Y4), 「YES」일때는 스텝 Y6에서 진행하여 슬립 아웃 플래그가 세트되고 이후 리턴된다. 한편 스텝 Y4의 판단결과가 「NO」일때는 스텝 Y5로 진행되어 슬립 아웃 플래그가 클리어되고 이후 리턴된다.
즉, 이 처리에서는 인출검지(스텝 Y2) 또는 도어개방(스텝 Y3) 또는 이그니션 스위치(IG) ON(스텝 Y4)의 어느 한가지가 검지되면 슬립 아웃 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Y6), 그 이외는 슬립 아웃 플래그를 클리어한다(스텝 Y5).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해제작동중에 웨빙이 소정량 이상으로 인출된 것이 검출된 때, 미리 설정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비를 상승시켜서 모터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클러치 해제중에 승무원에 의해 웨빙이 인출되어 클러치 해제를 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동작이다. 통상, 확실한 클러치 해제를 실행하도록 모터의 해제방향으로의 구동속도(구동력)와 구동시간을 충분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구동속도를 크게 하면 구동음이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한편 구동속도를 작게 하면, 클러치 해제방향으로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충분히 취할 필요가 있기때문에 응답이 늦어지며, 즉시 권취가 필요한 경우에 권취가 늦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통상은 구동속도(모터구동동력)를 작게 하고, 또한 구동시간도 짧게 하여 클러치 해제중에 승무원에 의한 웨빙의 인출이 없는 경우에는, 클러치 해제를 할 수 있는 정도의 설정으로 해두고, 구동음을 작게 하며 또한 응답을 빠르게 한다. 그리고, 클러치 해제중에 승무원에 의해 웨빙이 인출된 경우에는, PWM 듀티비를 상승시켜서 모터를 구동하고 클러치해제를 확실하게 하도록 한다.
여기서, 웨빙의 상기 소정량은, 클러치 해제동작중의 승무윈의 의복 등의 탄성력으로 인출방향으로 웨빙이 인출되는 정도로는 이 제어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것이므로, 당해 소정량은 승무원의 의복 등의 탄성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웨빙의 인출량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승무원의 의사로 웨빙이 인출된 때에만 상기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모든 차량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20)

  1.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이 스핀들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가속될 때의 상기 스핀들의 회전가속도가 소정 수치이상인 때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정지하여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한편, 차량의 감속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때 상기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인출방지부와, 상기 웨빙을 귄취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발생된 당해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도록, 상시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는 제1의 동력발생부를 갖는 리트랙터로서,
    필요시에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의 동력발생부와, 필요시에 이 제2의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부가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 보다도 작은 동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속도보다도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는, 복수회 사용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는, 선회스프링의 회전스프링력으로 동력을 만들어내는 한편,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는, 모터의 회전력으로 동력을 만들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할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할 때와 반대의 동력을 발생할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불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는, 시트벨트 사용자가 시트벨트를 장착상태인 때, 상기 웨빙에 소정의 장력이 발생될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하도록 미리 동력설정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와 상기 스핀들 사이에 탄성변형하는 부재에 의해 동력전달을 완충하는 동력전달완충부를 갖고, 상기 제2의 동 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급격한 동력변화를 상기 스핀들에 대하여 급격한 동력변화로서는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며, 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가능 한때에, 시트벨트 사용자가 상기 웨빙을 인출방향으로 급격한 힘을 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스핀들로의 급격한 인출방향으로의 힘을,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급격한 힘의 변화로서는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완충부는, 탄성변형하는 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제1의 동력발생부가 발생하는 동력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7.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웨빙이 인출되어 있는지 또는 감겨있는지 또는 정지상태에 있는 것인지를 검출하는 웨빙동작검출부를 가지며, 별도 설치된 버클에 내장되고 텅의 버클로의 걸림유무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장착유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시트벨트 장착유무와, 상기 웨빙동작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웨빙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벨트 장착있음에서 없음으로 된 것이 검출되면,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웨빙의 인출이 검출되면,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며, 또한,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때에,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벨트 장착없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당해 동력의 발생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며, 이후,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과는 반대의 동력을 소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벨트 장착없음에서 있음이 검출되면,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을 소정의 동력으로 실행시키고,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대하여,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과는 반대의 동력을 소정시간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동작검출부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 및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소정시간 이내에서 소정 수치 이상의 회전량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웨빙을 인출하는 측에 상기 스핀들의 회전이 검출된 경우는 상기 웨빙이 인출되어 있다고 판단하며,
    상기 웨빙을 감는 측에 상기 스핀들의 회전이 검출된 경우는, 상기 웨빙이 감겨 있다고 판단하고, 소정시간 이내에서 소정 수치 이상의 회전량 변화가 없는 경우는, 상기 웨빙이 정지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3. 제 7항에 있어서,
    별도 설치된 차량이 위험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위험상태검출부로부터, 위험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시트벨트 장착있음이 검출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벨트 장착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차량의 위험상태있음에서 없음으로 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보다도 큰 동력을 소정 시간 발생하며, 이후, 시간경과와 함께 서서히 동력을 저하시키고, 동력발생이 없어진 후,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하는 소정의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5. 제 1항에 있어서,
    별도 설치된 버클에 내장되고, 텅의 버클로의 걸림유무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장착유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시트벨트의 장착유무상태와, 별도 설치된 차량이 위험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위험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위험상태유무에 따라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벨트 장착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차량의 위험상태 있음이 검출될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벨트 장착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차량의 위험상태 있음에서 없음으로 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청구항 16항의 동력보다도 큰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하고, 이후, 시간경과와 함께 서서히 동력을 저하시키며, 동력발생이 없어진 후,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하는 소정의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8. 제 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위험상태 있음이 검출될 때에, 시트벨트 장착있음에서 없음이 검출되면,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하는 소정의 동력을 소정시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19. 상기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의 크기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의 크기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가 상기 스핀들에 대하여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회전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웨빙검출부에 의해 소정량 이상의 웨빙의 인출량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2의 동력발생부에 의한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KR1020067010356A 2003-11-27 2004-11-29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KR100853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6121 2003-11-27
JP2003436121 2003-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516A true KR20060118516A (ko) 2006-11-23
KR100853322B1 KR100853322B1 (ko) 2008-08-20

Family

ID=3463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356A KR100853322B1 (ko) 2003-11-27 2004-11-29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93998B2 (ko)
EP (2) EP1698528B1 (ko)
JP (1) JP4166788B2 (ko)
KR (1) KR100853322B1 (ko)
CN (1) CN100480108C (ko)
AT (2) ATE541753T1 (ko)
DE (1) DE602004032054D1 (ko)
ES (2) ES2366560T3 (ko)
WO (1) WO2005051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0182B2 (ja) * 2005-07-20 2011-08-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
JP4942766B2 (ja) * 2006-02-03 2012-05-30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トベルト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916374B2 (ja) * 2007-04-24 2012-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4925951B2 (ja) * 2007-07-17 201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WO2009105752A2 (en) 2008-02-22 2009-08-27 Fec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and clearing and preparation
USD757124S1 (en) 2009-02-23 2016-05-24 Fecon, Inc. Land clearing tool interface
JP4990942B2 (ja) * 2009-07-30 2012-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5462070B2 (ja) * 2010-05-17 2014-04-02 タカタ株式会社 位置検知装置、この位置検知装置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432660B1 (ko) * 2010-06-03 2014-08-21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탑승자 보호장치
CN103732455B (zh) * 2011-08-24 2015-11-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座椅安全带装置
JP5870420B2 (ja) * 2011-08-25 2016-03-01 タカタ株式会社 拘束装置
US9150193B2 (en) * 2012-06-14 2015-10-06 Autoliv Asp, Inc. Mode detection switch assembly for self-locking dual-mode seat belt retractor
JP6054783B2 (ja) * 2013-03-19 2016-12-27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並びにシートベルト制御方法
DE102016009126A1 (de) 2016-07-27 2018-02-01 Audi Ag Rückhaltesystem für ein Fahrzeug
JP6631442B2 (ja) * 2016-08-30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DE102018002967A1 (de) * 2018-04-12 2019-10-17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reversiblen Gurtstraffers sowie Fahrzeug
USD854586S1 (en) 2018-05-01 2019-07-23 Fecon, Inc. Land clear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941A (ja) * 1982-02-03 1983-08-09 Nissan Motor Co Ltd シ−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S58145545A (ja) * 1982-02-23 1983-08-30 Nissan Motor Co Ltd シ−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S604447A (ja) 1983-06-21 1985-01-10 Ashimori Ind Co Ltd シ−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
JPH0833945B2 (ja) 1987-11-30 1996-03-29 株式会社テック 暗証番号入力装置
JPH0740449Y2 (ja) * 1988-03-14 1995-09-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
JPH05162614A (ja) 1991-12-17 1993-06-29 Takata Kk リトラクタ軸回転式プリテンショナ
DE4209540A1 (de) 1992-03-24 1993-09-30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an der Gurtspule angreifendem Gurtstraffer
DE4314883A1 (de) 1993-05-05 1994-11-10 Trw Repa Gmbh Sicherheitsgurtaufroller
DE4422176C1 (de) * 1994-06-28 1995-08-10 Rockwell International Gmbh Glasdeckel für ein Fahrzeugdach
US5553804A (en) * 1995-03-17 1996-09-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a cinch mechanism
US5558370A (en) * 1995-03-30 1996-09-2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Electronic seat belt tensioning system
JPH10278741A (ja) 1997-04-08 1998-10-2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6702056B2 (en) * 1997-08-06 2004-03-09 Takata Corporation Seatbelt retractor
JP3830667B2 (ja) 1998-07-24 2006-10-04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US6257363B1 (en) * 1997-12-16 2001-07-10 Nsk Ltd. Automotive passenger restraint and protection apparatus
US6485057B1 (en) * 1997-12-16 2002-11-26 Nsk Autoliv Co., Ltd. Automotive passenger restraint and protection apparatus and seatbelt protraction and retraction amount-detecting device
US6012667A (en) 1998-02-19 2000-01-1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ulti-level load limiting torsion bar retractor
US6626463B1 (en) 1998-09-22 2003-09-30 Nsk Autoliv Co., Ltd. Seatbelt device
US6332629B1 (en) * 1998-10-23 2001-12-25 Nsk, Ltd. Seatbelt device with locking retractor
JP4467688B2 (ja) * 1999-01-19 2010-05-2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DE19922720A1 (de) * 1999-05-18 2000-11-30 Trw Repa Gmbh Gurtaufroll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Funktion eines Insassen-Rückhaltesystems
GB2354742B (en) * 1999-08-06 2003-08-13 Takata Corp A seat belt retractor
JP4667549B2 (ja) 1999-09-10 2011-04-13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4356852B2 (ja) * 1999-12-13 2009-11-04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
DE50107286D1 (de) 2000-05-10 2005-10-06 Autoliv Dev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m reversiblen gurtstraffer
DE10025031B4 (de) 2000-05-20 2008-04-30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system mit elektrischem Antrieb seiner Komponenten
JP4430786B2 (ja) 2000-05-25 2010-03-10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US6726249B2 (en) * 2000-05-26 2004-04-27 Takata Corporation Motorized seat belt retractor
JP2002274326A (ja) * 2001-03-16 2002-09-25 Takata Corp 乗員センサ
DE10122910B4 (de) 2001-05-11 2004-10-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Lakeland 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sassen
DE10204475B4 (de) * 2002-02-05 2007-04-26 Daimlerchrysler Ag Gurtstraffer
DE10204477B4 (de) 2002-02-05 2006-11-30 Daimlerchrysler Ag Gurtstraffer
DE20206667U1 (de) * 2002-04-26 2002-09-05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JP2004009967A (ja) 2002-06-10 2004-01-1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ES2276329T3 (es) 2003-08-26 2007-06-16 Autoliv Development Ab Enrollador de cinturon provisto de dos dispositivos de tensad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1732A1 (ja) 2005-06-09
EP1698528A4 (en) 2008-11-05
ES2366560T3 (es) 2011-10-21
US20070095963A1 (en) 2007-05-03
EP2287050A1 (en) 2011-02-23
DE602004032054D1 (de) 2011-05-12
CN100480108C (zh) 2009-04-22
KR100853322B1 (ko) 2008-08-20
US8893998B2 (en) 2014-11-25
CN1886284A (zh) 2006-12-27
JPWO2005051732A1 (ja) 2007-12-06
EP1698528B1 (en) 2011-03-30
ATE541753T1 (de) 2012-02-15
JP4166788B2 (ja) 2008-10-15
EP2287050B1 (en) 2012-01-18
ES2381248T3 (es) 2012-05-24
EP1698528A1 (en) 2006-09-06
ATE503663T1 (de)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322B1 (ko)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JP4667549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916374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CN1951737B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装置、带安全带装置的车辆
JP2007145079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付車両
JP4704354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シートベルト装置
CN102892643B (zh) 驾乘者保护装置
JP4652022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およ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705058B2 (ja) モータ駆動シートベルト装置
EP1818225B1 (en) Motor retractor
JP200133491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04148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故障診断方法、及び、故障診断機能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3695622B2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JP200133491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5280497A (ja) モータ付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の制御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71209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0052926A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JP2004224182A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JP2000071939A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JP2000001157A5 (ko)
JP448020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0001157A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JP2001071864A5 (ko)
JP3695621B2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JPH11334533A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