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590A -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590A
KR20060115590A KR1020060039622A KR20060039622A KR20060115590A KR 20060115590 A KR20060115590 A KR 20060115590A KR 1020060039622 A KR1020060039622 A KR 1020060039622A KR 20060039622 A KR20060039622 A KR 20060039622A KR 20060115590 A KR20060115590 A KR 2006011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iner
tank
discharge nozzle
conta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2401B1 (ko
Inventor
한스-페터 빌트
볼프강 틸쯔
Original Assignee
루돌프 빌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돌프 빌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루돌프 빌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11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8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tank containers, i.e. containers provided with supporting devices for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1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the containers being mounted on a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65D88/08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with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 B65D88/6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of internal walls
    • B65D88/62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of internal walls the walls being de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4Linings
    • B65D2590/043Flexible liners
    • B65D2590/046B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위한 용기, 특히 살균처리된 기초 식품을 위한 용기 것에 관한 것으로서, 탱크와 그 식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탱크안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된 인라이너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용기에 담긴 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식품을 위한 용기에 사용되는 탱크와 인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용기는 수송을 용이하게 하며, 그 용기를 청소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Container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food products}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을 위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을 위한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펴진 상태의 인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3a는 도1에 도시된 용기의 탱크의 창의적인 배치의 단면도이다.
도3b는 도1에 도시된 용기의 하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3c는 도1에 도시된 용기의 상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탱크에 충전된 인라이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5는 탱크에 인라이너를 삽입하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위한 용기 및 탱크를 사용하여 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특히 알콜 또는 유동성이 있는 식품은 생산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각각 소비자에게로 운반하기 위하여 탱크로 운반되었다. 높은 위생기준이 식품의 운반에 관하여 흔히 부과되어 있음에 따라서, 일정한 식품류들을 위하여는 살균처리된 탱크들이 사용되어져야만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목적이 탱크의 내부를 증기에 쬠으로서 달성되었다. 상기의 살균방법은 그 때문에 각 탱크당 20분 내지 30분의 시간이 소요되며, 많은 양의 에너지, 특히 증기형태의 에너지가 그것을 위하여 필요하였다.
수고스러운 살균방법은 제외하고라도, 종래의 탱크들은 부가적인 결점들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에 의해 비워진 탱크는, 그 탱크가 생산자에게 반환된 후에, 청소 되어져야 한다. 이것은 특히 그 탱크의 내벽에 조립된 제작물 때문에 많은 양의 노동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더욱이, 그 탱크들은 예컨대, 식품이 새는 탱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 탱크가 세균을 함유한 공기에 의해 침투되어 식품의 세균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탱크의 누출여부 증명이 점검되어져야 하는 것처럼, 그것들의 기능성을 위하여 규칙적으로 점검이 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식품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그 용기 는 보다 더 적은 노력으로 살균하는 방법을 요구하며, 그 용기가 비워진 후에 보다 빠르게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응하는 운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용기와, 제25항에 따른 인라이너와 제34항에 따른 탱크와, 제36항에 따른 식품을 운반하는 방법과 제37항, 제39항 및 제40항에 따른 용기를 각각 충전시키고 배출시키는 것을 준비하는 방법과, 용기를 충전시키고 배출시키는 방법에 의해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는 그러므로 탱크와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탱크내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된 인라이너를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용기들은 식품의 생산자로부터 최종 공장 또는 판매자에게로 각각 운반을 위하여 사용되는 용기들에 관련되어 있다. 그러한 용기들은 예컨대 과일 또는 과일조각 요리와 같은 특히 기초 식품들의 운반을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살균처리된 식품은 생산 뿐만아니라 운반도 살균처리된 조건에서 수행되어져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게다가, 그러한 용기들은 예컨대, 와인이나 과일주스의 최종 소비자 판매용으로 사용되며 재사용 목적으로 의도되지 않은 박스에 든 봉지 포장물처럼 폐기할 수 있는 용기들이 아니고 바람직하게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들이다.
식품이 더이상 직접적으로 충전되지 않고, 그 식품이 탱크안에 위치한 인라이너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간과 에너지를 요구하는 탱크 내부의 살균처리는 생 략된다. 예컨대 인라이너가 사용되어 비워진 후에, 그 사용되어진 인라이너는 새 인라이너로 교환되어 그 인라이너의 힘든 청소가 또한 생략된다. 또한, 누출방지 또는 사용된 재료의 식품 등급과 같은 탱크와 관련한 기준들은 종래의 탱크들에 대한 기준들만큼 높지 않다.
상기 탱크는 바람직하게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이다. 반면에 상기 인라이너는 탄력적이며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탱크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더 작은 부피를 필요로 한다. 상기 인라이너를 충전시켰을 때 그 부피는 증가된다. 그리고 그 인라이너는 상기 탱크의 내벽에 적응한다.
상기 탱크는 상기 인라이너가 그 탱크로 삽입될 수 있고 그 탱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편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라이너를 사용하여 비워진 후에 그 인라이너는 빠르고 쉬운 방식으로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새로운 인라이너가 상기 탱크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탱크는, 특히 상기 탱크의 하부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의 출구와 같은, 테이퍼부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깔때기 형상의 출구의 배출구멍은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점에서 편심되었다는 것은 상기 배출구멍이 상기 탱크의 하부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탱크의 측벽 방향으로 모서리를 향하게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인라이너의 삽입 및 제거를 편리하게 하는데, 그 인라이너의 삽입 및 제거는 보통 수작업으로 행해지며 그 인라이너에 대한 접근이 더 쉽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상기 출구의 깔때기 형상은 비우는 작업 동안에 가능한 많은 양의 식품이 각각 상기 인라이너의 외부로 흘 러나올 수 있거나 퍼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깔때기의 형태의 부드러운 모양은, 상기 인라이너가, 식품이 충전될때 가능한 주름이 없도록 하여, 상기 탱크의 내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똑바로 서 있는 탱크에 대해, 상기 배출구멍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핸들링하는 것을 더 쉽도록 만들어 주며,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를 옆에서 각각 결합시키는 것을 더 쉽게 한다.
상기 배출구멍은 사람의 손이 그 구멍을 통하여 잡을 수 있도록 충분히 큰 직경을 가지도록 편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cm의 직경을 가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12cm 내지 16c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큰 배출구멍은 사용자가 주먹을 쥐고 탱크로 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안전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안에 인라이너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멍의 크기는 상기 인라이너가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그 탱크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질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탱크는 적어도 한개의 관찰창을, 특히 출구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찰창은 사용자가 상기 인라이너가 상응하게 펴져있는지 그리고 충전작업 동안에 가능한 주름이 없도록 상기 탱크의 내벽에 적응하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작업 동안에는 상기 인라이너가 완전하게 비워졌는지를 같은 방법에 의해 쉽게 점검될 수 있다.
상기 탱크는 편리하게, 바람직하게는 상부 중간에, 더 바람직하게는 뚜껑에 위치한, 홀딩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홀딩장치는 상기 인라이너를 상기 탱크내에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탱크의 상부에 상기 인라이너를 덧붙임으로써, 상기 인라이너가 불균형하게 채워지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내벽에 대해 부드럽게 위치하는 것이 더욱 촉진된다. 또한, 대부분의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인라이너가 갑자기 찢어져 열리게 하는 꼬임 또는 매듭지는 문제가 방지된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탱크는 인라이너를 통과시키기 위한 밀폐가능한 개구를 가진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라이너는 상기 개구 위로부터 그 개구를 통하여 상기 탱크로 삽입되며, 상기 식품이 상기 인라이너로 채워지면서 통과하는 영역은, 사용자가 탱크내로 손을 집어넣어 잡을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된 배출구멍 때문에, 상기 배출구멍과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탱크는 인라이너를 통과시키기 위한 밀폐가능한 개구가 형성된 바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출구의 한 부분은 상기 개구의 마개에 설치될 수 있다. 선행 변형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인라이너는 상기 뚜껑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뚜껑을 열어서 상기 탱크로 삽입되며, 그리고 나서 상기 인라이너는 상기 출구의 배출구멍과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라이너는 배출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노즐은 상기 인라이너의 내면을 살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밀폐장치, 특히 막 또는 파열원반을 구비하고 있다. 막 또는 파열원반은, 충전하는 동안에 식품 자체에 의해 밀리거나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인라이너의 내부는 최후의 순간까지 환경의 효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서, 특히 유리한것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살균처리된 기초 식품들에 있어서 충분한 위생이 보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노즐은 상기 배출구멍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배출노즐이 내부로부터 상기 출구의 배출구멍으로 접근되기 때문에, 특히 상기 인라이너 뚜껑 또는 바닥에 있는 개구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사용자는 큰 배출구멍을 통하여 탱크내로 손을 집어 넣어 배출노즐을 잡아서 배출구멍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탱크의 배출구멍에 대해 상기 배출노즐의 중심을 잡기 위하여 센터링 원반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센터링 원반에 의해 상기 배출노즐이 더 작은 외경을 가질수록 상기 배출노즐은 의도된 위치에 놓이게 되고, 배출노즐이 잘못 놓임에 의해 의해 인라이너를 각각 충전 또는 비우는 동안에 최악의 경우에는 상기 인라이너를 파열시킬 수도 있는 장력이 상기 인라이너에 발생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상기 센터링은 바람직하게 상기 센터링 원반과 상기 배출노즐 사이에 명확한 연결에 의해 달성된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터링 원반은 상기 배출노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예컨대 바닥 또는 뚜껑에 있는 밀폐가능한 개구가 필수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라이너는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완전하게 삽입된다. 동시에, 상기 배출노즐은 상기 센터링 원반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노즐을 수용하기 위한 센터링 원반의 구멍은 유리하게 편심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멍이 상기 배출노즐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므로, 상기 구멍이 상기 센터링 원반에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인라이너의 배 출노즐의 배치가 가능한 상기 배출구멍 하측에 배치되도록 허용하는 장점이 있으며, 그 것은 상기 인라이너의 완전한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탱크의 배출노즐의 일부는 상기 센터링 원반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노즐의 이 부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는 상기 배출노즐의 돌출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탱크들에 설치되는 밸브장치의 하나 처럼, 종래의 밸브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부가적인 어댑터들을 구비하지 않고 표준적인 충전장치들 또는 배출장치들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봉인(seal)이 상기 배출노즐과 밸브장치 사이에 유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식품의 누출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노즐을 상기 배출구멍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배출노즐을 상기 배출구멍에 비틀림 저항 방식으로 유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인라이너를 충전 또는 배출시키는 동안에 최악의 경우에 상기 인라이너가 찢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장력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는 또한 상기 밸브장치를 상기 배출노즐에 밀봉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센터링 원반과 상기 배출노즐과 상기 밸브장치를 상기 탱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단지 하나의 고정장치만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인라이너는 특히 파열원반 또는 안전밸브,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어 밸브와 같은 과압력 안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과압력 상태를 초래하여 최악의 경우에 그 인라이너를 파열시키는 인라이너의 과충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은 상기 탱크의 외부와 소통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과충전이 되는 경우에 식품이 누출되어도 상기 탱크의 내부를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식품이 누출되었을 때 탱크 내부를 청소하는 것은 상기 탱크의 외부를 청소하는 것 보다 더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게다가, 식품이 누출될 때, 과압력 방지 수단에 의해 쉽게 인식되어 상기 인라이너의 충전이 멈춰질 수 있다.
상기 인라이너는 바람직하게 그 인라이너를 상기 탱크에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특히 상기 탱크의 상부 중간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딩수단에 의해, 상기 탱크의 홀딩장치와 함께 적절히 사용하면, 상기 인라이너는 가능한 한 주름이 없이 상기 탱크의 내벽에 적응되도록 상기 탱크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압력 안전 수단은 상기 홀딩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배출노즐과 떨어져서, 다른 장치, 이 경우에 홀딩수단을 가진 과압력 안전수단이 상기 인라이너의 제2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기 인라이너의 생산성을 최적화 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인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는 살균처리된 배출노즐과 함께 식품 등 급의 플라스틱 포일, 특히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각각 만들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상기 탱크로부터 안정성을 얻으며, 상기 식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물질이 요구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식품의 운반에 적당한 종래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식품이 상기 탱크의 내부에 담겨져 운반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부가적인 빛 차단은 상기 인라이너에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인라이너는 바람직하게 단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노즐은 상기 인라이너의 내면을 살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특히 막 또는 파열원반과 같은 밀폐장치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막 또는 파열원반이, 충전되는 동안에 상기 식품에 의해 밀리거나 뚫리기 때문에, 상기 인라이너의 내부가 최후의 순간까지 환경의 효과에 대해서 보호되어서, 특히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특히, 살균처리된 기초 식품들에 대하여 충분한 위생이 보장될 수 있다.
막 또는 파열원반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막 또는 파열원반은, 각각, 미리 결정된 압력하에서 파편들이 없게 부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막 또는 파열원반의 파편들이, 상기 인라이너에 도달하여 상기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 또는 파열원반은, 상기 막 또는 파열원반의 일부가, 상기 인라이너가 배출될 때 중첩될 수 없도록 부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래서, 배출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이너는 특히, 파열원반 또는 안전밸브, 바람직 하게는 압력 제어 밸브 등과 같은 과압력 안전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과압력을 초래하여 최악의 경우에는 상기 인라이너의 파열을 초래하는 인라이너의 과충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인라이너는 바람직하게 상기 인라이너를 탱크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딩수단에 의해, 상기 탱크의 홀딩장치와 함께 적절히 사용하면, 상기 인라이너는 상기 탱크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가능한 한 주름이 없는 상태로 상기 탱크의 내벽에 적응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가 상기 홀딩수단 및/또는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라이너가 상기 배출구멍의 방향에 대해 상기 용기의 탱크로 삽입되어지는 방향을 지시하여, 상기 인라이너가 삽입된 후에,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배출노즐과 인접하도록 한다. 상기 인라이너가 위로부터 상기 탱크로 삽입되어지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인라이너가 향하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배출노즐은 상기 탱크의 하부의 상기 배출구멍과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인라이너가 상기 탱크의 내부에서 꼬이거나 매듭이 지는 것이 방지되어, 가능한 한 주름이 없는 충전이 허용된다.
비워진 인라이너는 편리하게 접혀질 수 있어서 식품을 충전시키는 동안에 주름이 없는 방식으로 그 인라이너가 상기 탱크의 내벽에 적응할 수 있다. 특히, Z-형상으로의 접힘은 상기 인라이너가 가능한 한 상기 탱크의 내벽에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편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성이 있는 스트립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밴드가 충전수준에 따라 단지 부분적으로 상기 인라이너가 펴지도록 접혀진 인라이너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식품이 그 인라이너를 넘치면, 점착성이 있는 스트립들이나 고무 밴드들에 의해 잡혀있지 않은 부위가 먼저 펴진다. 그래서, 상기 인라이너가 상기 액체가 위로 차오르기 전에 먼저 상기 탱크의 바닥에 적응하여 주름들이 형성되는 것을 제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출노즐과, 상기 과압력 안전 시스템 및/또는 상기 홀딩수단들은 용접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래서, 그것들은 생산비가 저럼하고 빛의 조사에 의해 살균소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서술한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탱크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는 특히 그 탱크의 하부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출구와 같은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출구의 배출구멍은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멍의 편심 때문에, 위에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라이너에 대한 접근이 더욱 쉽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용기에서 인라이너는 상기 배출구멍에 대하여 용이하게 정열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깔때기 형상의 출구는 상기 인라이너의 배출을 완전하게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탱크는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및/또는 공기를 제거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라이너가 충전시키는 동안에 식품을 채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부피는 상기 탱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는 배출중에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에 담긴 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 것이며, 식품이 탱크의 내부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된 인라이너에 담겨져 운반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식품이 상기 탱크로 직접적으로 더이상 충전되지 않고, 상기 탱크에 위치한 인라이너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간과 에너지를 요하는 상기 탱크의 내부의 살균소독이 생략된다. 상기 인라이너가 사용되어진 후, 예컨대 비워진 후에, 사용된 인라이너는 새로운 인라이너로 교체되어 그 인라이너의 수고스런 청소가 또한 생략된다.
본 발명은 또 위에서 서술한 용기를 각각 충전 또는 배출시키는 준비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연결부품은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에 각각 연결시켜주는 상기 인라이너의 배출노즐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품으로부터 상기 배출노즐의 밀폐장치까지의 영역이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와 각각 연결되기 전에 살균소독 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인라이너는 단지 그것의 내부가 살균처리되기 때문에, 이것은 상기 용기 전체를 살균소독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이는 상기 밀폐장치에 의해 보증된다. 그러나, 용기와 인라이너 사이의 공간 역시 위생 기준들을 따라야만 하며 상응하게 살균소독 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살균액을 분무함에 의해 냉온 살균소독이 편리하게 수행되게 된다.
상기 연결부품은 편리하게 밸브장치가 될 수 있으며, 살균제는 열려진 밸브장치를 통해 상기 밸브장치와 밀폐장치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밸브장치는 후에 닫혀져서, 상기 살균제는 각각 충전 또는 배출될 때까지 상기 공간에 남아 있게 된다. 그래서, 중간 부분은 각각 충전 또는 배출전에 짧게 소독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살균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더욱이 위에서 서술된 용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충전장치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인라이너와 상기 탱크사이의 공간에서 공기를 빼내는 단계, 및 상기 인라이너의 배출노즐을 통하여 상기 인라이너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서술된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배출장치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인라이너와 상기 탱크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인라이너의 배출노즐을 통하여 상기 인라이너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1a는 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1b는 상기 용기(1)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용기들은 특히 과일조각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과일 요리와 같은 식품의 운반에 사용된다. 푸딩등과 같은 중성 pH 식품들에서 이러한 기초 재료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살균처리된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에서, 상기 식품은 더이상 탱크(3)에 직접적으로 충전되지 않고, 상기 탱크(3)에 후술하는 교환가능하게 배치된 인라이너에 충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는 종래의 표준 용기에 기초하고 있다. 도1a 와 도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경된 것들은 바닥과 뚜껑부위에 도입되었다.
상기 용기(1)는 탱크(3)와, 받침대(5)와, 상기 탱크(3)의 하부에 있는 본 실시예에서 깔때기 형상을 한 출구(7)와, 뚜껑(1)에 의해 밀폐가능한 구멍을 가지는 뚜껑부(9)를 포함하고 있다.
식품의 운반을 위하여, 상기 탱크(3)는 대략 1000ℓ의 부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식품에 따라서, 또한 더 작거나 더 큰 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3)는 대략 1 bar 이상의 압력에서 작동하며 대략 -20℃ 내지 +130℃의 온도 범위에서 작동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탱크(3)는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또는 특수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때기 모양의 출구(7)는 상기 탱크(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봉인 방식으로 상기 탱크(3)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는 분리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용기(1)의 충전을 점검하도록 하는 관찰창(13)이 상기 출구(7)에 구비되어 있다. 부가적인 관찰창(13)이 또한 상기 탱크(3)의 측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출구(7)의 하부에는 배출구멍(15)이, 예컨대 상기 탱크(3)의 옆 모서리를 향하여 중심에서 벗어나게,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멍(15)에는 연결플랜지는 탱크에 놓인 후술하는 인라이너를 후술하는 센터링 원반으로 고정하는데 이바지 한다. 밸브장치(17)는 밀봉 방식으로 상기 인라이너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밸브장치(17)는 도시되지 않은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에 의해 상기 인라이너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배출시키는데 이바지 한다. 이러한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는 상기 연결부품(19)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들면, 플랩밸브(flap valve)가 상기 밸브장치(17)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뚜껑부(9)는 두개의 밸브(21,23)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나의 밸브는 안전밸브로서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밸브는 충전밸브 및 배출밸브로서 각각 사용된다. 상기 뚜껑부(9)에 구비된 구멍은 마개(11)로 밀폐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탱크(3)에 대해 미리 정해진 상기 마개(11)의 정열을 허용하는 바요넷 캐치(bayonet catch)가 신속한 개폐에 이바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개(11)는, 또한, 마찬가지로 구멍을 가지며, 그 구멍을 통해 상기 탱크(3)의 내부에 위치한 인라이너에 있는 홀딩수단(25)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홀딩수단(25)은 결합나사(27)에 의해 상기 마개(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마개(11)와 상기 결합나사(27)은 상기 탱크(3)가 상기 밀폐된 상태에서 밀봉되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되어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들(2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또한 상기 마개(11)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뚜껑부(9)는 상기 용기(1)의 쌓임을 허용하는 스태커(stacker)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라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수단이 상기 탱크(3)에 설치될 수 있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31)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인라이너(31)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1)의 탱크(3)안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라이너는 서로 놓여 있는 3개의 제품과 양립가능한 플라스틱 포일(foil)로부터 생산된다. 폴리에틸렌(PE)와 폴리프로필렌(PP)이 특히 적절한 재료들이다. 상기 인라이너(31)가 상기 용기(1)에 사용됨에 따라, 예컨대 알루미늄 코팅과 같은 부가적인 금속 코팅의 존재가 식품을 위한 용기 빛 차단으로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인라이너(31)는 그러므로 단지 플라스틱 만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인라이너의 일단부에는 식품이 통과하여 각각 상기 인라이너(31)로 충전되거나 또는 상기 인라이너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배출노즐(33)이 구비되어 있 다. 상기 인라이너는 상기 배출노즐(33)에 용접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에 상기 인라이너가 설치된 후에 상기 밸브장치(17)와 상기 인라이너(31)의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노즐(33)은 마찬가지로 음식물의 운반을 위한 방부처리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한다. 상기 배출노즐(33)은 그러므로 예컨대 식품 등급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γ선 방사에 의해 살균처리될 수 있다.
상기 인라이너(31)의 내부(32)가 사용되기 전에 공기와 소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노즐(33)의 구멍은 밀폐장치(35)로 밀폐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막 또는 파열원반이 밀폐장치(35)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유입되는 식품의 흐름에 의해 각각 파괴되거나 또는 찢어져 열릴수 있는 잇점이 있어서, 상기 인라이너(31)의 내부가 최후의 순간까지 살균된 상태로 유지된다. 어느 막이나 파열원반 재료가 상기 인라이너(31)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막 또는 파열원반은 각각 균일한 방식으로 불룩하게 구성되고 파열되어 파편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만약 상기 식품이 상기 인라이너(31)의 외부로 다시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밀폐장치(35)가 또한 그 파편들이 상기 배출노즐(33)을 막는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예컨대 오링(O-ring) 또는 이중 오링(O-ring)과 같은, 밀봉장치(31)가 상기 배출노즐(33)에 형성되어 있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노즐(33)을 상기 밸브장치(17)과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이바지 한다.
상기 인라이너의 일단부의 반대편에는 홀딩수단(25)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홀딩수단(25)은 도1a 및 도1b와 관련하여 이미 서술하였으며, 상기 인라이너(31)를 상기 탱크(3)의 상부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도2a 및 도2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인라이너(31)의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수단(25)은 부가적으로 과압력 안전수단(3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은 과충전이 되는 경우에 상기 인라이너에서 발생 가능한 과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배출노즐(33)과 같이, 상기 홀딩수단(25)과 과압력 안전수단(39)은, 또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살균소독될 수 있다.
안전밸브 또는, 간단한 실시예에서, 파열원반과 같은 것이 과압력 안전수단으로서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을 위한 설정 압력은 대략 1.5 bar 이상의 범위의 과압력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라이너(31)는 상기 결합나사(27)에 의해 상기 탱크(3)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사산(41)이 상기 홀딩수단(25)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라이너(31)의 부피(V)와 모양은 상기 탱크(3)의 부피와 모양에 맞추어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인라이너가 충전될 때, 상기 탱크(3)의 내벽에 불필요한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인라이너(31)의 재료가 더이상 풀어지기 전에, 상기 인라이너(31)가 고무밴드 또는 점착성이 있는 스트립과 같은 것에 의해 그 인라이너(31)의 하부에서, 특히 길이방향(L)으로 특히 Z-형상으로 접혀지고/지거나,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수축되어 상기 인라이너(31)가 충전될 때 먼저 상기 인라이너(31)가 상기 탱크(3)의 하부의 모양을 받아들이도록 하면, 주름의 발생이 부가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탱크(3)에서 상기 인라이너(31)를 상기 배출구멍(15)과 마개(15)에 부착시키는 것이 도3a 및 도3c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3a는 상기 배출구멍(15)의 높이에서 상기 용기(1)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1a 또는 도1b에 도시된 수치들과 동일한 참고용 숫자를 가지는 요소들은 앞서 상세하게 이미 설명된 요소들에 대응하며, 그러므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구(7)는 상기 탱크(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멍(15)은 상기 탱크(3)의 중심축(M)에 대해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똑바로 선 상기 용기(1)에 대해 상기 배출구멍(15)은 수직이다. 그래서, 상기 배출구멍(15)은 쉽게 접근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인라이너(31)의 부착과 방향을 용이하게 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라이너(31)는 상기 탱크(3)의 뚜껑부에 있는 상기 구멍(43)을 통하여 상기 탱크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인라이너(31)가 충전될 때, 상기 인라이너(31)의 하부를 수축시켜 상기 탱크(3)의 바닥부에서 상기 인라이너(31)가 먼저 바닥부의 제한벽에 적응하도록 하는 고무밴드(45)가 도식적으로 상기 인라이너(31)에 보여지고 있다. 상기 홀딩수단(25)에는 표시부(4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46)는 상기 인라이너(31)를 상측으로 도입시키는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배출구멍(15)에 대해 상기 배출노즐(33)이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알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인라이너가 상기 탱크(3)안에서 꼬인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3a에 도시된 용기(1)의 탱크(3)의 실시예에서, 인라이너(31)는 위로부터 도입되며 하부에서 상기 배출노즐에 고정되며, 상부에서는 상기 홀딩수단(25)이 상기 탱크(3)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가능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멍(15)이 충분히 크면, 상기 인라이너(31)는 그 구멍을 통하여 완전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탱크(3)의 뚜껑부(9)의 수정이 없이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정열된 상태에서,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은 또한 상기 배출구멍(15)에 위치되어야 한다. 두번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탱크(3)의 바닥부, 특히 상기 출구(7)는 또한 상기 탱크(3)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 파선에 의해 암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역시, 상기 탱크(3)의 뚜껑부(9)는 수정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바닥부가 분리되면 상기 인라이너(31)는 상기 출구(7)로 삽입되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상기 배출구멍(15)에 상기 배출노즐(33)의 정열 및 부착이 도3b와 관련하여 서술되어질 것이며, 상기 탱크(3)의 상부에 상기 인라이너(31)의 홀딩수단(25)의 정열 및 부착이 도3c와 관련하여 서술되어질 것이다.
도3b는 도3a의 탱크(3)의 하부의 분해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3b는 상기 인라이너(31)의 배출노즐(33)이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인라이너(31)를 상기 배출구멍(15)에 부착하는 것처럼 어떻게 상기 탱크(3)의 내부로부터 상기 배출구멍(15)을 통하여 통과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3b에서 볼 수 있는 것 처럼, 상기 배출구멍(15)은 상기 배출노즐(33)의 외경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배출구멍(15)은 상기 용기(1)의 사용자가 특히 그 손을 상기 탱크의 내부로 집어넣어 상기 배출노즐을 잡고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그 배출노즐(33)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출국멍(15)은 특히 적어도 10cm의 직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2cm 내지 16cm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인라이너(31)의 용접부에 불필요한 힘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구 노즐(33)은 센터링 원반(47)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극적인 방식으로 상기 배출구멍(15)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어있다. 상기 센터일 원반(47)의 관통공(49)은 그 것에 의해 편심되어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33)이 상기 배출구멍(15)의 하측 모서리(51)에 가능한 한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 똑바로 선 용기(1)의 배출노즐(33)이 가능한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라이너(31)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수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라이너는 상기 배출구멍(15)를 통과하여 도입되며, 상기 배출노즐(33)과 상기 센터링 원반(47)은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의 내부에서 보면, 상기 배출노즐(33)의 일부는 상기 센터링 원반(47)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위에는 또한 봉인(37)이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밸브장치(17)는 밀봉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날개(53)를 가지는 플랩밸브가 밸브장치(17)로서 사용되어진다. 연결나사산(55)에 의하여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는 각각 상기 밸브장치(1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노즐(33)을 상기 출구(7)에 부착시키는 것은 가능한 한 비틀림 저항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예컨대 상기 연결플랜지(57)와 상기 센터링 원반(47)사이에는 바요넷 캐치(bayonet catch)가 적합하다. 상기 밸브장치(17)는 클립 씰(clip seal)에 의해 상기 센터링 원반(47) 또는 상기 연결 플랜지(57)에 부착될 수 있다.
식품을 충전시키기에 앞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53)과 상기 인라이너(31)의 밀폐장치(35) 사이의 공간은 상기 식품의 요구사항에 따라 각각 청소되거나 살균소독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것을 위하여, 예를 들면, 상기 밸브장치(17)가 밀폐된 후에 그 공간에 남아 있으며 각각 충전 또는 배출되는 동안에 그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는 살균제가 이 공간에 뿌려질 수 있다.
도3c는 도3a의 탱크(3)의 상부의 분해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3c는 상기 홀딩수단이 상기 용기(1)의 뚜껑부(9)에서 상기 인라이너(31)를 상기 탱크(3)에 어떻게 고정시키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홀딩수단(25)은 상기 마개(11)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지며, 결합나사(27)에 의해 비틀림 저항 방식으로 상기 마개(11)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은 상기 인라이너(31)가 파열 되면 상기 식품이 배출되것이 방지되도록 밀봉방식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개(11)는 밀봉 방식으로 상기 뚜껑(9)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역시, 바요넷 캐치는 상기 인라이너(31)의 바람직하지 않은 비틀림을 방지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도3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안처럼, 상기 밸브들(21,23)은 또한 상기 마 개(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4는 단면에서 충전된 인라이러를 가지는 번 발명에 따른 용기(1)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인라이너(31)는 뚜껑(9)과 출구(7)를 포함하는 상기 탱크(3)의 내벽에 인접하고 있다. 상기 밸브장치(1)와 함께 상기 배출노즐(33)은 센터링 원반(47)에 의해 상기 탱크에 있는 상기 연결 플랜지(57)에 부착되어 있다. 뚜껑부(9)에서 상기 홀딩수단(25)은 상기 마개(11)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마개는 또한 상기 뚜껑부(9)에 있는 구멍을 밀폐시킨다. 상기 인라이너(31)는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3)의 모양을 따르며, 주름이 없는 방식으로 상기 탱크(3)의 내벽에 인접하고 있다.
특히 살균처리된 기초 식품의 운반을 위한 상술한 용기(1)의 본 발명에 따른 사용법이 아래에서 서술될 것이다.
도5에 도시된 순서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탱크(3)로 상기 인라이너(31)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S1 단계에서는, 상기 마개(11) 상기 탱크(3)의 뚜껑부(9)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으로, S2 단계에서는, 상기 홀딩수단(25)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마개(11)에 있는 구멍을 통과하게 되며, 결합나사(27)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상기 마개(11)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S3 단계에서는, 상기 인라이너(31)는 자유롭게 매달리는 방식으로 위로부터 상기 탱크로 삽입되어 진다. 이 점에서, 상기 표시부(46)의 방향이 상기 배출노즐(33)이 상기 배출구멍(15)과 대향하도록 하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것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라이너(31)가 상기 탱크(3)에 똑바른 방식으로 매달려 있으며, 충전중 에 비틀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나서, S4 단계에서는, 상기 마개(11)는 상기 바요넷 캐치에 의해 비틀림 저항 방식으로 상기 뚜껑(9)에 고정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탱크(3)에 매달려 있는 상기 인라이너(31)는 이제 상기 탱크(3)의 배출구멍(15)에 고정될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S5 단계에서 상기 배출노즐(33)은 상기 탱크(3)의 배출구멍(15)을 통과하여 잡아당겨진다. 상기 배출구멍(15)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사람이 그의 손을 상기 탱크(3)안으로 집어넣어 상기 배출노즐(33)을 잡고 그 것을 상기 배출구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S6단계에서는, 상기 배출노즐(33)은 상기 센터링 원반(47)에 의해 상기 배출구멍(15)의 중심에 놓여지게 된다. 바요넷 캐치에 의해 상기 배출노즐(33)은, 상기 센터링 원반(47)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는데, 비틀림 저항 방식으로 연결 플랜지(57)에 고정될 수 있다(S7 단계).
상기 노즐(33)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캡(cap)은 벗겨지며, 상기 밸브장치(17)는 상기 배출노즐 위에 위치한다(S8 단계). 예컨대, 플랩밸브 같은 상기 밸브장치(17)는 상기 배출노즐(33)이나, 상기 센터링 원반(47) 또는 상기 연결 플랜지(57)에 클립씰(clip seal) 방식으로 고정된다(S9).
상기 배출노즐(33)과 상기 밸브장치(17)은 살균소독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장치(17)와 상기 밀폐장치(35) 사이의 내부공간은 S10 단계에서 상기 열린 밸브(17)를 통하여 적절한 살균액으로 살균소독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열린 밸브에 살균액을 분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액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장치는 후에 밀폐된다. 또한, 후에 사용할 까지, 가려진 캡이 상기 밸브장치(17)의 연결 나사산(55)에 나사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그와 같은 방식으로 준비되어진 용기가 이제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방법은 도6의 순서도에 의해 설명되어진다. 먼저, S20 단계에서는, 상기 연결 나사산(55)에 나사고정되어 있는 상기 가려진 캡이 제거된다. 다음에, S21 단계에서는, 충전장치가 상기 연결 나나산(55)에 결합된다. 상기 인라이너(31)가 충전될때, 상기 탱크(3)의 압력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탱크는 상기 밸브들(21,23)의 의해 공기가 제거된다(S22 단계).
만약 상기 밸브장치(17)가 밀폐되면, 상기 조립체는 그리고 나서 증발시켜진다. 상기 밸브장치와 상기 밀폐장치(35)사이의 공간에 있는 살균액은 그것에 의해 동시에 증발하도록 하여 그 공간에 있는 공기를 부가적으로 살균소독 시킨다(S23 단계). 이 단계 후에는, 상기 용기(1)에서 살균처리된 환경이 보장된다.
그리고 나서, S24 단계에서, 상기 밸브장치(17)의 날개(57)가 열리고, 식품이 상기 밀폐장치(35)를 돌파하면서 상기 인라이너(31)의 내부로 흐른다. 그래서, 상기 인라이너(31)는 S25 단계에서 충전된다. 상기 충전은 상기 관찰창(13)에 의하여 관찰될 수 있고, 그 관찰창(13)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유입되는 식품의 부피 때문에, 상기 인라이너(31)는 열리고 균일한 방식으로 상기 탱크(3)의 내벽에 적응하며, 상기 고무밴드(46)는 먼저 상기 인라이너가 더이상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바닥부가 먼저 충전된다.
바람직한 식품의 부피가 흘러나올 때, 상기 밸브장치(17)는 다시 밀폐되며, 상기 충전장치는 제거된다(S26 단계).
상기 인라이너(31)의 과충전은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에 의해 회피되며,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는 유입되는 식품이 너무 많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혹은 그 대신에, 식품을 상기 인라이너(31)로 퍼주는 펌프의 압력을 관찰을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중지 시킬 수 있다. 충전하는 동안에 상기 인라이너가 상기 탱크(3)에서 적절하게 펴지지 않는다는 것이 발견된다면, 예컨대 질소와 같은 작은 양의 기체가 기체 압력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상기 인라이너로 주입되어, 충전에 앞서 상기 내벽에 이미 적응한다. 상기 안전밸브(39)가 충전후에 밀폐 되도록 상기 기체량은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충전된 용기(1)는 이제 적재되어, 상기 탱크 내부의 상기 인라이너에 위치하는 상기 식품은 이제 안전한 방식과 살균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운반될 수 있다.
소비자에게 도달해서, 상기 용기(1)는 도7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다시 배출된다.
S30 단계에서는, 상기 연결 나사산(55)에 조립된 가려진 캡은 제거된다. 다음에는, S31 단계에서, 상기 배출장치가 똑같이 결합된다. 그렇게 하는때, 상기 배출장치와 상기 밸브장치(17) 사이의 부위가 살균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탱크(3)를 충전할 때와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S32 단계에서는, 상기 탱크(3)은 밸브(21,23)을 거쳐 공기가 공급된다. 이것은 또한 특히 질소와 같은 기체의 추가와 함께 일어난다. 배출을 위하여는 상기 밸브장치(17)의 날개(53)이 열리고 상기 식품은 펌프에 의하여 상기 배출장치를 통하여 퍼내진다(S34 단계).
탱크에서 상기 인라이너(31)가 배출된 후에, 상기 배출장치는 S35 단계에서 제거되며, 가려진 캡이 다시 상기 나사산(55)에 나사고정된다. 이제, 상기 사용된 인라이너(31)와 함께 상기 용기(1)는 상기 식품의 생산자에게 되돌려질 수 있다.
거기서, 상기 사용된 인라이너(31)는 다시 상기 탱크로부터 제거된다. 제거되기에 앞서 무게를 측정하여 남아 있는 양이 상기 인라이너(31)에 있는지 여부를 찾아낼 수 있다. 만약 이 잔류량이 너무 많으면, 상기 인라이너(31)를 꺼내기 전에 잔류량이 퍼내져야 한다. 이것은 도7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다음에는, 상기 밸브장치(17)가 상기 배출노즐(33)로부터 제거되며, 존재하는 잔류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이 상기 배출노즐(33)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마개(11)는 똑 같이 상기 탱크(3)의 뚜껑부(9)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결합나사(27)는 돌려서 풀어진다. 상기 인라이너(31)는 그때 상기 탱크(3)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처분될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17)는 씻어지고 살균력이 있는 욕조에 저장된다. 만약 오염이 되면 상기 탱크(3)는 또한 씻어진다.
상술한바와 같은 상기의 창의적인 용기(1)와, 탱크(3)와, 인라이너(31) 및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운반용 탱크를 돌려줄 때 이제 더이상 그 탱크의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없다. 특히, 살균처리된 식품을 위한 용기 위생의 준수를 보 증할 수 있기 위하여 살균처리 되어야만 하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용기들의 살균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사용된 후에 제거되는 상기 인라이너를 사용함으로써, 또한 상기 용기의 잔류물 배출이 실질적으로 쉬워지며, 상기 탱크의 내부에 있는 제품의 조립물도 더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 탱크(3)가 단지 부분적으로 충전되면 예컨대 질소의 중첩에 의한 잔류량을 더이상 살균소독할 필요가 없다.
너무 높지 않은 점성을 가지는 식품의 경우에, 상기 충전된 인라이너는 아마도 상기 뚜껑을 경유하여 공급된 압축 공기 쿠션만으로도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인라이너(31)에 담긴 식품이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면에서 이러한 압축 공기 쿠션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청소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더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한편으로는, 또한 더 적은 물을 필요로 하여, 낭비하는 물의 부담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게다가, 상기 탱크에 가해지는 손상은 상기 인라이너에서 보호되기 때문에 상기 식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래서, 탱크(3)는 더 오래 사용될 수 있으며, 덜 빈번하게 보수하여 질 수 있다. 수고스러운 청소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탱크는 또한 더 빠르게 재사용될 수 있다.

Claims (40)

  1. 식품, 특히 살균처리된 기초 식품을 위하여, 탱크(3)와, 상기 식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탱크(3)안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된 인라이너(31)를 포함하는 식품을 위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는 상기 인라이너(31)가 각각 상기 탱크(3)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탱크로부터 꺼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는 그 탱크의 하부에 테이퍼진, 특히 깔때기 꼴의 출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의 배출구멍(15)은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15)는 똑바로 선 탱크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15)은 사람의 손이 그 배출구멍을 통과하여 해서 내부의 물건 을 잡을수 있도록 충분히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cm의 직경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cm 내지 16cm의 직경을 가지는 용기.
  6. 제1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는, 특히 상기 출구(7)는, 적어도 하나의 관찰창(13)을 포함하는 용기.
  7. 제1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는 상기 인라이너(31)를 상기 탱크(3) 내에 유지하도록 하는 홀딩장치를 포함하며, 그 홀딩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탱크의 상부 중간에, 더 바람직하게는 뚜껑(9) 위에 위치하는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는 인라이너(31)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폐 가능한 개구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있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는 인라이너(31)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밀폐 가능한 개구가 구비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적어도 상기 출구(9)의 일부는 상기 개구가 뚜껑에 구비되어있는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이너(31)는 배출노즐(3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인라이너(31)의 내측면을 살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밀폐장치(35), 특히 막 또는 파열원반(bursting disk)이 상기 배출노즐(33)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33)은 상기 탱크(3)의 배출구멍(15)의 내경 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용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의 배출구멍(15)에 상기 배출노즐(33)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센터링 원반(47)을 포함하는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원반(47)은 상기 배출노즐(33)과 일체로 형성되는 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원반(47)에는 상기 배출노즐(33)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멍이 편 심되게 배치되어 있는 용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33)의 일부는 상기 탱크(3)로부터 상기 센터링 원반(4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용기.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33)의 돌출된 부위에 설치된 밸브장치(17)를 포함하는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설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봉인(seal)이 상기 배출노즐(33)과 상기 밸브장치(17) 사이에 배치된 용기.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33)을 상기 배출구멍(1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출노즐(33)을 상기 배출구멍(15)에 비틀림 저항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용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밸브장치(17)를 상기 배출노즐(33)에 밀봉방식으로 고정시키는 용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이너(31)는, 특히 파열원반 또는 안전밸브,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어 밸브와 같은 지나친 과압력 안전수단(39)를 포함하는 용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은 상기 탱크(3)의 외부와 서로 통하는 용기.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이너(31)는 그 인라이너(31)를 상기 탱크(3), 특히 그 탱크(3)의 상부 중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수단(25)을 포함하는 용기.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는 상기 홀딩수단(25)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
  25. 식품이 살균처리된 배출노즐(33)과 양립가능한 플라스틱 박(foil), 특히 폴 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며,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인라이너(31).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33)은, 상기 인라이너(33)의 내측면을 살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특히 막 또는 파열원반과 같은 밀폐장치(35)를 포함하는 인라이너.
  27. 제26항에 있어서,
    막 또는 파열원반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막 또는 파열원반은, 각각, 미리 결정된 입력하에서 파괴되어 단편이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라이너.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파열원반 또는 안전밸브,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어 밸브와 같은 과압력 안전수단(39)을 포함하는 인라이너.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이너(31)를 상기 탱크(3)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25)을 포함하는 인라이너.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표시부(59)는 상기 홀딩수단(25) 그리고/또는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표시부(59)는, 상기 인라이너(31)가 상기 배출구멍(15)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탱크로 삽입될 방향을 지시하여, 상기 인라이너(31)가 삽입된 후에, 상기 배출노즐(33)이 상기 배출구멍(15)에 인접하도록 된 인라이너.
  31.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인라이너(31)는 식품이 채워졌을 때 주름이 없는 방식으로 그 인라이너(31)가 상기 탱크(3)의 내벽에 적응하도록 접혀 있는 인라이너.
  32. 제25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밴드 또는 점착성이 있는 스트립(strip,45)이 접혀진 인라이너(31)에 배치되어 채워지는 수준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그 인라이너(31)를 펴도록 된 인라이너.
  33. 제25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33)에 있어서, 상기 과압력 안전수단(39) 그리고/또는 상기 홀딩수단(25)은 용접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인라이너.
  34. 상기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1)에 사용하기 위한 탱크에 있어서, 특히 상기 탱크(3)의 하부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의 출구(7)와 같은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 형상의 출구(7)의 배출구멍(15)은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는 탱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외부공기를 공급 및/또는 외부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21)를 포함하는 탱크.
  36. 탱크(3)의 내부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되어 된 인라이어(31)에 식품이 담겨져서 운반되는 점에 특징이 있는 용기에 담긴 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37. 제10항과 관련하여,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를 충전하거나 또는 각각 비우는 것을 준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부품(17)은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를 각각 연결하도록 제공하는 상기 배출노즐(3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품(18)으로부터 상기 배출노즐(33)의 밀폐장치(35)에 이르는 부위는 충전장치 또는 배출장치에 각각 연결하기 전에 살균소독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은 밸브장치(17)이며 살균소독제는 열려있는 상기 밸브장 치(17)를 통하여 상기 밸브장치(17)와 상기 밀폐장치(35)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며, 그 밸브장치(17)은 후에 잠겨서 상기 살균소독제는 충전시 또는 배출시까지 그 공간에 각각 남아 있는 방법.
  39.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장치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인라이너(31)와 탱크(3)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인라이너(31)의 배출노즐을 통하여 그 인라이너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를 충전시키는 방법.
  40.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장치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인라이너(31)와 탱크(3)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인라이너(31)의 배출노즐을 통하여 그 인라이너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를 배출시키는 방법
KR1020060039622A 2005-05-06 2006-05-02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KR100872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09977.9 2005-05-06
EP05009977A EP1719714A1 (de) 2005-05-06 2005-05-06 Transportbehälter für Lebensmittelprodukte und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von Lebensmittelprodukten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258A Division KR20080056123A (ko) 2005-05-06 2008-05-23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KR1020080048257A Division KR20080056122A (ko) 2005-05-06 2008-05-23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590A true KR20060115590A (ko) 2006-11-09
KR100872401B1 KR100872401B1 (ko) 2008-12-05

Family

ID=3497978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22A KR100872401B1 (ko) 2005-05-06 2006-05-02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KR1020080048258A KR20080056123A (ko) 2005-05-06 2008-05-23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KR1020080048257A KR20080056122A (ko) 2005-05-06 2008-05-23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258A KR20080056123A (ko) 2005-05-06 2008-05-23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KR1020080048257A KR20080056122A (ko) 2005-05-06 2008-05-23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006636A1 (ko)
EP (2) EP1719714A1 (ko)
JP (1) JP2006312493A (ko)
KR (3) KR100872401B1 (ko)
CN (1) CN1857970A (ko)
BR (1) BRPI0603270A (ko)
CA (1) CA2543309A1 (ko)
RU (1) RU2351518C2 (ko)
TW (1) TW200642930A (ko)
ZA (1) ZA2006035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1083A1 (en) * 2005-04-19 2011-06-23 Alan Soucy Cartridges for storing food material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materials stored within such cartridges
US20100143549A1 (en) * 2006-04-19 2010-06-10 Kevin Hoyt Apparatus, pods and methods for processing expandable food materials
DE102005028778A1 (de) * 2005-06-22 2006-12-28 SUNJÜT Deutschland GmbH Mehrlagige Folie mit einer Barriere- und einer antistatischen Lage
US20090114655A1 (en) * 2006-04-28 2009-05-07 Bluescope Steel Limited Water storage tank
US9090398B2 (en) 2007-05-04 2015-07-28 Emd Millipore Corporation Disposable processing bag with alignment feature
EP2082972A1 (de) * 2008-01-25 2009-07-29 INDAG Gesellschaft für Industriebedarf mbH & Co. Betriebs KG Transport- und/oder Lagerbehältnis
JP5039608B2 (ja) * 2008-02-27 2012-10-03 森永乳業株式会社 殺菌済原料における汚染の検出方法
DE202008015293U1 (de) 2008-11-18 2009-01-29 Ucon Ag Containersysteme Kg Kleincontainer für flüssige und/oder pastöse Stoffe sowie Unterboden hierfür
DE102009000619B3 (de) * 2009-02-04 2010-12-16 Universität Kassel Tank
US20120114821A1 (en) * 2010-11-08 2012-05-10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terilized food product
ES2639815T3 (es) * 2011-11-28 2017-10-30 Nanomakers Procedimiento de utilización de un contenedor
ES2534229B1 (es) * 2012-05-07 2016-06-23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Método y aparato para manipular productos alimenticios esterilizados
CN104724370B (zh) * 2013-12-19 2018-01-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水容器及具有其的净水设备和饮水机
CN104720585B (zh) * 2013-12-19 2017-10-27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设备
CN104609030A (zh) * 2015-01-29 2015-05-13 岳勇斌 一种纯水储存装置
MY197996A (en) * 2016-03-24 2023-07-25 Mauser Werke Gmbh Inliner for a pallet container
DE102016010621B4 (de) * 2016-03-24 2018-06-28 Mauser-Werke Gmbh Inliner für Palettencontainer
CN107697486B (zh) * 2016-08-08 2020-10-20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挤推器及流体排放系统和方法
NL2018765B1 (en) * 2017-04-24 2018-11-05 Green Eye Capital B V Assembly of an inliner and a tank container
CN108945841B (zh) * 2018-05-22 2020-07-24 淄博洁林塑料制管有限公司 一种ibc吨桶用内衬袋的使用方法
NL2024686B1 (en) * 2020-01-16 2021-09-08 Mega Inliner Int Group Bv Method for realizing an aseptic connection between a valve unit and a tank container
CN112938206B (zh) * 2021-03-10 2022-08-26 海南丰席树诺丽产业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移动的诺丽果发酵果汁用储藏罐
CN113212973B (zh) * 2021-04-08 2024-01-12 安徽从仁堂国药有限公司 一种便于取用可避免中药破损的保存装置
DE102021117729B3 (de) * 2021-07-08 2022-06-30 U-Consulting GmbH Schutzvorrichtung und Schutzanordnung für ein Behältnis zum Aufnehmen von Substanzen, insbesondere von pulverförmigen Substanze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27992A (fr) * 1964-12-31 1966-02-11 Dispositif pour éviter le contact de deux fluides à l'intérieur d'un récipient
DE3503916A1 (de) * 1985-02-06 1986-08-07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FF (Deutschland) GmbH, 4240 Emmerich Steriles bag-in-box fuell- und entnahmesystem
DE8805692U1 (ko) * 1988-04-29 1988-07-21 Schneider, Friedhelm, 5226 Reichshof, De
US5072857A (en) * 1988-09-30 1991-12-17 Fabricated Metals, Inc. Bulk material container with flexible liner
JP2632664B2 (ja) * 1988-11-12 1997-07-23 レイテック株式会社 流体貯溜槽内養生袋
JP3203262B2 (ja) * 1992-03-04 2001-08-27 日本製粉株式会社 粉粒体サイロ装置
EP0590902A1 (en) * 1992-09-26 1994-04-06 Hydrair Limited Transport system
US5890616A (en) * 1997-01-30 1999-04-06 Messe, Inc. Bulk container with discharge coupling
JPH10287389A (ja) * 1997-04-10 1998-10-27 Maeda Seisakusho:Kk コンテナ内袋回収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コンテナおよび内袋
SE512520C2 (sv) * 1997-07-07 2000-03-27 Arca Systems Ab Påsformigt innerhölje i form av en så kallad liner avsedd att användas för transport och lagring av bulkgods tillsammans med ett uppbärande ytterhölje
AUPO777997A0 (en) * 1997-07-09 1997-07-31 Technosearch Pty. Limited Improvements in containers
JP2000043982A (ja) 1998-05-29 2000-02-15 Raisen:Kk コンテナ―用内袋の装着方法。
CA2265057C (en) * 1999-03-10 2003-05-06 Jaromir K. Aujesky Container and lock for a bag fluid fitting
JP2001354292A (ja) * 2000-06-13 2001-12-25 Kyoritsu Butsuryu System:Kk 液体コンテナ用の内袋
GB2366283A (en) * 2000-08-30 2002-03-06 Brendan Mckenna Apparatus for use in the transportation of liquids, gels, thixotropic fluids and the like
US6659132B2 (en) * 2001-03-19 2003-12-09 Baxter International Inc. Gas permeable sterile closure
JP2004161308A (ja) * 2002-11-12 2004-06-10 Nisshin Sansho Kk 内装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4207A2 (de) 2006-11-22
TW200642930A (en) 2006-12-16
ZA200603592B (en) 2007-01-31
KR100872401B1 (ko) 2008-12-05
BRPI0603270A (pt) 2006-12-26
US20080006636A1 (en) 2008-01-10
KR20080056123A (ko) 2008-06-20
JP2006312493A (ja) 2006-11-16
RU2351518C2 (ru) 2009-04-10
EP1724207A3 (de) 2006-11-29
RU2006112190A (ru) 2007-11-20
CN1857970A (zh) 2006-11-08
KR20080056122A (ko) 2008-06-20
EP1719714A1 (de) 2006-11-08
CA2543309A1 (en) 2006-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401B1 (ko) 식품을 위한 용기 및 식품 운반방법
RU2705990C1 (ru) Вкладыш для паллет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RU271898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стериализации тонкостенных гиб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дой-паков)
US6543495B2 (en) Multiple access container and methods for the transfer of fluent materials
US20120276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terilized food product
US20110142574A1 (en) Method of transferring an object into a clean room
JP7351831B2 (ja) インライナ
CN108778951B (zh) 具有内衬的塑料内部容器
CN103370085B (zh) 用于处理无菌食品产品的方法和装置
US201000122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canting Powders And Solid Substances While Avoiding Contamination And Novel Use Of A Weldable And Peelable Tubular Film
US8596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eptic filling of food product
US8123078B2 (en) Flexible packages for connection to a dispensing system and clamping devices for releasably connecting such packages to the inlet tube of a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of dispensing flowable materials from flexible packages
RU2765201C1 (ru) Паллетный контейнер
CN104271451B (zh) 用于处理无菌食品产品的方法和设备
GB2310651A (en) Aseptic packaging system and flexible bag therefor
WO2016018292A1 (en) Quick filling and self sealing liquid storage bag assembly
JP2001072128A (ja) 充填・排出用治具及び無菌充填・排出方法
SG188689A1 (en) Container load-positioning tube and lin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