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134A -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134A
KR20060107134A KR1020050029164A KR20050029164A KR20060107134A KR 20060107134 A KR20060107134 A KR 20060107134A KR 1020050029164 A KR1020050029164 A KR 1020050029164A KR 20050029164 A KR20050029164 A KR 20050029164A KR 20060107134 A KR20060107134 A KR 2006010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exit
entrance
par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566B1 (ko
Inventor
황성필
Original Assignee
황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필 filed Critical 황성필
Priority to KR102005002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5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연속적인 입고 및 출고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주차설비 및 주차방법이 개시된다. 주차설비는 주차공간이 배치된 플랫폼 층을 포함하는 복수 층의 주차 구조체, 외부 차량이 주차 구조체로 접근할 수 있는 지상 입출고, 지상 입출고에 인접한 승강 입출고 및 주차 구조체를 따라 승강하며 차량을 이송하는 차량 승강기를 포함하는 차량 승강부, 및 입출고들 간에 차량을 이송하는 지상 이송부를 포함한다. 지상 입출고와 승강 입출고를 별도로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출입과 차량 승강기의 작동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입고 또는 출고를 하는 경우에 걸리는 대기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주차, 입출고

Description

저층 공간을 이용한 주차설비 및 주차방법{PARKING EQUIPMENT AND PARKING METHOD APPLYING A GROUND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의 입고 과정과 종래 주차방법의 입고 과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의 출고 과정과 종래 주차방법의 출고 과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 및 주차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 및 주차판 저장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의 롤러 및 롤러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강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 및 주차판 저장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기둥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주차설비 110:주차 구조체
120:지상 입출고 130:차량 승강부
132:승강 입출고 135:차량 승강기
140:지상 이송부 150:주차판 저장부
200:주차설비 210:주차 구조체
222~226:제1 내지 제3 입출고 235:차량 승강기
240:지상 이송부 252,256:주차판 저장부
본 발명은 주차설비(parking equipmen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의 연속된 입고 및 출고를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 다층형 주차설비 및 주차설비의 주차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에 관한 것이다.
번화한 도시와 같이, 한 건물 또는 한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 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 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목적에 못지 않게 중용하게 고려되는 부수적인 목적들로는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의 유지, 조작의 편의성, 차량의 신속한 입고(enter) 및 출고(exit), 저렴한 공사 비용 등이 있다.
종래의 주차설비는 일반적으로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 구조물 및 차량 승강기를 포함한다. 차량 승강기의 팔레트가 1층에 위치한 후 차량이 진입하여 팔레트 상에 적재될 수 있으며, 차량 승강기 상에 차량이 적재됨에 따라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시작하여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차량을 이송한다. 플랫폼 층 및 차량 승강기 간의 상호 작동에 의해서 차량의 위치를 차량 승강기에서 플랫폼 층으로 전환시킬 수가 있으며, 차량 승강기는 다시 1층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량을 입고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주차설비를 사용함에 있어서, 차량을 입고시키는 과정 및 출고시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상당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약 1,000~2,000kg정도의 고중량이고, 고가이면서 외부 충격에 대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이송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주차설비에서 차량 한 대를 입고 또는 출고하는 데에 십여 분에서 수십 분이 족히 걸리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수 대의 차량이 한번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경우에는 주차순서의 밀림으로 인해 사용자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한 없이 길어질 수가 있다.
또한, 주차설비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가 있다면, 주차설비의 성능을 그나마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겠지만, 관리자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가 직접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입고 및 출고 시간이 더욱 연장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킬 수 있으며, 차량을 연속적으로 입고 또는 출고하는 경우에도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주차설비 및 주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조작에 미숙하여도 조작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 전체적으로 경과되는 시간에 영향을 적게 미칠 수 있는 주차설비 및 주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설비는 지상 입출고(ground entrance) 및 승강 입출고(elevator entrance)를 상호 분리하여 유지할 수 있다. 지상 입출고를 통해서는 외부의 차량이 주차설비로 접근할 수 있으며, 승강 입출고를 통해서는 주차설비 내로 진입한 차량을 특정 플랫폼 층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종래의 주차설비에서는 하나의 입출고(entrance)만을 갖기 때문에 먼저 진입한 차량이 특정 주차공간에 입고된 후 다시 차량 승강기가 입출고로 복귀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한, 차량 승강기가 도착한 후에도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운전하여 차량을 직접 입출고 내의 차량 승강기 위로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며,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후에는 조작 판넬로 가서 차량 승강기의 작동을 직접 확인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주차설비에서는 지상 입출고 및 승강 입출고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하고 있어도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운전하여 차량을 지상 입출고에 위치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차량 승강기가 이송, 입고 및 복귀를 수행하는 동안 조작 판넬로 가서 차량 승강기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승강기가 이송하여 차량을 입고시킨 후, 다시 복귀하는 시간은 수 분에서 수십 분이 걸리기 때문에,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라 해도 차량 승강기가 다시 복귀할 때까지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물론, 차량을 연속적으로 출고할 때에도 종래의 주차설비에 비해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가 있다.
종래의 주차설비에서는 입고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완전히 출차된 경우에만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승강기가 입출고에 도착해도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들어가 차를 직접 운전하여 출고하여야 하고, 안전하게 출고를 확인한 상태에서 만이 차량 승강기가 비로소 작동할 수가 있다.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신속하게 움직여야 하며, 한번의 조작 실수에 의해서 출고 시간이 지연될 수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주차설비에서는 차량 승강기가 승강 입출고로 차량을 이송한 후에 바로 지상 이송부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차량을 승강 입출고에서 지상 입출고로 이송할 수 있으며, 차량이 승강 입출고로부터 이탈하면 다음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바로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시작할 수가 있다. 역시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하면서 운전자 또는 관리자는 지상 입출고에서 차량을 출차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미숙한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주차설비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출고되는 차량이 눈에 보이기 시작하면 운전자도 심리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느끼는 출고 시간이 더욱 단축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승강 입출고의 양 측에 지상 입출고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입고 및 출고에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입출고 자체를 지상 입출고와 같이 개방함으로써, 주차설비의 사용이 집중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방된 승강 입출고를 통해 차량을 한 대씩 입고 또는 출고할 수 있어 지상 입출고 및 승강 입출고 간의 이송 과정을 생략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상은 일반적인 지면 개념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량이 운전 등의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위치로서, 주변 지형 또는 주변 구조물에 따라 일반적인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상하로 이격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100)는 주차 구조체(110), 지상 입출고(120), 승강 입출고(132)와 차량 승강기(135)를 포함하는 차량 승강부(130) 및 지상 이송부(140)를 포함한다.
주차 구조체(110)는 다층의 플랫폼 층(112)으로 구성되며, 각 플랫폼 층(112)에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112)에서는 차량 및 주차판이 함께 적재되며, 차량 승강기(135)와의 교환을 통해서 차량 및 주차판을 주고 받을 수가 있다.
지상 입출고(120)는 차량 승강기(135)의 통로와 분리된 위치에 배치된다. 지상 입출고(120)는 주차 구조체(110)의 1층 또는 저층 공간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조체(110)와 무관하게 별도의 위치에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주차 구조체(110)가 지하로 형성되거나 주차 구조체(110) 주변의 지형이 높은 경우에는 지상 입출고(120)가 1층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도 배치될 수가 있다.
차량 승강부(130)는 승강 입출고(132) 및 차량 승강기(135)를 포함한다. 승강 입출고(132)가 지상 입출고(120)의 측면에 위치하며, 승강 입출고(132)는 차량 승강기(135)의 통로 상에 위치하여 차량 승강기(135)가 승강 입출고(132)의 위치에서 차량을 전달(send) 또는 수령(receive)할 수가 있다. 차량 승강기(135)는 승강 구동장치(136)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 및 주차판을 목적된 플랫폼 층(112)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 승강기(135)는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주차판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판 이송부는 차량 승강기(135) 및 플랫폼 층(112) 간에 차량 또는 차량/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개시된 다양한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주차판의 저면에 랙(rack)을 형성하고 차량 승강기 또는 플랫폼 층에 피니언(pinion)을 장착하여 주차판을 이송할 수가 있으며, 주차판의 측면과 맞물린 이송 롤러를 작동함으로써 주차판을 이송할 수 있고, 주차판의 저면에 가이드 판을 수직하게 돌출시키고, 가 이드 판의 양면을 이송 롤러로 밀착 및 회전시킴으로써 주차판을 이송할 수가 있다.
지상 입출고(120) 및 승강 입출고(132) 사이에는 지상 이송부(140)가 설치된다. 지상 이송부(140) 역시 지상 입출고(120) 및 승강 입출고(132) 간의 차량 또는 차량/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주차판 이송부가 사용될 수가 있다. 즉, 지상 이송부(140)로는 랙 및 피니언을 이용한 이송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주차판 측면과 맞물린 이송 롤러를 이용한 이송부, 및 가이드 판과 이송 롤러를 이용한 이송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상 입출고(120) 및 승강 입출고(132) 사이에 별도의 지상 이송부(140)를 장착하지 않고, 차량 승강기(135)에 장착된 주차판 이송부를 지상 이송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지상 입출고(120)의 하부에는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판 저장부(150)가 제공된다. 주차판 저장부(150)에서는 복수개의 주차판들이 상하로 적재되며, 상하로 적재되는 주차판들의 하부에는 주차판 리프트가 설치되어 주차판들을 지지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주차판 리프트로는 일반적인 리프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입고 또는 출고 과정에 따라 지상 입출고(120)에 주차판을 보충 또는 보관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입고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주차판 리프트를 상승시켜 주차판을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출고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주차판 리프트를 하강시켜 주차판을 계속적으로 보관할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차량(11)이 지상 입출고(120)를 통해 진입한 후에 지상 이송부(140)에 의해서 제1 차량(11) 및 제1 주차판(151)이 승강 입출고(132)로 이송되며, 제1 차량(11) 및 제1 주차판(151)은 차량 승강기(135)에 의해서 목적된 플랫폼 층(112)으로 이송된다.
차량 승강기(135)에 의해서 제1 차량(11) 및 제1 주차판(151)이 이송되는 동안, 지상 입출고(120)에는 새로운 제2 차량(12)이 적재될 수 있다. 제2 차량(12)이 진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주차판 리프트가 작동하여 제2 주차판(152)이 상승하여 제2 차량(12)을 지지하기 위한 준비를 하여야 하며, 이때 제2 주차판(152)의 상면과 지상 입출고(120)의 지면을 일치시킴으로써 제2 차량(12)이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승강기(135)가 제1 차량(11)을 입고시킨 후, 다시 승강 입출고(132)로 돌아올 때까지 수 분에서 십여 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제2 차량(12)의 주차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 승강기(135)가 도착하자 마자 바로 자동으로 제2 차량(12) 및 제2 주차판(152)의 이송을 시작할 수 있으며, 제2 차량(12)을 지상 입출고(120)에서 승강 입출고(132)로 이송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동일 조건 하에서 제2 차량(12) 및 제2 주차판(152)을 차량 승강기(135)로 이송하는 시점이 더욱 빨라질 수가 있다.
도 3을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의 입고 과정과 종래 주차방법의 입고 과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방법에서 제1 차량('차량 1') 및 제2 차량('차량 2')를 연속적으로 입고하기 위해서는 제1 차량이 입고 과정을 완료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차량을 이송하기 위해서, 차량 승강기가 제1 차량을 적재하여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동하고, 차량 승강기 및 플랫폼 층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제1 차량을 입고시킨다. 제1 차량을 입고시킨 후 차량 승강기는 다시 하강하여 입출고로 복귀한다(S11).
빈 상태의 차량 승강기가 도착하면, 빈 상태의 주차판을 차량 승강기 상에 적재시켜야 하는데, 이는 입출고 근처에 위치한 주차판 저장고로부터 주차판을 새로 보급 받거나 임의의 플랫폼 층에 보관된 빈 주차판을 이송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주차판을 확보하기 위한 시간도 상당하여 연속되는 차량의 입고 시간을 연장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차량 승강기 상에 주차판이 준비되면, 운전자 혹은 관리자는 제2 차량을 운전하여 입출고에 진입시키고, 운전자 혹은 관리자는 제2 차량에서 하차하여 제2 차량의 안전을 확보한 후 차량 승강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S12).
차량 승강기의 작동에 따라 제2 차량 및 제2 주차판은 상승하며, 제1 차량 및 제1 주차판과 마찬가지로, 목적된 다른 플랫폼 층으로 이동하고, 플랫폼 층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차량 승강기는 다시 다른 차량을 입고하기 위해 입출고로 이동한다(S13).
종래의 주차방법과 다르게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은 차량 승강기에 의한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의 이송 간격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에 따르면, 승강 입출고(132)에서 제1 차량(11)을 목적된 플랫폼 층(112)으로 이송하고, 플랫폼 층(112)에 제1 차량(11)을 입고시킨 후, 차량 승강기(135)가 다시 승강 입출고(132)로 복귀한다(S21). 이는 앞서 언급한 종래의 주차방 법에서 제1 차량을 이송, 입고 및 복귀시키는 단계(S11)와 거의 동일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상 입출고(120)와 승강 입출고(132)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승강기(135)를 이용하여 제1 차량(11)을 입고시키는 동안 제2 차량(12)은 이미 지상 입출고(120)에 진입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제1 차량(11)에서 하차하여 차량 입고에 필요한 조작을 완료할 수가 있다(S22). 또한, 지상 입출고(120)의 하부에서는 주차판 저장부(150)로부터 제2 주차판(152)을 바로 공급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차판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 및 시간이 생략될 수 있다.
차량 승강기(135)가 승강 입출고(132)에 도착하면, 지상 이송부(140)는 바로 작동을 시작하여 제2 차량(12) 및 제2 주차판(152)을 승강 입출고(132)로 이송하게 되며(S23), 제2 차량(12) 및 제2 주차판(152)이 승강 입출고(132)의 차량 승강기(135) 상에 적재됨과 동시에 차량 승강기(135)가 다시 작동하여 제2 차량(12) 및 제2 주차판(152)을 플랫폼 층(112)으로 이송 및 입고하고, 다시 승강 입출고(132)로 복귀할 수 있다(S2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을 입고하는 과정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T1, T1'),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에서는 제2 차량을 입고하기 위한 시간(T2)이 종래의 시간(T2')보다 일정 시간 차이(ΔT)만큼 앞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주차판 확보 시간을 제외한 것으로서 시간 차이(ΔT)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숙련도가 높은 경우를 한정한 것이며, 사용자가 조작 미숙으로 시간이 연장되는 경우를 배제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 따 른 주차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숙련도가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가 있다.
이러한 시간적 효율성은 입고 과정뿐만 아니라 출고 과정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의 출고 과정과 종래 주차방법의 출고 과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방법에서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연속적으로 출고하기 위해서는 제1 차량이 출고 과정을 완료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 차량 승강기가 제1 차량이 주차된 특정 플랫폼 층으로 이동하고, 차량 승강기 및 플랫폼 층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제1 차량을 플랫폼 층으로부터 출고시킨다. 제1 차량을 출고시킨 후 차량 승강기는 다시 하강하여 제1 차량을 입출고로 이송한다(S31).
제1 차량을 적재한 차량 승강기가 도착하면, 운전자 혹은 관리자는 제1 차량에 탑승하고 직접 운전하여 입출고로부터 제1 차량을 출차시킨다. 그리고, 운전자 혹은 관리자는 제1 차량의 안전을 확보한 후 제2 차량의 출고를 위해 차량 승강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S32).
차량 승강기 상에는 빈 상태의 주차판이 있으며, 제2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는 빈 주차판은 다른 장소에서 따로 보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출고 근처에 위치한 주차판 저장고에 빈 주차판을 이송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주차판이 없는 임의의 플랫폼 층에 주차판을 이송하여 빈 주차판을 차량 승강기 상에서 제거하여야 한다. 역시 이러한 과정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주차판을 치우기 위한 시 간도 상당하여 연속되는 차량의 출고 시간을 연장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주차판이 제거된 차량 승강기는 목적된 다른 목적된 다른 플랫폼 층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플랫폼 층으로부터 제2 차량을 이송 받는다. 그리고, 차량 승강기는 제2 차량을 적재한 상태에서 다시 입출고로 이동한다(S33).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에 의한 출고 과정도 차량 승강기에 의한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의 이송 간격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에 따르면, 승강 입출고(132)에서 차량 승강기(135)가 목적된 플랫폼 층(112)으로 이동하고, 플랫폼 층(112)으로부터 제1 차량(11) 및 제1 주차판(151)을 출고한 후, 차량 승강기(135)는 제1 차량(11) 및 제1 주차판(151)과 함께 승강 입출고(132)로 복귀한다(S41). 이는 앞서 언급한 종래의 주차방법에서 승강기 이동, 제1 차량 출고 및 승강기 복귀의 과정(S31)과 거의 동일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차량 승강기(135)가 승강 입출고(132)에 도착하면, 지상 이송부(140)는 바로 작동을 시작하여 제1 차량(11) 및 제1 주차판(151)을 승강 입출고(132)로부터 지상 입출고(120)로 이송하게 되며(S42), 제1 차량(11) 및 제1 주차판(151)이 승강 입출고(132)의 차량 승강기(135)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차량 승강기(135)가 다시 작동하여 제2 차량(12) 및 제2 주차판(152)을 출고하기 위해 목적된 플랫폼 층(112)으로 이동하여 제2 차량(12) 및 제2 주차판(152)을 출고하고, 다시 승강 입출고(132)로 복귀할 수 있다(S44).
지상 입출고(120)와 승강 입출고(132)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승강기 (135)를 이용하여 제2 차량(12)을 출고시키는 동안 운전자는 제1 차량(11)에 탑승하여 제1 차량(11)을 지상 입출고(120)로부터 출차시킬 수 있다(S43).
또한, 지상 입출고(120)의 하부에서는 주차판 저장부(150)를 이용하여 제1 주차판(151)을 바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계속되는 출고 과정에서 주차판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 및 시간이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을 출고하는 과정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T1, T1'),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에서는 제2 차량을 출고하는 과정을 완료하는 시간(T3)은 종래의 시간(T3')보다 일정 시간 차이(ΔT)만큼 앞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주차판을 별도로 보관하는 시간을 제외한 것으로서 시간 차이(ΔT)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미숙으로 시간이 연장되는 경우를 배제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숙련도가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200)는 주차 구조체(210), 제1 입출고(222), 제2 입출고(224), 제3 입출고(226)), 차량 승강기(235), 지상 이송 부(240), 제1 주차판 저장부(252) 및 제2 주차판 저장부(256)을 포함한다.
주차 구조체(210)는 다층의 플랫폼 층(212)으로 구성되며, 각 플랫폼 층(212)에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212)에서도 차량 및 주차판이 함께 적재되며, 차량 승강기(235)와의 교환을 통해서 차량 및 주차판을 주고 받을 수가 있다.
제1 입출고(222)는 차량 승강기(235)의 통로 하단에 위치하며, 제2 입출고(224) 및 제3 입출고(226)는 차량 승강기(235)의 통로와 분리된 좌우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입출고(222)에서 차량 승강기(235)는 차량을 직접 입고 또는 출고할 수 있으며, 좌우에 배치된 제2 입출고(224) 및 제3 입출고(226)와 상호 작동에 의해서 차량 및 주차판을 전달(send) 또는 수령(receive)할 수가 있다.
차량 승강기(235)는 승강 구동장치(236)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 및 주차판을 목적된 플랫폼 층(212)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 승강기(235)는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주차판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3 입출고(224, 226)와 제1 입출고(222) 사이 각각에는 지상 이송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상 이송부(240)도 랙 및 피니언을 이용한 이송부 또는 가이드 판 및 이송 롤러를 이용한 이송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3 입출고(224, 226) 및 제1 입출고(222) 사이에 별도의 지상 이송부(240)를 장착하지 않고, 차량 승강기(235)에 장착된 주차판 이송부를 지상 이송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제2 입출고(224)의 하부에는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주차판 저장부 (252)가 제공되며, 제3 입출고(226)의 하부에도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주차판 저장부(256)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주차판 저장부(252, 256)에서는 복수개의 주차판들이 상하로 적재되며, 상하로 적재되는 주차판들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주차판 리프트(254, 258)가 각각 설치되어 주차판들을 지지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입고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주차판 리프트(254, 258)가 주차판을 상승시켜 주차판을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출고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주차판을 하강시켜 주차판을 계속적으로 보관할 수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차량을 입고시키기 위해 제1 주차판(261)이 제2 입출고(224)로부터 제1 입출고(222)로 이동할 수 있으며, 지상 이송부(240)에 의해서 제1 주차판(261)이 제1 입출고(222)로 이송되면 제1 차량이 제1 주차판(261) 위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주차판(261)이 제1 입출고(222)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주차판 리프트(254)가 작동하여 제2 주차판(262)을 한 칸 정도 상승시켜 제2 입출고(224)의 입고를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량 뒤로 제2 차량이 추가적으로 진입하면, 제2 차량은 제2 입출고(224)로 진입할 수 있으며, 빈 상태의 차량 승강기(235)가 제1 입출고(222)로 복귀할 때를 기다려 제2 차량 및 제2 주차판(262)은 차량 승강기(235)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차량 뒤로 제3 차량이 추가로 진입하면, 제3 차량은 제3 입출고(226)로 진입할 수 있으며, 제2 차량 및 제2 주차판(262)을 입고시킨 후 차량 승강기(235)가 복귀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제2 차량을 제2 주차판(262) 상에 적재시킨 후, 운전자 또는 관리자는 차량 승강기(235)가 복귀하기 전에 필요한 운전 조작을 할 수 있으며, 연속되는 차량의 입고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가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3 입출고(222~226)를 이용함으로써 입고 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출고 과정도 신속하게 진행할 수가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참고로, 도 7의 주차설비는 주차 구조체, 제1 입출고(222), 제2 입출고(224), 제3 입출고(226)), 차량 승강기(335), 지상 이송부, 주차판 저장부(352)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의 주차설비(200)는 제2 및 제3 입출고(224, 226) 하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주차판 저장부(252, 256)를 포함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제2 입출고(224) 하부에 위치한 하나의 주차판 저장부(352)를 가진다. 이외의 구성요소 및 그 기능을 도 5 및 도 6의 주차설비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입출고(222)는 차량 승강기(335)의 통로 하단에 위치하며, 제2 입출고(224) 및 제3 입출고(226)는 차량 승강기(335)의 통로와 분리된 좌우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입출고(224)의 하부에는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판 저장부(352)가 제공되지만, 제3 입출고(226)의 하부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주차판 저장부(35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땅을 파서 주차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하며, 주차판을 위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차판 리프트 등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주차판 저장부(352)를 하나만 설치할 수 있으며, 제3 입출고(226)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평소에는 제1 및 제2 입출고(222, 224)를 이용하다가 입고 또는 출고가 집중되는 경우에는 제3 입출고(226)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입고가 3대 이상 집중되는 경우에는 주차판 저장부(352)로부터 제1 주차판(361)을 미리 제3 입출고(226)에 이송시켜 놓음으로써 집중되는 입고를 해결할 수 있으며, 출고가 집중되는 경우에는 차량 및 주차판을 제3 입출고(226)에 이송시켜 놓음으로써 집중되는 출고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때 필요한 주차판 보충 및 주차판 보관은 제2 입출고(224)의 주차판 저장부(352)를 통해서 해결할 수가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8의 주차설비는 주차 구조체, 제1 입출고(422), 제2 입출고(424), 제3 입출고(426)), 차량 승강기, 지상 이송부, 주차판 저장부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구성요소 및 그 기능은 도 5 및 도 6의 주차설비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입출고(422)는 차량 승강기(335)의 통로 하단에 위치하며, 제2 입출고(424) 및 제3 입출고(426)는 차량 승강기(335)의 통로와 분리된 좌우 위치에 배치된다. 주차 구조체의 전방에는 제1 내지 제3 입출고(422~426)에 인접하게 회전판(428)이 제공된다. 회전판(428)은 협소한 공간에서 차량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이 제1 내지 제3 입출고(422~426)로 진입할 때 앞으로 진행하지만, 출고 시에는 후진하여 출차된 후에 바로 회전판(428)을 이 용하여 방향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또한, 회전판은 제1 입출고(422) 내에도 설치될 수가 있다. 하지만, 제1 입출고(422) 내에 회전판이 장착되어도, 제1 입출고(422) 내에서 차량이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반경이 확보되지 않으면 회전판을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2 입출고(424) 및 제3 입출고(426)에 차량이 잔류하고 있으면, 주차판 리프트를 이용하여 주차판 및 차량을 일시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하강으로 확보된 공간을 이용하여 제1 입출고(422) 내의 차량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입출고(422)에서 차량을 회전시키는 시기는 차량 승강기를 이용한 입고 전, 차량 승강기를 이용한 출고 후 등 다양한 시기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 및 주차판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 및 주차판 저장부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500)는 주차 구조체, 지상 입출고, 차량 승강기(510), 주차판(520) 및 주차판 저장부(530)를 포함한다. 주차 구조체는 다층의 플랫폼 층으로 구성되며, 각 플랫폼 층에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주차 구조체의 일 측 또는 내부에는 상하로 형성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서 차량 승강기(510)가 주차판(520)을 지지한 상태로 이송할 수가 있다. 상기 차량 승강기(510)의 통로에는 외부 차량이 접근할 수 있는 지상 입출고가 제공되며, 지상 입출고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주차판(520)들이 상하로 적재되어 있다.
차량 승강기(510)는 주차판(520)을 통과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공간은 주차판(520)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폐쇄된(closed) 또는 개방된(open)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승강기(510)는 상하로 이동하여 주차판(520)의 스택(stack) 주변을 움직일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한 주차판(520)을 부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단의 주차판(520)을 나머지 주차판 스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 승강기(510)의 내부 공간에는 주차판 지지대(514)가 제공된다. 주차판 지지대(514)는 내부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상태에서는 주차판(520)을 지지할 수가 있으며,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차판(520)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강기(510)에서 주차판 지지대(514)는 주차판(520)의 롤러(522)를 지지하며, 차량 승강기(510)의 상면에는 돌출된 주차판 지지대(514)와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판 지지대(514)가 돌출된 상태에서 주차판(520)은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가 있다.
다만, 주차판 저장부(530)에서는 주차판(520)들이 롤러(522)를 매개로 지지되어 있기에, 주차판 지지대(514)가 상단 주차판(520)의 롤러(522) 및 그 아래 주차판(520)의 상면 사이로 끼어 들어갈 수가 없다. 따라서 차량 승강기(510)의 내부 공간에는 주차판 지지대(514)에 인접하게 보조 지지대(512)가 장착된다. 보조 지지 대(512)는 내부 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주차판(520)을 예비적으로 들어 올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단 주차판(520)을 주차판 지지대(514)로 주차판(520)를 지지하기 전에 보조 지지대(512)가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주차판(520)의 몸체를 지지한다. 차량 승강기(510)의 구동장치가 작동하여 차량 승강기(510)를 들어 올리면 보조 지지대(512)에 의해서 지지대 주차판(520)이 함께 상승하여 주차판(520)의 롤러(522) 및 그 아래에 위치한 주차판 간의 사이를 벌릴 수 있다. 롤러(522) 및 주차판 간의 사이가 충분히 벌어진 후, 주차판 지지대(514)가 안쪽으로 돌출되어 들어 올려진 주차판(520)의 롤러(52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의 롤러 및 롤러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주차판(520)의 롤러(522)가 몸체의 측면에 장착되며, 이러한 주차판(520)이 상하로 적재되는 경우에는 롤러(522) 간의 간섭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522)는 롤러 수용부(524)에 의해서 상면이 커버되며, 롤러 수용부(524)의 상면은 인접한 다른 주차판의 롤러를 지지함으로써 안정된 적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강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내부 공간의 전후로는 주차판 지지대(514)가 장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의 좌우로는 보조 지지대(512)가 장 착되어 있다. 보조 지지대(512)는 주차판(520)의 몸체를 지지하고, 주차판 지지대(514)는 롤러(522)를 지지하기 때문에, 보조 지지대(512)의 상면이 주차판 지지대(514)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그 높이 차는 대략 주차판(520)의 몸체 저면 및 롤러(522) 저면 간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 승강기(510)에는 주차판 이송부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주차판 이송부는 서로 인접하게 회전하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이송 롤러는 주차판 측면과 맞물려 주차판을 전달(send) 또는 수령(receive)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강기(510) 및 주차판 저장부(530)는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가 있다. 즉, 승강 입출고(132) 또는 제1 입출고(222)의 하부에 주차판을 적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주차판 저장부(53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승강기(510)는 바로 하부에 있는 주차판 저장부(530)로부터 필요한 주차판을 들어 올려 사용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 승강기(510) 하부에만 주차판 저장부(530)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출고 및 제3 입출고의 하부에 해당하는 모든 위치 또는 일부 위치에 주차판 저장부가 형성될 수가 있다.
도 13은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 및 주차판 저장부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기둥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주차 구조체, 지 상 입출고, 차량 승강기(510), 주차판(521) 및 주차판 저장부(530)를 포함하며,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차량 승강기(510)는 주차판(521)을 통과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공간은 주차판(521)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차량 승강기(510)는 상하로 이동하여 주차판(521)의 스택(stack) 주변을 움직일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한 주차판(521)을 부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단의 주차판(521)을 나머지 주차판 스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다.
차량 승강기(510)의 내부 공간에는 주차판 지지대가 제공된다. 주차판 지지대는 내부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판 지지대가 돌출된 상태에서는 주차판(521)을 지지할 수가 있으며,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차판(521)을 통과시킬 수 있다.
주차판(521)의 중앙부에 리프트 홀(5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프트 홀(526)에 의해서 주차판(521)들의 스택 중앙부에는 기둥 승강부(560)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된다. 기둥 승강부(560)는 주차판(521)들의 스택 중앙부에 위치하며, 리프트 홀(526)에 의해서 제공되는 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기둥 승강부(560)는 승강 지지대(562)를 포함하며, 승강 지지대(562)는 기둥 승강부(560)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기둥 승강부(560)가 주차판(521)을 지지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기둥 승강부(56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목적된 주차판(521)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주차판(521)을 들어 올릴 수가 있다. 따라서, 기둥 승강부(560)는 이전 실시예의 보조 지지대(512)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승강부(560)는 주차판(521)을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가 있으며, 주차판(521)에 놓인 차량의 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운전하여 나갈 수가 있다. 주차판(521)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차량 승강기(510)는 하강할 수 있으며, 주차판(521)은 차량 승강기(510)의 간섭 없이 회전할 수가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 승강기(510)에는 주차판 이송부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주차판 이송부는 서로 인접하게 회전하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이송 롤러는 주차판 측면과 맞물려 주차판을 전달(send) 또는 수령(receive)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주차설비는 차량 승강기를 위한 승강 입출고 외에도 승강 입출고와 분리된 지상 입출고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 승강기가 승강 입출고로 차량을 이송한 후에 바로 지상 이송부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차량을 승강 입출고에서 지상 입출고로 이송할 수 있으며, 차량이 승강 입출고로부터 이탈하면 다음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바로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시작할 수가 있다.
역시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하면서 운전자 또는 관리자는 지상 입출고에서 차량을 출차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미숙한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주차설비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출고되는 차량이 눈에 보이기 시작하면 운전자도 심리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느끼는 출고 시간이 더욱 단축될 수가 있다.
또한, 출고의 경우뿐만 아니라, 수대의 차량이 계속적으로 입고 과정에서도 지상 입출고 및 차량 승강기를 별도로 작동시키기 때문에 입고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차설비 및 주차방법은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킬 수 있으며, 차량을 연속적으로 입고 또는 출고하는 경우에도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에 미숙하여도 조작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 전체적으로 경과되는 시간에 영향을 적게 미쳐 주차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주차공간이 배치된 플랫폼 층을 포함하는 복수 층의 주차 구조체;
    외부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체로 접근할 수 있는 지상 입출고;
    상기 지상 입출고에 인접한 승강 입출고 및 상기 주차 구조체를 따라 승강하며 상기 승강 입출고와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차량을 이송하는 차량 승강기를 포함하는 차량 승강부;
    상기 지상 입출고 및 상기 승강 입출고 간에 차량을 이송하는 지상 이송부;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주차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판은 차량을 적재 또는 비적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상 입출고, 상기 승강 입출고 및 상기 플랫폼 층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입출고의 하부에는 상기 주차판을 적재하기 위한 주차판 저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주차판 저장부는 상기 주차판을 지지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차판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입출고는 외부로 개방되어 외부의 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5. 주차공간이 배치된 플랫폼 층을 포함하는 복수 층의 주차 구조체;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차량을 이송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
    상기 주차 구조체의 지상 층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 승강기 통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입출고;
    상기 주차 구조체의 지상 층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입출고에 인접한 제2 입출고; 및
    상기 제1 및 제2 입출고 간에 차량을 이송하는 지상 이송부;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고는 상기 제1 입출고를 중심으로 양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주차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판은 차량을 적재 또는 비적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입출고, 상기 제2 입출고 및 상기 플랫폼 층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고의 하부에는 상기 주차판을 적재하기 위한 주차판 저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주차판 저장부는 상기 주차판을 지지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차판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고의 전방에는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0. 주차공간이 배치된 플랫폼 층을 포함하는 복수 층의 주차 구조체;
    외부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체로 접근할 수 있는 지상 입출고;
    상기 지상 입출고의 하부에 위치한 주차판 저장부;
    상기 주차판 저장부에 상하로 적재된 복수개의 주차판; 및
    상기 주차판에 대응하여 상하로 개방된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차판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주차판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상기 지지된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차량 승강기;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판 지지대는 상기 차량 승강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판의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주차판 지지대에 인접한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주차판의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대가 제공되며, 상기 보조 지지대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차판 몸체를 예비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판은 상기 롤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롤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수용부의 상면은 인접한 다른 주차판의 롤러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판 저장부는 상기 주차판을 지지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차판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판은 중앙부에 형성된 리프트 홀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판 저장부는 상기 리프트 홀에 통해 상기 주차판을 통과하는 기둥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승강부에는 외주를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차판을 지지하는 승강 지지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승강부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주차판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6. 주차공간이 배치된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다층의 주차 구조체에 차량을 입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체로 접근할 수 있는 지상 입출고, 상기 지상 입출고에 인접한 승강 입출고, 및 상기 주차 구조체를 따라 승강하며 상기 승강 입출고 및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차량을 이송하는 차량 승강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상 입출고를 통해 외부의 차량을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진입한 차량을 상기 승강 입출고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승강기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한 차량을 상기 승강 입출고로부터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주차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한 차량을 상기 승강 입출고로 이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지상 입출고를 통해 외부의 다른 차량을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주차판을 제공하며, 상기 차량은 상기 주차판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지상 입출고, 상기 승강 입출고 및 상기 차량 승강기 간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입출고의 하부에는 상하로 적재된 복수개의 상기 주차판을 수용하는 주차판 저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진입한 차량을 상기 승강 입출고로 이송한 후 상기 주차판 저장부에 있는 다른 주차판의 상면을 상기 지상 입출고의 지면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법.
  20. 주차공간이 배치된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다층의 주차 구조체에서 차량을 출차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체로 접근할 수 있는 지상 입출고, 상기 지상 입출고에 인접한 승강 입출고, 및 상기 주차 구조체를 따라 승강하며 상기 승강 입출고 및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차량을 이송하는 차량 승강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차량 승강기를 이용하여 특정 플랫폼 층으로부터 출고된 차량을 상기 승강 입출고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출고된 차량을 상기 승강 입출고에서 상기 지상 입출고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지상 입출고로부터 상기 차량을 출차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주차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된 차량을 상기 지상 입출고로 이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차량 승강기를 다른 특정 플랫폼 층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주차판을 제공하며, 상기 차량은 상기 주차판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지상 입출고, 상기 승강 입출고 및 상기 차량 승강기 간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입출고의 하부에는 상하로 적재된 복수개의 상기 주차판을 수용하는 주차판 저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출고된 차량을 상기 지상 입출고로부터 출차시킨 후 상기 주차판 저장부 상에 남아 있는 주차판의 상면을 상기 지상 입출고의 지면까지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법.
KR1020050029164A 2005-04-07 2005-04-07 주차설비 KR10067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164A KR100679566B1 (ko) 2005-04-07 2005-04-07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164A KR100679566B1 (ko) 2005-04-07 2005-04-07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134A true KR20060107134A (ko) 2006-10-13
KR100679566B1 KR100679566B1 (ko) 2007-02-09

Family

ID=3762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164A KR100679566B1 (ko) 2005-04-07 2005-04-07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5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092A (zh) * 2019-05-31 2019-08-06 攀枝花学院 地下旋转停车库
KR102274832B1 (ko) 2020-12-08 2021-07-08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승강기
WO2022075812A1 (ko) * 2020-10-08 2022-04-14 정성인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주차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389108B1 (ko) 2021-10-18 2022-04-21 동양기전 주식회사 승강기식 주차설비 리프트 운행 시스템
KR102618912B1 (ko) 2023-06-26 2023-12-28 동양기전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KR102618911B1 (ko) 2023-06-26 2023-12-28 동양기전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308B2 (ja) * 1994-03-17 1997-04-02 横井鋼業株式会社 機械式立体格納庫
JP3503668B2 (ja) * 1995-06-15 2004-03-0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
US5810539A (en) * 1996-04-05 1998-09-22 Zhang; Ruyu Maximum auto-parking device
JP3712149B2 (ja) 1996-11-01 2005-11-02 石川島運搬機械株式会社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H10196148A (ja) 1997-01-17 1998-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立体駐車場
JPH11210256A (ja) 1998-01-21 1999-08-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機械式駐車設備の乗降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092A (zh) * 2019-05-31 2019-08-06 攀枝花学院 地下旋转停车库
CN110094092B (zh) * 2019-05-31 2024-04-16 攀枝花学院 地下旋转停车库
WO2022075812A1 (ko) * 2020-10-08 2022-04-14 정성인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주차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274832B1 (ko) 2020-12-08 2021-07-08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승강기
KR102389108B1 (ko) 2021-10-18 2022-04-21 동양기전 주식회사 승강기식 주차설비 리프트 운행 시스템
KR102618912B1 (ko) 2023-06-26 2023-12-28 동양기전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KR102618911B1 (ko) 2023-06-26 2023-12-28 동양기전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566B1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921B2 (en) Automated parking garage
US20050220594A1 (en) Automated parking garage
KR100679566B1 (ko) 주차설비
KR102107314B1 (ko) 주차타워
JP5294865B2 (ja) マルチレベル駐車場及び方法
JP3375464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及びエレベータ式自走縦重列立体駐車設備
JP547614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09937A (ja) 自動倉庫
JP2512091B2 (ja) 自動格納装置及び方法
KR20050110171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관리방법
JP2633180B2 (ja) 中間乗入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車両の入出庫方法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3014836B2 (ja) 立体駐車場
KR20230121307A (ko) 다면 입출차 방식 주차 시스템
JP4670314B2 (ja) 立体保管庫
JP3687031B2 (ja) ターンテーブル付き駐車装置
JP2023059716A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230102219A (ko) 자동 주차 설비
JP2003278396A (ja) 立体駐車場
JP2003176635A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JP2001032560A (ja) 上下一体化した駐車棚を設けた駐車装置
JPS6175174A (ja) 立体駐車場
JP2000265704A (ja) 連接型格納設備
JPH05141115A (ja) 立体駐車場
JPH09209598A (ja) 並設型パレット式立体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