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912B1 -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912B1
KR102618912B1 KR1020230082100A KR20230082100A KR102618912B1 KR 102618912 B1 KR102618912 B1 KR 102618912B1 KR 1020230082100 A KR1020230082100 A KR 1020230082100A KR 20230082100 A KR20230082100 A KR 20230082100A KR 102618912 B1 KR102618912 B1 KR 102618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uppression
vehicle
control unit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용
김지영
박주하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구비되는 화재진압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설비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화재진압장치를 이동 시키거나, 또는 화재 차량을 화재진압실로 즉각 이송시켜 초기에 진화를 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에 화재발생시 각층의 주차구역(50)에 구비된 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1단계;
화재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주차구역에 구비된 충전 시스템을 차단하고 소화콘트롤로 신호를 보내어 화재진압에 따른 운행시스템을 시작하는 제2단계;
소화콘트롤부는 차량이 탑재된 파렛트(30)를 견인하는 리프트(20) 및 화재진압장치(120)를 운행하여 화재차량을 진압실로 이송하는 제3단계;
진압실로 화재차량이 견인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에서 공급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화재차량을 분사하고, 진공시스템(150)을 가동시켜 진압실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제4단계;
화재가 진압되었을 경우 제어부로 송출하여 진행되는 화재시스템의 모든 운행 상황을 종료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driving system of fire suppression system of parking tower}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구비되는 화재진압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설비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화재진압장치를 이동 시키거나, 또는 화재 차량을 화재진압실로 즉각 이송시켜 초기에 진화를 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 보급률이 증가하고, 도심이 확장됨에 따라 주차 공간 부족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기계식 주차설비가 대두됨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계식 주차설비는 협소한 공간에서 주로 타워형태로 건설하여 여러 대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이다.
종래의 주차시스템은 리프트식, 평면왕복식, 다층순환식 등의 형태로 개발되어 각각 시공 장소에 적합하도록 건설되고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전기자동차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가장큰 문제는 충전에 의한 화재, 또는 배터리 과열에 의한 화재가 심각하다.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는 하나의 전지가 아닌 수많은 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셀이 모여서 모듈이되고 이 모듈을 집약적 구조로 팩키지화 하여 설치한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거쳐 충전 및 방전하는 화학적 에너지저장장치로서 다른 종류의 배터리보다 빠른 충전과 함께 출력밀도까지 높아 오랜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적고 경량화할 수 있으며, 완전방전이 되지 않은채 충전하면 본래의 구동시간보다 구동시간이 감소하는 메모리 효과가 없으며, 친환경적이며 상대적으로 유지보수비용이 적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배터리에 비교했을 때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배터리의 화재는 주로 배터리 셀의 열폭주 현상에 의해 발생되고있으며, 열폭주현상은 고도의 산화성 양극과 고도의 환원성 음극이 함께 만나 급속도로 자기발열하는 화학반응을 말한다.
열 폭주 현상이 발생했을 때 배터리 셀은 저장된 에너지를 매우 빠르게 방출하게 되며, 배터리 셀에 충전된 에너지가 많은수록 열 폭주 반응이 더욱 활발하게 발생한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다른 배터리보다 에너지밀도가 높기 때문에 열 폭주 현상이 매우 급속도로 일어난다. 열폭주 현상의 원인으로는 과충전, 과방전, 내부단락사고, 단자접촉불량, 충전불량, 기계적충격, 전기적충격 등이 있다.
특히, 종래의 대부분에 주차설비(주차타워)에는 주차된 차량의 화재발생시 이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화재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아, 화재발생시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와, 더 나아가 인명사고까지 발생하는 큰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설비 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 할 수 있는 화재진압설비가 구비된 주차설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07134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화재진압장치를 이동 시키거나, 또는 화재 차량을 화재진압실로 즉각 이송시켜 초기에 진화를 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에 화재발생시 각층의 주차구역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1단계;
화재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주차구역에 구비된 충전 시스템을 차단하고 소화콘트롤로 신호를 보내어 화재진압에 따른 운행시스템을 시작하는 제2단계;
소화콘트롤부는 차량이 탑재된 파렛트를 견인하는 리프트 및 화재진압장치를 운행하여 화재차량을 진압실로 이송하는 제3단계;
진압실로 화재차량이 견인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에서 공급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화재차량을 분사하고, 진공시스템을 가동시켜 진압실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제4단계;
화재가 진압되었을 경우 제어부로 송출하여 진행되는 화재시스템의 모든 운행 상황을 종료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시, 주차설비관리자, 주차 차량 소유자 및 119로 화재 발생문자를 송출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파렛트에 탑승된 차량을 리프트를 통해 승강로를 따라 각 주차구역으로 이송시켜 주차하는 주차설비에 있어,
상기 리프트가 운행되는 승강로와 연통되고, 각 층에 주차된 차량의 화재발생시 각 층의 주차구역에 마련된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리프트가 운행되어 화재가 발생된 차량을 회수하여 소화수 또는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화재진압설비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화재진압장치는, 진압실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형으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진압실에는 화재진입장치의 내부를 진공시키기 위한 진공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화재진압장치의 내부에는 소화수가 저장되어 차량의 일부가 잠길 수 있도록 소화수조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화재진압장치를 이동 시키거나, 또는 화재 차량을 화재진압실로 즉각 이송시켜 초기에 진화를 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더 나아가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등을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설비의 운행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설비의 운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설비가 구비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진압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화재진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는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화재진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소화수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 차량을 화재진압실로 즉각 이송시켜 초기에 진화하고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는 것으로, 특히 주차된 차량에 화재발생시 각층의 주차구역(50)에 구비된 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1단계;
화재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주차구역에 구비된 충전 시스템을 차단하고 소화콘트롤로 신호를 보내어 화재진압에 따른 화재진압설비(100)의 운행 시 시작하는 제2단계;
소화콘트롤은 차량이 탑재된 파렛트(30)를 리프트(20)를 통해 견인하거나, 또는 화재진압장치(120)를 운행하여 화재차량을 진압실(110)로 이송하는 제3단계;
진압실로 화재차량이 견인된 상태에서 소화탱크(130)에서 공급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화재차량으로 분사하고, 화재진압장치(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화수조(140)에 소화수를 저장하여 차량의 일부가 잠기도록 하며, 진공시스템(150)을 가동시켜 진압실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제4단계;
화재가 진압되었을 경우 제어부로 송출하여 진행되는 화재진압설비(100)의 모든 운행 상황을 종료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운행 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설비의 운행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설비의 운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주차설비(10)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 발생시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게된다. 이때,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감지, 연기 감지 및 불꽃 감지를 통한 화재감지를 할 수 있다.
화재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송출되며, 제어부는 각 층에 마련된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시스템의 전력을 차단하게되고, 소화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화콘트롤로 신호를 보내어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진압설비를 운행하게된다.
이때, 리프트를 운행시켜 차량이 탑재된 파렛트를 견인하여 진압실로 이송할 수 있고, 진압실에 구비된 화재진압장치를 운행하여 화재차량을 견인하여 진압실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화재차량이 진압실로 이송된 상태에서는 소화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액 및 소화수를 화재차량으로 분사함과 동시에, 진공시스템이 가동되어 진압실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압실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화재를 진압하게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화재진압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소화수조를 작동시키고 소화수조로 물을 공급하여 차량의 하체가 잠기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화재진압 시스템은, 제1단계에서 제5단계를 포함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게된다.
제1단계는, 주차된 차량에 화재발생시 각층의 주차구역(50)에 구비된 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한다.
제2단계는, 화재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주차구역에 구비된 충전 시스템을 차단하고 소화콘트롤로 신호를 보내어 화재진압에 따른 운행시스템을 시작한다.
제3단계는, 소화콘트롤부는 차량이 탑재된 파렛트(30)를 견인하는 리프트(20) 및 화재진압장치(120)를 운행하여 화재차량을 진압실로 이송한다.
제4단계는, 진압실로 화재차량이 견인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에서 공급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화재차량을 분사하고, 진공시스템(150)을 가동시켜 진압실을 진공상태로 유지한다.
제5단계는, 화재가 진압되었을 경우 제어부로 송출하여 진행되는 화재시스템의 모든 운행 상황을 종료한다.
<설비시스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설비가 구비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진압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화재진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는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화재진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화재진압설비의 구성중, 소화수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설비(10)는 일반적으로 파렛트(30)에 탑승된 차량을 리프트(20)를 통해 승강로(40)를 따라 각 주차구역(50)으로 이송시켜 주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설비(100)는, 리프트(20)가 운행되는 승강로(40)와 연통되고, 각 층에 주차된 차량의 화재발생시 각 층의 주차구역에 마련된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리프트(20)가 운행되어 화재가 발생된 차량을 회수하여 소화수 또는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화재진압설비(100)는, 크게 진압실(110)과, 화재진압장치(120)와, 소화탱크(130), 소화수조(140), 진공시스템(150)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진압실(110)은, 리프트(20)를 통해 견인되는 화재 차량 입출입 단속하는 도어(111)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진압실(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압실을 진공상태의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진공시스템(1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진압실(110)의 내부에는 제1소화탱크(130a)에서 공급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12)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12)은 진압실의 천정부 및 측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12)은 필요에 따라 X, Y, Z축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화재위치에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진압장치(120)는 진압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리프트(20)와 연동되어 리프트를 통해 운행 될 수 있고, 리프트 없이 자체적으로 운행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주차구역(50)으로 이동되어 화재차량을 현장에서 진압하거나, 화재차량을 진압실(110)로 견인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상기 화재진압장치(120)의 내부에는 제2소화탱크(130b)에서 공급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22)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2)은 화재진압장치의 천정부 및 측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22)은 필요에 따라 X, Y, Z축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화재위치에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재진압장치(120)의 내부 바닥면에는 차량의 하부몸체가 소화수를 저장되는 소화수조(140)가 구비된다.
상기한 소화수조(140)는 차량의 하체부가 잠길수 있도록 하여 하체부분의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화수조(140)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형태의 플레이트(143)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43)의 일단에는 종동기어(142)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142)는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141)와 치압되며,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바닥면 매립되었다가 종동기어(142)를 기점으로 90도 회전작동되어 소화수조(140)를 구성한다.
한편, 진공시스템(150)은 진압실(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진압실(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압실을 진공상태로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진압실에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빠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주차설비(10)의 각층 주차구역(50)에는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될 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S)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센서들은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160)로 바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감지, 연기 감지 및 불꽃 감지를 통한 화재감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화재감지신호가 접수되면, 각층에 마련된 충전유닛의 전력을 차단함은 물론, 소화콘트롤(170)로 송출하게되어 화재진압설비(100)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게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화재감지신호가 접수되면, 주차 차량을 즉시출고 가동할 수 있고, 119로 화재신호를 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차설비 관계자 또는 주차 차량의 관계자에게 문자전송하여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화재진압장치를 이동 시키거나, 또는 화재 차량을 화재진압실로 즉각 이송시켜 초기에 진화를 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빠른 화재를 진압함에 따라 막대한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화재진압설비 110: 진압실
120: 화재진압장치 130: 소화탱크
140: 소화수조 150: 진공시스템
160: 제어부 170: 소화콘트롤

Claims (6)

  1. 주차된 차량에 화재발생시 각층의 주차구역(50)에 구비된 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1단계;
    화재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주차구역에 구비된 충전 시스템을 차단하고 소화콘트롤로 신호를 보내어 화재진압에 따른 화재진압설비(100)의 운행 시 시작하는 제2단계;
    소화콘트롤은 차량이 탑재된 파렛트(30)를 리프트(20)를 통해 견인하거나, 또는 화재진압장치(120)를 운행하여 화재차량을 진압실(110)로 이송하는 제3단계;
    진압실로 화재차량이 견인된 상태에서 소화탱크(130)에서 공급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화재차량으로 분사하고, 화재진압장치(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화수조(140)에 소화수를 저장하여 차량의 일부가 잠기도록 하며, 진공시스템(150)을 가동시켜 진압실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제4단계;
    화재가 진압되었을 경우 제어부로 송출하여 진행되는 화재진압설비(100)의 모든 운행 상황을 종료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시, 주차설비관리자, 주차 차량 소유자 및 119로 화재 발생문자를 송출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설비(100)는, 리프트(20)가 운행되는 승강로(40)와 연통되고, 각 층에 주차된 차량의 화재발생시 각 층의 주차구역에 마련된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리프트(20)가 운행되어 화재가 발생된 차량을 견인하여 소화수 또는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장치(120)는, 진압실(110)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압실(110)에는 화재진입장치(120)의 내부를 진공시키기 위한 진공시스템(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운행시스템.
  6. 삭제
KR1020230082100A 2023-06-26 2023-06-26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KR10261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100A KR102618912B1 (ko) 2023-06-26 2023-06-26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100A KR102618912B1 (ko) 2023-06-26 2023-06-26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912B1 true KR102618912B1 (ko) 2023-12-28

Family

ID=8938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100A KR102618912B1 (ko) 2023-06-26 2023-06-26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9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3175A (ja) * 1991-05-30 1992-12-08 Kawaden Co Ltd 立体駐車装置
JPH0759870A (ja) * 1993-08-24 1995-03-07 Yoshiaki Yokoyama セキュリティ−ル−ム
JPH11342220A (ja) * 1998-06-02 1999-12-14 Nohmi Bosai Ltd 駐車場の火災監視システム
KR20060107134A (ko) 2005-04-07 2006-10-13 황성필 주차설비
WO2021092637A1 (de) * 2019-11-11 2021-05-20 Kristl, Seibt & Co. Gesellschaft 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öschen eines fahrzeuges
KR20230009767A (ko) * 2021-07-09 2023-01-17 허양숙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타워 시스템에서 차량에서 떨어지는 오염물질과 떨어지는 우수를 포집하기 위한 통합포집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3175A (ja) * 1991-05-30 1992-12-08 Kawaden Co Ltd 立体駐車装置
JPH0759870A (ja) * 1993-08-24 1995-03-07 Yoshiaki Yokoyama セキュリティ−ル−ム
JPH11342220A (ja) * 1998-06-02 1999-12-14 Nohmi Bosai Ltd 駐車場の火災監視システム
KR20060107134A (ko) 2005-04-07 2006-10-13 황성필 주차설비
WO2021092637A1 (de) * 2019-11-11 2021-05-20 Kristl, Seibt & Co. Gesellschaft 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öschen eines fahrzeuges
KR20230009767A (ko) * 2021-07-09 2023-01-17 허양숙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타워 시스템에서 차량에서 떨어지는 오염물질과 떨어지는 우수를 포집하기 위한 통합포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8670B2 (en) Warning system for monitoring a vehicle battery
KR102552703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자동소화시스템
CN111114360B (zh) 一种电动车起火快速应对装置及系统
CN110828935A (zh) 一种锂离子电池电动汽车安全防护方法
CN108635700B (zh) 用于充换电站的安全防护系统及安全防护方法
CN210327117U (zh) 一种具有消防系统的充电柜
KR102618912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운행시스템
CN109718491A (zh) 一种细水雾电池箱火灾防控装置
KR102507576B1 (ko) 전기차량용 배터리 화재 예방 및 진압장치
KR102579072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소방 시스템
KR102618911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CN11405614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充电桩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14899509A (zh) 一种多触发方式的新能源汽车动力电池自动降温及灭火装置
US20200079327A1 (en) Fuel cell vehicle
CN217391442U (zh) 一种车载阻燃气、灭火剂及消防水复合式消防装置
JPH10118212A (ja) 火災用ロボット
CN111330190A (zh) 储能装置及储能装置的灭火方法
KR102669826B1 (ko) 전기자동차의 화재진압 시스템
CN114392515B (zh) 一种用于桥梁灭火的智能可移动式消防装置
KR102617716B1 (ko) 전기차 충전소 소방 설비
KR102617720B1 (ko) 전기차 충전소 소방 시스템
KR102584555B1 (ko)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CN221045352U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站灭火设备
CN219815080U (zh) 一种车载电池仓复合式火灾探测报警装置
KR102635729B1 (ko)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유압 강철 펀치 조립체를 부착한 타공 작기와 차량을 들어 올리는 리프트 작기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타공소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