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314B1 - 주차타워 - Google Patents

주차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314B1
KR102107314B1 KR1020180120044A KR20180120044A KR102107314B1 KR 102107314 B1 KR102107314 B1 KR 102107314B1 KR 1020180120044 A KR1020180120044 A KR 1020180120044A KR 20180120044 A KR20180120044 A KR 20180120044A KR 102107314 B1 KR102107314 B1 KR 10210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ace
pallet
moving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353A (ko
Inventor
김기표
Original Assignee
김기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표 filed Critical 김기표
Priority to KR102018012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3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동시에 이루어짐은 물론, 차량 입고시 입고차량 파레트를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킨 후 해당 주차공간으로 상승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입고동작과 주차동작이 서로 중복되지 않음에 따라 차량의 입고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차량입구가 구비된 입고공간(11)과 차량출구가 구비된 출고공간(12)이 각각 형성되고, 각 층의 수평방향으로 파레트이동공간(15)이 형성되며, 상기 파레트이동공간(15)과 연결되게 입고차량이동공간(13)과 출고차량이동공간(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되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은 상기 입고공간(11)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된 차량이동부(10); 상기 차량이동부(10)의 후방측에 인접되어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 및 출고차량이동공간(14)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입고차량의 파레트를 보관하도록 복수개의 주차공간(21)이 형성된 차량주차부(20); 상기 차량이동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 입고를 위해 대기중인 파레트가 복수개 적층되어 적재되고, 하부 일측이 입고공간(11)과 연통되어 적재된 파레트 중 최하측에 위치한 파레트가 상기 입고공간(11)으로 수평이동되도록 마련된 파레트적재공간(30); 차량의 입고와 출고 및 파레트 적재를 위해 상기 차량이동부(10)와 차량주차부(20) 및 파레트적재공간(30)에 구비된 각각의 파레트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동작되는 파레트 이동수단(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고차량이동공간(14)은 상기 출고공간(12)에 위치된 차량의 출고 중 다른 차량의 출차를 위한 파레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고공간(12)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량이동부(10)에는 차량의 입고공간(11), 출고공간(12), 입고차량이동공간(13), 출고차량이동공간(14), 파레트적재공간(30)을 구비하도록 5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주차타워{Parking tower}
본 발명은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동시에 이루어짐은 물론, 차량 입고시 입고차량 파레트를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킨 후 해당 주차공간으로 상승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입고동작과 주차동작이 서로 중복되지 않음에 따라 차량의 입고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 중 하나로서 주차(parking) 문제가 거론된다.
하나의 건물 또는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 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발되었으며, 그 중 하나로서 고층건물의 일측에 타워형으로 된 주차설비를 시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타워형 주차설비로서, 특허공개 제10-2005-0021067호(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특허공개 제10-20070063651호(리프트 장치를 갖춘 주차타워), 특허등록 제10-0775853호(원형주차타워)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제10-2005-0021067호는 2개의 팔레트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된 차량 승강기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2대 이상의 차량이 종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주차될 경우에 용이하게 차량을 출고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기술은 2개의 팔레트를 상하 좌우로 배치시키도록 하여 차량의 입고는 물론 출고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나, 차량 입고시 하나의 차량승강기를 이용함에 따라 입고차량 간 대기시간을 줄이지는 못함은 물론, 입고차량과 출고차량이 동일한 공간을 이용함에 따라 차량 입고동작과 차량 출고동작이 겹칠 수 밖에 없어 출고시간을 단축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특허공개 제10-20070063651호는 출입구에 구비된 회전원판에 주차된 차량을 차량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회전프레임 상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수평, 수직 및 회전시켜 원하는 장소에 주차시키는 기술이나, 모든 과정이 하나의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작동됨에 따라 차량의 입고동작 또는 출고동작시에는 다른 차량의 입고와 출고 작업을 할 수 없게 됨으로서 차량의 입출고 간 대기시간을 단축시키지는 못하였다.
특허등록 제10-0775853호는 어느방향에서든지 차량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나, 이 기술의 경우에도 차량의 입고동작 또는 출고동작시에는 다른 차량의 입고와 출고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상기 특허의 경우에는 원형으로 시공됨에 따라 별도의 건물로 시공이 가능할 뿐 고층건물의 일측에 인접하여 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차량의 주차를 타워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차량의 입고와 출고시에는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량에서 내린 상태로 차량만을 비어 있는 층에 주차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차량입고시에는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출입구가 설치된 해당 층(1층)으로 가서 차량에서 내려 차량을 입고시킨 후 원하는 층으로 도보로 이동하여야 하고, 반대로 차량 출고시에는 출입구가 설치된 해당 층(1층)으로 다시 이동한 후 차량을 출고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주차장 내에서의 범죄 발생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사회적으로도 주차장 범죄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CCTV 설치 및 순찰강화 등의 방안 외에는 주차장 안전 대책이나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1067호(2005.03.07,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3651호(2007.06.20, 리프트 장치를 갖춘 주차타워) 등록특허공보 제10-0775853호(2007.11.06, 원형주차타워)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입고공간과 출고공간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입고동작과 출고동작을 중복하여 수행할 수 있어 입출고에 따른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입고차량이동공간이 입고공간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됨으로써 입고공간으로 진입된 차량의 파레트를 입고차량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해당 층으로 상승시켜 주차시키게 됨으로써 차량의 입고동작과 주차동작이 서로 중복되지 않아 차량의 입고동작 간 대기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주차부의 각 층에 출입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입고 또는 출고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차량입구가 구비된 입고공간(11)과 차량출구가 구비된 출고공간(12)이 각각 형성되고, 각 층의 수평방향으로 파레트이동공간(15)이 형성되며, 상기 파레트이동공간(15)과 연결되게 입고차량이동공간(13)과 출고차량이동공간(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되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은 상기 입고공간(11)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된 차량이동부(10); 상기 차량이동부(10)의 후방측에 인접되어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 및 출고차량이동공간(14)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입고차량의 파레트를 보관하도록 복수개의 주차공간(21)이 형성된 차량주차부(20); 상기 차량이동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 입고를 위해 대기중인 파레트가 복수개 적층되어 적재되고, 하부 일측이 입고공간(11)과 연통되어 적재된 파레트 중 최하측에 위치한 파레트가 상기 입고공간(11)으로 수평이동되도록 마련된 파레트적재공간(30); 차량의 입고와 출고 및 파레트 적재를 위해 상기 차량이동부(10)와 차량주차부(20) 및 파레트적재공간(30)에 구비된 각각의 파레트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동작되는 파레트 이동수단(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고차량이동공간(14)은 상기 출고공간(12)에 위치된 차량의 출고 중 다른 차량의 출차를 위한 파레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고공간(12)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량이동부(10)에는 차량의 입고공간(11), 출고공간(12), 입고차량이동공간(13), 출고차량이동공간(14), 파레트적재공간(30)을 구비하도록 5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주차타워에 따르면, 차량의 입출고가 따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입출고를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입고공간으로 진입된 차량의 파레트를 입고차량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해당 층으로 이동시켜 주차함에 따라 차량의 입고동작과 주차동작이 서로 중복되지 않아 차량의 입고 대기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동일시간내에 여러대의 차량을 입고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주차부의 각 층에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해당 층의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여 차량에 탑승한 채로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 향상은 물론, 범죄발생 및 사생활침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타워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타워의 개략적인 평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타워의 주차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적재공간에 적재된 파레트가 입고공간으로 이동되는 상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입고시 파레트의 이동방향을 보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출고시 파레트의 이동방향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타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타워는 입고차량과 출고차량의 이동을 위한 차량이동부(10)와, 입고차량의 주차를 위한 차량주차부(20)와, 입고차량 및 출고차량을 받쳐주기 위한 파레트가 적재되는 파레트적재공간(30)과, 상기 파레트를 이동시켜 주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동작되는 파레트 이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이동부(10)는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선택된 해당 층에 차량입구가 구비된 입고공간(11)과 차량출구가 구비된 출고공간(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입고공간(11)과 출고공간(12)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입고동작과 출고동작이 따로 따로 이루어져 종래 차량의 입출고 중복동작에 따른 시간소요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차량의 입고시 파레트의 이동과 차량의 출고시 특정 공간에서 파레트의 이동이 서로 겹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입고와 출고 중 먼저 입력된 동작신호를 기준으로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차량이동부(10)에는 차량의 입고를 위한 입고차량이동공간(13)과 차량의 출고를 위한 출고차량이동공간(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층의 수평방향으로 파레트이동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과 출고차량이동공간(14) 및 파레트이동공간(15)은 모두 상기 차량주차부(20)의 주차공간(21)과 연결되게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입고공간(11)으로 진입한 입고차량은 입고차량이동공간(13)과 파레트이동공간(15)을 지나쳐 해당 층의 해당 주차공간(21)으로 이동되어 주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은 상기 입고공간(11)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진다. 그 이유는 입고공간(11)에 구비된 파레트의 상면에 차량의 입고 후 파레트를 다른 선상에 위치한 입고차량이동공간(13)으로 수평이동시키도록 한 상태에서 해당 층으로 상승이동시켜 주차하도록 함으로써 주차동작 중 입고공간(11)에 다른 입고차량의 입고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입고 간 대기시간을 단축시켜 단시간내에 많은 차량을 입고시킴과 아울러 운전자에게 장시간의 대기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이동부(10)에는 차량의 입고공간(11), 출고공간(12), 입고차량이동공간(13), 파레트적재공간(30)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4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에서는 5개의 공간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차량주차부(20)는 상기 차량이동부(10)의 후방측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 및 출고차량이동공간(14)과 연통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입고차량의 파레트를 보관하여 차량을 주차하도록 복수개의 주차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주차공간(21)은 하나의 큰 공간에 복수개의 주차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고, 각 주차공간을 서로 구획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파레트적재공간(30)은 상기 차량이동부(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차량 입고를 위해 대기중인 파레트가 복수개 적층되어 적재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이 상기 입고공간(1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적재된 파레트 중 최하측에 위치한 파레트가 상기 입고공간(11)으로 수평이동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파레트적재공간(30)에 적재되는 파레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재됨이 바람직할 것이고, 적재된 각각의 파레트는 상기 파레트 이동수단(40)에 의해 하나씩 인출되면서 상기 입고공간(11)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레트 이동수단(40)은 차량의 입고와 출고 및 파레트 적재를 위해 상기 차량이동부(10)와 차량주차부(20) 및 파레트적재공간(30)에 구비된 각각의 파레트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레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되며, 파레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파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지지프레임을 수평 수직 이동시키는 체인 등의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지의 파레트 이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레트 이동수단(40)은 주차타워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박스 등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동작되어 진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출고공간(12)이 파레트적재공간(30)의 일측에 인접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차량의 출고시 출고차량이 얹혀진 파레트가 출고공간(12)으로 하강게 됨에 따라 이미 출고공간에 구비된 파레트는 입고공간으로 이동되고, 입고공간에 구비된 파레트는 상기 파레트적재공간(30)의 최상측 파레트의 상측에 적재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상기 입고공간(11)과 출고공간(12)을 서로 반대로 형성한 경우에는 입고공간(11)이 파레트적재공간(30)의 일측에 인접되어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출고 후 출고공간(12)에 구비되는 파레트를 상기 파레트적재공간(30)의 최상측 파레트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적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입고동작시 입고차량의 파레트를 입고차량이동공간(13)으로 이동시킨 후 해당 층으로 상승시켜 주차시킴에 따라 주차동작 중에 다른 차량의 입고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입고차량 간 대기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출고동작시에는 해당 층의 주차공간에 보관된 파레트를 파레트이동공간(15)으로 이동시킨 후 출고차량이동공간(14)을 통해 출고공간(12)으로 하강시킨 다음 차량출구를 통해 출차시키면 되고, 출고공간(12)에 구비된 파레트는 입고차량을 위한 대기 파레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입고차량 없이 출고차량이 더 존재할 경우에는 입고공간(11)에 구비된 파레트를 파레트적재공간(30)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출고공간(12)에 구비된 파레트를 입고공간(11)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출고차량이동공간(14)과 출고공간(12)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출고동작 중 주차공간에 보관된 다른 파래트의 출고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고차량이동공간(14)을 상기 출고공간(12)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출고차량이동공간(14)도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과 같이 출고공간(12)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출고공간(12)에 위치된 차량의 출고동작 중 다른 차량의 출차를 위한 파레트를 이동시키도록 하여 차량의 출고 간 대기시간을 줄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선택된 해당 층에 각각 입고공간(11)과 출고공간(12)을 형성하여 해당 층에서만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고, 기본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입고를 통해 주차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해당 층의 주차공간에까지 이동한 후 해당 층의 주차공간에 마련된 출입구(50)를 통해 해당층의 건물 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출고시에도 해당 층의 주차공간에서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출고공간(12)으로 이동한 후 차량출구를 통해 차량을 출차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에 탑승한 채로 해당 층의 주차공간에 주차시키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오피스건물보다는 주거목적의 아파트 등에 적용하여 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로서 아파트에 각 층마다 거주자 전용 주차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층의 거주자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 층에 전용 주차공간에 형성한 경우에는 생활의 편리성은 물론 개인 사생활 침해방지 및 범죄발생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지상이나 지하에 주차공간을 만들지 않아도 됨은 물론 협소한 주차면적으로 인해 발생되는 주차불편 및 불법 주차 등의 문제발생을 해소 또는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시 입고차량 간 또는 출고차량 간 대기시간을 줄여주어 대기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함과 아울러 단시간내에 보다 많은 차량을 입고시킬 수 있어 입고에 따른 교통체증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층마다 주차공간과 연결되게 출입구를 형성한 경우에는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시 운전자가 탑승한 채로 차량을 입고시키거나 출고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공동주택 등 아파트에 주차타워를 설치한 경우에는 각 층마다 해당 거주자의 전용 주차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주차문제 해소 및 범죄발생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10: 차량이동부 11: 입고공간
12: 출고공간 13: 입고차량이동공간
14: 출고차량이동공간 15: 파레트이동공간
20: 차량주차부 21: 주차공간
30: 파레트적재공간 35: 파레트
40: 파레트 이동수단 50: 출입구

Claims (4)

  1.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차량입구가 구비된 입고공간(11)과 차량출구가 구비된 출고공간(12)이 각각 형성되고, 각 층의 수평방향으로 파레트이동공간(15)이 형성되며, 상기 파레트이동공간(15)과 연결되게 입고차량이동공간(13)과 출고차량이동공간(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되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은 상기 입고공간(11)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된 차량이동부(10);
    상기 차량이동부(10)의 후방측에 인접되어 상기 입고차량이동공간(13) 및 출고차량이동공간(14)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입고차량의 파레트를 보관하도록 복수개의 주차공간(21)이 형성된 차량주차부(20);
    상기 차량이동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 입고를 위해 대기중인 파레트가 복수개 적층되어 적재되고, 하부 일측이 입고공간(11)과 연통되어 적재된 파레트 중 최하측에 위치한 파레트가 상기 입고공간(11)으로 수평이동되도록 마련된 파레트적재공간(30);
    차량의 입고와 출고 및 파레트 적재를 위해 상기 차량이동부(10)와 차량주차부(20) 및 파레트적재공간(30)에 구비된 각각의 파레트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동작되는 파레트 이동수단(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고차량이동공간(14)은 상기 출고공간(12)에 위치된 차량의 출고 중 다른 차량의 출차를 위한 파레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고공간(12)과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량이동부(10)에는 차량의 입고공간(11), 출고공간(12), 입고차량이동공간(13), 출고차량이동공간(14), 파레트적재공간(30)을 구비하도록 5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차부(20)는 고층건물이나 아파트의 일측벽과 연결되게 시공되고,
    상기 차량주차부(20)의 각 층 주차공간에는 고층건물이나 아파트의 해당 층과 연결되어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운전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타워.
KR1020180120044A 2018-10-08 2018-10-08 주차타워 KR10210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44A KR102107314B1 (ko) 2018-10-08 2018-10-08 주차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44A KR102107314B1 (ko) 2018-10-08 2018-10-08 주차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353A KR20200040353A (ko) 2020-04-20
KR102107314B1 true KR102107314B1 (ko) 2020-05-08

Family

ID=7046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044A KR102107314B1 (ko) 2018-10-08 2018-10-08 주차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3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523A (ko) 2020-08-21 2022-03-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차타워용 주차스토퍼 시스템
KR102582834B1 (ko) 2022-07-20 2023-09-26 주식회사 비에스이 벨트식 주차 타워 시스템
KR20230152446A (ko) 2022-04-27 2023-11-03 (주)비즈엑티브 차량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하는 종방향 회전식 주차타워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832B1 (ko) * 2020-12-08 2021-07-08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승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533A (ja) * 1996-10-31 1998-05-19 Toshiba Mach Co Ltd 駐車方法および駐車システム
KR20050021067A (ko) 2003-08-26 2005-03-07 황태홍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KR20070063651A (ko) 2005-12-15 2007-06-20 (주)팔리스아시아 리프트 장치를 갖춘 주차 타워
KR100775853B1 (ko) 2007-05-21 2007-11-12 (주) 테크윈 원형주차타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523A (ko) 2020-08-21 2022-03-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차타워용 주차스토퍼 시스템
KR20230152446A (ko) 2022-04-27 2023-11-03 (주)비즈엑티브 차량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하는 종방향 회전식 주차타워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82834B1 (ko) 2022-07-20 2023-09-26 주식회사 비에스이 벨트식 주차 타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353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8259A1 (en) Automated Vehicle Parking Garage with Catwalk Installation
KR102107314B1 (ko) 주차타워
CN101115671A (zh) 自动停车车库
EP1301674A2 (en) Vehicle parking building and system
JP5329665B2 (ja) コンテナ、特に標準コンテナ用の倉庫における荷役方法
KR101860098B1 (ko) 이차종 통합 다층 주차 시스템
KR100679566B1 (ko) 주차설비
JP2011149257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358037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車両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車両誘導方法、並びに車両誘導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JP3655300B1 (ja) 多段駐輪装置
JP4282041B2 (ja) 多層駐車装置を用いた出庫方法
JP2017089123A (ja) 機械式駐車駐輪装置
JP3011804B2 (ja) 中間乗入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560594B2 (ja) 縦列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RU2427692C1 (ru) Хранилище (варианты)
JP3103278U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を有した建物組込型で横行搬送装置を具備した篭の昇降式立体駐車装置
JP2019152066A (ja) 立体駐車場
KR102274832B1 (ko) 자동차용 승강기
KR100543872B1 (ko) 피견인차량용 주차 시스템
RU2634155C1 (ru) Способ парковки автомобиля в многоярусном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м паркинге и система парковки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варианты)
KR900006056B1 (ko) 입체 주차장
JP3011805B2 (ja) 中間乗入型の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0150578Y1 (ko) 입체 주차장치
JP2006144301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集合住宅用建物
JP279001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