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851A -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851A
KR20060103851A KR1020060026752A KR20060026752A KR20060103851A KR 20060103851 A KR20060103851 A KR 20060103851A KR 1020060026752 A KR1020060026752 A KR 1020060026752A KR 20060026752 A KR20060026752 A KR 20060026752A KR 20060103851 A KR20060103851 A KR 2006010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driver
speed serial
command
interfa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424B1 (ko
Inventor
즈요시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5Electric or magnetic storage of signals before transmitting or retransmitt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서브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의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표시 드라이버(10)는, 차동 신호를 이용한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와, 출력된 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회로(70)와,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던 경우에, 그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를 포함한다. 패킷에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여 전송 속도의 차를 조정한다.
EMI 노이즈, 패킷, 더미 데이터, 시리얼 버스

Description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DISPLAY DRIVER AND ELECTRONIC INSTRUMENT}
도 1은 본 실시예의 표시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의 표시 드라이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패킷의 포맷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의 표시 드라이버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트랜시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의 (A), (B)는 스트로브 신호의 설명도.
도 11은 트랜시버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호스트 디바이스
6 : 메인 표시 패널
7 : 서브 표시 드라이버
8 : 서브 표시 패널
10 : 표시 드라이버
20 :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30 : 트랜시버
50 : 링크 컨트롤러
52 : 패킷 해석 회로
54 : 패킷 생성 회로
60 :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
62 : FIFO 버퍼
64 : 추출 회로
66 : 칩 셀렉트 신호 생성 회로
70 : 드라이버 회로
72 :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
74 : 레지스터
76 : 출력 절환 회로
78 : 분주 회로
80 : 내부 회로
81 : 스테이터스 레지스터
82 : 커맨드 레지스터
83 : 커맨드 디코더
84 : 호스트측 제어 회로
85 : 드라이버측 제어 회로
86 : 어드레스 제어 회로
87 : 표시 데이터 RAM
88 : 구동부
90 :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92 : 패러럴/시리얼 변환 회로
[특허 문헌1] 특개2001-222249호 공보
본 발명은,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EMI 노이즈의 저감 등을 목적으로 한 인터페이스로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고속 시리얼 전송의 인터페이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 고속 시리얼 전송에서는, 트랜스미터 회로가 시리얼화된 데이터를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하고, 리시버 회로가 차동 신호를 차동 증폭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을 실현한다.
일반적인 휴대 전화는, 전화 번호 입력이나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이 설치되는 제1 기기 부분과, 메인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서브 LCD나 카메라가 설 치되는 제2 기기 부분과, 제1, 제2 기기 부분을 접속하는 힌지 등의 접속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제1 기기 부분에 설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기 부분에 설치되는 제2 기판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차동 신호를 이용한 시리얼 전송에 의해 행하면, 접속 부분을 통하는 배선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적합하다.
그런데, 휴대 전화의 제2 기기 부분에는, 메인 LCD 뿐만 아니라 서브 LCD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휴대 전화의 기기 점수의 삭감을 위해서는, 서브 LCD에 대해서도, 메인 LCD를 구동하는 표시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기기 부분에 설치되는 호스트 디바이스(MPU, 베이스 밴드 엔진, 표시 컨트롤러 등)로부터는,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고속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온다. 또한, 서브 LCD를 구동하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의 동작 속도는 메인 LCD 용의 표시 드라이버에 비해 일반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그대로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면, 서브 표시 드라이버가 그 데이터를 수취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서브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의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 드라이버 및 이것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차동 신호를 이용한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 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출력된 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회로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던 경우에,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전송 속도가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보다도 저속의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드라이버에 관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패킷이 수신된다. 그리고 수신한 패킷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던 경우에는, 그 커맨드 또는 데이터가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시리얼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면,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예를 들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어 온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전송할 수 있어, 서브 표시 드라이버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와 전송 속도 조정용의 더미 데이터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와 상기 더미 데이터 중,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 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 시리얼 버스와 저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의 차를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저속 시리얼 버스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를 VH로 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를 VL로 한 경우에, VL/VH가 작아질수록 그 바이트 수가 커지는 더미 데이터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패킷을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 시리얼 버스와 저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의 비에 따른 최적의 바이트 수의 더미 데이터를,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신한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와 상기 더미 데이터 중,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더미 데이터를 제외하고,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가 헤더 필드에 설정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의 헤더 필드에 설정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에 대해서도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수신처를 지정하기 위한 수신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수신처 정보에 의해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가 수신처로서 지정되어 있던 경우에,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로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메인용의 드라이버 회로 또는 서브용의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에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가 기입되는 커맨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에,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출력을 인에이블로 하는 커맨드가 기입된 경우에,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로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신호가 패러럴 데이터 신호로서 포함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드라이버 회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를 받아,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받아,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 회로의 내부 회로 또는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중 어느 한 쪽에 출력하는 출력 절환 회로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드라이버 회로가 갖고 있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칩 셀렉트 신호와는 별도로, 제2 칩 셀렉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칩 셀렉트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절환 회로는,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의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 회로의 상기 내부 회로와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중 어느 한 쪽에 출력할지를, 상기 제2 칩 셀렉트 신호에 기초하여 절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새로운 제2 칩 셀렉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만으로,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신호를, 패러럴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드라이버 회로에 출력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패러럴/시리얼 변환 회로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드라이버 회로에 출력되는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차동 신호로서 차동 스트로브 신호 또는 차동 클럭 신호를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 또는 차동 클럭 신호에 의해 얻어진 클럭 신호를 분주한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서브 표시 패널에 표시 위치 어긋남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커맨드/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대응시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는, 저진폭의 차동 신호를 이용하는 시리얼 버스이고, 상기 저속 시리얼 버스는, CMOS 전압 레벨의 신호를 이용하는 시리얼 버스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드라이버와, 상기 표시 드라이버에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상기 표시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메인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드라이버에 상기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서브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계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본 실시예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1. 전자 기기
도 1에, 본 실시예의 표시 드라이버(1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전기 광학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한 전자 기기는 도 1에 도시되는 것 이외의 구성 요소(예를 들면 카메라, 조작부 또는 전원 회로 등)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휴대 전화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디지털 카메라, PDA, 전자 수첩, 전자 사전, 혹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 등이어도 된다.
도 1에서 호스트 디바이스(5)는, 예를 들면 MPU(Micro Processer Unit), 베이스 밴드 엔진(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또는 표시 컨트롤러(화상 처리 컨트롤러) 등이다. 이 호스트 디바이스(5)(호스트 프로세서)는 표시 드라이버(10)의 제어를 행한다. 혹은 어플리케이션 엔진이나 베이스 밴드 엔진으로서의 처리나, 압축, 신장, 사이징 등의 그래픽 엔진으로서의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메인 표시 패널(6), 서브 표시 패널(8)은, 복수의 데이터선(신호선)과, 복수 의 주사선과, 데이터선 및 주사선에 의해 특정되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다. 그리고, 각 화소 영역에서의 전기 광학 소자(협의로는, 액정 소자)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표시 동작을 실현한다.
메인 표시 패널(6)은 서브 표시 패널(8)에 비해 그 사이즈가 큰 패널(표시 화소 수가 많은 패널)이다. 그리고 메인 표시 패널(6)은,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나 박막 다이오드(Thin Film Diode:TFD) 등의 스위칭 소자(2 단자형 비선형 소자)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패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표시 패널(8)은, 예를 들면 STN 등을 이용한 단순 매트릭스 방식의 패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단 서브 표시 패널(8)을 TFT나 TFD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패널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혹은 메인 표시 패널(6)이나 서브 표시 패널(8)은, 액정 패널 이외의 표시 패널(예를 들면 유기 EL 패널)이어도 된다.
표시 드라이버(10)는 메인 표시 패널(10)의 데이터선(소스선)이나 주사선(게이트선)을 구동한다. 또한 데이터선만을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서브 표시 드라이버(7)(서브 표시 패널용의 드라이버)는 서브 표시 패널(8)의 데이터선(세그먼트선)이나 주사선(커먼선)을 구동한다. 또한 표시 드라이버(10)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7)를 1 칩(반도체 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서는, 호스트 디바이스(5)와 표시 드라이버(10)는, 차동 신호를 이용한 고속 시리얼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고속 시리얼 버스는, 저진폭(예를 들면 500mV)의 차동 신호(차동 데이터 신호, 차동 스트로브 신호, 차동 클럭 신호) 를 이용하는 시리얼 버스(LVDS)이다. 그리고 호스트 디바이스(5)와 표시 드라이버(10)는, 차동 신호의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패킷 전송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리얼 버스의 차동 신호선을 전류 구동 또는 전압 구동함으로써 패킷 전송을 행한다. 이 고속 시리얼 버스의 인터페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MDDI(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규격 등에 준거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고속 시리얼 버스의 차동 신호선은 다채널 구성이어도 된다.
한편, 표시 드라이버(10)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7)는, 고속 시리얼 버스보다도 전송 속도가 낮은 저속 시리얼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저속 시리얼 버스는, 예를 들면 CMOS 전압 레벨(예를 들면 0∼3V, 0∼5V)의 신호를 이용하는 시리얼 버스이다. 그리고 표시 드라이버(10)는, 이 저속 시리얼 버스를 이용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대하여 시리얼 데이터(CMOS 전압 레벨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도 1에서, 호스트 디바이스(5)는, 휴대 전화의 전화 번호 버튼 등이 설치되는 제1 기기 부분(제1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한편, 표시 드라이버(10), 메인 표시 패널(6), 서브 표시 드라이버(7), 서브 표시 패널(8)은, 휴대 전화의 제2 기기 부분(제2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따라서, 호스트 디바이스(5)와 표시 드라이버(10) 사이에서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패킷 전송을 행하면, 종래의 전자 기기에 비해, EMI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기기 부분을 접속하는 힌지 등의 접속 부분에 통하는 신호선을 시리얼 신호선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기의 실장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표시 드라이버의 구성
도 2에 본 실시예의 표시 드라이버(10)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표시 드라이버(10)(메인 표시 드라이버)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 드라이버 회로(70),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패킷(데이터)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디바이스(5)는 차동 신호선을 전류 구동 또는 전압 구동함으로써, 패킷(패킷 스트림)을 송신한다. 그리고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예를 들면, 수신한 패킷의 헤더 필드로부터 커맨드를 추출하여, 드라이버 회로(70) 등에 출력한다. 또한 수신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데이터(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드라이버 회로(70) 등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회로(70)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 출력된 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 표시 패널(6)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 회로(70)는,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를 통하여 받은 커맨드나 파라미터(광의로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 표시 패널(6)의 구동 조건(표시 특성 제어 파라미터) 등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표시 데이터의 포맷 형식(RGB888, RGB666, RGB565, RGB444), 표시 라인 수, 표시 범위, 표시 데이터 의 기입 개시 위치 또는 구동 방법 등을 설정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회로(70)는,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를 통하여 받은 표시 데이터(광의로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구동 조건에 따라서 메인 표시 패널(6)의 데이터선 등을 구동한다.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던 경우에,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시리얼 출력한다. 또한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대신에 저속 패러럴 인터페이스 회로를 이용하는 변형 실시도 가능하다.
저속 시리얼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보다도 그 전송 속도가 낮다. 따라서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고속 시리얼 버스보다도 낮은 전송 속도로,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메인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던 경우에는, 그 커맨드 또는 데이터는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된다. 한편, 패킷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던 경우에는, 그 커맨드 또는 데이터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 드라이버 회로(70)를 통하여(혹은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 직접적으로),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입력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입력된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로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저속 시리얼 버스에 출력되는 시리얼 데이터 신호는, 예를 들면 CMOS 전압 레벨의 신호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 이외에 추가로,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를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를 내장하지 않더라도, 서브 표시 드라이버(7)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7)로서,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디바이스(5)와 표시 드라이버(10)를 고속 시리얼 버스로 접속함으로써, 호스트 디바이스(5)와의 사이의 신호선의 개수를 줄이고 있다. 휴대 전화를 예로 들면, 제1, 제2 기기 부분을 접속하는 접속 부분(힌지 부분)의 신호선 개수를 줄여, 실장의 용이화 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호스트 디바이스(5)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7) 사이에서도 고속 시리얼 전송을 행하고자 하면, 호스트 디바이스(5)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7)를 접속하는 차동 신호선이 새로 필요하게 되어, 신호선의 개수를 줄인 메리트가 없어지게 된다.
이 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대해서는, 표시 드라이버(10)를 통하여 커맨드 또는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호스트 디바이스(5)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7)를 고속 시리얼 버스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그것을 위한 차동 신호선을 새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고속 시리얼 버스의 본래의 메리트를 살릴 수 있다.
또한 비교예의 방법으로서,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단순히 메인 표시 드라이버를 스루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전송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비교예의 방법에 따르면, 호스트 디바이스가 1개의 칩 셀렉트 신호만 출력할 수 있는 경우에도,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그러나, 이 비교예의 방법에서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로 단순히 스루할 뿐이기 때문에, 호스트 디바이스와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 사이에서의 시리얼 전송의 속도와,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 사이에서의 시리얼 전송의 속도는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호스트 디바이스와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 사이를, 고속 시리얼 버스로 접속한 경우에는,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 사이도 고속 시리얼 버스로 접속해야 한다. 이 결과,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도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발생하고,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기기의 고비용화를 초래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디바이스(5)와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10) 사이는 고속 시리얼 버스로 접속되는 한편, 표시 드라이버(10)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7) 사이는 저속 시리얼 버스로 접속된다. 따라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의 방법에 비해 기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3. 더미 데이터
그런데, 서브 표시 드라이버(7)는, 패널 사이즈가 작은 서브 표시 패널(8)을 구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브 표시 드라이버(7)의 동작 속도는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10)에 비해, 일반적으로 저속이다. 따라서,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전송되어 온 데이터(표시 데이터)를, 그대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전송하면, 서브 표시 드라이버(7)가 그 데이터를 수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보낼 때는, 고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를 느리게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고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를 급격히 느리게 하면, 호스트 디바이스(5)가 내장하는 PLL 회로의 클럭 주파수가 안정되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클럭 주파수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데도 긴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PLL 회로가 안정되기까지,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대기해야 하므로, 데이터 전송 효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에, 전송 속도 조정용의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도 3에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의 포맷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패킷의 헤더 필드에는, ID(식별 정보), R/W(리드/라이트), ADD(어드레스), CRC 등의 필드가 설치된다. 한편,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는, 파라미터 P(데이터) 이외에, 더미 데이터(00x)가 설정된다.
즉 도 2의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P)와 전송 속도 조정용의 더미 데이터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도 3의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P)와 더미 데이터(00x) 중,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P)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드라이버(10)는, 수신한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추출 회로에 의해 추출된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가,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된다.
이러한 더미 데이터를 설정하면,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와 저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의 차를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저속 시리얼 버스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서브 표시 드라이버(7)는, 그 동작 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표시 드라이버(10)로부터 보내져 온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적정하게 수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저속의 서브 표시 드라이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5)의 PLL 회로의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켜 고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를 조정할 필요도 없게 된다. 따라서 PLL 회로의 안정 시간을 대기할 필요가 없어져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더미 데이터를 패킷에 설정하지 않고, 고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를 조정한다고 하는 변형 실시도 가능하다.
또한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를 VH로 하고, 저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를 VL로 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VL/VH가 작아질수록,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되는 더미 데이터의 바이트 수(데이터량)가 크게 되도록, 더미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가 VH=200Mbps이고, 저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가 VL=25Mbps 또는 VL=12.5Mbps이었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VL=25Mbps일 때보다도 VL=12.5Mbps일 때가, VL/VH가 더 작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VL=12.5Mbps일 때의 더미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VL=25Mbps일 때의 바이트 수에 비해 크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 VH와 저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 VL의 비에 따른 최적의 바이트 수의 더미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더미 데이터에 의한 전송 속도의 조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 결과, 표시 드라이버에 설치하는 데이터의 버퍼(FIFO 버퍼 등)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회로가 소규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CMD가 헤더 필드에 설정된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패킷의 헤더 필드에 설정된 CMD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로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MDDI 규격에서는, 패킷의 헤더 필드에는, 2 바이트의 ADD(어드레스) 필드를 설치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ADD 필드의 하위의 1 바이트에,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CMD를 설 정한다. 즉 호스트 디바이스(5)는 ADD 필드의 하위의 1 바이트에 커맨드 CMD를 삽입하여, 패킷을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예를 들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가, 이 ADD 필드로부터 커맨드 CMD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가, 패킷의 헤더 필드로부터 커맨드 CMD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CMD가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전송된다. 그렇게 하면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이 CMD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로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파라미터)뿐만 아니라 커맨드에 대해서도, 패킷으로부터 추출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메인용의 표시 드라이버(10)에서 커맨드를 해석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측에 전송하는 등의 처리도 불필요하게 되어,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MDDI 규격의 ADD 필드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커맨드 CMD를 전송하면, MDDI 규격으로 규정된 패킷의 포맷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4. 수신처 정보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디바이스(5)는, 메인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표시 드라이버(1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메인 표시 패널(6)에 휴대 전화용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디바이스(5)는 메인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표시 드라이버(10)에 송신한다. 한편, 예를 들면 휴대 전화의 제1, 제2 기기 부분 이 닫혀, 서브 표시 패널(8)에 시계 표시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디바이스(5)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표시 드라이버(10)에 송신한다. 따라서, 메인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어떻게 하여 식별할지가 과제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에,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수신처를 지정하기 위한 수신처 정보를 포함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D 필드의 상위의 1 바이트는 빈 영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빈 영역의 LSB측에, 메인용과 서브용을 식별하기 위한 1 비트의 M/S 필드를 설치한다. 그리고 호스트 디바이스(5)는, 이 M/S 필드에 수신처 정보를 설정한다.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이 수신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수신처 정보에 의해 서브 표시 드라이버(7)가 수신처로서 지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패킷의 M/S 필드에 "1"이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그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CMD) 또는 데이터(P)는 메인 표시 드라이버용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한다. 한편, M/S 필드에 "0"이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그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는 서브 표 시 드라이버용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이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시리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에 수신처 정보(지정 정보)를 설정하면,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메인용의 드라이버 회로(70) 또는 서브용의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결과, 처리 부하를 그다지 증가시키지 않고,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킷에 포함시키는 수신처 정보는, 도 3과 같은 M/S 필드에 설정되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필드에 설정해도 된다. 혹은 이러한 수신처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분류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 드라이버(10)에,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가 기입되는 커맨드 레지스터를 설치한다. 이 커맨드 레지스터는 예를 들면 드라이버 회로(70)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커맨드 레지스터에,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출력을 인에이블로 하는 커맨드가 기입된 경우에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면, 패킷에 수신처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측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5.상세한 구성예
도 4에 본 실시예의 표시 드라이버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4의 회로 블록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회로 블록 사이의 접속 형태를 변경하거나, 도 4와는 상이한 회로 블록을 추가해도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트랜시버(30), 링크 컨트롤러(50),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랜시버(30)는, 차동 신호(차동 데이터 신호, 차동 스트로브 신호, 차동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패킷(커맨드, 데이터)을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시리얼 버스의 차동 신호선을 전류 구동 또는 전압 구동함으로써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이 트랜시버(30)는, 차동 신호선을 구동하는 물리층 회로(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나 고속 로직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컨트롤러(50)는 고속 시리얼 전송의 링크층(트랜잭션층)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트랜시버(30)가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한 패킷을 해석한다. 즉 수신한 패킷의 헤더와 데이터를 분리하여, 헤더를 추출한다. 또한 링크 컨트롤러(50)는,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5)에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그 패킷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하는 패킷의 헤더를 생성하고, 헤더와 데이터를 결합하여 패킷을 조립한다. 그리고 생성한 패킷의 송신을 트랜시버(30)에 지시한다. 또한 패킷의 해석 처리는, 링크 컨트롤러(50)가 포함하는 패킷 해석 회로 (52)에 의해 행해지고, 패킷의 생성 처리는 패킷 생성 회로(54)에 의해 행해진다.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60)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링크 컨트롤러(50))와 드라이버 회로(70) 사이의 호스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와 드라이버 회로(7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버스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6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한다. 이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는, 커맨드와 데이터의 식별 신호인 어드레스0 신호 A0이나, 라이트, 리드를 지시하는 라이트, 리드 신호 WR, RD나,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신호인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나, 드라이버 회로(70)를 칩 셀렉트하는 것을 지시하는 칩 셀렉트 신호 CS1을 포함한다.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60)는,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62), 추출 회로(64), 칩 셀렉트 신호 생성 회로(66)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일부를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FIFO 버퍼(62)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측과 드라이버 회로측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를 조정하기 위한 일레스틱 버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링크 컨트롤러(50)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는, FIFO 버퍼(62)에 기입된다. 그리고 기입된 커맨드 또는 데이터는, 드라이버 회로(70)의 동작 속도에 따른 타이밍에서 FIFO 버퍼(62)로부터 판독되어,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로서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된다.
추출 회로(64)는, 수신한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서브 표시 드라이버 용 데이터와 더미 데이터 중,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 데이터(P)를 추출한다. 또한 수신한 패킷의 헤더 필드에 설정된 커맨드(CMD)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 데이터나 커맨드는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로서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된다. 또한 커맨드는, PDATA의 24 비트의 버스 중 8 비트의 신호선을 사용하여 출력된다. 한편, RGB888, RGB666, RGB565, RGB444의 표시 데이터는, 각각, PDATA의 24, 18, 16, 12 비트의 버스를 사용하여 출력된다.
칩 셀렉트 신호 생성 회로(66)는 칩 셀렉트 신호 CS1, CS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에 포함되는 칩 셀렉트 신호 CS1과는 별도로, 칩 셀렉트 신호 CS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신호 CS2를 이용함으로써,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드라이버 회로(70)의 내부 회로(80)에 전송할지,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전송할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드라이버 회로(7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 출력 절환 회로(76), 분주 회로(78), 내부 회로(80)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일부를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호스트(MPU) 인터페이스 회로(72)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와 드라이버 회로(70) 사이의 호스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60))는,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를 포함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를 출력한다. 그렇게 하면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는, 이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를 받아,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에 포함되는 신호 PDATA를 후단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라이트 신호 WR이 액티브 로 되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 받은 신호 PDATA를, 내장하는 레지스터(74)에 래치한다. 그리고 래치된 신호 PDATA를 출력 절환 회로(76)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A0가 로우 레벨(제1 레벨)인 경우에는, PDATA는 커맨드로서 취급되고, A0이 하이 레벨(제2 레벨)인 경우에는, PDATA는 데이터(파라미터, 표시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출력 절환 회로(76)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로부터 신호 PDATA를 받아, 드라이버 회로(70)의 내부 회로(80) 또는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 중 어느 한 쪽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신호 PDATA를, 내부 회로(80)와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 중 어느 한 쪽에 출력할지는, 신호 CS2에 기초하여 절환된다. 예를 들면 신호 CS2가 로우 레벨(제1 레벨)인 경우에는 PDATA는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출력되고, 하이 레벨(제2 레벨)인 경우에는 내부 회로(80)에 출력된다.
분주 회로(78)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 받은 클럭 신호 CK를 분주하고, 분주한 클럭 신호를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나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고속 시리얼 버스의 차동 신호로서 차동 스트로브 신호(또는 차동 클럭 신호)를 호스트 디바이스(5)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차동 스트로브 신호(또는 차동 클럭 신호)에 의해 얻어진 클럭 신호 CK(예를 들면 50㎒)를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한다. 그렇게 하면 분주 회로(78)는, 이 클럭 신호 CK를 분주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신호 CK를 분주한 클럭 신호 SCK에 기초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로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또한 분주 회로(78)를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내부 회로(80)는 메인 표시 패널(6)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내부 회로(80)는, 스테이터스 레지스터(81), 커맨드 레지스터(82), 커맨드 디코더(83), 호스트측 제어 회로(84), 드라이버측 제어 회로(85), 어드레스 제어 회로(86), 표시 데이터 RAM(87), 구동부(88)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일부를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스테이터스 레지스터(81)는 표시 드라이버(10)의 스테이터스 정보(표시가 온인지의 여부, 파셜 표시 모드인지의 여부, 슬리프 모드인지의 여부)를 기억한다. 커맨드 레지스터(82)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를 통하여 입력된 커맨드를 기억한다. 그리고 커맨드 디코더(83)는, 이 커맨드(파라미터)를 디코드(해석)하여, 호스트측 제어 회로(84) 등에 전달한다. 호스트측 제어 회로(84)는, 커맨드의 디코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 RAM(87)에 대한 리드·라이트 동작을 제어한다. 이 리드·라이트 동작은 어드레스 제어 회로(86)에 의해 실현된다.
드라이버측(패널측) 제어 회로(85)는, 기준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계조 제어 펄스, 극성 반전 신호, 래치 펄스 등을 발생하여, 메인 표시 패널(6)의 표시 동작에 필요한 제어를 행한다.
어드레스 제어 회로(86)는, 호스트측 제어 회로(84)의 제어 하에서, 표시 데이터의 기입 컬럼 어드레스, 판독 컬럼 어드레스, 기입 페이지 어드레스, 판독 페 이지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또한 어드레스 제어 회로(86)는, 드라이버측 제어 회로(85)에 의해 제어되어, 예를 들면 1 라인마다 표시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표시 데이터 RAM(87)는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이 표시 데이터 RAM(87)에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를 통하여 입력된 표시 데이터가 기입된다. 그리고 구동부(88)는, 표시 데이터 RAM(87)로부터 판독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선 전압을 생성하여, 메인 표시 패널(6)의 데이터선에 출력함으로써, 데이터선을 구동한다. 또한 구동부(88)는 주사선의 구동을 행할 수도 있다.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로부터 출력 절환 회로(76)를 통하여 입력되는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를 받는다. 이 신호 PDATA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이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로 변환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이 변환은 패러럴/시리얼 변환 회로(92)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 외에, 시리얼 전송용의 클럭 신호 SCK와, 서브 표시 드라이버(7)를 칩 셀렉트하기 위한 신호 CS2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여기서 신호 SCK는, 고속 시리얼 버스의 차동 스트로브 신호(또는 차동 클럭 신호)에 의해 얻어진 클럭 신호 CK를 분주한 클럭 신호이다. 예를 들면,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가 200Mbps 이고, 신호 CK가 50㎒인 경우에는, 신호 SCK로서는 25㎒나 12.5㎒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표시 드라이버(7)는, 이 클럭 신호 SCK에 기초하여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커맨드/데이터 식별 정보(D/C)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대응시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서브 표시 드라이버(7)는, 이 커맨드/데이터 식별 정보(D/C)에 기초하여, 시리얼 데이터 신호에 의해 커맨드가 출력되었는지, 데이터(파라미터)가 출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6. 동작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의 상세 내용에 대해 도 5∼도 7의 타이밍 파형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 도 6의 (A), (B)는 메인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파형도이며, 도 7은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파형도이다.
도 5는, 고속 시리얼 버스로 전송되는 패킷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고속 시리얼 버스로는 예를 들면 200Mbps로 비디오 스트림 패킷이 전송된다. 도 5에서 Format은 표시(화소) 데이터의 포맷 형식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 Format에 의해, 표시 데이터가 RGB888, RGB666, RGB565, RGB444 중 어느 하나의 포맷인지가 지정된다. 또한 Xleft∼Ybottom은, 표시 데이터의 기입 범위(표시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다. Xstart, Ystart는, 표시 데이터의 기입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다. 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전송 에러의 검출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의 Format∼CRC는 패킷의 헤더 필드에 설정된다. 한편, 표시 데이터인 PixelData는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다. 그리고 링크 컨트롤러(50)는, 도 5의 A1에서 CRC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A2에 도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60)에 출력한다.
그렇게 하면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회로(60)는, 도 6의 (A)의 B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 CMD를 출력하고, 커맨드의 파라미터로서 Format, Xleft∼Ybottom, Xstart, Ystart를 출력한다. 다음에 B2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데이터 RAM(87)에의 라이트 커맨드 RAMWR을 출력하고, 그것에 이어 표시 데이터 Pix0, Pix1…를 출력한다.
또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때에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4 비트의 RGB888 포맷의 경우에는 클럭 주파수를 느리게 하고, 12 비트의 RGB444 포맷의 경우에는 클럭 주파수를 빠르게 한다. 이 주파수의 조정은 분주 회로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는 예를 들면 200Mbps와 같은 일정한 전송 속도로 RGB 데이터가 끊임없이 전송된다. 그리고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에는, 이 일정한 전송 속도로 전송된 RGB 데이터가 끊임없이 입력되고, 입력된 RGB 데이터는 FIFO 버퍼(62)에 축적된다. 한편,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드라이버 회로(70)에 대하여 화소 단위로 RGB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RGB888 포맷에 비해 RGB444 포맷 쪽이, 화소마다의 데이터의 비트 수가 적다. 따라서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RGB444 포맷의 경우에는, 보다 빠른 클럭 주파수에서 RGB 데이터를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회로(70)는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GB44의 경우에는 클럭 주파수를 빠르게 하여,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의 RGB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는 도 7의 C1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이 전송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의 헤더의 어드레스 ADD 필드에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 커맨드 CMD가 설정된다. 그리고 도 7의 C2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이 커맨드 CMD를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로서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한다. 또한 C3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A0을 로우 레벨로 설정하고, CMD가 커맨드인 것을 전달한다. 또한 C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칩 셀렉트 신호 CS2를 로우 레벨(액티브)로 설정하고, 출력 절환 회로(76)의 출력을,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측으로 절환한다. 그리고 C5의 타이밍에서 라이트 신호 WR을 로우 레벨(액티브)로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CMD)는 레지스터(74)에 래치되고, 출력 절환 회로(76)를 통하여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이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CMD)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D7∼D0)로 변환하여, 도 7의 C6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또한 도 7의 C7에 도시하는 D/C는 커맨드/데이터 식별 정보이다.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이 D/C를, 신호 SD(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대응시켜 서 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하고 있다. 예를 들면 C7에서는 D/C=0으로 되어 있고, C6에 도시하는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에 의해 커맨드가 전송되어 있는 것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전달된다.
다음에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는,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 P0을 추출하고, C8로 도시한 바와 같이 PDATA로서 드라이버 회로(70)에 출력한다. 그리고 C9의 타이밍에서 라이트 신호 WR을 로우 레벨로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P0)는 레지스터(74)에 래치되고, 출력 절환 회로(76)를 통하여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출력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이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P0)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로 변환하여, 도 7의 C1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C11에서는 커맨드/데이터 식별 정보는 D/C=1로 되어 있고, C10의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에 의해 파라미터가 전송되어 있는 것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전달된다. 또한 다른 파라미터 P1이나 표시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전송되어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C12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전송 속도 조정용의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면, C5, C9로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트 신호 WR을 액티브로 하는 시간 간격을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전송 시간 간격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C1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 리얼 전송용의 클럭 신호 SCK의 주파수를 작게 할 수 있고, C6, C10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의 전송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저속 동작의 서브 표시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72)로부터의 패러럴 데이터 신호 PDATA의 출력처를, 출력 절환 회로(76)에 의해 절환하여, PDATA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가 PDATA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하면, 드라이버 회로(70)가 통상 갖고 있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90)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측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로의 소규모화나 설계 기간의 단축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칩 셀렉트 신호로서, 호스트 인터페이스용의 신호 CS1과는 별도로 신호 CS2를 생성하고, 이 CS2에 기초하여, 출력 절환 회로(76)의 출력처를 절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새로운 칩 셀렉트 신호 CS2를 생성하는 것만으로,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측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로의 소규모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 시리얼 버스의 차동 스트로브 신호 또는 차동 클럭 신호에 의해 얻어진 클럭 신호를 분주한 클럭 신호 CK에 기초하여, C13에 도 시하는 클럭 신호 SCK가 생성된다. 그리고 C6, C1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클럭 신호 SCK에 기초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CMD)나 데이터(P0, P1)가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로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된다.
예를 들면 비교예의 방법으로서, 표시 드라이버(10)에 PLL 회로를 내장시키고, 이 PLL 회로에서 생성된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클럭 신호 SCK와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가 동기 관계에 있는 것을 보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되는 시리얼 데이터 신호에 어긋남이 발생하게 되어, 서브 표시 패널(8)에 표시 위치 어긋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예에서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 또는 차동 클럭 신호에 의해 얻어진 클럭 신호를 분주한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 SCK가 생성되기 때문에, SCK와 SD가 동기 관계에 있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표시 패널(8)에 표시 위치 어긋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변형예
도 8에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8이 도 4와 서로 다른 것은, 도 8에서는 칩 셀렉트 신호 CS2가, 커맨드 레지스터(82)의 커맨드를 디코드하는 커맨드 디코더(83)에 의해 생성되어 있는 점이다. 도 8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신호 CS2에 기초하여, 출력 절환 회로(76)의 출력처가 절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서는, 메인측의 내부 회로(80)의 커맨드 레지스터(82) 가, 서브 표시 패널 인에이블 레지스터(89)(인에이블 비트)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레지스터(89)에,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출력을 인에이블로 하는 커맨드가 기입되었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20)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PDATA)를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레지스터(89)에 "1"이 기입되면, 이것을 디코드한 커맨드 디코더(83)가, 칩 셀렉트 신호 CS2를 로우 레벨(액티브)로 설정한다. 그렇게 하면 출력 절환 회로(76)의 출력처가,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측으로 전환되고, PDATA가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입력된다. 그리고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는 이 PDATA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 SD로 변환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7)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신처 정보 M/S의 필드를 패킷의 헤더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출력 절환 회로(76)의 출력처를 절환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90)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8.트랜시버
도 9에 고속 시리얼 전송을 행하는 트랜시버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9는 MDDI 규격에 준거한 트랜시버의 예이다. 도 9에서, 트랜시버(40)는 호스트 디바이스(5)에 내장되고, 트랜시버(30)는 표시 드라이버(10)에 내장된다. 또한 참조 부호 36, 42, 44는 트랜스미터 회로이며, 참조 부호 32, 34, 46은 리시버 회로이다. 또한 참조 부호 38, 48은 웨이크 업 검출 회로이다.
호스트측의 트랜스미터 회로(42)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 STB+/-를 전류 구동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측의 리시버 회로(32)는, 전류 구동에 의해 저항 RT1의 양 단에 발생한 전압을 증폭하고, 스트로브 신호 STB_C를 후단의 회로에 출력한다. 또한 호스트측의 트랜스미터 회로(44)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DATA+/-를 전류 구동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측의 리시버 회로(34)는, 전류 구동에 의해 저항 RT2의 양 단에 발생한 전압을 증폭하고, 데이터 신호 DATA_C_HC를 후단의 회로에 출력한다.
클럭 신호로부터 스트로브 신호에의 변환이나, 스트로브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에의 변환은, 도 10의 (A)에 도시하는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측에서는,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 DATA와 클럭 신호 CLK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함으로써 스트로브 신호 STB를 생성하고, 이 STB를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측은, 데이터 신호 DATA와 스트로브 신호 STB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함으로써, 클럭 신호 CLK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0의 (B)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클럭 신호 CLK에 비해 스트로브 신호 STB의 천이 횟수는 적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의 노이즈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의 구성은 도 9∼도 10의 (B)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 DTO+, DTO-는 호스트측이 타깃측에 출력하는 차동 데이터 신호(OUT 데이터)이다. CLK+, CLK-는, 호스트측이 타깃측에 공급하는 차동 클럭 신호 이다. 호스트측은 CLK+/-의 엣지에 동기하여 DTO+/-를 출력한다. 따라서 타깃측은, CLK+/-를 이용하여 DTO+/-를 샘플링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타깃측은 호스트측으로부터 공급된 클럭 CLK+/-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즉 CLK+/-은 타깃측의 시스템 클럭으로 된다. 이 때문에 PLL 회로(212)는 호스트측에 설치되고, 타깃측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는다.
DTI+, DTI-는 타깃측이 호스트측에 출력하는 차동 데이터 신호(IN 데이터)이다. STB+, STB-는, 타깃측이 호스트측에 공급하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이다. 타깃측은 호스트측으로부터 공급된 CLK+/-에 기초하여 STB+/-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타깃측은 STB+/-의 엣지에 동기하여 DTI+/-를 출력한다. 따라서 호스트측은, STB+/-을 이용하여 DTI+/-를 샘플링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신규 사항 및 효과로부터 실체적으로 일탈하지 않은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예는 전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명세서 또는 도면에서, 적어도 한번, 보다 광의 또는 동의의 서로 다른 용어(데이터 등)와 함께 기재된 용어(파라미터·표시 데이터 등)는, 명세서 또는 도면의 어떠한 개소에서도, 그 서로 다른 용어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드라이버나 전자 기기의 구성이나 동작도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이나 동작에 한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고속 시리얼 버스와 저속 시리얼 버스의 전송 속도 차의 조정 방법이나, 더미 데이터의 설정 방법이나,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출력처의 분류 방법 등도,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서브 표시 드라이버의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 드라이버 및 이것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차동 신호를 이용한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출력된 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회로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던 경우에,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전송 속도가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보다도 저속의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와 전송 속도 조정용의 더미 데이터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와 상기 더미 데이터 중,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 라이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를 VH로 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전송 속도를 VL로 한 경우에, VL/VH가 작아질수록 그 바이트 수가 커지는 더미 데이터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4. 제2항에 있어서,
    수신한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와 상기 더미 데이터 중,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가 헤더 필드에 설정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의 헤더 필드에 설정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수신처를 지정하기 위한 수신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수신처 정보에 의해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가 수신처로서 지정되어 있던 경우에,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로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가 기입되는 커맨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에,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출력을 인에이블로 하는 커맨드가 기입된 경우에,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로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신호가 패러럴 데이터 신호로서 포함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드라이버 회로는,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를 받아,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받아,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 회로의 내부 회로 또는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중 어느 한 쪽에 출력하는 출력 절환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칩 셀렉트 신호와는 별도로, 제2 칩 셀렉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칩 셀렉트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절환 회로는,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의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 회로의 상기 내부 회로와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중 어느 한 쪽 에 출력할지를, 상기 제2 칩 셀렉트 신호에 기초하여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의 신호를, 패러럴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드라이버 회로에 출력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패러럴 데이터 신호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패러럴/시리얼 변환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차동 신호로서 차동 스트로브 신호 또는 차동 클럭 신호를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 또는 차동 클럭 신호에 의해 얻어진 클럭 신호를 분주한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는,
    커맨드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커맨드/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용의 커맨드 또는 데이터에 대응시켜 상기 서브 표시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는, 저진폭의 차동 신호를 이용하는 시리얼 버스이고,
    상기 저속 시리얼 버스는, CMOS 전압 레벨의 신호를 이용하는 시리얼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표시 드라이버와,
    상기 표시 드라이버에 상기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상기 표시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메인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드라이버에 상기 저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서브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26752A 2005-03-28 2006-03-24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KR100781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2114 2005-03-28
JP2005092114A JP4428272B2 (ja) 2005-03-28 2005-03-28 表示ドライバ及び電子機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526A Division KR20070089774A (ko) 2005-03-28 2007-08-14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851A true KR20060103851A (ko) 2006-10-04
KR100781424B1 KR100781424B1 (ko) 2007-12-03

Family

ID=370304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752A KR100781424B1 (ko) 2005-03-28 2006-03-24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KR1020070081526A KR20070089774A (ko) 2005-03-28 2007-08-14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526A KR20070089774A (ko) 2005-03-28 2007-08-14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31130B2 (ko)
JP (1) JP4428272B2 (ko)
KR (2) KR100781424B1 (ko)
CN (1) CN100538807C (ko)
TW (1) TWI33501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7180B2 (en) 2007-02-12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1529670B1 (ko) * 2008-12-22 2015-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60030761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772B2 (en) 2000-12-15 2004-07-06 Qualcomm, Inc. Generating and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terface for high data rate signal transfer
WO2002101580A1 (en) 2001-06-12 2002-12-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Certificate management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8812706B1 (en) 2001-09-06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ismatched delays in signals of a mobile display interface (MDDI) system
TWI374635B (en) 2003-06-02 2012-10-11 Qualcomm Inc Generating and implementing a signal protocol and interface for higher data rates
US8705571B2 (en) 2003-08-13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interface for higher data rates
RU2369033C2 (ru) 2003-09-10 2009-09-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Интерфейс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102801595A (zh) 2003-10-15 2012-11-28 高通股份有限公司 高数据速率接口
AU2004307162A1 (en) 2003-10-29 2005-05-12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RU2341906C2 (ru) 2003-11-12 2008-12-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Интерфейс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улучше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соединением
JP2007512785A (ja) 2003-11-25 2007-05-1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リンク同期を備えた高速データレートインタフェース
CA2548412C (en) * 2003-12-08 2011-04-19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synchronization
BRPI0508582A (pt) * 2004-03-10 2007-08-14 Qualcomm Inc equipamento e método de interface de alta taxa de dados
TWI384811B (zh) 2004-03-17 2013-02-01 Qualcomm Inc 高資料率介面裝置及方法
EP1978694B1 (en) 2004-06-04 2011-05-25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8650304B2 (en) 2004-06-04 2014-02-1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pre skew and post skew calibration data rate in a 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MDDI) communication system
US8699330B2 (en) 2004-11-2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US8667363B2 (en) 2004-11-24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cyclic redundancy checks
US8692838B2 (en) 2004-11-24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US8873584B2 (en) 2004-11-24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US8539119B2 (en) 2004-11-24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messages having a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message format
US8723705B2 (en) 2004-11-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Low output skew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JP4595730B2 (ja) * 2005-07-28 2010-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JP4586664B2 (ja) * 2005-07-28 2010-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US8692839B2 (en) 2005-11-23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US8730069B2 (en) 2005-11-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KR101296862B1 (ko) * 2006-02-14 2013-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방향 표시장치
US8503545B2 (en) * 2006-08-31 2013-08-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I/Q imbalance compensation
JP4254851B2 (ja) * 2006-12-06 2009-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97600A (ja) * 2007-02-16 2008-08-2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8257454A (ja) * 2007-04-04 2008-10-2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画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KR20090004170A (ko) * 2007-07-06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그 usb 디스플레이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소형 모바일 모니터 및 usb디스플레이 시스템
JP4404122B2 (ja) * 2007-09-07 2010-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高速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及び電子機器
US8049761B1 (en) * 2007-11-08 2011-11-01 Nvidia Corporation Bus protocol for transferring pixel data between chips
KR100919708B1 (ko) * 2007-12-28 2009-10-06 엠텍비젼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
US8370622B1 (en) * 2007-12-31 2013-02-05 Rockstar Consortium U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output of a cryptographic system
KR101497656B1 (ko) * 2008-03-25 2015-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WO2009140963A1 (en) * 2008-05-22 2009-11-26 Mobile Internet Technology A/S A display device
KR20100078604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장치들
US8836713B2 (en) * 2010-03-03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Driving and synchronizing multiple display panels
KR20120058716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760188B2 (en) 2011-06-30 2014-06-24 Silicon Image, Inc. Configurable multi-dimensional driver and receiver
CN109164998B (zh) * 2011-08-24 2021-05-18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其显示驱动系统
TW201331925A (zh) * 2012-01-19 2013-08-01 Sitronix Technology Corp 傳輸介面與傳輸方法及其驅動電路與顯示裝置及電子裝置
CN103780270B (zh) * 2012-10-18 2015-12-02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移动业界处理器介面的实体层接收器
US20140223217A1 (en) * 2013-02-01 2014-08-07 Broadcom Corporation Power and system management information visibility
US9471516B2 (en) * 2013-08-14 2016-10-18 Facebook, Inc. Techniques for transmitting a command to control a peripheral device through an audio port
KR20180063475A (ko) * 2016-12-02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오류 검출 코드 생성 회로,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18105958A (ja) * 2016-12-26 2018-07-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CN110459180B (zh) * 2018-05-07 2022-04-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驱动控制方法、装置及显示装置
KR20220012603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
CN114846537B (zh) * 2020-12-01 2024-0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驱动方法及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510B2 (ja) * 1990-09-26 2001-08-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ドレス変換方式
US5742329A (en) * 1992-10-26 1998-04-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in video conference system or the like
JPH08278769A (ja) * 1995-04-05 1996-10-22 Citizen Watch Co Ltd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6356260B1 (en) * 1998-04-10 2002-03-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power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ying video data
JP2001092767A (ja) * 1999-09-20 2001-04-06 Nec Wireless Networks Ltd マルチインタフェース制御装置
JP4058888B2 (ja) * 1999-11-29 2008-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Ram内蔵ドライバ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KR100706742B1 (ko) * 2000-07-18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4490572B2 (ja) * 2000-09-29 2010-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計算機システム
JP2004088750A (ja) * 2002-06-28 2004-03-18 Rohm Co Ltd 携帯通信機器
US6788101B1 (en) * 2003-02-13 2004-09-07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interface circuit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signals
JP2004325747A (ja) * 2003-04-24 2004-11-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用駆動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パネル用駆動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US20040218624A1 (en) 2003-05-01 2004-11-04 Genesis Microchip Inc. Packet based closed loop video display interface with periodic status checks
US20040260850A1 (en) * 2003-06-17 2004-12-23 Action Star Enterprise Co., Ltd. Apparatus for USB interface identification
KR101025672B1 (ko) * 2003-06-23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05156766A (ja) * 2003-11-25 2005-06-16 Nec Corp 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7180B2 (en) 2007-02-12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1529670B1 (ko) * 2008-12-22 2015-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60030761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5375A (en) 2007-02-01
KR20070089774A (ko) 2007-09-03
US8031130B2 (en) 2011-10-04
JP2006276221A (ja) 2006-10-12
US20060214902A1 (en) 2006-09-28
CN1841489A (zh) 2006-10-04
JP4428272B2 (ja) 2010-03-10
CN100538807C (zh) 2009-09-09
KR100781424B1 (ko) 2007-12-03
TWI335013B (en)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424B1 (ko) 표시 드라이버 및 전자 기기
US8212759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LCD panel
US7050032B2 (en) Ram-incorporated driver, and display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EP1705627B1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1705816B1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2536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 and control device, mobile terminal system,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7889164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050204087A1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8127056B2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including a switch circuit that switches write destination of received packets
US7630375B2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JP4924560B2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83668A (ja) 表示ドライバ及び電子機器
US20160247473A1 (en)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image display system
US11900857B2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646331B1 (ko) 모바일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