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666A -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한 3볼트급 스피넬 산화물, 그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한 3볼트급 스피넬 산화물, 그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8666A KR20060088666A KR1020050009582A KR20050009582A KR20060088666A KR 20060088666 A KR20060088666 A KR 20060088666A KR 1020050009582 A KR1020050009582 A KR 1020050009582A KR 20050009582 A KR20050009582 A KR 20050009582A KR 20060088666 A KR20060088666 A KR 20060088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inel oxide
- oxide
- carbonate
- transition metal
- clas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029 spin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2
- 239000010406 cathod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01354 calc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975 co-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2905 metal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um chloride Substances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8
- ATRRKUHOCOJYRX-UHFFFAOYSA-N Ammon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H4+].OC([O-])=O ATRRKUHOCOJYR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1099 ammon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164 primary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163 secondary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501 ammonium carbo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550 sodium carbo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013 Ammon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2538 ammon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01 rub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1
- 150000005324 oxide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798 spherical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3289 Ni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35 carbonate co-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metal complex carbonat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EMRFAOFKBGASW-UHFFFAOYSA-N 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O)=O AEMRFAOFKBGA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45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6 solid phas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1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UHFFFAOYSA-N 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H+].[H+].[O-]C(=O)C(O)C(O)C([O-])=O FEWJPZIEWOKR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Natural products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48 anodi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77 carb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96 coordination complex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RKTYLMNFRDHKIL-UHFFFAOYSA-N copper;5,10,15,20-tetraphenylporphyrin-22,24-diide Chemical compound [Cu+2].C1=CC(C(=C2C=CC([N-]2)=C(C=2C=CC=CC=2)C=2C=CC(N=2)=C(C=2C=CC=CC=2)C2=CC=C3[N-]2)C=2C=CC=CC=2)=NC1=C3C1=CC=CC=C1 RKTYLMNFRDHKI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1 de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82 device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9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AUUZASCMSWKGX-UHFFFAOYSA-N manganese nickel Chemical compound [Mn].[Ni] ZAUUZASCMSWK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596 manganese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079 manganese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2 manganese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QQMAOCOWKFBNP-UHFFFAOYSA-L manganese(II) sulfate Chemical compound [Mn+2].[O-]S([O-])(=O)=O SQQMAOCOWKFBN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02 metal oxide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9 pH adjus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5 tart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06 tart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C01D15/02—Oxides; Hyd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01G45/12—Complex oxides containing manganese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 C01G45/1221—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trivalent manganese, tetravalent manganese or mixtures thereof
- C01G45/1242—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trivalent manganese, tetravalent manganese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 (Mn2O4)-, e.g. LiMn2O4 or Li(MxMn2-x)O4
-
- C01G53/006—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 C01G53/42—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4—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2O4)-, e.g. Li(NixMn2-x)O4 or Li(MyNixMn2-x-y)O4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30—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01P2002/32—Three-dimensional structures spinel-type (AB2O4)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0—Agglomerated part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1—Powder tap dens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율특성이 향상된 Li1+x[MyMn(2-y)]O4-zSz
(0≤x≤0.1, 0.01≤y≤0.5, 0.01≤z≤0.5, M=Mn, Ni, Mg)의 조성식을 가지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넬 산화물의 시작물질의 탄산염 공침법 및 황 첨가후 하소에 의해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3V급 스피넬 산화물은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입자의 형태가 구형이며, 이것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는 3V전위에서의 평탄면이 우수하고, 전지의 수명특성도 우수하다.
리튬이차전지, 탄산염 침전법, 양극 활물질, 3V 스피넬, 활물질, 나노입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된 반응기의 단면도.
도 2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SEM 사진.
도 3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SEM 사진.
도 4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X-선 회절분석 사진.
도 5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2.4 ∼ 3.5V 전위영역에서의 전압 대 용량 그래프.
도 6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 2.4 ∼ 3.5V 전위영역에서의 방전용량 대 싸이클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2.4 ∼ 3.5V 전위영역에서의 고율 방전용량 싸이클 그래프.
도 8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X-선 회절분석 사진.
도 9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2.4 ∼ 3.5V 전위영역에서의 전압 대 용량 그래프.
도 10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2.4 ∼ 3.5V 전위영역에서의 방전용량 대 싸이클 그래프.
도 11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2.4 ∼ 3.5V 전위영역에서의 고율 방전용량 싸이클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료투입구 2 : 회전날개
3 : 배플 4 : 오버플로우 파이프
5 : 회전모터 6 : 케이스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조성식 Li1+x[MyMn(2-y)]O4-zSz(0≤x≤0.1, 0.01≤y≤0.5, 0.01≤z≤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의 3V급 스피넬 산화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포함하는 3V급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휴대용개인정보단말기(PDA), 노트북컴퓨터 등 정보통신용 휴대용 전자기기,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MP3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으로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며 사용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들 제품의 성능은 핵심부품인 이차전지에 의해 좌우되므로 고성능 전지에 대한 요구는 대단히 크다.
최근에는 전자 소자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제품의 소형 및 경량화 추세와 함께, 전자소자의 구동전압이 낮아지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는 대부분의 리튬이차전지는 4V급에 한정되어 있어, 향후 저전압용 전자소자들의 구동에 필요한 3V급 전지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리튬이차전지의 재료 가격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양극활물질이다. 양극활물질 제조의 가장 일반적인 제법은 고상반응법인데, 이것은 각 구성원소의 탄산염 혹은 수산화물을 원료로 하여 이들의 분말을 혼합ㆍ소성하는 과정을 수차례 거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상반응법은 고체상들의 고용체(solid solution) 형성의 어려움 및 혼합시 불순물의 유입이 많고, 입자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곤란하며, 제조시 높은 온도와 제조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구성원소를 원자 범위까지 제어 가능한 습식방법 중, 탄산염 공침법에 의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시작물질의 제조는, 구형의 금속복합 탄산화물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진 스피넬 산화물에는 4V급으로 사용 가능한 LiMn2O4와 Mn을 전이금속으로 부분 치환하여 5V 영역에서도 사용가능한 LiMxMn(2-x)O4형태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3V급으로의 개발은 망간 3+에 기인한 얀텔러 뒤틀림(Jahn- Teller distortion)이라는 구조변이 때문에 개발에 한계성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3V급 구동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개발은 스피넬산화물 형태와 LixMnO2 층상계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층상계 LixMnO2의 경우에는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스피넬로의 상전이가 급격히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피넬 산화물은 일본특허 특개평 2001-180937과 특개평 2000-243339에서 보고한 Li4Mn5O12
형태의 스피넬을 보고하였으나, 불활성분위기나 진공분위기에서 산소량을 제어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고, 제조 변수가 복잡하여 재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국특허 US6,361,755B1의 경우, Li4Mn5O12 의 저온영역에서의 제조를 보고하고 있으나, 제조시간이 24시간 이상 길게는 5일까지 걸리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US5,135,732의 경우, 400℃ 이하의 온도에서 LiMn2O4 를 제조하고, 2.4V∼3.5V의 전위영역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고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수명특성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3V급 리튬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로서 사용되는 조성식 Li1+x[MyMn(2-y)]O4-zSz(0≤x≤0.1, 0.01≤y≤0.5, 0.01≤z≤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의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포함하는 3 V전위에서의 평탄면이 우수하고, 수명특성 및 고율방전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Li1+x[MyMn(2-y)]O4 (0≤x≤0.1, 0.01≤y≤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양극활물질은 S가 더 첨가된 Li1+x[MyMn(2-y)]O4-zS
z (0≤x≤0.1, 0.01≤y≤0.5, 0.01≤z≤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3V급 스피넬 산화물은 입경이 10∼50㎚인 1차 입자의 응집으로 이루어진 구형의 2차 입자로서 입경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포함하는 3V급 리튬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산가스를 퍼징한 증류수, 중심금속인 Mn을 제외한 2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수용액, 암모니아 용액 및 탄산염 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해 전이금속 복합탄화물로 제조하고, 상기 전이금속 복합탄화물을 1차 하소하여 전이금속 복합산화물로 제조하고, 리튬염을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의 당량비에 비해 과량 첨가하 고 2차 하소하여 Li1+x[MyMn(2-y)]O4-zSz(0≤x≤0.1, 0.01≤y≤0.5, 0.01≤z≤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이금속은 Ni, Mg, Ti, V, Cr, Fe, Co, Cu, Zn, Al, Ga, Rb, Ge, Mo, Nb, Zr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또한, 상기 전이금속은 질산염, 황산염, 인산염 및 염화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의 1차 및 2차 하소 온도는 500℃ 내지 800℃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암모늄수소카보네이트, 암모늄카보네이트 및 나트륨수소카보네이트 용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용액의 산도는 pH 4 내지 pH 13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에 전체 전이금속 복합산화물 대비 0.01∼0.5 몰비의 황을 더 첨가하고 2차 하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에 이용되는 양극화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탄산가스를 퍼징한 증류수, 중심금속인 Mn을 제외한 2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암모니아 용액 및 탄산염 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해 전이금속 복합탄화물로 제조하고, 하소한 후에, 리튬염을 첨가하여 하소함으로써, Li1+x[MyMn(2-y)]O4 (0≤x≤0.1, 0.01≤y≤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식에 의한 탄산염공침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크기의 1차 입자들과 이러한 1차 입자들로 형성된 구형의 2차입자는 리튬의 삽입 탈리시 발생하는 큐빅스피넬에서 정방정계로의 상전이를 감소시킴으로써 3V 영역에서의 전위평탄면이 우수하고, 수명특성 또한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3V급 스피넬 산화물은 입경이 10∼50㎚인 1차 입자의 응집으로 이루어진 구형의 2차 입자로서 입경이 5∼20㎛인 것이 바람직한데, 1차 입자의 평균 입경을 10∼50㎚로 제조하는 것에 의해 리튬이온의 확산속도를 높여 고율방전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한편, 2차 입자의 평균 입경을 5∼20㎛, 바람직하게는 10㎛로 제조하는 것에 의해 리튬복합산화물의 충진성을 높이고 코팅력을 향상시켜 전극을 고용량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V급 스피넬 산화물은 치환 금속으로 0.01∼0.5 몰%의 S를 더 포함함으로써, 고용량, 수명특성 및 고율방전특성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탄산가스를 퍼징한 증류 수, 중심금속인 Mn을 제외한 2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수용액, 암모니아 용액 및 탄산염 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해 전이금속 복합탄화물로 제조하고, 상기 전이금속 복합탄화물을 1차 하소하여 전이금속 복합산화물로 제조하고, 리튬염을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의 당량비에 비해 과량 첨가하고 2차 하소하여 Li1+x[MyMn(2-y)]O4-zSz(0≤x≤0.1, 0.01≤y≤0.5, 0.01≤z≤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2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복합수용액과 암모니아 용액, 탄산염 용액 및 1L/min의 유량으로 탄산가스를 반응기안에 퍼지하였다. 일예로 (Ni0.25Mn7.5)CO3를 합성하기 위한 반응 메커니즘은 아래와 같다.
Ni2+(aq.) + Mn2+(aq.) + xNH3
2+ → [NiMn(NH3)n
2+](aq.) + (x-n)NH3
2+ (aq)
[NiMn(NH3)n2+](aq.) + yCO3
2- + zH2O → [NiMn]CO
3(s) + nNH3
2+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반응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모터(5)와 연결된 회전날개(2)가 역 날개식으로 설계되고, 1∼3개의 배플(3:baffle)이 내벽과 2∼3cm 이격된 구조를 가진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역 날개식 설계는 원료투입구(1)로 공급된 원료의 상하 균일 혼합을 위한 것이고, 반 응기의 내면에 설치된 배플(baffle)을 내벽과 이격시키는 것은 물결의 세기와 농도를 조절하며, 터블런트(turbulent) 효과를 증대시켜 반응액의 지역적 불균일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응기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반응기를 사용한 경우보다 얻어진 탄산화물의 탭 밀도가 약 10% 이상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탄산화물의 탭 밀도는 1.6g/㎤,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1.8g/㎤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g/㎤이다. 상기 혼합용액의 반응기에서의 체류시간은 5∼20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이 정상상태에 도달한 후 오버플로파이프(4: overflow pipe)를 통하여 구형의 전이금속 복합탄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기에 2종이상의 전이금속, 암모니아 수용액, 탄산염 수용액과 탄산가스를 투입하여 혼합용액을 교반 반응시켜 금속복합탄산화물의 침전물을 얻고 상기 침전물을 1차 하소하여 금속복합산화물을 얻은 후, 상기 금속복합산화물에 리튬염을 첨가하고 2차 하소하여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금속용액에 암모니아수와 탄산암모늄을 섞은 후 침전시키는 기존의 배치형(batch type)과는 달리, 2종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수용액, 암모니아 수용액, 탄산염 수용액 및 탄산가스를 동시에 반응기에 투입함으로써, 금속 이온들의 초기 산화를 방지하여 입자의 균일성과 금속원소들이 균일하게 분포된 침전물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암모늄수소카보네이트, 암모늄카보네이트 및 나트륨수소카보네이트 용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산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는 반응기에 퍼지하는 것으로 공급할 수 있는데 탄산염의 산화를 방지하며, 혼합용액의 CO3
2+ 이온의 농도를 높여 반응 중 부족할 수 있는 탄산염을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전이금속은 Ni, Mg, Ti, V, Cr, Fe, Co, Cu, Zn, Al, Ga, Rb, Ge, Mo, Nb, Zr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는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전이금속에 리튬, 망간 및 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의 1차 및 2차 하소는 500℃ 내지 8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소온도가 500℃미만에서는 최종 스피넬 산화물의 결정성이 감소하며, 황이 부분 치환되는 경우에는 불순물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며, 8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정성이 증가하여 3V 급의 용량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구연산, 주석산, 우레아, 포름산, 글리콜산, 폴리아크릴산, 아디픽산, 및 글리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의 산도는 pH 4 내지 pH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에 전체 전이금속 복합산화물 대비 0.01∼0.5 몰비의 황을 더 첨가하고 2차 하소할 수 있는데, 황이 부분 치환됨 에 따라 2θ 15o 영역에서의 NiO 불순물이 제거되며, 잘 발달된 공간군 Fd-3m을 가지는 스피넬 큐빅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제조하는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도 1의 반응기(용량 4L, 회전모터 1000rpm이상)에 증류수 2리터를 넣은 뒤 탄산가스를 반응기에 1리터/분의 속도로 버블링하여 용해되도록 공급함으로써, 용존산소의 제거 및 탄산이온의 보충을 위해 퍼징을 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60℃로 유지시키면서 1000rpm으로 교반하였다.
황산니켈, 황산망간의 몰비가 0.25:0.75의 비율로 혼합된 2M 농도의 금속 수용액을 0.5리터/시간으로 8리터를, 0.2M 농도의 암모니아 용액을 0.67리터/시간으로 상기 반응기에 8리터 연속적으로 투입하였다. 2M 농도의 탄산나트륨 용액을 pH 조정을 위해 즉, pH가 7.5로 유지되도록 8리터를 공급하였다.
임펠러 속도는 1000rpm으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평균체류시간은 3시간 정도로 유량을 조절하였으며, 반응이 정상상태에 도달한 후 오버플로파이프(overflow pipe)를 통하여 구형의 니켈망간 복합탄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얻었다. 얻은 금속복합탄산화물을 여과 및 물 세척 후 110℃ 온풍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시키고, 500℃에서 5시간 1차하소하여 금속복합산화물 형태의 전구체를 얻었다.
상기 전구체와 수산화리튬을 1 : 1.06 몰비로 혼합한 후 1℃/min 승온 속도로 가열한 후 500℃, 5시간 2차 하소시켜 Li1.06Ni0.5Mn1.5O4 스피넬 산화물을 얻었다.
도 2는 상기 금속복합탄산화물을 500℃에서 열처리 하여 수득된 스피넬 산화물의 FE-SEM 사진이다. 상기 스피넬 산화물 분말은 평균 입경이 10㎛로, 그 입도 분포가 아주 균일한 구형이었으며, 분말의 탭 밀도는 1.5∼2.0g/㎤이었다. 또한, 이것의 표면을 보면 약 50㎚ 이하의 미소한 분말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4(a), 8(a)는 소결하여 얻은 상기 스피넬 산화물 분말의 X-ray 회절 패턴이다. 800℃ 고온에서 소결시킨 분말의 경우 2θ 15o 영역에서의 NiO 불순물이 발견되었으나, 이를 제외하고는 공간군 Fd-3m을 가지는 스피넬 큐빅(spinel cubic)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에서 전구체와 수산화리튬을 1 : 1.06 몰비로 혼합한 후 1℃/min 승온 속도로 가열한 후 800℃로 5시간 동안 2차 하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Li1.06Ni0.5Mn1.5O4 스피넬 산화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금속복합산화물 형태의 전구체와 수산화리튬, 황의 몰비를 1:1.06:0.05 비율로 혼합한 후 1℃/min 승온 속도로 가열한 후 500℃, 5 시간 2차 하소시켜 Li1.06[Ni0.5Mn1.5]O3.95S0.05 스피넬 산화물 분말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스피넬 산화물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용 양극과 코인전지를 제조하였다.
도 3은 Li1.06[Ni0.5Mn1.5]O4-ySy (y = 0.05) 활물질의 500℃에서 2차 하소하여 수득된 스피넬산화물의 FE-SEM 사진이다.
도4(b), 8(b)는 황이 부분 치환된 리튬복합산화물 분말을 500℃에서 2차 하소하여 얻은 분말의 X-ray 회절 패턴이다. 황이 부분 치환됨에 따라 2θ 15o 영역에서의 NiO 불순물이 제거되었으며, 잘 발달된 공간군 Fd-3m을 가지는 스피넬 큐빅(spinel cubic)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금속복합산화물 형태의 전구체와 수산화리튬, 황의 몰비를 1:1.06:0.05 비율로 혼합한 후 1℃/min 승온 속도로 가열한 후 800℃, 5시간 2차 하소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Li1.06[Ni0.5Mn1.5]O3.95S0.05 스피넬 산화물 분말을 얻었다.
실험 1 (스피넬 산화물의 특성평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EM 및 XRD사진을 촬영하였다.
(1) SEM
실시예 1에 의해 얻은 복합전이금속산화물 전구체 분말의 SEM(모델번호 JSM 6400, JEOL사, 일본국) 사진을 도 2 에, 실시예 3에 의해 얻은 스피넬 산화물 분말의 SEM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에서는 입자들의 크기가 10㎛로 균일하며, 모든 시료가 구형의 모폴로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XRD
X선 회절 분석 장치(모델번호 Rint-2000, Rigaku사, 일본국)를 이용하여 X선 회절 패턴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4의 2차 하소온도를 500℃, 800℃ 범위에서 다르게 하여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 Li1.06[Ni0.5Mn1.5]O4-yS
y의 (y = 0.05) X선 회절분석 사진을 도 4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하소온도가 증가하면 스피넬 산화물 결정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황이 부분 치환된 시료의 경우 불순물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실험 2 (전지의 특성평가I)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 분말의 전지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기화학 분석장치(모델번호: Toscat 3000U, Toyo사, 일본국)를 이용하여 30℃, 2.4V∼3.5V의 전위영역에서 0.2㎃/㎠의 전류밀도로 충ㆍ방전 실험을 하였다. 전극제조는 양극 활물질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 분말, 도전재로는 아세틸렌블랙, 결합제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80:1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20㎛ 두께의 알루미늄박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20℃에서 진공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과, 리튬 호일을 상대 전극으로 하며, 다공성 폴리에틸렌막(셀가르드 엘엘씨 제, Celgard 2300, 두께: 25㎛)을 세퍼레이터로 하고,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에틸 카보네이트가 부피비로 1:1로 혼합된 용매에 LiPF6가 1M 농도로 녹아 있는 액체 전해액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조공정에 따라 코인 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인 전지를 전기화학 분석장치(Toyo System, Toscat 3100U)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스피넬 산화물 분말로 이루어진 양극 활물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도면 5 및 도면 9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2차 하소온도를 500℃ 또는 800℃ 에서 소성한 황이 부분 치환된 시료와 치환되지 않은 스피넬 산화물을 사용한 전지의 전압곡선 대 용량 그래프이다. 상기 전압 대 용량 곡선은 3V전위영역( 2.8V)에서의 전위 평탄면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이것으로부터 황이 부분 첨가된 시료의 경우 방전용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도면 4 및 도8의 X-선 회절분석 결과에서 불순물의 감소에 따른 현상으로 기인한다.
도면 6 및 도 10은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을 사용한 전지의 방전용량 대 충ㆍ방전횟수 그래프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스피넬 산화물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는 50번의 충ㆍ방전 후에도 초기방전용량의 95%이상의 우수한 방전용량을 보여 수명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3 (전지의 특성평가II)
실험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을 구성한 후 방전전류밀도를 5C 까지 고율방전을 실시하였다. 도면 7, 11은 상기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스피넬 산화물을 사용한 전지의 방전용량 대 충ㆍ방전횟수 그래프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스피넬 산화물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는 고율 방전용량이 매우 높으며, 용량보존율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스피넬 산화물은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입자의 형태가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양극활물질로 사용하는 전지는 3V전위에서의 평탄면이 우수하고, 수명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황이 부분 첨가된 활물질은 고용량을 나타내며, 고율특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Claims (11)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Li1+x[MyMn(2-y)]O 4 (0≤x≤0.1, 0.01≤y≤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S가 더 첨가된 Li1+x[MyMn(2-y)]O 4-zSz (0≤x≤0.1, 0.01≤y≤0.5, 0.01≤z≤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
-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V급 스피넬 산화물은 입경이 10∼50㎚인 1차 입자의 응집으로 이루어진 구형의 2차 입자로서 입경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3V급 스피넬 산화물을 포함하는 3V급 리튬이차전지.
-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탄산가스를 퍼징한 증류수, 중심금속인 Mn을 제외한 2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수용액, 암모니아 용액 및 탄산염 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해 전이금속 복합탄화물로 제조하고, 상기 전이금속 복합탄화물을 1차 하소하여 전이금속 복합산화물로 제조하고, 리튬염을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의 당량비에 비해 과량 첨가하고 2차 하소하여 Li1+x[MyMn(2-y)]O4-zS z(0≤x≤0.1, 0.01≤y≤0.5, 0.01≤z≤0.5, M=Mn, Ni 및 Mg 중 어느 하나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Ni, Mg, Ti, V, Cr, Fe, Co, Cu, Zn, Al, Ga, Rb, Ge, Mo, Nb, Zr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질산염, 황산염, 인산염 및 염화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의 1차 및 2차 하소 온도는 500℃ 내지 800℃임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암모늄수소카보네이트, 암모늄카보네이트 및 나트륨수소카보네이트 용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의 산도는 pH 4 내지 pH 13임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에 전체 전이금속 복합산화물 대비 0.01∼0.5 몰비의 황을 더 첨가하고 2차 하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V급 스피넬 산화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9582A KR100639526B1 (ko) | 2005-02-02 | 2005-02-02 |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한 3볼트급 스피넬 산화물, 그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JP2007554001A JP5205061B2 (ja) | 2005-02-02 | 2005-09-27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しての3v級スピネル複合酸化物、炭酸塩共沈法による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PCT/KR2005/003195 WO2006083069A1 (en) | 2005-02-02 | 2005-09-27 | 3v class spinel complex oxides as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by carbonate coprecipita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
US11/883,508 US8956759B2 (en) | 2005-02-02 | 2005-09-27 | 3V class spinel complex oxides as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by carbonate coprecipita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
DE112005003441T DE112005003441T5 (de) | 2005-02-02 | 2005-09-27 | Spinell-Komplexoxide der 3V-Klasse als kathodische Aktivmaterialien für Lithium-Sekundärbatteri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urch Carbonat-co-Precipitation, und diese verwendende Lithium-Sekundärbatterien |
US14/525,687 US9553313B2 (en) | 2005-02-02 | 2014-10-28 | 3V class spinel complex oxides as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by carbonate coprecipita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9582A KR100639526B1 (ko) | 2005-02-02 | 2005-02-02 |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한 3볼트급 스피넬 산화물, 그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8666A true KR20060088666A (ko) | 2006-08-07 |
KR100639526B1 KR100639526B1 (ko) | 2006-10-30 |
Family
ID=3677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9582A KR100639526B1 (ko) | 2005-02-02 | 2005-02-02 | 탄산염 공침법을 이용한 3볼트급 스피넬 산화물, 그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8956759B2 (ko) |
JP (1) | JP5205061B2 (ko) |
KR (1) | KR100639526B1 (ko) |
DE (1) | DE112005003441T5 (ko) |
WO (1) | WO2006083069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370B1 (ko) * | 2007-03-29 | 2008-12-05 | 대정이엠(주) | 리튬 이차전지용 스피넬형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31688A (ko) * | 2013-09-16 | 2015-03-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양극과 리튬이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01540B2 (ja) * | 2009-08-27 | 2014-10-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正極活物質の評価方法 |
CN102823033A (zh) | 2010-04-01 | 2012-12-12 | 三菱化学株式会社 | 锂二次电池用正极材料及其制造方法、以及锂二次电池用正极及锂二次电池 |
JP6058553B2 (ja) * | 2011-01-10 | 2017-01-11 |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 遷移金属炭酸塩の製造方法 |
JP5720899B2 (ja) * | 2011-03-31 | 2015-05-20 | 戸田工業株式会社 | マンガンニッケル複合酸化物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粒子粉末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5765179B2 (ja) * | 2011-10-14 | 2015-08-19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気化学デバイス用正極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 |
US9991566B2 (en) | 2011-11-03 | 2018-06-05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secondary lithium batteries |
CN104716315A (zh) * | 2013-12-16 | 2015-06-17 | 青岛乾运高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核壳结构锂离子电池正极材料固溶体的制备方法 |
WO2018015208A1 (en) | 2016-07-20 | 2018-01-25 | Haldor Topsøe A/S | A METHOD FOR THE PRECIPITATION OF CARBONATE PRECURSORS WITH A LOW Na, K AND S CONTENT FOR LITHIUM ION BATTERIES |
CN109415225A (zh) | 2016-07-20 | 2019-03-01 | 托普索公司 | 用于在不使用螯合剂下沉淀金属碳酸盐材料颗粒的方法 |
KR20230122178A (ko) * | 2016-08-25 | 2023-08-22 | 토프쉐 에이/에스 | 고 전압 2차 배터리를 위한 캐소드 활성 물질 |
TWI837083B (zh) * | 2017-01-18 | 2024-04-01 | 加拿大商納諾萬麥帝瑞爾公司 | 鋰離子陰極的製造方法及鋰離子陰極及包含該鋰離子陰極的電池 |
WO2019188772A1 (ja) * | 2018-03-30 | 2019-10-03 |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 リチウム複合酸化物、二次電池用電極材料、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 |
WO2021080548A1 (en) * | 2019-10-21 | 2021-04-29 | Zurab Davidovych Gogitidze | A cathode material |
WO2024050830A1 (zh) * | 2022-09-09 | 2024-03-14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尖晶石型含锂锰复合氧化物及其制备方法、正极极片、二次电池及用电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35732A (en) | 1991-04-23 | 1992-08-04 |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 Method for preparation of LiMn2 O4 intercalation compounds and use thereof in secondary lithium batteries |
JPH0513107A (ja) | 1991-07-03 | 1993-01-22 | Fujitsu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 |
JP3606289B2 (ja) * | 1995-04-26 | 2005-01-05 | 日本電池株式会社 | リチウム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
EP0872905B1 (en) * | 1995-12-26 | 2005-04-27 | Kao Corporation | An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
JPH10177859A (ja) | 1996-12-18 | 1998-06-30 | Ricoh Co Ltd | 非水電解質電池用電極および該電極を用いた非水二次電池 |
JPH11180717A (ja) | 1997-12-22 | 1999-07-06 | Ishihara Sangyo Kaisha Ltd | マンガン酸リチ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電池 |
AU3203899A (en) | 1998-03-24 | 1999-10-18 |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 Low temperature synthesis of Li4Mn5O12 cathodes for lithium batteries |
KR200163879Y1 (ko) | 1999-07-27 | 2000-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흡유성 고분자 백 |
KR100354224B1 (ko) | 1999-12-24 | 2002-09-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망간계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
JP3653210B2 (ja) | 2000-04-21 | 2005-05-25 | 財団法人佐賀県地域産業支援センター | リチウムニ次電池用スピネル系マンガン酸化物の製造方法 |
US6699618B2 (en) * | 2000-04-26 | 2004-03-02 | Showa Denko K.K. | Cathode electroactive material,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secondary cell |
JP3649996B2 (ja) | 2000-05-24 | 2005-05-18 | 三洋電機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
JP2002063900A (ja) | 2000-08-14 | 2002-02-28 | Hitachi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JP2002104827A (ja) * | 2000-09-29 | 2002-04-10 | Unitika Ltd | スピネル型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JP2002134110A (ja) | 2000-10-23 | 2002-05-10 | Sony Corp |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
JP4253142B2 (ja) * | 2001-09-05 | 2009-04-08 | 日本電工株式会社 | 二次電池用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2003157844A (ja) | 2001-11-20 | 2003-05-30 | Sagaken Chiiki Sangyo Shien Center | 非水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製造方法および非水二次電池 |
JP2003203632A (ja) * | 2002-01-09 | 2003-07-18 | Hitachi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並びに組電池モジュール |
JP2004227790A (ja) * | 2003-01-20 | 2004-08-12 | Nichia Chem Ind Ltd |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
JP4581333B2 (ja) * | 2003-04-01 | 2010-11-17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251015B2 (ja) | 2003-05-22 | 2009-04-08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リチウムマンガンニッケル複合酸化物とその製造方法、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
KR100578865B1 (ko) * | 2003-10-23 | 2006-05-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 |
KR100548988B1 (ko) | 2003-11-26 | 2006-02-02 | 학교법인 한양학원 |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그 방법에 사용되는반응기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
JP2006180937A (ja) | 2004-12-24 | 2006-07-13 | Sharp Corp | 電気掃除機 |
-
2005
- 2005-02-02 KR KR1020050009582A patent/KR1006395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9-27 US US11/883,508 patent/US895675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27 JP JP2007554001A patent/JP520506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27 WO PCT/KR2005/003195 patent/WO200608306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9-27 DE DE112005003441T patent/DE112005003441T5/de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10-28 US US14/525,687 patent/US955331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370B1 (ko) * | 2007-03-29 | 2008-12-05 | 대정이엠(주) | 리튬 이차전지용 스피넬형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31688A (ko) * | 2013-09-16 | 2015-03-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양극과 리튬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41710A1 (en) | 2015-02-12 |
KR100639526B1 (ko) | 2006-10-30 |
US20100062337A1 (en) | 2010-03-11 |
WO2006083069A1 (en) | 2006-08-10 |
US8956759B2 (en) | 2015-02-17 |
DE112005003441T5 (de) | 2007-12-27 |
JP2008529253A (ja) | 2008-07-31 |
JP5205061B2 (ja) | 2013-06-05 |
US9553313B2 (en) | 201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53313B2 (en) | 3V class spinel complex oxides as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by carbonate coprecipita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 |
JP5344146B2 (ja) | 核−殻の層構造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用陽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使用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 |
JP6467352B2 (ja) | 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89632B1 (ko) | 정극 활물질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 |
KR101313575B1 (ko) | 리튬 이차 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및 상기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 |
KR100738192B1 (ko) | 코아·쉘 다층구조를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과이를 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CN109565045B (zh) | 锂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其制造方法和锂二次电池 | |
CN107579225B (zh) | 掺钛镍钴锰三元材料的制备方法 | |
EP3487813A1 (en) | A method for upscalable precipitation synthesis of battery materials with tunab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 |
CN107922212B (zh) | 锰镍复合氢氧化物及制造方法、锂锰镍复合氧化物及制造方法、以及非水系电解质二次电池 | |
JP2016528707A (ja) |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ー用カソード組成物 | |
JP7452570B2 (ja) |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 |
KR20200138238A (ko) | 리튬 이온 배터리용 캐소드 물질의 제조 방법 | |
CN107579226B (zh) | 经过锶改善的镍钴锰三元材料的制备方法 | |
JP7389376B2 (ja) |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 |
KR20110111058A (ko) | 결정성의 망간복합산화물, 리튬이차전지용 리튬망간복합산화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96889B1 (ko) | 니켈계 양극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1052458A (zh) | 锂离子阴极颗粒的制备方法以及由此形成的阴极活性材料 | |
JP2002338246A (ja) | 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及び該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電池 | |
Sun et al. |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ayered LiNi 1/2 Mn 1/2 O 2 prepared by coprecipitation | |
JP7206808B2 (ja) | コバルト-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 |
CN116375106B (zh) | 一种正极材料前驱体及其制备方法、应用 | |
JP2003054952A (ja) | 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及び該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電池 | |
KR101171962B1 (ko) | 망간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 |
JP7192397B2 (ja) | リチウム-コバルト-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