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291A - 조리개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291A
KR20060061291A KR1020057020225A KR20057020225A KR20060061291A KR 20060061291 A KR20060061291 A KR 20060061291A KR 1020057020225 A KR1020057020225 A KR 1020057020225A KR 20057020225 A KR20057020225 A KR 20057020225A KR 20060061291 A KR20060061291 A KR 2006006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perture
diaphragm
optical filt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076B1 (ko
Inventor
시게토 네기시
시게키 사이토
타카시 토마루
Original Assignee
니혼 세이미츠 속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세이미츠 속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세이미츠 속키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광로 상에 자유자재로 착탈 가능한 광학 필터를 구비한 조리개 장치의 소형ㆍ경량화를 꾀하고, CCTV 카메라의 렌즈 경통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광로를 형성하는 개구부(10a)를 가진 조리개 기판(10)과, 조리개 기판의 한쪽 판면에 배치되고, 상기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광로를 조리개 조절하는 한 쌍의 조리개 날개(12), (13)와, 광로를 조리개 조절하기 위해서 조리개 날개(12), (13)를 구동시키는 조리개 구동장치(20)와, 파장에 따른 투과 특성을 가지는 광학 필터(적외 컷 필터)(15)와, 광학 필터를 광로 상에 삽입하거나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필터 구동장치(30)를 구비한다. 광학 필터를 박막상(薄膜狀)으로 형성하여 두장의 조리개 날개(12), (13) 사이에 배치하고, 조리개 날개를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광학 필터(15)는 지지축(10c)에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시키고, 조리개 구동장치(20)와 필터 구동장치(30)를 모두 광로에 대해 같은 쪽에 배치한다.
광학 필터, 조리개 장치, 조리개 기판, 조리개 날개, 구동장치

Description

조리개 장치{Diaphragm}
본 발명은, 적외 컷 필터(cut filter) 등의 광학 필터를 광로(光路) 상에서 자유자재로 착탈 가능하도록 탑재된 광학 조리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TV(감시 카메라 시스템)용 렌즈 등의 촬영 장치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조리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야 감시 카메라 시스템으로써, 카메라 바디의 칼라 촬상 소자(CCD 또는 CMOS 등) 상에, 주간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결상(結像)시켜 칼라 촬영을 실시하고, 야간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에 보태어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결상시켜 흑백 촬영을 실시하고, TV모니터 상에 감시 영상을 영사(映寫)해내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이 시스템은, 주간 촬영시에는, 촬상 소자의 전방(카메라 바디 내 또는 렌즈 경통(鏡筒) 내)에 적외 컷 필터를 위치시켜, 가시광선 영역의 빛에만 기초하여 칼라 촬영을 실시하고, 야간 촬영시에는, 상기 필터를 촬상 소자의 전방으로부터 제거하여, 적외선 파장 영역 및 가시 파장 영역의 빛에 기초하여 흑백 촬영을 실시한다.
도 4(a), (b)는, 적외 컷 필터를 카메라 본체 내에 구비하는 종래의 CCTV 카 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이 CCTV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00A)와 그 전방에 장착된 렌즈 경통(200A)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본체(100A)의 내부에는, 촬상 소자(130)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적외 컷 필터(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경통(200A)의 내부에는, 조리개(210)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00A) 내의 적외 컷 필터(110)는, 카메라 본체(100A) 내에 설치된 모터 등의 필터 구동용 액츄에이터(230)에 의해 구동되고, 촬상 소자(130)의 전방의 광로(L) 상에 삽입되거나 광로(L) 상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4(a)는 적외 컷 필터(130)가 광로(L) 상에 삽입된 상태, (b)는 적외 컷 필터(130)가 광로(L) 상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렌즈 경통(200A) 내의 조리개(210)는, 렌즈 경통(200A) 내에 설치된 검류계(galvanometer) 등의 조리개 구동용 액츄에이터(220)에 의해 구동되어, 그 조리개 개구(開口)의 크기가 조절된다.
도 4의 (a)상태에서는, 적외 컷 필터(110)가 광로(L) 상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경통(200A)에 입사한 빛은, 조리개(210)를 통해 카메라 본체(100)에 입사하고, 적외 컷 필터(110)를 투과하고 촬상 소자(130)에 도달하여, 피사체상(被寫體像)으로써 투영된다. 한편, (b)상태에서는, 적외 컷 필터(110)가 광로(L) 상으로부터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경통(200)에 입사한 빛은, 조리개(210)를 통해 카메라 본체(100)에 입사하고, 적외 컷 필터(110)를 통하는 일 없이, 촬상 소자(130)에 직접 도달하여, 피사체상으로써 투영된다.
또한, 도 5(a), (b)는, 적외 컷 필터를 렌즈 경통 내에 구비하는 다른 종래 형의 CCTV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이 CCTV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00B)와 그 전방에 장착된 렌즈 경통(200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외 컷 필터(110) 및 필터 구동용 액츄에이터(230)는, 도 4의 종래예와 달리, 카메라 본체(100B)의 내부가 아니라 렌즈 경통(200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130)와 조리개(210)에 대해서는, 도 4의 예와 동일하다.
또한, 이 CCTV 카메라에서는, 적외 컷 필터(110)에 인접하여, 더미(dummy) 필터(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미 필터(111)는, 적외 컷 필터(110)와 거의 같은 두께의 투광성 평행 평면판으로 된 것으로, 적외 컷 필터(110)가 광로(L) 상에 있을 때와 없을 때의 광로장(光路長)의 차이를 보상하고, 광로장(光路長)의 차이에 의한 촬상 소자(130)에 대한 핀트(focus) 차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적외 컷 필터(110)와 더미 필터(111)는, 도시를 생략한 같은 홀더에 장착되어 있고, 홀더를 필터 구동용 액츄에이터(230)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적외 컷 필터(110) 또는 더미 필터(111) 중 어느 한쪽이 광로(L)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외 컷 필터는 비교적 두께가 있는 것(0.5㎜이상)이기 때문에, 특허 문헌1에 기재된 CCTV 카메라에서는, 조리개 기판(도시 생략)의 한쪽 판면측에 조리개 날개를 배치한 경우, 조리개 기판의 다른 한쪽 판면측에 적외 컷 필터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조리개 부분의 구성의 복잡화를 피하면서, 적외 컷 필터를 일체(一體)로 구비한 조리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1: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189238호
그런데, 도 4의 종래의 CCTV 카메라에서는, 적외 컷 필터(110)를 카메라 본체(100A)의 내부에 배치하고 있지만, 최근의 CCTV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00A)가 점차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적외 컷 필터(110) 및 그 구동기구(액츄에이터(230))를 카메라 본체(100A) 내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그래서, 도 5와 같이 렌즈 경통(200B) 내에 조리개(230)와 함께 적외 컷 필터(110)를 설치하는 것이 유망해졌다. 특히, 특허 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리개 장치에 적외 컷 필터와 그 구동기구를 일체로 장착하는 것이 행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특허 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적외 컷 필터를 일체로 장착한 구성의 조리개 장치에서는, 적외 컷 필터로써 비교적 두께가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부터, 조리개 날개나 적외 컷 필터의 작동성 등을 고려할 경우, 적외 컷 필터와 조리개 날개를, 조리개 기판의 표리면(表裏面)에 각각 배치하는 구성을 취할 수 밖에 없는데, 그 때문에, 조리개 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핀트(focus) 보정을 고려할 경우, 적외 컷 필터 이외에 광로장을 가지런히 하기 위한 더미 필터도 사용해야 됨으로 인해 소형화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다. 특히, 두께가 있는 적외 컷 필터에 보태어 더미 필터를 사용했을 경우는, 필터의 무게도 늘어나므로, 필터 구동계도 대형화되어 버리고, 렌즈 경통을 소형ㆍ경량화시킨다는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어려워졌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광로 상에 대해 자유자재로 착탈 가능한 광학 필터를 일체로 설치하면서 소형ㆍ경량화를 꾀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예 를 들면 CCTV 카메라의 렌즈 경통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조리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은, 광로(光路)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가진 조리개 기판과, 이 조리개 기판의 한쪽 판면에 배치되고 상기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하는 것으로 광로를 조리개 조절하는 조리개 날개와, 광로를 조리개 조절하기 위해 조리개 날개를 구동시키는 조리개 구동수단과, 파장에 따른 투과 특성을 가지는 광학 필터와, 이 광학 필터를 광로 상에 삽입하거나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필터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터를 박막상(薄膜狀)으로 형성하여 조리개 기판의 한쪽 판면측에 배치하여, 조리개 날개를 자유자재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조리개 장치에서는, 광학 필터를 박막상으로 형성하고, 조리개 기판의 한쪽 판면측에 조리개 날개와 함께 배치하여, 조리개 날개를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리개 기판의 표리면 양쪽에 각각 조리개 날개와 광학 필터를 배치한 종래예에 비해,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가 박막상이기 때문에, 조리개 날개 간의 틈새나 조리개 날개와 조리개 기판의 틈새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 광학 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날개의 작동에 지장을 주는 일 없이, 자신의 슬라이드 성능도 확보하면서, 광학 필터를 무리 없이 조리개 장치 안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터를 광로 상에 대해 자유자재로 착탈 가능하도록 일체로 구성하면서도, 조리개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를 박막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광학 필터가 광로 상에 있을 때와 없을 때의 광로장의 차이를 거의 없앨 수 있고, 핀트 차이 방지를 위한 더미 필터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필터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의 중량의 증가나 공간의 증가를 배제할 수 있고, 렌즈 경통 등에 넣을 때 조립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렌즈 경통 등의 경량ㆍ소형화에도 공헌할 수 있다.
제2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조리개 장치로, 상기 조리개 날개가 서로 적층한 상태로 두 장 설치되어 있고, 그 두 장의 조리개 날개 사이에, 상기 박막상으로 형성한 광학 필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조리개 장치에서는, 두 장의 조리개 날개의 틈새에 광학 필터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광학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이 불필요하고,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것은, 광학 필터를 박막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제3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리개 장치로, 상기 광학 필터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 컷 필터이고, 두께가 0.25㎜이하인 박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조리개 장치에서는, 광학 필터로써 두께가 0.25㎜이하인 박막상을 사용했기 때문에, 광로에 대한 광학 필터의 유무에 의한 광로장의 차이를 거의 없앨 수 있다. 따라서, 핀트 차이를 고려한 광학 설계가 불필요해지고, 더미 필터가 불필요해져서,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더미 필터가 불필요하고, 광학 필터 자체도 박막상으로 경량화됨으로, 필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어, 필터 구동수단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가,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투과하고, 적외(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 컷 필터 때문에, CCTV 카메라용의 조리개 장치로써 매우 적합하고, 야간 촬영시에는, 광학 필터를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으로, 적외선 영역의 빛을 투과시켜 촬영할 수 있고, 주간 촬영시에는, 광학 필터를 광로 상에 삽입하는 것으로,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cut)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제4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리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조리개 기판의 단부에 설치된 축에 자유자재로 회동(回動)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광로 상에 삽입되거나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필터를 조리개 날개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방식은, 직선 이동식으로도 회동식으로도 되지만, 이 발명의 조리개 장치에서는, 조리개 기판의 단부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식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광학 필터를 홀더 등에 장착시키지 않고 직접 회전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광학 필터의 구동계를 공간절약형의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회동식(회전 슬라이드식)으로 한 것에 의해, 조리개 날개 간의 작은 틈새에 있어 무리 없이 광학 필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5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리개 장치에 있어, 상기 조리개 구동수단과 필터 구동수단이 모두, 상기 조리개 기판 상에 있어 상기 광로에 대해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조리개 장치에서는, 비교적 용적이 큰 부품인 조리개 구동수단과 필터 구동수단을, 광로에 대해서 같은 쪽에 설치하고 있다. 즉, 조리개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큰 치수를 가지는 부품(조리개 구동수단 및 필터 구동수단)을, 광로를 사이에 둔 양쪽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조리개 기판의 한쪽 편에 한데 모아 배치하고 있으므로, 그 반대쪽 부분을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 장치를 렌즈 경통에 끼워 넣는 경우에, 어느 쪽의 구동수단이 방해되는 일 없이, 그 얇게 유지한 부분을 먼저 렌즈 경통에 옆으로부터 집어넣으면서, 조리개 장치를 렌즈 경통에 무리 없이 끼워 넣을 수 있어, 렌즈 경통 등에 설치하는 것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제6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리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구동수단은, 상기 광학 필터가 광로 상의 제1의 위치와 광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의 위치의 중간 위치보다도 제1의 위치 쪽에 있을 때 광학 필터를 제1의 위치에 자력에 의해 보관 유지하고, 광학 필터가 상기 중간 위치보다도 제2의 위치 쪽에 있을 때 광학 필터를 제2의 위치에 자력에 의해 보관 유지하는 필터 보관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리개 장치에서는, 광로 상에 대해 넣고 빼기 위해서 광학 필터를 구동시킬 때 이외에는, 자력에 의해 광학 필터의 위치를, 제1의 위치 또는 제2의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확실히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터의 넣고 빼는 동작을 광학 필터로 전달한 시점에서, 필터 구동수단으로의 통전(通電)을 멈출 수 있어, 필터 구동수단의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7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6항에 기재된 조리개 장치로, 상기 필터 보관 유지 수단이, 상기 광학 필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로터(rotor)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상기 광학 필터를 상기 제 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의 중간 위치로 조작했을 때 상기 영구자석이 서로 인접하는 N극과 S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배치되고, 동시에 상기 N극 또는 S극 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켜 그것에 의해 로터에 회전 부세력(付勢力)을 부여하는 자성(磁性)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리개 장치에서는, 광학 필터를 구동시키는 모터로의 통전을 정지했을 때, 그 때의 로터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영구자석과 자성 부분 사이의 흡인력에 의해, 광학 필터가, 제1의 위치 또는 제2의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자동적으로 자리잡는다. 즉, 중간 위치보다 제1의 위치 쪽에 광학 필터를 이동한 상태에서 모터로의 통전을 정지하면, 광학 필터는, 영구자석과 자성 부분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실하게 제1의 위치로 이동하여 보관 유지되고, 중간 위치보다 제2의 위치 쪽에 광학 필터를 이동한 상태에서 모터로의 통전을 정지하면, 광학 필터는, 영구자석과 자성 부분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보관 유지된다. 이 상태는, 모터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그대로 보관 유지되므로, 모터의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제8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리개 장치로, 상기 조리개 날개의 조리개 개구를 형성하는 투공부(透孔部)에, 상기 광학 필터와는 다른 ND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 ND필터는, 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이 가시 영역의 투과율과 거의 같은 분광 투과율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조리개 장치는, ND필터에 의해, 예를 들면 CCTV 카메라에 적용할 경우, 야간 촬영시의 적외선 광의 투과량을 가시 영역의 빛과 같은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외선 광이 과잉으로 촬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CCTV 카메라에 탑재하는 것을 전제로 할 경우, 이러한 종류의 종래 조리개 장치에 있어서는, 적외 컷 필터를 삽입하지 않는 야간 흑백 촬영시에 있어서 빛의 양의 제어 범위를 넓히기 위해, 조리개 날개에 조리개 개구 상에 위치하는 ND필터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보통 ND필터는, 적외선 광에 대해서는 투과율이 높아진 상태, 이른바 부족한 상태가 되기 쉽다. 이 때문에, 흑백 촬영시 적외선 광을 가시광선과 같도록 균일하게 억제하지 못하고, 가시광선에 비해 적외선 광의 투과량이 많아져, 적외선 광이 강한 피사체 부분은 밝아지고, 잘 보이지 않는 촬상 화상(畵像)이 된다. 이 점, 제8의 발명의 조리개 장치는, ND필터에 의해 적외선 광의 투과량을 가시 영역의 빛과 동일한 정도로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적외선 광이 강한 피사체 부분이 너무 밝아 지는 일도 없고, 잘 보이는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조리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리개 장치의 필터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로, (a)는 광학 필터가 제1의 위치(광로 상의 위치)와 제2의 위치(광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b)는 광학 필터가 제2의 위치( 광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c)는 광학 필터가 제1의 위치(광로 상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은, 상기 조리개 장치를 렌즈 경통에 옆으로 끼워 넣는 경우의 설명에 사용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CCTV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리개과 광학 필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로, (a)는 광학 필터를 광로 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 (b)는 광학 필터를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다른 종래의 CCTV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리개과 광학 필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로, (a)는 광학 필터를 광로 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 (b)는 광학 필터를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1) 조리개 장치
(2) 렌즈 경통
(10) 조리개 기판
(12), (13) 조리개 날개
(12f), (13f) ND 필터
(15) 광학 필터
(20) 조리개 구동장치(조리개 구동수단)
(30) 필터 구동장치(필터 구동수단)
(32) 로터(rotor)(영구 자석)
(36) 코일(coil)(스테이터(stator))
(37) 연자성체(軟磁性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조리개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조리개 장치(1)는, 수지 성형품으로 된 장방형(長方形) 판상(板狀)의 조리개 기판(10)과, 이 조리개 기판(10)의 윗면(한쪽 판면 상)에 서로 포개어 맞춘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슬라이딩하여 끼워 넣을 수 있는 한 쌍의 조리개 날개(12), (13)와, 이들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 사이에 회전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박막상의 광학 필터(15)와, 조리개 기판(10)의 윗면에 조리개 날개(12), (13) 및 광학 필터(15)를 끼워 넣은 후, 조리개 기판(10) 상에 조리개 날개(12), (13)를 덮도록 씌워지는 날개 커버(14)와, 조리개 기판(10)의 아랫면쪽에 끼워 넣어지는 조리개 구동장치(20) 및 필터 구동장치(30)로 구성된다.
조리개 기판(10) 및 날개 커버(14)에는, 광로(도 중 세로의 중심축선을 광축으로 한 빛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10a), (14a)가 형성되어 있고, 조리개 날개(12), (13)에는, 조리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notch, 切缺) 모양 또는 구멍 모양의 투공부(12e), (13e)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개 기판(10) 상에서 조리개 날개(12), (13)를 화살표 (f1), (f2)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상기 광로를 조리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리개 구동장치(20)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 레버(lever)에 설치한 구동 핀(21a), (21b)을 통해 조리개 날개 (12), (13)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모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 필터(15)는, 파장에 따른 투과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적외선 영역(근적외선 영역을 포함한다)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 컷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필터 구동장치(30)는, 구동 레버 (31)를 통해 광학 필터(15)를 회전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광학 필터(15)를 광로 상에 삽입하거나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고, 모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터(15)는, 0.25㎜이하의 두께의 박막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의 좁은 틈새에 삽입되어 있고, 조리개 날개(12), (13)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 사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광학 필터(15)는, 조리개 날개(12), (13)의 표면을 안내면(案內面)으로 하여 매끄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고, 박막상이면서 안정되게 넣고 빼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날개(12), (13)의 조리개 개구를 형성하는 투공부(12e), (13e)에는, 적외 컷 필터로 된 광학 필터(15)와는 다른 ND필터(12f), (13f)가 붙여져 있다. 이들 ND필터(12f), (13f)는,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이 가시 영역의 빛의 투과율과 거의 같은 분광 투과율 특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졌다.
조리개 기판(10) 윗면의 주연부(周緣部) 근방에는, 조리개 날개(12), (13)와 계합(係合)하는 선단 훅(hook)이 부착된 4개의 가이드 핀(guide pin)(11a), (11b), (11c), (11d)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리개 날개(12), (13)의 측연부(側緣部) 근방에는, 각 측연부와 평행으로 긴 홈(12a), (12b), (12c), (13a), (13b), (13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긴 홈(12a), (12b), (12c), (13a), (13b), (13c)을 가이드 핀(11a), (11b), (11c), (11d)에 끼워 넣는 것으로, 조리개 날개(12), (13)가 조리개 기판(10)의 윗면에 화살표 (f1), (f2)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직선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보관 유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핀(11a), (11b), (11c), (11d)의 선단 훅 부분이, 조리개 날개(12), (13)가 윗 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조리개 기판(10) 상에 설치되어 있는 부호(16)로 도시하는 것은, 렌즈 경통 등에 이 조리개 장치(1)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bracket)이다(도 3을 이용해 후술).
조리개 날개(12), (13)를 구동시키기 위한 요소로써는, 우선, 각 조리개 날개(12), (13)의 긴 쪽 방향 선단부에, 각각 조리개 날개(12), (13)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홈(12d), (13d)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리개 기판(10)의 아랫면 쪽에 장착된 조리개 구동장치(20)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레버는, 양끝에 조리개 기판(10)의 윗면 쪽으로 튀어나온 구동 핀(21a), (21b)을 가지는 것으로, 그 중심부가 조리개 구동장치(20)의 모터 축(도시 생략)에 결합되어 있다. 각 구동 핀(21a), (21b)에는, 각각 조리개 날개(12), (13)의 긴 쪽 방향 선단부에 설치한 가로 홈(12d), (13d)이 계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조리개 구동장치(20)의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면, 구동 핀(21a), (21b)의 회동에 의해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가 직선 슬라이딩하여, 광로의 조리개 조절을 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직선 슬라이딩하는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 사이에 배치된 광학 필터(15)는, 광로를 차단하는 부분은, 조리개 날개(12), (13)의 투공부(12e), (13e)보다 약간 큰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 끝에 바깥쪽으로 뻗어 나온 크랭크 레버(crank lever)부(15a)를 구비하는 일체 성형품이다. 크랭크 레버부(15a)의 굽은 부분에는 투공(15b)이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 레버부(15a)의 선단 쪽에는 긴 구멍(15c)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개 기판(10)의 한쪽 측연부에는, 필터 구동장치(30)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0b)이 일체로 튀어나와 설치되어 있고, 그 브래킷(10b)의 아랫면 쪽에는, 필터 구동장치(30)의 주요소인 모터(특별히 부호를 달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0a)의 근방에는, 광학 필터(1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0c)이 튀어나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10c)의 근방에, 필터 구동장치(30)의 구동 레버(31)의 선단에 설치한 구동 핀(31a)이 돌출되어 있다.
광학 필터(15)는, 크랭크 레버부(15a)의 굽은 부분에 설치한 투공(15b)을 상기 지지축(10c)에 끼워 넣는 것으로, 이 지지축(10c)을 중심으로 조리개 날개(12), (13)의 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 레버부(15a)의 선단 쪽에 설치한 긴 구멍(15c)에, 필터 구동장치(30)의 구동 핀(31a)이 계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필터 구동장치(3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구동 핀(31a)의 회동에 의해, 광학 필터(15)가 지지축(10c)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그것에 의해, 광학 필터(15)가 광로 상에 삽입되거나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되도록(광학 필터(15)가 광로 상에 대해 넣어지거나 빠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조리개 구동장치(20)와 필터 구동장치(30)는, 모두, 조리개 기판 (10) 상에 있어서 광로에 대해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조리개 기판(10)의 긴 쪽 방향의 한 끝쪽에 모아서, 조리개 구동장치(20)와 필터 구동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20), (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끝쪽은, 치수상 얇은 판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광학 필터(15)를 광로 상에 대해 넣고 빼도록 구동시키는 필터 구동장치(30)의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필터 구동장치(30)는, 모터로의 통전을 정지해도, 광학 필터(15)를 광로 상의 제1 위치(필터 사용 위치), 또는, 광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 위치(필터 미사용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자리 잡게 하여 보관 유지하는 필터 보관 유지 기능(필터 보관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필터 보관 유지 기능이라는 것은, 광학 필터(15)가 광로 상의 제1의 위치(필터 사용 위치)와 광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의 위치(필터 미사용 위치)의 중간 위치보다 제1의 위치 쪽에 있을 때, 광학 필터(15)를 자력에 의해 제1의 위치 쪽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제1의 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광학 필터(15)가 상기 중간 위치보다 제2의 위치 쪽에 있을 때, 광학 필터(15)를, 자력에 의해 제2의 위치 쪽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제2의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다.
이 광학 필터(15)를 제1의 위치 또는 제2의 위치 중 어느 한쪽에 보관 유지하는 기능(필터 보관 유지 기능=필터 보관 유지 수단)은,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광학 필터(15)를 구동하는 모터의 로터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의 N극 또는 S극 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 로터에 회전 부세력을 부여하는 자성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점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필터 구동장치(30)의 주체를 이루는 모터는, 도 2(a)에서 도시하듯이, 로터 축(33)을 가지는 로터(32)와, 로터(3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로터(32) 주위에 배치된 코일 보빈(bobbin)(35)과, 코일 보빈(35)에 감겨진 코일(36)과, 코일 보빈(35)에 외감(外嵌)된 원통형의 요크(yoke)(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요크, 코일 보빈(35) 및 코일(36)로 스테이터(stator)가 구성되어 있다.
로터(32)는, 직경 방향 양끝이 N극과 S극으로 분극된 원통형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축(33)은 수지제(樹脂製)이며, 외부에 돌출된 선단부에, 상기 광학 필터(15)와 계합하는 구동 레버(31)의 기단부(基端部)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의 요크(30)의 안쪽과 로터(32) 사이에는, 연자성 부분(3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연자성 부분(37)은, 도 2에서 도시하듯이, 광학 필터(15)가 상기 제 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의 중간 위치에 오도록 구동 레버(31)를 조작했을 때, 로터(32)의 N극과 S극으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로터(32)의 N극 또는 S극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 로터(32)에 회전 부세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도 2(b)는, 로터(32)가 화살표 (가)방향으로 흔들린 결과, 광학 필터(15)가 제2의 위치(광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로터(32)의 회전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는, 로터(32)의 N극이 연자성체(37)에 접근하기 때문에, N극과 연자성체(37) 사이에 큰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며, 그 자기 흡인력에 의해, 모 터로의 통전을 정지해도, 로터(32)는 결국 광학 필터(15)가 제2의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도 2(c)는, 로터(32)가 화살표 (나)방향으로 흔들린 결과, 광학 필터(15)가 제1의 위치(광로 상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로터(32)의 회전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는, 로터(32)의 S극이 연자성체(37)에 접근하기 때문에, S극과 연자성체(37) 사이에 큰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며, 그 자기 흡인력에 의해, 모터로의 통전을 정지해도, 로터(32)는 결국 광학 필터(15)가 제1의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광학 필터(15)를 제1의 위치 또는 제2의 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보관 유지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는 모터의 전력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통전에 의한 발열을 없앨 수 있는 동시에, 배터리 전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조리개 장치(1)에서는, 광학 필터(15)의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자력(즉, 부세력(付勢力))을, 로터의 영구자석을 이용해 얻으므로, 연자성 부분(37)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만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조리개 장치(1)을 주야 감시 CCTV 카메라에 적용했을 경우를 상정(想定)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이 조리개 장치(1)에 있어서는, 조리개 구동장치(20)를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리개 날개(12), (13)에 계합하는 구동 핀(21a), (21b)을 회동시키고, 그 회동에 의해 조리개 날개(12), (13)를 직선 슬라이딩시켜, 광로의 조리개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최대 조리개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조리개 날개(12), (13)의 투공 부(12e), (13e)에 장착한 ND필터(12f), (13f)가 광로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ND필터의 작용이 촬영광에 나타난다.
한편, 이 조리개 장치(1)에 있어서는, 필터 구동장치(30)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레버(31)가 회동하므로, 그 회동에 의해 광학 필터(15)를, 지지축(10c)을 중심으로 회전 슬라이딩시켜, 광로 상에 대해 넣고 뺄 수 있다.
이 경우의 광학 필터(15)는 적외 컷 필터이기 때문에, 광로 상에 광학 필터(15)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촬영광의 적외선 영역을 차단(cut)할 수 있다. 또한, ND필터(12f), (13f)에 의해, 야간 촬영시의 적외선 광의 투과량을 가시 영역의 빛과 같은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외선 광이 과잉으로 촬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 결과, 적외선 광이 강한 피사체 부분이 너무 밝아지는 일이 없어져, 잘 보이는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얻을 수 있는 본 조리개 장치(1)에 있어서는, 광학 필터(15)를 박막상으로 형성하고, 조리개 기판(10)의 한쪽 판면(윗면) 쪽에 조리개 날개(12), (13)와 함께 배치하고, 조리개 날개(12), (13)를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리개 장치(1)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특히,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 사이의 좁은 틈새에 광학 필터(15)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광학 필터(15)를 위한 여분의 공간이 전혀 불필요하고, 조리개 장치(1)의 두께 방향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를 안내로 하여 광학 필터(15)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것으로부터, 광학 필터(15) 작동의 원활화를 꾀할 수도 있다.
또한, 광학 필터(15)를 0.25㎜이하의 박막상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광학 필터(15)의 유무에 의한 광로장의 차이를 거의 없앨 수가 있고, 핀트 차이를 고려한 광학 설계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즉, 더미 필터가 불필요해져, 그 구동계도 포함하여 소형ㆍ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터(15)를 광로 상에 대해 자유자재로 착탈 가능하도록 일체로 끼워 넣으면서도, 조리개 장치(1) 전체의 소형화(특히 박형화(薄型化))를 꾀할 수 있고, 렌즈 경통 등에 끼워 넣기 쉬워지는 동시에, 렌즈 경통 등의 경량ㆍ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15)의 슬라이드 방식을, 조리개 날개(12), (13)와 같이 직선 슬라이드식으로 하지 않고, 회동식으로 하고 있으므로, 광학 필터(15)의 구동계를 공간 절약형의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고, 조리개 날개(12), (13)의 구동계와의 조합에 대해 무리 없는 설계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조리개 장치(1)에서는, 조리개 구동장치(20)와 필터 구동장치(30)를, 광로에 대해 같은 쪽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리개 장치(1)를 예를 들면 CCTV 카메라의 렌즈 경통에 끼워 넣는 경우에, 어느 쪽이든 구동장치(20), (30)가 끼워 넣는데 방해가 되는 일 없이, 조리개 장치(1)를 렌즈 경통에 무리 없이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조리개 장치(1)의 렌즈 경통(2)에 대한 장착예를 도시하고 있다.
렌즈 경통(2)의 주변 벽에는 측공(側孔)(2a)이 뚫려 있고, 이 측공(2a)에, 광축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조리개 장치(1)를 끼워 넣을 있도록 되어 있다. 측공(2a)의 한 끝에는 장착부(2b)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2b)의 전면에 나사 구멍(2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리개 장치(1)의 조리개 기판(10)에는, 고정할 때 사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16)이 설치되어 있고, 장착 브래킷(16)에 나사 통과용의 절결부(16a)와 렌즈 경통(2) 쪽의 장착부(2b)에 대해 맞닿는 면(16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리개 장치(1)는, 조리개 구동장치(20)와 필터 구동장치(30)의 양쪽을, 광로에 대한 한쪽 편에 모아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구동장치(20), (30)가 있는 쪽과 반대쪽은, 두께가 얇은 판상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리개 장치(1)를 렌즈 경통(2)에 끼워 넣는 경우에는, 렌즈 경통(2)의 측공(2a)에 조리개 장치(1)의 얇은 쪽을 끼워 넣고, 장착 브래킷(16)이 맞닿는 면(16b)을 렌즈 경통(2) 쪽의 장착부(2b)의 전면에 당접시키고, 그 상태에서 장착 브래킷(16)의 절결부(16a)를 통해 나사(17)를 장착부(2b)의 나사 구멍(2c)에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조리개 장치(1)를 렌즈 경통(2)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경통(2)에 대한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리개 기판(10)의 윗면에, 조리개 날개(12), (13) 등의 탈락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날개 커버(14)를 장착하고 있는데, 조리개 날개(12), (13)는 조리개 기판(10) 쪽의 가이드 핀(11a)∼(11d)에 의해 탈락이 방지되고 있으므로, 반드시 날개 커버(14)는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두 장의 조리개 날개(12), (13)에 의해 조리개를 조절하는 경우에 대해 말했지만, 한 장의 조리개 날개로 조리개를 조절하 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시킬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광학 필터(15)를 한 장의 조리개 날개와 조리개 기판의 틈새에 배치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의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를 박막상으로 형성시키고, 조리개 기판의 한쪽 판면 쪽에 조리개 날개와 함께 배치하고, 조리개 날개를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리개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를 조리개 날개 간의 틈새나 조리개 날개와 조리개 기판의 틈새와 같은 좁은 공간에, 조리개 날개의 작동이나 자체의 작동에 지장을 주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터를 광로 상에 대해 자유자재로 착탈 가능하도록 일체로 끼워 넣으면서도, 조리개 장치의 소형화(특히 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를 박막상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핀트 차이 방지를 위한 더미 필터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그 결과, 중량의 증가나 공간의 증가를 배제할 수 있어, 렌즈 경통 등에 끼워 넣을 때 조립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렌즈 경통 등의 경량화ㆍ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제2의 발명에 의하면, 두 장의 조리개 날개의 틈새에 광학 필터를 배치했기 때문에, 광학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이 불필요하고,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두 장의 조리개 날개를 안내로 하여 광학 필터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므로, 광학 필터 작동의 원활화를 꾀할 수도 있다.
제3의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의 두께를 0.25㎜이하로 했기 때문에, 광학 필터의 유무에 의한 광로장의 차이를 거의 없앨 수 있고, 핀트 차이를 고려한 광학 설계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즉, 더미 필터가 불필요해져, 그 구동계를 포함하여 소형ㆍ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가 적외 컷 필터이기 때문에, 주야 겸용 CCTV 카메라의 조리개 장치로써 매우 적합하다.
제4의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의 슬라이드 방식을 회동식으로 했기 때문에, 광학 필터의 구동계를 공간 절약형의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회동식으로 한 것으로, 조리개 날개 간의 작은 틈새에 있어서 무리 없이 광학 필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조리개 구동수단과 필터 구동수단을 광로에 대해 같은 쪽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리개 장치를 렌즈 경통에 끼워 넣는 경우에, 어느 한쪽의 구동수단이 방해가 되는 일 없이, 조리개 장치를 렌즈 경통에 무리 없이 끼워 넣을 수 있어, 렌즈 경통 등으로의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제6의 발명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 광학 필터의 위치를 제1의 위치 또는 제2의 위치 중 어느 한쪽에 보관 유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필터 구동수단의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7의 발명에 의하면, 그 자력을, 필터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모터의 로터의 영구자석을 이용해 얻으므로, 불필요한 구성을 아예 생략하여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8의 발명에 의하면, ND필터에 의해, 예를 들면, CCTV 카메라에 적용했을 경우의 야간 촬영시, 적외선 광의 투과량을 가시 영역의 빛과 같은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외선 광이 과잉으로 촬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광이 강한 피사체 부분이 너무 밝아 지는 일이 없고, 잘 보이는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광로(光路)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가진 조리개 기판;
    상기 조리개 기판의 한쪽 판면에 배치되고 상기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하는 것으로 상기 광로를 조리개 조절하는 조리개 날개;
    상기 광로를 조리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리개 날개를 구동시키는 조리개 구동수단;
    파장에 따른 투과 특성을 가지는 광학 필터; 및
    이 광학 필터를 상기 광로 상에 삽입하거나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필터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광학 필터를 박막상(薄膜狀)으로 형성하여 상기 조리개 기판의 한쪽 판면 측에 배치하고, 상기 조리개 날개를 자유자재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날개는 서로 적층한 상태로 두 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 장의 조리개 날개 사이에, 상기 박막상으로 형성한 광학 필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 컷 필터로, 두께가 0.25㎜이하의 박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상기 조리개 기판의 단부(端部)에 설치된 축에 자유자재로 회동(回動)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광로 상에 삽입되거나 광로 상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구동수단과 필터 구동수단 모두, 상기 조리개 기판 상에 있어 상기 광로에 대해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구동수단은, 상기 광학 필터가 광로 상의 제1의 위치와 광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의 위치의 중간 위치보다도 제1의 위치 쪽에 있을 때 광학 필터를 제1의 위치에 자력에 의해 보관 유지하고,
    상기 광학 필터가 상기 중간 위치보다도 제2의 위치 쪽에 있을 때 광학 필터를 제2의 위치에 자력에 의해 보관 유지하는 필터 보관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보관 유지 수단이, 상기 광학 필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로터(rotor)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상기 광학 필터를 상기 제 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의 중간 위치로 조작했을 때 상기 영구자석이 서로 인접하는 N극과 S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배치되고, 동시에 상기 N극 또는 S극 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켜 그것에 의해 로터에 회전 부세력(付勢力)을 부여하는 자성(磁性)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날개의 조리개 개구를 형성하는 투공부(透孔部)에, 상기 광학 필터와는 다른 ND필터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ND필터는, 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이 가시 영역의 투과율과 거의 같은 분광 투과율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치.
KR1020057020225A 2003-05-29 2003-05-29 조리개 장치 KR10097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6753 WO2004107036A1 (ja) 2003-05-29 2003-05-29 絞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291A true KR20060061291A (ko) 2006-06-07
KR100971076B1 KR100971076B1 (ko) 2010-07-20

Family

ID=3342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225A KR100971076B1 (ko) 2003-05-29 2003-05-29 조리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17788B1 (ko)
JP (1) JPWO2004107036A1 (ko)
KR (1) KR100971076B1 (ko)
AU (1) AU2003241900A1 (ko)
GB (1) GB2416218B (ko)
TW (1) TWI247918B (ko)
WO (1) WO20041070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8808B2 (en) 2006-07-14 2009-04-14 Fujinon Corporation Diaphragm device
KR20150095456A (ko) * 2014-02-13 2015-08-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필터 절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073A (ja) * 2000-08-07 2002-02-15 Asahi Precision Co Ltd Cctvカメラ用レンズの絞り装置
US7079186B2 (en) * 2000-10-13 2006-07-18 Pentax Corporation Diaphragm device of a television camera lens for a CCTV surveillance camera
JP3802870B2 (ja) * 2002-12-20 2006-07-26 株式会社タムロン 光量調節装置
JP2005094417A (ja) * 2003-09-18 2005-04-07 Sony Corp 撮像装置
KR100573697B1 (ko) * 2003-12-29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기기의 광학필터 절환 장치
US7334950B2 (en) * 2005-04-26 2008-02-26 Va, Inc. Quick-change shutter assembly
CN101167346B (zh) * 2005-04-28 2012-11-14 日本电产科宝株式会社 摄像装置以及便携式信息终端装置
JP4625729B2 (ja) * 2005-07-06 2011-02-02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絞り装置
JP4878457B2 (ja) * 2005-08-25 2012-02-15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絞り装置
JP2008203601A (ja) * 2007-02-21 2008-09-04 Olympus Corp 虹彩絞り機構
JP5046304B2 (ja) * 2008-06-19 2012-10-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調節装置
JP3145531U (ja) * 2008-07-30 2008-10-09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絞り羽根に対する光学フィルタの取付構造
JP3145532U (ja) * 2008-07-30 2008-10-09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絞り装置
JP4735996B2 (ja) * 2008-12-1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7965934B2 (en) * 2009-05-01 2011-06-21 Vtc Electronics Corp. Switching mechanism for camera device
JP5173979B2 (ja) * 2009-10-20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絞り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鏡筒並びに撮像装置
US8120831B2 (en) * 2010-02-05 2012-02-21 Benning Qian Mechanical device for switching an optical lens filter for a camera
JP5033932B2 (ja) * 2010-08-04 2012-09-26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絞り装置、カメラおよび電子機器
JP2012088685A (ja) * 2010-09-22 2012-05-10 Panasonic Corp カメラ装置
CN102269914A (zh) * 2011-07-28 2011-12-07 彭智红 一种滤光片切换器
JP5838451B2 (ja) * 2011-09-29 2016-01-06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絞り装置、駆動モータおよびカメラ
EP2957896A1 (de) * 2014-06-17 2015-12-23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Products GmbH Optische Vorrichtung zur Leitung eines Strahlenbündels und Blende zum Einbauen in diese
JP6138395B1 (ja) * 2015-07-02 2017-05-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駆動装置
JP6605255B2 (ja) * 2015-08-20 2019-11-1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電子機器、レンズユニット組立方法、カメラ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1844772B1 (ko) 2016-02-23 2018-04-06 주식회사 세코닉스 조리개 일체형 카메라 렌즈 시스템
JP6785640B2 (ja) * 2016-12-15 2020-11-1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用光学装置
CN115039008A (zh) * 2020-01-31 2022-09-09 富士胶片株式会社 镜头装置、摄像装置、光学部件、摄像方法及摄像程序
CN112946972B (zh) * 2021-03-04 2022-07-01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驱动装置的稳定机构、光圈组件、驱动和摄像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067A (en) * 1975-09-17 1977-08-02 Toshihiro Kondo Photographic camera with automatically controlled filter
JPH0727154B2 (ja) * 1988-09-01 1995-03-29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絞り装置
JPH08321987A (ja) * 1995-05-25 1996-12-03 Hitachi Ltd 撮像装置
JPH10133254A (ja) * 1996-10-31 1998-05-22 Canon Electron Inc 光量絞り装置
JPH10254022A (ja) * 1997-03-14 1998-09-25 Nippon Seimitsu Sokki Kk 電動絞り装置
JPH11109440A (ja) * 1997-10-06 1999-04-23 Copal Co Ltd カメラ用絞り機構
JPH11149104A (ja) * 1997-11-18 1999-06-02 Copal Co Ltd カメラの露光量調節装置
JP4273372B2 (ja) * 1998-07-31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200408B2 (ja) * 1999-10-21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2049073A (ja) * 2000-08-07 2002-02-15 Asahi Precision Co Ltd Cctvカメラ用レンズの絞り装置
US7079186B2 (en) * 2000-10-13 2006-07-18 Pentax Corporation Diaphragm device of a television camera lens for a CCTV surveillance camera
JP3803274B2 (ja) 2000-10-13 2006-08-0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Cctvカメラ用レンズの絞り装置及び絞り装置ユニット
JP2003005005A (ja) * 2001-06-27 2003-01-08 Sony Corp フィルター部材のホルダーへ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8808B2 (en) 2006-07-14 2009-04-14 Fujinon Corporation Diaphragm device
KR100894997B1 (ko) * 2006-07-14 2009-04-24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조리개 장치
KR20150095456A (ko) * 2014-02-13 2015-08-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필터 절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520728D0 (en) 2005-11-23
TW200510771A (en) 2005-03-16
KR100971076B1 (ko) 2010-07-20
US6817788B1 (en) 2004-11-16
US20040240879A1 (en) 2004-12-02
GB2416218A (en) 2006-01-18
JPWO2004107036A1 (ja) 2006-07-20
AU2003241900A1 (en) 2005-01-21
WO2004107036A1 (ja) 2004-12-09
GB2416218B (en) 2007-03-21
TWI247918B (en) 200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076B1 (ko) 조리개 장치
JP2007108434A (ja) レンズ・シャッタ結合ユニット
US7806605B2 (en) Light amount adjustment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100881726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090012497A (ko)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141211B1 (ko) 조리개 장치
JP5595060B2 (ja) 光量調整装置と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15616831B (zh) 光圈控制方法、光圈控制器、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2010020063A (ja) 絞り装置
KR20060053992A (ko) 조리개 장치용의 광학 필터 및 조리개 장치
JP4878457B2 (ja) 絞り装置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4204311B2 (ja) 光量調節装置
JP3143124U (ja) 絞り装置
JP2008176171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撮像機器
JP2008250096A (ja) 羽根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1188275A (ja) カメラ用絞り装置
JP2015169744A (ja) 光量調節装置
JP2006296142A (ja) 電磁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光量調整装置
JP2005221959A (ja) 光学機器
JP4122198B2 (ja) カメラ用露光量制御装置
KR20150043192A (ko) 적외선 필터 교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JP2005156896A (ja) カメラ用絞り装置
JP2006215324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01183717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