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211A - 드릴 - Google Patents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211A
KR20060061211A KR1020050063813A KR20050063813A KR20060061211A KR 20060061211 A KR20060061211 A KR 20060061211A KR 1020050063813 A KR1020050063813 A KR 1020050063813A KR 20050063813 A KR20050063813 A KR 20050063813A KR 20060061211 A KR20060061211 A KR 2006006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groove
drill
cutting
chip discharg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562B1 (ko
Inventor
히데오 와쿠이
쇼이치 다카하시
히데히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유니온쓰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9853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612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쓰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온쓰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B2251/201Single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23B2251/241Cross sections of the diameter of the dr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8Arrangement of teeth
    • B23B2251/282Unequal spacing of cutting edg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23B2251/406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of special form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47Drilling of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5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axially extending relief channel
    • Y10T408/9097Spira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소구경이더라도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2개의 타입정도의 강성의 저하가 없고, 또한,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1개의 타입정도의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의 악화도 없고, 간단하고 쉬운 개량에 의해 구멍 위치정밀도의 충분한 향상이 달성된 매우 실용성에 뛰어난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앞끝단부에 치젤 에지(6)가 설치됨과 동시에, 나선형상의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 및 나선형상의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 설치되어, 이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 및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끼리의 사이에는 랜드부(3, 4)가 설치되고,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도움면(7)의 가장자리에는, 절단칼날(5)이 설치된 드릴로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란, 드릴회전중심(O)에 대해서 비점대칭위치에 설치되어,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후방의 랜드부(3)이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릴 {Drill}
도 1은 종래발명의 드릴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드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드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에 대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위상차 θ2를 변화시켜 구멍 위치정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 2 :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
3 : 랜드부 4 : 랜드부
5 : 절단칼날 6 : 치젤 에지
7 : 도움면 8 : 제 1 도망면
9 : 벽면 10 : 반대면
11 : 제 2 도망면 14 : 벗긴 면
본 발명은, 드릴에 관한 것이다.
천공기 등의 절삭장치에 장착되는 철강재료 등의 균질소재용의 드릴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 56-39807호 공보(특허문헌 1) 등 참조}, 바깥둘레면에 2개의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1, 22)이 나선형상으로 설치되고, 이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1, 22)끼리의 사이에는 랜드부(23, 24)가 설치되어 더욱,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1, 22)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도움면(25, 26)과 상기 도움면(25, 26)의 뒤쪽의 도망면(27, 28)과의 교차능선부에 절단칼날(29, 30)이 설치된 구조의 것이 있다.
이 두 개의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1, 22)은, 통상, 드릴회전중심에 대해 점대칭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도 1의 타입은 점대칭의 칼날에 의해 밸런스가 좋은 절삭이 생기고, 또한, 절단부스러기 배출성도 양호해져서, 고정밀도의 구멍가공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프린트 배선기판에 배선용의 구멍 등을 형성하기 위한 소구경 드릴이 보급되어 있지만, 프린트 배선기판의 박형화ㅇ소형화가 요망되고 있어, 이 소구경 드릴에도 더욱 작은 지름화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소화 56-39807호 공보
그러나, 드릴을 소구경으로 하면, 드릴의 두께가 감소하여, 강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구멍위치 정밀도의 악화는 피할 수 없다.
또한, 프린트 배선기판은,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를 가늘게 하여 형성되는 유리크로스에 수지를 함침시켜 프리프레그를 형성하고, 이 프리프레그의 표층에 동박을 적층하여 형성되고 있고, 상기 철강재료 등과 달리 불균질한 복합재료이고 또한 유리섬유의 굴곡이 민감하게 구멍 위치정밀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기판을 뚫어 설치하는 것을 지름의 드릴로 행하면 구멍 위치정밀도가 한층 악화되게 된다.
따라서, 소구경 드릴, 특히 프린트 배선기판용의 소구경 드릴에 2개의 절단칼날 및 2개의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을 설치함으로써 양호한 구멍 위치정밀도를 얻는 것은 곤란하다.
이 점,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을 1개로 하여 두께(강성)를 확보하는 구성(당연히 절단칼날도 1개)도 제안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적절한 절단부스러기 배출경로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이 악화되어, 결과적으로 절삭저항이 증대하여 드릴의 양호한 직진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작은 지름이더라도 상기 도 1의 타입과 같은 저하가 없고, 또한,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1개의 타입정도의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의 악화는 없는 것으로서, 간단하고 쉬운 개량에 의해 구 멍 위치정밀도의 향상을 달성한 매우 실용성이 뛰어난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앞끝단부에 치젤 에지(6)가 설치됨과 동시에, 나선형상의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 및 나선형상의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 설치되고 있고, 이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및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끼리의 사이에는 랜드부(3, 4)가 설치되고,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도움면(7)의 가장자리에 절단칼날(5)이 설치된 드릴로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란, 드릴회전중심(O)에 대해서 비점대칭위치에 설치되고,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후방의 랜드부(3)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9)의 가장자리(9a)가 절삭작용을 발휘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절단칼날(5)의 바깥둘레측 끝단부(X)와 드릴회전중심(O)을 연결하는 선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9)의 반대면(10)의 바깥둘레측 끝단부(Y)와 드릴회전중심(O)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각 θ1은, 40° 이상 180°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절단칼날(5)의 바깥둘레측 끝단부(X)와 드릴회전중심(O)을 연결하는 선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9)의 반대면(10)의 바깥둘레측 끝단부(Y)와 드릴회전중심(O)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각 θ1은, 40° 이상 180°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의 일부 혹은 전부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의 일부 혹은 전부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깊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깊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릴에 대하고,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 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 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 청구항 11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 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 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드릴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그 작용효과를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을,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후방의 랜드부(3)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보다 커지도록 드릴회전중심(O)에 대해서 비점대칭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절단칼날(5)의 백업량을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있고, 게다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에 의해 치젤 에지(6)의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측 부분에서 절삭되는 절단부스러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지름이더라도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2개의 타입정도의 강성의 저하가 없고, 또한,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1개의 타입정도의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의 악화도 없고, 간단하고 쉬운 개량에 의해 구멍 위치정밀도의 충분한 향상을 달성되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 2 내지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 3, 4는 제 1 실시예, 도 5는 제 2 실시예, 도 6은 제 3 실시예이다.
제 1 실시예는, 앞끝단부에 치젤 에지(6)가 설치됨과 동시에, 나선형상의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 및 나선형상의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 설치되고, 이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 및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끼리의 사이에는 랜드부(3, 4)가 설치되고,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도움면(7)의 가장자리에는 절단칼날(5)이 설치된 드릴로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란, 드릴회전중심(O)에 대해서 비점대칭 위치에 설치되고,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후방의 랜드부(3)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소구경 드릴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에 천공기의 공구부착부와 연결하는 섕크부(12)를 갖고, 이 천공기에 부착되어 프린트 배선기판 등에 구멍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각 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절단칼날(5)의 바깥둘레측 끝단부(X)와 드릴회전중심(O)을 연결하는 선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9)의 반대면(10)의 바깥둘레측 끝단부(Y)와 드릴회전중심(O)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각 θ1(종래예에서 말하는 각 θ11)는, 40°이상 180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40°미만에서는 충분한 절단칼날(5)의 백업량을 확보할 수 없고, 또한, 180°이상에서는 구멍가공중에 랜드부(3)가 가공구멍내벽과 접촉하여, 구멍 위치정밀도와 내벽거칠기를 악화시켜 버리는 불편이 발생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이 후자의 사상은 치젤 에지(6)이 상기 드릴 바깥둘레 원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하여 X방향으로 근접한 경우에 일어난다. 통상, 치젤 에지(6)는 드릴 바깥둘레원의 중심을 통과하고, 드릴회전중심은 상기 드릴 바깥둘레 원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치젤 에지(6)가 상기 드릴 바깥둘레 원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하여 X방향으로 근접한 경우, 드릴이 피삭재에 접촉한 후의 절삭가공시의 드릴회전중심(O)도 X방향으로 편심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절단칼날(5)의 바깥둘레측 끝단부(X)로부터 드릴회전중심(O)까지의 거리가, 그 연장상에 있어서의 드릴회전중심(O)으로부터 랜드부(3)의 바깥둘레측 끝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게 되어, 랜드부(3)가 가공구멍내벽과 접촉하여 구멍 위치정밀도와 내벽거칠기를 악화시켜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각 θ1는 약 120°로 설정되어 있다. 종래,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를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후방의 랜드부(3)을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절단칼날(5)은,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도움면(7)과 상기 제 1 도망면(8)과의 교차능선부에 설치되고 있고, 이 절단칼날(5)과 상기 치젤 에지(6)가 피가공물을 절삭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에서는, 상기 절단칼날(5)과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측의 치젤 에지(6a)에 의한 절단부스러기가 배출되고,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에서는,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측의 치젤 에지(6b)에 의한 절단부스러기가 배출되게 된다.
즉, 제 1 실시예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을 구비하면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측에만 절단칼날(5)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이 절단칼날(5) 및 치젤 에지(6)에 의한 절단부스러기를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 절단칼날(5)에 의해 확실히 절삭가공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를 가급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이 절단칼날(5)의 백업량{랜드부(3)}을 가급적으로 크게 하여, 높은 강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랜드부(4)의 크기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랜드부(4)측의 바깥둘레측 끝단부(V)와 드릴회전중심(O)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랜드부(4)측의 바깥둘레측 끝단부(W)가 이루는 각도가 0°를 초과하고 8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20°로 설정되어 있다.
0°인 경우,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 실험적으로 연결되어 버리고, 본래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을 따라서 배출되어야 할 절단칼날(5) 및 치젤 에지(6a)에 의한 절단부스러기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에 들어가 버리고, 또한, 본래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에 의해서 수용되고 또한 배출되어야 할 치젤 에치(6b)에 의한 절단부스러기가 제 1 절단부스러 기 배출홈(1)에 들어가 버리는 것에 의해서 잘린 부스러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고, 이것이 절삭저항이 되어 구멍위치정밀도와 내벽거칠기를 악화시켜 버리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를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후방의 랜드부(3)보다 작게 하고, 또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9)의 가장자리(9a)는, 절단칼날(5)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몰입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9)의 가장자리(9a)에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에 있어서의 절단칼날(5)에 상당하는 절단칼날이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이 좁은 랜드부(4)는 직접적으로 절삭저항을 받는 일이 없고, 그 만큼 구멍 위치정밀도가 악화되는 것이 방지된다{절단칼날(5)이 주로 절삭작용을 다하고, 그 절삭작용에 의한 절삭저항은 넓은 랜드부(3)가 받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벽면을 구성하는 곡면}의 일부 혹은 전부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벽면을 구성하는 곡면)의 일부 혹은 전부는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도 4의 경우),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벽면을 구성하는 곡면}의 전부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 홈(2)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벽면을 구성하는 곡면}의 전부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 13은 드릴본체이다.
따라서, 동일한 숫돌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 및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간단하고 쉽고 또한 효율적으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 및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깊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해도 좋다. 배출해야 할 절단부스러기의 양은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보다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이 적고{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에서는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측의 치젤 에지(6b)에 의해 절삭되는 절단부스러기가 배출된다.},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보다 깊이가 얕아도 충분히 절단부스러기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드릴의 두께를 확보하여 한층 드릴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벽면을 구성하는 곡면}의 일부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벽면을 구성하는 곡면}의 전부가 동일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깊이는, 드릴의 반지름보다 얕고, 드릴의 반지름의 1/3 이상, 바람직하게는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깊이는 드릴의 반지름의 2/3 정도로 설정하면 좋다.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깊이가 드릴의 반지름 이상으로 깊은 경우에는, 드릴 바깥둘레 원의 중심에 치젤 에지가 존재하지 않게 되고, 필연적으로 절삭가공시의 드릴회전중심(O)이 편심되어, 구멍 위치정밀도를 악화시켜 버리게 되고, 또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깊이가 드릴의 반지름의 1/3 보다 얕은 경우에는,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용량이 지나치게 작아지기 때문에, 치젤 에지(6b)에 의한 절단부스러기가 충분히 수용 또는 배출되지 않고, 이것이 절삭저항이 되어 구멍 위치정밀도와 내벽탱크를 악화시켜 버리게 된다. 또한, 치젤 에지(6b)가 길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절삭가공시의 절삭저항이 증대하여 구멍 위치정밀도를 악화시켜 과도한 경우에는 드릴이 파손해 버리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는, 드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은, 그 깊이가 드릴의 기단부로 향하여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드릴강성이 향상하고, 구멍 위치정밀도가 향상한다.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으로부터 배출되는 절단부스러기의 양은 적기 때문에,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같이 드릴 기단부까지 형성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길이를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한 경우에는, 구멍 위치정밀도가 양호해지고, 1/2보다 길게 설정한 경우에는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이 양호해져서 양호한 내벽탱크 거칠기를 얻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조건에 의해서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축에 직각인 단면에서 보아 약 J자형상의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을 채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반원형상 등의 다른 홈 형상을 채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드릴회전중심(O)에 앞끝단 첨예부가 설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단칼날(5)이 소정의 앞끝단각에 설정되고 있고, 상기 절단칼날(5)의 후방에 제 1 도망면(8)이 소정의 각도로 설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망면(8)의 후방에 제 2 도망면(11)이 제 1 도망면(8)의 설정각과 다른 각도로 연달아 설치되고 있고, 또한 상기 제 1 도망면(8)과 상기 제 2 도망면(11)은 드릴회전중심(O)에 대해서 180° 위상을 바꾼 위치에도 설치되고 있다. 상기 절단칼날(5)에 연달아 설치되는 제 1 도망면(8) 및 제 2 도망면(11)과 180° 위상을 바꾼 위치의 제 1 도망면(8) 및 제 2 도망면(11)과의 교차능선부가 치젤 에지(6)에 설정되어, 그들 4개의 도망면(소위 상기 2개의 제 1 도망면(8)과 상기 2개의 제 2 도망면(11))이 교차하는 점이 드릴회전중심(O)과 일치하여 앞끝단 첨예부(치젤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이 치젤포인트의 존재에 의해, 양호한 식부성을 얻을 수 있어 더욱 구멍 위치정밀도가 향상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제 1 도망면(8)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11)을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제2 실시예와 같이 제 1 도망면(8)만으로 치젤 에지(6)를 구성하도록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한층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할 수 있게 된다(도 5의 제2 실시예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치젤포인트가 없고, 치젤 에지(6)만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나머지는 도 2,3,4의 제 1 실시예와 같다.).
또한, 도 6은, 랜드부(3)에 2번 벗긴 면(14)을 형성한 제 3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는, 보다 원활하게 가공구멍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드릴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나머지는 도 2, 3, 4의 제 1 실시예와 같다.
도 7에 도시한 것은,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에 대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위상차 θ2를 변화시켜 구멍 위치정밀도를 측정한 결과로서, 이 도 7로부터, 상기 구성의 드릴에 대해서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에 대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위상차 θ2를 220°{드릴회전중심(O)에 대해서 점대칭위치에 설치한 경우보다 40° 벗어난 위치)에 설정하면 가장 양호한 구멍 위치정밀도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위상차 θ2를 220° 및 210°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의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즉,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위상차 θ12가 180°의 타임)보다 양호한 구멍 위치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 1, 제 2, 제 3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을,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1)의 후방의 랜드부(3)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의 후방의 랜드부(4)보다 커지도록 드릴회전중심(O)에 대해서 비점대칭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절단칼날(5)의 백업량을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있고, 게다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에 의해 상기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2)측의 치젤 에지(6b)에 의한 절단부스러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지름이더라도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2개의 타입정도의 강성의 저하가 없고, 한편,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1개의 타입정도의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의 악화도 없고, 간단하고 쉬운 개량에 의해 구멍 위치정밀도의 충분한 향상을 달성되게 된다.
즉, 지름이 Φ 0.1 정도의 소구경 드릴에서는, 드릴 1회전당 몇 ㎛의 이송량이 되어, 소구경이기 때문에 강성의 확보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항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섬유지름도 몇 ㎛이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불균질성과 유리섬유의 굴곡이 민감하게 구멍 위치정밀도에 영향을 주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날 드릴에서는 양호한 구멍품질을 얻을 수 없었지만, 제 1, 제 2,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철강재료 등과 달리 불균질인 복합재료이고 또한 유리섬유의 굴곡이 민감하게 구멍 위치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프린트 배선기판 등을 소구경 드릴로 가공하는 경우에도, 구멍 위치정밀도가 악화되지 않아, 양호한 품질의 가공구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제 2, 제 3 실시예는, 소구경이더라도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2개의 타입정도의 강성의 저하가 없고, 한편,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1개의 타입정도의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의 악화도 없고, 간단하고 쉬운 개량에 의해 구멍 위치정밀도의 충분한 향상이 달성된 매우 실용성이 뛰어난 드릴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구경이더라도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2개의 타입정도의 강성의 저하가 없고, 또한, 절단칼날 및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1개의 타입정도의 절단부스러기 배출성의 악화도 없고, 간단하고 쉬운 개량에 의해 구멍 위치정밀도의 충분한 향상이 달성된 매우 실용성이 뛰어난 드릴이 된다.

Claims (27)

  1. 앞끝단부에 치젤 에지가 설치됨과 동시에, 나선형상의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 및 나선형상의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이 설치되고, 이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 및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끼리의 사이에는 랜드부가 설치되고,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도움면의 가장자리에는 절단칼날이 설치된 드릴로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은, 드릴회전중심에 대해서 비점대칭위치에 설치되고,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후방의 랜드부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후방의 랜드부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의 가장자리가 절삭작용을 발휘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절단칼날의 바깥둘레측 끝단부와 드릴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의 반대면의 바깥둘레측 끝단부와 드릴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각은, 40°이상 180°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절단칼날의 바깥둘레측 끝단부와 드릴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드릴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의 반대면의 바깥둘레측 끝단부와 드릴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각은, 40°이상 180°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의 일부 혹은 전부와,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벽면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의 곡선의 일부 혹은 전부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깊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깊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9.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0.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1.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3.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는, 제 1 절단부스러기 배출홈의 길이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7. 제 5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8. 제 6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9. 제 7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0. 제 8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1. 제 9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2. 제 10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3. 제 11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4. 제 12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5. 제 13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6. 제 14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7. 제 15 항에 있어서, 앞끝단부에는 대향하는 제 1 도망면과 대향하는 제 2 도망면이 연달아 설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드릴회전중심에 앞끝단 첨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KR1020050063813A 2004-12-01 2005-07-14 드릴 KR100767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8156 2004-12-01
JP2004348156A JP3801606B2 (ja) 2004-12-01 2004-12-01 ドリ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211A true KR20060061211A (ko) 2006-06-07
KR100767562B1 KR100767562B1 (ko) 2007-10-18

Family

ID=3598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813A KR100767562B1 (ko) 2004-12-01 2005-07-14 드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54229B2 (ko)
EP (1) EP1666180B1 (ko)
JP (1) JP3801606B2 (ko)
KR (1) KR100767562B1 (ko)
CN (1) CN100439019C (ko)
HK (1) HK1091778A1 (ko)
TW (1) TWI294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2280A1 (de) * 2007-09-06 2009-03-12 Komet Group Holding Gmbh Bohrwerkzeug für Werkzeugmaschin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4723599B2 (ja) * 2008-02-14 2011-07-13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穴明け工具
BRPI0914199B1 (pt) * 2008-06-21 2021-03-09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broca
JP4564562B2 (ja) * 2008-11-28 2010-10-20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穴明け工具
JP5439821B2 (ja) * 2009-01-15 2014-03-1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ドリルおよび該ドリルの研削加工方法
CN101780553B (zh) * 2009-01-15 2012-07-18 株式会社钨钛合金 钻头及其磨削加工方法
JP2010162643A (ja) * 2009-01-15 2010-07-29 Tungaloy Corp ドリルおよび該ドリルの研削加工方法
DE102010006797B4 (de) 2010-02-04 2011-12-22 Kennametal Inc. Bohrwerkzeug
DE102010006796B4 (de) 2010-02-04 2011-12-08 Kennametal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ohrers, sowie Bohrer
CN101791717B (zh) * 2010-03-22 2011-07-27 深圳市金洲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钻头及加工此微型钻头的方法
JP2012020357A (ja) * 2010-07-13 2012-02-02 Ibiden Co Ltd ドリル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US8734068B2 (en) * 2010-08-09 2014-05-27 Kennametal Inc. Cutting tool with unequal flute spacing
CN102554320A (zh) * 2010-12-27 2012-07-11 兰保养 Pcb打孔钻头及使用该钻头的钻机
CN102837033A (zh) * 2011-06-20 2012-12-26 华伟纳精密工具(昆山)有限公司 非对称槽长和分度角uc型微钻
CN103100740A (zh) * 2011-11-10 2013-05-15 高侨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钻头及其制作方法
FR3004746B1 (fr) * 2013-04-19 2015-05-15 Diager Plaquette de coupe
BR112016003714B1 (pt) * 2013-08-21 2022-03-29 Michael J. Scianamblo Perfurador ósseo
WO2015030212A1 (ja) * 2013-08-30 2015-03-05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刃先交換式ドリルのボデーおよびドリル
CN103752911B (zh) * 2013-12-31 2017-08-25 深圳市金洲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钻头及其加工方法
CN105599074B (zh) * 2015-12-21 2017-12-15 浙江浪潮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硬质合金钻头以及其加工工艺
DE102016200404B4 (de) * 2016-01-14 2018-08-16 Kennametal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tationswerkzeugs und Rotationswerkzeug
TWI619572B (zh) * 2016-07-22 2018-04-01 創國興業有限公司 鑽頭結構
CN107639273B (zh) * 2016-07-22 2019-05-14 创国兴业有限公司 钻头结构
US10195675B2 (en) * 2017-03-02 2019-02-05 Kennametal Inc. Twist drill with unequal flute spacing and unequal relief angles
JP6839015B2 (ja) * 2017-03-29 2021-03-03 京セラ株式会社 ドリル
CN107280749B (zh) * 2017-08-03 2023-06-16 大博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刀刃结构、髋螺钉及股骨骨折治疗装置
CN109746489A (zh) * 2017-11-03 2019-05-14 创国兴业有限公司 钻头结构
TWI651141B (zh) * 2017-11-03 2019-02-21 創國興業有限公司 鑽頭結構
TWI657882B (zh) * 2018-02-02 2019-05-01 香港商創國興業有限公司 鑽頭結構
US11510688B2 (en) 2018-04-18 2022-11-29 Michael J. Scianamblo Bone matter collection apparatus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0985A (en) * 1919-11-04 Drill-point
US3947143A (en) * 1974-07-15 1976-03-30 Shipley Company, Inc. Printed circuit drill
JPS5639807A (en) 1979-08-31 1981-04-15 Daijietsuto Kogyo Kk Twist drill
CH670968A5 (ko) 1986-11-25 1989-07-31 Sphinxwerke Mueller Ag
JPH02298408A (ja) 1988-12-22 1990-12-10 Masao Kubota ドリル
JPH02198707A (ja) 1989-01-24 1990-08-07 Masao Kubota ドリル
CN2060095U (zh) * 1989-12-13 1990-08-08 湖南大学 一种强力切削麻花钻
CN2083087U (zh) * 1990-04-24 1991-08-21 昆明工学院 高扭转刚度异形截面麻花钻
CN2139490Y (zh) * 1992-10-20 1993-08-04 王晓龙 长短切削刃钻头
JPH06320323A (ja) * 1993-05-19 1994-11-22 Toshiba Tungaloy Co Ltd 切削工具
US5584617A (en) * 1995-04-04 1996-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flute drill for drilling holes in printed circuit boards and method of drilling holes in a printed circuit board
US5947659A (en) * 1995-07-27 1999-09-07 Mays; Ralph C. Drill bit
US6419488B1 (en) * 1995-12-11 2002-07-16 Ormco Corporation Endodontic instrument having a chisel tip
US5980250A (en) * 1995-12-11 1999-11-09 Tycom Dental Corporation Endodontic instrument
US5685673A (en) * 1996-04-02 1997-11-11 Jarvis; Wayne C. Twist drill with reverse flutes
US5713736A (en) * 1996-05-01 1998-02-03 Tulsa Dental Products, L.L.C. Endodontic dental instrument
US5882198A (en) * 1997-03-28 1999-03-16 Ormco Corporation Endodontic instrument having enhanced compliance at the tip
SE512187C2 (sv) * 1997-04-30 2000-02-07 Seco Tools Ab Borr
EP0876867B1 (en) * 1997-04-30 2002-06-26 Seco Tools Ab Drill
JP2001105218A (ja) * 1999-09-30 2001-04-17 Riken Seiko Kk ダブルマージンドリル
JP4415485B2 (ja) 2000-11-14 2010-02-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小型ドリル
JP4193360B2 (ja) * 2001-01-10 2008-12-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ドリル
JP4239414B2 (ja) * 2001-01-10 2009-03-1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ドリル
JP2003311522A (ja) * 2002-04-26 2003-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1枚刃ド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50553A (ja) 2006-06-15
EP1666180A1 (en) 2006-06-07
US7354229B2 (en) 2008-04-08
US20060115339A1 (en) 2006-06-01
TWI294322B (en) 2008-03-11
EP1666180B1 (en) 2011-07-06
TW200618901A (en) 2006-06-16
HK1091778A1 (en) 2007-01-26
KR100767562B1 (ko) 2007-10-18
JP3801606B2 (ja) 2006-07-26
CN100439019C (zh) 2008-12-03
CN1781635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562B1 (ko) 드릴
JP4361793B2 (ja) スローアウェイ旋削チップ
EP2202018B1 (en) Drill
KR101674239B1 (ko) 트위스트 드릴
WO2010125881A1 (ja) ドリル及びこのドリルを用いる被削材の切削方法
WO2005077579A1 (ja) 3枚刃ボールエンドミル
JP5683584B2 (ja) ドリル
US7018144B2 (en) Drill
US6406226B2 (en) Throwaway tip and drill holder
JP2008543585A (ja) 切削プレートを備えたリーマ
JP2009255202A (ja) 深穴切削用ドリルヘッド
JP2003311522A (ja) 1枚刃ドリル
US7201544B2 (en) Deep hole boring drill
KR101594659B1 (ko) 구멍 뚫기 공구
US9662718B2 (en) Dri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workpieces using same
EP1439019B1 (en) Drill
JP3539227B2 (ja) 穴明け工具
CN111112697A (zh) 开孔工具及其制造方法
CN214640470U (zh) 一种切削刀具
JP2508524B2 (ja) ドリル
JPH0733514U (ja) 1枚刃ドリル
JP2002018623A (ja) 段差部を有する切削工具
JP2575940Y2 (ja) 穴明け工具
JP2005169528A (ja) ドリル
KR100305473B1 (ko) 드릴 및 드로우어웨이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