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943A -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943A
KR20060058943A KR1020040097994A KR20040097994A KR20060058943A KR 20060058943 A KR20060058943 A KR 20060058943A KR 1020040097994 A KR1020040097994 A KR 1020040097994A KR 20040097994 A KR20040097994 A KR 20040097994A KR 20060058943 A KR20060058943 A KR 20060058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printing
sensor
image form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8943A/ko
Priority to EP05109778A priority patent/EP1661720B1/en
Priority to DE602005026897T priority patent/DE602005026897D1/de
Priority to US11/256,057 priority patent/US7391429B2/en
Priority to CN2005101184982A priority patent/CN1778565B/zh
Publication of KR2006005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5Means for printing without leaving a margin on at least one edge of the copy material, e.g. edge-to-edg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2Scales and indicators, e.g. for determining side margins
    • B41J29/44Scales and indicators, e.g. for determining side margins for determining top and bottom margins or indicating exhaust of paper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으로 미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이송유닛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미디어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를 이용하여 미디어의 제2방향의 단부를 검출함으로써 인쇄시작위치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TPH가 제2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미디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미디어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도 6, 도 7는 미디어의 제1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시작위치를 맞추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 도 9는 미디어의 제2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시작위치를 맞추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미디어 20......카세트
21......픽업롤러 30......이송유닛
40......배출유닛 50......화상형성유닛
51......TPH 51a......발열선
52......플라텐 롤러 53......지지브라켓
81, 82......센서 91......바코드 센서
M1, M2......제1, 제2면 S......기재
L1, L2......감열잉크층 A1, A2......제1, 제2방향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미디어의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형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함에 있어서, 화상이 미디어의 소정 위치에 정확히 위치될 인쇄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진 인쇄를 위한 미디어는 화상이 인쇄되는 인쇄영역과, 인쇄영역의 길이방향의 선단과 말단에 위치되는 비인쇄영역을 가진다. 비인쇄영역은 인쇄영역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인쇄영역과 비인쇄영역은 절취선에 의하여 구분된다. 화상은 인쇄영역보다 약간 크게 인쇄되고, 절취선을 따라 비인쇄영역을 잘라내면 인화한 사진처럼 보더리스 프린팅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미디어의 인쇄시작위치에서부터 정확히 화상이 인쇄되기 시작하여야만 화상의 손실없는 보더리스 프린팅을 할 수 있다. 또한, 보더리스 프린팅이 아닌 일반적인 프린팅 과정에서도 미디어의 인쇄시작위치에서부터 정확히 화상이 인쇄되기 시작하여야만 화상의 손실없는 프린팅을 할 수 있다. 인쇄시작위치보다 선행되어 인쇄를 시작하면 화상의 선단부가 손실될 수 있으며, 인쇄시작위치를넘어서 인쇄를 시작하면 화상의 말단부가 손실될 수 있다.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미디어를 다수회 왕복 이송시키면서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상을 중첩적으로 인쇄하게 되는데, 이 때에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상의 인쇄시작위치가 어긋나게 되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상이 정확히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 칼라화상의 품질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화상의 인쇄시작위치를 맞춤으로써 화상의 손실을 방지하고 좋은 품질의 칼라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으로 미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미디어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인쇄시작위치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미디어의 상기 제1, 제2방향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미디어 정보를 기록한 바코드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바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 미디어를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미디어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미디어의 상기 제1방향의 단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인쇄시작위치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미디어의 상기 제1방향의 단부에는 미디어 정보를 기록한 바코드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바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미디어는 하나 이상의 감열잉크층을 구비하는 감열 미디어이며,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TPH와, 상기 TPH와 대면되어 미디어를 지지하는 플라텐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TPH는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와 그 반대면인 제2면과 대면된 제2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서 화상을 인쇄한다. 상기 TPH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방법은,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으로 미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미디어를 검출하는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미 디어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검출하고,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가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센서 사이에 위치된 때에 미디어의 이송을 멈추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다시 검출하고, 그 후에 미디어를 소정 거리 더 이송시켜 미디어의 인쇄시작위치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화상형성라인과 일치시키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미디어의 상기 제1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미디어의 제2면과 대면된 제2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1면에 화상이 인쇄된 미디어를 다시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검출하고,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가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센서 사이에 위치된 때에 미디어의 이송을 멈추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다시 검출하고, 그 후에 미디어를 소정 거리 더 이송시켜 미디어의 상기 인쇄시작위치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상기 화상형성라인과 일치시키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미디어의 상기 제2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감열잉크층을 가진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이다. 도 1을 보면, 화상형성유닛(50)은 미디어(10)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TPH(thermal printing head)(51)와, TPH(51)와 대면되어 미디어(10)를 지지하는 플라텐 롤러(52)을 포함한다. TPH(51)와 플라텐 롤러(52)은 탄성부재(54)에 의하여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카세트(20)에는 미디어(10)가 적재된다. 카세트(20)의 상방에는 미디어(10)를 픽업하는 픽업롤러(21)가 마련된다. 이송유닛(30)은 화상형성유닛(50)과 픽업롤러(21) 사이에 위치되어 미디어(10)를 인쇄시작위치(Q: 도 3 참조)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A1)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킨다. 이송유닛(30)은, 일 실시예로서, 이송롤러(31)와 이에 맞물린 아이들롤러(32)를 포함한다. 배출유닛(40)은, 일 실시예로서, 픽업롤러(21)와 맞물려 회전되는 배출롤러(41)와, 배출롤러(41)에 맞물린 아이들롤러(42)를 포함한다. 센서(81)는 이송유닛(30)으로부터 제2방향(A2)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미디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영역(P)과 길이방향의 비인쇄영역(T1)(T2)을 가질 수 있다. 미디어(10)는 폭방향의 비인쇄영역(T3)(T4)을 더 가질 수 있다. 인쇄영역(P)과 비인쇄영역(T1)(T2)(T3)(T4)은 절취선(TL1)(TL2)(TL3)(TL4)에 의하여 구분된다. 보더리스 프린팅을 하는 경우에,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인쇄영역(P)보다 약간 크게 인쇄한 후에 절취선(TL1)(TL2)(TL3)(TL4)을 따라 비인쇄영역(T1)(T2)(T3)(T4)을 잘라낸다. 그러면, 인화된 사진과 같은 보더리스 프린팅을 구현할 수 있다. 화상은 절취선(TL1)(TL2)(TL3)(TL4)을 약간(예를 들면 약 2mm 정도) 초과하게 인쇄된다. 이 경우 비인쇄영역(T1)(T2)(T3)(T4)의 길이는 최소 2mm 정도이면 된다. 비인쇄영역(T2)의 길이는 최소한 이송유닛(30)과 TPH(51)의 발열선(heating line)(화상형성라인)(51a) 사이의 거리보다 길어야 한다. 인쇄시작위치(Q)는 절취선(TL2)으로부터 제2방향(A2)으로 예를 들면 2mm 이격되며, 비인쇄영역(T2) 내에 위치된다. 비인쇄영역(T2)의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센서(81)는 가급적 이송유닛(30)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디어(10)의 인쇄시작위치(Q)를 TPH(51)의 발열선(51a)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센서(81)가 사용된다. 센서(81)는 예를 들면 광센서이다. 예를 들어, 센서(81)는 미디어(10)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H(high)신호를, 미디어(10)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L(low)신호를 제어부(70)로 송출한다. 제어부(70)는 센서(8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변화에 따라 미디어(10)의 선단(제1방향(A1)의 단부)(11) 또는 미디어(10)의 말단(제2방향(A2)의 단부)(12)이 검출되었는지를 인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21)에 의하여 카세트(20)로부터 픽업된 미디어(10)의 선단(11)이 센서(81)를 통과할 때에 센서(81)의 신호는 L->H로 바뀐다. 제어부(70)는 미디어(10)의 선단(11)이 검출된 것으로 인식하며, 픽업과정이 에러없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를 제1방향(A1)으로 계속하여 이송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10)의 말단(12)이 센서(81)를 통과하면 센서(81)의 신호는 H->L로 바뀐다. 제어부(70)는 미디어(10)의 말단(12)이 검출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이송을 멈춘다. 미디어(10)의 말단(12)은 이송유닛(30)과 센서(81) 사이에 위치된다.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10)의 말단(12)이 센서(81)를 통과하면 센서(81)의 신호는 L->H로 바뀌며, 제어부(70)는 다시 미디어(10)의 말단(12)이 검출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제2방향(A2)으로 소정 거리 이송된 후)에 미디어(10)의 인쇄시작위치(Q)는 TPH(51)의 발열선(51a)에 도달된다. TPH(51)는 미디어(10)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된 미디어(10)는 배출유닛(40)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송유닛(30)과 화상형성유닛(50) 사이에서 미디어(10)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느슨해질 수 있다. 특히, 미디어(10)가 제1방향(A1)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TPH(51)와 플라텐 롤러(52)가 서로 이격되어 있다가 미디어(10)가 제2방향(A2)으로 이송되기 전에 미디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탄력적으로 대면되는 경우에는 미디어(10)가 느슨해질 가능성이 더욱 크다. 그러면, 이송유닛(30)이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키더라도 TPH(51)의 발열선(51a) 부근에서는 미디어(10)는 긴장된 상태가 될 때까지 이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시작위치(Q)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미디어(10)의 말단(12)을 검출한 후에 미디어(10)의 말단(12)이 이송유닛(30)과 센서(81) 사이에 위치될 때까지 미디어(10)를 제1방향(A1)으로 이송시킨다. 그런 다음에 다시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켜 이송유닛(30)과 화상형성유닛(50) 사이에서 미디어(10)는 긴장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다시 미디어(10)의 말단(12)을 검출하고, 이 때를 기준으로 하여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소정 거 리 이송시킴으로써 인쇄시작위치(Q)를 정확히 TPH(51)의 발열선(51a)에 얼라인(align)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81)를 이용하여 화상의 인쇄시작위치를 맞춤으로써 화상의 손실없는 프린팅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미디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미디어(10)은 기재(base sheet, S)의 양면 즉 제1면(M1)과 제2면(M2)에 열에 반응하여 소정 색상을 표현하는 감열잉크층(L1, L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감열잉크층(L1, L2)은 단일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단층 구조 또는 2 색 이상의 표현을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예로서, 감열잉크층(L1)은 옐로우, 마젠타 색상 표현을 위해 2 개의 층이 마련되고, 감열잉크층(L2)은 시안 색상의 표현을 위해 하나의 층이 마련될 수 있다. 감열잉크층(L1)의 옐로우, 마젠타 색상은 TPH(51)의 온도와 가열시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온으로 단시간 가열하면 옐로우 색상이 발현되고, 저온으로 장시간 가열하면 마젠타 색상이 발현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로 가능하다. 기재(S)가 투명한 재료라면, 감열잉크층(L1, L2)의 옐로우, 마젠타, 시안 색상을 각각 발현시키면, 세가지 색상이 중첩되어 칼라화상이 표현된다. 이와 같은 미디어(10)는 미국 공개특허 US2003/0125206호에 개시되어 있다. 기재(S)가 불투명한 재료라면, 제1, 제2면(M1)(M2)에 각각 다른 화상을 인쇄함으로써 양면인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방법은 미디어(10)의 제1, 제2면(M1)(M2)의 잉크층(L1)(L2)의 구조에 의하여 그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미디어(10)의 양면(M1)(M2)에 열을 가하기 위하여, TPH(51)는 미디어(10)의 제1면(M1)과 대면된 제1위치(도 1 참조)와 미디어(10)의 제2면(M2)에 대면된 제2위치(도 2 참조)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TPH(51)가 플라텐 롤러(52)의 회전축(5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PH(51)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예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플라텐 롤러(52a)의 회전축(52a)과 동심을 이루며 회전되는 지지브라켓(53)이 도시되어 있다. TPH(51)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지지브라켓(53)의 외주에는 기어부(53a)가 마련된다. 모터(60)의 회전축에는 기어부(53a)에 맞물리는 웜기어(61)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60)를 구동하여 지지브라켓(53)을 회전시킴으로써 TPH(51)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55)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되어 THP(51)와 이송유닛(30) 사이에서 미디어(10)를 가이드한다. TPH(51)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TPH(51)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순서에 의하여 미디어(10)의 제1면(M1)에 옐로우, 마젠타 색상의 화상이 인쇄된다. 미디어(10)의 선단(11)이 화상형성유닛(50)을 벗어나면, 이송유닛(30)은 정지된다. 이 때, 미디어(10)의 선단(11)은 화상형성유닛(50)과 이송유닛(30) 사이 또는 이송유닛(30)과 센서(81) 사이 또는 센서(81)와 배출유닛(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10)의 선단(11)이 화상형성유닛(50)과 이송유닛(30)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에 대 하여 설명한다. 모터(60)가 지지브라켓(53)을 회전시켜 TPH(51)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를 다시 제1방향(A1)으로 이송시킨다. 미디어(10)는 가이드부재(55)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TPH(51)와 플라텐롤러(52) 사이로 이송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10)의 말단(12)이 센서(81)를 통과하면 센서(81)의 신호는 H->L로 바뀐다. 제어부(70)는 미디어(10)의 말단(12)이 검출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 이송을 멈춘다. TPH(51)는 미디어(10)의 제2면(M2)과 대면된다. 미디어(10)의 말단(12)은 이송유닛(30)과 센서(81) 사이에 위치된다.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10)의 말단(12)이 센서(81)를 통과하면 센서(81)의 신호는 L->H로 바뀌며, 제어부(70)는 미디어(10)의 말단(12)이 다시 검출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소정 거리 제2방향(A2)으로 이송된 후)에 미디어(10)의 인쇄시작위치(Q)는 TPH(51)의 발열선(51a)에 도달되며, TPH(51)는 미디어(10)에 열을 가하여 시안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된 미디어(10)는 배출유닛(40)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센서(81)를 구비함으로써 미디어(10)의 제1면(M1)에 인쇄되는 옐로우, 마젠타 화상과 제2면(M2)에 인쇄되는 시안 화상이 정확히 서로 중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좋은 품질의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2)는 화상형성유닛(50)으로부터 제1방향(A1)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미디어(10)의 선단(11)을 기준으로 하여 미디어(10)의 인쇄시작위치(Q)와 TPH(51)의 발열 선(51a)을 일치시킨다. 픽업롤러(21)에 의하여 카세트(20)로부터 픽업된 미디어(10)의 선단(11)이 센서(82)를 통과할 때에 센서(82)의 신호는 L->H로 바뀐다. 제어부(70)는 미디어(10)의 선단(11)이 검출된 것으로 인식하며, 픽업과정이 에러없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의 선단(11)으로부터 인쇄시작위치(Q)까지의 거리를 감안하여 미디어(10)를 제1방향(A1)으로 이송시켜 인쇄시작위치(Q)는 TPH(51)의 발열선(51a)에 일치시키고 정지한다. 이송유닛(30)은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키며, TPH(51)는 미디어(10)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된 미디어(10)는 배출유닛(40)에 의하여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미디어(10)를 채용하여 칼라인쇄를 하는 경우에도 센서(82)를 이용하여 미디어(10)의 선단(11)을 검출함으로써 미디어(10)의 제1면(M1)에 인쇄되는 옐로우, 마젠타 화상과 제2면(M2)에 인쇄되는 시안 화상이 정확히 서로 중첩되게 할 수 있다.
미디어(10)의 특성은 화상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열 잉크층(L1)(L2)의 화학적 조성이 제조로트, 제조회사에 따라 약간씩 달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이를 반영하여 TPH(51)의 발열온도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의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회사나 제조로트를 비롯하여 다양한 미디어(10)의 특성정보가 제조 시에 바코드(B)의 형태로 미디어(10)에 기록될 수 있다. 바코드(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인쇄영역(T1)에 인쇄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코드(B)는 비인쇄영역(T2)에 인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비인쇄영역(T2)의 길이가 바코 드(B)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길어져야 한다.
화상형성장치는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센서(9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바코드가 비인쇄영역(T2)에 인쇄되는 경우에, 바코드 센서(91)는 이송유닛(30)으로부터 제2방향(A2)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 또는 이송유닛(30)과 화상형성유닛(50) 사이 또는 화상형성유닛(50)으로부터 제1방향(A1)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바코드가 비인쇄영역(T1)에 인쇄되는 경우에, 바코드 센서(91)는 이송유닛(30)으로부터 제2방향(A2)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바코드는 비인쇄영역(T1) 및/또는 (T2)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소에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바코드 센서(91)를 바코드의 폭방향의 위치에 맞추어 설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81)를 이용하여 바코드를 읽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별도의 바코드 센서(91)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코드가 비인쇄영역(T1)에 인쇄된 경우에, 미디어(10)의 선단(11)이 검출된 후에 바코드가 인쇄된 부분이 센서(81)를 통과하면, 바코드정보에 대응되는 H, L 신호들이 제어부(70)로 송출된다. 제어부(70)는 예를 들어 각 H, L 신호의 길이(지속시간)에 의하여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한다. 바코드에 의한 H 또는 L 신호의 최대지속시간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센서(81)의 H 신호가 최대지속시간 이상 지속될 때에는 제어부(70)는 바코드가 센서(81)를 완전히 통과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후에, 센서(81)의 신호가 H->L로 바뀌면 제어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10)의 말단(12)이 검출된 것으로 인식한다.
바코드가 비인쇄영역(T1)과 (T2)에 인쇄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비인쇄영역(T1)의 바코드정보를 읽은 후에 비인쇄영역(T2)에 인쇄된 바코드가 센서(81)를 통과하면 바코드정보에 대응되는 H, L 신호들이 제어부(70)로 송출되고, 제어부(70)는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한다. 센서(81)의 H 신호가 최대지속시간 이상 지속될 때에는 제어부(70)는 바코드가 센서(81)를 완전히 통과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후에, 센서(81)의 신호가 H->L로 바뀌면 제어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10)의 말단(12)이 검출된 것으로 인식한다.
바코드가 비인쇄영역(T1)에만 인쇄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82)를 이용하여 바코드를 읽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센서(81)(82)를 인쇄시작위치(Q)를 맞추기 위한 얼라인 센서 및 바코드를 읽기 위한 바코드 센서로서 활용할 수 있다. 바코드는 비인쇄영역(T1) 및/또는 (T2)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소에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센서(81 또는 82)를 바코드의 폭방향의 위치에 맞추어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시작위치를 맞춤으로써 인쇄화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디어를 다수회 왕복이송시키면서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 좋은 품질의 칼라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2)

  1.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으로 미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미디어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인쇄시작위치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화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미디어의 상기 제1, 제2방향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미디어 정보를 기록한 바코드가 마련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바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미디어의 상기 제1, 제2방향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미디어 정보를 기록한 바코드가 마련되며,
    상기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
    미디어를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미디어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미디어의 상기 제1방향의 단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인쇄시작위치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미디어의 상기 제1방향의 단부에는 미디어 정보를 기록한 바코드가 마련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바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위치된다.
  6. 제4항에 있어서,
    미디어의 상기 제1방향의 단부에는 미디어 정보를 기록한 바코드가 마련되며,
    상기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 성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하나 이상의 감열잉크층을 구비하는 감열 미디어이며,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TPH와, 상기 TPH와 대면되어 미디어를 지지하는 플라텐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PH는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와 그 반대면인 제2면과 대면된 제2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서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PH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인쇄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한 제2방향으로 미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미디어를 검출하는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미디어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검출하고,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가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센서 사이에 위치된 때에 미디어의 이송을 멈추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다시 검출하고, 그 후에 미디어를 소정 거리 더 이송시켜 미디어의 인쇄시작위치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화상형성라인과 일치시키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미디어의 상기 제1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미디어의 제2면과 대면된 제2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1면에 화상이 인쇄된 미디어를 다시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검출하고,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가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센서 사이에 위치된 때에 미디어의 이송을 멈추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상기 제2방향의 단부를 다시 검출하고, 그 후에 미디어를 소정 거리 더 이송시 켜 미디어의 상기 인쇄시작위치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상기 화상형성라인과 일치시키는 단계;
    미디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미디어의 상기 제2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하나 이상의 감열잉크층을 구비하는 감열 미디어이며,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TPH와, 상기 TPH와 대면되어 미디어를 지지하는 플라텐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TPH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KR1020040097994A 2004-11-26 2004-11-26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20060058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994A KR20060058943A (ko) 2004-11-26 2004-11-26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EP05109778A EP1661720B1 (en) 2004-11-26 2005-10-20 Image forming
DE602005026897T DE602005026897D1 (de) 2004-11-26 2005-10-20 Erzeugung von Bildern
US11/256,057 US7391429B2 (en) 2004-11-26 2005-10-2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05101184982A CN1778565B (zh) 2004-11-26 2005-10-27 成像装置和使用该成像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994A KR20060058943A (ko) 2004-11-26 2004-11-26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943A true KR20060058943A (ko) 2006-06-01

Family

ID=3583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994A KR20060058943A (ko) 2004-11-26 2004-11-26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91429B2 (ko)
EP (1) EP1661720B1 (ko)
KR (1) KR20060058943A (ko)
CN (1) CN1778565B (ko)
DE (1) DE60200502689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0942A1 (en) * 2005-11-30 2007-05-31 Ncr Corporation Dual-sided two color thermal printing
JP2013039710A (ja) * 2011-08-15 2013-02-28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システム
UA120942C2 (uk) * 2014-09-29 2020-03-10 Таркетт Гдл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поверхневого покриття з тисненою друкованою поверхнею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1152A (ja) * 1989-03-06 1990-09-1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
JPH06183096A (ja) 1992-12-18 1994-07-05 Tokyo Electric Co Ltd 印字媒体及びこの印字媒体への印字を行う印字装置
JPH08192524A (ja) 1995-01-18 1996-07-30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プリント方法
JPH08267845A (ja) 1995-03-31 1996-10-15 Casio Comput Co Ltd 熱転写印字装置
JPH09123492A (ja) 1995-10-26 1997-05-13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タ
KR0184477B1 (ko) 1996-08-24 199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사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US6296495B1 (en) * 1999-11-05 2001-10-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and grid package connector
US6296405B1 (en) * 2000-01-04 2001-10-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plex check printer using a print mechanism pivoted between document paths
JP2001253570A (ja) * 2000-03-13 2001-09-18 Canon Inc 記録装置
KR100529121B1 (ko) * 2001-06-04 2005-11-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JP2003094758A (ja) 2001-09-20 2003-04-03 Toshiba Corp 印刷装置、印刷方法、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
US6705786B2 (en) * 2002-04-11 2004-03-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plex printing of print sheets
KR100449019B1 (ko) * 2002-08-06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여백없는 인쇄를 위한 용지에지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486060B1 (ko) 2002-12-06 2005-04-29 주식회사 파캔오피씨 색상식별마크를 구비한 잉크 리본, 이를 이용한 컬러 인쇄 방법 및 색상식별장치
KR20050022647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용지의 단부 검출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여백없는 인쇄 방법
US7198419B2 (en) * 2003-10-08 2007-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double-sided printing
KR100636135B1 (ko) * 2003-12-3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의 화상정렬 인쇄방법
US7179002B2 (en) * 2003-12-31 2007-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110488A (ko) * 2004-05-19 2005-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열방식 프린터의 슬립 보상방법
KR100580263B1 (ko) * 2004-06-10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열반응 용지의 인쇄방법
US7295223B2 (en) * 2004-07-30 2007-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image alignmen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2019B1 (ko) * 2004-10-28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60110488A (ko) * 2005-04-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8565B (zh) 2011-07-27
EP1661720B1 (en) 2011-03-16
EP1661720A3 (en) 2007-03-28
CN1778565A (zh) 2006-05-31
EP1661720A2 (en) 2006-05-31
US7391429B2 (en) 2008-06-24
DE602005026897D1 (de) 2011-04-28
US20060114310A1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5212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H111037A (ja) 印画装置
JP2005193671A (ja) 両面印刷装置の画像整列印刷方法
JP2002337410A (ja) 熱転写ラインプリンタ
KR100727965B1 (ko) 잉크리본, 열전사방식 화상형성장치, 및인쇄관리정보부가방법
US20050276649A1 (en) Method of printing on thermal media
CN100379570C (zh) 通过对准图像而打印热敏介质的方法
JP2006240202A (ja) 印刷装置用リボン、該リボンを用いる印刷装置、リボン種類検知方法
EP1661720B1 (en) Image forming
KR100694051B1 (ko) 열반응 용지의 화상정렬 인쇄방법
KR100644670B1 (ko) 반사형미디어센서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870574B2 (ja) 熱転写印刷装置
JPS59209195A (ja) 熱転写形プリンタの記録方式
JP4192026B2 (ja) 中間転写方式における一次転写画像の形成方法およびプリンタ
KR10073970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중송감지방법
JP2006256119A (ja) 両面印刷装置
JP4252201B2 (ja) 熱転写ラインプリンタ
KR20060005757A (ko) 포토 프린터의 인쇄 미디어 및 포토 프린터
JP2604141B2 (ja) カラープリンタ
JP2004330782A (ja) 再転写方式の印刷方法及び再転写方式の印刷装置
JP3942416B2 (ja) ベルト搬送式画像形成装置
JP2005305936A (ja) 中間転写型熱転写印刷装置
JP20082074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8655A (ja) カラープリンタ及びその色ずれ補正方法
JP2006205457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911

Effective date: 200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