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121B1 -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121B1
KR100529121B1 KR10-2003-7001593A KR20037001593A KR100529121B1 KR 100529121 B1 KR100529121 B1 KR 100529121B1 KR 20037001593 A KR20037001593 A KR 20037001593A KR 100529121 B1 KR100529121 B1 KR 10052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path
path
check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334A (ko
Inventor
사사키토시유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686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43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2942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44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111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4405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9Diverting sheets at a section where at least two sheet conveying paths converge, e.g. by a movable switching guide that blocks access to one conveying path and guides the sheet to another path, e.g. when a sheet conveying direction is reversed after printing on the front of the sheet has been finished and the sheet is guided to a sheet turning path for printing on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하고, 공통 인쇄 헤드에 의해 용지의 양면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프린터로서, 용지가 한 쌍의 이송롤러에 의해 클램프 유지되면서 용지를 반전시켜, 부품수의 절감, 이송실패의 방지 등이 실현된다. 프린터는 제 1용지경로를 포함한다. 인쇄헤드는 기록용지에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제 1용지경로에 대해 배치된다. 한 쌍의 이송롤러는 인쇄헤드에 접근하는 제 1방향과 제 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2방향으로 기록용지를 이송하도록 되어있는 제 1롤러와 제 2롤러를 포함한다. 제 2용지경로는 제 1롤러의 외주를 따라 연장하는, 제 1롤러로부터 제 2방향으로 변위된 분기위치에서 제 1용지경로로부터 분기되고, 제 1롤러로부터 제 1방향으로 변위된 합류위치에서 제 1용지경로에 합류한다. 경로전환기는 제 1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1위치와 제 2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2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분기위치 부근에 배치되어 제 2방향으로 이송된 기록용지의 경로가 제 1용지경로 또는 제 2용지경로로 전환되게 한다.

Description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SHEET REVERSAL MECHANISM AND PRIN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하고, 공통 인쇄 헤드에 의해 용지의 양면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용지의 양면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프린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종류의 프린터는: 일본 특허 공개 제 3-53955A호에 기재되어있는 바와 같이, 인쇄헤드가 전면/배면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된 프린터;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59-31178A호 및 제 61-89876A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일 인쇄헤드로 양면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체 용지를 반전시킬 수 있는 기구를 포함하는 프린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면/배면에 대해 각각 인쇄헤드가 개별적으로 배치된 형식의 프린터에는, 두 개의 인쇄헤드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프린터의 소형화를 방해한다. 또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체 용지를 반전시키는 기구를 포함하는 형식의 프린터에는, 반전기구는 여러 쌍의 롤러들 사이에 용지를 이송하면서 용지를 반전시키는 복잡한 기구이기 때문에, 잼(jam)(용지 걸림(sheet jamming)) 비율이 높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전체 용지를 반전시키는데 충분한 용지 반전경로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프린터의 소형화가 방해된다. 또한, 용지를 반전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프린터의 작업처리량(throughput)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용지 반전 경로보다 긴 용지는 반전될 수 없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의 인쇄헤드에 의해 용지의 양면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고, 부품 수의 감소, 이송장애의 방지 등이, 한 쌍의 이송 롤러에 의해 클램프(clamp) 유지되면서 용지를 반전시킴으로써 실현되는 용지 반전기구를 포함하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3은 제 1실시예의 프린터의 제어블록도;
도 4는 검사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MICR 판독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출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a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MICR 판독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MICR 판독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9c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MICR 판독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a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c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c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2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3은 제 2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X-X선 단면도;
도 14a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b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a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낸는 정면도;
도 15b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5c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단면도;
도 16은 제 2실시예의 프린터의 제어블록도;
도 17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 MICR 판독위치설정/MICR 판독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8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9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0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배출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1a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검사반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b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검사반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c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검사반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d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검사반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a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우측단면도;
도 22b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좌측단면도;
도 23은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4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25a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좌측면도;
도 25b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평면도;
도 25c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정면도;
도 26a는 제 1용지경로선택판을 나타내는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사시도로서, 캐리지와 슬라이드판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b는 제 1용지경로선택판을 나타내는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사시도로서, 전환판과 전환캠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a는 제 2용지경로선택판을 나타내는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사시도로서, 캐리지와 슬라이드판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b는 제 2용지경로선택판을 나타내는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사시도로서, 전환판과 전환캠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전환판과 반전안내판의 우측 단면도;
도 29는 제 3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30은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용지경로;
기록용지에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제 1용지경로에 대해 배치된 인쇄헤드;
(출구를 향해) 인쇄헤드에 접근하는 제 1방향과 (입구를 향해) 제 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2방향으로 기록용지를 이송하도록 되어있는 제 1롤러와 제 2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제 1롤러의 외주를 따라 연장하는, 제 1롤러로부터 제 2방향으로 변위된 분기위치에서 제 1용지경로로부터 분기되고, 제 1롤러로부터 제 1방향으로 변위된 합류위치에서 제 1용지경로에 합류하는 제 2용지경로; 및
제 1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1위치와 제 2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2위치에 배치되도록 분기위치 부근에 배치되어 제 2방향으로 이송된 기록용지의 경로가 제 1용지경로 또는 제 2용지경로로 전환되게 하는 경로전환기를 포함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록용지가 한 쌍의 이송롤러에 의해 클램프 유지되면서 기록용지가 J자 형상으로 반전될 수 있기 때문에, 공통의 인쇄헤드에 의해 인쇄 용지에 양면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들 사이로 이송되면서 기록용지가 반전되는 구성에 비해, 용지 걸림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반전 경로로서 작용하는 제 2용지경로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어서, 프린터가 소형화될 수 있고 처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는,
경로전환기를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한 곳을 향해 가압하는 어징부재(urging member); 및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다른 한 곳에서 경로전환기를 유지(retain)하는 리테이너(retainer)를 더 포함한다.
특히, 경로전환기가 제 1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1위치로 경로전환기가 밀리고, 경로전환기가 제 2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2위치에 유지되는 구성에서는, 기록용지가 반전되었을 때 기록용지의 강성에 의해 경로전환기가 피벗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2용지경로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배면인쇄 위치설정/배면인쇄 공정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경로전환기를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다른 한 곳으로 배치시키는 작동기(actuato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는, 인쇄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제 1방향과 제 2방향에 실질상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동하도록 되어있는 캐리지(carriage); 및
캐리지의 소정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다른 한 곳으로 경로전환기를 배치시키는 전환캠을 더 포함 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프린터는, 인쇄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제 1방향과 제 2방향에 실질상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동하도록 되어있는 캐리지; 및
캐리지가 비인쇄영역 중 한 곳에 배치된 제 1전환 위치에 놓였을 때 경로전환기를 제 1위치로 배치시킴과 아울러, 캐리지가 비인쇄영역 중 다른 한 곳에 배치된 제 2전환 위치에 놓였을 때 경로전환기를 제 2위치로 배치시키도록, 캐리지를 비인쇄영역을 향해 이동하게 하면서 복수의 캠 위치 중 한 곳에 선택적으로 놓이는 전환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환캠은 경로전환기를 옮기기 위해 경로전환기의 결합부에 대해 접하도록 되어있는 캠편(cam 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경로전환기는, 캐리지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전환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제 1용지경로를 따라 제 1방향으로 이송된 기록용지의 후미단(trailing end)이 분기위치로부터 제 1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놓이면 경로전환기를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한 곳으로 배치시키고, 기록용지를 제 2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한 쌍의 이송롤러를 구동하는 전환 제어기(switching controller)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는, 적어도 제 2용지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기록용지를 제 1용지 경로에 실질상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개방위치와 기록용지를 합류위치로 안내하는 폐쇄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용지 걸림이 발생하더라도, 안내부재가 개방위치로 설정된 후에 걸린 용지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안내부재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중 한 곳을 향해 가압하는 어징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프린터는, 인쇄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제 1방향과 제 2방향에 실질상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동하도록 되어있는 캐리지; 및
캐리지와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제 1결합부재와 안내부재와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제 2결합부재가 구비된 피벗가능한 안내작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작동기는, 캐리지가 소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제 1결합부재를 캐리지와 결합시킴으로써 피벗되어, 안내부재를 어징부재의 가압력(urging force)에 대항하여 옮기도록 제 2결합부재가 안내부재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안내부재는, 캐리지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전환 조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린터는, 개방위치에 놓인 안내부재를 따라 제 2방향으로 이송된 기록용지의 선단이 합류위치에 가까운 안내부재의 단부를 통과한 후, 안내부재를 폐쇄위치로 배치시키는 안내 제어기(guide controller)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록용지의 후미단부가 제 2용지경로로부터 제 1용지경로로 진입할 때 용지 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록용지의 후미단이 합류위치보다 인쇄헤드에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 기록용지의 선단이 제 1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에, 안내 제어기가 안내부재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록용지가 합류위치에서 구부러지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기록용지의 인쇄면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제 1용지경로로 돌출하는 위치와 제 1용지경로로부터 후퇴된 위치에 배치된 위치결정 스토퍼(positioning stopper)를 더 포함한다. 위치결정 스토퍼는 폐쇄위치에 놓인 안내부재와 함께 제 2용지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프린터는, 제 1용지경로를 따라 이송된 기록용지의 제 1면에 인쇄를 수행함과 아울러, 제 2용지경로를 통해 이송된 기록용지의 제 2면에 인쇄를 수행하도록 프린터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쇄헤드와 제 1롤러는 제 1용지경로에 대해 같은 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록용지의 이송방향에 상관없이 기록용지의 양면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프린터(10)는 수표(check)와 같은 절단 용지(cut sheet)와 롤 용지(rolled sheet)와 같은 연속지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고, 수표(M)가 삽입되는 절단 용지 입구(11)와 롤 용지(R)를 수용하는 롤 용지 하우징(13)을 가진다. 절단 용지 이송경로와 롤 용지 이송 경로는, 절단 용지 입구(11)로부터 삽입되는 수표(M)와 롤 용지 하우징(13)으로부터 뽑혀나오는 롤 용지(R)가 공통 인쇄위치를 지나 이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인쇄위치에서는, 인쇄헤드(20)와 압반(21)이 근접한 상태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전단 용지 입구(11)로부터 삽입되는 수표(M)는 한 쌍의 절단용지 이송롤러(35)에 의해 이송된 후, 공통 인쇄위치를 통해 절단 용지 출구(12)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롤 용지 하우징(13)으로부터 뽑혀 나온 롤 용지(R)는 한 쌍의 롤 용지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해 이송된 후, 공통 인쇄위치와 절단기기구(미도시)를 통해 롤 용지 출구(14)로부터 배출된다.
롤 용지 하우징(13)을 개폐하는 커버 프레임(16)은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주프레임(main frame)(15)의 후방부에 수직으로 피벗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16)이 열렸을 때, 롤 용지(R)의 교체 또는 프린터의 내부의 유지보수가 수행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커버 프레임(16)에 배치된 압반(21)이 인쇄헤드(20)와 근접한 상태에서 대향된다. 인쇄헤드(20)는 횡방향(이송 경로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캐리지(22)에 배치되어 있고, 압반(21)에 의해 가압되는 용지 한 쪽면의 다른 쪽 면에 도트 매트릭스 인쇄를 수행한다.
캐리지이동기구(23)를 포함하는 캐리지 프레임(17)은 주프레임(1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캐리지(22)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전후 캐리지축(24, 25)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캐리지이동기구(23)의 구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이동기구(23)는, 캐리지 프레임(17)에 배치된 한 쌍의 좌우측 풀리(26); 풀리(26)에 권취되어 있고, 소정위치에서 캐리지(22)에 연결되어있는 벨트(27); 및 풀리(26)들 중 하나를 정ㆍ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캐리지 모터(28)를 포함한다. 캐리지(22)는 캐리지 모터(28)의 정ㆍ역구동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인쇄헤드(20)의 인쇄방법은 잉크 방울이 노즐면에 형성된 잉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잉크젯 방식(ink jet type)이다. 유지보수기구(29)는, 인쇄헤드(20)의 노즐면을 덮는 노즐캡(nozzle cap); 노즐캡을 통해 잉크노즐로부터 잉크를 흡입하는 잉크흡입펌프; 및 압반(21)의 우측에 배치된 노즐면을 닦아내는 노즐 소제기(nozzle cleaner)를 포함한다.
(제 1실시예)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프린터(10)에서,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L자형이고 절단 용지 입구(11)(이하, 간단히 "입구"라 칭함)로부터 절단 용지 출구(12)(이하, 간단히 "출구"라 칭함)까지 연장되어있는 제 1용지경로(30)는 제 1용지안내부재(31, 3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용지경로(30)상에서, 제 1용지검출기(33), 자기헤드(34), 한 쌍의 절단 용지 이송롤러(35)(이하, 간단히 "한 쌍의 이송롤러"라 칭함), 제 2용지검출기(39), 및 인쇄헤드(20)는 입구(11)측으로부터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용지검출기(33, 39)는, 예를 들면, 투과형(transmission type) 또는 반사형(reflection type) 감광기(photosensor)에 의해 구성되고, 제 1용지경로(30)의 각각의 위치에서의 수표(M)의 존재를 검출한다. 계수(account number)와 같은 정보는 자기 잉크(magnetic ink)에 의해 수표(M) 전면의 자기잉크문자 기록영역에 기록된다. 자기헤드(34)는 자기잉크문자를 판독한다. 판독된 데이터가 문의되면, 수표(M)의 유효 또는 무효(validity or invalidity)가 인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롤러(35)는 구동롤러(36)와, 구동롤러와 접촉하면서 가압하는 가압롤러(37)에 의해 구성되고, 구동롤러(36)의 구동에 따라 수표(M)를 클램핑(clamping) 및 이송한다.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에 의해 구성된 용지공급모터(38)의 동력은 기어열(gear train)(73)을 통해 구동롤러(36)로 전달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용지공급모터(38)와 용지공급모터(3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36)의 회전방향에 대해, 입구(11)로부터 제 1용지경로(30)로 삽입되는 수표(M)의 선단(leading end)(Mt)이 전단으로서의 제 1용지경로(30)의 (출구(12)를 향한) 하류측으로 이송되는 방향은 "정회전(정방향)"이라 칭하고, 수표(M)가 (입구(11)를 향한) 상류측으로 이송되는 방향은 "역회전(역방향)"이라 칭한다.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분기된 후 제 1용지경로(30)와 다시 합류하는 루프형(loop-like)(아치형(arcuate)) 제 2 용지경로(40)를 형성하는 제 2 용지안내부재(41)는 구동롤러(36)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제 1용지경로(30)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전환판(switching plate)(43)을 포함하는 용지경로 전환기구(42)는 한 쌍의 이송롤러(35)로부터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피벗(43a)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지지된 전환판(43)은, 피벗(43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있는 전환 아암(switching arm)(43b); 및 피벗(43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있는 작동 아암(operation arm)(43c)에 의해 형성된다. 전환판(43)은 제 2용지경로(40)를 선택하기 위해 전환 아암(43b)이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하는 자세와, 제 1용지경로(30)를 선택하기 위해 전환 아암(43b)이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는 자세 사이에서 전환된다. 작동 아암(43c)이 인장코일스프링(tension coil spring)(44)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면, 전환 아암(43b)이 제 2용지경로(40)를 형성하기 위해 제 2용지안내부재(41)와 협력하도록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한다(제 2용지경로 선택자세). 작동 아암(43c)이 솔레노이드(solenoid)(45)에 의해 인장코일스프링(44)의 인장력에 대해 하방으로 당겨지면, 전환 아암(43b)은 제 1용지경로(30)를 형성하기 위해 제 1용지경로로부터 후퇴한다(제 1용지경로 선택자세).
작동 아암(43c)의 위치는, 예를 들면, 투과형 또는 반사형 감광기에 의해 구성되는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에 의해 검출되어, 전환 아암(43c)의 자세가 알려져, 제 1/제 2용지경로(30, 40)의 선택상태(전환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는 제 1용지경로(30)에서의 수표(M)의 존재를 검출한다. 수표(M)가 입구(11)로부터 제 1용지경로(30)내로 삽입되면,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한 전환 아암(43b)은 인장코일스프링(44)의 인장력에 대해 수표(M)의 두께에 의해 피벗되어,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한다. 그러므로, 작동 아암(43c)의 위치를 검출하는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수표(M)의 존재가 판단된다.
다음 설명에서, 용지경로 분기위치(47)는, 전환판(43(67))과 한 쌍의 이송롤러(35) 사이의 접합점(junction)을 의미하고, 그 곳에서 제 1용지경로(30)와 제 2용지경로(40)가 서로 분기된다. 그 위치에서, 전환판(43(67))의 피벗은 전환판(43(67))으로부터 하류에 위치하는 수표(M)의 후미단(Mb)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용지경로 합류위치(48)는, 한 쌍의 이송롤러(35)와 인쇄헤드(20) 사이에 위치하는 접합점(juncture)을 의미하고, 그 곳에서 제 1용지경로(30)와 제 2용지경로(40)가 서로 합류한다.
도 3은 제 1실시예의 프린터의 제어 블록도이다. 프린터(10)는 CPU,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된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 1용지검출기(33), 자기헤드(34) 제 2용지검출기(39), 인쇄헤드(20), 캐리지 모터(28), 용지공급모터(38), 솔레노이드(45),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 등이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50)는, 후술될 전면인쇄위치 설정처리, 배면인쇄위치 설정처리, 용지경로 전환처리, 및 용지길이 검출처리를 각각 제어하는 전면인쇄위치 설정부(51), 배면인쇄위치 설정부(52), 용지경로 전환부(53), 및 용지길이 검출부(54)를 가진다. 이하, 순서도를 참조하여 제어부(50)에 의해 수행되는 수표처리(checking process)의 제어절차(control procedure)를 설명한다.
도 4는 수표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제어는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판독 명령, 전/배면 인쇄 명령, 및 용지 배출 명령과 같은 호스트 장치(host apparatus)(미도시)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수행된다. MICR 판독 명령이 수신되면, 프린터(10)는 수표(M) 삽입 대기상태로 들어간다(S401). 수표(M)가 입구(11)로부터 삽입되면, 수표(M)는 제 1용기경로(30)를 따라 자기헤드(34)의 수표(M)의 MICR판독개시위치(M1)로 이송된다. 수표(M)는 제 1용지경로(30)를 따라 출구(12)를 향해 더 이송되면서, 수표(M)의 자기 잉크 문자가 자기헤드(34)에 의해 판독된다(S402; MICR 판독처리). 자기헤드(34)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로 전달된 후, 수표(M)의 유효 또는 무효가 판단된다.
수표(M)가 무효이면(S403; 아니오), 수표(M)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용지배출명령에 따라 출구(12)로부터 배출되고, 수표 처리가 종료된다.
반대로, 수표(M)가 유효하면(S403; 예), 용지경로 전환기구(42)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배면인쇄명령에 따라 제 2용지경로를 선택하고, 후미단(Mb)측의 수표(M)의 일부가 용지경로 분기위치(47)로부터 제 2용지경로(40)내로 이송된 후, 수표(M)가 용지경로 합류위치(48)로부터 제 1용지경로로 복귀하여, 수표(M)의 배면의 배면인쇄개시위치(M2)가 인쇄헤드(20)와 마주보게 된다(S404; 배면인쇄위치설정처리). 후미단(Mb)측의 수표(M)의 일부가 제 1용지경로(30)를 따라 출구(12)로 이송되는 동안, 인증번호(authentication number), 날짜, 및 수량 등의 배서(endorsement)가 인쇄되고(배서 인쇄); 인쇄헤드(20)에 의해 인쇄한 후에, 수표(M)의 후미단(Mb)이 용지경로분기위치(47)로 복귀한다(S405; 배면인쇄처리).
배면인쇄처리가 종료되면, 용지경로 전환기구(42)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전면인쇄명령에 따라 제 1용지경로(30)를 선택하고, 수표(M)가 제 1용지경로(30)를 따라 이송되어 수표(M)의 전면의 전면인쇄개시위치(M3)가 인쇄헤드(20)와 마주보게 된다(S406; 전면인쇄처리). 그리고나서, 수표(M)의 선단(Mt)측이 제 1용지경로(30)를 따라 출구(12)를 향해 이송되면서, 수취인(payee), 날짜, 및 수량 등의 표지항목(cover item)이 인쇄헤드(20)에 의해 수표(M)의 전면에 인쇄된다(S407; 전면인쇄처리).
전면인쇄처리가 종료되면, 수표(M)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배출명령에 따라 출구(12)로부터 배출되고(S408; 배출처리), 수표처리가 종료된다.
이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기 처리의 제어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MICR판독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MICR판독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표(M)가 입구(11)로부터 삽입되고 수표(M)의 삽입이 제 1용지검출기와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도 9a)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용지공급모터(38)가 구동롤러(36)의 정회전에 의해 한단계 전방으로 구동되어, 그로 인해 수표(M)가 구동롤러(36)와 가압롤러(37)에 의해 클램핑 유지되도록 야기되고 제 1용지경로(30)를 따라 출구(12)를 향해 이송된다. 수표(M)의 전면에 기록된 자기잉크문자가 자기헤드(34)에 의해 판독된다. 단계(S501) 및 단계(S502)의 처리는 수표(M)의 선단(Mt)이 제 2용지경로(40)의 검출위치에 이를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수표(M)의 선단(Mt)이 검출되었다는 것이 판단되면(용지 존재가 판단되면)(S503; 예, 도 9b),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driving step number)(n1)의 계수가 제어부(50)에 구비된 계수기(미도시)에 의해 개시된다(S504).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의 계수에 있어서, 추가(addition)는 정회전인 경우에 수행되고, 삭감(subtraction)은 역회전인 경우에 수행된다. 결국,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위치를 참조(reference)로서 사용하여, 수표(M) 위치의 설정이 참조 위치로부터의 이송 구동스텝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01∼단계 S504의 처리는 수표(M)의 후미단(Mb)이 제 1용지검출기(33)의 검출위치에 이를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505; 아니오). 제 1용지검출기(33)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수표(M)의 후미단(Mb)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용지가 없다고 판단되면)(S505; 예, 도 9c),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인 값(c1)의 합(mw(=c1+n1))이 제 1용지검출기(33)와 제 2용지검출기(39) 사이의 경로 길이(C1)에 상응하고,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 구동스텝수(n1)가 산출되어, 수표(M)의 용지길이(Mw)가 검출(산출)된다.
그 후, 수표(M)의 선단(Mb)이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의 검출위치에 이를 때까지(S509, 아니오), 상기 단계 S501 및 단계 S502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표(M)가 출구(12)를 향해 한 단계씩 이송되면서 수표(M)에 기록된 자기잉크문자가 자기헤드(34)에 의해 판독된다(S508).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수표(M)의 후미단(Mb)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용지가 없다고 판단되면)(S509; 예), MICR판독처리가 종료된다.
MICR판독처리가 종료되면, 수표(M)는 후미단(Mb)이 용지경로 분기위치(47)에 위치한 상태로 제 1용지경로(30)에 정지된다. 전환 아암(43b)은, 작동 아암(43c)이 인장코일스프링(44)에 의해 당겨져 제 1용지경로(30)에 돌출하는 자세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ICR판독처리에 있어서, 수표(M)의 용지길이(Mw) 검출 처리는, 수표(M)의 자기잉크문자 판독 처리와 동시에 수행된다. 또 다르게는, 두 처리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용지길이의 검출이 먼저 수행된 후, 자기잉크문자의 판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MICR판독처리가 종료되었을 때, 수표(M)의 후미단(Mb)은 용지경로분기위치(47)에 위치하고, 전환 아암(43b)은, 전환 아암(43b)이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하는 제 2용지경로 선택자세로 된다(도 10a). 이러한 위치관계에서 용지공급모터(38)가 역구동되어 구동롤러(36)를 역으로 회전시키면, 수표(M)가 제 2용지경로(40)내로 이송되고, 후미단(Mb)측으로부터 개시한 후, 제 1용지경로(30)내로 복귀한다. 결국, 수표(M)의 배면이 인쇄헤드(20)와 면한다. 이 때, 수표(M)의 이송 거리는 용지경로 분기위치(47)로부터 제 2용지경로(40)를 거쳐 인쇄헤드(20)까지의 경로길이(C2)의 합과, 수표(M)의 후미단(Mb)과 배면인쇄개시위치(M2) 사이의 길이(ML2)와 같다. 그러므로, 거리 합(C2+ML2)은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로 변환되고, 용지공급모터(38)는 스텝수(c2+ml2)만큼 역구동되어, 배면인쇄개시위치(M2)가 인쇄헤드(20)와 마주볼 때까지 수표(M)가 이송된다(S601; 도 10b).
단계 S601의 배면인쇄위치 설정처리에 이어서, 용지공급모터(38)를 역구동하여 구동롤러(36)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수표(M)의 후미단(Mb)이 출구(12)로 이송되면서, 인쇄헤드(20)가 배면인쇄를 수행하도록 구동된다(S602, 도 10c). 배면인쇄가 종료된 후, 후미단(Mb)이 용지경로분기위치(47)에 위치될 때까지 수표(M)를 복귀시키기 위해, 단계 S601에서 배면인쇄위치설정에서의 이송의 스텝수(c2+ml2)와 단계 S602에서 배면인쇄에서의 이송의 스텝수(s1)의 합인 스텝수(c2+ml2+s1)만큼 용지공급모터(38)가 정구동되어, 구동롤러(36)를 정회전시켜, 수표(M)의 선단(Mt)이 출구(12)로 이송된다(S603, 도 10a 참조).
도 7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인쇄위치걸정/전면인쇄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면인쇄처리가 종료되면, 수표(M)의 후미단(Mb)이 용지경로분기위치(47)에 위치하고, 전환 아암(43b)은, 전환 아암(43b)이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하는 제 2용지경로선택자세로 된다. 우선, 작동 아암(43c)은 솔레노이드(45)에 의해 당겨져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전환 아암(43b)을 후퇴시켜서, 전환 아암(43b)의 자세를 제 1용지경로선택자세로 바꾼다(S701, 도 11a). 이상태에서, 용지공급모터(38)가 역구동되어 구동롤러(36)를 역회전시키면, 수표(M)의 전면인쇄개시위치(M3)가 인쇄헤드(20)와 대향한다. 이 때, 수표(M)의 이송 거리는, 수표(M)의 후미단(Mb)과 전면인쇄개시위치(M3) 사이의 길이(ML3)와, 용지경로분기위치(47)로부터 인쇄헤드(20)까지의 제 1용지경로(30)의 경로 길이(C3) 간의 차와 같다. 그러므로, 거리 차이(ML3-C3)는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로 변환되고, 용지공급모터(38)는 스텝수(ml3-c3)에 의해 역구동되어, 전면인쇄개시위치(M3)가 인쇄헤드(20)에 대향될 때까지 수표(M)가 이송된다(S702, 도 11b).
그리고나서, 구동롤러(36)를 정회전시키기 위한 용지공급모터(38)의 정구동에 의해 수표(M)의 선단(Mt)이 출구(12)로 이송되면서 인쇄헤드(20)가 구동되어 전면인쇄를 수행한다(S703, 도 11c). 전면인쇄가 종료된 후, 솔레노이드(45)에 의한 작동 아암(43c)의 당김이 취소된다(S704).
도 8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배출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수표(M)가 무효인 경우, 수표(M)를 출구(12)를 향해 이송하기 위한 용지공급모터(38)의 정구동이 개시된다. 수표(M)가 유효하고 배면인쇄처리 또는 전면인쇄처리가 수행되었으면, 출구(12)를 향한 이송을 위한 구동이 계속된다. 그리고나서, 수표(M)의 후미단(Mb)이 한 쌍의 이송롤러(35)에 의해 클램프 유지되는 위치로 수표(M)가 이송된다. 즉,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후미단(Mb)이 용지경로분기위치(47)에 위치할 때까지 수표(M)가 이송된다(S801, S802). 이어서, 용지공급모터(38)는, 용지경로분기위치(47)로부터 한 쌍의 이송롤러(35)까지 제 1용지경로(30)의 경로 길이(C4)를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로 변환하여 얻어진 스텝수(c4)만큼 정회전되어, 수표(M)가 배출된다(S803). 프린터(10)로부터 수표(M)를 꺼내는 것은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프린터의 다른 예를 이어서 설명한다. 제 1실시예와 공통인 부분의 설명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및 참조부호가 사용되었고, 그 부분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
도 12는 제 2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3은 제 2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X-X선 단면도이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롤러(37)는 구동롤러(36)에 대해 후퇴가능하고, 가압롤러(37)가 수표(M)를 구동롤러(36)에 대해 가압하는 자세와 가압롤러(37)가 구동롤러(36)로부터 후퇴하는 자세 사이로 수표(M)를 통과시키는 그 자세 사이의 전환 조작 가능하다. 구동롤러(36)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롤러축(56)상에 소정 간격으로 분리된 복수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반대로, 가압롤러(37)는 구동롤러축(56)의 후방측에 구동롤러축(56)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압롤러축(57)상에 소정 간격으로 분리된 복수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롤러축(57)은 프레임지지축(18a)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한 가압롤러 프레임(18)상에 배치되어, 가압롤러(37)를 구동롤러(36)에 대해 전진 및 후퇴시킨다. 예를 들면, 제 1용지경로(30)는 솔레노이드 등의 작동기의 구동에 따른 전진 및 후퇴작동에 의해 개폐된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 스토퍼(49)는 제 2용지검출기(39)로부터 하류에 놓인다. 위치결정 스토퍼(49)는 입구(11)로부터 삽입된 수표(M)를 위치시키는데 이용되고, 위치결정 스토퍼(49)가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하여 수표(M)의 선단(Mt)을 맞물림 유지하는 자세와 위치결정 스토퍼(49)가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여 수표(M)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자세 사이에서 전환 작동된다. 위치결정 스토퍼(49)는 구동롤러축(56)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위치결정 스토퍼(49)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력에 의해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되고, 수표(M)의 두께에 의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해 후퇴하는 쪽으로 피벗된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제 2용지경로(40)를 형성하고 후술될 반전안내판(reversing guide plate)(61)은, 제 1용지경로(30)에 대해 후퇴가능하고 안내판(61)이 제 1용지경로(30)에 합류하여 제 2용지경로를 형성하는 폐쇄위치와 안내판(61)이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여 제 1용지경로(30)에 실질상 평행하게 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전환 작동된다. 용지경로 전환기구(42)는 제 1실시예의 솔레노이드(45)의 전환 작동을 대신하여 캐리지(22)의 이동에 따라 전환 작동된다. 본 실시예는 용지경로전환 검출기(46)가 피벗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욱 다르다.
도 14a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b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a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b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및 도 15c는 반전안내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우측 단면도이다. 제 2용지경로(40)를 형성하기 위한 반전안내판(61)은 구동롤러축(56)상에 피벗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반전안내판(61)에 있어서, 제 1용지경로(30)의 폭과 대략 동등한 폭을 가지는 안내부(61a)는 구동롤러(36)의 접선면(tangential plane)에 실질상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61a)는 제 1용지경로(30)에 대해 후퇴가능하고, 안내부(61a)가 제 1용지경로(30)와 합류하여 제 2용지경로(40)를 형성하는 폐쇄위치(도 15c에 실선으로 표시)와 안내부(61a)가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여 제 1용지경로(30)와 실질상 평행하게 되는 개방위치(도 15c에 이점쇄선으로 표시) 사이에서 전환 작동된다. 반전안내판(61)은 비틀림코일스프링(62)의 가압력(urging force)에 의해 폐쇄위치로 밀린다.
우측으로 돌출하는 결합돌기(engaging protrusion)(61b)는 반전안내판(61)의 우측단부상에 형성된다. 수직으로 향한 지지축(63a)에 대해 횡방향으로 피벗가능한 작동레버(63)는 캐리지(22) 이동영역의 우측(예를 들면, 본래 위치(home position)측) 비인쇄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반전안내판(61)의 결합돌기(61b)와 결합되는 제 1결합편(first engaging piece)(63b)은 작동 레버(6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캐리지(22)와 결합되는 제 2결합편(63c)은 작동 레버(63)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작동 레버(63)는 비틀림코일스프링(6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당겨지고, 제 2결합편(63c)은 뒤쪽으로부터 반전안내판(61)의 결합돌기(61b)와 결합되어 있다. 작동 레버(63)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64)의 가압력(urging force)은 반전안내판(61)을 폐쇄위치로 가압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62)의 가압력보다 작다.
캐리지(22)가 우측 비인쇄영역의 위치(P2)로 이동되면, 캐리지는 작동 레버(63)의 제 2결합편(63c)을 우측으로 밀고, 작동 레버(63)를 밂에 따라 제 1결합편(63b)이 후방측으로부터 결합돌기(61b)를 밀도록 좌측으로 피벗되어, 그로 인해, 반전안내판(61)이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캐리지(22)가 우측 비인쇄영역의 위치(P2)로부터 좌측으로 이동되면, 반전안내판(61)이 비틀림코일스프링(64)에 의해 가압되어 피벗된 후,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부(61a)의 상단부가 제 1용지경로(30)와 합류하는 폐쇄위치와 안내부(61a)의 상단부가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여 제 1용지경로(30)와 실질상 평행하게 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반전안내판(61)이 전환 작동된다. 폐쇄위치에 있는 반전안내판(61)은 위치결정 스토퍼(49)와 상호작용하도록 위치결정 스토퍼(49)와 대향하여 제 2용지경로(40)를 형성한다.
전환판(67)은 제 1용지경로(30)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고, 구동롤러축(56) 아래에 놓인 피벗축(68)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전환판(67)은 실질상 아치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제 2용지경로(40)까지 수표(M)를 안내하는 제 1안내부(67a)는 전환판(67)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표(M)를 반전안내판(61)으로 안내하는 제 2안내부(67b)는 전환판(67)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안내부(67b)는 비틀림코일스프링(69)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제 1안내부(67a)에서 안내부(61a)가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하여 제 2용지경로(40)를 선택하는 자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 1안내부(67a)에서는 좌측 비인쇄영역에 배치되고 캐리지(22)의 좌측 비인쇄영역의 위치(P3)로의 이동에 따라 전환 작동을 수행하는 캠부재(cam member)(59)(도 12 참조)에 의해 안내부(61a)가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여 제 1용지경로(30)를 선택하는 자세로 전환 작동된다.
도 16은 제 2실시예의 프린터의 제어블록도이다. 제어부(5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제 1실시예의 각 부(51∼54)외에, 반전안내판(61)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반전안내개폐부(reversing guide opening/closing section)(55)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용지경로 전환부(53)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45)에 의한 구동제어 대신에, 캐리지(22)의 위치 제어에 의해 전환판(67)의 자세를 전환한다. 이하, 순서도를 참조하여 제어부(50)에 의해 수행되는 수표처리의 제어절차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표처리명령(그룹)이 수신되면, 프린터(10)가 수표(M)삽입대기 상태로 들어간다(S401). 대기상태에서, 캐리지(22)는 우측 비인쇄영역의 본래위치(home position)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반전안내판(61)은 개방상태에 있고, 전환판(67)은 돌출상태(제 2용지경로 선택상태)에 있다. 위치결정 스토퍼(49)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스토퍼가 돌출상태에 있고, 한 쌍의 이송롤러(35)의 구동롤러(36)와 가압롤러(37)가 개방상태로 전환작동된다(도 21a 참조).
전환판(67)이 비틀림코일스프링(69)의 가압력에 대해 피벗되면서, 수표(M)가 입구(11)로부터 제 1용지경로(30)로 삽입되어 선단(Mt)이 위치결정 스토퍼(49)에 의해 결합유지되는 위치로 밀리면, 수표(M)의 삽입이 제 1 및 제 2용지검출기(33, 39)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수표 삽입의 판단에 따라, 가압롤러 프레임(18)이 피벗되고, 구동롤러(36)와 가압롤러(37) 사이의 간극이 수표(M)를 클램프 유지에 가깝게 되어, 처리가 MICR판독처리(S402)로 이동한다.
도 17은 제 2실시예의 MICR판독위치설정/MICR판독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MICR판독위치설정처리는 수표(M)의 자기잉크 문자기록영역(magnetic ink character recording area)에 기록된 자기 문자(magnetic characters)의 MICR판독개시위치 순서대로 자기헤드(34)상에 수행된다. 상세하게는, 구동롤러(36)를 역회전시키기 위해 용지공급모터(38)를 역구동함으로써, 수표의 선단(Mt)이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위치에 이를 때까지 수표(M)가 제 1용지경로(30)를 따라 입구(11)를 향해 이송된다(S1701, S1702).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수표(M)의 선단(Mt)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용지가 없다고 판단되면)(S1702; 예),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n1)의 계수가 제어부(50)에 구비된 계수기(N1)에 의해 개시된다(S1703). 결국, 제 2용지검출기의 검출위치를 참조로서 사용하여, 수표(M)의 위치 설정이 참조위치로부터의 이송 구동 스텝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입구(11)를 향한 수표(M)의 이송은 자기헤드(34)상으로의 수표(M)의 MICR판독개시위치(M1)로 이어진다. 이 때, 수표(M)의 이송 거리는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위치로부터 자기헤드(34)까지의 제 1용지경로의 경로길이(C5)와, 수표(M)의 선단(Mt)과 MICR판독개시위치(M1) 사이의 길이(ML1) 간의 차이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거리 차이(C5-ML1)는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로 변환되고, 용지공급모터(38)가 스텝수(c5-ml1)만큼 역구동되어, MICR판독개시위치가 자기헤드(34)상에 위치될 때까지 수표(M)가 이송된다.
이후,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표(M)상에 기록된 자기잉크문자가 자기헤드(34)에 의해 판독되고, 수표(M)가 출구(12)를 향해 스텝수만큼 이송되면서 수표(M)의 용지길이(Mw)가 검출된다(S1705∼S1709, 도 21b 참조). 그리고 나서 MICR판독종료위치(M4)가 자기헤드(34)에 이를 때까지 자기잉크문자 판독처리가 이어진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제 1용지검출기(33)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수표(M)의 후미단(Mb)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용지가 없다고 판단되면)(S1708; 예),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n2)의 계수가 제어부(50)에 구비된 계수기(미도시)에 의해 개시된다. 결국, 제 1용지검출기(33)의 검출위치를 참조로서 이용하여, 수표(M)의 위치 설정이 참조위치로부터의 이송 구동스텝수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나서,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 구동스텝 계수값(구동스텝수)(n2)이, 제 1용지검출기(33)의 검출위치와 자기헤드(34) 사이의 제 1용지경로(30)의 경로길이(C6)와 수표(M)의 후미단(Mb)으로부터 MICR판독종료위치(M4)까지의 길이(ML4) 간의 차이(C6-ML4)를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로 변환하여 얻어진 값(c6-ml4)을 초과할 때까지 자기잉크문자 판독처리가 이어진다(S1713; 아니오)(S1710, S1711). 구동스텝 계수값(구동스텝수)(n2)이 스텝수(c6-ml4)를 초과하거나(S1713; 예), MICR판독종료위치(M4)가 자기헤드(34)에 이르면, MICR판독처리가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MICR판독처리에 있어서, 수표(M)의 자기잉크문자의 판독에 앞서, 수표(M)의 선단(Mt)을 검출하는 처리(수표(M)의 선단을 탐색하는 처리)가 수행된 후, 수표(M)의 용지길이(Mw)를 검출하는 처리가 자기잉크문자의 판독과 병행하여 수행된다.
도 18은 제 2실시예의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1a∼도 21d는 제 2실시예의 수표반전처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표(M)를 후미단(Mb)으로부터 시작하는 제 2용지경로(40)로 이송하기 위해, 우선, 수표(M)의 후미단(Mb)이 용지경로 분기위치(47)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 계수값(구동스텝수)(n2)이 제 1용지검출기(33)로부터 제 1용지경로(30)를 따라 용지경로 분기위치(47)까지의 경로길이(C7)에 상응하는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c7)에 이를 때까지, 수표(M)가 출구(12)를 향해 이송된다(S1801). 이후, 제 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배면인쇄위치 설정처리(S1803)와 배면인쇄처리(S1805)가 수행되고, 후미단(Mb)이 용지경로 분기위치(47)에 위치할 때까지 수표(M)가 복귀한다.
본 실시예는 배면인쇄위치설정(S1802, S1804, 도 21c, 도 21d) 전후에 반전안내판(61)이 개폐된다는 점과, 배면인쇄(S1806)후 수표(M)가 이송되기 전에 반전안내판(61)이 개방된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 다르다.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안내판(61)이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표(M)가 이송될 경우, 수표는 후미단(Mb)이 개방위치에 위치한 반전안내판(61)에 의해 안내되고, 선단(Mt)이 제 1용지경로(30)로 안내되는 동안 측면에서 봤을 때 실질상 J자형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수표(M)의 선단과 후미단이 서로 마찰되는 것이 방지되어, 용지걸림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반전안내개폐기구(60)를 구비하지 않은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수표(M)의 후미단(Mb)이 제 2용지경로(40)로부터 제 1용지경로(30)내로 복귀할 때 용지경로 합류위치(48) 부근에서 야기되는 용지걸림을 피할 수 있다. 배면인쇄 후, 먼저 반전안내판(61)이 개방위치로 설정되고 나서, 수표(M)가 이송된다. 그러므로, 용지경로 합류위치(48)에 있어서, 수표(M)가 안내부(61a)의 상단부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수표(M)의 인쇄면이 안내부(61a)의 상단부와 마찰되지 않고, 그 결과, 수표(M)가 더욱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인쇄면이 보호될 수 있다.
반전안내판(61)이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전환작동되는 단계(S1804)의 처리는, S1803의 배면인쇄위치 설정처리에서 수표(M)의 후미단(Mb)이 안내부(61a)의 상단부를 넘지 않는 위치로 이송된다는 조건 하에서, 스텝수가 (c2+ml2)에 이르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9는 제 2실시예의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 2실시예의 전면인쇄처리(S1901∼S1904)는 제 1실시예의 전면인쇄처리(S701∼S704)와 실질상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전환판(67)의 전환작동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즉, 전환판(67)을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시키고 제 1용지경로 선택자세로 전환작동시키기 위해, 캐리지(22)가 좌측 비인쇄영역(S1901)의 위치(P3)로 이동되고, 전환판(67)을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시키고 제 2용지경로 선택자세로 전환작동시키기 위해, 캐리지(22)가 좌측 비인쇄영역(S1904)의 위치(P3)로부터 이동된다.
도 20은 제 2실시예의 배출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표(M)의 후미단(Mb)이 한 쌍의 이송롤러(35)에 의해 클램프 유지되는 위치로 수표(M)가 이송된다(S2001, S2002). 본 실시예는 용지경로 전환검출기(46)가 구비되지 않아서,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 계수값(구동스텝수)(c8)이 제 1용지검출기(33)의 검출위치로부터 한 쌍의 이송롤러(35)까지의 경로길이(C8)에 상응하는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c8)에 이를 때까지 용지공급모터가 전방으로 구동된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제 3실시예)
도 22a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우측단면도이고, 도 22b는 제 3실시예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좌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는, 반전안내개폐기구(60)의 구조와, 작동레버(63)가 비틀림코일스프링(7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는 점에 있어서 제 2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용지경로 전환기구(42)의 구조와, 수표(M)의 삽입대기 상태에서, 전환판(67)이 비틀림코일스프링(74)에 의해 가압되어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고 제 1용지경로 선택자세를 설립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용지경로 전환기구(42)를 설명한다.
도 23은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4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5a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좌측면도, 도 25b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평면도, 및 도 25c는 제 3실시예의 프린터의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 판(65)이 캐리지 프레임(17)상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판(65)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판 부재이다. 횡방향으로 연장된 슬롯(65a)은 슬라이드 판(65)의 좌우측과 중앙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 프레임(17)에 고정되는 안내핀(미도시)은 좌우측의 슬롯(65a)을 통해 각각 삽입된다. 슬라이드 판(65)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안내핀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소정의 슬라이딩 저항이 슬라이드 판(65)에 가해지고,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슬라이드 판(65)이 후술될 각각의 캠 위치에 유지된다. 캐리지 프레임(17)에 고정되는 스크류(미도시)는 중앙영역의 슬롯(65a)을 통해 삽입된다. 슬라이드 판(65)은 스크류에 의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결합고리(engagement claw)(65b, 65c)는 슬라이드 판(65)의 좌우측에 각각 세워져 있다. 결합고리(65b, 65c)는 캐리지 이동 영역의 좌우측 비인쇄영역에서 캐리지(22)와 맞물려, 슬라이드 판(65)이 캐리지(22)가 외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도 26a 및 도 26b는 제 1용지경로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사시도로서, 도 26a는 캐리지와 슬라이드 판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b는 전환판과 전환캠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a 및 도 27b는 제 2용지경로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용지경로 전환기구의 사시도로서, 도 27a는 캐리지와 슬라이드 판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b는 전환판과 전환캠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8은 전환판과 반전안내판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프레임상에 고정되는 전환캠홀더(switching cam holder)(70)는 슬라이드 판(65) 아래에 놓이고, 전환캠(71)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전환캠홀더(70)에 의해 지지된다. 상방으로 연장된 L자형 결합돌기(71a)는 전환캠(71)의 후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71a)는 슬라이드 판(65)상에 형성된 결합고리(65d)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환캠(71)이 슬라이드 판(65)의 이동을 허용한다.
상방으로 연장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솟아있는 캠편(71b)은 전환캠(71)의 좌측 후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다.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사부(71c)는 캠편(71b)의 전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안내부를 서로 연결하하고, 전방으로 연장하는 결합부(67c)는 전환판(67)의 좌전방측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전환판(67)의 결합부(67c)는 전환캠(71)의 캠편(71b)에 대해 좌측상에 위치하고 있다. 캐리지(22)가 좌측 비인쇄영역의 위치(P3)로 이동되면, 슬라이드 판(65)이 좌측 캠부로 이동되고, 도 27a,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캠(71)의 캠편(71b)의 경사부(71c)는 전환판(67)의 결합부(67c)를 들어올려, 결합부(67c)가 캠편(71b)의 평면부(71d)상에 걸쳐진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67c)의 상방으로의 피벗에 따라, 제 2용지경로(40)를 선택하도록 전환판(67)이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한다. 반대로, 캐리지(22)가 우측 비인쇄영역의 위치(P2)로 이동되면, 슬라이드 판(65)이 우측 캠위치로 이동되고, 도 26a,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캠(71)의 캠편(71b)이 전환판(67)의 결합부(67c)와 결합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전환판(67)은 비틀림코일스프링(74)의 가압력에 의해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여 제 1용지경로(30)를 선택하게 된다.
제어부(50)의 구성, 및 수표처리의 기본적인 제어절차는 제 2실시예와 실질상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수표(M)의 삽입대기 상태에서, 전환판(67)이 비틀림코일스프링(74)에 의해 가압되어, 전환판(67)이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는 제 1용지경로 선택자세를 설립하게 된다는 점에서 제 2실시예와 다르다. MICR판독처리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 2실시예와 도면(도 17)의 설명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되고,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는 제 3실시예의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수표(M)를 제 2용지경로(40)로 이송하기 위해, 우선, 수표(M)의 후미단(Mb)이 단계 S1801과 동일한 방식으로 용지경로 분기위치(47)에 위치하게 된다(S2901). 그 후, 캐리지(22)가 좌측 비인쇄영역의 위치(P3)로 이동되고, 전환판(67)이 제 1용지경로(30)내로 돌출하는 제 2용지경로 선택자세로 전환판(67)이 전환작동된다(S2902). 캐리지(22)의 이동에 따라, 반전안내판(61)이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용지공급모터(38)는 구동롤러(36)를 역회전시키기 위해 역구동되어, 수표(M)가 제 2용지경로내로 보내진 후, 후미단(Mb)이 전환판(67)의 제 2안내부(67b)의 선단부를 통과할 때까지 반전안내판(61)의 안내부(61a)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이송된다. 이 때, 수표(M)의 이송거리는 용지경로 분기위치(47)로부터 안내부(61a)의 하단부까지의 제 2용지경로(40)의 경로길이(C9)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경로길이(C9)가 용지공급모터(38)의 구동스텝수로 변환되고, 용지공급모터(38)가 스텝수(c9)만큼 역구동되어, 후미단(Mb)이 반전안내판(61)의 안내부(61a)의 하단부에 위치할 때까지 수표(M)가 이송된다(S2903).
그리고나서, 수표(M)의 이송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반전안내판(61)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캐리지(22)가 우측 비인쇄영역의 위치(P2)로 이동된다(S2904). 또 다르게는, 이송이 계속되는 동안 반전안내판이 전환작동될 수도 있다. 이 때, 캐리지(22)의 이동에 따라, 전환판(67)이 제 1용지경로(30)로부터 후퇴하는 제 1용지경로 선택자세로 전환판(67)이 전환 작동된다. 반전안내판(61)이 개방위치로 이동된 후, 용지경로 분기위치(47)로부터의 수표(M)의 이송거리가 (C2+ML2)에 이를 때까지, 용지공급모터(38)가 다시 역구동되어, 배면인쇄위치설정을 수행한다(S2905). 수표(M)는 개방위치에 있는 반전안내판(61)을 따라, 제 1용지경로(30)와 실질상 평행하게 이송된다. 그리고나서, 캐리지(22)가 반전안내판(61)에 가까워지도록 좌측 비인쇄영역 위치(P2)로부터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 2용지경로(40)를 형성한다(S2906). 반전안내판(61)의 이동에 따라, 수표(M)의 후비단(Mb)측이 안내부(61)에 의해 안내되어, 제 1용지경로(30)내로 이동하게 되고, 배면인쇄개시위치(M2)가 인쇄헤드(20)에 놓인다. 그 후, 제 2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지공급모터(38)를 역구동하여 수표(M)를 이송하면서 인쇄헤드(20)가 구동되어 배면인쇄를 수행한다(S2907). 배면인쇄가 종료된 후, 반전안내판(61)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캐리지(22)가 우측 비인쇄영역 위치(P2)로 이동되고(S2908), 후미단(Mb)이 용지경로 분기위치(47)에 위치할 때까지 수표(M)가 복귀된다(S2909).
도 30은 제 3실시예의 전면인쇄위치설정/전면인쇄처리의 제어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수표(M)의 선단(Mt)이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상세하게는, 용지공급모터(38)가 역구동되어, 선단(Mt)이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위치에 이를 때까지 수표(M)가 단계적으로 이송된다(S3001, S3002). 또한, 용지공급모터(38)가 소정 스텝수(s2)(임의의 수)만큼 역구동되어 선단(Mt)이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상류측에 위치할 때까지 수표(M)를 이송한다(S3003). 다음으로, 용지공급모터(38)가 정구동되어, 선단(Mt)이 제 2용지검출기(39)의 검출위치에 이를 때까지 수표(M)가 단계적으로 이송된다 (S3004, S3005). 결국, 용지구동시스템의 역행(backlash)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수표(M)의 선단(Mt)과 전면인쇄개시위치(M3) 사이의 거리가 용지공급모터 (38)의 구동스텝수로 변환되고, 용지공급모터(38)가 스텝수(ml3')만큼 정구동되어, 전면인쇄개시위치(M3)가 인쇄헤드(20)와 대향할 때까지 수표(M)가 이송된다 (S3006). 전면인쇄위치설정이 종료된 후, 수표(M)의 선단(Mt)이 곧바로 출구(12)로 이송되면서 인쇄헤드(20)가 구동되어 전면인쇄를 수행한다(S3007).
배출처리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 2실시예와 도면(도 20)의 설명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되고,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수표(M)를 반전시키는 용지경로로서 사용되는 제 2용지경로(40)는 구동롤러(36)의 외주를 따라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표가 한 쌍의 이송롤러(35)에 의해 클램프 유지되면서 수표(M)가 J자형상으로 반전될 수 있어서, 수표(M)상에 수행되는 양면인쇄가 공통 인쇄헤드(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록용지가 복수의 롤러들 사이에서 이송되면서 반전되는 구성에 비교하여, 용지 걸림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반전경로로서 사용되는 제 2용지경로(40)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어서, 프린터가 소형화되고 처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인쇄헤드(20)와 구동롤러(36)가 제 1용지경로(30)에 대해 동일 측면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배면인쇄 중, 이송방향으로의 수표(M)의 길이가 길어서 후미단(Mb)측 부분과 선단(Mt)측 부분이 인쇄헤드(20)의 위치에서 서로 겹치는 경우에도 인쇄가 수표(M)의 배면상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제 2용지경로(40)를 형성하는 반전안내판(61)은 피벗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전진하는 방향으로의 수표(M)의 단부, 즉, 후미단(Mb)이 제 2용지경로(40)로부터 제 1용지경로(30)로 들어갈 때 발생하는 용지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수표(M)가 제 1용지경로(30)내로 복귀하면, 수표(M)는 용지경로 합류위치(48)에서 구부러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표(M)가 더욱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수표(M)의 인쇄면(후방인쇄면)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전환판(67)은 비틀림코일스프링(74)에 의해 전환판(67)이 제 1용지경로(30)를 선택하는 제 1용지경로 선택자세로 가압되고, 전환캠(71)에 의해 전환판(67)이 제 2용지경로(40)를 선택하는 제 2용지경로선택자세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수표(M)가 반전되면, 전환판(67)은 기록용지의 강성에 의해 피벗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용지경로(40)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배면인쇄위치설정/배면인쇄처리가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가 한 쌍의 단일 이송롤러에 의해 클램프 유지되면서 용지가 J자형으로 반전되는 반전기구를 포함하여, 용지의 길이에 상관없이 용지상에 양면인쇄를 수행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프린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쇄가 배면 전체에 수행되지 않고 용지 배면의 한정된 영역에만 수행되는 수표 등의 특정 용도의 프린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설명과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적의 방식, 및 공지의 기술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변경 및 적용의 범위를 포함한다.

Claims (18)

  1. 제 1용지경로;
    기록용지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 1용지경로에 대해 배치된 인쇄헤드;
    상기 인쇄헤드를 향하는 제 1방향 및 상기 제 1방향에 반대인 제 2방향으로 상기 기록용지를 이송하도록 되어 있는 제 1롤러와 제 2롤러를 포함하는 단일의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제 1롤러의 외주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로부터 상기 제 2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분기위치에서 상기 제 1용지경로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와 상기 인쇄헤드 사이의 합류위치에서 상기 제 1용지경로에 합류되는 제 2용지경로; 및
    상기 제 1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2용지경로를 선택하는 제 2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분기위치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제 2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기록용지의 경로가 상기 제 1용지경로와 상기 제 2용지경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하는 경로전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와 상기 인쇄헤드 사이에는 어떠한 롤러도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기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중 어느 한 곳을 향해 가압하는 어징부재; 및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중 다른 한 곳에서 상기 경로전환기를 유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기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중 다른 한 곳으로 배치시키는 작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의 소정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중 다른 한 곳으로 상기 경로전환기를 배치시키는 전환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가 비인쇄영역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된 제 1전환위치에 놓였을 때 상기 경로전환기를 상기 제 1위치로 배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캐리지가 상기 비인쇄영역 중 다른 한 곳에 배치된 제 2전환위치에 놓였을 때 상기 경로전환기를 상기 제 2위치로 배치시키도록, 상기 캐리지를 상기 비인쇄영역을 향해 이동하게 하면서 복수의 캠 위치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놓이는 전환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캠은 상기 경로전환기를 옮기기 위해 상기 경로전환기의 결합부에 대해 접하도록 되어 있는 캠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지경로를 따라 상기 제 1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기록용지의 후미단이 상기 분기위치로부터 상기 제 1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놓이면 상기 경로전환기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중 어느 한 곳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기록용지를 상기 제 2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를 구동하는 전환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8.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용지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기록용지를 상기 제 1용지경로에 실질상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기록용지를 상기 합류위치로 안내하는 폐쇄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중 어느 한 곳을 향해 가압하는 어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동하도록 되어있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와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와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제 2결합부재가 구비된 피벗가능한 안내작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작동기는, 상기 캐리지가 소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 1결합부재를 상기 캐리지와 결합시킴으로써 피벗되어,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어징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2결합부재가 상기 안내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위치에 놓인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제 2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이 상기 합류위치에 가까운 안내부재의 단부를 통과한 후,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폐쇄위치로 배치시키는 안내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기록용지의 후미단이 상기 합류위치보다 인쇄헤드에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 기록용지의 선단이 제 1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안내 제어기가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개방위치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지경로로 돌출하는 위치와 상기 제 1용지경로로부터 후퇴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위치결정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스토퍼는 상기 폐쇄위치에 놓인 상기 안내부재와 함께 상기 제 2용지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지경로를 따라 이송된 상기 기록용지의 제 1면에 인쇄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제 2용지경로를 통해 이송된 상기 기록용지의 제 2면에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헤드와 상기 제 1롤러는 상기 제 1용지경로에 대해 동일측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16. 제 1용지경로;
    상기 제 1용지경로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제 1방향 및 상기 제 1방향에 반대인 제 2방향에서 상기 제 1용지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제 1용지경로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와 공간적으로 이격된 인쇄헤드;
    상기 인쇄헤드와 반대편의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측에 배치된 분기위치에서 상기 제 1용지경로로부터 분기된 제 2용지경로; 및
    상기 제 1용지경로로부터 상기 제 2용지경로로 상기 용지를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 1용지경로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경로전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용지경로는,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방향을 한번만 반전함으로써 상기 제 1용지경로의 용지를 반전하기 위해 상기 제 1용지경로에 관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를 위한 용지 반전기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용지경로는,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와 상기 인쇄헤드 사이의 합류위치에서 상기 제 1용지경로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를 위한 용지 반전기구.
  18. 제 1용지경로;
    상기 제 1용지경로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제 1방향 및 상기 제 1방향에 반대인 제 2방향에서 상기 제 1용지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제 1용지경로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기록용지 상에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 1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와 공간적으로 이격된 인쇄헤드;
    상기 인쇄헤드와 반대편의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측에 배치된 분기위치에서 상기 제 1용지경로로부터 분기된 제 2용지경로; 및
    상기 제 1용지경로로부터 상기 제 2용지경로로 상기 기록용지를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 1용지경로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경로전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는 양면 인쇄를 위해 상기 기록용지를 반전하기 위한 오직 하나의 롤러만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반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
KR10-2003-7001593A 2001-06-04 2002-06-04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KR100529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68658 2001-06-04
JP2001168658A JP3744382B2 (ja) 2001-06-04 2001-06-04 プリンタ
JP2001312942A JP3744400B2 (ja) 2001-10-10 2001-10-10 プリンタ
JPJP-P-2001-00312942 2001-10-10
JPJP-P-2001-00331111 2001-10-29
JP2001331111A JP3744405B2 (ja) 2001-10-29 2001-10-29 プリンタ
PCT/JP2002/005521 WO2002100648A1 (fr) 2001-06-04 2002-06-04 Imprimante a mecanisme de renversement de feu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334A KR20030026334A (ko) 2003-03-31
KR100529121B1 true KR100529121B1 (ko) 2005-11-15

Family

ID=2734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593A KR100529121B1 (ko) 2001-06-04 2002-06-04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62428B2 (ko)
KR (1) KR100529121B1 (ko)
CN (1) CN1215940C (ko)
HK (1) HK1061000A1 (ko)
WO (1) WO2002100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6714B2 (en) * 2004-02-20 2005-1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plex check printer having a separately driven document inverting loop
CN100406254C (zh) * 2004-09-07 2008-07-30 富士施乐株式会社 喷墨记录装置
JP2006124103A (ja) * 2004-10-29 2006-05-18 Canon Inc 画像記録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装置
US7562974B2 (en) * 2004-10-29 2009-07-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sheet material transporting apparatus
KR20060058943A (ko) * 2004-11-26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JP4720161B2 (ja) * 2004-12-01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542627B2 (en) * 2005-03-09 2009-06-0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Reading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JP4710430B2 (ja) * 2005-06-21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75181B2 (ja) * 2005-06-2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636542B2 (en) * 2005-06-30 2009-12-22 Lexmark International, Inc. Duplexing ADF using a paperpa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paper to be duplexed
US7971989B2 (en) * 2005-12-07 2011-07-05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used with rolled sheet
KR101249830B1 (ko) * 2007-08-09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WO2010107268A2 (ko) * 2009-03-20 2010-09-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CN102024159B (zh) * 2009-09-11 2014-07-30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嵌入信息的记录介质处理设备及方法
CN102029805B (zh) * 2009-09-24 2013-11-2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嵌入信息的记录介质处理设备及方法
WO2013022275A2 (ko) * 2011-08-08 2013-02-14 엘지엔시스(주)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JP5974499B2 (ja) 2012-01-25 2016-08-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制御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CN114872455B (zh) * 2022-06-01 2024-01-30 广州卓腾科技有限公司 证件双面打印设备
CN115195315B (zh) * 2022-06-24 2023-12-08 长城信息股份有限公司 带票据识别、盖章和自动矫偏的票据传送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178A (ja) 1982-08-16 1984-02-20 Usac Electronics Ind Co Ltd 両面印刷装置
JPS59160158A (ja) 1983-03-02 1984-09-10 Canon Inc 多機能画像記録機
US4591884A (en) 1983-03-10 1986-05-27 Canon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0655531B2 (ja) 1984-04-06 1994-07-27 富士通株式会社 印刷装置
JPS6189876A (ja) 1984-10-11 1986-05-08 Oki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
JPS61149383A (ja) 1984-12-25 1986-07-08 Canon Inc 記録装置
JPH0611558B2 (ja) 1984-12-25 1994-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S61154865A (ja) 1984-12-27 1986-07-14 Canon Inc 記録装置
JPS61211067A (ja) 1985-03-15 1986-09-19 Nec Corp 両面印字の出来る用紙パス方式をもつプリンタ
JPS61222769A (ja) 1985-03-29 1986-10-03 Sanko Giken:Kk 両面印字自動給紙装置
JPS62105827A (ja) 1985-10-30 1987-05-16 Hitachi Ltd 簡易表裏印字プリンタ
JPS62134282A (ja) 1985-12-07 1987-06-17 Nec Corp 表裏印字プリンタ
JPS6351168A (ja) 1986-08-20 1988-03-04 Nec Corp 両面印字プリンタ
JPH0353955A (ja) 1989-07-24 1991-03-07 Fujitsu Ltd 両面印字プリンタ
JPH06270482A (ja) 1993-03-24 1994-09-27 New Oji Paper Co Ltd 両面印刷プリンタ
US5887868A (en) * 1993-12-09 1999-03-30 Xerox Corporation Drive system for rollers
ATE281886T1 (de) * 1994-01-21 2004-11-15 Sirtex Medical Ltd Yttria partikelförmiges gut
JPH08169155A (ja) * 1994-10-21 1996-07-0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れに用いる記録媒体、記録媒体供給源
JP3127091B2 (ja) * 1995-02-24 2001-01-22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追記印刷処理方法
US5764263A (en) * 1996-02-05 1998-06-09 Xerox Corporation Printing process, apparatus, and materials for the reduction of paper curl
JP3684704B2 (ja) * 1996-09-19 2005-08-1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画像処理装置
US5865547A (en) 1997-01-10 1999-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eck flipper for point of sale printer and method therefor
JPH10260559A (ja) * 1997-03-18 1998-09-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11771A (ja) * 1997-06-25 1999-01-19 Nec Niigata Ltd プリンタの用紙反転装置
US5772343A (en) * 1997-06-30 1998-06-30 Hewlett Packard Company Media handling system for duplex printing
US6109521A (en) 1997-10-06 2000-08-29 Axiohm Transaction Solutions, Inc. Check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5836706A (en) * 1997-12-08 1998-11-17 Hewlett-Packard Company Media handling system for duplex printing
KR100311017B1 (ko) * 1998-07-22 2001-11-30 윤종용 인쇄기의 용지반전장치
US6186496B1 (en) * 1998-08-31 2001-02-13 Xerox Corporation Optimized passive gate inverter
EP1041806A3 (en) * 1999-03-30 2001-09-19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6167231A (en) * 1999-03-31 2000-12-2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recording apparatus having modular autoduplex mechanism
JP2001022878A (ja) 1999-07-13 2001-01-26 Seiko Epson Corp 定型帳票処理装置
US6307614B1 (en) * 1999-12-01 2001-10-23 Hewlett-Packard Company Duplexing in automatic document feeder utilizing a pa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document to be duplexed
JP3752413B2 (ja) * 2000-02-02 2006-03-08 ニスカ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用紙搬送装置における用紙の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3227A (zh) 2003-12-24
KR20030026334A (ko) 2003-03-31
WO2002100648A1 (fr) 2002-12-19
CN1215940C (zh) 2005-08-24
US6862428B2 (en) 2005-03-01
US20040028447A1 (en) 2004-02-12
HK1061000A1 (en) 200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121B1 (ko)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US7770793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EP0876923B1 (en) Printer with a movable paper guide mechanism and method of setting recording paper in such printer
KR20010106183A (ko) 인쇄-매체 이송 장치
JP4428970B2 (ja) 記録装置
US8047544B2 (en) Printing apparatus
JP3871008B2 (ja) プラテン機構、それを用いた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105383A (ja) シート切断装置
JP5438705B2 (ja) ヘッド加圧力調整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ヘッド加圧力調整方法
JPH06156846A (ja) 画像形成装置
JP4218535B2 (ja) 印刷装置
JP3744405B2 (ja) プリンタ
JP2003008803A (ja) 複合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110970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4797287B2 (ja) 複合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57142B2 (ja) 可動式紙案内板機構を備えた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32241B1 (ko) 프린터
JP4057141B2 (ja) 可動式紙案内板機構を備えた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3520383B2 (ja) プリンタ
JP3744400B2 (ja) プリンタ
JP3520384B2 (ja) プリンタ
AU2004203127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JP2004243767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4669339B2 (ja) 印刷装置
JP2004243765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