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172A -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172A
KR20060051172A KR1020050084260A KR20050084260A KR20060051172A KR 20060051172 A KR20060051172 A KR 20060051172A KR 1020050084260 A KR1020050084260 A KR 1020050084260A KR 20050084260 A KR20050084260 A KR 20050084260A KR 20060051172 A KR20060051172 A KR 2006005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sounding
frame
holding frame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6045B1 (ko
Inventor
히로시 와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piezoelectric bender, e.g. bimorp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08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using optical signals for detecting or generating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기 광학 패널과 발음체를 조밀하게 탑재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탑재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대하여 발음체의 음향 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100)는, 전기 광학 패널(111)과, 전기 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113)과, 유지 프레임에 부착되어, 유지 프레임의 배후에 발음용 기실(120X)을 구성함과 동시에 발음체(121)를 유지하는 발음 프레임(122)을 구비하고, 유지 프레임에는, 발음용 기실의 내부에 연통함과 동시에 외부로 개구하는 내부 도음로(113b)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실시예 1의 단면도(a, b), 평면도(c) 및 저면도(d),
도 2는 실시예 1의 단면도(a, b) 및 발음용 기실의 상부 공간 및 내부 도음로의 공간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c),
도 3은 실시예 2의 단면도(a), 발음용 기실의 상부 공간 및 내부 도음로의 공간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b) 및 지지 부재의 평면도(c),
도 4는 실시예 3의 단면도(a) 및 발음용 기실의 상부 공간 및 내부 도음로의 공간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b),
도 5는 실시예 4의 본체의 단면도(a), 실시예 4의 전체의 단면도(b) 및 평면도(b),
도 6은 실시예 5의 측면도(a) 및 평면도(b),
도 7은 실시예 5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발음체의 압전 진동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a), 평면도(b) 및 지지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6의 개략 구성도,
도 10은 실시예 6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 광학 장치 110 : 표시부
111 : 전기 광학 패널 112…백 라이트
113 : 유지 프레임 113a : 결합 돌기, 내부 도음로
113b, 120 : 발음부 121 : 발음체
122 : 발음 프레임 122a : 결합 개구, 방음구
122b, 123 : 지지 부재 422c, 522c : 측벽부
430b, 531a : 외부 도음로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형 전자 기기에 탑재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발음 기능을 갖춘 전기 광학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광학 장치는 표시체로서 각종 전자 기기에 탑재되어 있지만, 많은 경우, 스피커 등의 발음체와 동시에 전자 기기의 내부에 탑재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기기에서는, 통상, 전기 광학 장치(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음체와는 이반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예컨대,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형 전자 기기이더라도,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에 대하여 전기 광학 장치 와 발음체가 따로따로 실장되어 있거나(예컨대, 이하의 특허 문헌 1 참조), 또는, 케이스 안쪽의 별도의 부위에 직접 전기 광학 장치와 발음체가 고정되어 있거나(예컨대, 이하의 특허 문헌 2 참조)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의 전기 기기에 탑재되는 발음체로서는,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진동판과 압전체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압전 진동체를 케이스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압전 발음체가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이하의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액정 패널과, 그 배후에 배치되는 백 라이트 장치를 기기 케이스에 수용하고, 이 백 라이트 장치의 백 라이트 케이스의 내부에 스피커를 배치하고, 백 라이트 케이스에 그 내부로부터 상기 기기 케이스의 방음구(放音口)에 소리를 유도하는 도음로를 마련한 소형 전자 기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이하의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896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7734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168037호 공보
그러나, 최근, 휴대형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표시체의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특허 문헌 1 및 2와 같은 구조에서는, 표시부와 발음부를 겹쳐 배치하면 케이스가 두꺼워지는 것을 피할 수 없고, 반대로 케이스가 두꺼워 지는 것을 피하고자 하면 표시부와 발음부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기기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 및 2의 구조에서는, 발음체를 전자 기기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케이스마다 발음체 주위의 음향 설계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케이스 디자인의 추진에 제약을 미치는 동시에, 케이스의 소형화나 박형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의 구성에서는, 백 라이트 케이스의 내부에 스피커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피커의 발음 공간이 백 라이트 케이스의 구조에 의해 제약을 받아, 최적의 음향 설계를 하기 어렵고, 또는, 백 라이트 케이스의 설계시에 음향 효과를 고려하면 백 라이트의 광학 특성의 최적화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과제는, 전기 광학 패널과 발음체를 조밀하게 탑재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전자 기기 등에의 탑재에 있어서 주위의 상황에 의한 음향적 영향을 없앨 수 있는 동시에, 내부의 표시체의 구성에 의한 음향적 영향도 거의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즉 독립적으로 발음체의 음향 설계를 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상기 유지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유지 프레임의 배후에 발음용 기실을 구성함과 동시에, 발음체를 유지하는 발음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에는 상기 발음용 기실의 내부에 연통함과 동시에 외부로 개구하는 내부 도음로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발음체를 유지하는 발음 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유지 프레임에 발음용 기실의 내부에 연통함과 동시에 외부로 개구하는 내부 도음로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발음용 기실의 내부에 배치된 발음체에 의해 발생한 음파는, 유지 프레임에 마련된 내부 도음로를 통해서 외부에 방출된다.
이 때, 전기 광학 패널의 배후에서 유지 프레임에 의해 발음체가 유지되기 때문에, 발음 기능을 갖춘 전기 광학 장치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음체를 수용하는 발음용 기실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주위의 상황으로부터 받는 음향적인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발음용 기실이 표시체의 배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패널의 내부 구성으로부터 받는 음향적인 영향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이나 전기 광학 패널의 내부 구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서 독립적으로 발음체의 음향 설계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탑재되는 전자 기기 등의 케이스의 디자인이나 케이스의 내부 구성에 의한 음향적인 영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탑재 기기의 설계를 보다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의 내부 구조에 의한 음향적인 영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패널의 내부 구조에 대한 설계상의 자유도도 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음로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전면부 또는 측 면부에 개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에 마련된 내부 도음로가 유지 프레임의 전면부 또는 측면부에 개구하고 있는 것에 의해, 발음용 기실에서 발생한 음파가 내부 도음로를 통해서 유지 프레임의 앞쪽 또는 옆쪽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전자 기기 등에 탑재한 경우, 전기 광학 패널의 표시 화면쪽에 소리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소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배후에 구성된 배면벽을 갖고, 해당 배면벽과 상기 발음 프레임 사이에 상기 발음용 기실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전기 광학 패널과 발음용 기실 사이에 유지 프레임의 배면벽이 개재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의 내부 구조에 의한 음향적인 영향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과 상기 발음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기 발음용 기실을 규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지지 부재를 거쳐서 유지 프레임과 발음 프레임 사이에 발음용 기실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에 의해 발음용 기실의 구조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유지 프레임나 발음 프레임의 구조에 제약을 받지 않고 발음용 기실을 설계할 수 있는 등, 음향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지 프레임과 발음 프레임의 구조 치수나 상호의 부착 고정 구조의 설계상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발음체에 의해, 상기 유지 프레임과 상기 발음체 사이의 기실과, 상기 발음 프레임과 상기 발음체 사이의 기실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과 발음체 사이의 기 실이 발음 프레임과 발음체 사이의 기실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발음체가 발생하는 소리를 내부 도음로를 거쳐서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음체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의 평면 치수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음로는 상기 발음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개구 위치의 자유도가 증대하여, 전기 광학 패널과의 위치 관계도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 특성을 희생으로 하지 않고, 구조 설계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기 광학 장치와, 해당 전기 광학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광학 장치가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로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이 지지체로서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 케이스에 붙여진 프레임, 케이스나 프레임에 붙여진 내부 부착 부재나 완충재, 또는, 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특히, 소형화가 요구되는 휴대형 전자 기기인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휴대형 전자 기기로서는, 휴대 전화, 휴대형 정보 단말, 전자 시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통상,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상기 내부 도음로에 연통하는 외부 도음로가 마련되고, 해당 외부 도음로가 상기 전기 광학 패 널측의 표면에 개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전기 광학 장치에 마련된 내부 도음로에 연통하는 외부 도음로가 전기 광학 장치와 지지체 사이에 마련되기 때문에, 내부 도음로의 형성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이것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나 음향 설계의 자유도 확대 등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도음로는 전기 광학 장치의 표시체쪽에 개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소리를 전자 기기의 전면쪽, 즉 표시체쪽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소리를 알아 듣기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내부 도음로를 유지 프레임의 측면에 개구시켜, 이 측면상의 개구로부터 외부 도음로가 전자 기기의 전면쪽으로 소리를 유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전자 기기의 소형화 특성이나 소리의 이용 효율을 희생으로 하지 않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음로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배치된 도음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기기의 지지체는 본래,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한 지지 기능에 부가하여, 외관 디자인, 강성, 완충 성능 등을 충족할 필요가 있는 것에 의해, 도음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최적의 재질이나 형상을 갖추고 있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또한, 그와 같은 재질이나 형상을 갖추게 함으로써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별도 몸체의 도음 부재를 전기 광학 장치와 지지체 사이에 배치하여 소리를 유도하는 것에 의해 지지체에 대한 제약을 부과하지 않고 도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음 부재는, 전기 광학 장치와의 사이에 외부 도음로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고, 지지체와의 사이에 외부 도음로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도음 부 재 그 자체의 내부에 상기 내부 도음로에 연통하는 도음 경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압전 발음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압전 발음체를 이용함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과 발음 프레임은 착탈할 수 있게 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표시체를 갖춘 부분과, 발음체를 갖춘 부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작업이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착탈 가능한 부착 고정 구조로서는, 후크 결합, 압입 고정, 나사 고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가지 않고, 그 기술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제한을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00)의 일 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a), 다른 방향(장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b), 평면도(c) 및 저면도(d)이다. 이 전기 광학 장치(100)는, 전기 광학 패널(111)을 갖춘 표시부(110)와, 발음 진동체(121)를 갖춘 발음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광학 패널(111)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전계 발광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드 에미션 패널 등의 각종의 전기 광학 장치로 구성된다. 단지, 본 명세서에서는, 기본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전제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표시부(110)에는, 전기 광학 패널(111)을 배후로부터 조명하는 백 라이트(112)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전기 광학 패널(111)로서 액정 표시 패널 이외의 자기 발광형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백 라이트는 이용하지 않더라도 좋다.
표시부(110)에는 유지 프레임(113)이 마련되고, 상기 전기 광학 패널(111) 및 백 라이트(112)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체는 유지 프레임(113)에 의해 유지 고정되어 있다. 표시부(110)에는 플렉서블 배선 기판 등으로 구성되는 배선 부재(110P)가 접속되어, 유지 프레임(113)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다. 배선 부재(110P)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111)이나 백 라이트(112)에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 유지 프레임(113)에는, 후술하는 발음용 기실(120X)에 연통함과 동시에 외부로 개구하는 내부 도음로(113b)가 구성되어 있다. 이 내부 도음로(113b)는 전기 광학 패널(111)의 표시면이 노출되어 있는 전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2(a)는 상기 내부 도음로(113b) 형성 부분의 단면(도 1(b)에 나타내는 A-A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2(b)는 상기 내부 도음로(113b) 형성 부분의 단면(도 1(b)에 나타내는 B-B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2(c)는 상기 발음용 기실(120X)의 상부 공간(120S) 및 내부 도음로(113b)의 공간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예에서는, 내부 도음로(113b)는, 표시체(전기 광학 패널 (111) 및 백 라이트(112))의 배후에 배치되는 발음용 기실(120X)(도 1(a)참조)의 상부 공간(120S)에 대한 연통 부분으로부터 옆쪽으로 진행하고 도중에서 굴절하여 표시부(110)의 전면쪽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내부 도음로(113b)는 상부 공간(120S)의 상측 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110)의 전기 광학 패널(111) 및 백 라이트(112)(표시체)의 옆쪽을 통과하여, 표시부(110)의 전면에서의 전기 광학 패널(111)의 옆에서 개구하고 있다.
발음부(120)에는, 발음체(121)와, 상기 유지 프레임(113)에 부착되어, 발음체(121)가 수용되는 발음용 기실(120X)을 구성하는 발음 프레임(12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발음체(121)는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원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전 발음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음 프레임(122)은, 발음체(121)를 수용함과 동시에, 표시부(110)의 유지 프레임(113)에 착탈할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프레임(113)의 외측면에는 결합 돌기(113a)가 마련되고, 발음 프레임(122)의 측벽부에는 결합 개구(122a)가 마련되고, 이 결합 개구(122a)에 결합 돌기(113a)가 결합(감함(嵌合))함으로써, 발음 프레임(122)이 유지 프레임(113)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게 부착 고정된다. 또한, 발음부(120)에는 배선 부재(120P)가 접속되어 발음 프레임(122)의 외부에 도출되고 있다. 이 배선 부재(120P)는 발음체(121)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발음체(121)는 지지 부재(123)를 거쳐서 발음 프레임(122)에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유지 프레임(113)에도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발음체(121)는 유지 프레임(113)에만 고정되어 있든지, 또는, 지지 부재(123)를 거쳐서 발음 프레임(122)에만 고정되어 있든지 둘 중 어느 하나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123)는 발음체(121)와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폐곡선 형상(도면에서, 링 형상)으로 배치되고, 발음용 기실(120X)을 상부 공간(120S)과 하부 공간(120T)으로 분할하고 있다. 지지 부재(123)는,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 및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반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성 고무나 연질 합성 수지(예컨대,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 소재 또는 완충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 및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생기는 반동은, 덜컹거림에 의하여 불필요한 노이즈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발음체(121)의 진동 에너지를 쓸데없이 소실시키기 때문에, 극력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프레임(113)과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는 지지 부재(124)가 개재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24)는 유지 프레임(113)과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폐곡선 형상(도면에서,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발음체(121)를 수용하는 발음용 기실(120X)을 구성하고 있다. 이 지지 부재(124)는, 유지 프레임(113)과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반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성 고무나 연질 합성 수지(예컨대,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 소재 또는 완충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지 프레임(113)과 발음 프레임(122)으로 구성되는 유지체의 반동은, 덜컹거림에 의하여 불필요한 노이즈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발음체(121)의 진동 에너지를 쓸데없이 소실시키기 때문에, 극력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음체(121)는, 예컨대, 압전 스피커의 본체를 구성하는 압전 진동체를 갖추고 있다. 압전 진동체는, 도 8(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구성되는 진동판(121S)(심(Shim) 플레이트))과, 압전체(121A, 121B)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발음체(121)는, 이 발음용 진동체를, 도 8(c)에 나타내는 지지 프레임(121D)에 고정한 것이다. 여기서, 도시예에서는, 진동판(121S)의 표면과 이면의 양면에 압전체(121A, 121B)가 적층된 바이모프형의 압전 진동체가 구성되어 있지만, 유니모프형의 압전 진동체이더라도 상관없다.
압전체(121A, 121B)의 표면에는 Au, 그 밖의 금속 박막 등으로 전극(121Ax, 121Bx)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극(121Ax, 121Bx)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되는 도전편(121Ay, 121By)이 도전 접속되고, 이들 도전편(121Ay, 121By)은 플렉서블 기판 등의 배선재(121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121S)에도 도전편(121Sy)이 도전 접속되고, 상기와 같이 배선재(121C)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배선재(121C)는 상기 배선 부재(120P)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배선재(121C)와 배선 부재(120P)를 일체의 배선 부재로 구성하더라도 상관없다.
지지 프레임(121D)은 합성 수지 등으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도시예의 경우,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환 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체(121D)에서는, 내부에 구성된 개구부(121Da)의 주위에 환상의 지지면(121Db)이 구성되고, 이 지지면(121Db)의 외측에는 외측 프레임부(121Dc)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면(121Db) 상에는 상기 진동판(121S)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배치되어, 적절한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121D)의 상기 외측 프레임부(121Dc)의 일부에는 절결부 (121Dd)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121Dd)에 상기 도전편(121Ay, 121By, 121Sy)이 삽입되어, 외부에 도출된다. 이 때, 도전편(121Ay, 121By, 121Sy)은 상기 절결부(121Dd)의 내부에 충전되는 도시하지 않은 절연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발음용 기실(120X)은, 상기 발음체(121)가 수용되어, 그 진동에 의해 직접적으로 음파가 발생하는 공간을 말한다. 도시예의 경우, 발음체(121)의 바깥 가장자리는 전체 주위에 걸쳐 유지 프레임(113)과 발음 프레임(122)에 대하여 기밀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음용 기실(120X)은,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의 저면 사이에 존재하는 상부 공간(120S)과, 발음체(121)와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존재하는 하부 공간(120T)으로 분단되어 있다.
발음용 기실(120S)의 상부 공간은, 유지 프레임(113)에 마련된 내부 도음로(113b)를 통해서 위쪽의 방음 구멍(113c)에 연결된다. 발음용 진동체(121)의 진동에 의해 발생한 소리는 방음 구멍(113c)에서 표시부(110)의 위쪽으로 방출되어 이 소리를 이용한다.
또한, 대향 내면부(122y)에는 통풍구(1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풍구(122b)는 도시와 같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복수의 작은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여기서, 통풍구(122b)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발음용 기실(120X)의 하부 공간이 닫혀진 공간이 되기 때문에, 그 공간의 용적이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했을 때에 진동에 의해 하부 공간의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면, 그 압력을 때문에 진동판의 진폭이 눌려버 려 소리가 커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공기통(122b)을 하부 공간에 형성하면,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 하더라도 공기통(122b)을 통해서 공기가 이동하기 때문에 진동판의 진폭이 눌리지는 않는다. 이 때 공기통(122b)으로부터도 소리가 방출되지만 여기로부터의 소리는 이용하지 않는다.
또, 하부 공간에 충분한 용적이 있으면 공기통(122b)이 없더라도 좋다. 또한, 발음부(120)의 음향 효과는 상기 발음용 기실(120X)의 형상이나 용적, 상기 상부 공간(120S), 또는 하부 공간(120T)의 형상이나 용적을 조정함으로써 적당히 설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음체(121)는 전기 광학 패널(111) 및 백 라이트(112)로 구성되는 표시체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음체(121) 전체가 상기 표시체와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100)의 평면 치수를 줄일 수 있다. 단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음체(12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체와 평면적으로 겹쳐 있으면 좋다. 즉, 발음체(121)의 일부가 상기 표시체로부터 평면적으로 밀려나온 상태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111)을 갖춘 표시부(110)와 발음부(120)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100)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전자 기기의 내부에 전기 광학 패널과 발음체를 따로따로 탑재할 필요가 없어져, 전기 광학 장치(100)를 탑재한 각종 전자 기기의 소형화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발음체(121)의 적어도 일부는 유지 프레임 (113)에 의해 유지된 표시체와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 치수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113)에 대하여 배후로부터 발음 프레임(122)이 부착 고정되어, 유지 프레임(113)과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발음용 기실(120X)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110)와 발음부(120)가 중첩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전체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음부(120)의 음향 효과는, 전기 광학 장치(100)의 구조, 즉, 상기 발음용 기실(120X)의 구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자 기기 내에서의 탑재 위치나 주위 구조에 의해 음향 효과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음향 설계가 용이해짐과 동시에, 어떠한 전자 기기에 탑재되더라도 안정된 발음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음용 기실(120X)은, 표시체의 배후에 마련된 유지 프레임(113)의 배면벽과 발음 프레임(122) 사이에 구성되기 때문에, 표시체의 내부 구조에 의한 발음부(120)의 음향 효과에 대한 영향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표시체의 내부 구조에 대한 구조상의 제약도 없어져, 발음부(120)의 음향 설계도 더욱 용이해진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유지 프레임(113)에 배면벽을 마련할 필요는 없고, 표시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도시예의 경우에는 백 라이트의 도광판이나 반사판 등)가 발음용 기실(120X)에 대하여 전면쪽으로부터 직접 닿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음체(121)는 유지 프레임(113)에 직접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지만, 이 경우,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의 접촉 부분이 폐곡선 형상(환 형상)으로 구성되어,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에 따라서 상부 공간(120S)이 규정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 사이에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마련되어, 이것에 의해, 상부 공간(120S)이 맞닿아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 그 주위에도 넓어지고, 발음체(121), 유지 프레임(113) 및 상기 지지 부재(123)에 의해 상부 공간(120S)이 규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를 직접 접촉시키는 것이 아니라, 발음체(121)와 유지 프레임(113) 사이에 예컨대 주상(柱狀)의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시키더라도 상관없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실시예 2의 전기 광학 장치(200)의 일 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발음용 기실의 상부 공간 및 내부 도음로의 공간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c)는 지지 부재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200)는, 전기 광학 패널(211)을 갖춘 표시부(210)와, 발음용 진동체(221)를 갖춘 발음부(220)를 갖는다. 여기서, 전기 광학 패널(211), 백 라이트(212), 유지 프레임(213), 발음체(221), 및, 발음 프레임(222)은, 각각 상기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의 설 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213) 및 발음체(221)와 발음 프레임(222) 사이에 일체의 지지 부재(223)가 개재되어 있다. 즉, 유지 프레임(213)과 발음 프레임(222) 사이에 지지 부재(223)가 개재되고, 또한, 발음체(221)와 발음 프레임(222) 사이에도 지지 부재(223)가 개재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223)는 도 3(c)에 나타내는 일체의 평면 형상을 갖고, 그 평면 형상의 내부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22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부(223a)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음체(221)의 진동면과 발음 프레임(222)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가 직접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 부재(223)를 거쳐서 대향하는 유지 프레임(213)과 발음 프레임(222) 사이에 하부 공간(220T)이 구성된다. 즉, 하부 공간(220T)은 상기 개구부(223a)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유지 프레임(213)과 발음체(221) 사이에 마련된 상부 공간(220S)과, 유지 프레임(213)에 마련된 내부 도음로(213b)가 연통하여, 도 3(b)에 나타내는 공간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단지,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는 달리, 내부 도음로(213b)가 상부 공간(220S)의 바깥 가장자리에 접속된 형상을 갖고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실시예 3의 전기 광학 장치(300)의 일 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 내는 단면도이며, 도 4(b)는 발음용 기실의 상부 공간 및 내부 도음로의 공간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300)는, 전기 광학 패널(311)을 갖춘 표시부(310)와, 발음용 진동체(321)를 갖춘 발음부(320)를 갖는다. 여기서, 전기 광학 패널(311), 백 라이트(312), 발음체(321), 발음 프레임(322), 및, 지지 부재(323)는, 각각 상기 실시예 2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313)과 발음체(321)가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고, 발음체(321)는, 발음 프레임(322)의 내면 상에 지지 부재(323)를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323)는, 발음체(321)의 외주 부분에 고정되어, 발음체(321)를 수용하는 발음용 기실을 상부 공간(320S)와 하부 공간(320T)으로 분할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 공간(320S)은 발음체(321)의 위쪽뿐만 아니라 그 주위에도 넓어지는 형태로, 유지 프레임(313)의 배면벽, 발음체(321) 및 지지 부재(323)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상부 공간(320S)은 유지 프레임(313)에 마련된 내부 도음로(313b)에 연통하고, 내부 도음로(313b)는 표시체의 옆쪽을 통과하여 표시체의 전면쪽에 개구하고 있다. 한편, 하부 공간(320T)은, 발음체(321), 발음 프레임(322) 및 지지 부재(323)에 의해 규정되어, 방음구(322b)에서 외부로 개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공간(120S)을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음체(321)의 내부 도음로(313b)쪽의 기실 용적을 크게 확 보하고 싶은 경우에 적합하며, 바꾸어 말하면, 소요의 기실 용적을 확보하면서, 장치 전체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추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a)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음체(321)와 유지 프레임(313)의 내면(배면벽) 사이에 주상의 지지 부재를 개재시키더라도 상관없다.
(실시예 4)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기 광학 장치와, 이것을 부착시킨 케이스를 갖는 전자 기기(예컨대,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는 실시예 4의 전기 광학 장치를 일 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b)는 실시예 4의 전기 광학 장치를 케이스에 부착한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5(c)는 해당 구조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부분은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마련되는 전자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패널(411)을 갖춘 표시부(410)와, 발음체(421)를 갖춘 발음부(420)를 갖는다. 여기서, 전기 광학 패널(411), 백 라이트(412), 유지 프레임(413), 발음체(421), 발음 프레임(422), 및, 지지 부재(423)는, 각각 상기 실시예 2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413)에 마련된 내부 도음로(413b)가, 발음용 기실의 상부 공간(420S)에 연통하여, 외부로 개구하고 있는 점에서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지만, 내부 도음로(413b)의 개구가 유지 프레임(413)의 전면이 아니라, 유지 프레임(41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즉, 내부 도음로(413b)가 옆쪽에 개구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각 실시예와는 다르다.
또한, 상기 내부 도음로(413b)가 유지 프레임(413)의 측면에 개구하고 있는 구성에 맞춰, 내부 도음로(413b)의 개구를 피하도록 발음 프레임(422)의 측벽부(422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측벽부(422c)는 내부 도음로(413b)의 개구를 덮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컨대, 내부 도음로(413b)를 피하는 절결부를 갖추고 있더라도 좋고, 또한, 측벽부(422c)의 선단이 내부 도음로(413b)의 개구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한편, 도 5(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광학 장치를 케이스에 부착한 전자 기기(400)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가 지지체인 케이스(430)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케이스(430)에는 전기 광학 패널(411)의 표시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표시창(430a)이 형성되고, 이 표시창(430a)을 통해서 전기 광학 패널(411)의 표시 화면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유지 프레임(413)의 전면 부분이 지지 부재(431)를 거쳐서 케이스(430)의 상기 표시창(430a)의 개구 둘레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지지 부재(431)는 상기 실시예 1의 지지 부재(123, 124)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431)를 거쳐서 전기 광학 장치가 케이스(430)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 전기 광학 장치가 다른 부위에서 케이스(430), 그 밖의 지지체 등으로 지지되는 것에 의해, 지지 부재(431)을 거쳐서 전기 광학 장치가 표시창(430a)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즉, 전기 광학 장치와 표시창(430a)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이 이반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케이스(430)에는, 전기 광학 장치의 상기 내부 도음로(413b)에 연통하는 외부 도음로(430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외부 도음로(430b)는, 내부 도음로(413b)의 개구로부터 표시부(410)쪽에 마련된 케이스(430)의 개구(방음구)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도음로(413b)에서 방출된 소리를 케이스(430)의 전면부(상기 표시창(430a)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주위 부분)로 유도하여, 여기에서 외부로 방출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430)의 일부에 의해, 상기 내부 도음로(413b)의 개구의 외측에 있는 공간의 주위가 유지 프레임(413)의 외면 이외에서 구획됨과 동시에, 내부 도음로(413b)의 아래쪽으로 도음 부재(432)가 배치되어, 상기 공간의 하방을 폐쇄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외부 도음로(430b)가 규정되어 있다. 단지, 도음 부재(432)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430)의 일부에 의해 내부 도음로(413b)의 개구의 외측 공간의 주위 및 하방이 모두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공간의 하방이 상기 발음 프레임(422)의 측벽부(422c)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더욱이, 케이스(430) 이외의 프레임(케이스(430)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 그 밖의 지지체에 의해 상기 외부 도음로(430b)가 규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 상기 도음 부재(432)는, 상기 실시예 1의 지지 부재(123, 124)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된 것으로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케이스(430)와 같이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내부 도음로(413b)가 외부로 개구하여, 이 개구에 연통하는 외부 도음로(430b)가 전기 광학 장치와 케이스(430) 사이에 구성되는 것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 특성을 유지하면서, 케이스(430)의 구조에 맞춰 최적의 외부 도음로(430b)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400)의 설계상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소형화나 소리의 이용 효율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장치의 측면에 내부 도음로(413b)가 개구하여, 이것에 연통하는 외부 도음로(430b)가 케이스(430)의 전면(표시창(430a)이 마련되어 있는 면)에 개구하고 있는 것에 의해, 소형화 특성의 확보와 소리의 이용 효율의 향상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실시예 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실시예 5의 일 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다른 부 분은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패널(511)을 갖춘 표시부(510)와, 발음용 진동체(521)를 갖춘 발음부(520)를 갖는다. 여기서, 전기 광학 패널(511), 백 라이트(512), 유지 프레임(513), 발음체(521), 발음 프레임(522), 및, 지지 부재(523)는, 각각 상기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장치를 지지하는 케이스(530)가 상측 절반(530A)과 하측 절반(530B)에 의해 구성되고, 상측 절반(530A)과 하측 절반(530B)은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상측 절반(530A)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511)의 표시 화면을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창(530a)이 마련되고, 또한, 그 옆쪽에 방음구(53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30)의 내부에는 지지 프레임(530C)이 마련되고, 이 지지 프레임(530C)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가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530C)은, 케이스(530)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케이스(530)와 다른 몸체이기는 하지만 케이스(530)에 고정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지지 프레임(530C)에는, 전기 광학 장치의 발음 프레임(522)에 마련된 방음구(522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530c)가 마련되어 있다.
또, 케이스(530)는, 도시예와 같이 2분할 구조를 갖는 것이는 필요는 없고, 3개 이상의 분할 부분을 갖는 것이라도 좋고, 또는, 전기 광학 장치의 수용이나 조립 작업에 지장이 없으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513)의 내부 도음로(513b)에 연통하는 외부 도음로(532a)가 전기 광학 장치와 케이스(53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4와 마찬가지지만, 이 외부 도음로(532a)는, 전기 광학 장치와 케이스(530) 사이에 배치된 도음 부재(532)의 내부에 규정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 4와는 다르다. 이 도음 부재(532)는, 도시예의 경우, 전기 광학 장치를 케이스(530)에 부착했을 때에, 전기 광학 장치와 케이스(530) 사이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음 프레임(522)의 측벽부(522c)에 마련된 절결부 형상의 개구부(522d)에 도음 부재(532)가 감합하여, 위치 결정되게 되고 있다. 그리고, 이 도음 부재(532)의 개구부(522d)에 대한 감합 상태는, 도음 부재(532)에 반대쪽에서 접촉하는 케이스(530)의 내면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음 부재(532)가 전기 광학 장치와 케이스(530) 사이에 유지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면, 상기 외부 도음로(532a)의 내부 도음로(513b)와는 반대의 단부가 케이스(530)에 마련된 방음구(530b)에 연통하게 되어 있다.
상기 도음 부재(532)는, 상기 실시예 1의 지지 부재(123, 124)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된 것으로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케이스(530)와 같이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끝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으로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전기 광학 장치(100)를 표시 수단으로서 구비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 한다. 단지, 다른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전기 광학 장치도 전기 광학 장치(100)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전자 기기의 구성을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전기 광학 장치(100)에 대한 제어계(표시 제어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는, 표시 정보 출력원(291)과, 표시 정보 처리 회로(292)와, 전원 회로(293)와, 타이밍 생성기(294)와, 광원 제어 회로(295)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회로(290)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전기 광학 장치(100)에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기 광학 패널(111)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111D)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 회로(111D)는, 전기 광학 패널(111)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전자 부품(반도체 IC 등)으로 구성된다. 단지, 구동 회로(111D)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 외에, 패널 표면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 또는, 액정 패널에 도전 접속된 회로 기판에 실장된 반도체 IC 칩 또는 회로 패턴 등에 의해서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정보 출력원(291)은,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와, 자기 기록 디스크나 광 기록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토리지 유닛과,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를 구비하고, 타이밍 생성기(294)에 의해 생성된 각종 클럭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의 형태로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292)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정보 처리 회로(292)는, 시리얼-패러랠 변환 회로, 증폭· 반전 회로, 로테이션 회로, 감마 보정 회로,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그 화상 정보를 클럭 신호 CLK와 동시에 구동 회로(111D)로 공급한다. 구동 회로(111D)는, 주사선 구동 회로, 신호선 구동 회로 및 검사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회로(293)는, 상술의 각 구성 요소에 각각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광원 제어 회로(295)는,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 회로(29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백 라이트(112)의 광원부(112a)에 공급한다. 광원부(112a)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112b)에 입사되어 도광판(112b)에서 전기 광학 패널(111)에 조사된다. 이 광원 제어 회로(295)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부(112a)의 각 광원의 점등/비점등을 제어한다. 또한, 각 광원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에는 음성 신호 출력 회로(29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음성 신호 출력 회로(296)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음성 신호를 발음용 진동체(121)에 송출한다. 발음용 진동체(121)에서는, 공급된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진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에 근거하여 음성이 출력된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휴대 전화의 외관을 나타낸다. 이 전자 기기(2000)는, 조작부(2001)와, 표시부(2002)를 갖고, 표시부(2002)의 케이스 내부에 회로 기판(2100)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2100) 상에 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100)가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2002)의 표면에서 상기 액정 패널(111)을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002)에는 음성 출력구(2003)가 마련되고, 이 음성 출력구(방음구)(2003)에는, 상기 발음체(121)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상기 내부 도음로나 외부 도음로를 통해서 유도되어, 표시부(2002)의 케이스의 외부에서 청취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음체 부착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는, 상술의 도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여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모두 발음체로서 압전 진동체를 갖춘 압전 스피커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압전 스피커로 한정되지 않고, 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자형 스피커 등 적절한 발음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음 프레임에 발음체를 고정하고 있지만, 패널 유지 프레임(예컨대, 저면)에 발음체를 고정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도음로를 거쳐서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전기 광학 장치의 내부 도음로를 직접케이스의 방음구에 연통시키거나, 내부 도음로를 직접 외부로 개구시키더라도 상관없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광학 패널과 발음체를 조밀하게 탑재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탑재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 스에 대하여 발음체의 음향 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상기 유지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유지 프레임의 배후에 발음용 기실(air space)을 구성하고, 또한 발음체를 유지하는 발음 프레임
    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에는 상기 발음용 기실의 내부에 연통하고, 또한 외부로 개구하는 내부 도음로(internal sound-guiding path)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음로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전면부 또는 측면부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배후에 구성된 배면벽을 갖고, 해당 배면벽과 상기 발음 프레임 사이에 상기 발음용 기실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과 상기 발음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기 발음용 기실을 규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발음체에 의해, 상기 유지 프레임과 상기 발음체 사이의 기실과, 상기 발음 프레임과 상기 발음체 사이의 기실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음로는 상기 발음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청구항 1 또는 2 항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와,
    해당 전기 광학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체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상기 내부 도음로에 연통하는 외부 도음로가 마련되고,
    해당 외부 도음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 쪽 표면에 개구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음로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배치된 도음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50084260A 2004-09-09 2005-09-09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726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1987A JP3966318B2 (ja) 2004-09-09 2004-09-09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4-00261987 2004-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72A true KR20060051172A (ko) 2006-05-19
KR100726045B1 KR100726045B1 (ko) 2007-06-08

Family

ID=3599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260A KR100726045B1 (ko) 2004-09-09 2005-09-09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98284B2 (ko)
JP (1) JP3966318B2 (ko)
KR (1) KR100726045B1 (ko)
CN (1) CN10049512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95B1 (ko) * 2004-09-28 2007-06-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90012875A (ko) * 2017-07-28 2019-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1533B2 (en) 2003-11-13 2010-11-30 Metrologic Instruments, Inc. Method of capturing and processing digital images of an object within the field of view (FOV) of a hand-supportable digitial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system
JP3966318B2 (ja) * 2004-09-09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826365B2 (ja) * 2006-06-30 2011-11-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平型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4957144B2 (ja) * 2006-09-25 2012-06-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平型画像表示モジュール
US8126138B2 (en) * 2007-01-05 2012-02-28 Apple Inc. Integrated speaker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JP5364914B2 (ja) * 2007-01-30 2013-12-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056038B2 (ja) * 2007-02-06 2012-10-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5771952B2 (ja) * 2010-11-01 2015-09-02 日本電気株式会社 発振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934228B2 (en) *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30284537A1 (en) * 2012-04-26 2013-10-31 Knowles Electronics, Llc Acoustic Assembly with Supporting Members
KR102061748B1 (ko)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118874A1 (en) * 2015-01-23 2016-07-28 Knowles Electronics, Llc Piezoelectric speaker driver
EP3142385B1 (en) * 2015-09-14 2020-01-08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Sound reproducing display
KR102644176B1 (ko) 2016-11-09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66760B1 (ko) * 2017-09-14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3490274B1 (de) 2017-11-28 2023-04-12 RIEDEL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GmbH Sprechstelle für ein intercom-netzwerk
DE102018103272A1 (de) * 2017-11-28 2019-05-29 Riedel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GmbH Sprechstelle für ein Intercom-Netzwerk
KR102608137B1 (ko) * 2018-09-20 2023-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70899B2 (en) 2019-01-21 2021-07-20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ound broadcasting element
CN110049415B (zh) * 2019-03-19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振动发声装置和电子设备
KR102663578B1 (ko) * 2019-06-24 202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7347082B2 (ja) * 2019-09-30 2023-09-20 Tdk株式会社 振動デバイス及び音響装置
CN112616099B (zh) * 2020-12-18 2023-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463A (en) * 1992-11-18 1995-05-16 Interm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ound from a handheld enclosure
JP3446014B2 (ja) 1994-12-15 2003-09-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
KR19980032013A (ko) * 1995-12-15 1998-07-25 모리시타요오이찌 진동 발생장치
TW387198B (en) * 1997-09-03 2000-04-11 Hosiden Corp Audio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electret capacitance microphone using the same
JP3141834B2 (ja) * 1997-12-26 2001-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ピーカ
GB9812225D0 (en) * 1998-06-05 1998-08-05 Medicine Acoustic devices
CN1144498C (zh) * 1998-07-03 2004-03-31 新型转换器有限公司 谐振板型扬声器
JP3597061B2 (ja) 1998-11-13 2004-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スピーカ
JP4276315B2 (ja) * 1998-11-17 2009-06-1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電磁型発音体
TW550873B (en) * 1999-05-17 2003-09-01 Nec Tokin Corp Electrodynamic type of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431001B2 (ja) 1999-11-24 2003-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機器
JP3961177B2 (ja) 1999-12-07 2007-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機器
US7151837B2 (en) * 2000-01-27 2006-12-19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
JP2001290484A (ja) * 2000-04-10 2001-10-19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磁型発音体
JP4251515B2 (ja) * 2000-04-24 2009-04-0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電磁型発音体
US6481173B1 (en) * 2000-08-17 2002-11-19 Awi Licensing Company Flat panel sound radiator with special edge details
JP2002063986A (ja) 2000-08-18 2002-02-28 Seiko Precision Inc 表示発音体
JP2002077346A (ja) 2000-09-01 2002-03-15 Taiyo Yuden Co Ltd 携帯通信端末器
US6911901B2 (en) * 2000-12-20 2005-06-28 New Transducers Limited Multi-functional vibro-acoustic device
JP2002232542A (ja) 2001-02-06 2002-08-16 Taisei Plas Co Ltd 携帯用通信機器
JP2002262387A (ja) * 2001-02-28 2002-09-13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2291080A (ja) * 2001-03-27 2002-10-04 Star Micronics Co Ltd スピーカ固定用ホルダ
JP4337078B2 (ja) * 2001-04-23 2009-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DE60202397T2 (de) * 2001-05-08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Lautsprecher und Mobilendgerät
EP1271998B1 (en) * 2001-06-28 2008-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3763570B2 (ja) 2001-06-28 2006-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794292B2 (ja) * 2001-07-03 2006-07-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67140B2 (ja) 2001-09-18 2007-08-29 大成プラス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
JP2003102093A (ja) * 2001-09-21 2003-04-04 Citizen Electronics Co Ltd 複合スピーカー
DE50107300D1 (de) * 2001-10-08 2005-10-06 Siemens Ag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mit im Gerätegehäuse angeordnetem Flachlautsprecher und einem weiteren Schallwandler angeordnet zu einem Zwei-Wege-Systems mit dem Flachlautsprecher
JP3886391B2 (ja) * 2002-02-15 2007-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ード型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3916997B2 (ja) * 2002-04-30 2007-05-23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TWI267315B (en) 2002-07-01 2006-11-21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Communication terminal
TW549555U (en) * 2002-10-25 2003-08-21 High Tech Comp Corp Button apparatus with a speaker
JP3891094B2 (ja) * 2002-10-25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機能付き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90842B2 (ja) * 2002-10-28 2008-05-2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4260346A (ja) * 2003-02-24 2004-09-16 Alps Electric Co Ltd 電気音響変換装置
WO2004098231A1 (ja) * 2003-04-25 2004-11-11 Sanyo Electric Co., Ltd. 平面型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電気機器
JP4179042B2 (ja) 2003-05-06 2008-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音体付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1478206B1 (en) * 2003-05-13 2015-03-04 Panasonic Corporatio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7194099B2 (en) * 2003-06-10 2007-03-20 Motorola, Inc. Handheld electronics devices with multiple user sensory transducers and methods
JP4133615B2 (ja) * 2003-06-19 2008-08-1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小型音響素子のホルダ及びホルダの取付構造
EP1507438B1 (en) * 2003-07-31 2018-03-28 Panasonic Corporatio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TWM256040U (en) * 2004-01-05 2005-01-21 Action Electronics Co Ltd Speaker box connection device of display
TWI254588B (en) * 2004-03-18 2006-05-01 Cotron Corp Speaker module frame, speaker module therewith, and electrical device with the speaker module
US7409058B2 (en) * 2004-06-01 2008-08-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Display cov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006060398A (ja) * 2004-08-18 2006-03-02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3966316B2 (ja) * 2004-08-23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148789B2 (en) * 2004-09-09 2006-12-12 Motorola, Inc. Handheld device having multiple localized force feedback
JP3966318B2 (ja) * 2004-09-09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3966320B2 (ja) * 2004-09-28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565949B2 (en) * 2005-09-27 2009-07-28 Casio Computer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having speaker function
US20070223744A1 (en) * 2006-03-23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318301A (ja) * 2006-05-24 2007-12-06 Funai Electric Co Ltd 薄型テレビジョン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95B1 (ko) * 2004-09-28 2007-06-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90012875A (ko) * 2017-07-28 2019-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032509B2 (en) 2017-07-28 2021-06-08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nd including a sound generator
KR20220005617A (ko) * 2017-07-28 2022-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4495769A (zh) * 2017-07-28 2022-05-13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KR20220139836A (ko) * 2017-07-28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616928B2 (en) 2017-07-28 2023-03-28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30054620A (ko) * 2017-07-28 2023-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985444B2 (en) 2017-07-28 2024-05-14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1075A1 (en) 2006-03-09
CN1755438A (zh) 2006-04-05
JP3966318B2 (ja) 2007-08-29
US7798284B2 (en) 2010-09-21
KR100726045B1 (ko) 2007-06-08
CN100495127C (zh) 2009-06-03
JP2006080825A (ja)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045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748796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CN110049415B (zh) 振动发声装置和电子设备
KR1025906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9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JP4831205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
US20060140424A1 (en) Piezoelectric panel speaker
US9942640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60093165A1 (en) Flat panel speaker
US10621965B2 (en) Acoustic apparatus
WO2002069669A1 (fr) Microphone
CN112769988B (zh) 电子设备
KR201900136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JP4355860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200623543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285361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3994712A (zh) 显示设备
KR1026608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CN220043656U (zh) 扬声器模组和电子设备
EP3764663B1 (en) Display apparatus with sound generation
JP4826365B2 (ja) 平型画像表示モジュール
CN117750269A (zh) 电子设备
CN114567841A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