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049A - 설정치 결정장치 - Google Patents

설정치 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049A
KR20060051049A KR1020050082720A KR20050082720A KR20060051049A KR 20060051049 A KR20060051049 A KR 20060051049A KR 1020050082720 A KR1020050082720 A KR 1020050082720A KR 20050082720 A KR20050082720 A KR 20050082720A KR 20060051049 A KR20060051049 A KR 20060051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ctor
woven fabric
information
valu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키 야마자키
히데유키 곤타니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 D03C1/146Independent drive mot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2Avoiding starting mark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5Displays or display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과제는, 직물의 사양에 적합한,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수단으로서, 설정치 결정장치는, 직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기와, 직기의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기를 포함한다.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는, 상기 직포의 실의 넣음 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 또는 상기 커버 팩터의 기초가 되는 값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기는, 적어도 커버 팩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설정치 결정장치{DECIDING DEVICE FOR SETTING VALU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설정치 결정장치를 구비한 직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직기의 직단방지장치의 주변 블록선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정치 결정장치를 이용하여 기대 조건의 입력시부터 제직 운전이 개시될 때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설정치 결정장치에 입력정보를 입력할 때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계속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계속되는 화면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설정치 결정장치가 결정된 설정치의 하나인 킥백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직단방지동작으로서의 킥백 동작에 대해서, 정대 시간에 대응하는 킥백량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θ : 주축의 회전각도 CF : 커버 팩터
CFp : 위사의 커버 팩터 CFw : 경사의 커버 팩터
S1 : 운전 신호 S2 : 미세동작신호
S3 : 역회전 신호 S4 : 정지 신호
S5 : 정대 신호 S7 : 운전 지령 신호
S8 : 지령 신호 S9 : 회전 토크 신호
10 : 직기 12 : 경사
14 : 워프 빔 16 : 백 로울러
18 : 종광틀 20 : 바디
22 : 실거는 부위 24 : 위사
26 : 직포 27 : 가이드 로울
28 : 복권 로울 30 : 프레스 로울
32 : 포권 빔 34 : 송출 모터
36 : 권취지름검출기 37 : 개구장치
38 : 개구구동부 40 : 주축 모터
42 : 주축 44 : 바디치기 구동부
46 : 권취 모터 48 : 엔코더
50 : 주제어장치 52 : 송출 제어기
54 : 설정치 결정장치 56 : 터치 패널
58 : 데이터 베이스 60 : 메모리
62 : 중앙연산 처리장치 64 : 포트
66 : 운전 버튼 68 : 미세동작버튼
70 : 역회전 버튼 72 : 정지 버튼
74 : 권취 제어기 76 : 주축 구동부
78 : 직단방지장치
본 발명은, 직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직기의 직단(織段)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직기의 직단방지장치의 하나로서, 직기의 기동에 앞서, 워프 빔 또는 권취 로울을 소정의 회전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실거는 부위를 소정의 위치로 변위시키는, 이른바 킥백(kick back) 동작을 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다색 위입 직기의 직단방지장치로서 위사의 칼라 패턴마다, 실거는 부위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량을 미리 설정해 두고, 직기의 재기동을 행할 때, 그 위사의 칼라 패턴에 대응하는 보정량에 따라서, 워프 빔 또는 권취 로울을 소정의 회전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실거는 부위를 소정의 위치로 변위시키는, 이른바 킥백 동작을 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들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은, 작업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며, 게다가 작업자가 실제의 직포에 직단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험이 적은 작업자로서는 최적치를 찾아낼 때까지의 시간이 길다.
따라서, 작업자의 경험에 근거한 직단방지장치의 설정방법은, 작업자가 직단 방지장치의 설정을 조정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에, 양질의 직포의 생산효율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그러한 설정은 직물에 따라 다종다양하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경험이 없는 새로운 종류의 직물을 제직할 때, 이러한 문제가 다시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61-63750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3-271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의 사양에 적합한,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의해 직기조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설정치 결정장치는, 직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기와, 직기의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기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되는 직포에 관한 정보로는, 더욱 더, 상기 직포의 실의 넣음 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 또는 상기 커버 팩터의 기초가 되는 값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기는, 직단방지동작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작형태에 관한 설정치가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입력되는 직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기는,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로서 구해진 커버 팩터에 기초하여,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형태의 설 정치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설정치를 상기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로서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의 넣는 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를 CF로 나타내면, 커버 팩터(CF)는, 커버 팩터(CF) = 경사의 커버 팩터(CF)w + 위사의 커버 팩터(CF)p로 나타낸다. 다만, 세로의 커버 팩터(CF)w = A×2. 54/√B, 가로의 커버 팩터(CF)p = C√D이다. 파라미터 A는 단위직폭길이당의 경사 갯수, 파라미터 B는 경사 굵기(번수), 파라미터 C는 설정 쳐넣음 밀도, D는 위사 굵기(번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A는 경사의 총갯수/바디통과폭으로 구해진다. 따라서, 파라미터 A는, 경사의 총갯수와 바디폭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치 결정장치에는, 직포의 실의 넣는 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 또는 커버 팩터의 기본이 되는 값이 입력되고, 설정치 결정장치는, 직포의 실의 넣는 정도가 반영되는 커버 팩터에 기초하여,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설정치를 상기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로서 결정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직물품종교체 등에 의해 직포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경우라 하더라도, 작업자는, 커버 팩터 또는 커버 팩터의 기초가 되는 값을 입력기에 입력하면, 출력기는, 적어도 커버 팩터가 가미된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어, 직단방지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치 결정장치가 그렇게 해서 출력하는 출력정보로서의 설정치는, 커버 팩터가 가미되어 결정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위사의 끼워넣음의 난이성이 고려된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이다. 따라서, 직포제조경험이 적은 작업자라 하더라도, 직단이 없는 양질의 직포를 바로 생산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작업자는, 종래와 같이 위사의 끼워넣음의 난이성이 고려된 최적인 동작형태를 찾아낼 때까지 시행착오를 긴 기간 반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조정과 관련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로서의 커버 팩터의 기초가 되는 값은, 단위직폭당의 경사의 갯수, 경사의 굵기, 위사의 쳐넣기 밀도 및 위사의 굵기에 관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는, 상기 커버 팩터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값에 기초하여 커버 팩터를 산출하며, 적어도 상기 산출한 커버 팩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는, 또한, 직물 종류 또는 직물 조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는, 상기 직물 종류 또는 직물 조직에 관한 정보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커버 팩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출력기는, 직단방지동작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작형태가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직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중에서 대응하는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괜찮다.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직기(10)에 있어서, 경사(12)는, 이것이 감겨져 있는 워프 빔(14)으로부터, 백 로울러(16), 복수의 종광틀(18) 및 바디(20)를 거쳐 실거는 부위(22)에 연결되고 있다.
경사 개구내에 위입된 위사(24)은, 바디(20)에 의해서 실거는 부위(22)에 바디치기되어, 직포(26)가 된다.
직포(26)는, 실거는 부위(22)로부터, 가이드 로울(27)을 거쳐 복권 로울(28)에 도달한다. 복권 로울(28)에 도달한 직포(26)는, 복권 로울(28)과 한 쌍의 프레스 로울(30)에 의해 포권 빔(32)으로 보내진다. 보내진 직포(26)는, 포권 빔(32)에 감긴다.
워프 빔(14)은, 송출 모터(34)에 의해 톱니바퀴와 같은 감속기구로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는 기어기구를 통하여 회전되고, 복수의 경사(12)를 시트의 형태로 송출한다. 워프 빔(14)에 감겨져 있는 경사(12)의 권취지름은, 권취지름 검출기(36)에 의해서, 권취지름 D로서 검출한다.
각 종광틀(18)은, 개구장치(37)의 개구구동부(38)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되고, 경사(12)을 상하로 개구시킨다. 개구구동부(38)는, 주축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42)의 회전운동을 받아, 그 회전운동을 각 종광틀(18)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바디(20)는, 주축(42)의 회전운동을 받는 바디치기 구동부(44)에 의해 그 회전운동이 요동운동으로 변환되어 요동구동되고, 경사(12)의 개구내에 위입된 위사(24)을 실거는 부위(22)에 박아 고정시킨다.
복권 로울(28)은, 권취 모터(46)의 회전운동을 받는 톱니바퀴와 같은 감속기구로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는 기어기구를 통하여 회전된다. 회전된 복권 로울(28)은, 한 쌍의 프레스 로울(30)과 공동하여 직포(26)를 포권 빔(32)으로 보낸다.
주축(42)의 회전각도는, 엔코더(48)에 의해서 검출된다. 검출된 주축(42)의 회전 각도는, 주축회전각도 θ로서 주제어장치(50) 및 송출 제어기(52)에 공급된다(도 2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설정치 결정장치(54)는, 입력기 및 표시기로서 작용하는 터치 패널(56)을 가진다. 또, 설정치 결정장치(54)는, 직단방지동작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 T가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58)와, 데이터 베이스(58)와 상기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직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형태의 설정치 T를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60)와, 검색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중앙연산 처리장치(CPU)(62)를 가진다.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터치 패널(56)과 데이터 베이스(58)와 메모리(60)와 포트(64)에 접속하고 있다. 작업자가 터치 패널(56)을 통하여 직기(10)의 직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면,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메모리(60)로부터 데이터 베이스(58)를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입력한 직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58)로부터 설정치를 검색한다.
한편, 설정치 결정장치(54)는, 상기와 같이 직단방지장치(78)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진 것 외에, 경사장력제어나 위입장치 등의 도시하지 않은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설정치를 입력하거나, 직기(10)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하는, 직기(10)의 설정기로서의 기능도 겸비할 수 있다.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검색된 설정치를 터치 패널(56)에, 작업자에게 읽어내기 가능하도록 표시시킨다. 또한,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터치 패널(56)에 설정치를 표시시키거나, 또는 표시시킴과 동시에, 포트(64)에 출력해도 좋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설정치 결정장치(54)의 출력기는, 표시기로서 작용하는 터치 패널(56), 데이터 베이스(58), 메모리(60), 중앙연산 처리장치(62) 외에, 포트(64)를 포함한다.
주제어장치(50)는, 운전버튼(66), 미세동작버튼(68), 역회전버튼(70), 정지버튼(72)으로부터 출력되는 운전 신호 S1, 미세동작신호 S2, 역회전신호 S3, 정지신호 S4를 수신한다. 또한, 주제어장치(50)는, 경사(12)나 위사(24)가 끊어진 것을 검출하는 실끊어짐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력되는 정대신호 S5를 수신한다. 주제어장치(50)는, 직기(10)의 제어 등에 이용될 수 있도록 설정치 결정장치(54)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설정치 T를 수신하고 있다.
주제어장치(50)는, 출력하는 지령신호 S8에 기초하여 송출 제어기(52), 권취 제어기(74), 개구 구동부(38), 주축 구동부(76)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송출 제어기(52), 권취 제어기(74), 개구 구동부(38), 주축 구동부(76)는, 본 실시예의 직단방지장치(78)의 구동회로를 구성한다.
송출 제어기(52)는, 주축회전각도 θ, 설정치 결정장치(54)로부터 출력되는 설정치 T,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 지령 신호 S7 및 권취지름 D에 기 초하여, 송출 모터(34)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출 제어기(52)는, 직기(10)의 운전중에는,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 지령 신호 S7에 의해 경사 장력이 목표 장력을 유지하도록 송출 모터(34)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송출 제어기(52)는, 직기(10)의 정지시, 미세동작 역회전시 또는 직기(10)의 운전개시시 등에는,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펠콘트롤 지령, 미세동작 역회전 지령 또는 킥백 지령 등의 각 지령신호 S8의 발생에 의해, 각 직단방지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송출 모터(34)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한편 송출제어기(52)는, 이들 펠콘트롤 지령, 미세동작 역회전 지령시에 있어서의 이송량이나 되돌려보내는 양, 킥백량 등의 설정치를, 설정치 결정장치(54)로서의 설정기로부터 직접 받는다.
권취 제어기(74)는, 주축 회전각도 θ, 설정치 결정장치(54)로부터 출력되는 설정치 T 및 운전 지령 신호 S7에 기초하여,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량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 제어기(74)는, 직기(10)의 운전중에는, 엔코더(48)로부터의 각도신호 θ 및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 지령 신호 S7에 의해 직기(10)의 주축(42)의 회전에 동기하여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권취 제어기(74)는, 직기(10)의 정지시, 미세동작 역회전시 또는 직기(10)의 운전개시시 등에는,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펠 콘트롤 지령, 미세동작 역회전 지령 또는 킥백 지령 등의 각 지령 신호 S8의 발생에 의해, 각 직단방지동작을 수행해야 할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한편, 권취 제 어기(74)는, 이들 펠 콘트롤 지령, 미세동작 역회전 지령시에 있어서의 이송량이나 되돌리는 양, 킥백량 등의 설정치를, 설정치 결정장치(54)로서의 설정기로부터 직접 받는다.
예를 들면, 개구장치(37)에는, 개구구동부(38)의 구동축과 직기(10)의 주축(42)과의 연결을 풀어, 유압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종광틀(18)을 중구(中口) 폐구(閉口)상태로 할 수 있는 레벨링기구 등이 구성되어 있다. 개구구동부(38)는, 직기(10)의 운전중에는, 개구구동부(38)의 구동축을 직기(10)의 주축(42)에 연결하여 주축(42)의 회전에 의해 각 종광틀(18)을 상하동작시킨다. 또한, 개구구동부(38)는, 직기(10)의 정지시에는,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레벨링 지령의 지령 신호 S8에 기초하여, 레벨링 동작인 직단방지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고, 경사 개구가 중구 개구가 되도록 하는 위치에 종광틀(18)을 상하동작시킨다. 이 대신에, 레벨링장치를, 구동축과 주축(42)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 및 구동축으로 연결 가능한 모터로 구성하여, 레벨링 지령을 받으면, 상기 클러치를 주축(42)과의 연결 상태를 끊은 상태로 한 후 상기 모터로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레벨링동작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주축 구동부(76)는,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신호 S8 및 회전 토크 신호 S9에 기초하여, 주축 모터(40)의 출력축 나아가서는 주축(42)의 회전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축 구동부(76)는, 운전개시로부터 소정의 기간, 직단방지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 지령 신호 S7, 기동 토크 지령, 기동 토크 전환 지령에 기초하여, 주축 모터(40)의 출력축 나아가서는 주축(42)을 고출력 토크로 회전시켜, 주축(42)의 회전 속도를 단시간에 고회전속도로 하여, 바디(20)에 바디치기를 행하게 한다. 주축구동부(76)는, 주축(40)의 회전속도가 정상 회전속도에 도달한 소정의 타이밍 이후, 주축(42)의 토크를 정상운전의 유지에 필요한 토크로 저감시킨다. 주축 구동부(76)는, 이렇게 일련의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주축 구동부(76)는, 직기(10)의 정지시에는,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 지령 신호 S1의 출력 오프에 의해 주축 모터(40)의 출력축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주축 구동부(76)는, 직기(10)의 미세동작 역회전시에는, 주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미세동작신호 S2 또는 역회전 신호 S3에 의해, 주축 모터(40)의 출력축의 회전을 미세동작신호 S2 또는 역회전 신호 S3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저속 구동시킨다.
직기(10)가 제직하는 직물 제작중인 물건이 변경되면, 작업자는, 직기(10)의 기계에 거는 작업을 행함과 동시에, 새로운 직물에 대응하는 기대(機臺) 조건을 직기(10)의 설정기로 설정한다. 이 때, 작업자는, 그 일환으로서 직단방지동작의 동작형태도 설정한다. 도 3은, 기대 조건을 입력하고 나서, 제직운전이 개시될 때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나타낸다.
먼저, 작업자는, 설정치 결정장치(54)의 입력기로서의 터치 패널(56)을 조작하여 직포(26)에 있어서의 직물의 조건을 입력한다(ST101). 이 때의 터치 패널(56)의 화면(80)의 일례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직포에 관한 정보로서의 경사(12)에 관한 복수의 항목 및 그 설정치의 표시란이, 터치 패널(56)의 화면(80)의 좌측의 영역 A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또한,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가 도 4의 우측의 영역 B에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작업자는, 먼저 영역 A의 「바디 통과폭」에 터치하여 숫자 키를 화면(80)에 표시시켜, 표시된 숫자 키를 이용하여 「바디 통과폭」의 수치를 입력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바디 통과폭」의 값으로서 「190」를 입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경사(12)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좌측의 영역 A에는, 커버 팩터 산출의 기초가 되는 경사(12)의 정보로서 「총갯수」는 「10000」개, 「굵기」는 「40」번수가 각각 입력된 상태를 나타냄과 동시에, 「굵기 단위」는 「영식번수」, 「종류」는 「면사」를 각각 선택하여 입력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한편, 근래의 직기는, 백 로울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사 장력으로서 검출하여, 검출한 경사 장력이 장력 설정치를 유지하도록, 워프 빔(14)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경사(12)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열거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경사의 장력 설정치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력 설정치 S = 경사 1개당의 단위 장력 K1×경사 총갯수×보정계수 K2에 의해 산출할 수 있고, 또한 보정 계수 K2는, 후술되는 직물 종류, 직물 조직이나 커버 팩터에 의해 선택하여, 상기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좌상측의 영역 C에는, 직포에 관한 정보로서의 위사(24)의 정보로서 「굵기」는 「40」번수가 각각 입력된 상태를 나타냄과 동시에, 「굵기 단위」는 「영식번수」, 「끼워넣음 밀도」는 「50」개/인치를 각각 선택 입력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5의 왼쪽 아래쪽의 영역 D에는, 직포에 관한 정보로서의 직물 조직 또는 직물 종류에 관한 정보인 「직물 조직」은 「1/1(평직)」, 「직물명」은 「스판 일반」을 각각 선택 입력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56)에 있어서의 표시 및 입력에 관한 일련의 처리는,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중앙연산처리장치(62)가 터치 패널(56)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작업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직포에 관한 정보를 터치 패널(56)을 이용하여 입력한 후에, 화면(80)의 「단방지 자동설정」의 버튼 B1을 누른다(ST102).
터치 패널(56)은, 「단방지 자동설정」의 버튼이 눌러지면,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데이터 베이스(58)로부터, 지금까지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후술하는 수식을 이용하여 실의 넣음 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커버 팩터에 대응하는 각 설정항목에 있어서의 설정치를 검색한다(ST103).
이를 위하여,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직포에 관한 입력 정보에 적합한 직단방지 동작의 설정형태의 설정치를 검색하여 결정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56)의 화면(80)에 표시함과 동시에, 포트(64)를 통하여 주제어장치(50), 송출 제어기(52)및 권취 제어기(74)로 출력한다(ST104).
도 6은, 상기 스텝 ST104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결정된 직단방지동작의 동작형태를 화면(80)에 표시한 예이며, 직기(10)의 운전 개시에 앞서 워프 빔(14) 또는 복권 로울(28)을 회전 구동하는 킥백 동작에 있어서의 설정량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80)에 표시된 표시 키인 「송출」 버튼 또는 「권취」버튼을 누르면, 눌러진 버튼에 대응하는 킥백량이 영역 E에 표시된다. 도 6은, 「송출」버튼이 눌러졌을 때의 터치 패널(56)의 화면(80)을 나타낸다.
터치 패널(56)의 화면(80)에 표시되어 있는 「킥백 모드」는, 정대시간에 의존하는 「시간 제어」가 선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정대시간이 「5」분으로 선택 입력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터치 패널(56)의 조작에 의해, 정대 시간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킥백량으로 제어하는 킥백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대(停台)시간이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킥백 동작에 있어서의 시간 제어의 전환 시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킥백량의 정대시간 제어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정대 시간 「0」분부터 설정 시간 「5」분까지의 사이에서는, 역회전량 1과 역회전량 2와 정대시간 설정치로 결정되는 함수에 의해, 정대시간의 증대에 대응하여 증대되는 킥백 역회전량을 발생시키고, 또한 정대시간이 5분 경과한 후에는, 정대시간에 관계없이 역회전량 2의 킥백 역회전량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킥백 역회전량을 정대시간마다 단계적으로 증대시키는 설정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킥백 정회전량에 대해서도 같 다.
터치 패널(56)의 화면(80)에 표시되어 있는 「정회전량」, 「역회전량」은, 킥백 동작에 있어서의, 위입 피크를 기준으로 한 정회전량, 역회전량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킥백 동작에 대해서, 또한, 정대원인마다 킥백량을 독립적으로 설정기로 설정하고, 직기(10)의 운전중에 발생한 정대원인에 의해, 대응하는 킥백량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는, 작업자는, 가로 멈춤시(불어끊김 발생 등), APR시(위입미스 자동위사제거장치 작동)와, 세로 멈춤을 독립적으로 설정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직단방지 동작의 동작형태를 결정한 후,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서 시방직 운전을 실시하여, 상기 결정된 설정치에 의한 직단방지동작의 효과 즉 직단의 발생의 유무를 조사한다(ST105).
작업자는, 시방직의 결과, 직단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검색된 설정치를 도 6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56)의 화면(8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자동결정된 설정치에 대해 수정한 값을 새로운 설정치 T로서 대응하는 구동 회로인 송출 제어기(52) 또는 권취 제어기(74)에 출력한다.
작업자는, 직단방지장치(78)에 대한 설정 외에, 그 이외의 기대 조건의 설정이나 조정 등을 실시한 후, 운전 버튼(66)을 누르고, 직기(10)에 제직 운전을 개시시킨다(ST106).
표 1은, 직단방지장치(78)의 동작형태의 결정에 이용하는 데이터 베이스(58) 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1은, 직포에 관한 정보에 관계된 커버 팩터의 값에 따라, 직단방지장치(78)의 동작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 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버 팩터는 4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데이터 베이스(58)로서 1 이상의 직단방지동작의 동작형태가 상기 커버 팩터의 4개의 구분마다 기록되어 있는 예이다. 예를 들면, 커버 팩터가 달라도, 개구구동부(38)의 개구 레벨링이나 권취 제어기(74)의 킥백 동작과 같이, 동작형태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더라도 좋고, 복수의 동작형태의 적어도 1 이상이 다르도록 설정하더라도 좋다
표 1
Figure 112005049806477-PAT00001
여기서, 직기(10)의 직단방지동작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것으로, 커버 팩터에 대응하는 동작형태를, 참고로 나타내며, 이하에 데이터 베이스(58)의 동작형태의 항목과 커버 팩터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펠 콘트롤]
펠 콘트롤이란, 운전중의 직기(10)를 정지시킬 때에 주축(42)의 타주회전중에 워프 빔(14) 또는 복권 로울(28)을 소정량 회전시켜, 실거는 부위(22)의 위치를 전방으로 변위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이 동작에 의해, 직기(10)의 운전을 정지시켰을 때로부터 직기(10)가 기동할 때까지 사이의 바디치기 힘을 저감시켜 능침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경사 장력을 저하시켜 직기(10)의 정지중에 있어서의 경사의 신장에 기인하는 직단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하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 베이스(58)는, 동작의 유무, 실거는 부위(22)의 위치의 변위량(퇴피량)과 커버 팩터(CF)를, 장치마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미세동작이송/역회전 되돌리기]
미세동작이송/역회전 되돌리기란, 직기(10)의 운전 정지 후, 작업자가 예를 들면 실 끊어짐 복구 등을 위해 직기를 미세동작조작 혹은 역회전조작할 때 주축(42)의 회전이 미세동작·역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통과할 때에, 워프 빔(14) 또는 복권 로울(28)의 회전을 소정량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작업자가 미세동작·역회전을 시킬 때에, 주제어장치(50)는, 워프 빔(14) 또는 복권 로울(28)을 미리 설정된 1피크분에 대응하는 양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실거는 부위(22)의 위치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고, 실거는 부위(22)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유지한다.
데이터 베이스(58)는, 실거는 부위(22)의 위치의 변위량(이송량·되돌림량)과 커버 팩터(CF)를, 장치마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개구장치의 레벨링]
개구장치(37)의 레벨링이란, 직기(10)의 운전 정지로부터 작업자가 정대원인을 복구할 때까지의 사이에, 직단방지장치(78)는, 종광틀(18)과 직기(10)의 주축(42)과의 동기를 해제하여,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종광틀을 구동하고, 경사(12)의 개구를 중구 개구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예를 들면, 직기(10)가 능직, 주자직 등을 제직하고 있는 경우, 크로스 타이밍이라 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종광틀(18)은, 상·하 위치에 있다. 따라서, 직기(10)가 장기간 정지상태에 놓여지면, 경사(12) 및 직포(26)가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 놓여지고, 실거는 부위(22)나 직구가 그 개구방향[경사(12)의 이동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이동해 버린다. 이러한 직단발생의 방지를 위해서, 개구장치(37)의 레벨링의 동작을 행하게 한다.
개구장치(37)의 레벨링의 동작이 행하여지면, 경사(12)의 신장이나, 상하의 경사(12)의 불균형 장력에 의한 실거는 부위(22)의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58)는, 개구장치(37)의 레벨링의 동작의 유무 또는 종광틀(18)의 개구량과 커버 팩터(CF)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킥백]
직기(10)의 기동에 앞서, 워프 빔(14) 또는 복권 로울(28)을 소정량만큼 정 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거는 부위(22)의 위치를 경사 주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직기(10)를 기동시켰을 때로부터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의 직기 주축의 과도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바디치기 힘의 과부족분을 보상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58)는, 정회전과 역회전의 순서, 회전량, 회전속도와 커버 팩터(CF)를, 장치마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펠 콘트롤」,「미세동작 이송/역회전 되돌리기」,「킥백」에 대해서, 데이터 베이스(58)로부터 도출되는 설정치 T는, 위입 피크를 척도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송출 제어기(52) 또는 권취 제어기(74)는, 위사 쳐넣음밀도나 기계적인 계수 등의 값과 이 설정치를 바탕으로, 경사(12) 또는 직포(26)에 대한 이동길이로부터, 송출 모터(34) 또는 권취 모터(46)의 구동량을 각각 산출하고, 워프 빔(14) 또는 복권 로울(28)을 회전구동한다. 그러나, 데이터 베이스(58)에 기억하는 설정치는, 위입 피크를 반드시 기준으로 할 필요도 없고, 경사 또는 직포의 이동길이로서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스타트 방법]
작업자는, 예를 들면, 이하의 (A), (B) 또는 (C)에 나타내는 순서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직기(10)를 스타트(기동)시킨다.
(A) 통상의 기동 방법
먼저, 정대원인의 발생에 의해 직기(10)의 정지 후, 주축(42)을 경사 개구가 폐구상태가 되는 대기각도(300°)까지 저속 역회전시킨다.
작업자는, 정대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미세동작 조작이나 역회전 조작을 행하여 위윕미스사 제거나 실끊어짐 보수 등이 필요한 수복을 행하여, 주축(42)을 대기각도(300°)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직기(10)의 운전 버튼 조작에 의해 주축 모터(40)를 기동시켜, 주축(42)의 각도 θ가 0°를 통과하여 바디치기를 하고 나서 바로 위입을 개시한다.
(B)백 스타트(공타 기동)
직기(10)의 정대원인이 발생하고 나서 주축(42)을 경사 개구가 폐구상태가 되는 대기각도(300°)까지 역회전시키는 점, 또한 정대원인을 수복하여 주축(42)을 대기각도(300°)에 위치시키는 점에서는, 상기 (A)의 통상의 기동 방법과 같다. 그러나, 직기(10)의 운전버튼조작에 의해, 먼저, 주축(42)을 대기위치(300°)로부터 소정의 스타트 각도까지 저속 역회전시킨다.
다음에, 주축 모터(40)를 기동하여 운전개시조작되었을 때의 대기각도(300°)에 도달할 때까지는 위입시키지 않고(이른바 공타를 행하고), 그 후, 주축(42)의 각도 θ가 0°를 통과하여 바디치기를 하고 나서 위입을 개시한다.
(C) 60°스타트법
정대원인이 발생하고 나서 직기(10)가 정지할 때까지는, 상기 (A), (B)의 각 스타트 방법과 같다. 그러나, 바디치기를 피하기 위해 대기각도(60°)까지 주축(42)을 역회전시키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후, 작업자는, 정대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미세동작조작이나 역회전조작을 행하여 필요한 복구를 행하고, 주축(42)을 대기 각도(60°)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직기(10)의 운전버튼조작에 의해, 주축 모터(40)를 기동하는 한편, 즉시 위입을 개시한다.
데이터 베이스(58)는, 선택되는 스타트 방법과 커버 팩터(CF)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58)는, 스타트 방법의 선택 형태, 공타 기간(역회전 정지각도, 공타 피크수), 대기각도나 상기 소정각도 등의 하나 이상의 각도 타이밍 설정치와 커버 팩터(CF)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1줄 위입]
운전 버튼(66)이 조작되고 나서, 경사(12)이 개구 상태가 되는 소정각도(120∼200°) 부근까지 저속으로 미세동작하고, 그 다음에 위입장치를 작동시켜 위사(24)을 1줄 위입한 후, 주축(42)을 대기 각도까지 미세동작시킨다. 그 다음은, 상술한 스타트 방법의 선택형태에 따라서 주축 모터(40)를 기동하여 위입을 개시한다.
데이터 베이스(58)는, 1개 위입 동작의 유무와 커버 팩터(CF)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기동 토크]
운전 버튼이 조작되고 나서 주축 모터(40)를 기동할 때의 기동 토크를 가리키고 있으며, 주축 모터(40)에 공급하는 전력(전압)의 대소 선택에 의해 기동 트르크를 변경 가능하다. 박단(위사 밀도가 엉성해지는 현상)이 발생했을 때, 직기(10)의 기동시에 통상보다 높은 토크로 회전시켜 기동시의 바디치기 토크를 높인다. 그 후, 전력절약의 관점으로부터 통상의 토크로 억제하여 회전을 계속하게 한 다.
데이터 베이스(58)는, 기동 토크의 대소 정도와 커버 팩터(CF)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기동 토크 전환 제어]
상기한 「기동 토크」제어에 있어서의, 주축 모터(40)의 기동후, 상기 통상의 토크로 되돌리는 시기를 가리킨다. 기동 토크를 통상 토크로 되돌리는 시기의 늦고 빠름 설정에 의해, 주축 모터(40)의 기동 후의 바디치기 힘을 상기 「기동 토크」제어와 상승효과에 의해 전환 가능하다.
데이터 베이스(58)는, 높은 토크로부터 통상의 토크로 되돌리는 전환 타이밍(피크수를 포함한다)과 커버 팩터(CF)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전환 타이밍은, 기준 각도로부터의 경과시간, 또는 주축 각도를 척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단방지 동작에 대해서, 상기 열기한 것중의 적어도 1이상으로 하면 좋고, 또한 상기 열거한 이외의 것을 채용하거나, 상기 열거한 것과 조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직단방지장치(78)를 이용하는 경우, 복수의 직단방지장치(78)의 동작형태는 상이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실의 넣는 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CF)는, 커버 팩터(CF) = 경사의 커버 팩터(CF)w + 위사의 커버 팩터(CF)p로서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위사의 커버 팩터(CF)w=A×2.54√B, 경사의 커버 팩터(CF)p=C√D이다. 커버 팩터 산출의 기초가 되는 입력정보로서의 각 파라미터, 즉 파라미터 A는 단위직폭길이당의 경사 갯수, 파라미터 B는 경사 굵기(번수), 파라미터 C는 설정 끼워넣음 밀도, 파라미터 D는 위사(24)의 굵기(번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A는 경사의 총갯수/바디통과폭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 A는, 상기 경사에 관한 입력정보인 경사의 총갯수와 바디통과폭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작업자는 커버 팩터를 산출할 때의 기본이 되는 각 파라미터 A, B, C, D를 통하여 입력하고, 입력된 수치로부터 커버 팩터를, 설정치 결정장치를 구성하는 중앙연산 처리장치(62)로 구하게 한다. 그러나, 그렇게 계산시키는 대신에, 작업자는, 스스로 계산하여 구한 커버 팩터 그 자체를, 터치 패널(56)을 통하여 직접 입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팩터는, 실의 넣는 상태(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 팩터는, 위사(24)의 끼워넣음의 난이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소위 직단(즉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직기 정지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정지단)은, 위사(24)의 밀도의 불균일현상이다. 이에 대해, 커버 팩터는, 실의 넣음 상태(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 팩터는, 위사(24)의 끼워넣음의 난이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밀도가 엉성한(CF치가 작은) 직물은, 위입된 위사(24)을 한 번의 바디치기를 하는 것만으로 최종적인 직밀도가 된다. 그러나, 고밀도(CF치가 큰) 직물은, 위입된 위사(24)을 몇차례의 바디치기를 하는 것으로, 최종적인 직밀도가 된다.
발명자들은, 커버 팩터와 소정의 위사 밀도를 얻기 위한 바디치기과의 관련성을 지견하고, 또한 직단방지장치(78)의 동작형태와, 실의 넣는 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CF)와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직물의 사양에 적합한, 직단방지장치(78)의 동작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커버 팩터(CF)에 착안한, 즉 커버 팩터(CF)의 값[바꾸어말하면 위사(24)의 쳐넣음성의 난이도 정도)에 따라 직단방지장치(78)의 동작형태를 설정하는 것은, 극히 바람직하고, 또 이치에 맞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직포의 사양에 관한 정보에 대응한 직단방지동작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입력된 직포의 사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58)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직단방지동작의 동작형태를 결정하고, 자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소망의 직단방지동작인, 실거는 부위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바디치기 토크를 높이거나, 여러 차례의 바디치기를 하거나 할 수 있다. 설령 경험이 적은 작업자라 하더라도, 실의 넣음 상태가 고려된 동작형태로 직단방지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직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상의 설정치 결정장치(54)는, 이하와 같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포의 사양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커버 팩터에 관한 것 외에, 직물 종류(스판일반, 기포, 울직물 등), 직물 조직의 종류(1/1평직, 2/1, 3/1…능직, 4/1, 5/1…주자직, 변직, 도비무늬 등)이 있다.
이 때문에, 표 1과 같은 커버 팩터와 동작형태와의 체계적인 구성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58)는, 더욱 더 직물 종류나 직물 조직을 더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표 1과 같은 체계적인 구성에 대해, 직포의 사양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2개중의 어느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쌍방으로 하면 좋은 것은 물론이다.
표 2
Figure 112005049806477-PAT00002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직포의 사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58)를 검색한 결과, 이 정보에 합치한 설정치 T를 검색할 수 없었던 경우, 이 정보에 가까운 조건으로 재차 검색하여, 검색된 복수의 동작형태로부터 보간연산에 의해 산출한 설정치 T를 출력하여도 좋다.
중앙연산 처리장치(62)는, 데이터 베이스(58)를 이용하는 대신에, 메모리(60)에 미리 조립되어, 직포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에 의해 설정치 T를 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설정치 결정장치(54)는, 직기(10)의 설정기와 겸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대신에, 전적으로 직단방지장치(87)를 위해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설정치 결정장치(54)는, 다수의 직기(10)로 공용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각 직기(10)의 설정기와 컴퓨터가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설정치 결정장치(5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직기(10)의 설정기의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좋다.
설정치 결정장치(54)는, 직기(10)의 관리실에 설치한 PC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설정치 결정장치(54)는, 출력 정보를 종이에 인자출력하고, 작업자는, 출력된 종이에 인자된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직단방지장치(78)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 팩터와 직단방지동작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58)는, 미리 직기 제조자측으로부터 제공되지만, 그 후 제조자 또는 직포공장 등 의 사용자가, 제직실적 등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를 수정하거나 또는 데이터 베이스의 부족분을 추가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건 발명의 적용이 대상으로 하는 직기에 대해서, 위사 실의 종류, 위사 쳐넣음 밀도, 직물조직 등의 제직조건에 대해서, 제직운전중에 항상 단일한 제직 조건으로 제직하는 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기의 주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제직조건이 완전히 바뀌어지는 직기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미리 위입 피크마다 전환되는 직포의 사양에 관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제직조건에 대응하는 직단방지 동작의 동작형태를 위입 피크마다 미리 설정해 두고, 직기 정지시에는, 대응하는 직단방지 동작을 실행시켜도 좋다.
본 실시예의 커버 팩터(CF)는, 기본이 되는 2개의 커버 팩터를 가산한 결과의 값, 즉 경사의 커버 팩터(CFw)와 위사의 커버 팩터(CFp)를 가산한 결과의 값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기본이 되는 2개의 커버 팩터중의 어느 하나[즉, 경사의 커버 팩터(CFw)만, 또는 위사의 커버 팩터(CFp)만]에 착안하여, 이것에 대응하여 직단방지동작의 동작형태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Claims (3)

  1. 직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기와, 직단(織段)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기를 포함하는, 설정치 결정장치로서,
    상기 입력되는 직포에 관한 정보에는, 직포의 실의 넣음상태를 나타내는 커버 팩터, 또는 상기 커버 팩터의 기초가 되는 값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는, 직단방지동작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작형태에 관한 설정치가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로 대응되어 미리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입력되는 직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는,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로서 구해진 커버 팩터에 기초하여,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형태의 설정치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설정치를 상기 직단방지장치의 동작형태의 설정치로서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설정치 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팩터의 기본으로 되는 값에는, 단위직폭 길이당의 경사의 갯수, 경사의 굵기, 위사의 끼워넣음 밀도 및 위사의 굵기에 관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에는, 또한 상기 기본이 되는 값이 입력됨과 함께, 입력되는 값으로부터 커버 팩터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기는, 상기 기본이 되는 값으로부터 커버 팩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커버 팩터에 대응하는 설정치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설정치를 상기 설정치로서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설정치 결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에 관한 정보는, 또한 직물 종류 또는 직물 조직에 관련하는 정보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동작형태에 관한 설정치가 상기 직물 종류 또는 상기 직물 조직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미리 기억되고 있으며,
    상기 출력기는, 상기 직물 종류 또는 상기 직물 조직중의 적어도 1개의 정보와 상기 커버 팩터에 기초하여, 이들에 대응하는 설정치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설정치를 상기 설정치로서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설정치 결정 장치.
KR1020050082720A 2004-09-17 2005-09-06 설정치 결정장치 KR20060051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1313A JP4339217B2 (ja) 2004-09-17 2004-09-17 設定値決定装置
JPJP-P-2004-00271313 2004-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049A true KR20060051049A (ko) 2006-05-19

Family

ID=3545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720A KR20060051049A (ko) 2004-09-17 2005-09-06 설정치 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637636B1 (ko)
JP (1) JP4339217B2 (ko)
KR (1) KR20060051049A (ko)
CN (1) CN17494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7302B2 (ja) * 2005-10-06 2013-02-0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運転装置
JP5084179B2 (ja) * 2006-06-02 2012-11-28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誤操作防止装置
CN103320949B (zh) * 2012-03-20 2016-02-10 厦门莱宝机械有限公司 一种不需要开口机构反转运动的反向寻纬方法
CN111321504B (zh) * 2020-03-17 2022-07-22 苏州安驰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圆织机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682866B (zh) * 2021-07-27 2023-06-23 深圳弘博智能数码设备有限公司 一种料卷输送控制方法及其装置、卷对卷印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90B2 (ja) 1984-09-06 1995-04-0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電動送り出し制御装置
JPS6221845A (ja) * 1985-07-22 1987-0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における止段発生防止方法
JP2671508B2 (ja) * 1989-06-19 1997-10-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多色織機における織段発生防止方法
JP2003221759A (ja) * 2002-01-29 2003-08-08 Tsudakoma Corp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2004225172A (ja) * 2003-01-20 2004-08-12 Tsudakoma Corp 織段防止機能付き織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9457B (zh) 2010-11-24
CN1749457A (zh) 2006-03-22
JP4339217B2 (ja) 2009-10-07
EP1637636A3 (en) 2010-04-21
JP2006083502A (ja) 2006-03-30
EP1637636B1 (en) 2011-11-23
EP1637636A2 (en)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1049A (ko) 설정치 결정장치
CN1724734B (zh) 织布机的经纱张力控制方法及装置
KR20060051073A (ko) 설정치 결정장치
JPH0959852A (ja) 繊維機械における消耗品管理装置
EP1439250B1 (en) Loom with filling bar preventing function
EP1464745A2 (en) Weft bar preventing apparatus
JP4909652B2 (ja) 織機
EP3205758B1 (en) Method for preparing restart of loom
JP4651082B2 (ja) パイル経糸張力の調整方法
JP2006336157A (ja) 織口位置調整装置
JP5189737B2 (ja) 織機の開口装置、及びその開口装置を使用した織機における織付け方法
EP1310587A2 (en) Weft pullback control method
JP5137302B2 (ja) 織機の運転装置
JP4718213B2 (ja) 織機の経糸張力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60049756A (ko) 날실 장력 감시 방법
JPH06346345A (ja)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運転再開方法
JP4974266B2 (ja) 織機の運転方法および織機の運転装置
JP3377749B2 (ja) 織機の開口制御装置
JP4098150B2 (ja) 織機の織段防止装置
JP4051817B2 (ja) 織機における同期合わせ制御方法及び装置
JP2827012B2 (ja) 織機回転数の最適制御方法
JP4658261B2 (ja) 織機における耳糸開口方法及び装置
JP2020117823A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起動制限方法及び装置
JPH093749A (ja) タオル織機における切り卸し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4244767A (ja) 多色緯入れ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